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298A -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298A
KR20010041298A KR1020007009398A KR20007009398A KR20010041298A KR 20010041298 A KR20010041298 A KR 20010041298A KR 1020007009398 A KR1020007009398 A KR 1020007009398A KR 20007009398 A KR20007009398 A KR 20007009398A KR 20010041298 A KR20010041298 A KR 20010041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mputing entity
notification
event
addres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월라스앤엠
존스피터씨
Original Assignee
케네쓰 올센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44,790 external-priority patent/US6598094B1/en
Application filed by 케네쓰 올센,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네쓰 올센
Publication of KR2001004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asynchronous transmission, e.g. token ring, register inser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5Distributed object orient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9Object oriented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G06F9/548Object oriented; Remote method invocation [R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4Remo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지 요청의 등록으로, 원격 오브젝트의 위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원격 위크(remote weak) 참조가 생성된다. 주기적으로, 원격 위크 참조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위치에 요청이 송신된다.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되면, 이에 따라 등록된 연산 엔터티가 통지된다.

Description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REMOTE OBJECTS IN A DISTRIBUTED SYSTEM}
분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대역 네트워크(WAN) 또는 인터넷과 같이 네트워크로 접속된 컴퓨터 및 관련된 주변 장치와 같은 다수의 머신을 구비한다. 분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어드레스 공간, 잠재적으로 서로 다른 머신상에서 실행하는 연산 엔터티(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애플릿 등)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기본적인 통신 메커니즘의 경우, 분산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원격 프로시져 호출(RPC)이라고 하는 원격 메소드 호출(RMI)을 이용한다. RMI는 서로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상주하는 "오브젝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레벨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에서, "클래스(class)"는 해당 클래스의 특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조작되는 항목(items) 또는 인스턴스(instances)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생성을 위한 "템플릿(template)"을 제공한다. "템플릿"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클래스에 있는 오브젝트(즉, 데이타 항목)가 클래스에 의해 판정된 임의의 특성 또는 속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클래스의 오브젝트 상의 클래스에 연관된 메소드가 호출된다(즉, 동작하게 됨).
RMI는 원격 오브젝트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행위이다. RMI를 사용하여 원격 오브젝트 상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에 응답해서, 하위 레벨의 통신 프로세스는 호출된 메소드가 원격 오브젝트 상에서 실행되게 한다.
JavaTM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언로로 작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JavaTM런타임 시스템은, 특정 JavaTMRMI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지원한다. 이 API는 예를 들어, URL, http://www.javasoft.com/products/jdk/1.1/docs/guide/rmi/spec/rmiTOC.doc.html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참조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Remote Method Invocation Specification"(Sun Microsystems, Inc.(1997))이라는 제목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Java 언어는 James Gosling, Bill Joy 및 Guy Steels에 의한 The "Java Language Specification"(Addison-Wesley, 1996)이라는 제목의 책을 포함한 많은 책에 설명되어 있다. Java 및 Java에 기초한 모든 상표들은 미국 및 다른 국가에 위치한 Sun Microsystems, Inc.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이다.
Java RMI는 전용화된 Java 런타임 시스템의 동질적 환경이라고 가정하고, 따라서 Java RMI는 가능할 때마다 Java 언어에 대한 전용화된 오브젝트 메소드를 이용한다. JavaTM분산 오브젝트 모델에서, 원격 오브젝트는, 그 메소드가 잠재적으로 다른 머신 상에 있는 다른 Java 런타임 시스템으로부터 호출될 수 있 오브젝트이다. 원격 오브젝트는 원격 오브젝트의 메소드를 명시하는 Java 언어로 작성된 하나 이상의 원격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원격 오브젝트 상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엔터티가 그와 같은 메소드의 구현을 명시하지 않고 원격 오브젝트에 의해 지원되는 메소드를 정의하도록 인에이블시킨다.
"가비지 콜렉션(Garbage collection)"은 기술 문서 및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기억 장치 관리, 특히 자동 메모리 회수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의 클래스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참조 카운팅, 마크-스위프(mark-sweep), 및 범용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많은 공지된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이들, 및 다른 가비지 콜렉션 기술은, Richard Johns 및 Raphael Lins(John Wiley&Sons,1996)에 의한 "Garbage Collection, Algorithm For Automatic Dynamic Memory Management"이라는 제목의 책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분산 가비지 콜렉션은 가비지 콜렉션의 개념은 분산 시스템 내의 임의의 컴퓨터 상의 어떠한 어플리케이션도 이들을 참조하지 않을 때 자원을 회수하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영역으로 확장한다. 자동화된 분산 가비지 콜렉션 프로세스는 프로그래머가 언제 원격 오브젝트를 삭제하는 것이 안전한지를 판정하는 어려움을 없앤다. 분산 가비지 콜렉션(DGC)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원격 오브젝트는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모든 클라이언트를 계속 추적하여야만 할 것이고, 모든 클라이언트가 더 이상 오브젝트를 참조하지 않을 때 오브젝트 기억장치가 재회수(reclaimed)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해, Java RMI의 DGC는 Modular-3의 Network Object와 유사한 참조 카운팅(reference-counting)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에 의존한다. Brill. Nelson 및 Owicki,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Research Center Technical Report 115, 1994를 참조한다.
참조 카운팅 가비지 콜렉션을 달성하기 위해, Java 런타임 시스템 상부에의 Java RMI의 구현인 Java RMI 런타임 시스템은, 국부적 버츄얼 머신(VM)을 통해 실행하는 연산 엔터티(즉 클라이언트)에 의해 참조되는 모든 원격 오브젝트를 계속 추적한다. JavaTMVM(JVM)은 바이트코드의 형태인 프로그램으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고, 오브젝트 코드와 같은 실행하기 위한 형태로 이들을 동적으로 변환하여 이들을 실행함으로써 이들 바이트코드를 해석하는 런타임 시스템의 추상 연산 머신이다. JVM은 Tim Lindholm과 Frank Yellin에 의한 "The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Addison_Wesley, 1996)이라는 제목의 책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연산 컴퓨터 엔터티가 원격 오브젝트를 참조하면, 연산 엔터티를 위한 국부적인 RMI는 대응하는 참조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참조는 전형적으로, "스트롱(strong)" 참조라고 하고, 연산 엔터티를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스트롱 참조를 "홀드(hold)"하는 것이라고 한다. 스트롱 참조는, (원격) 오브젝트가 콜렉트(collected)되는 것을 방지하는 참조이다.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참조는 런타임 시스템이 해당 오브젝트(즉, 참조된 오브젝트를 홀드하는 분산 시스템에 있는 다른 머신)에 대한 RMI 런타임으로 "참조된" 메시지를 송신하게 한다. 원격 오브젝트가 국부적인 VM에서 참조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지면, 국부적인 RMI 런타임은 대응하는 참조 카운트를 감소시킨다.
국부적인 VM이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최종 참조를 폐기하면, "참조되지 않은" 메시지가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RMI 런타임에 송신된다. 원격 오브젝트가 임의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참조되지 않으면,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RMI 런타임 시스템은 위크(weak) 참조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원격 오브젝트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그의 "국부적인" 오브젝트를 참조한다. 위크 참조는, 오브젝트에 대한 다른 어떠한 국부적인 "스트롱" 참조도 존재하지 않으면, 원격 오브젝트의 가비지 콜렉터가 오브젝트를 폐기할 수 있게 한다. 정상적인 오브젝트 수명 사이클에서와 같이, 가비지 콜렉터가 더 이상의 어떠한 스트롱 참조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후에, 최종화 프로세스(finalization process)가 호출된다. 최종화 프로세스의 한가지 종류는 오브젝트에 할당된 메모리가 재사용을 위해 메모리 히프(heap)에 반환되게 한다.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국부적 "스트롱" 참조가 존재하는 한, 가비지 콜렉터에 의해 이와 같이 재회수될 수 있으며, 원격 호출로 전달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에 반환될 수 있다. 원격 오브젝트를 전달하면, 참조된 세트에 전달되었던 VM용 식별자를 부가한다. 수신하는 VM으로부터의 "참조된" 호출 결과로서, RMI 런타임은 콜렉션을 방지하기 위해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스트롱" 참조를 계속할 것이다.
"참조되지 않은" 통지, 즉 어떠한 클라이언트도 참조를 홀드하고 있지 않다는 통지를 필요로 하는 원격 오브젝트는, "java.rmi.server.Unreferenced" 인터페이스라고 하는 특수한 인터페이스를 증가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원격 엔터티(즉, 오브젝트의 이전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오브젝트에 대한 모든 참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오브젝트의 "참조되지 않은"이라고 하는 메소드가 호출될 것이다.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 세트가 비게 되면, 참조되지 않은 메소드가 호출된다.
만일 네트워크 파티션이 클라이언트와 원격 오브젝트 사이에 존재하면, 클라이언트가 충돌하는 것으로 트랜스포트가 간주하기 때문에, 원격 오브젝트의 조숙한 콜렉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조숙한 콜렉션의 가능성때문에, 원격 참조는 참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원격 참조는 실제로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참조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참조를 이용하는 연산 엔터티에 의해 처리되어야만 하는 RemoteException 에러를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연산 엔터티가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게 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상태 정보를 얻음으로써, 연산 엔터티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보다 잘 관리할 수 있으며,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되지 않고 원치않는 RemoteExceptions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일체화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주체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춰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를 다루는 데이타 흐름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위크 참조 프로세스의 클라이언트측 함수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 위크 참조 프로세스의 서버측 함수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를 도시하는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실시되고 광범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분산 시스템 내의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지 요청의 등록으로, 원격 오브젝트의 위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원격 위크(remote weak) 참조가 생성된다.
주기적으로, 원격 위크 참조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위치에 요청이 송신된다.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이 발생하였다고 판정되면, 이에 따라 등록된 연산 엔터티가 통지된다.
지금부터, 첨부하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가능하다면, 도면 및 상세한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소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시정하고,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원격(remote)"이라는 용어는, 연산 엔터티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VM과 같은 머신에 지정된 어드레스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와, 연산 엔터티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머신에 지정된 어드레스 공간과는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위치한 오브젝트 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되고, 후자의 상황은 "원격"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결국, 연산 엔터티와 동일한 물리적 머신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는, 연산 엔터티가 오브젝트를 홀드하는 공간과는 다른 어드레스 공간을 사용한다면 "원격" 오브젝트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생존"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한다. "생존(liveness)"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원격 오브젝트가 특정 시간에 액세스가능한지의 여부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원격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파티션이 연산 엔터티가 원격 오브젝트를 액세스하지 못하거나 또는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될 때 액세스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머신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산 엔터티의 머신이 갖는 통신 상의 문제 또는 원격 오브젝트의 머신에 연관된 통신 상의 문제의 결과로, 이와 같은 파티션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산 엔터티가 원격 오브젝트를 참조할 때, 엔터티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스트롱 참조를 유지한다. 연산 엔터티는 또한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RMI 런타임 시스템을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은, RMI 런타임 시스템의 등록-통지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스트롱 참조로부터 유도된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인 "원격 위크 참조"를 생성하게 한다.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이 원격 위크 참조는 원격 오브젝트가 콜렉트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원격 위크 참조의 세트에 기초하여, RMI 런타임 시스템으 대응하는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머신에 상태 요청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 변화(존재한다면), 즉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 기초하여 요청에 대한 한번 이상의 응답이 등록된 연산 엔터티에 제공된다.
분산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은 예를 들어, 다수의 동질적이거나 또는 이질적인 머신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동작한다.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된다. 이 분산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은 (1) 시스템의 사용자가 많은 장치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며, (2) 신뢰성있고 안전한 분산 시스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툴(tools)과 프로그래밍 패턴을 프로그래머에게 제공하며, 그리고 (3) 분산 시스템을 관리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한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은 일관성있는 방식으로 장치에서 장치로 코드 및 데이타 모두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JavaTM프로그래밍 환경을 이용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은 자바 프로그래밍 환경의 상부 상에 계층화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제공된 보안과 그것에 의해 제공된 강력한 타이핑을 포함한 환경의 특성을 이용한다. 자바 프로그래밍 환경은 본 발명의 참조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Jaworski, Java 1.1 Developer's Guide, Sams.net(1997)에 보다 명확히 설명되어 있다.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 및 장치들이 사용자에게 단일 시스템으로 보이는 것에 통합된다. 단일 시스템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의 유연성 및 전용화 응답을 포기하지 않고 단일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액세스의 간편성과 공유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은 그래픽하게 분산되어 있지만, 신탁, 관리 및 폴리시의 기본적인 주석을 충족하는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수많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 내에는 하나의 이상의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다양한 논리적 그룹핑이 존재하고, 각각의 이와 같은 논리적 그룹핑은 Djinn으로 알려져 있다. "서비스"는 사용자, 프로그램, 장치 또는 다른 서비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으며, 연산, 기억 관련, 통신 관련 또는 다른 사용자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될 수 있는 자원, 데이타, 또는 기능을 가리킨다. Djinn의 일부로서 제공된 서비스의 예는 프린터, 디스플레이, 및 디스크와 같은 장치; 및 프로그램 또는 유틸리티와 같은 소프트웨어; 데이타베이스 및 파일과 같은 정보; 및 시스템의 사용자를 포함한다.
사용자 및 장치 모두는 Djinn일 수 있다. Djinn을 결합하면, 사용자 또는 장치는 Djinn에 제로 이상의 서비스를 부가하며, 보안 제한에 따라 포함하고 있는서비스중 임의의 서비스를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및 사용자는 그 서비스에의 액세스를 위해 Djinn에 통합된다. Djinn의 서비스는, 프로그래밍적으로, 다른 오브젝트,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래밍 환경의 오브젝트로서 보인다.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연산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의 종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분산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8)에 의해 상호연결된 컴퓨터(102), 컴퓨터(104), 및 장치(106)를 포함한다. 장치(106)는 프린터, 팩스밀리기, 기억장치, 컴퓨터 또는 다른 장치와 같은 많은 장치중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108)는 LAN, WAN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비록 두개의 컴퓨터와 하나의 장치만이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100)이 부수적인 컴퓨터와 장치 또는 임의의 장치없이 컴퓨터만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100)의 많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상세히 도시하는 컴퓨터(102)를 도시한다. 컴퓨터(102)는 메모리(202), 보조 기억장치(204), 중앙 처리 장치(CPU)(206), 입력 장치(208), 및 비디오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한다. 메모리(202)는 룩업 서비스(212), 디스커버리 서버(214), 및 JavaTM런타임 시스템(216)을 포함한다. 자바 런타임 시스템(216)은 Java VM(220) 및 가비지 콜렉터(GC(224))를 포함한다. 보조 기억장치(2200)는 JavaTMSpace(22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시스템(100)은 Java 프로그래밍 환경에 기초하며, 따라서 Java 런타임 시스템(216)을 이용한다. Java 런타임 시스템(216)은 Java 런타임 시스템의 상부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이 플랫폼에 독립하는 방식으로, 호스트 운영체제의 윈도우잉 능력 및 네트워킹 능력을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 기능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JavaTMAPI(도시않됨)를 포함한다. Java API가 Java 프로그래밍 환경이 포트되어 있는 모든 운영체제에 걸쳐 단일의 공통 API를 제공하기 때문에, Java 런타임 시스템의 상부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은 호스트 플랫폼의 운영 체제 또는 하드웨어 구성에 무관하게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실행한다. Java 런타임 시스템(216)은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위치한 Sun Microsystems,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Java 소프트웨어 개발 킷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Java 버츄얼 머신(220)은 또한 플랫폼 독립을 용이하게 한다. Java 버츄얼 머신(220)은 바이트코드 형태로 프로그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이들 바이트코드를 오브젝트 코드와 같은 실행 형태로 동적으로 변환하여 이를 실행함으로써 해석하는 추상 컴퓨팅 머신과 같이 행동한다. 가비지 콜렉터(GC)(224)는 메모리 자원을 관리하는 가비지 콜렉션 프로세스(garvage collection process)를 구현한다. GC(224)는 일반적으로 오브젝트가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때를 판정하고, 이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관된 메모리 자원을 재회수하는 프로세스를 초기화시킨다.
RMI(218)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장치 상에서 실행하는 오브젝트가 다른 컴퓨터 또는 장치 상의 오브젝트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원격 메소드 호출을 용이하게 한다. RMI 및 Java 버츄얼 머신 모두는 또한 Java 소프트웨어 개발 킷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RMI(218)는 모듈러-3's Network Objects와 유사한 참조-카운팅 가비지 콜렉션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분산 가비지 콜렉터(DGC)(226)를 포함한다.
룩업 서비스(212)는 특정 Djinn에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정의한다. 즉, 하나 이상의 Djinn, 결국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100) 내에 하나 이상의 룩업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다. 룩업 서비스(212)는 Djinn 내에 각각의 서비스를 위한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오브젝트는 대응하는 서비스에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메소드를 포함한다. 룩업 서비스(212)는 본 발명의 참조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Lookup Service"라는 제목의 현재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 09/044,826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디스커버리 서버(214)는 부트와 결합(join) 또는 디스커버리(discovery)라고 하는 프로세스 동안 새로운 장치가 분산 시스템(100)에 부가된 때를 검출하고, 이와 같은 새로운 장치가 검출되면, 디스커버리 서버는, 새로운 장치가 룩업 서비스(212)에 그 서비스를 등록하여 Djinn의 멤버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장치에 룩업 서비스(212)에 참조를 전달한다. 등록후에, 새로운 장치는 Djinn의 멤버가 되며, 결국, 룩업 서비스(212)에 포함된 모든 서비스를 액세스할 수 있다. 부트 및 결합의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참조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ownlodable Code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Device in a Distributed System"이라는 제목의 미국특허출원 제09/044,939호에 설명되어 있다.
JavaSpace(222)는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분산 시스템(100) 내의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오브젝트 저장고이다. 프로그램들은 JavaSpace(222)를 사용하여, 분산 시스템 내의 다른 장치에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오브젝트를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JavaSpace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발명의 참조로서 일체화되어 있는 "Database System Employing Polymorphic Entry and Entry Matching"(1997년 11월 17일 출원)이라는 제목의 현재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08/971,529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분산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룩업 서비스, 디스커버리 서버 및 JavaSpace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할 것이다.
분산 위크 참조(Distributed Weak Reference)를 위한 프레임워크
지금부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분산 시스템 내의 원격 위크 참조(remote weak reference)를 사용하여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등록-통지 플로세스를 실시하는 프레임워크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분산 시스템(100)에 도시된 컴퓨터(102 및 104)에 대응할 수 있는 두개의 컴퓨터(305 및 345)를 도시한다. 각각의 컴퓨터(305 및 345)는 각각 원격 오브젝트에대한 등록-통지 프로세스를 실시하는 분산 WEak 참조 프로세스(Distributed WEak Reference Process : DWERP)(320 및 360)를 포함한다. DWERP(320,360)는 예를 들어 Java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RMI(218)의 일부로서 메모리(202)에 저장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컴퓨터(305)는 프로세스(310)으로 도시된, 원격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연산 엔터티를 포함하기 때문에 클라인터로서 지칭될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컴퓨터(345)는 프로세스(310)에 대한 원격 오브젝트를 구성하고, 본 예에서 오브젝트(35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찾는 오브젝트(350)를 포함하기 때문에 서버로서 지칭될 것이다. (원격 오브젝트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아키텍춰와 부합하는 분산 시스템의 JavaSpace(222)에 위치할 수 있다) 비록 본 설명이 서로 다른 물리적 컴퓨터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클라인트와 서버를 지칭하지만, 또한 단일 컴퓨터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머신은 개별적인 버츄얼 머신, 및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위한 어드레스 공간을 지원하도록 파티션될 수 있다.
프로세스(310)는, 프로세스(310)가 오브젝트(350)에 대한 참조를 수신할 때 오브젝트(35)에 대한 "스트롱(strong)" 참조(330)를 홀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스트롱" 참조는 메소드를 호출하거나 또는 RMI 호출내의 반환값 또는 파라메타로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프로세스(310)가 본 예에서 오브젝트(350)에 대한 "스트롱" 참조를 홀드하지만, 또한 분산 시스템 내의 다른 연산 엔터티가 오브젝트(350)에 대한 "스트롱" 참조를 홀드하고, 또 다른 프로세스(310)가 오브젝트(350)에 연관된 상태에 대한 통지를 찾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프로세스(310)는 오브젝트(350)의 "생존" 변경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DWERP(320)를 갖는 요청을 등록한다.
DWERP(320)는 오브젝트(350)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하고, 이에 따라서 등록된 프로세스(310)를 통지한다. 한 실시예에서, 비록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가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갱신을 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프로세스(310)에게는 원격 오브젝트(350)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가 검출될 때에만 통지된다.
만일 네트워크 파티션이 프로세스(310)가 오브젝트(350)에 액세스하지 못하게 하면, DWERP(320)는 프로세스(310)가 이와 같은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등록하였기 때문에 프로세스(310)에 대한 이벤트 통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파티션은, 클라이언트(305)와 분산 시스템 간의 연결 손실 또는 서버(345)와 분산 시스템 간의 연산 손실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측 상의 파티션의 이벤트에서, DWERP(320)는 간단히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벤트를 프로세스(310)에 통지한다. 서버측 상의 네트워크 파티션 또는 서버(345) 상의 가비지 콜렉션 사이클 동안 그 재회수로 인한 오브젝트(350)의 "생존" 변화의 경우, DWERP(320)는 서버(345)의 DWERP(360)와 통신하여, 오브젝트(350)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얻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DWERP(320)는 컴퓨터(345)의 DWERP(360)에 상태 요청을 또는 "핑(ping)"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WERP(360)는 DWERP(320)으로부터 핑을 수신한다. 본 예에서, 원격 위크 참조(340)는 서버(345) 상의 DWERP(360) 및 오브젝트(350)의 위치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핑 컴퓨터의 프로세스는 등록 프로세스에 대해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서버(345)의 DWERP(360)는 오브젝트(350)를 포함한 상주 또는 국부적인 오브젝트를 모니터한다. 서버(345)에 대한 RMI의 DGC는 RMI 호출에 대한 원격 오브젝트로서 지정된 "국부적인"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 리스트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DWERP(360)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국부적인 오브젝트를 모니터한다.
핑에 의해 식별된 선택된 오브젝트(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서버의 DWERP(360)는 적당한 응답을 반환한다. 본 예에서, DWERP(360)는 오브젝트(350)에 연관된 "생존"에 어떠한 변경도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핑에 대한 응답을 DWERP(360)로부터 반환한다. 오브젝트(350)가 가비지 콜렉트되지 않았고 어떠한 네트워크 파티션도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예에서 DWERP(360)으로부터의 응답은, 오브젝트(350)가 여전히 액세스가능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만일 오브젝트(350)가 오브젝트에 대한 어떠한 원격 또는 국부적인 스트롱 참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비추어 가비지 콜렉트되었다면, DWERP(360)로부터의 응답은 DWERP(320)로부터의 핑에 응답해서 오브젝트(350)에 대한 이와 같은 상태를 가리킬 것이다. 이 경우에, DWERP(320)는 서버(345)의 DWERP(360)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오브젝트(350)의 "생존" 변경을 프로세스(310)에 통지할 것이다. 따라서, 만일 응답이 원격 오브젝트(350)의 "생존"에 어떠한 변경도 없다고 가리키면, 프로세스(310)는 어떠한 이벤트 통지도 수신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벤트 통지는 오브젝트(350)의 "생존"을 바꾸는 이벤트의 발생 및 삭제시에만 제공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산 Weak 참조 프로세스는 두개의 구성요소 기능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트랜잭션의 클라이언트측 상에 수행되고, 두번째는 트랜잭션의 서버측 상에서 수행된다. DWERP의 클라이언트측 기능은 도 4에 도시한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고, 서버측 기능은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클라이언트측 기능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측 기능은 두가지 특징: 등록과 통지를 포함한다. 등록에 포함된 단계들은 도 4A에 도시된다. 먼저, 클라이언트측 DWERP는 연산 엔터티로부터, 엔터티가 선택된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기를 원한다는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410). 이 요청은 선택된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스트롱 참조, 또는 스트롱 참조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포인터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측 DWERP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원격 위크 참조를 생성함으로써 이 요청을 등록한다(단계 412).
클라이언트측 DWERP의 통지 특징이 도 4B에 도시된다. 주기적으로 그리고 등록 특징과 반드시 동기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측 DWERP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일단의 원격 위크 참조를 액세스하여 연산 엔터티, 즉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통지 요청을 갖는 임의의 원격 오브젝트의 통지를 식별하고(단계 420), 생존 갱신이 요청된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갖는 각각의 식별된 서버에 핑을 전송한다(단계 430).
다음에 클라이언트측 DWERP는 등록된 원격 위크 참조를 갖는 각각의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의 변화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445), 이와 같은 변경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하는 등록된 연산 엔터티를 통지한다(단계 450). 만일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 어떠한 변경도 없으면(단계 445), 클라이언트측 DWERP는 다른 핑 사이클을 위한 시간이 될 때까지 그대로 남아 있는 대기 상태로 반환한다(단계 460). 한 사이클에서, 클라이언트측 DWERP는 등록된 원격 위크 참조를 갖는 모든 원격 오브젝트를 위한 서버에 핑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사이클을 사용하여 단지 하나 또는 제한된 수의 서버에만 핑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가 검출되면, 이때 대응하는 등록된 연산 엔터티에게는 이벤트의 통지가 제공된다(단계 450). 예를 들어, 만일 클라이언트가 핑을 수신하거나 또는 핑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게 하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발생하였다면, 클라이언트측 DWERP는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는 등록 요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산 엔터티에 이벤트 통지를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DWERP는 DWERP가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서버에 통신 상의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핑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되었다는 것에 대한 표시로서 서버의 DWERP가 응답할 때 연산 엔터티를 통지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측 기능은 연산 엔터티에 의해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상태를 위한 등록, 및 선택된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에 대한 정보의 수신시 등록된 연산 엔터티의 통지를 다룬다.
서버측 기능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DWERP의 서버측 기능은 클라이언트 머신으로부터 각각의 핑을 수신하고(단계 510), 서버에 대한 식별된 국부적인 오브젝트의 "생존"에서의 변경이 발생하였는지, 즉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되었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520), 오브젝트의 "생존"에서의 어떠한 변경을 포함하는 응답을 클라이언트 머신에 전송하는 것(단계 530)을 포함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DWERP의 클라이언트 및 서버 기능을 각각 설명하였지만,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DWERP의 두가지 기능이 본 발명의 개념의 장점을 완전히 취하기 위해 분산 시스템 내의 각각의 머신 사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결 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 변경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한다. 요약해서, 연산 엔터티는 선택된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에서의 변경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는 요청을 등록한다.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상태 요청이 원격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서버에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원격 오브젝트는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원격 위크 참조를 사용하여 찾는다. 다음에 원격 오브젝트의 생존을 변경시키는 이벤트의 발생에 기초하여, 상태 요청에 대한 응답이 등록된 연산 엔터티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연산 엔터티는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 변경에 대한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시되었다.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변형 및 수정이 상기 가르침에 비추어 가능하며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실시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하드웨어만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 지향 및 비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시스템 모두로 실시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이 예시적인 분산 시스템 및 Java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이 다른 시스템 및 다른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부수적으로, 비록 본 발명의 특징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이와 같은 특징은 또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과 같이 보조 기억 장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인터넷으로부터의 반송파; 또는 다른 형태의 RAM 또는 ROM 상에 기억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선, 선 마이크로세스템즈, 인크. 선 로고, 자바 및 자바에 기초한 상표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있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인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이다.

Claims (46)

  1. 다수의 플랫폼(platforms)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에 상주하는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오브젝트에 상주하는 플랫폼중의 하나에 대해 원격인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에 위치된 연산 엔터티(computational entity)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통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플랫폼중의 하나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플랫폼,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플랫폼을 구별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의 위치를가리키는 대응하는 참조를 가지며,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찾은 플랫폼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로부터 상태 표시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 엔터티에 상기 오브젝트의 생존에 대한 통지를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엔터티는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를 유지하고,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연산 엔터티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원격 위크 참조(remote weak reference)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위크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찾은 플랫폼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다수의 어드레스 공간으로 구성된 분산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에서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산 엔터티가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결합하여 동작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어드레스 공간중의 하나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연산 엔터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에 대해 원격인 어드레스 공간에 연관된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의 통지를 위한 상기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어드레스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어드레스 공간을 구별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그 어드레스 공간을 가리키는 대응하는 참조를 가지며,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연산 엔터티에 생존 통지를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다수의 플랫폼(platforms)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갖는 원격 플랫폼으로부터 상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플랫에 통지를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분산 시스템에서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오브젝트의 위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는 단계.
    원격 오브젝트가 콜렉트(collected)되었을 때 통지를 수신하는 요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원격 오브젝트의 위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태 요청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오브젝트가 콜렉션(collection)을 위해 요청되었는지 또는 상기 상태 요청중의 하나의 수신에 응답해서 콜렉트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오브젝트가 콜렉션(collection)을 위해 큐(queued)되거나 또는 상기 등록된 요청에 응답해서 콜렉트될 때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다수의 어드레스 공간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 변경을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어드레스 공간에 상주하는 원격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어드레스 공간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어드레스 공간 상의 상기 원격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garbage collected)되었을 때 통지를 수신하는 요청을, 상기 제2 어드레스 공간에 상주하는 프로세스로부터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어드레스 공간에 상태 요청을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상기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요청중의 하나의 상기 제1 어드레스 공간에 의한 수신에 응답해서상기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요청에 응답해서 상기 원격 오브젝트가 가비지 콜렉트되었다는 통지를 상기 프로세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다수의 플랫폼으로 구성된 분산 환경에서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플랫폼 - 상기 제1 플랫폼은 오브젝트를 갖는 메모리를 구비함-; 및
    상기 제1 플랫폼에 대해 원격인 제2 플랫폼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랫폼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갖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은 상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요청을 연산 엔터티로부터 등록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공급하도록 더 구성된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상기 플랫폼 및 상기 메모리를 구별시키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더 구성된 시스템.
  22. 다수의 어드레스 공간으로 구성된 분산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에서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판정하기 위한 장치 - 연산 엔터티는 상기 어드레스 공간중의 하나와 결합하여 동작하고,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에 원격인 어드레스 공간에 연관된 오브젝트에 참조가 제공됨-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의 통지를 위한 요청을, 상기 연산 엔터티로부터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 구성요소;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장치.
  2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구비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통지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구별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그 어드레스 공간을 가리키는 대응하는 참조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찾도록 구성된 구성요소;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 상기 연산 엔터티에 생존 통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된 통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29. 다수의 플랫폼(platforms)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갖는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갖는 원격 플랫폼으로부터 상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통지를 반환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시스템.
  30. 다수의 플랫폼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원격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중의 하나에 상주하는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에 대해 원격인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에 위치한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통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플랫폼중의 하나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플랫폼,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플랫폼을 구별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가리키는 대응하는 참조를 가지며,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찾은 플랫폼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로부터 상태 표시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 엔터티에 상기 오브젝트의 생존에 대한 통지를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엔터티는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를 유지하고,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연산 엔터티로부터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원격 위크 참조(remote weak reference)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상기 원격 위크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주하는 상기 플랫폼중의 하나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찾은 플랫폼에 상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다수의 어드레스 공간으로 구성된 분산 오브젝트 지향 시스템에서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판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연산 엔터티가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결합하여 동작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어드레스 공간중의 하나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연산 엔터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에 대해 원격인 어드레스 공간에 연관된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 변경의 통지를 위한 상기 연산 엔터티로부터의 요청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연산 엔터티에 통지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파티션이 상기 연산 엔터티에 연관된 어드레스 공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구별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분산 시스템 내의 그 어드레스 공간을 가리키는 대응하는 참조를 가지며,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참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찾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어드레스 공간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기 상태가 변경되었다고 판정될 때에만, 상기 연산 엔터티에 생존 통지를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5. 다수의 플랫폼(platforms)으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에 연관된 상태 변경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를 갖는 원격 플랫폼으로부터 상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상태를 변경시키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 플랫에 통지를 반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
  4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연산 엔터티에 의해 액세스하기 위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연산 엔터니에 대해 원격인 위치에 상주하는 오브젝트 -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참조의 세드가 빌 때 재회수(reclaimable) 가능하게 됨 -,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기 참조 세트중 임의의 참조와는 구별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원격 위크(weak) 참조를 구비하되,
    상기 원격 위크 참조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상기 참조 세트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오브젝트가 재회수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고, 상기 오브젝트에 연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얻도록 상기 연산 엔터티를 인에이블시키는 메모리.
KR1020007009398A 1998-02-26 1999-02-24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41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04898P 1998-02-26 1998-02-26
US60/076,048 1998-02-26
US09/044,790 US6598094B1 (en) 1998-03-20 1998-03-2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remote objects in a distributed system
US09/044,790 1998-03-20
PCT/US1999/003944 WO1999044132A1 (en) 1998-02-26 1999-02-24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remote objects in a distribute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298A true KR20010041298A (ko) 2001-05-15

Family

ID=2672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398A KR20010041298A (ko) 1998-02-26 1999-02-24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오브젝트의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64599B1 (ko)
JP (1) JP2002505472A (ko)
KR (1) KR20010041298A (ko)
CN (1) CN1298507A (ko)
AU (1) AU3309199A (ko)
DE (1) DE69903801D1 (ko)
WO (1) WO1999044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3853A (en) * 2001-01-26 2003-07-09 Xmg Ltd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devices over an asynchronous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EP1360796B1 (en) * 2001-01-26 2009-12-23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t of network appliances which can be connected to provide enhanced collaboration, scalability, and reliability
US7219154B2 (en) * 2002-12-31 2007-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ed sign-off in a heterogeneous federated environment
GB2459433B (en) 2008-03-07 2012-06-0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istributed network connection policy management
GB2458157B (en) 2008-03-07 2012-04-2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Virtual machine liveness che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486A (en) * 1989-01-06 1992-04-28 Motorola, Inc. Distributed computer system with network and resource status monitoring
US5390328A (en) * 1992-03-30 1995-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 a central processor of state changes for shared data structure on external storage
US5922054A (en) * 1994-08-19 1999-07-13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managing external applications and files
US5765174A (en) * 1995-10-06 1998-06-09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md method for distributed object resource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8507A (zh) 2001-06-06
AU3309199A (en) 1999-09-15
DE69903801D1 (de) 2002-12-12
JP2002505472A (ja) 2002-02-19
EP1064599B1 (en) 2002-11-06
WO1999044132A1 (en) 1999-09-02
EP1064599A1 (en)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0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remote objects in a distributed system
US8713089B2 (en) Dynamic lookup service in a distributed system
US64669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verifying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US6604127B2 (en) Dynamic lookup service in distributed system
US6463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ehavior in an event-based distributed system
US9183066B2 (en) Downloadable smart proxies for performing processing associated with a remote procedure call in a distributed system
US76608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quality of service for a distributed system
EP0501610B1 (en) Object oriented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Balter et al.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of Guide, an object-oriented distributed system
US8103760B2 (en) Dynamic provisioning of service components in a distributed system
US66291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stic hashes to identify remote methods
EP0783150A2 (en) System and method for space efficient object locking
US7840967B1 (en) Sharing data among isolated applications
JPH11327919A (ja) オブジェクト指向割込みシステム用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010041294A (ko) 분산 시스템에서 동적 룩업 서비스
US70892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verifying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JPH1049384A (ja) マルチスレッド環境内でオブジェクトを処分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10645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us of remote objects in a distributed system
JP2002505474A (ja) ルックアップ・サービスに対するアクセス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30051030A1 (en) Distributed metric discovery and collection in a distributed system
EP1058880A1 (en) Downloadable smart proxies for performing processing associated with a remote procedure call in a distributed system
Cahill et al. Supporting the Amadeus platform on UNIX
WO2000077619A2 (en) Dynamic lookup service in a distribut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