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068A -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068A
KR20010033068A KR1020007006429A KR20007006429A KR20010033068A KR 20010033068 A KR20010033068 A KR 20010033068A KR 1020007006429 A KR1020007006429 A KR 1020007006429A KR 20007006429 A KR20007006429 A KR 20007006429A KR 20010033068 A KR20010033068 A KR 2001003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audio signal
input
input audio
frequency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르시아아투로제이.
가르시아아투로에이치.
Original Assignee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3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06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10H1/12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filtering complex wavefo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9/00Fixed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9/02Audio-frequency transformers or mutual inductances, i.e. not suitable for handling frequencies considerably beyond the audio ran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가청음의 음질이 음향학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생생하게 듣는 오리니널 사운드의 그것에 보다 가깝게 접근하는 방식으로 전자 오디오 신호를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증강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에서 통상적으로 누락되는 고조파의 지각을 복원한다. 이 장치는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들)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증강된 오디오 신호가 생성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들)을 왜곡되게 하는 수동 회로(5)를 포함한다. 이 수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들)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an electronic audio signal in a simple and low cost manner in such a way that the sound quality of the audible sound generated from the audio signal approaches closer to that of the original sound vividly heard in an acoustically designed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stores the perception of harmonics that are typically missing in electronic audio signals. The apparatus comprises a passive circuit 5 which causes the input audio signal (s) to be distorted such that an augmented audio signal representing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s) is produced. This passive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transformer (s).

Description

전자 오디오 신호 증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통상적으로 음악, 노래 소리 또는 기타 그러한 복잡한 사운드를 생생하게 듣는 것은 그것이 전자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가청음로 다시 재변환된 후 동일한 사운드를 듣는 것보다 더욱 유쾌한 것으로 생각된다.Typically, listening to music, song sounds, or other such complex sounds vividly is thought to be more pleasant than listening to the same sound after it has been converted to an electronic audio signal, reconverted back to an audible sound.

우리가 듣는 많은 사운드, 특히 음악적 선율은 종종 복잡하다. 예를 들면, 기본 경로 또는 기본 주파수를 갖는 음악적 선율은 통상적으로 고조파라 칭하는 기본 주파수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이들 고조파는 종종 악기 또는 기타 사운드 생성 소스에 독특한 음악적 선율 등의 사운드의 음질 또는 음색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 이들 고조파는 우리가 듣는 사운드를 풍부하게 한다. 오디오 신호에 고조파 증강을 부가하려 시도하는 많은 사운드 재생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종종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 그러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음질은 여전히 생생하게 들리는 오리지널 사운드의 감지되는 음질이 부족하다.Many of the sounds we hear, especially musical tunes, are often complicated. For example, a musical melody with a fundamental path or fundamental frequency includes components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commonly called harmonics. These harmonics often produce the sound quality or timbre of a sound, such as musical melody unique to an instrument or other sound producing source. In other words, these harmonics enrich the sound we hear. Many sound reproduct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at attempt to add harmonic enhancement to audio signals. However, these systems are often very complex and expensive, and the sound quality produced by such systems lacks the perceived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sound that still sounds vivid.

가청음로 변환될 때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고, 증강된 전자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음향학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원래의 생생한 사운드를 듣는 경험을 보다 치밀하게 복사한 것으로서 감지된 증강된 전자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적 복잡하지 않고 저렴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5,361,3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제5,361,306호에 개시된 전형적인 회로는 계자 유도 코일을 갖는 입력 스테이지 및 전자기장 수용체(예, 다른 코일) 및 출력단을 포함하는 출력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입력 오디오 신호들은 전자기장을 셋업하기 위해 유도 코일을 통해 전송된다. 계자 유도 코일 및 전자기장 수용체는 입력 오디오 신호가 계자 유도 코일을 통해 전송될 때, 증강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단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약하게 결합된다.When converted to an audible sound, it is detected as showing a better harmonic quality than that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generating an enhanced electronic audio signal, and more closely replicating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the original live sound in an acoustically designed environment. Relatively uncomplicated and inexpensive systems for generating augmented electronic audio signals have been developed. Such a system is disclosed in US Pat. No. 5,361,306, assigned to the assigne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typical circuit disclosed in this patent 5,361,306 includes an input stage having a field induction coil and an output stage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receptor (eg, another coil) and an output stage. Input audio signals are sent through an induction coil to set up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induction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receptor are weakly coupled so that the enhanced audio signal is available at the output stage when the input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eld induction coil.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5,361,306호에 개시된 발명을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가 덜 복잡하고, 보다 저가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n the invention disclosed in US Pat. No. 5,361,306.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less expensive.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들로부터 생성된 음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전자 오디오 신호들의 증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능동 회로 소자의 사용 없이 전자 오디오 신호를 고조파 증강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gmentation of electronic audio signal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generated from electronic audio sig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monic augmentation of an electronic audio signal without the use of active circuitr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변압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변압기의 보빈(bobbin)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of the transformer illustrated in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직선 3-3을 따라 취한 도면.3 is taken along the straight line 3-3 of FIG.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보빈의 개략적 측면도.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bobbin illustrated in FIG. 3;

도 5는 오디오 신호 소스 및 오디오 증폭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의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of a passive circui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n audio signal source and an audio amplifier.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코어의 2개의 E-코어 섹션 및 2개의 I-코어 섹션의 전개도.6 is an exploded view of two E-core sections and two I-core sections of the core illustrated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제1, 제2 및 제3 주파수 응답 곡선의 예시도.7 is an illustration of first, second and third frequency response curves generated by a passive circui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CB 라디오에 사용하도록 채택된 수동 회로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 응답 곡선의 예시도.7A is an illustration of a frequency response curve generated by a passive circuit adapted for use in a CB radio.

도 8은 오디오 소스 및 오디오 증폭기에 결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의 회로도.8 is a circuit diagram of a passive circui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n audio source and an audio amplifier.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제1 변압기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transformer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변압기의 보빈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of the transformer illustrated in FIG. 9.

도 10a는 도 10에 예시된 보빈의 개략적 측면도.10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bobbin illustrated in FIG. 10.

도 11은 도 9의 직선 11-11을 따라 취한 도면.11 is a view taken along the straight line 11-11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제2 변압기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transformer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예시된 변압기의 보빈의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of the transformer illustrated in FIG. 12.

도 13a는 도 13에 예시된 보빈의 개략적 측면도.13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bobbin illustrated in FIG. 13.

도 14는 도 12의 직선 14-14를 따라 취한 도면.14 is a view taken along the straight line 14-14 of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제1, 제2 및 제3 주파수 응답 곡선의 예시도.Figure 15 is an illustration of first, second and third frequency response curves generated by a passive circui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가청음의 음질이 음향학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생생하게 들리는 오리니널 사운드의 음질에 보다 치밀하게 접근하는 방식으로 전자 오디오 신호를 단순하고 저렴하게 증강시키는 수많은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사운드는 높은 볼륨에서의 저하에 저항하는 것으로 보이고, 스위트 스폿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오디오 변환 장비, 기록 공정의 제한, 기록 매체의 결점 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상실되는 고조파의 지각을 복원하는 쪽으로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numerous methods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the electronic audio signal simply and inexpensively in such a way that the sound quality of the audible sound generated from the audio signal more closely approaches the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sound vivid in an acoustically designed environment are provided. Is provided. Sound generated from an augmented audio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to resist degradation at high volume and tends to eliminate or at least significantly reduce sweet spot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interlocked towards restoring the perception of harmonics which are normally lost due to audio conversion equipment, limitations of the recording process, defects i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있어서, 하한 및 상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증강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장치는 그를 통해 전송되는 그러한 입력 오디오 신호가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되게 하는 수동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비선형 증폭이다. 증폭은 인간의 귀가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특성을 보다 잘 지각하거나 또는 개선시키고, 기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화된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n apparatus for enhancing the sound quality of an input audio signal composed of frequency components in a frequency band having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is provided.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comprises passive circuitry such that such an input audio signal transmitted therethrough is distorted into an enhanced audio signal exhibiting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e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This distortion is nonlinear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input audio signal. Amplification is changed in such a way that the human ear can better perceive or improve and record the harmonic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중간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라 칭할 수도 있다. 피크 고 주파수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상한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단일 주파수인 피크 고 주파수 대신에, 피크 고 주파수는 그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는 약 6KHz 내지 약 30 KHz 범위에 속할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5배 내지 약 3.0배일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in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The intermediate frequency may be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frequency. Above the peak high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mplification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 increases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high frequency to the upper limit frequency. Instead of a single high frequency peak high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peak high frequency is a frequency range such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that fall within that range generally have the same amplitude. The peak high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6 KHz to about 30 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high frequency may be about 1.5 to about 3.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주파수 성분이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고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이 증가한다.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제1 및 제2 기준 주파수라 칭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이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상한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 이하에서는, 주파수 성분이 피크 저주파수에서 하한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in the input audio signal is increased as the frequency component increases at a frequency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decreases at a frequency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Increases.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may b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reference frequencies.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may be the same frequency or different frequencies. Above the peak high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mplification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 increases at the peak frequency at the peak high frequency. Below the peak low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mplification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 decreases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low frequency to the lower limit frequency.

단일 주파수인 각각 대신에, 피크 고 주파수, 피크 저주파수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의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갖도록 하는 주파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는 약 6KHz 내지 약 30KHz 범위일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제1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5배 내지 약 3.0배일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는 약 20Hz 내지 약 1KHz 범위일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제2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25배 내지 약 2.0배일 수 있다.Instead of each being a single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peak high frequency, peak low frequency, or both, be a frequency range such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each range generally have the same amplitude. The peak high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6KHz to about 30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high frequency may be about 1.5 to about 3.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The peak low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20 Hz to about 1 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low frequency may be about 1.25 times to about 2.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수동 회로는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이 증폭이 증가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비선형으로 증폭하기 위한 단일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변압기에 의해 초래된 왜곡은 다음의 동등한 방식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단일 변압기는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이 진폭에 있어서 증가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킨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assive circuit nonlinearly modulate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so that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increased as the frequencies increase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It may include a single transformer to amplify. Distortion caused by a single transformer can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quivalent manner. A single transformer amplifie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such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 in amplitud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수동 회로는 주파수 성분들이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고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비선형으로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변압기에 의해 초래된 왜곡은 역시 다음의 동등한 방식으로 기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변압기는 주파수 성분들이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감소하고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이 진폭에 있어서 증가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킨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assive circuit comprises a frequency of the input audio signal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for non-linearly amplifying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such that amplification of the components is increased.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can also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quivalent manner.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increase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 amplitud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To amplif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소스, 오디오 증폭기 및 수동 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된다. 오디오 소스는 상한 및 하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오디오 증폭기는 스피커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동 회로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에 결합시키고, 그를 통해 전송될 때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킨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dio system comprising an audio source, an audio amplifier and a passive circuit. The audio source generates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the frequency band having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The audio amplifier generates a speaker drive signal. The passive circuit couples the input audio signal to the audio amplifier and distorts the input audio signal into an augmented audio signal that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when transmitted through it.

오디오 소스와 오디오 증폭기 간에 어떠한 액티브 소자들도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no active elements be coupled between the audio source and the audio amplifier.

수동 회로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입력 신호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는 단일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의 제1 부분은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한다. 대안으로, 수동 회로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및 제2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입력 신호의 증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는 제1 및 제2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의 제1 부분은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한다. 제2 곡선 부분은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한다.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이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The passive circuit may include a single transformer that affects the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limit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The first portion of the curve increases nonlinearly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lternatively, the passive circu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that affect the amplification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The first portion of the curve increases nonlinearly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The second curved portion increases nonlinearly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may be the same frequency or different frequencies.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라, 전자 오디오 신호들의 음질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한 및 하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입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키기 위해 수동 회로를 통해 입력 오디오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입력 오디오 신호를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성분들이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고,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한다.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이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enhancing the sound quality of electronic audio signals is provided. The method enhances an input audio signal by providing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a frequency band having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and passing the input audio signal through a passive circuit to amplif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signal. Distortion to the audio sig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This increases.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may be the same frequency or different frequencies.

본 발명의 방법은 1개 이상의 증강된 오디오 신호들을 사운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그와 같이 생성된 사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현재의 증강된 오디오 신호 및 그로부터 생성된 사운드는 오디오 신호 및 정상적인 인간이 듣는 범위(즉, 대략적으로 20Hz 내지 20KHz)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을 갖는 사운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may comprise processing one or more enhanced audio signals into sound.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clude the sound so produced. Current augmented audio signals and sounds produced therefrom include audio signals and sounds with frequency components that fall within the range of normal human hearing (ie, approximately 20 Hz to 20 KHz).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된 1개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을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1개 이상의 현재의 증강된 오디오 신호들을 기록 매체 상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그위에 기록된 1개 이상의 현재의 증강된 오디오 신호들을 갖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되기도 한다. 기록 매체는 자기 기록 매체(예, 릴-투-릴 테잎, 카세트 테잎, 자기 디스크 등) 또는 광 기록 매체(예, 컴팩트 디스크, 비디오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수한 유형의 기록 매체 또는 그 위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The method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transmitting one or more audio signals aug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recording one or more current enhanced audio signals onto a recording mediu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include a recording medium having one or more current enhanced audio signals recorded there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eg, reel-to-reel tape, cassette tape, magnetic disc, etc.) or an optical recording medium (eg, compact disc, video disc, etc.).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type of recording medium or method of recording thereon.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 특히 복잡한 파형(즉, 예를 들면 음악, 노랫 소리, 스피치, 동물 소리, 자연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장비 소음 등)을 갖는 오디오 신호의 조파 품질을 증강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증강된 오디오 신호들은 입력 전자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낸다. 유사한 고조파 증강이 미국 특허 제5,361,306호; 전자 오디오 신호 증강 장치 및 그 방법이라는 표제하에 1995년 6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472,876호; 및 전자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증강 장치 및 그 방법이라는 표제하에 1997년 8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909,807호에 개시된 회로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이들 문헌을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기재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harmonic quality of an electronic audio signal, in particular an audio signal having a complex waveform (i.e. music, song, speech, animal sound, natural sound, equipment noise, etc.). To provide. Audio signals enhanc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hibit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electronic audio signal. Similar harmonic enhancements are described in US Pat. No. 5,361,306;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472,876, filed Jun. 7, 1995 under the heading Electronic Audio Signal Enhancer and Method thereof; And Harmonic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onic Audio Signals, which may be obtained using the circuit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08 / 909,807, filed August 12,199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t describes as.

본 발명의 교훈 및 개시 내용은 전자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고조파 증강을 얻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훈 및 전형적인 회로를 제공할 때, 필요할 경우,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증강 효과를 내기 위한 추가의 방식을 설계할 단순한 시도 및 에러 실험의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용 및 특수 회로들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The lessons and disclos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different ways of obtaining the same or similar harmonic enhancement in the electronic audio signal. In providing the lessons and typical circuits disclosed herein, it would be a matter of simple attempts and error experiments, if necessar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design additional ways to achieve the same or similar augmentation effects. Accordingly, the general purpose and specialty circuits disclosed herein are by way of example only, and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so limited.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의 견지에서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여러 가지 변형, 재배치 및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rearrangement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본 출원에 기재된 특수한 전형적인 실시예들 각각은 전자 오디오 신호들의 증강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장치는 입력 오디오 신호 중의 증강하는 고조파 또는 주파수 성분들을 비선형으로(즉, 불균일하게) 증폭시킴으로써 그를 통해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할 수 있는 수동 회로를 포함한다. 증강하는 고조파의 진폭을 이러한 방식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생성된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낸다.Each of the special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produces an augmentation of electronic audio signals.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ssive circuit capable of distorting the input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it by amplifying nonlinearly (ie, non-uniformly) the augmenting harmonics or frequency components in the input audio signal. By increasing the amplitude of the augmenting harmonics in this way, the resulting augmented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이 회로는 사용중인 증폭기, 트랜지스터, 진공관 등의 임의의 능동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증강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채택된다. 따라서, 수동 회로는 입력 오디오 신호에 동력을 부가하지 않는다.This circuit is effectively employed to perform augmentation without using any active elements such as amplifiers, transistors, tubes, etc. in use. Thus, passive circuitry does not power the input audio signal.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전자 오디오 신호를 증강시키기 위한 수동 회로(5)는 도 5의 회로도에 예시된다. 이 회로(5)는 단일 변압기(10)를 포함한다. 변압기(10)는 보빈(20), 강자성 코어(30) 및 2개의 자성으로 결합된 코일(40 및 42)을 포함한다. 도 1-3 및 5 참조.A passive circuit 5 for augmenting an electronic audio signal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5. This circuit 5 comprises a single transformer 10. Transformer 10 includes a bobbin 20, a ferromagnetic core 30, and two magnetically coupled coils 40 and 42. See FIGS. 1-3 and 5.

보빈(20)은 중합체 물질 강화 섬유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보빈(20)은 나일론 유리 강화 섬유를 포함한다. 보빈(20)은 그를 통해 확장하는 코어 수용 개구(22a)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관상부(22)를 갖는다. 이 관상부(22)의 반대쪽 말단에는 제1 및 제2 플랜지(24 및 25)가 제공된다. 각각의 관상부(22) 및 플랜지(24 및 26)의 벽 두께는 약 0.40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24 및 26)의 폭(WF) 및 길이(LF)는 각각 약 1.48 인치 및 1.54인치이다. 개구(22a)의 폭(WF), 높이(HA) 및 길이(LF)는 각각 약 0.765인치, 1.02인치 및 0.765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24 및 26)는 내부에 내장된 6개의 L-형상을 갖는 핀-함유부(24a 및 26a)를 포함한다. 12개의 핀은 도 P1-P12에서 지정된다. 그러한 한가지 보빈은 통상적으로 "94HB"라는 제품명으로 Plastron 코포레이션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제1 코일(40)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1차 권취부(40a 및 40b)에 의해 제한된다. 제2 코일(42)은 일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2차 권취부(42a 및 42b)에 의해 제한된다.Bobbin 20 may be formed from polymeric material reinforcing fiber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bbin 20 comprises nylon glass reinforced fibers. The bobbin 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ular portion 22 having a core receiving opening 22a extending therethrough. Opposite ends of this tubular part 2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langes 24 and 25. The wall thickness of each tubular portion 22 and flanges 24 and 26 is about 0.40 inches. The width W F and length L F of each flange 24 and 26 are about 1.48 inches and 1.54 inches, respectively. The width W F , height H A , and length L F of the opening 22a are about 0.765 inches, 1.02 inches, and 0.765 inches, respectively. Each flange 24 and 26 includes six L-shaped pin-containing portions 24a and 26a embedded therein. Twelve pins are designated in FIGS. P 1 -P 12 . One such bobbin i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Plastron Corporation under the trade name "94HB". The first coil 40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40a and 40b connected in series. The second coil 42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42a and 42b connected in series.

39가 와이어 게이지일 때, "39 싱글-폴리-나일론(SPN) 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1 와이어(44)는 외부 코팅 물질이고, 155℃는 제1 권취부(40a)를 형성하기 위해 관상부(22)에 관하여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 와이어 온도 등급이다. 권취부(40a)는 1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285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1및 P2에 접속된다. 도 2, 4 및 5 참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1 층(51)은 제1 1차 권취부(40a) 둘레에 감겨진다. 도 3 참조.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 필름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강화 유리 섬유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한 필름은 통상적으로 "IL-4426"이라는 제품명으로 TESA 인크 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제1 층(51)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When 39 is a wire gauge, the first wire 44 of the type “39 single-poly-nylon (SPN) 155 ° C.” wire is an outer coating material and 155 ° C. is used to form the first winding 40a. The wire temperature rating is randomly wound clockwise relative to the tubular portion 22. The winding 40a includes 1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285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1 and P 2 . See FIGS. 2, 4 and 5. The first layer 51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first primary winding 40a. See FIG. 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lm comprises a polyester reinforced glass fib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Such film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TESA Inc. under the trade name "IL-4426". The first layer 51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34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2 와이어(48)는 제2 2차 권취부(42a)를 형성하도록 제1 필름층(51)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42a)는 2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5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7및 P8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2 층(53)은 제1 2차 권취부(42a) 둘레에 감겨진다. 제2 층(53)은 약 0.13인치의 두께를 갖는다.A second wire 48 of the type “34SPN155 ° C.” wire is wound randomly around the first film layer 51 counterclockwise to form a second secondary winding 42a. The winding portion 42a includes 2000 rota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56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7 and P 8 . The second layer 53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first secondary winding 42a. The second layer 53 has a thickness of about 0.13 inches.

"39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3 와이어(50)는 제2의 1차 권취부(40a)를 형성하도록 제2 필름층(53)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40b)는 1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335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3및 P6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3 층(55)은 제2 1차 권취부(40b) 둘레에 감겨진다. 제3 층(55)은 약 0.13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1 및 제2 1차 권취부(40a 및 40b)는 핀 P1와 P6간에 확장하는 제1 코일(40)을 제한하도록 핀 P3을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third wire 50 of the type “39SPN155 ° C.” wire is randomly woun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53 to form a second primary winding 40a. The winding 40b includes 1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335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3 and P 6 . The third layer 55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imary winding 40b. The third layer 55 has a thickness of about 0.13 inches.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40a and 40b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3 to limit the first coil 40 extending between pins P 1 and P 6 .

"34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4 와이어(48)는 제2 2차 권취부(42b)를 형성하도록 제3 필름층(55)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42b)는 2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8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8및 P11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4 층(57)은 제2 2차 권취부(42b) 둘레에 감겨진다. 제4 층(57)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1 및 제2 2차 권취부(42a 및 42b)는 핀 P7과 P11간에 확장하는 제2 코일(42)을 제한하도록 핀 P9를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fourth wire 48 of the type “34SPN155 ° C.” wire is wound randomly around the third film layer 55 counterclockwise to form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42b. The winding portion 42b includes 2000 rota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86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8 and P 11 . The fourth layer 57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42b. The fourth layer 57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42a and 42b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9 to limit the second coil 42 extending between pins P 7 and P 11 .

제1, 제2, 제3 및 제4 와이어(44, 48, 50 및 52)는 Phelps Dodge 코포레이션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ires 44, 48, 50 and 52 are available from Phelps Dodge Corporation.

코일(30)은 수많은 E-코어 및 I-코어 섹션(32 및 34)로부터 형성된다. 도 1, 3 및 6 참조. 이들 섹션(32 및 34)은 24게이지, M50 등급 강철 등의 강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섹션(32 및 34)은 각각의 I-코어 섹션(34)이 인접한 E-코어 섹션들(32) 사이에 놓이도록 E-코어 및 I-코어 섹션(32 및 34)을 교대로 스태킹함으로써 어셈블된다. 도 6 참조. 단일 I-코어 섹션(34)은 어셈블되기 전에 각각의 E-코어 섹션(32)에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E-코어 섹션(32)의 중심부(32a)는 보빈(20)의 코어 수용 개구(22a)를 충전시킨다. 조립 후, 섹션(32 및 34)은 어셈블된 섹션(32 및 34)의 외표면을 니스로 코팅함으로써 서로 적층된다. 그러한 니스는 "77x010"이라는 제품명으로 P.D. George Co.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E-코어 섹션(32)은 약 0.025인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I-코어 섹션(34)은 약 0.02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코어(30)의 길이(Lc)는 약 2.25인치이고, 코어(30)의 두께(Tc)는 약 0.750인치이다. 코어(30)의 높이(Hc)는 약 1.875인치이다. 도 1 참조.Coil 30 is formed from numerous E-core and I-core sections 32 and 34. See FIGS. 1, 3 and 6. These sections 32 and 34 include ferromagnetic materials such as 24 gauge, M50 grade steel. Sections 32 and 34 are assembled by alternately stacking E-core and I-core sections 32 and 34 such that each I-core section 34 lies between adjacent E-core sections 32. . See FIG. 6. A single I-core section 34 may be laminated to each E-core section 32 before being assembled. The central portion 32a of the E-core section 32 fills the core receiving opening 22a of the bobbin 20. After assembly, the sections 32 and 34 are laminated to each other by varnish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assembled sections 32 and 34. Such varnish is available under the name P.D. It is available from George Co., Lt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E-core section 32 is about 0.025 inches thick. Each I-core section 34 has a thickness of about 0.025 inches. The length Lc of the core 30 is about 2.25 inches and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30 is about 0.750 inches. The height Hc of the core 30 is about 1.875 inches. See FIG. 1.

1차 권취부(40a 및 40b)는 1차 권취부(40a, 40b)와 2차 권취부(42a, 42b) 사이에 고도의 결합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권취부들(40a, 40b 및 42a, 42b) 간의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도록 2차 권취부(42a, 42b)와 인터리브된다. 변압기(10)는 하위 레벨 오디오 신호를 수용하는 변압기(10)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1차 유도 저항을 증가시키고, 용량성 리액턴스를 감소시키고, 회로의 전체적인 주파수 응답을 증가시키도록 매우 낮은 자속 밀도로 설계된다.The primary windings 40a and 40b not only achieve a high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primary windings 40a and 40b and the secondary windings 42a and 42b but also the windings 40a, 40b and 42a and 42b. It is interleaved with the secondary windings 42a and 42b to minimize the capacitance of the liver. Transformer 10 has a very low magnetic flux density to increase transformer 10's ability to receive lower level audio signals, increase primary inductive resistance, reduce capacitive reactance, and increase the overall frequency response of the circuit. Is designed as.

수동 회로(5)는 오디오 신호 소스 S,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플레이어, 라디오,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DAT) 플레이어 및 오디오 증폭기 A, 예를 들면 예비 증폭 단계, 예, 고체 상태 또는 진공관 프리앰프 또는 동력 증폭 스테이지, 예, 집적된 동력 증폭기, 진공관 동력 증폭기, 고체 상태 동력 증폭기 또는 하이브리드 동력 증폭기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임의의 시판중인 커넥터(들)가 단일-말단의 커넥터 또는 밸런스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호 소스에 수동 회로(5)를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S와 오디오 증폭기 A 사이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접속되지 않는다. 도 5 참조. 변압기가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한 및 상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가 변압기(10)를 통해 전송될 때, 오디오 신호는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된다. 이러한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적어도 일부의 비선형 증폭이다. 증폭은 인간의 귀가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특성을 잘 지각하거나 또는 개선시키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의 상한 근처의 주파수 성분들은 주파수 대역의 하한와 상한 간의 중간 주파수 성분들이 증폭되는 양을 초과하는 양만큼 증폭될 수 있다.The passive circuit 5 may comprise an audio signal source S, for example a CD player, a laser disc player, a tape player, a radio, a digital audio tape (DAT) player and an audio amplifier A, for example a preamplification step, for example a solid state or It is intended to be directly coupled to a tube preamplifier or power amplification stage, such as an integrated power amplifier, a tube power amplifier, a solid state power amplifier or a hybrid power amplifier. Any commercially available connector (s) can be used to connect the passive circuit 5 to a signal source comprising a single-ended connector or a balanced connector. No active element is connected between source S and audio amplifier A. See FIG. 5. When the transformer is coupled in this way and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the frequency band with lower and upper limits is transmitted through transformer 10, the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It is distorted by the augmented audio signal. This distortion is nonlinear amplific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The amplification is preferably changed in such a way that the human ear perceives or improves and records the harmonic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frequency components near the upper limit of the frequency band may be amplified by an amount exceeding an amount in which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limits of the frequency band are amplified.

도 7에서, 상기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5)에 의해 발생된 제1, 제2 및 제3의 전형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들 C1, C2, C3이 도시된다. 각각의 곡선에 대해, 출력 전압은 표준화된 입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와 대비하여 플로트된다. 주파수 응답 곡선들 C1, C2, C3은 변압기(10)의 제1 코일(40)을 약 20Hz 내지 약 22K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스위프된 1V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 종래의 신호 발생기인 신호 소스 S에 접속시키고, 변압기(10)의 제2 코일(42)을 종래의 오디오 증폭기 입력단에 접속될 때 그의 로드가 변압기(10)가 알 수 있는 등가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20 ㏀(곡선 C1), 25 ㏀(곡선 C2) 및 100 ㏀(곡선 C3)의 저항 로드에 접속시킴으로써 얻어졌다. 입력 소스 S와 임의의 저항 로드 간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개입되지 않았다.In FIG. 7, first, second and third typical frequency response curves C 1 , C 2 , C 3 generated by the passive circuit 5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illustrated embodiment are shown. For each curve, the output voltage is plotted against the frequency for the normalized input audio signals. The frequency response curves C 1 , C 2 , C 3 are signal sources which are conventional signal generators which generate a 1 V input signal swept the first coil 40 of the transformer 10 through a frequency band of about 20 Hz to about 22 KHz. 20 kV (curve C 1 ), which is connected to S and whose load represents the equivalent impedance as seen by transformer 10 when the second coil 42 of transformer 10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audio amplifier input, It was obtained by connecting to a resistance rod of 25 kV (curve C 2 ) and 100 kV (curve C 3 ). No active device intervened between the input source S and any resistive load.

제1, 제2 및 제 곡선들 C1, C2, C3각각은 입력 오디오 신호가 수동 회로(5)를 통해 통과하고 이 수동 회로(5)의 출력단(즉, 제2 코일(42))이 저항 로드에 접속될 때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발생하는 증폭을 나타낸다. 저항 로드는 곡선 C1에 대해 20 ㏀이고, 곡선 C2에 대해 50 ㏀이고, 곡선 C3에 대해 100 ㏀이다. 이들 3개의 곡선들 C1, C2, C3에 대해, 하한 및 상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는 수동 회로(5)를 통해 전송될 때 왜곡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비선형 증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약 20Hz 내지 약 3.5K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약 3.5KHz에서 약 20KHz의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는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증가한다. 약 20KHz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들이 약 20KHz의 피크 고 주파수에서 약 22KHz의 상한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은 감소한다. 약 20Hz 내지 약 5K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증폭 또는 이득은 약 1.5 내지 2.0이고,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서는 야 2.6 내지 약 4.8이다. 따라서, 곡선 C1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20Hz 내지 3.5KHz의 중간 주파수 성분의 범위의 평균 증폭의 약 1.5배이다. 곡선 C2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20Hz 내지 3.5KHz의 중간 주파수 성분의 범위의 평균 증폭의 약 2.0배이다. 곡선 C3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20Hz 내지 3.5KHz의 중간 주파수 성분의 범위의 평균 증폭의 약 2.3배이다.Each of the first, second and second curves C 1 , C 2 , C 3 has an input audio signal passing through the passive circuit 5 and the output end of the passive circuit 5 (ie the second coil 42). It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that occurs for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when connected to this resistive load. The resistive rod is 20 kW for curve C 1 , 50 kW for curve C 2 , and 100 kW for curve C 3 . For these three curves C 1 , C 2 , C 3 , the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with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appears to be distorted when transmitted through the passive circuit 5. This distortion is nonlinear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substantially constant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about 20 Hz to about 3.5 KHz, at frequencies ranging from about 3.5 KHz to peak high frequencies of about 20 KHz. Increase for increasing frequency components. Above about 20 KHz, the amplification de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high frequency of about 20 KHz to the upper limit frequency of about 22 KHz. The amplification or gain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about 20 Hz to about 5 KHz is about 1.5 to 2.0 and about 2.6 to about 4.8 for frequency components at peak high frequencies. Thus, for curve C 1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1.5 times the average amplification of the range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from 20 Hz to 3.5 KHz. For curve C 2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2.0 times the average amplification of the range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from 20 Hz to 3.5 KHz. For curve C 3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2.3 times the average amplification of the range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from 20 Hz to 3.5 KHz.

주어진 로드에 대한 수동 회로(5)의 주파수 응답은 다음: 즉, 코일(40 및 42)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수; 코일(40 및 42)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와이어의 크기 및 유형; 제1 및 제2 1차 권취부(40a 및 40b) 및 제1 및 제2 권취부(42a 및 42b) 중의 하나 이상의 DC 저항; 코어(30)의 크기; 및 코어(3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물질의 게이지 및 등급 중의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변압기(10)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는 경우, 주파수 대역의 상한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변화될 수 있는 것 역시 믿어진다. 커패시턴스는 1개 이상의 필름층(51, 53 및 55)의 두께; 1개 이상의 권취부(40a, 40b, 42a 및 42b)의 DC 저항; 및(또는) 1개 이상의 권취부(40a, 40b, 42a 및 42b)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가 주어진 로드에 결합될 때, 목적하는 주파수 응답에 영향을 미치도록 변압기(10)의 구성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경험적 결정이 필요하다.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passive circuit 5 for a given load may be as follow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one or both of the coils 40 and 42; The size and type of wire used to construct the coils 40 and 42; DC resistan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40a and 40b and the first and second windings 42a and 42b; The size of the core 30; And gauges and grades of materials used to form the core 30 are believed to be varied. It is also believed that when the capacitance of the transformer 10 is change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the upper limit of the frequency band can be changed. Capacitance is the thickness of one or more film layers 51, 53, and 55; DC resistance of one or more windings 40a, 40b, 42a and 42b; And / o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one or more windings 40a, 40b, 42a and 42b. Thus, when a transformer is coupled to a given load, an empirical decision is need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ormer 10 to affect the desired frequency respons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 신호는 그 입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키기 위해 수동 회로(5)를 통해 입력 오디오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피크 고 주파수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들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상한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ignal is distorted into an augmented audio signal by passing the input audio signal through the passive circuit 5 to amplif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signal.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in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Above the peak high frequency, it is desirable that the amplification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high frequency to the upper limit frequency.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단일 주파수를 포함하는 피크 고 주파수 대신에, 좁은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질 수 있도록 피크 고 주파수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peak high frequency including a single frequenc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ak high frequency be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frequencies so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narrow range generally have the same amplitude. It is expected.

곡선들 C1, C2및 C3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중간 주파수 성분들, 예를 들면 약 20Hz 내지 약 3.5KHz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1.0 미만 또는 1.0을 초과하는 단일 이득(1.0)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피크 고 주파수는 약 6KHz 내지 약 30KHz 범위일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중간 주파수 성분들의 범위의 평균 증폭 중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5배 내지 약3.0배일 수 있다.Curves C 1 , C 2 and C 3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It is believed that amplification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for example frequency components from about 20 Hz to about 3.5 KHz, may have a single gain (1.0) below 1.0 or above 1.0. The peak high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6KHz to about 30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high frequency may be about 1.5 to about 3.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mong the average amplifications in the range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권취부(40a, 40b, 42a 및 42b)의 순서는 유입하는 전자기 간섭(EMI) 및 무선 주파수 간섭(RFI)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2 와이어(48)는 먼저 관상부(22) 상에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되고, 이어서 제1 와이어(44) 와이어가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고, 이어서 제4 와이어(52)가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되고, 이어서 제3 와이어(50)가 시계 방향으로 권취된다. 따라서, 권취부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1 2차 권취부(42a) 다음에는 제1 1차 권취부(40a)가 따르고, 다음에는 제2 2차 권취부(42b)가 따르고, 다음에는 제2 1차 권취부(40b)가 따른다. 제2 1차 권취부(40b)는 그 자신의 자속선이 대부분의 유입하는 EMI 및 RFI 방사선을 무효화시키는 실드로서 작용한다.The order of the windings 40a, 40b, 42a and 42b is expected to be varied to shield incom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radiation. Thus, the second wire 48 is first wound on the tubular portion 2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n the first wire 44 wire is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n the fourth wire 52 is counterclockwise. , The third wire 50 is then wound in a clockwise direction. Thus, the order of the windings is as follows: the first secondary winding 42a follows the first primary winding 40a,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42b, and the next. The second primary winding part 40b follows. The second primary winding 40b acts as a shield whose own flux line negates most incoming EMI and RFI radiation.

또한, 단일 또는 이중 변압기를 포함하는 수동 회로는 CB 라디오에서 사용하기 위해 구축될 수 있는 것으로도 예상된다. 단일 또는 이중 변압기는 그의 입력단에서 레지스터와 직렬인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저역 필터를 통해 CB 라디오 내의 종래의 검출기 회로의 출력단에 결합되고, 그의 출력단에서 CB 라디오 내의 오디오 중폭기에 결합된다.It is also envisaged that passive circuits comprising single or double transformers can be built for use in CB radios. The single or double transformer is coupled to the output of a conventional detector circuit in a CB radio via a low pass filter comprising a capacitor in series with a resistor at its input and to an audio attenuator in the CB radio at its output.

도 7a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단일 변압기 수동 회로에 의해 발생된 전형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이 도시된다. 이 곡선에서, 출력 전압은 표준화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대한 주파수에 대비하여 플로트된다. 주파수 응답 곡선은 레지스터(250Ω)와 직렬인 커패시터(22microfarad)를 포함하는 저역 필터를 통해 변압기의 제1 코일을 약 20Hz 내지 약 20K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스위프된 1V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 종래의 신호 발생기인 신호 소스 S에 접속시키고, 그의 로드가 CB 라디오의 종래의 오디오 증폭기의 입력단에 접속될 때 변압기가 알 수 있는 등가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약 43 ㏀의 저항 로드에 변압기의 제2 코일을 접속시킴으로써 얻어졌다. 입력 소스와 저항 로드 간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개입되지 않았다.In FIG. 7A, a typical frequency response curve generated by a single transformer passive circui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is curve, the output voltage is plotted against the frequency for the normalized input audio signal.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is a conventional signal generator that generates a 1V input signal swept through a frequency band of about 20 Hz to about 20 KHz through a low pass filter comprising a capacitor (22 microfarad) in series with a resistor (250 Ω). Was obtained by connecting the second coil of the transformer to a resistance rod of about 43 kΩ which represents the equivalent impedance the transformer can see when its load is connected to the signal source S and its load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a conventional audio amplifier of a CB radio. . No active device intervened between the input source and the resistive load.

도 7a의 곡선은 입력 오디오 신호가 수동 회로를 통해 통과하고, 수동 회로의 출력단(즉, 제2 코일)이 저항 로드에 접속될 때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대해 발생하는 증폭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 로드는 도 7a에 예시된 곡선에 대해 약 43㏀이다. 이러한 곡선으로부터, 하한 및 상한을 가는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을 구성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는 수동 회로를 통해 전송될 때 왜곡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불균일한 증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약 100Hz 내지 약 300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약 300Hz에서 약 10KHz의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는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증가된 비율로 증가한다. 약 10KHz의 피크 고 주파수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들이 약 10KHz의 피크 고 주파수에서 약 20KHz의 상한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한다. 도 7a의 곡선에서 증폭 또는 이득은 약 100Hz 내지 약 300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약 1.6 내지 약 1.8의 범위이고, 피크 고 주파수에서 또는 그 근처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약 3.8이다.The curve of FIG. 7A shows the amplification that occurs for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input audio signal when the input audio signal passes through the passive circuit and the output end of the passive circuit (ie, the second coil) is connected to the resistive load. As noted above, the resistive rod is about 43 kV for the curve illustrated in FIG. 7A. From this curve, it is apparent that the input audio signal constituting th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lower and upper frequency bands is distorted when transmitted through the passive circuit. This distortion is non-uniform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gradually increases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about 100 Hz to about 300 Hz and increases at frequencies ranging from about 300 Hz to peak high frequencies of about 300 Hz. It increases at an increased rate relative to the components. Above the peak high frequency of about 10 KHz, the amplification de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a frequency from the peak high frequency of about 10 KHz to the upper limit frequency of about 20 KHz. The amplification or gain in the curve of FIG. 7A ranges from about 1.6 to about 1.8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about 100 Hz to about 300 Hz, and is about 3.8 for frequency components at or near the peak high frequency. .

도 7a에 예시된 곡선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중간 주파수 성분들, 예를 들면 약 100Hz 내지 약 300Hz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1.0 미만 또는 1.0을 초과하는 단일 이득(1.0)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피크 고 주파수는 CB 라디오에 사용될 단일 변압기 회로에 대해 약 6KHz 내지 약 15KHz 범위일 수 있다.The curve illustrated in FIG. 7A is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It is believed that amplification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eg, frequency components from about 100 Hz to about 300 Hz, may have a single gain (1.0) below 1.0 or above 1.0. Peak high frequencies can range from about 6KHz to about 15KHz for a single transformer circuit to be used in a CB radio.

CB 라디오에 삽입될 때 단일 변압기는 약 300Hz 내지 약 3KHz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 만을 구성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전형적으로 수신할 것이다.When inserted into a CB radio, a single transformer will typically receive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nly of frequency components in the range of about 300 Hz to about 3 KHz.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제1 및 제2 변압기(100 및 200)를 포함하는 수동 회로(300)가 도 8의 회로도에 예시된다. 제1 및 제2 변압기(100 및 200)는 상기 변압기(10)와 동일한 방식으로 필연적으로 구축되고, 도 9, 10, 10a 및 11 및 12, 13, 13a 및 14에 예시되어 있다. 제1 변압기(100)는 보빈(120)(도 10 및 10a 참조), 강자성 코어(130)(도 9 참조) 및 2개의 자성으로 결합된 코일(140 및 142)(도 8 참조)을 포함한다. 제2 변압기(200)는 보빈(220)(도 13 및 13a 참조), 강자성 코어(230)(도 12 참조) 및 2개의 자성으로 결합된 코일(240 및 242)(도 8 참조)을 포함한다.A passive circuit 300 comprising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100 and 20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8.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100 and 200 are inevitably built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former 10 and are illustrated in FIGS. 9, 10, 10a and 11 and 12, 13, 13a and 14. The first transformer 100 includes a bobbin 120 (see FIGS. 10 and 10A), a ferromagnetic core 130 (see FIG. 9) and two magnetically coupled coils 140 and 142 (see FIG. 8). . The second transformer 200 includes a bobbin 220 (see FIGS. 13 and 13A), a ferromagnetic core 230 (see FIG. 12) and two magnetically coupled coils 240 and 242 (see FIG. 8). .

보빈(120 및 220)은 상기 보빈(20)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연적으로 구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보빈(120 및 220)은 나일론 유리 강화 섬유로부터 형성된다.Bobbins 120 and 220 are necessarily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obbin 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obbins 120 and 220 are formed from nylon glass reinforced fibers.

보빈(120)은 그를 통해 확장하는 코어 수용 개구(122a)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관상부(122)를 갖는다. 이 관상부(122)의 반대쪽 말단에는 제1 및 제2 플랜지(124 및 126)가 제공된다. 각각의 관상부(122) 및 플랜지(124 및 126)의 벽 두께는 약 0.40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124 및 126)의 폭(WF) 및 길이(LF)는 각각 약 1.23 인치 및 1.34인치이다. 개구(122a)의 폭(WA), 높이(HA) 및 길이(LA)는 각각 약 0.640인치, 0.830인치 및 0.640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124 및 126)는 내부에 내장된 6개의 L-형상을 갖는 핀-함유부(124a 및 126a)를 포함한다. 12개의 핀은 도면에서 P1-P12로 지정된다.The bobbin 1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d tubular portion 122 having a core receiving opening 122a extending therethrough. Opposite ends of this tubular portion 12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langes 124 and 126. The wall thickness of each tubular portion 122 and flanges 124 and 126 is about 0.40 inches. The width W F and length L F of each flange 124 and 126 are about 1.23 inches and 1.34 inches, respectively. The width W A , height H A and length L A of the opening 122a are about 0.640 inches, 0.830 inches and 0.640 inches, respectively. Each flange 124 and 126 includes six L-shaped pin-containing portions 124a and 126a embedded therein. Twelve pins are designated P 1 -P 12 in the figure.

보빈(220)은 그를 통해 확장하는 코어 수용 개구(222a)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관상부(222)를 갖는다. 이 관상부(222)의 반대쪽 말단에는 제1 및 제2 플랜지(224 및 226)가 제공된다. 각각의 관상부(222) 및 플랜지(224 및 226)의 벽 두께는 약 0.40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224 및 226)의 폭(WF) 및 길이(LF)는 각각 약 1.48 인치 및 1.54인치이다. 개구(222a)의 폭(WA), 높이(HA) 및 길이(LA)는 각각 약 0.765인치, 1.02인치 및 0.765인치이다. 각각의 플랜지(224 및 226)는 내부에 내장된 6개의 L-형상을 갖는 핀-함유부(224a 및 226a)를 포함한다. 12개의 핀은 도면에서 P1-P12로 지정된다.The bobbin 22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d tubular portion 222 with a core receiving opening 222a extending therethrough. Opposite ends of this tubular portion 22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langes 224 and 226. The wall thickness of each tubular portion 222 and flanges 224 and 226 is about 0.40 inches. The width W F and length L F of each flange 224 and 226 are about 1.48 inches and 1.54 inches, respectively. The width W A , height H A and length L A of the opening 222a are about 0.765 inches, 1.02 inches and 0.765 inches, respectively. Each flange 224 and 226 includes six L-shaped pin-containing portions 224a and 226a embedded therein. Twelve pins are designated P 1 -P 12 in the figure.

변압기(100)의 제1 코일(140)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1차 권취부(140a 및 140b)에 의해 제한된다. 제2 코일(142)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2차 권취부(142a 및 142b)에 의해 제한된다.The first coil 140 of the transformer 100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140a and 140b connected in series. The second coil 142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142a and 142b connected in series.

"39 싱글-폴리-나일론(SPN) 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1 와이어(144)는 제1 1차 권취부(140a)를 형성하기 위해 관상부(122)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140a)는 5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0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1및 P3에 접속된다. 도 8, 10 및 10a 참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상기 논의한 것 등의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1 층(151)은 제1 1차 권취부(140a) 둘레에 감겨진다. 도 11 참조. 제1 층(151)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A first wire 144 of the type “39 single-poly-nylon (SPN) 155 ° C.” wire is wound randomly clockwise around the tubular portion 122 to form the first primary winding 140a. Lose. The winding 140a includes 500 rota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06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1 and P 3 . See FIGS. 8, 10 and 10a. The first layer 151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such as discuss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around the first primary winding 140a. See FIG. 11. The first layer 151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32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2 와이어(148)는 제1 2차 권취부(142a)를 형성하도록 제1 필름층(151)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142a)는 1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4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7및 P8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2 층(153)은 제1 2차 권취부(142a) 둘레에 감겨진다. 도 1 참조. 제2 층(153)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A second wire 148 of the type “32PN155 ° C.” wire is randomly wou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first film layer 151 to form the first secondary winding 142a. The winding 142a includes 1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46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7 and P 8 . The second layer 153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first secondary winding 142a. See FIG. 1. The second layer 153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39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3 와이어(150)는 제2의 1차 권취부(140a)를 형성하도록 제2 필름층(153)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와이어(150)는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3에 접속되고, 제2 필름층(153) 둘레에 약 400회 랜덤하게 감겨지고, 핀 P5에 접속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핀 P5에 접속된 후 제3 와이어(150)는 제2 필름층(153) 둘레에 또 100회 랜덤하게 감겨지고,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6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핀 P3과 P5사이에서 확장하는 권취부(140b)는 4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07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3 층(155)은 제2 1차 권취부(140b) 둘레에 감겨진다. 제3 층(155)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1 및 제2 1차 권취부(140a 및 140b)는 핀 P1와 P6간에 확장하는 제1 코일(140)을 제한하도록 핀 P3을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third wire 150 of the type “39SPN155 ° C.” wire is randomly woun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153 to form a second primary winding 140a. Wire 150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 P 3 , randomly wound about 400 times around second film layer 153, and connected to pin P 5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fter being connected to pin P 5 , the third wire 150 is randomly wound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153 again 100 time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 P 6 . In this embodiment, the winding 140b extending between pins P 3 and P 5 includes 400 rota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07 Ω ± 10%. The third layer 155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imary winding 140b. The third layer 155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140a and 140b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3 to limit the first coil 140 extending between pins P 1 and P 6 .

"34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4 와이어(152)는 제2 2차 권취부(142b)를 형성하도록 제3 필름층(155)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142b)는 1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58.0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8및 P11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4 층(157)은 제2 2차 권취부(142b) 둘레에 감겨진다. 제4 층(157)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1 변압기(100)의 제1 및 제2 2차 권취부(142a 및 142b)는 핀 P7과 P11간에 확장하는 제2 코일(142)을 제한하도록 핀 P9를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fourth wire 152 of the type “34SPN155 ° C.” wire is wound randomly around the third film layer 155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form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142b. The winding 142b includes 1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58.0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8 and P 11 . The fourth layer 157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142b. The fourth layer 157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142a and 142b of the first transformer 100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9 to limit the second coil 142 extending between pins P 7 and P 11 .

와이어들(144, 148, 150 및 152)은 Phelps Dodge 코포레이션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Wires 144, 148, 150, and 152 are available from Phelps Dodge Corporation.

제1 변압기의 코어(130)는 코어(30)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많은 E-코어 및 I-코어 섹션(132 및 134)로부터 형성된다. 도 9 및 11 참조. 이들 섹션(132 및 134)은 29게이지, M6 등급 강철 등의 강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E-코어 섹션(132)은 약 0.14인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I-코어 섹션(134)은 약 0.14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코어(130)의 길이(Lc)는 약 1.875인치이고, 코어(130)의 두께(Tc)는 약 0.625인치이고, 코어(130)의 높이(Hc)는 약 1.5625인치이다. 도 9 참조.The core 130 of the first transformer is formed from numerous E-core and I-core sections 132 and 134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re 30. See FIGS. 9 and 11. These sections 132 and 134 include ferromagnetic materials such as 29 gauge, M6 grade stee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E-core section 132 is about 0.14 inches thick. Each I-core section 134 has a thickness of about 0.14 inches. The length Lc of the core 130 is about 1.875 inches,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130 is about 0.625 inches, and the height Hc of the core 130 is about 1.5625 inches. See FIG. 9.

1차 권취부(140a 및 140b)는 1차 권취부(140a, 140b)와 2차 권취부(142a, 142b) 사이에 고도의 결합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권취부들(140a, 140b 및 142a, 142b) 간의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도록 2차 권취부(142a, 142b)와 인터리브된다. 변압기(100)는 하위 레벨 오디오 신호를 수용하는 회로(300)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1차 유도 저항을 증가시키고, 용량성 리액턴스를 감소시키고, 회로(300)의 전체적인 주파수 응답을 증가시키도록 매우 낮은 자속 밀도로 설계된다.The primary windings 140a and 140b not only achieve a high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primary windings 140a and 140b and the secondary windings 142a and 142b, but also the windings 140a, 140b and 142a and 142b. Interleaved with secondary windings 142a and 142b to minimize capacitance of the liver. Transformer 100 is highly capable of increasing the circuit 300's ability to accept lower level audio signals, increasing primary inductive resistance, reducing capacitive reactance, and increasing the overall frequency response of the circuit 300. It is designed with low magnetic flux density.

제2 변압기(200)의 제1 코일(240)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1차 권취부(240a 및 240b)에 의해 제한된다. 도 8 참조. 제2 코일(242)은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2차 권취부(242a 및 242b)에 의해 제한된다.The first coil 240 of the second transformer 200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240a and 240b connected in series. See FIG. 8. The second coil 242 is limi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242a and 242b connected in series.

"39 싱글-폴리-나일론(SPN) 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1 와이어(244)는 제1 1차 권취부(240a)를 형성하기 위해 보빈(220)의 관상부(222)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240a)는 1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250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1및 P3에 접속된다. 도 8, 13 및 13a 참조. 상기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 등의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1 층(251)은 제1 1차 권취부(240a) 둘레에 감겨진다. 제1 층(251)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A first wire 244 of the type “39 single-poly-nylon (SPN) 155 ° C.” wire is clocked around the tubular portion 222 of the bobbin 220 to form a first primary winding 240a. In a random direction. The winding portion 240a includes 1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250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1 and P 3 . See FIGS. 8, 13 and 13a. The first layer 251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such as that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wound around the first primary winding 240a. First layer 251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34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2 와이어(248)는 제1 2차 권취부(242a)를 형성하도록 제1 필름층(251)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242a)는 2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5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7및 P8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2 층(253)은 제1 2차 권취부(242a) 둘레에 감겨진다. 도 14 참조. 제2 층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A second wire 248 of the type “34PN155 ° C.” wire is wound randomly around the first film layer 25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form the first secondary winding 242a. The winding 242a includes 2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56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7 and P 8 . The second layer 253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first secondary winding 242a. See FIG. 14. The second layer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39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3 와이어(250)는 제2의 1차 권취부(240a)를 형성하도록 제2 필름층(253) 둘레에 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와이어(250)는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3에 접속되고, 제2 필름층(253) 둘레에 약 500회 랜덤하게 감겨지고, 핀 P6에 접속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핀 P5에 접속된 후 제3 와이어(250)는 제2 필름층(253) 둘레에 또 500회 랜덤하게 감겨지고,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6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핀 P3과 P5사이에서 확장하는 권취부(240b)는 5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50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의 제3 층(255)은 제2 1차 권취부(240b) 둘레에 감겨진다. 제3 층(225)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2 변압기(200)의 제1 및 제2 1차 권취부(240a 및 240b)는 핀 P1와 P5간에 확장하는 제1 코일(240)을 제한하도록 핀 P3을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third wire 250 of the type “39SPN155 ° C.” wire is randomly wound clockwise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253 to form a second primary winding 240a. Wire 250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 P 3 , randomly wound about 500 times around second film layer 253, and connected to pin P 6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fter being connected to pin P 5 , the third wire 250 is randomly wound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253 and 500 time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 P 6 . In this embodiment, the winding 240b extending between pins P 3 and P 5 includes 5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50Ω ± 10%. The third layer 255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imary winding 240b. The third layer 225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240a and 240b of the second transformer 200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3 to limit the first coil 240 extending between pins P 1 and P 5 .

"34SPN155℃" 와이어라는 유형의 제4 와이어(252)는 제2 2차 권취부(242b)를 형성하도록 제3 필름층(255)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랜덤하게 감겨진다. 권취부(242b)는 2000개의 회전을 포함하고, 약 186Ω±10%의 DC 저항을 갖는다. 그것은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8및 P11에 접속된다. 상기 중합체 강화 섬유 필름(도시되지 않음)의 제4 층(257)은 제2 2차 권취부(242b) 둘레에 감겨진다. 제4 층(257)은 약 0.0065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제2 변압기(200)의 제1 및 제2 2차 권취부(242a 및 242b)는 핀 P7과 P11간에 확장하는 제2 코일(242)을 제한하도록 핀 P9를 통해 직렬로 접속된다.A fourth wire 252 of the type “34SPN155 ° C.” wire is randomly woun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third film layer 255 to form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242b. The winding 242b includes 2000 revolutions and has a DC resistance of about 186 Ω ± 10%. It is soldered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s P 8 and P 11 . The fourth layer 257 of the polymer reinforced fiber film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second secondary winding 242b. The fourth layer 257 has a thickness of about 0.0065 inches.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242a and 242b of the second transformer 200 are connected in series via pin P 9 to limit the second coil 242 extending between pins P 7 and P 11 .

와이어들(244, 248, 250 및 252)은 펠스 도지(Phelps Dodge) 코포레이션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Wires 244, 248, 250, and 252 are available from Phelps Dodge Corporation.

코어(230)는 상기 코어(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많은 E-코어 및 I-코어 섹션(232 및 234)로부터 형성된다. 도 12 및 14 참조. 이들 섹션(232 및 234)은 29게이지, M6 등급 강철 등의 강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E-코어 섹션(232)은 약 0.14인치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I-코어 섹션(234)은 약 0.14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코어(230)의 길이(Lc)는 약 2.25인치이고, 코어(230)의 두께(Tc)는 약 0.750인치이고, 코어(230)의 높이(Hc)는 약 1.875인치이다. 도 1 참조.Core 230 is formed from numerous E-core and I-core sections 232 and 234 in the same manner as core 30 above. See FIGS. 12 and 14. These sections 232 and 234 include ferromagnetic materials such as 29 gauge, M6 grade stee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E-core section 232 is about 0.14 inches thick. Each I-core section 234 has a thickness of about 0.14 inches. The length Lc of the core 230 is about 2.25 inches, the thickness Tc of the core 230 is about 0.750 inches, and the height Hc of the core 230 is about 1.875 inches. See FIG. 1.

1차 권취부(240a 및 240b)는 1차 권취부(240a, 240b)와 2차 권취부(242a, 242b) 사이에 고도의 결합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권취부들(240a, 240b 및 242a, 242b) 간의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도록 2차 권취부(242a, 242b)와 인터리브된다. 변압기(200)는 하위 레벨 오디오 신호를 수용하는 회로(300)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1차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고, 용량성 리액턴스를 감소시키고, 회로(300)의 전체적인 주파수 응답을 증가시키도록 매우 낮은 자속 밀도로 설계된다.The primary windings 240a and 240b achieve a high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primary windings 240a and 240b and the secondary windings 242a and 242b as well as the windings 240a, 240b and 242a and 242b. Interleaved with secondary windings 242a and 242b to minimize capacitance of the liver. Transformer 200 is very low to increase circuit 300's ability to receive lower level audio signals, increase primary inductance, reduce capacitive reactance, and increase overall frequency response of circuit 300. It is designed with magnetic flux density.

제1 및 제2 변압기(100 및 200)는 수동 회로(300)를 제한하기 위해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서로 접속된다. 제1 훅업 또는 점퍼 와이어(301), 24 게이지형(UL1007) 리드 와이어는 제1 변압기(100)의 핀 P5에 및 제2 변압기(200)의 핀 P5에 결합되고, 제2훅업 와이어(303), 24 게이지형(UL1007) 리드 와이어는 제2 변압기(200)의 핀 P7에 및 제1 변압기(100)의 핀 P7에 결합된다. 24 게이지 리드 와이어는 Belden 코포레이션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100 and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s illustrated in FIG. 8 to limit the passive circuit 300. The first hook-up or jumper wire 301, 24 gauge type (UL1007) lead wire is coupled to pin P 5 of the first transformer 100 and pin P 5 of the second transformer 200, and the second hook-up wire ( 303, a 24 gauge type UL1007 lead wire is coupled to pin P 7 of the second transformer 200 and to pin P 7 of the first transformer 100. 24 gauge lead wires are available from Belden Corporation.

수동 회로(300)의 입력단은 오디오 신호 소스 S,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 DAT 플레이어,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테이프 플레이어 등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수동 회로(300)의 출력단은 오디오 증폭기, 예를 들면 예비 증폭기 스테이지 또는 동력 증폭기 스테이지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 참조. 임의의 시판중인 커넥터(들)가 단일-말단의 커넥터 또는 밸런스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호 소스에 수동 회로(300)를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S와 오디오 증폭기 A 사이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접속되지 않는다. 변압기(100 및 200)가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때, 이들은 입력 오디오 신호가 그를 통해 전송될 때 오디오 신호는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도록 서로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he input of the passive circuit 300 may be directly coupled to an audio signal source S, for example a CD player, a DAT player, a laser disk player, a tape player, etc., and the output of the passive circuit 300 may be an audio amplifier, for example It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preliminary amplifier stage or the power amplifier stage. See FIG. 8. Any commercially available connector (s) can be used to connect the passive circuit 300 to a signal source including a single-ended connector or a balanced connector. No active element is connected between source S and audio amplifier A. When the transformers 100 and 200 are coupled in this manner, they are fou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so that when the input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erethrough the audio signals exhibit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도 15에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수동 회로(300)에 의해 발생된 제1, 제2 및 제3의 전형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들 C1, C2, C3이 도시된다. 각각의 곡선에 대해, 출력 전압은 표준화된 입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와 대비하여 플로트된다. 주파수 응답 곡선들 C1, C2, C3은 제1 및 제2 변압기(100 및 200)의 핀 P1을 약 20Hz 내지 약 22KHz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스위프된 1V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인 신호 소스 S에 접속시키고, 변압기(100 및 200)의 핀 P11을 종래의 오디오 증폭기에 접속될 때 그의 로드가 변압기(100 및 200)가 알 수 있는 등가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20 ㏀(곡선 C1), 25 ㏀(곡선 C2) 및 100 ㏀(곡선 C3)의 저항 로드에 접속시킴으로써 얻어졌다. 입력 소스 S와 저항 로드 간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개입되지 않았다.In FIG. 15, first, second and third typical frequency response curves C 1 , C 2 , C 3 generated by the passive circuit 300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are shown. For each curve, the output voltage is plotted against the frequency for the normalized input audio signals. The frequency response curves C 1 , C 2 , C 3 are signal generators that generate a 1V input signal swept pin P 1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100 and 200 through a frequency band of about 20 Hz to about 22 KHz. When connected to signal source S and pin P 11 of transformers 100 and 200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audio amplifier, its load exhibits 20 kW (curve C 1) representing the equivalent impedance that transformers 100 and 200 can know. ), 25 kV (curve C 2 ) and 100 kV (curve C 3 ) to obtain a resistance rod. No active device intervened between the input source S and the resistive load.

제1, 제2 및 제 곡선들 C1, C2, C3각각은 입력 오디오 신호가 수동 회로(300)를 통해 통과하고 이 수동 회로(300)의 출력단이 저항 로드에 접속될 때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해 발생하는 증폭을 나타낸다. 저항 로드는 곡선 C1에 대해 20 ㏀이고, 곡선 C2에 대해 50 ㏀이고, 곡선 C3에 대해 100 ㏀이다. 이들 3개의 곡선들 C1, C2, C3에 대해, 하한 및 상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는 수동 회로(300)를 통해 전송될 때 왜곡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비선형 증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중간 주파수(20㏀ 로드에 대해 약 2.0KHz 및 50㏀ 및 100㏀ 로드에 대해 약 2.5KHz 및 3.5KHz)에서 피크 고 주파수(20㏀, 50㏀ 및 100㏀에 대해 약 22KHz)까지의 주파수에서 증가하고,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20㏀ 로드에 대해 약 20Hz, 50㏀ 로드에 대해 약 800Hz 및 100㏀ 로드에 대해 약 1000Hz)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약 2.0 내지 약 3.4이다.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약 1.9 내지 약 2.5이다. 따라서, 곡선 C1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2 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8배이고,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2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1.7배이다. 곡선 C2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3 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8배이고,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3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1.3배이다. 곡선 C3에 대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3.5 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약 1.8배이고,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은 3.5KHz에서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의 1.4배이다.Each of the first, second and second curves C 1 , C 2 , C 3 is an input audio signal when an input audio signal passes through the passive circuit 300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passive circuit 300 is connected to a resistive load. It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occurring for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resistive rod is 20 kW for curve C 1 , 50 kW for curve C 2 , and 100 kW for curve C 3 . For these three curves C 1 , C 2 , C 3 , the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having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appears to be distorted when transmitted through the passive circuit 300. This distortion is nonlinear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at peak high frequencies (20 Hz, 50 at 20 Hz, about 2.0 KHz and 50 Hz and 100 Hz load at about 2.5 KHz and 3.5 KHz). Increasing at frequencies up to about 22 KHz for kHz and 100 Hz, and up to peak low frequencies (about 20 Hz for 20 Hz loads, about 800 Hz for 50 Hz loads, and about 1000 Hz for 100 Hz loads) at intermediate frequencies Increases with decreasing.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2.0 to about 3.4.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the peak low frequency is about 1.9 to about 2.5. Thus, for curve C 1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1.8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2 KHz, an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low frequency is 1.7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2 KHz. . For curve C 2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1.8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3 KHz, an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low frequency is 1.3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3 KHz. For curve C 3 ,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1.8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3.5 KHz an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the peak low frequency is 1.4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at 3.5 KHz.

주어진 로드에 대한 수동 회로(300)의 주파수 응답은 다음: 즉, 1개 이상의 코일(140, 142, 240, 242)의 회전수; 1개 이상의 코일(140, 142, 240, 242)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와이어의 크기 및 유형; 1개 이상의 코일(140, 142, 240, 242)의 DC 저항; 코어(130 및 230)중 하나 또는 모두의 형상 및 크기; 및 코어(130 및 230)중 하나 또는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물질의 게이지 및 등급 중의 하나 이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회로(300)의 하한 주파수 응답은 예를 들면 1) 1차 대 2차 회전 비율(즉, 제2 코일(142 및 242)의 조합된 회전에 대한 제1 코일(140 및 240)의 조합된 회전의 비율); 2) 제1 및 제2 코일(140, 142, 240, 242)의 회전수 및 코어들(130 및 230)이 제조되는 물질의 게이지 및 등급에 의해 제어되는 1차 인덕턴스; 3) 코일(140, 142, 240, 242)의 DC 저항, 코일(140, 142, 240, 242)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와이어의 크기 및 유형, 및 코일(140, 142, 240, 242)의 각각의 회전의 평균 길이; 및 4) 신호 소스 S 및 로드의 임피던스 등의 인자에 의해 제어된다. 수동 회로(300)의 상한 주파수 응답은 예를 들면 1) 인터-와인딩 커패시턴스, 즉, 제1 코일(140, 240)과 제2 코일(142, 242) 간의 커패시턴스; 2) 인트라-와인딩 커패시턴스, 즉 각각의 변압기(100 및 200)에 대해 인접한 1차 및 2차 권취부 간의 커패시턴스; 3) 1차 및 2차 권취부 배치; 및 4) 신호 소스 S와 로드의 임피던스 등의 인자에 의해 제어된다.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passive circuit 300 for a given load is as follow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one or more coils 140, 142, 240, 242; The size and type of wire used to construct one or more coils 140, 142, 240, 242; DC resistance of one or more coils 140, 142, 240, 242; The shape and size of one or both of cores 130 and 230; And gauges and grades of materials used to form one or both of cores 130 and 230 may be varie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limit frequency response of the passive circuit 300 is for example 1) primary to secondary rotational ratio (ie, the first coil 140 and the combined rotation of the second coils 142 and 242). The rate of combined rotation of 240); 2) primary inductance controlled by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ils 140, 142, 240, 242 and the gauge and grade of the material from which the cores 130 and 230 are made; 3) DC resistance of the coils 140, 142, 240, 242, the size and type of wire used to construct the coils 140, 142, 240, 242, and the coils 140, 142, 240, 242. Average length of each rotation; And 4) factors such as the signal source S and the impedance of the load. The upper frequency response of the passive circuit 300 may be, for example, 1) inter-winding capacitance, that is,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coil 140, 240 and the second coil 142, 242; 2) intra-winding capacitance, ie the capacitance between adjacent primary and secondary windings for each transformer 100 and 200; 3) place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windings; And 4) factors such as the impedance of the signal source S and the load.

변압기(10)의 커패시턴스가 변화되는 경우, 주파수 대역의 상한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변화될 수 있는 것 역시 믿어진다. 커패시턴스는 1개 이상의 필름층(151, 153, 155, 251, 253, 255)의 두께; 1개 이상의 권취부(140a, 142a, 140b, 142b, 240a, 242a, 240b, 242b)의 DC 저항; 및(또는) 1개 이상의 권취부(140a, 142a, 140b, 142b, 240a, 242a, 240b, 242b)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변압기(100 및 200) 중의 하나 또는 모두의 인덕턴스가 변화되는 경우, 주파수 대역의 하한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인덕턴스는 제1 코일(140 및 240)의 조합된 회전수 및(또는) 코어(130 및 230)가 제조되는 물질의 게이지 및 등급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100 및 200)가 주어진 로드에 결합될 때 목적하는 주파수 응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변압기(100 및 200)의 구성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경험적 결정이 필요하다.It is also believed that when the capacitance of the transformer 10 is change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the upper limit of the frequency band can be changed. Capacitance is the thickness of one or more film layers 151, 153, 155, 251, 253, 255; DC resistance of at least one winding 140a, 142a, 140b, 142b, 240a, 242a, 240b, 242b; And / or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one or more windings 140a, 142a, 140b, 142b, 240a, 242a, 240b, 242b. It is believed that when the inductance of one or both of the transformers 100 and 200 is changed,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the lower limit of the frequency band can be changed. Inductance can be varied by changing the combined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coils 140 and 240 and / or the gauge and grade of the material from which the cores 130 and 230 are made. Thus, empirical decisions are need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ransformers 100 and 200 in order to affect the desired frequency response when the transformers 100 and 200 are coupled to a given load.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력 신호는 그 입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키기 위해 수동 회로(300)를 통해 입력 오디오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주파수 성분들이 제1 중간 또는 기준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하고, 제1 중간 또는 기준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이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일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 이상에서는, 주파수 성분들이 피크 고 주파수에서 상한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 이하에서는, 주파수 성분들이 피크 저 주파수에서 하한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증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ignal is distorted into an augmented audio signal by passing the input audio signal through the passive circuit 300 to amplif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signal.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in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or referenc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or referenc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may be the same frequency or different frequencies. Above the peak high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mplification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high frequency to the upper limit frequency. Below the peak low frequency, it may be desirable for the amplification to de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peak low frequency to the lower limit frequenc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단일 주파수인 것들 대신에, 좁은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진폭을 가질 수 있도록 피크 고 주파수, 피크 저 주파수 또는 이들 모두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ose that are single frequencies, it is preferred that the peak high frequency, peak low frequency or both be relatively narrow range frequencies so that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narrow range generally have the same amplitude. It is expected to be desirable.

피크 고 주파수는 약 6KHz 내지 약 30KHz 범위일 수 있다.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제1 중간 주파수의 증폭의 약 1.5배 내지 약 3.0배일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는 약 20Hz 내지 약 1KHz 범위일 수 있다.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제2 중간 주파수의 증폭의 약 1.25배 내지 약 2.0배일 수 있다.The peak high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6KHz to about 30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high frequency may be about 1.5 to about 3.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he peak low frequency may range from about 20 Hz to about 1 KHz.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s) at the peak low frequency may be about 1.25 times to about 2.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관하여, 1개 이상의 변압기(10, 100 및 200)가 탭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태핑은 제1 및 제2 1차 권취부 및 제1 및 제2 2차 권취부 중의 임의의 것의 권취 중에 발생할 수 있다. 권취부의 소정의 회전수가 보빈 둘레에서 권취된 후 최종 회전수가 형성되기 전에, 권취되는 와이어는 보빈의 다른 핀들에 접속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변압기가 탭된다. 제3 와이어(150)가 제2 필름층(153) 둘레에서 400회 랜덤하게 권취된 후, 그것은 감겨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핀 P5에 접속된다. 이후, 와이어(150)는 또 다시 100회 권취되고 핀 P6에 접속된다. 와이어(301)가 핀 P5에 접속되는 경우, 효과적인 제2 1차 권취부(140b)는 400 회전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와이어(301)가 핀 P5에 접속되는 경우, 효과적인 제2 1차 권취부(140b)는 500 회전을 포함한다. 핀 P5에서 P8로 와이어(301)의 접속을 변화시킴으로써, 수동 회로(300)를 통해 통과하는 오디오 신호의 증강이 변화된다.With regar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is envisaged that one or more transformers 10, 100 and 200 can be tapped. Tapping may occur during the winding of any of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windings and any of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windings. After the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of the winding is wound around the bobbin and before the final rotational speed is formed, the wound wire can be connected to other pins of the bobbi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transformer is tapped. After the third wire 150 is randomly wound 400 times around the second film layer 153, it is wound up or otherwise connected to pin P 5 . Thereafter, the wire 150 is again wound 100 times and connected to the pin P 6 . When the wire 301 is connected to the pin P 5 , the effective second primary winding 140b includes 400 turns. Alternatively, when wire 301 is connected to pin P 5 , the effective second primary winding 140b includes 500 turns. By varying the connection of wire 301 from pin P 5 to P 8 , the enhancement of the audio signal passing through passive circuit 300 is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오리지널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낸다. 추가의 장점 및 변형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상기 수동 회로, 즉, 2개 이상의 제1 수동 회로(5), 2개 이상의 제2 수동 회로(300) 또는 이들 수동 회로(5 및 300)의 조합이 직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enhanced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original input audio signal. Additional advanta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wo or more of the passive circuits, that is, two or more first passive circuits 5, two or more second passive circuits 300, or a combination of these passive circuits 5 and 300 may be used in series. It may be desirable.

더욱이, 음악 및 음성의 컴팩트 디스크로부터의 전자 오디오 신호들이 본 발명의 회로를 통해 전송되고, 생성된 증강된 전자 오디오 신호들이 소비자용 카세트 플레이어/레코더를 사용하여 카세트 테이프 상으로 재기록될 때, 기록된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생성된 음악 및 음성의 음질은 컴팩트 디스크로부터 직접적으로 생성된 동일한 음악 및 음성보다 더 잘 지각된다. 이는 컴팩트 디스크 포맷이 카세트 테이프 포맷에 비해 우수한 음질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널리 인식되는 경우에 조차 발생하였다.Moreover, electronic audio signals from compact discs of music and voice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generated augmented electronic audio signals are rewritten onto a cassette tape using a consumer cassette player / recorder, they are recorded. The sound quality of music and voice generated from cassette tapes is perceived better than the same music and voice produced directly from compact discs. This even occurred when the compact disc format was widely recognized as producing superior sound quality compared to the cassette tape format.

본 발명은 기록 매체(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 또는 광 디스크) 상으로 기록하기 전 또는 음향학적 사운드 또는 기타 사운드 임펄스로 변환시키기 전에 사운드 변환 장비, 예를 들면 보청기, 마이크로폰 등으로부터 전자 오디오 신호들을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공기중으로 또는 일부 다른 매체를 통해, 예를 들면 텔레비전, 라디오, 소나, 컴퓨터 또는 셀방식 전화 사용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전송선, 예를 들면, 전화, 케이블 TV 또는 컴퓨터 사용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콘서트, 연극, 레스토랑, 또는 목로 술집에서 사용하기 위해 가청음로 직접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소나 이미지 등을 구별하는 데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enhances electronic audio signals from sound conversion equipment such as hearing aids, microphones, etc. before recording onto a recording medium (e.g., magnetic tape or optical disk) or before converting to acoustic sound or other sound impulse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to make. Furthermore, the augmented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transmitted in the air or through some other medium, for example through the use of television, radio, sonar, computer or cellular telephones; Can be transmitted via transmission lines, eg, telephone, cable TV or computer use; Can be converted directly to audible sound for use in concerts, plays, restaurants, or bar pub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including audio signals, for example in distinguishing between cows, images and the like.

수동 회로는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 예 약 3.5KHz에서 피크 저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비선형으로 증폭시키는 단일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약 3.5KHz 내지 약 20KHz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1.0 미만 또는 1.0을 초과하는 단일 이득(1.0)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은 중간 주파수 성분의 증폭 또는 3.5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중간 주파수 성분들의 범위의 평균 증폭의 약 1.25배 내지 약 2.0배일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The passive circuit includes a single transformer that amplifies nonlinearl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such that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intermediate frequencies, e.g., from 3.5 KHz to peak low frequencies.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It is believed that amplification of frequency components from about 3.5 KHz to about 20 KHz may have a single gain (1.0) below 1.0 or above 1.0. It is believed that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at the peak low frequency may be about 1.25 to about 2.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 or the average amplification of the range of intermediate frequency components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3.5 KHz to 20 KHz.

따라서, 본 발명은 광의의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재된 특정 상세한 설명, 대표적인 장치 및 방법, 및 예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독창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그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출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특허 청구의 범위 또는 그의 동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in terms of the specific details, representative apparatus and methods, and examples shown and described herein. It is possible to start from such a detailed descri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Claims (23)

상한 및 하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에 있어서,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킴으로써 그를 통해 전송될 때 입력 신호를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키는 것으로, 주파수 성분들이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하고, 여기서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것인 수동 회로를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1. An input audio signal quality enhancing apparatus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a frequency band having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comprising: amplifying frequency components of an input audio signal to distort the input signal into an enhanced audio signal when transmitted therethrough, the frequency component Passive circuit, in which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y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where the augmented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Input audio signal quality enhancement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고 주파수가 약 6KHz 내지 약 30KHz 범위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eak high frequency ranges from about 6KHz to about 30KHz. 제1항에 있어서, 피크 고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증폭이 상기 중간 주파수의 증폭의 약 1.5배 내지 약 3.0배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peak high frequency is about 1.5 to about 3.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로는 주파수 성분들이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하도록 입력 신호를 추가로 왜곡시키는 것이고,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보다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것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2. The passiv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passive circuitry further distorts the input signal such that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And the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저 주파수는 약 20Hz 내지 약 1.0KHz 범위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peak low frequency ranges from about 20 Hz to about 1.0 KHz. 제4항에 있어서, 피크 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성분의 진폭은 상기 제2 중간 주파수의 증폭의 약 1.25배 내지 약 2.0배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amplitude of the frequency component at peak low frequency is about 1.25 to about 2.0 times the amplific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are the same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assive circuit comprises at least one transform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는 단일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변압기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comprises a single transformer, the single transformer affecting the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Is nonlinearly increasing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는 제1 및 제2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고, 상기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2 부분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상기 입력 신호의 추가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are adapted to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Affecting, wherein the first portion increases nonlinearly from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nd affects further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second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And the second portion nonlinearly increase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low frequenc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인 입력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equencies are the same frequency. 상한 및 하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 소스;An audio source for generating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a frequency band having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스피커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오디오 증폭기; 및An audio amplifier for generating a speaker drive signal; And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이 증가하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킴으로써 그를 통해 전송될 때 입력 신호를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키는 것으로, 여기서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것인,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증폭기에 결합시키는 수동 회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By amplifying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so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distorting the input signal into the augmented audio signal as it is transmitted through it. Wherein the augmented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of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comprising passive circuitry coupling the input audio signal to the audio amplifi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소스와 상기 오디오 증폭기 사이에 어떠한 능동 소자도 결합되지 않는 오디오 시스템.13. The audio system of claim 12, wherein no active element is coupled between the audio source and the audio amplifi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로는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이 진폭에 있어서 증가하도록 입력 신호를 추가로 왜곡시키는 것이고,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보다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것인 오디오 시스템.13. The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passive circuitry further distorts the input signal such that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 in amplitude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low frequencies. The signal exhibiting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를 포함하는 것인 오디오 시스템.13. The audio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passive circuit comprises at least one transform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는 단일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변압기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인 오디오 시스템.16. 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comprises a single transformer, the single transformer affecting the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Is nonlinearly increasing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압기는 제1 및 제2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압기는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1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바의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고, 상기 주파수 응답 곡선의 제2 부분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상기 입력 신호의 추가의 진폭 왜곡에 영향을 미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2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 비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인 오디오 시스템.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form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are adapted to the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first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Affecting, the first portion increases nonlinearly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the peak high frequency, affecting further amplitude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as defined by the second por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curve Wherein said second portion increases nonlinearly from a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to a peak low frequency. 상한 및 하한을 갖는 주파수 대역 내의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n input audio signal consisting of frequency components in a frequency band having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증폭시키기 위해 그를 통해 입력 오디오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입력 오디오 신호를 증강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고 주파수에 이르는 주파수에서 증가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하고,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전자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방법.Distorting the input audio signal into an augmented audio signal by passing the input audio signal there through to amplify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as the frequency components in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high frequencies. And wherein the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increased and the enhanced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compared to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단계는 주파수 성분들이 중간 주파수에서 피크 저 주파수까지의 주파수에서 감소함에 따라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의 증폭이 증가하도록 입력 신호를 추가로 왜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증강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그것에 비해 보다 개선된 조파 품질을 나타내는 것인 전자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tortion step further comprises distorting the input signal such that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audio signal increases as the frequency components decrease at frequencies from intermediate to peak low frequencies. Wherein the enhanced audio signal exhibits an improved harmonic quality of that of the input audio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된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augmented audio signal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augmented audio signal into soun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오디오 신호 품질 증강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recording the augmented audio signal on a recording medium. 제18항의 방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증강된 오디오 신호를 그 위에 기록한 기록 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t least one augmented audio signal by the method of claim 18.
KR1020007006429A 1997-12-12 1998-12-11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KR2001003306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937397A 1997-12-12 1997-12-12
US8/989,373 1997-12-12
PCT/US1998/026430 WO1999030414A1 (en) 1997-12-12 1998-12-11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068A true KR20010033068A (en) 2001-04-25

Family

ID=2553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429A KR20010033068A (en) 1997-12-12 1998-12-11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38350A4 (en)
JP (1) JP2001526482A (en)
KR (1) KR20010033068A (en)
CN (1) CN1284214A (en)
AU (1) AU1911599A (en)
CA (1) CA2313695A1 (en)
WO (1) WO19990304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68801A (en) * 1999-12-08 2001-06-18 True Dimensional Soun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CN101221767B (en) * 2008-01-23 2012-05-30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Voice boosting device and method used o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911599A (en) 1999-06-28
JP2001526482A (en) 2001-12-18
EP1038350A4 (en) 2001-04-04
WO1999030414A1 (en) 1999-06-17
EP1038350A1 (en) 2000-09-27
CN1284214A (en) 2001-02-14
CA2313695A1 (en) 199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te et al. The audio dictionary: revised and expanded
Maxfield et al. Methods of high quality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music and speech based on telephone research
US627559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EP078872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audio signals
US6771784B2 (en) Sub woofer system
US6775385B1 (en) Loudspeaker frequency distribution and adjusting circuit
KR20010033068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US4547819A (en) Magnetic pickup preamplifier
US5386474A (en) Amplifier-speaker interface correction circuit
WO20010431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electronic audio signals
KR200273806Y1 (en) Noise reducer
US5539833A (en) Audio signal amplifier device
JP3085651U (en) Common mode filter for improving audio signal sound quality
RU2102794C1 (en) Transducer from non-electric to electric signals
CN116756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audio signals
JPS6143359Y2 (en)
US20050226443A1 (en) Method for RIAA correction of audio signal with use of transformer and capacitor
De Miranda Hi-fi philosophy from a European point of view
JPH036741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CA220315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audio signals
EP1096829B1 (en) System for transcription and playback of sonic signals
JPH11234786A (en) Digital sound reproduction device
Korn The Design of a High-Fidelity Amplifier for Domestic Use
Alert et al. X-Curve History by Tomlinson Holman
MXPA99001506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