KR20010049510A -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510A
KR20010049510A KR1020000031568A KR20000031568A KR20010049510A KR 20010049510 A KR20010049510 A KR 20010049510A KR 1020000031568 A KR1020000031568 A KR 1020000031568A KR 20000031568 A KR20000031568 A KR 20000031568A KR 20010049510 A KR20010049510 A KR 2001004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isplay
portable
gauges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따아끼히꼬
Original Assignee
고즈끼 가게히꼬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즈끼 가게히꼬,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즈끼 가게히꼬
Publication of KR2001004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3Hand-to-hand fighting, e.g. martial arts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29Fighting without 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기존의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큰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실현할 수 있는 휴대형 게임기를 제공한다.
입력 수단(20), 디스플레이(40)를 휴대 가능한 케이싱(10)에 수납하여 휴대형 게임기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40)에는 다수의 소영역(71)이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게이지(70X, 70Y)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10) 내에는 플레이어에 의해서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게임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어느 쪽의 게임을 선택한 경우에도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게이지(70X, 70Y)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시키는 게임 처리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PORTABLE GAME PALYER AND THE GAME PROCEED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형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체인 게임 등이라고 불리는 키홀더에 부착될 정도로 소형으로 구성된 휴대형 게임에 관한 것이다.
기술 진보에 의해서, 전자 회로를 내장한 게임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게임을 실현하기 위한 요소로서, 플레이어가 조작하기 위한 입력 수단, 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는 게임 처리를 실행하는 게임 처리 수단, 이 게임 처리 수단에 의한 실행 결과를 플레이어에게 제시하는 입력 수단 등을 휴대 가능한 케이싱에 수납하여 구성되는 휴대형 게임기는 그 운반의 편리성이나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손쉽게 즐길 수 있는 것 혹은 그 염가인 까닭에 널리 보급되는데 이르고 있다.
그런데, 현재 시장에 나도는 휴대형 게임기의 종류가 너무 많아지고 있으며 과당 경쟁이라고 불리는 상황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다른 게임기와의 차별화가 가능하며,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게임기의 개발이 불가결한 상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휴대형 게임기는 그 소형인 점이나 염가인 점 등의 장점이 있고 이 이점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실현하는 것은 꽤 곤란하다. 특히, 휴대형 게임기 중에서도 키체인 게임이라고 불리는 게임기에서는 기억 수단이나 CPU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부분에 기존의 칩을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러한 규제가 유흥성이 높은 게임의 개발이 점점 곤란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큰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실현할 수 있도록 휴대형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전자적으로 실현한 휴대형 게임기에서의 실행에 적합한 게임 진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출원인이 제안하는 휴대형 게임기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즉,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입력 수단, 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는 게임 처리를 실행하는 게임 처리 수단, 이 게임 처리 수단에 의한 실행 결과를 플레이어에게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들의 입력 수단, 게임 처리 수단 및 디스플레이를 휴대 가능한 케이싱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게임기를 기본으로 하면서,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소영역이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게이지가 복수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며, 게임 처리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게임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어느 하나의 게임을 선택한 경우에도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 휴대형 게임기에서는, 복수의 게임 요소로부터 하나의 게임 요소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플레이어로부터 보면 복수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휴대형 게임기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게임에 싫증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게임 요소란 하나의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요소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게임 중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에 관한 화상 데이터나 게임 진행에 있어서의 결정하는 것에 관한 데이터 등이 이것에 포함된다. 또한, 이 휴대형 게임기는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게이지를 디스플레이에 복수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휴대형 게임기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입력 수단을 조작하는 타이밍이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남은 시간 혹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캐릭터의 상태 등의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필요하면 플레이어에게 복수 종류 시각적으로 확인시키게 되므로 폭넓은 게임 작성이 가능해지며 플레이어의 유흥감을 높히게 된다.
한편, 이 휴대형 게임기에서는 상기 복수의 게이지를 다종 게임으로 공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폭넓은 게임 작성이 가능한 한편으로 대용량의 기억 수단이 요구되는 경우도 없고 기존의 칩을 이용한 게임 개발도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게이지는 소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함으로써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원환형으로 소영역을 배치함으로서 게이지로 할 수 있다. 한편, 소영역을 직선형으로 연속 배치함으로서 게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를 대략 사각형의 표시면이 형성되는 바와 같이 구성함과 함께 게이지의 디스플레이의 모서리를 따라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는 캐릭터나 배경 등을 포함하는 게임 본래의 화상과 게이지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게이지의 수는 복수일 필요가 있지만 특히 그 상한은 아니다. 가장, 플레이어를 주시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한도나 기존 하드웨어의 처리 능력의 한계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게이지를 2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는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면 그 종류에 대한 제한을 특별히 받아들일 수 없지만, 예를 들면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의 소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하나의 도트를 할당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와 같이 할 수 있다. 하나의 도트를 소영역에 할당하는 것으로 하면 게이지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량을 적게 억제한다.
본원 출원인이 제안하는 휴대형 게임에서의 게임 진행 방법은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입력 수단, 이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는 게임 처리를 실행하는 게임 처리 수단, 이 게임 처리 수단에 의한 실행 결과를 플레이어에게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이들의 입력 수단, 게임 처리 수단 및 디스플레이를 휴대 가능한 케이싱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게임기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게임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다수의 소영역이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게이지를 디스플레이에 복수 표시함과 함께,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게임기의 개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l에서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 내에 생성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진행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20 : 입력 수단
21, 22, 23 : 조작키
40 : 디스플레이
70 : 게이지
71 : 소영역
110 : 조작 정보 해독부
120 : 게임 결정부
130 : 게임 실행부
131 : 게임 내용 실행부
132 : 게이지 제어부
140 : 화상 제어부
150 : 음성 제어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게임기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고, 그 동작을 설명함으로써 이 종류의 휴대형 게임기 전체에 적용 가능한 게임 진행 방법에 대한 설명을 행하게 한다.
이 휴대형 게임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에 입력 수단(20),스피커(30) 및 디스플레이(40)를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형성되고 있으며, 그 내부에 후술하는 게임 처리 수단(50)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10)의 상부에는 이 휴대형 게임기를 키홀더로부터 연장된 체인 등과 접속하기 위한 링형으로 형성된 걸림부(11)가 설치되고 있다.
입력 수단(20)은 케이싱(10)의 양 측면 및 하면에 부착된 3개의 조작키(21, 22, 23)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40)는 예를 들면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이며 대략 사각형의 표시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휴대형 게임기의 내부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이 휴대형 게임기는 CPU(51), ROM(52), RAM(53) 및 인터페이스(5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ROM(52), RAM(53) 및 인터페이스(54)는 CPU(51)와 접속되어 있다. CPU(51)는 휴대형 게임기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ROM(52)은 CPU(51)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나 이 게임기로 실행할 수 있는 각 게임의 룰 및 각 게임용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RAM(53)은 CPU(51)가 데이터 처리를 행하기 위한 워크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54)는 CPU(51)의 입출력용 접속 회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입력 수단(20), 스피커(30) 및 디스플레이(40)는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CPU(51)와 접속되고 있으며, 입력 수단(20)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 정보는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CPU(51)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51)가 생성한 디스플레이(40) 표시용 화상 정보 및 스피커(30) 출력용 음성 정보는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40), 스피커(30)에 각각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휴대형 게임기에서는 전원을 넣음으로써 CPU(51)가 ROM(52) 내의 프로그램 코드 등을 판독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능 블럭이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 정보 해독부(110), 게임 결정부(120), 게임 실행부(130), 화상 제어부(140), 음성 제어부(150)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들 기능 블럭에 의해 「게임 처리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조작 정보 해독부(110)는 인터페이스(54)를 통하여 입력 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조작 정보를 해독하고, 게임 결정부(120) 내지 게임 실행부(130)에 그 조작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게임 결정부(l20)는 미리 설정된 게임 중 어느 게임의 실행이 요구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고, 그 요구되고 있는 게임을 결정함으로써 해당 게임에 대한 게임 요소를 이용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다.
게임 실행부(130)는 게임 결정부(120)에 의해 결정된 게임 요소와,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실행에 관한 판단, 출력 화상, 출력 음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게임 실행부(130)는 게임 내용 실행부(131) 및 게이지 제어부(132)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임 내용 실행부(131)는 게임 진행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게이지 제어부(132)는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후술하는 게이지(70X, 70Y)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들 게이지(70X, 70Y)의 제어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상 제어부(140)는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한 화상 정보를 제어하고 음성 제어부(150)는 최종적으로 스피커(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게임의 실행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흐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을 ON으로 하고, 게임을 개시하면(단계 S201), 타이틀 로고가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된다(단계 S202). 이 시점에서 플레이어는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을 입력 수단(20)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한다. 소정 시간 내에 입력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타이틀 로고가 반복하여 흐르게 된다.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경우(단계 S203 : Yes)는 게임 결정부(120)가 해당 선택된 게임을 실행하는 준비를 행하고 실행이 요구된 게임 요소를 선택하여 이용 가능하다고 한다(단계 S204).
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40)에는 게임 내용에 관한 화상과, 디스플레이(40)의 모서리를 따라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게이지(70X, 70Y)가 표시된다(단계 S205 도 1 참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의 게이지(70X, 70Y)는 소영역(71, 71, 71…)을 직선형으로 연속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40)가 인접하는 모서리를 따라 2개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소영역(71, 71, 71…)은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40)를 구성하는 하나의 도트가 할당되는 것으로 표시되도록 되고 있다. 물론, 이 이상의 수의 게이지(70X, 70Y)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도 자유롭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40) 상에 게이지(70X, 70Y)까지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게이지(70X, 70Y)만을 표시하기 위해서만 다른 작은 디스플레이(40)를 준비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게임 개시의 조작 정보를 입력 수단(20)에 의해 입력하면, 이미 선택되어 있는 게임이 실행된다(단계 S206). 게임이 개시되면, 디스플레이(40) 상의 2개의 게이지(70X, 70Y) 중 적어도 한쪽에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해당 게이지(70X, 70Y)를 제한 시간이 설정된 게임이 남는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소영역(71, 71, 71…)을 검게 표시한 상태에서 개시하여, 3초마다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소영역(7l, 71, 71…)을 희게 반전시킨다고 하는 표시를 행하면 된다.
또한, 해당 게이지(70X, 70Y)를 타이밍 게이지로 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모든 소영역(71, 71, 71 …)을 희게 표시한 상태에서부터 개시하고, 단부에서부터 순서대로 소영역을 검게 반전시켜가고, 모든 소영역(71, 71, 71)이 검게 된 시점에서 모든 소영역(71, 71, 71…)을 희게 표시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되도록이면 검은 소영역(71, 71, 7l …)이 많은 타이밍으로 플레이어가 입력 수단(20)의 조작을 행한 쪽이나 플레이어에게 유리해진 설정을 행함으로서 플레이어가 게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어느 캐릭터가 다른 캐릭터와 전투하는 것과 같은 게임인 경우에, 이 게이지(70)에서 캐릭터의 잔존 생명력을 표시하는 경우 등에는 소영역(71, 7l, 71) 전부를 검게 표시한 상태에서 개시하여, 단부의 소영역(71)으로부터 순서대로 색을 희게 반전시킴으로써 검은 소영역(7l, 71, 71…)에 대응시킨 캐릭터의 생명력이 감소해가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게이지(70)의 사용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캐릭터의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게임 개시 후에서의 게임 진행에 관한 제어는 게임 내용 실행부(131)에 의해 또한 게임 개시 후에서의 게이지(70X, 70Y)에 대한 제어는 게이지 제어부(132)가 행한다. 또한, 모든 게임에서 모든 게이지(70X, 70Y)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 사용하지 않는 게이지(70X, 70Y)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게이지(70X, 70Y)에 대해서는 일단 표시만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게임이 종료하면 득점을 표시하고 게임 종료가 된다(단계 S207).
이상의 설명에서부터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형 게임기에 따르면 종래의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플레이어가 싫증내지 않을 유흥성이 높은 게임을 복수 종류의 게임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하드웨어에 포함되는 기억 수단에 과대한 부담을 주지 않고 다른 휴대형 게임기와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게임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진행 방법에 따르면 복수 종류의 게임을 각각의 게임의 유흥성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6)

  1.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게임 처리를 실행하는 게임 처리 수단, 상기 게임 처리 수단에 의한 실행 결과를 플레이어에게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 게임 처리 수단 및 디스플레이를 휴대 가능한 케이싱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게임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소영역이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게이지가 복수 표시되는 것이며,
    상기 게임 처리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게임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함과 함께, 어느 게임을 선택한 경우에도 게임 진행에 관한 정보를 상기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가 소영역을 직선형으로 연속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대략 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게이지가 당해 디스플레이의 모서리를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
  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소영역이 해당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하나의 도트를 할당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
  6.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게임 처리를 실행하는 게임 처리 수단, 상기 게임 처리 수단에 의한 실행 결과를 플레이어에게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 게임 처리 수단 및 디스플레이를 휴대 가능한 케이싱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게임기에 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게임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다수의 소영역이 소정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게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표시함과 함께, 게임 진행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게이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게임기에서의 게임 진행 방법.
KR1020000031568A 1999-06-10 2000-06-09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 KR20010049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64524 1999-06-10
JP11164524A JP2000350864A (ja) 1999-06-10 1999-06-10 携帯型ゲーム機及びゲーム進行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510A true KR20010049510A (ko) 2001-06-15

Family

ID=1579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568A KR20010049510A (ko) 1999-06-10 2000-06-09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40611B1 (ko)
EP (1) EP1059104A3 (ko)
JP (1) JP2000350864A (ko)
KR (1) KR20010049510A (ko)
CN (1) CN1156787C (ko)
CA (1) CA2311094A1 (ko)
TW (1) TW544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9089B1 (en) 1999-02-26 2010-07-06 Creative Kingdoms, Llc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US7878905B2 (en)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761637B2 (en) 2000-02-22 2004-07-13 Creative Kingdoms, Llc Method of game play using RFID tracking device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7066781B2 (en) 2000-10-20 2006-06-27 Denise Chapman Weston Children's toy with wireless tag/transponder
US20030117376A1 (en) * 2001-12-21 2003-06-26 Elen Ghulam Hand gesturing input device
US6967566B2 (en) 2002-04-05 2005-11-22 Creative Kingdoms, Llc Live-action interactive adventure game
US20070066396A1 (en) 2002-04-05 2007-03-22 Denise Chapman Weston Retail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duct to a consumer
US20030203750A1 (en) * 2002-04-25 2003-10-30 Sal Falciglia Video bingo-type game system
US7674184B2 (en) 2002-08-01 2010-03-09 Creative Kingdoms, Llc Interactive water attraction and quest game
US6960134B2 (en) * 2002-09-12 2005-11-01 Igt Alternative bonus games associated with slot machine
US9446319B2 (en) 2003-03-25 2016-09-20 Mq Gaming, Llc Interactive gaming toy
US7942745B2 (en) * 2005-08-22 2011-05-17 Nintendo Co., Ltd. Game operating device
JP4805633B2 (ja) * 2005-08-22 2011-11-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用操作装置
US7927216B2 (en) * 2005-09-15 2011-04-19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US8313379B2 (en) 2005-08-22 2012-11-20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JP4262726B2 (ja) 2005-08-24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8308563B2 (en) 2005-08-30 2012-11-13 Nintendo Co., Ltd.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US8157651B2 (en) 2005-09-12 2012-04-17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DE102005048618B4 (de) * 2005-10-11 2008-08-21 Heinz Kurz Gmbh Medizintechnik Gehörknöchelchenprothese mit elastischem Drehgelenk
JP4151982B2 (ja) * 2006-03-10 2008-09-17 任天堂株式会社 動き判別装置および動き判別プログラム
JP4684147B2 (ja) * 2006-03-28 2011-05-18 任天堂株式会社 傾き算出装置、傾き算出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4989105B2 (ja) * 2006-05-09 2012-08-0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20090144943A1 (en) * 2007-12-11 2009-06-11 Manuel Arranz Del Rosal Interchangeable electronic device clip
USD799551S1 (en) 2016-04-11 2017-10-10 Might Audi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613052A4 (en) * 2017-04-20 2021-03-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ABETES THERAPY TRAINING DEVICE
JP6743102B2 (ja) * 2018-09-06 2020-08-19 株式会社アグニ・フレア 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ゲーム制御方法
US20240001231A1 (en) * 2022-06-29 2024-01-04 Superplay Ltd Altering computer game tiles having multiple matchable ends
US11857882B1 (en) * 2022-06-29 2024-01-02 Superplay Ltd Altering computer game tiles having multiple matchable en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8226A (en) 1931-12-22 H. Rogers Claude Boat joint construction
JPS5861774A (ja) * 1981-10-07 1983-04-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ゲ−ム機能を備えた小型電子機器
US5184830A (en) * 1989-01-10 1993-02-09 Nintendo Company Limited Compact hand-held video game system
US5580308A (en) * 1993-07-14 1996-12-0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battle game playing apparatus with facial montage generation
US6213871B1 (en) 1997-02-19 2001-04-10 Kabushiki Kaisha Bandai Nurturing simulation apparatus for virtual creatures
EP0933724B1 (en) * 1997-04-24 2005-09-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mory card device, video gate device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DE29713965U1 (de) 1997-08-05 1997-10-09 Phonloe Technology Corp Elektronische Minispiel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40611B1 (en) 2003-04-01
CA2311094A1 (en) 2000-12-10
EP1059104A3 (en) 2001-08-08
JP2000350864A (ja) 2000-12-19
EP1059104A2 (en) 2000-12-13
CN1156787C (zh) 2004-07-07
CN1277403A (zh) 2000-12-20
TW544329B (en) 200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9510A (ko) 휴대형 게임기 및 게임 진행 방법
US5184830A (en) Compact hand-held video game system
US6315669B1 (en) Portable color display game machin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US5134391A (en) System for preventing the use of an unauthorized external memory
AU620717B2 (en) Tv game machine
FI111789B (fi) Elektroninen pelilaite, jossa on mahdollisuus pseudostereofoniseen äänen kehittämiseen
JP475663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US20040235569A1 (en) LCD game machine and ROM cartridge
EP0960637B1 (en) Hand-held color display game machine and memory medium therefor
US20030011620A1 (en) Game machine, game titl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3442758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U6523799A (en) Portable terminal with advertisement medium
US6325715B1 (en) Method for executing knock-away stacked-block game, game machine us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rovided with the same
US6322450B1 (en) Entertainment system with transferable calculator program
JP3519398B2 (ja) コントローラ、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60738A (ko) 휴대용 게임기 및 게임방법
KR20020004393A (ko) 게임전용 키보드 장치
KR100216294B1 (ko) 디지탈 피아노에서의 한글표시기능을 구비한 제어장치
JPH07110304B2 (ja) ゲーム機のコントローラ
JP2003093738A (ja) クロスワードパズルとその遊戯機および遊戯方法
JP2003230765A (ja) 携帯型ゲーム機用液晶画面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070085762A1 (en) Method and its device for concealing at least a mark in a number
JPH1157214A (ja) 手持ち型電子ゲーム機
JPH02191484A (ja) 手持ち型電子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