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585A -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585A
KR20010038585A KR1019990046624A KR19990046624A KR20010038585A KR 20010038585 A KR20010038585 A KR 20010038585A KR 1019990046624 A KR1019990046624 A KR 1019990046624A KR 19990046624 A KR19990046624 A KR 19990046624A KR 20010038585 A KR20010038585 A KR 2001003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connection structure
shared connection
dat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585A/ko
Publication of KR2001003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5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04L49/107ATM switching elements using shared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1Priority, marking, c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연결 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유연결구조에 연결되고,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공유연결구조에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에 있어서, 전송순위가 고정된 입력버퍼; 전송하고자 하는 셀 데이터를 입력버퍼에 저장하고,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고 허가받아서 저장된 셀 데이터를 전송하되,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입력버퍼의 고정된 우선순위를 소정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변되는 우선순위 그룹으로 변경하여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우선순위향상 입력링크; 및 입력링크로부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 요구가 있으면 입력링크의 전송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조사된 우선순위에 따라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하는 중재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링크의 큐상태, 버스 서비스 주기와 같은 트래픽 디스크립터가 시스템에서 주어지면 각 지역링크에서 우선순위를 자체적으로 가변할 수 있으며, 입력링크의 상황에 따라 다른 스위치 소자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요구하여 유입된 셀을 공유연결구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연결 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ATM switch and method therefor based on shared medium}
본 발명은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입력 링크의 트래픽 디스크립터(Traffic Descriptor)를 지원하고 동적 우선순위 요구를 만족하는 ATM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유연결 구조(버스)에 결합된 스위치는 입력 링크로 유입된 셀을 전송하기위해 버스 사용을 요구(request) 한다. 스위치는 버스 사용권 요구시에 입력 링크의 서비스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받게된다. 중재자(Arbiter)는 수신받은 버스 사용권 요구에 따라 고유의 중재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버스 사용권을 스위치에 허가한다.
도 1은 상술한 공유연결 구조의 스위치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른 스위치 시스템은 각 스위치 소자(미도시)에 구비된 입력 큐(queue)(100 내지 103), 버스(110), 중재자(120) 및 각 스위치 소자(미도시)에 구비된 출력 큐(130 내지 132)를 구비한다.
각 스위치 소자(미도시)는 스위치 시스템의 입력링크 및 출력링크 역할을 한다. 각 스위치 소자(미도시)에서 요구하는 버스 사용권은 중재자(120)에 의해 허가된다.
버스에 결합된 스위치 소자(미도시)는 입력 큐(100 내지 103)로 유입된 셀을 전송하기위해 버스(110)의 사용권을 요구한다. 중재자(120)는 버스(110) 사용 요구가 발생하면 고유의 중재 알고리즘, 예를 들어 요구 우선순위에 따른 라운드 로빈 방식(Round-Robin per request priority)과 같은 알고리즘 연산을 수행한다.
연산 후 중재자(120)는 버스 사용권을 스위치 소자(미도시)에게 허가(grant)한다.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은 스위치 소자(미도시)는 자신의 입력 큐(100 내지 103)에 저장된 셀을 버스(110)로 전송한다. 각 스위치 소자(미도시)의 출력링크 단은 버스(110)에 실린 셀을 검색하여 자신의 출력 큐(130 내지 132)에 선택 수신한다.
스위치 소자(미도시)는 버스 사용권 요구시에 입력링크의 서비스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받는다. 예를 들어, 중재 알고리즘이 라운드 로빈 방식인 경우, 중재자는 입력 큐의 엠티(empty)상태만을 검사하여 버스 사용권을 순환적으로 허가한다. 그러나, 라운드 로빈 방식은 버스 사용권을 모든 입력링크에 균등하게 허가하므로 입력링크간 서로 다른 트래픽 특성이 허가된 경우에는 적합하지않다.
다른 예로서, 중재 알고리즘이 요구 우선순서에 따른 라운드 로빈 방식인 경우, 중재자는 입출력 링크마다 우선순위를 부과하여 우선순위 그룹별로 라운드 로빈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우선순위 허가는 셀 입력속도가 빠른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셀 입력속도가 느린 경우 낮은 우선순위를 허가한다. 이 때,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입력링크 그룹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입력링크 그룹의 버스 사용권을 지배하므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입력링크의 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낮은 우선순위의 입력링크는 높은 우선순위 입력링크 그룹의 셀 전송이 모두 끝나고 엠티인 상황에서만 버스 사용권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높은 우선순위 입력링크 그룹이 버스 사용권을 계속 점유한다면 낮은 우선순위의 입력링크는 자신의 큐의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대기중인 셀을 전송할 수 없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참조번호 101의 큐가 102의 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102의 큐가 풀(full)이어도 101의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 후에 102의 큐에 저장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즉, 우선순위 부여는 스위치 시스템 수준에서 처리되므로 입력링크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정적인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각각 지역 입력링크의 동적 상황이 반영되지않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링크의 서비스 중요도별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동적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ATM 스위치 및 스위칭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공유연결 구조의 스위치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연결 구조를 기반으로하는 ATM 스위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LPE부 동작에 의한 우선순위 향상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LPE부 동작에 의한 우선순위 향상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공유연결구조에 연결되고,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에 있어서, 전송순위가 고정된 입력버퍼; 전송하고자 하는 셀 데이터를 상기 입력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고 허가받아서 저장된 셀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상기 입력버퍼의 고정된 우선순위를 소정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변되는 우선순위 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우선순위향상 입력링크; 및 상기 입력링크로부터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 요구가 있으면 상기 입력링크의 전송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조사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하는 중재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위한, 본 발명은 공유연결구조에 연결되고,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전송 우선순위를 우선순위가 고정된 우선순위 고정그룹과 소정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우선순위 가변그룹으로 나누는 제1단계; 전송하고자하는 셀 데이터를 전송 우선순위가 고정된 입력 버퍼에 저장하는 제2단계; 저장된 셀 데이터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전송하도록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제3단계;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상기 입력 버퍼의 우선순위를 상기 우선순위 가변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으면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저장된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연결 구조를 기반으로하는 ATM 스위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른 ATM 스위치는 입력링크(200), 중재자(210), 프레임 생성 및 동기화부(220), 버스(230) 및 출력링크(240)를 포함한다.
입력링크(200)는 셀입력큐(201, Cell router Inlet Queue, 이하 CIQ라 함), CIQ리더(202, CIQ reader), 지역우선순위향상(Local Priority Elevation, 이하 LPE라 함)부(203), 프레임 라이터(204, frame writer) 및 데이터 버퍼(205)를 구비한다.
출력링크(240)는 프레임 리더(241, frame reader), 셀 헤더 디코더(242, cell header decoder), 셀출력큐(243, Cell router Outlet Queue, 이하 COQ라 함) 및 COQ라이터(244, COQ writer)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링크(200)는 CIQ(201)에 저장된 입력 셀 데이터의 상태정보와 같은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에 따라 LPE를 수행하여 동적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하고, 변경된 우선순위에 따라 중재자(210)로부터 버스 사용권을 허가(grant)받아서 버스(230)에 우선순위와 데이터를 전송한다. CIQ 리더(202)는 CIQ(201)로부터 셀 데이터의 정보를 읽어서 CIQ(201)의 상태정보는 LPE부(203)로 전송하고, 데이터는 데이터 버퍼(205)로 전달한다. LPE부(203)는 CIQ 리더(202)로부터 출력되는 CIQ(201)의 상태정보와 중앙처리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버스사용주기와 같은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들에 따라 CIQ(201)의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여기서 CIQ(201)의 상태정보는 CIQ(201)에 설정된 우선순위, CIQ(201)의 풀 또는 엠티와 같은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버퍼(205)는 CIQ 리더(202)로부터 데이터를 미리 페치(fetch)한다. 프레임 라이터(204)는 중재자(210)로부터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아서 LPE부(203)에서 출력되는 우선순위와 데이터 버퍼(20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버스(230)에 전송한다.
중재자(210)는 프레임 라이터(204) 또는 프레임 리더(241)가 버스 사용권의 허가를 요청하면, 내장된 중재 알고리즘에 따라 버스 사용권의 허가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스위치 소자의 입력링크(200)에서 초기에 결정한 우선순위와 입력링크(200)의 상태, 예를 들어, 셀입력큐(201)에 저장된 셀 데이터의 개수 또는 입력링크(200)의 버스사용주기를 비교계산하는 버스 서비스 정책(Bus Service Policy)을 사용하여 버스 사용권을 허가한다.
프레임 생성 및 동기화부(220)는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 펄스를 생성하여 CIQ 리더(202), COQ 라이터(243), 프레임 리더(204) 및 프레임 라이터(241)를 동기화한다.
출력링크(240)는 중재자(210)의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아서 버스(230)로부터 셀 데이터를 수신하고, 헤더정보를 해석하여 셀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결정한 후 데이터를 COQ(244)에 저장한다. 프레임 리더(241)는 중재자(210)에게 버스 사용권을 요청하고, 허가를 받아서 버스(230)로부터 셀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부분과 헤더를 분리한다. 셀 헤더 디코더(242)는 셀 데이터의 헤더를 해석하여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결정한다. 셀 헤더 디코더(242)가 데이터 수신을 결정하면, COQ 라이터(243)는 COQ(244)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도 2의 LPE부 동작에 의한 우선순위 향상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에 따른 CIQ의 우선순위는 크게 우선순위가 고정된 노말 그룹(normal group, 300),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페셜 그룹(310) 및 수퍼 그룹(320)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그룹으로 분할하였으나, 시스템에 따라 n개의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노말 그룹(300), 스페셜 그룹(310) 및 수퍼 그룹(320)은 각각 다음 표와 같이 세분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노말 그룹과 스페셜 그룹을 각각 세 개의 서브그룹으로 나누었지만, 각 그룹을 더 많은 서브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요구비트 의미 우선순위 우선순위 향상
111 요구없음 - 없음
110 로우(low)그룹 6 고정
101 미드(mid)그룹 5 고정
100 하이(high)그룹 4 고정
11 수퍼그룹 0 큐 레벨 고려
10 스페셜 로우 3 지역
1 스페셜 미드 2 지역
0 스페셜 하이 1 지역
표에 따르면, 요구비트는 3비트이며 각 비트 상태에 따라 노말 그룹은 로우, 미드, 하이 그룹으로 세분되고, 스페셜 그룹은 스페셜 로우, 스페셜 미드, 스페셜 하이로 세분된다. 우선순위는 수퍼그룹이 가장 높다. 우선순위 향상에 있어서, 버스 사용권의 요구가 없다면 우선순위 향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버스 사용권 요구시 중재자로 전달되는 정적 우선순위는 스위치 시스템의 초기화시 각 입력링크의 트래픽 용량을 예상하여 결정된다. 노말 그룹의 정적 우선순위는 초기 결정된 상태이고, 스페셜 그룹의 우선순위 향상은 지역적으로 결정된다. 수퍼그룹의 우선순위 향상은 큐의 레벨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초기 설정시, 각 입력링크에서 셀 헤더에 포함된 셀 라우터(cell router)의 우선순위는 노말 그룹의 로우/미드/하이 그룹으로 구분된다. 노말 그룹에서 스페셜 그룹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셀 라우터 설정시에 적용된 로우/미드/하이 그룹은 스페셜 로우/미드/하이 그룹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동적 우선순위 향상은 셀 라우터의 제어비트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노말 그룹에서 스페셜 그룹 또는 수퍼 그룹으로 우선순위 변경시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각 입력링크 초기에 결정된 우선순위 그룹, 셀입력 큐에 저장된 셀의 개수 및 셀 라우터의 버스 사용주기 등이 있으며, 이들 변수들은 서로 논리 연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태도에 따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선순위 향상을 디스에이블(Enable_Priority_Elevation=0)하면, 노말그룹(300)은 우선순위가 변경되지않는다.
우선순위 향상을 위한 변수로서 셀입력 큐에 저장된 셀의 개수를 상태변수로 이용하는 경우, 시스템 초기화 과정에서 셀입력 큐의 풀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도록 입력링크마다 고유의 CIQ_Almost_Full을 설정한다. 셀입력 큐에 저장된 셀의 개수가 CIQ_Almost_Full에서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CIQ_Almost_Full=1) 노말 그룹(300)을 스페셜 그룹(310)이나 수퍼그룹(320)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셜 그룹(310) 또는 수퍼 그룹(320)으로의 변경은 셀 라우터 설정 시에 선택가능하다.
상태변수를 입력링크의 버스 사용주기로 선택할 경우, 시스템 초기화 과정에서 최소 버스 서비스 주기인 BUS_Min_Period를 설정한다. BUS_Min_Period는 CIQ에 최소 1개 이상의 셀이 저장되어있는 상황에서 카운팅되며, 버스 사용권을 획득한 후 초기화된다. 셀 전송 후, CIQ에 셀이 1개 이상 존재하면 다시 카운팅을 시작한다. 카운팅된 값이 BUS_Min_Period를 초과하면(BUS_Low_Usage=1), 셀 라우터는 우선순위를 노말 그룹(300)에서 스페셜 그룹(310)이나 수퍼 그룹(320)으로 변경한다. 스페셜 그룹(310) 또는 수퍼 그룹(320)의 선택은 셀 라우터 설정 시에 선택가능하다.
스페셜 그룹(310)에서는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 못하는동안(No_Grant) 카운팅을 시작하여(BU_Cnt++) 일정 버스 사용주기동안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 못한 경우(No_Grant)에는 수퍼그룹(320)으로 우선순위가 변경된다. 이 때,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은 다음에는(Grant) 처음 설정되었던 노말 그룹(300)으로 되돌아간다.
수퍼 그룹(320)에서는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 못한 경우(No_Grant) 수퍼 그룹(320) 상태에 계속 있다가 허가받은 다음에는(Grant) 처음 설정되었던 노말 그룹(300)으로 되돌아간다.
도 4는 LPE부 동작에 의한 우선순위 향상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에 따른 우선순위는 버스 사용권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 노말그룹(N Grp.), 스페셜 프레임 그룹(Sp_FR Grp.), 스페셜 큐 그룹(Sp_Q Grp.), 수퍼 프레임 그룹(Su_FR Grp.) 및 수퍼 큐 그룹(Su_Q Grp.)을 구비한다.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중앙처리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받는 명령어들에 의해 우선순위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 명령어들은 소정 레지스터들(미도시)에 저장된다. 각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N2SP_FIFO_EN은 도 2에서 CIQ(201)가 Almost_Full인 경우 노말 그룹(N Grp.)을 스페셜 큐 그룹(Sp_Q Grp.)으로 변경한다.
N2SU_FIFO_EN은 CIQ(201)가 Almost_Full인 경우 노말 그룹(N Grp.)을 수퍼 큐 그룹(Su_Q Grp.)으로 변경한다.
SP2SU_FIFO_EN은 CIQ(201)가 Almost_Full 인 경우 스페셜 그룹(Sp_Q Grp.)을 수퍼 그룹(Su_Q Grp.)으로 변경한다.
N2SU_FR_EN은 버스 사용주기를 점검하여 소정 시간동안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못한 경우 노말 그룹(N Grp.)을 수퍼 프레임 그룹(Su_FR Grp.)으로 변경한다.
N2SP_FR_EN은 버스 사용주기를 점검하여 소정 시간동안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못한 경우 노말 그룹(N Grp.)을 스페셜 그룹(Sp_FR Grp.)으로 변경한다.
SP2SU_FR_EN은 버스 사용주기를 점검하여 소정 시간동안 버스 사용권을 허가받지못한 경우 스페셜 그룹(Sp_FR Grp.)을 수퍼 그룹(Su_FR Grp.)으로 변경한다.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각 상태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면 우선순위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각 조건들은 소정 플래그들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플래그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Pre 플래그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버퍼(205)에 데이터가 페치되어 있으면 1로 설정되고 페치되어 있지않으면 클리어된다. Clav 플래그는 CIQ(201)에 셀이 있으면 1로 설정되고 없으면 클리어된다. Grant 플래그는 버스 사용권의 허가를 나타낸다. NoGrant 플래그는 버스 사용권를 허가받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Level 플래그는 CIQ(201)의 레벨이 Almost_Full 상태면 1로 설정되고 엠티면 클리어된다.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에서 Clav=1이면 노말 그룹(N Grp.)로 변경된다.
노말 그룹(N Grp.)에서 Clav=1이거나 Pre=1이면 노말 그룹(N Grp.)을 유지한다. 노말 그룹(N Grp.)에서 Pre=0이고 Clav=0이면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가 된다.
스페셜 프레임 그룹(Sp_FR Grp.)에서 Grant이고, Pre=0이고 Clav=0이면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가 된다. 스페셜 프레임 그룹(Sp_FR Grp.)에서 Grant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노말 그룹(N Grp.)으로 변경된다. 스페셜 프레임 그룹(Sp_FR Grp.)에서 NoGrant이거나 Level=1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수퍼 큐 그룹(Su_Q Grp.)으로 변경된다.
스페셜 큐 그룹(Sp_Q Grp.)에서 Pre=0이고 Clav=0이면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로 된다. 스페셜 큐 그룹(Sp_Q Grp.)에서 Grant거나 Level=1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노말 그룹(N Grp.)으로 변경된다. 스페셜 큐 그룹(Sp_Q Grp.)에서 NoGrant이거나 Level=1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수퍼 프레임 그룹(Su_FR Grp.)으로 변경된다.
수퍼 프레임 그룹(Su_FR Grp.)에서 Pre=0이고 Clav=0이면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로 된다. 수퍼 프레임 그룹(Su_FR Grp.)에서 Grant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노말 그룹(N Grp.)으로 변경된다.
수퍼 큐 그룹(Su_Q Grp.)에서 Pre=0이고 Clav=0이면 요구가 없는 초기상태(NoREQ Init)로 된다. 수퍼 큐 그룹(Su_Q Grp.)에서 Grant거나 Level=1이고 Clav=1이거나 Pre=1이면 노말 그룹(N Grp.)으로 변경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링크의 큐상태, 버스 서비스 주기와 같은 트래픽 디스크립터가 시스템에서 주어지면 각 지역링크에서 우선순위를 자체적으로 가변할 수 있으며, 입력링크의 상황에 따라 다른 스위치 소자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요구하여 유입된 셀을 공유연결구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링크의 동작상태에 따라 우선순위가 향상되어 버스 사용권을 요구하므로 입력링크의 큐의 풀, 입력링크의 셀 전송지연시간을 스위치 소자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를 지역링크에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중앙 중재자에 우선순위 할당을 위한 연산이 집중되지않으므로 중재자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Claims (7)

  1. 공유연결구조에 연결되고,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에 있어서,
    전송순위가 고정된 입력버퍼;
    전송하고자 하는 셀 데이터를 상기 입력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고 허가받아서 저장된 셀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상기 입력버퍼의 고정된 우선순위를 소정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변되는 우선순위 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우선순위향상 입력링크; 및
    상기 입력링크로부터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 요구가 있으면 상기 입력링크의 전송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조사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하는 중재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향상 입력링크는
    상기 입력버퍼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중재자에게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고 허가받아서 상기 저장된 셀 데이터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전송하는 프레임 라이터; 및
    상기 프레임 라이터가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상기 입력 버퍼의 전송 우선순위를 상기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들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변되는 우선순위 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프레임 라이터에게 전송하는 지역우선순위향상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퍼는
    상기 입력버퍼에 저장된 셀 데이터를 읽어서 상기 입력버퍼의 상태정보를 갖고있는 헤더를 상기 지역우선순위향상부에 출력하는 입력버퍼 리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4. 공유연결구조에 연결되고, 전송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전송 우선순위를 우선순위가 고정된 우선순위 고정그룹과 소정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우선순위 가변그룹으로 나누는 제1단계;
    전송하고자하는 셀 데이터를 전송 우선순위가 고정된 입력 버퍼에 저장하는 제2단계;
    저장된 셀 데이터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전송하도록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제3단계;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지못하면, 상기 입력 버퍼의 우선순위를 상기 우선순위 가변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요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공유연결구조의 사용을 허가받으면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저장된 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트래픽 디스크립터는
    상기 입력버퍼의 상태정보 또는 상기 입력버퍼의 공유연결구조 사용주기임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우선순위 고정그룹을 세분하여 우선순위 고정 서브그룹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 가변그룹을 세분하여 우선순위 가변 서브그룹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디스크립터 요소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고정 서브그룹을 상기 우선순위 가변 서브그룹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공유연결구조를 기반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퍼의 우선순위를 변경하여서 상기 셀 데이터를 상기 공유연결구조에 전송한 경우, 전송 후 변경되기 전 우선순위로 회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방법.
KR1019990046624A 1999-10-26 1999-10-26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20010038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624A KR20010038585A (ko) 1999-10-26 1999-10-26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624A KR20010038585A (ko) 1999-10-26 1999-10-26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85A true KR20010038585A (ko) 2001-05-15

Family

ID=1961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624A KR20010038585A (ko) 1999-10-26 1999-10-26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072B1 (ko) 2020-06-12 2020-12-18 이자영 의류 및 생활소비재 협찬 중개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072B1 (ko) 2020-06-12 2020-12-18 이자영 의류 및 생활소비재 협찬 중개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04A (ko) 2020-06-12 2021-12-21 이자영 협찬이 필요한 또는 협찬 가능한 의류 및 생활소비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10154702A (ko) 2020-06-12 2021-12-21 이자영 효율적으로 협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54701A (ko) 2020-06-12 2021-12-21 이자영 엔터테이너, 엔터테이너에 관련된 관계자 및 브랜드 간의 협찬 중개 방법
KR20210154703A (ko) 2020-06-12 2021-12-21 이자영 양방향 요청이 가능한 협찬 중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033A (en) Priority generator for providing controllable guaranteed fairness in accessing a shared bus
US5546543A (en) Method for assigning priority to receive and transmit requests in response to occupancy of receive and transmit buffers wh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in progress
US7472213B2 (en)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6199124B1 (en) Arbitration system based on requester class and relative priority including transmit descriptor valid bit for a shared resource having multiple requesters
EP14350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 resource to meet quality-of-service restrictions
EP1403773B1 (en)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7111092B1 (en) Buffer management technique for a hypertransport data path protocol
JPH06261052A (ja) 共用バスのフロー制御装置
US6112258A (en) Multi-cycle I/O ASI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n arbiter circuit capable of updating address table associated with each I/O ASIC on bus
US6877049B1 (en) Integrated FIFO memory management control system using a credit value
US7373467B2 (en) Storage device flow control
CA2399186C (en) Data transfer apparatus and data transfer method
KR20020008955A (ko) 버스 시스템 및 그 실행 순서 조정방법
JPH09116570A (ja) ネットワークメッセージルート指定装置のための待ち時間短縮及びルート裁定方法
US7054970B2 (en) Bus arbiter for integrated circuit systems
JPH06161952A (ja) アクセス要求仲裁装置
US69371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rbitration
KR100803114B1 (ko) 메모리 중재 방법 및 시스템
US6424655B1 (en) Transpose table-biased arbitration
KR20010038585A (ko) 공유 연결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및 그 스위칭 방법
US6701397B1 (en) Pre-arbitration request limiter for an integrated multi-master bus system
US6831922B1 (en) Contention priority control circuit
US6829647B1 (en) Scaleable hardware arbiter
KR100358180B1 (ko) 다단접속형 셀 버스 조정장치 및 방법
JPH04104540A (ja) 多重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