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284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284A
KR20010043284A KR1020007012244A KR20007012244A KR20010043284A KR 20010043284 A KR20010043284 A KR 20010043284A KR 1020007012244 A KR1020007012244 A KR 1020007012244A KR 20007012244 A KR20007012244 A KR 20007012244A KR 20010043284 A KR20010043284 A KR 2001004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content data
fixed length
length
u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오후미히코
고노요시히사
하라오카카즈오
타카바야시카즈히코
야마기시야스아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4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URI 변환부(302)는 수신부(301)가 수신한 데이터 중의 URI를 고정 길이로 변환한다. 이 고정 길이의 URI는 수신부(301)가 수신한 데이터와 함께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된다. 한편, URI 입력부(307)로부터 입력되는,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URI가 URI 변환부(305)에 있어서 고정 길이로 변환된다. URI 비교부(306)는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된 고정 길이의 URI와 URI 변환부(305)의 출력을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에 의해 일치가 검출된 때에는, 그 때의 고정 길이의 URI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URI(수신 데이터 중 URI 및 URI 입력부(307)로부터 입력된 URI)가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에 의해 일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해당 부정 길이의 URI가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가 이용자가 원하는 것이라고 식별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Transmitter, receiver, transmitter/receiver system,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콘텐츠 데이터 데이터를 배분하는 배분 시스템으로서 많은 수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현재의 인터넷 상에 있어서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에 의해 기술된 문서 데이터(이하, HTML 문서라 표기한다)의 배분이 행해지고 있다. HTML에서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하여 하이퍼 링크를 기술하여, 복수의 HTML 문서를 연관시킨다.
최근, 방송 분야에 있어서, 수신 단말 장치로서 디지털 텔레비젼 등을 사용하는 인터넷 상에 구축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의해 HTML 문서를 배분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의 규정에 따르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영상, 음성의 스트림에 대해 event_id, service_id, component_tag와 같은 ID 값에 의한 식별자를 할당했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배분되는 데이터(영상/음성 스트림, 데이터 방송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등) 각각에 대해 URI가 부가되게 되며, 방송에 의해 배분되는 HTML 문서 중에서, 하이퍼 링크에 의해 링크를 확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방송되는 데이터에 URI를 부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URI를 격납하는 디스크립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신기에 있어서 HTML 문서 중 URI에 의한 링크가 선택된 때에는, 수신한 MPEG-2 섹션 테이블 등에 있어서의 디스크립터 영역으로부터 해당하는 URI를 검색하여, 그 URI가 격납되어 있는 리소스에 점프(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URI는 텍스트로 기술되기 때문에, URI를 검색하는 처리는 텍스트의 패턴 매칭 처리를 포함하게 되며, ID 값을 비교할 경우 등에 비교하여 수신기 등의 부하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RI 매칭 처리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처리에 있어서, 수신 장치 등에 관련되는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구축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를 배신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국 내의 콘텐츠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URI를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립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5는 EIT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URI 부가에 관련되는 기술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URI 변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URI 비교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송국 내의 콘텐츠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RI를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립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URI 부가에 관련되는 기술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2: URI 부가부 302: URI 변환부
305: URI 변환부 306: URI 비교부
1202: URI 부가부 1204: URI 변환부
1305: URI 변환부 1306: URI 비교부
청구 범위 1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중의 부정(不定)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수단과,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과,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이다.
청구 범위 3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와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중의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수단과,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과,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이다.
청구 범위 4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이다.
청구 범위 5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시스템이다.
청구의 범위 7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로 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이다.
청구 범위 8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단계와,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단계와,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청구 범위 9항의 발명은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계와,
데이터 중의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단계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단계와,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단계와,
제 1 식별자 변환 단계의 결과와, 제 2 식별자 변환 단계의 결과를 비교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단계와,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단계의 결과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이다.
청구 범위 1, 3 및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 중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不定)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가 비교되며, 이러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식별된다.
청구 범위 4항, 5항, 7항 및 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가 부가된 후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가 더욱 부가되어 송신되며, 이러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의 비교가 수신 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며, 이러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식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디지털 방송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정보 제공자(1011·10112, ‥‥)는 서버와,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에 의해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보존 및/또는 송신한다.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WWW의 페이지, 영상 음성 스트림 등이 있다. 정보 제공자(1011, 1012, ‥‥)는 쌍방향 네트워크(105)를 개재시켜 방송국(102)과 접속되어, 방송국(102)에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 정보 제공자(1011, 1012, ‥‥)는 쌍방향 네트워크(105)를 개재시켜 수신 단말 장치(1031·1032, ‥‥)와 접속된다. 정보 제공자(1011, 1012, ‥‥)는 쌍방향 네트워크(105)를 개재시켜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국(102)은 서버와 HDD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에 의해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 상에, 동보 네트워크(1O4)에 송신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보존 및/또는 송신한다.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방송국(102)은 동보 네트워크(104)를 개재시켜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와 접속되며, 콘텐츠 데이터 및 그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하는 정보인 URI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방송국(102)은 정보 제공자(1011, 1012, ‥‥)로부터 쌍방향 네트워크(1O5) 혹은 전용 회선을 개재시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를 동보 네트워크(1O4)를 개재시켜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는 URI에 의해 액세스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한다. URI에 의해 지정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동보 네트워크(104)를 개재시켜 리얼 타임으로 송신(방송)되는 프로그램, 동보 네트워크(104)를 개재시켜 미리 송신되며,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혹은 쌍방향 네트워크(105)를 개재시켜 온 디멘드가 액세스되는 데이터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어느 경로로 액세스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식별 처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은 동보 네트워크(104)를 개재시켜 송신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식별 처리를 전제로 하여 행한다.
방송국(102) 중의 콘텐츠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구성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송신 정보 기억부(201)에는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 송신 정보 기억부(2O1)에는 정보 제공자(1011, 1012, ‥‥)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도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경우가 있다. 송신 정보 기억부(201)로서는, HD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정보 기억부(2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정 타이밍으로 URI 부가부(202)에 공급된다. URI 부가부(202)는 공급되는 데이터 내의 개개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로서의 URI를 부가되어, URI 정보를 인코드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부(203)에 공급된다. 전송부(2O3)는 URI 부가부(20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동보 네트워크(104) 등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수신 단말 장치(1031)의 구성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수신부(301)는 동보 네트워크(104) 등을 개재시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URI 변환부(302)에 공급한다. URI 변환부(302)는 공급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URI 정보를 해시 함수치(Hash Function Value)로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고정 길이의 식별자(해시 함수치라 칭한다)로 변환한다. 고정 길이의 해시 함수치는 수신부(3O1)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함께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또한, 해시 함수는 동일한 출력치가 되는 임의의 2개가 다른 입력을 발견하는 것이 계산량 점에서 실행 불가능한 함수이다. 즉, 부정 길이의 URI를 보다 짧은 고정 길이의 해시 함수치로 변환한다.
한편, 수신 단말 장치(1031)의 이용자는 URI 입력부(307)를 개재시켜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URI를 입력한다. 입력되는 URI가 URI 변환부(305)에 공급되어, URI 변환부(305)에 의해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서의 해시 함수치로 변환된다. URI 변환부(305)의 출력은 URI 비교부(306)에 공급된다. URI 비교부(306)는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된 해시 함수치를 적당히 판독, 판독한 해시 함수치와 URI 변환부(305)로부터 공급되는 해시 함수치를 비교한다.
URI 비교부(306)에 있어서의 고정 길이의 해시 함수치끼리의 비교 처리는 부정 길이의 URI끼리를 비교하는 처리에 비해 간단하여, 단시간에 이룰 수 있다. 단, 해시 함수의 성질로부터, 다른 URI가 동일한 해시 함수치로 변환될 가능성이 약간 있기 때문에, 해시 함수치끼리가 일치한 경우라도, URI 자체가 일치할지의 여부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교 결과로서,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된 해시 함수치와 URI 변환부(305)로부터 공급되는 해시 함수치가 일치한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즉, 서로 일치한다고 판정된 해시 함수치에 각각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URI, 즉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된 변환되기 전의 URI와 URI 변환부(305)를 개재시켜 입력된 URI를 비교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비교 결과로서, 비교 대상이 되는 2개의 부정 길이의 URI가 서로 일치한다고 판정될 경우에, 해당 부정 길이의 URI가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라고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식별된 데이터가 URI 비교부(306)로부터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표시부(307)에 공급된다. 표시부(307)가 공급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근거하는 표시를 행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시청할 수 있다. 수신 단말 장치(1032) 등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기존의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URI를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립터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이 일례에 있어서는, 해당 디스크립터 중에 디스크립터 태그, 디스크립터 길이 및 각각이 8비트로 이루어지는 N개의 캐릭터가 기술되어 있다. 한편, DVB 등의 규정에 따르는 SI(서비스 정보)에 있어서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예를 들면 프로그램 타이틀, 방송 시각 등의 정보의 정보를 기술하기 위해 EIT(Event Informaton Table)를 사용한다. EIT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한다. 여기서, 각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부호(1201)를 붙인 테두리 내에 기술된다. 부호(12O1)를 붙인 테두리 내에는, 각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event_id(1203)가 기술되어 있음과 동시에, 디스크립터 영역(1202)이 들어가 있다. 이러한 기술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디스크립터 내의 기술이 참조되어, URI와 event_id와의 관련이 지어진다.
다음으로, URI 부가부(202)(도 2 참조)에 있어서의 URI 부가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URI 부가에 관련되는 기술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일례에서는, event_id=100으로 특정되는 프로그램, 즉 21:00 개시로 방송 시간이 60분간인 ABC 뉴스에 대해, lid://www.abc.com/abc_news/night라는 URI를 부가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데이터 방송 등에 의해 송신된 HTML 문서 중에 lid://www, abc.com/abc_news/night라는 URI에 의한 링크가 존재하여, 이용자가 그것을 선택했을 때에 이 프로그램에 채널을 맞추는 혹은 시청 예약을 하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URI 변환부(302)(도 3 참조)에 있어서의 URI 변환 처리에 대해서, 도 7의 플로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 데이터 중의 URI 디스크립터가 추출되며(단계(S701)), URI 디스크립터 중에서 기술되어 있는 URI 문자열을 입력 문자열(uri)로 하여, 예를 들면 MD5(Message Digest 5) 등의 해시 함수치가 산출된다(단계(S702)). 단계(S702)의 결과로서, 부정 길이의 문자열(uri)이 해시 함수치(즉, 고정 길이의 문자열)(h(uri))로 변환된다. 더욱이, 해시 함수치(h(uri))를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하여, 수신 정보 기억부(303)에 기억한다(단계(S703)).
다음으로, URI 비교부(306)(도 3 참조)에 있어서의 URI 비교 처리에 대해서, 도 8의 플로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 URI 입력부(304)(도 3 참조)를 개재시켜 입력되는 URI 문자열(uri-l)을 입력 문자열로 하여, MD5 등의 해시 함수 값이 계산되며, 해시 함수치(h(uri_l))가 산출된다(단계(S8O1)). 그리고, 해시 함수치(h(uri_l)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산출되며, 기억되어 있는 해시 함수치(h(uri_i)) 사이에서 비교 처리를 행한다(단계(S802)). 단계(S802)에 의해 해시 함수치(h(uri_l))와 해시 함수치(h(uri))가 일치한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단계(S803)로 이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S8O5)로 이행한다.
단계(S80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 길이로의 변환 처리가 실시되기 전의, 부정 길이의 URI 문자열, 즉 uri_l과, uri-i 사이에서 문자열 비교 처리를 행한다. 이 단계(S803)는 해시 함수의 성질에 의해, 서로 다른 입력 URI 문자열에 대한 해시 함수치가 일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uri_l과, uri_i가 일치하는 것을 최종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단계이다. 단계(S8O3)에 의해 uri_l과, uri_i가 일치한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단계(S804)로 이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S805)로 이행한다. S8O4에서는, uri_l과 일치한 uri_i가 URI로서 부가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부(307) 등에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단계(S805)에서는 i값을 변경하여, 단계(S8O2)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있어서는, 부정 길이의 URI 문자열을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고,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비교 처리를 행하며, 일치가 검출될 경우에만 해당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즉 변환 전의) 부정 길이의 URI를 비교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처리 효율, 속도 등에 있어서 제약이 큰, 부정 길이의 URI를 비교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URI 비교 처리를 전체적으로 고효율, 고속도로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관련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URI 문자열을 해시 함수치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신 단말 장치(1031, 1032, ‥‥)에 있어서 행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러한 처리를 송신 측에서 행하도록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송국(11O2)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송신 정보 기억부(12O1), URI 부가부(12O2)로서는, 각각, 도 2 중의 송신 정보 기억부(2O1), URI 부가부(202)를 사용할 수 있다. URI 부가부(202)의 후단에 URI 변환부(1204)가 설치된다. URI 변환부(1204)는 URI 부가부(1202)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된 부정 길이의 URI 문자열을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며, 이로써 생성되는 고정 길이의 문자열을 URI 부가부(2O2)의 출력에 부가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되는 데이터가 전송부(1203)에 공급한다. 전송부(1203)는 공급되는 데이터를 동보 네트워크(104) 등에 전송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단말 장치(11031)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수신부(13O1)는 동보 네트워크(104) 등을 개재시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URI,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생성된 고정 길이의 식별자 등이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신부(1301)가 수신한 데이터가 수신 정보 기억부(13O3)에 공급된다. 수신 정보 기억부(1303), URI 입력부(1307), URI 변환부(1305), URI 비교부(1306) 및 표시부(13O7)로서는, 각각, 도 3 중의 수신 정보 기억부(303), URI 입력부(307), URI 변환부(3O5), URI 비교부(3O6) 및 표시부(307)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RI를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스크립터의 일례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러한 일례에 있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크립터의 일례와 마찬가지로 디스크립터 태그, 디스크립터 길이, N개의 캐릭터가 기술됨과 동시에, 이들에 더불어 URI의 해시 함수치(URI_hash_value)가 기술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EIT의 디스크립터 영역에 대한 URI의 격납에 관련되는 기술의 일례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러한 일례는 event_id=1O0으로 특정되는 프로그램, 즉 21:OO 개시로 방송 시간이 60분간인 ABC 뉴스에 대해, lid://www, abc.com/abc_news/night라는 URI를 부가하는 점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술하는 일례와 동일하다. 단, 이러한 일례에 있어서는, 더욱이, b2allafc568b6df62badef69lcf0bled라는 해시 함수 MD5를 사용할 경우의 해시 함수값이 더욱 부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 장치가 수신한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는, URI 등의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가 비교되며, 이러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식별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한 후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더욱 부가한 뒤에 송신되며, 이러한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해시 함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의 비교가 수신 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며, 이러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식별된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는, 고속이고 또한 고효율로 행할 수 있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 사이에서의 비교가 우선 행해지며, 이러한 비교에 의해 일치가 검출될 경우에만, 부정 길이의 식별자 사이에서의 비교를 행하는 등의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처리에 있어서, 부정 길이의 식별자 사이에서의 비교 등의 처리 속도, 처리 효율 등에 있어서의 제약이 큰 처리를 행하는 빈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신 장치에 관련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리를 전체적으로 고속이고 또한 고효율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부정(不定)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은,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로서,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가 일치한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부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부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로서,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가 일치한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해당 부정 길이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4.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식별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은,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로서,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가 일치한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부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부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로서,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가 일치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해당 부정 길이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송신 데이터 기억 수단과,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식별자 부가 수단과,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갖는 송신 장치와,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수신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식별자 변환 수단과,
    상기 수신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식별자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콘텐츠 데이터 식별 수단을 갖는 수신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8.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콘텐츠 데이터에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부가하는 단계와,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와,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9.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중의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부정 길이의 식별자 및 상기 고정 길이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중의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1 식별자 변환 단계와,
    이용자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요구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부가되어야 할 부정 길이의 식별자를 고정 길이의 식별자로 변환하는 제 2 식별자 변환 단계와,
    상기 제 1 식별자 변환 단계의 결과와, 상기 제 2 식별자 변환 단계의 결과를 비교하는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단계와,
    상기 고정 길이 식별자 비교 단계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 요구에 관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KR1020007012244A 1999-03-03 2000-03-03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방법 KR20010043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85999 1999-03-03
JP99-55859 1999-03-03
PCT/JP2000/001271 WO2000052600A1 (fr) 1999-03-03 2000-03-03 Emetteur, recepteur, systeme d'emetteur/recepteur, procede de transmission et procede de rece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284A true KR20010043284A (ko) 2001-05-25

Family

ID=1301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244A KR20010043284A (ko) 1999-03-03 2000-03-03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83496A1 (ko)
KR (1) KR20010043284A (ko)
CN (1) CN1300399A (ko)
AU (1) AU2827400A (ko)
WO (1) WO20000526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74B1 (ko) * 2001-04-19 2010-04-22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729B2 (en) 2001-12-21 2006-06-27 Digital Fountain, Inc. Multi-stage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 systems
US6307487B1 (en) 1998-09-23 2001-10-23 Digital Fountain, Inc. Information additive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 systems
US9240810B2 (en) 2002-06-11 2016-01-19 Digital Fountain,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decoding chain reaction codes through inactivation
CN100539439C (zh) 2002-10-05 2009-09-09 数字方敦股份有限公司 连锁反应码的系统编码和解码系统和方法
US8909701B2 (en) * 2003-05-02 2014-12-09 Nokia Corporation IMS conferencing policy logic
EP1665539B1 (en) 2003-10-06 2013-04-10 Digital Fountain, Inc. Soft-Decision Decoding of Multi-Stage Chain Reaction Codes
CN101019326B (zh) 2004-05-07 2013-02-27 数字方敦股份有限公司 文件下载和流系统
CN100502402C (zh) 2005-08-19 2009-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ims网络中处理会话消息的方法及装置
US9136983B2 (en) 2006-02-13 2015-09-15 Digital Fountain, Inc. Streaming and buffering using variable FEC overhead and protection periods
US9270414B2 (en) 2006-02-21 2016-02-23 Digital Fountain, Inc. Multiple-field based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s systems
WO2007134196A2 (en) 2006-05-10 2007-11-22 Digital Fountain, Inc. Code generator and decoder using hybrid codes
US9432433B2 (en) 2006-06-09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system using signaling or block creation
US9209934B2 (en) 2006-06-09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cooperative parallel HTTP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US9178535B2 (en) 2006-06-09 2015-11-03 Digital Fountain, Inc. Dynamic stream interleaving and sub-stream based delivery
US9380096B2 (en) 2006-06-09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system for handling low-latency streaming
US9419749B2 (en) 2009-08-19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employing FEC codes with permanent inactivation of symbols for encoding and decoding processes
US9386064B2 (en) 2006-06-09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URL templates and construction rules
EP2203836A4 (en) * 2007-09-12 2014-11-05 Digital Fountain Inc GENERATING AND COMMUNICATING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NABLE RELIABLE COMMUNICATIONS
US9281847B2 (en) 2009-02-27 2016-03-08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reception of 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services
US9288010B2 (en) 2009-08-19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file delivery methods for providing unequal error protection and bundled file delivery services
US9917874B2 (en) 2009-09-22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block partitioning or request controls for improved client-side handling
US9596447B2 (en) 2010-07-21 2017-03-14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frame packing type information for video coding
US9319448B2 (en) 2010-08-10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Trick modes for network streaming of coded multimedia data
US9270299B2 (en) 2011-02-11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Encoding and decoding using elastic codes with flexible source block mapping
US8958375B2 (en) 2011-02-11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Framing for an improved radio link protocol including FEC
US9253233B2 (en) 2011-08-31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witch signaling methods providing improved switching between representations for adaptive HTTP streaming
US9843844B2 (en) 2011-10-05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treaming of media data
US9294226B2 (en) 2012-03-26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Universal object delivery and template-based file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50B2 (ja) * 1986-10-07 1994-02-16 富士通株式会社 デ−タ検索方式
JPH07234879A (ja) * 1994-02-24 1995-09-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ベース検索方法
JP2928725B2 (ja) * 1994-07-05 1999-08-03 株式会社東芝 分散ディレクトリシステムを実現する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H08329093A (ja) * 1995-05-30 1996-12-13 Toshiba Corp 分散ディレクトリシステム及び知識情報変更方法
JP3742500B2 (ja) * 1997-03-10 2006-0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ハイパーテキストの転送システム、提供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H1132079A (ja) * 1997-07-11 1999-02-02 N T T Data:Kk 放送型データ提供システム、放送型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取得装置、及び記録媒体
JPH1141584A (ja) * 1997-07-15 1999-02-12 Sony Corp データ受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74B1 (ko) * 2001-04-19 2010-04-22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0399A (zh) 2001-06-20
EP1083496A1 (en) 2001-03-14
WO2000052600A1 (fr) 2000-09-08
AU2827400A (en)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284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수신 시스템, 송신 방법 및 수신방법
JPH10247945A (ja) ユニフォーム・リソース・ロケータをテレビ信号内の放送アドレスへマッピ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80126373A1 (en) Structured data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reviving program,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US20030084180A1 (en) Metadata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metadata receiving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rein metadata receiving program, metadata sen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EP1244309A1 (en) A method and microprocessor system for forming an output data stream comprising metadata
US747541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arching interactive broadcast data
EP1069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JP2000347969A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KR20090100370A (ko) 대화형 tv 시스템, 메타데이터 필터링 장치, 웹 서비스 라우팅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생성 장치
JP7013552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7013554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7013555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
JP7013553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
JP7013551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
JP7013556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6972280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6999600B2 (ja) 放送信号送信装置
JP2001211431A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7013260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6926007B2 (ja) 放送信号送受信装置
JP2023110197A (ja) 送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143585A (ja) メタデータ受信装置
JP2019129519A (ja) 放送信号送受信方法
JP2004246908A (ja) 構造化データの送信装置
JP2003203034A (ja) メタ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及びメタデータ受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