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313A -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313A
KR20010025313A KR1020000075347A KR20000075347A KR20010025313A KR 20010025313 A KR20010025313 A KR 20010025313A KR 1020000075347 A KR1020000075347 A KR 1020000075347A KR 20000075347 A KR20000075347 A KR 20000075347A KR 20010025313 A KR20010025313 A KR 20010025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auction
discount rate
creditor
b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호
유성권
Original Assignee
김동훈
주식회사 일렉트로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훈, 주식회사 일렉트로피아 filed Critical 김동훈
Priority to KR102000007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313A/ko
Publication of KR2001002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13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권을 e-Marketplace를 통한 경매 시장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매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은, 채무자인 물품 구매자, 채권자이고 채권을 매도하고자 하는 물품 판매자, 회원의 인증 및 경매 과정을 제어하는 경매 전용 서버,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 채권 데이터베이스,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 경매 지원 센터, 은행, 수요자들에게 채권에 대한 매입이나 매수 정보를 경매 전용 서버와 연계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 채권을 매입하고자 하는 수요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채권에 대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경매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중소 납품 업체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경매 전용 서버를 통해 채권을 전자적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하므로, 매매 당사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금액이 큰 채권을 자신이 원하는 금액만큼 분할해서 매도함으로써, 채권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다.

Description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AUCTION OF BOND}
본 발명은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채권(수표, 유가 증권, 어음)을 e-Marketplace를 통한 경매 시장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매입 또는 매도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 기업간의 거래에 있어서 채권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나라의 상거래 현실에서 중소 기업은 관행적인 채권의 할인 등으로 불이익을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급한 기업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채권을 매도하고 싶어도, 채권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이 한정되어 있고, 원치 않는 높은 할인율에 채권을 파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손쉽게 전자적으로 채권을 등록 또는 매매하고, 이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의하여 채권을 온라인으로 거래하는 몇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채권 거래의 경우에는 유형의 물품을 팔고 사는 거래 방식과 다른 몇가지 절차를 고려하여야 하는 특이성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온라인 상에서 채권의 경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은, 채권을 가상 공간에서의 경매를 통해 매매하는 채권의 경매 방법으로,
채권의 채권자가 채권을 전자 등록하고, 할인율을 입력하는 단계;
채권을 콜 센터나 부가 통신 사업자를 통해, 채권의 수요자에게 공시하는 단계;
채권의 수요자가 입력한 할인율 또는 가격에 의해, 전자 등록된 채권 중 상기 할인율 또는 가격에 적합한 채권을 검색하여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채권의 수요자가 채권의 리스트에서 하나의 채권을 선택하여 응찰하는 단계;
선택된 채권에 응찰한 채권 수요자들 중 가장 낮은 할인율을 제시한 채권 수요자를 낙찰시키는 단계;
낙찰된 채권의 채무자에게 경매의 내용을 송부하고, 채권의 매매에 대한 승낙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채권의 채무자로부터 승낙서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시스템의 오프라인으로의 변형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오프라인 경매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대금 환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의 등록과 경매 절차의 흐름도.
도 7은 채권 구매자의 계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8은 채권 판매자의 계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9는 채권의 자금 이체 완료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0은 소액 채권의 공동 청구자 리스트를 검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1은 채권 양도 승낙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물품 구매자 20 : 물품 판매자
30 : 경매 전용 서버
31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32 :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
33 : 채권 데이터베이스 34 :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
40 : 경매 지원 센터 50 : 은행
60 :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 70 : 수요자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시스템은, 채무자인 물품 구매자(10), 채권자이고 채권을 매도하고자 하는 물품 판매자(20), 회원의 인증 및 경매 과정을 제어하는 경매 전용 서버(30),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 (32), 채권 데이터베이스(33),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 경매 지원 센터(40), 은행(50),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들에게 채권에 대한 매입이나 매수 정보를 경매 전용 서버(30)와 연계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60), 채권을 매입하고자 하는 수요자(7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로부터 물품을 구입하고, 대금 대신 채권을 교부한 자이다. 다시 말해 채권의 원래 소유주인 채권 발급자인 법인이나 개인을 의미한다.
여기서 채권이라 함은 상품을 매출하고 대금 대신 부여받은 외상 채권과 어음 채권을 포함한 것을 말한다. 채권에는 수표, 유가 증권, 어음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에게 물품을 판매하고, 대금 대신 채권을 교부받은 자이다. 디시 말해 채권을 현재 실제로 소지하고 있는 자로 채권에 대한 대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법인이나 개인을 포함하며, 상기 채권을 경매 전용 서버를 통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등록해 매도하고자 하는 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와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의 매입과 매수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경매 전용 홈페이지를 통해 채권에 대한 매입 또는 매수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채권은 디지털이라는 성질을 이용해 분할로 매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3000만원짜리 채권에서 2500만원만 매도를 하기위해 분할로 경매를 신청하면 500만원이 나머지로 남고, 이 남은 500만원은 다시 독립적인 채권으로 남게 되고, 이때 이 500만원에 대해서는 다시 채권 보유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에서 경매를 마친 후 남은 소액 채권들에 대해서는 차후 공동 청구를 통해 다른 물품 판매자(20)의 채권들과 하나로 묶어 한꺼번에 경매에 부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등록된 회원 정보를 바탕으로 채권을 발행한 회사, 즉 물품 구매자(10)의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한다. 또한 차후 경매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따른 채권의 매매에 관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를 통해 경매를 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지원 센터(40)로 회사의 사업자 등록증을 발송하는 기본적인 과정을 거친 후, 온라인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다. 등록된 기업에 대해서는 국내 신용 평가 기관과의 신용 정보 협력 사업에 의해 등록 기업의 재무제표를 제공받아 기업의 신용도 및 신용 등급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기업의 신용 등급은 차후 채권의 신용 등급을 결정하는 척도로 사용되며, 우량 채권과 불량 채권을 가리는 수단이 되므로 차후 불량 채권을 매수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손실을 사전에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신용 평가 기관과 연계해, 경매를 하고자 하는 기업들에 대한 신용 정보 요청에 대해, 기업 정보는 물론 금융 불량 정보, 신용 평가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이러한 거래 기록들을 본 발명에 따른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하여, 해당 정보를 채권의 매입 기업들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나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채권의 경매에 있어 당사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3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권을 교부한 자, 즉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물품 구매자(10)에 관한 정보란, 신용 등급 내지는 거래 실적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해당 채권의 신용 등급 등을 결정하고 불량 채권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권 데이터베이스(3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에 의해 등록된 채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채권에 관한 정보에는 채권 자체에 관한 정보, 즉 발행 회사, 발행 일자, 만기일 등의 정보와 더불어 채권 할인율도 포함된다. 채권 할인율에는 경매 시작 할인율과 경매 마감 할인율이 있다. 경매 시작 할인율은 물품 판매자(20)가 경매를 통해 받고자하는 최소한의 금액에 대한 할인율로서, 채권의 수요자(70)는 응찰을 함에 있어 경매 시작 할인율 보다 적은 할인율을 입력해야 한다. 또한 경매 마감 할인율은 물품 판매자(20)가 경매를 통해 받고자하는 최대한의 금액에 대한 할인율로서,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한 할인율을 제시한 응찰자가 있을 경우, 그 응찰자가 낙찰되고 경매가 종료된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에는 채권의 경매를 통한 제반 거래 내역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채권이 경매에 부쳐져서 낙찰되었을 경우에는, 응찰자의 수 및 그들이 제시한 할인율, 낙찰된 할인율 등이 저장되고, 유찰되었을 경우에는 그에 대한 내용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지원 센터(40)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를 갖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은행(50)과 연계해 채권을 직접 위탁받고, 현금을 전달한다. 따라서 경매 지원 센터에서 채권을 직접 매도 혹은 매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50)은 채권을 위탁 받고 현금화해서 자금의 계좌 이체를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들에게 채권에 대한 매입이나 매수 정보를 경매 전용 서버(30)와 연계해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Call Center란, 실시간으로 채권에 대한 정보를 PCS, 셀룰러폰, PDA, 노트북, 포터블 PC, 팜탑 등에, 새로운 정보 및 물품 구매자(10)나 물품 판매자(20)의 관심 품목이 경매 전용 서버(30)에 등록되었을 때, 그 정보를 업로딩하는 업무를 하는 곳을 의미한다. 또한 부가 통신 사업자란, 개인용 컴퓨터, PCS, 셀룰러폰, PDA, 노트북, 포터블 PC, 팜탑 등을 포함한 사업을 업으로 하는 자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를 통해 채권의 공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시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에서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와 연계해서 인터넷상의 경매 전용 서버(30) 전용 웹페이지를 통해 채권에 관심이 있는 채권 업체, 종금사 및 일반인들에게 그 정보를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채권에 대한 매매를 업으로 하고 있는, 법인이나 개인을 포함하는 채권 업체나 종금사 등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경매 시스템의 오프라인으로의 변형례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오프라인 경매 시스템은, 채무자인 물품 구매자(10), 채권자이고 채권을 매도하고자 하는 물품 판매자(20), 회원의 인증 및 경매 과정을 제어하는 경매 전용 서버(30),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32), 채권 데이터베이스(33),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 은행(50), 채권을 매입하고자 하는 수요자(70)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각각의 구성 부분의 기능 및 의미는 도 1에서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온라인 경매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온라인 경매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에게 채권을 경매 시장에서 매매를 할 수 있도록 판매 통보를 한다.(30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에 채권을 전자 등록한다.(305 단계) 다시 말해 채권을 디지털화해서 경매 전용 서버(30)에 전송 및 등록하고, 경매 전용 서버(30)는 이것을 본 발명에 따른 채권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매출 정보를 제시한다.(310 단계) 즉, 경매 전용 서버(30)의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등록된 회원 및 외부 접속자들에 대해 채권에 대한 정보를 지원한다. 이 방법은 경매 지원 센터(40)와 연결된 Call Center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60)를 통해 FAX, 유무선 단말기, PC, 인터넷을 이용해 공고 및 응찰 확인 후, 최적격자를 낙찰하는 방법이다.
경매 전용 서버(30)에 공시된 채권에 대해 관심이 있는 수요자(70), 즉 채권 업체, 종금사 또는 개인 등이 응찰을 위해 참여한다.(315 단계)
315 단계에 의한 응찰자 중 낙찰자를 정한다.(320 단계)
다수의 응찰자들 중에서 가장 최적의 조건, 즉 가장 낮은 할인율을 제시한 응찰자가 낙찰된다. 여기서 가장 낮은 할인율은, 상기의 채권의 가장 비싼 가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물품 구매자(10)와 수요자(70)에게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325 단계)
채권을 구매하기를 희망하는 수요자(70)들에 대한 낙찰 정보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등록된 물품 구매자(10)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수요자(70)에게도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
물품 구매자(10)에게 승낙서를 요청한다.(330 단계)
물품 구매자(10)는 경매 전용 서버(30)로부터 낙찰 정보를 제공받고, 경매 시장에서 채권을 자유롭게 매매해도 좋다는 승낙서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전송한다.(335 단계) 이때 승낙서가 필요한 이유는 승낙서에 기입되어 있는 확정 일자를 받기 위함이다.
대법원은 확정 일자를 '증서에 대하여 그 작성한 일자에 관한 완전한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법률상 인정되는 일자를 말하며, 당사자가 나중에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확정된 일자를 가리키고, 확정 일자 있는 증서란 위와 같은 일자가 있는 증서를 말한다.'(민법 부칙 제 3조 소정의 증서, 1998.4.12 선고 98 다 28897 판결)라고 판시하고 있다.
승낙서는 채권의 채무자에게 통지하는 것보다는 채무자의 승낙을 받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채무자가 이의 없이 승낙을 한 경우에는 채권의 불성립, 존속 여부, 변제 등에 대해 채무자가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로 양수인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채권양도에 대한 채무자(물품 구매자)의 대항요건은 양도인(물품 판매자)이 채무자(물품 구매자)에 양도사실을 통지하거나 채무자(물품 구매자)의 승낙이 있어야 하며, 채무자(물품 구매자) 이외의 제 3 자에 대한 대항 요건은 제 3 채무자에 대한 통지를 확정일자가 있는 증서(주로 내용 증명)를 교부하면 확정일자의 선후에 따라 우선권이 결정된다. 보통 채권양도증서를 작성하면 작성 즉시 계약서 상에 확정일자를 받는 데 이때는 양도인(물품 판매자)으로 하여금 즉시 내용 증명 우편으로 채무자(물품 구매자)에게 채권양도 통지서를 발송하게 하거나 채무자(물품 구매자)에게 채권양도 통지서를 발송하게 하거나 채무자(물품 구매자)의 승낙서에 확정일자를 받아 두어야 한다.
경매 전용 서버(30)는 수요자(70)에게 승낙서를 전송한다.(340 단계)
340 단계에서 승낙서를 전송받은 수요자(70)들은 경매 전용 서버(30)에 입금을 의뢰하고, 경매 전용 서버(30)는 거래 은행(50)으로 자금 이체를 지시한다.(345 단계)
자금 이체를 지시받은 은행(50)은 자행이나 타행으로 계좌 이체를 한다.(350 단계)
은행(50)은 자금 이체가 완료되면 그 결과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통보한다.(355 단계)
자금 이체 결과를 통보받은 경매 전용 서버(30)는 물품 판매자(20)와 수요자(70)에게 경매의 완료를 알리는 경매 이체 결과의 통보를 한다.(360 단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오프라인 경매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 오프라인 경매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에게 채권을 경매 시장에서 매매를 해도 좋다는 승낙서를 오프라인으로 송부한다.(40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채권 매각 의뢰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경매 전용 서버(30)에 등록한다.(405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의 게시판을 통해 채권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다.(41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 즉 채권 업체나 종금사, 개인 등은 채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원하는 채권에 대해 응찰을 한다.(415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는 경매 전용 시스템을 가동하여 응찰을 한 수요자(70)들 중 채권의 물품 판매자(20)가 제시한 경매 마감 할인율과 가장 근접한, 다시 말해 가장 적은 할인율을 제시한 수요자(70)에 대해 낙찰을 한다.(420 단계)
수요자(70)는 경매 전용 서버(30)에 지급에 관련된 일을 위탁한다.(425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수요자(70)에게 채권 서류를 오프라인으로 송부한다.(430 단계)
채권 서류를 접수받은 수요자(70)는 이에 대한 지급 승인을 경매 전용 서버(30)에 요청한다.(435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는 거래 은행(50)으로 자금 이체를 지시한다.(440 단계)
자금 이체 지시를 받은 은행(50)은 자행이나 타행으로 계좌 이체를 한다. (445 단계)
은행(50)은 자금 이체가 완료되면 그 결과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이체 결과를 통보하고, 경매 전용 서버(30)는 수요자와 판매자에게 그 이체 결과를 통보한다.(450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에게 채권에 대한 매각 정보를 통보한다.(455 단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채권 대금 환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 대금 환수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결제 정보에 대한 보고서를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에게 송부한다.(500 단계)
결제 정보 보고서를 접수한 물품 구매자(10)가 승인 및 이체 지시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의뢰한다.(510 단계)
510 단계에서 의뢰를 받은 경매 전용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50)에 자금 이체를 지시한다.(520 단계)
자금 이체 지시를 받은 은행(50)은 자행이나 타행으로 계좌 이체를 한다. (530 단계)
계좌 이체를 완료한 은행(50)은 그 이체 결과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통보하고, 경매 전용 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와 여신을 부여하는 기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자(10),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에게 그 이체 결과를 통보한다.(540 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채권의 등록과 경매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채권의 등록과 경매 절차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경매 전용 서버(30)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을 한다.(600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를 참조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한다. (602 단계)
602 단계에서 회원이 아닐 경우에는 회원 가입을 하거나 다시 로그인 하도록 한다.
602 단계를 거쳐 로그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웹페이지상의 메뉴 중 채권 매도 메뉴를 선택한다.(604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매도 방법을 선택한다.(606 단계) 여기서 매도 방법에는 채권을 분할해서 매매하는 분할 매매와 채권의 금액 전부를 매매하는 일반 매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권의 일부만을 분할하여 매매하는 분할 매매가 가능하다. 즉 채권의 일부는 분할하여 매각하고 나머지는 추후에 매각하거나, 또는 나머지가 소액인 경우에는 다른 채권들과 함께 공동 청구하는 방법을 통해 매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가 일반 매매를 선택한 경우(610 단계), 채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612 단계) 여기서 채권에 관한 정보란, 채권의 발행 회사, 채권 번호, 금액, 발행 일자, 만기일, 채권의 지급지(발행 은행)등이 포함된다. 또한 경매가 유찰되었을 때, 재등록 여부 및 기간 연장 여부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경매 할인율을 입력한다.(614 단계) 경매 할인율에는 경매 시작 할인율과 경매 마감 할인율이 있다. 경매 시작 할인율은 물품 판매자(20)가 원하는 최저 가격, 다시 말해 최대한의 할인율을 의미하고, 경매 마감 할인율은 물품 판매자(20)가 원하는 최고 가격, 다시 말해 최소한의 할인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0만원 짜리 채권에 경매 시작 할인율을 20%, 경매 마감 할인율을 5%로 했다면, 물품 판매자(20)는 5%에서 20% 사이의 할인율, 다시 말해 800만원에서 950만원 사이의 가격으로 외상매출 채권을 팔겠다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들은 경매 시작 할인율보다 적은 할인율을 제시해야 한다.
채권의 수요자(70)는 응찰을 함에 있어 경매 시작 할인율보다 적은 할인율을 제시하여야 한다. 즉, 상기의 예에서는 20% 이하의 할인율을 제시하여야 응찰할 수 있다.
또한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한 할인율을 제시한 응찰자가 있을 경우, 경매가 마감된다. 즉 경매 종료 시간에 상관 없이 경매 마감 할인율을 제시한 응찰자가 있으면 그에게 낙찰되고, 경매는 종료된다.
상기의 예의 경우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들은 응찰을 함에 있어, 20% 보다 적은 할인율을 제시해야 하고, 만일 5%의 할인율을 제시한 수요자가 있을 경우, 경매는 종료되고 그 수요자에게 낙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가 분할 매매를 선택한 경우(620 단계), 채권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622 단계) 여기서 입력되는 정보는 612 단계에서와 같다. 다만 분할 매매이므로 분할 매매 금액을 입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경매 할인율을 입력한다.(624 단계) 여기서 할인율은 614 단계와 마찬가자로 경매 시작 할인율과 경매 마감 할인율이며, 분할하여 매각할 부분에 대한 할인율이다.
만일 채권을 분할하여 같이 매각하려 할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 채권에 대한 할인율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0만원 짜리 채권을 3000만원과 2000만원으로 분할하고, 두개의 채권 모두 경매에 부치려 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3000만원 짜리 채권에 관해서는 경매 시작 할인율을 25%, 경매 마감 할인율을 3%로 하고, 2000만원 짜리 채권에 관해서는 경매 시작 할인율을 20%로, 경매 마감 할인율을 5%로 할 수 있다. 따라서 3000만원 짜리 채권과 2000만원 짜리 채권은 분할되는 순간 각각 별개의 채권으로 취급된다.
614 단계 또는 624 단계를 거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채권을 등록한다.(63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입력된 정보를 체크하고(632 단계), 채권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634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경매 전용 서버(30)에 접속하여 회원 로그인을 한다.(650 단계)
경매 전용 서버(3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를 참조하여 회원 여부를 판단한다. (652 단계)
652 단계에서 회원이 아닐 경우에는, 회원 가입을 하거나 다시 로그인한다.
652 단계를 거쳐 로그인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채권 매수 메뉴를 선택한다.(654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경매 전용 서버를 통해, 채권 리스트를 검색한다.(656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희망하는 채권의 할인율 또는 금액을 입력한다.(658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에 의해 등록이 된 채권들 중, 658 단계에서 입력한 채권 할인율과 가장 근접한 채권의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상기의 리스트에서 희망하는 채권을 선택한다.(660 단계)
660 단계에서 선택된 채권의 세부 내용이 화면에 출력된다.(662 단계)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응찰을 함에 있어, 무분별한 응찰을 미연에 방지하고, 경매의 신뢰도를 높히기 위하여, 수요자(70)로부터 입찰 보증금제를 실시한다. 입찰 보증금의 개념과 입찰 보증금제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응찰하고자 하는 수요자(70)는 해당 채권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경매 지원 센터(40)에 미리 위탁한다.
입찰 보증금을 위탁한 응찰자가 낙찰되었을 경우, 대금을 지급함에 있어 입찰 보증금을 제외한 잔금만을 지급하면 된다. 하지만 낙찰 후 대금을 완납하지 아니하거나 낙찰을 취소하려 한다면, 입찰 보증금을 상기 행위에 대한 배상금으로 간주하여 상기 수요자에게 반환하지 아니한다.
또한 입찰 보증금을 위탁하고 낙찰되지 않은 응찰자에게는 이를 반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전용 서버(30)는 해당하는 채권의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한 조건으로 입력이 되었는지 체크하고,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하거나 가장 근접한 조건을 제시한 수요자에게 낙찰한다.(664 단계)
만일 경매 마감 할인율보다 적은 할인율을 제시한 응찰자가 있으면,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한 할인율을 제시한 경우와 같이 처리된다. 즉 상기 응찰자가 낙찰된다.
664 단계에서 낙찰자가 한명인지 판단한다.(666 단계)
666 단계에서 낙찰자가 한명이 아닐 경우에는, 동일한 할인율을 입력한 수요자들 중 한명을 선택하여 최종 낙찰하게 되는데, 이는 응찰 시간에 의해 결정한다.(668 단계) 즉, 응찰 시간이 빠른 수요자가 낙찰된다.
666 단계 또는 668 단계를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는 낙찰 여부가 결정되고(670 단계), 낙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경매 전용 서버(30)에 등록된 채권을 다시 검색하여 경매에 참가할 수 있다.
666 단계 또는 668 단계에 의해 최종 낙찰자가 결정되면, 경매 전용 서버 (30)는 이 정보를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한다.(672 단계, 674 단계) 또한 경매 전용 서버(30)는 경매가 유찰되었을 경우에도 그 정보를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34)에 저장한다.
도 7은 채권 구매자의 계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채권의 구매자,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가 등록된 채권 리스트를 검색한 결과 화면의 예시도이다.
검색된 리스트에는 경매의 진행에 따른 현재 상황, 채권의 판매자, 경매 시작 할인율, 경매 마감 할인율, 현재 경매 참가자들이 제시한 할인율 중 최저 할인율인 현재 할인율, 입찰 시각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가 상기의 리스트에 나열된 채권들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해당 채권의 상세 정보가 제공된다.
도 8은 채권 판매자의 계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채권 판매자, 즉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는 자신이 등록한 채권의 경매 진행 상황을 도 8에서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채권 판매자의 계정 영역에서는, 경매에 부쳐진 상기 외상 물품 채권의 상세 내역과 경매에 참여한 채권 구매자,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에 대한 정보와 경매의 진행 상황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도 9는 채권의 자금 이체 완료 통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매 전용 서버(30)로부터 자금 이체 지시를 받은 은행(50)은 계좌 이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통지한다. 상기의 통지를 받은 경매 전용 서버(30)는 이체 결과를 본 발명에 따른 물품 판매자(20)와 본 발명에 따른 수요자(70)에게 통지한다.
상기의 통지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권 판매자와 구매자, 즉 수요자를 명시하고, 경매에 관한 사항과 거래 내역을 정확히 기재하여야 한다.
도 10은 소액 채권의 공동 청구자 리스트를 검색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도 9의 채권의 자금 이체 완료 통지 화면에서 옵션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채권 판매자의 채권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는 초기의 채권 금액, 분할하여 경매에 부쳐진 채권 금액, 분할 후 남은 채권 금액 등에 대한 정보가 해당된다.
물품 판매자(20)가, 분할 후 남은 소액 채권에 대해 소액 채권 공동 청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동 청구 버튼을 클릭하면, 공동 청구 액수에 따른 공동 청구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공동 청구 리스트는 공동 경매 청구될 소정의 채권들의 총액인 공동 채권액에 따른 공동 청구의 리스트로서, 상기 공동 채권액과 그에 따른 할인율은 특정되어 있으며, 물품 판매자(20)는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공동 청구를 할 수 있다.
물품 판매자(20)가 공동 청구 리스트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공동 청구를 신청한 소액 채권 공동 청구자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소액 채권 공동 청구자 리스트에는 청구자의 명단과 그들이 갖고 있는 채권의 채권액, 각각의 채권액의 총 합산액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의 채권 판매자는 이 정보를 참고하여 공동 청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공동 청구 리스트의 각 공동 청구에 신청한 물품 판매자(20)의 채권 총액이, 해당 공동 청구의 공동 채권액이 되면 경매에 부쳐진다.
또한 공동 채권액이 높은 공동 청구일수록 할인율은 낮게 책정된다. 즉 높은 가격으로 경매에 부쳐진다. 이는 공동 채권액이 높은 공동 청구일수록 공동 청구를 신청하는 물품 판매자가 많아야 하므로, 경매에 부쳐지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는데 따른 물품 판매자의 손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공동 청구 리스트 A, B가 있고, A의 공동 채권액은 3000만원, B의 공동 채권액은 5000만원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A의 경매 시작 할인율은 15%, 경매 마감 할인율은 7%이고, B의 경매 시작 할인율은 10%, 경매 마감 할인율은 3%로 정해져 있다. 다시 말해서 A의 경우, 공동 경매 청구를 신청하는 채권자들의 소액 채권의 총액이 3000만원 이상이 되었을 때, 경매 시작 할인율 15%, 경매 마감 할인율 7%로 경매에 부치는 것이다.
이 경우, 현재 공동 청구 A의 경우는 현재 총액이 2500만원이고, 공동 청구 B의 경우는 3400만원이라고 하자. 이때 채권자 갑이 분할 후 남은 소액 채권 500만원을 공동 경매 청구 신청하고자 할 경우, 공동 청구 A에 신청할 경우, 바로 경매에 부쳐질 수 있지만, 공동 청구 B에 신청할 경우, 다른 공동 청구 신청자가 신청하기까지 기다려야 한다. 반면에 공동 청구 B의 경우는 공동 청구 A의 경우보다 높은 가격으로 경매에 부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갑이 채권을 빨리 처분하기를 원한다면, 공동 청구 A에 신청할 것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좀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공동 청구 B에 신청할 것이다.
도 11은 채권 양도 승낙서의 예시도이다.
채권의 온라인 경매의 경우에는, 경매 전용 서버(30)가 물품 구매자(10)에게 낙찰 정보를 제공하고, 승낙서를 요청한다. 물품 구매자(10)는 경매 전용 서버(30)로부터 낙찰 정보를 제공받고, 경매 시장에서 채권을 자유롭게 매매해도 좋다는 승낙서를 경매 전용 서버(30)에 전송한다. 이때 승낙서가 필요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정 일자를 받기 위함이다. 또한 단순한 통지가 아닌 물품 구매자(10)로부터 승낙서를 받음으로써 경매를 통한 채권 양도의 효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채권의 오프라인 경매의 경우에는, 물품 판매자(20)가 물품 구매자(10)에게 승낙서를 송부받는다. 여기서 승낙서의 의미는 온라인 경매의 경우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채권에 대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경매 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인 불이익을 입을 수 있는 중소 납품 업체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경매 전용 서버를 통해 채권을 손쉽게 전자적으로 등록하거나 구매하므로, 채권의 매매 당사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채권의 매매에 경매라는 합리적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가격에 채권을 매입 또는 매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액이 큰 채권의 경우는 자신이 원하는 금액만큼 분할해서 매도할 수 있으므로, 채권의 활용도를 높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채권을 가상 공간에서의 경매를 통해 매매하는 채권의 경매 방법으로,
    상기 채권의 채권자로부터 상기 채권을 전자 등록받고, 상기 채권 정보와 할인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채권을 콜 센터나 부가 통신 사업자를 통해, 채권의 수요자에게 공시하는 단계;
    상기 채권의 수요자로부터 할인율을 입력받아 응찰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권에 응찰한 채권 수요자들 중 가장 낮은 할인율을 제시한 채권 수요자를 낙찰시키는 단계;
    상기 낙찰된 채권의 채무자에게 경매의 내용을 송부하고, 채권의 매매에 대한 승낙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채권의 채무자로부터 승낙서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경매 방법.
  2. 제 1항에서 상기 채권을 전자 등록하는 단계가,
    상기 채권의 채권자가 상기 채권을 분할하여 전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 채권에 할인율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 후 남은 소액의 채권을 상기 채권의 채권자 이외의 채권자의 소액 채권과 공동으로 경매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경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찰 단계에서,
    상기 채권의 수요자로부터 상기 채권의 소정의 비율에 해당하는 입찰 보증금을 위탁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낙서를 전송받는 단계 후에,
    낙찰된 상기 수요자가 경락 대금을 납입하지 아니할 경우에,
    상기 경매를 취소하고, 상기 입찰 보증금을 추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경매 방법.
  4. 제 1항에서 상기 채권을 낙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할인율은 상기 채권의 채권자가 입력한 최고의 할인율인 경매 시작 할인율과 상기 채권의 채권자가 입력한 최저의 할인율인 경매 마감 할인율로 구성되고, 상기 경매 마감 할인율과 동일하거나 적은 할인율을 제시한 상기 채권의 수요자를 낙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경매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경매 청구하는 단계가,
    상기 공동 경매 청구될 소정의 채권의 총액인 공동 채권액을 정하고, 상기 공동 채권액에 따라 공동 청구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공동 청구 리스트를 구성하는 공동 청구 별로 소정의 할인율을 정하는 단계;
    상기 채권자가 상기 공동 청구 리스트 중 소정의 공동 청구를 선택하여 상기 공동 경매 청구를 신청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공동 청구의 기존 신청자들의 채권 총액에 상기 채권자의 상기 채권을 가산하여 채권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채권 총액이 상기 공동 채권액 이상이 될 경우,
    상기 공동 경매 청구된 채권들을 경매에 부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의 경매 방법.
  6. 채권을 가상 공간에서의 경매를 통해 매매하는 채권의 경매 방법으로,
    채권의 채권자가 채권의 채무자로부터, 채권의 매매에 관한 승낙서를 송부받는 단계;
    상기 채권의 채권자로부터 상기 채권 정보와 할인율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채권의 정보를 채권의 수요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채권의 수요자로부터 할인율을 입력받아 응찰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권에 응찰한 채권 수요자들 중 가장 낮은 할인율을 제시한 채권 수요자를 낙찰시키는 단계;
    상기 채권의 수요자에게 채권 서류를 송부하는 단계; 및
    상기 채권의 수요자로부터 지급 승인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권 경매 방법.
  7. 채권의 채권자, 채권의 채무자, 채권의 수요자, 콜 센터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 서버가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채권을 가상 공간에서의 경매를 통해 매매하는 채권의 경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채권의 현재 소유자이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회원 가입을 하고, 상기 채권을 상기 서버에 전자 등록하여 경매에 부치는 채권의 채권자와,
    상기 채권의 발급자이고, 상기 채권 매매에 관한 승낙서를 송부하는 채권의 채무자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회원 가입을 하고, 상기 채권을 경매를 통해 매입하기를 희망하는 채권의 수요자와,
    상기 채권의 정보를 상기 채권의 수요자에게 공시하는 콜 센터 또는 부가 통신 사업자와,
    상기 채권의 채권자와 상기 채권의 수요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채권의 채무자의 신용 등급과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채권의 채권자에 의해 전자 등록된 상기 채권 정보를 저장하는 채권 데이터베이스, 상기 채권의 경매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 내역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채권의 채권자와 상기 채권의 수요자의 회원 접수를 관리하고, 상기 채권의 경매를 관리하고, 상기 채권의 채무자에게 승낙서를 요청하고, 상기 채권의 채무자로부터 승낙서를 전송받는 서버 시스템을 구비하는 채권 경매 시스템.
KR1020000075347A 2000-12-11 2000-12-11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25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47A KR20010025313A (ko) 2000-12-11 2000-12-11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347A KR20010025313A (ko) 2000-12-11 2000-12-11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13A true KR20010025313A (ko) 2001-04-06

Family

ID=1970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347A KR20010025313A (ko) 2000-12-11 2000-12-11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31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798A (ko) * 2001-10-27 2003-05-09 주식회사 한국주택은행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상품 매매 방법
KR20030085611A (ko) * 2002-04-29 2003-11-07 전석진 개인채권 거래 장치 및 방법
KR100407110B1 (ko) * 2001-01-22 2003-11-28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KR100475471B1 (ko) * 2001-09-29 2005-03-08 이효제 인터넷 전자거래에 있어서 전자증권을 이용한전자증권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8059B1 (ko) * 2007-06-29 2008-02-28 신현욱 커뮤니티를 활용한 대출 중개 시스템
WO2010051368A3 (en) * 2008-10-31 2010-09-23 Pollen, Llc Dynamic discount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87A (ko) * 2000-07-20 2000-10-05 김관동 네트워크를 통한 어음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8051A (ko) * 2000-03-10 2001-09-26 권영복 인터넷 경매를 활용한 금융방법
KR20010091138A (ko) * 2000-03-13 2001-10-23 조광훈 종합금융분야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100329A (ko) * 2000-04-22 2001-11-14 김준섭 인터넷을 이용한 채권 거래 방법
KR20010113986A (ko) * 2000-06-20 2001-12-29 홍범석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0217A (ko) * 2000-07-27 2002-02-04 송근섭 인터넷을 이용한 국/공채 경매방법
KR100357825B1 (ko) * 2000-03-16 2002-10-25 윤종오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매매 중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051A (ko) * 2000-03-10 2001-09-26 권영복 인터넷 경매를 활용한 금융방법
KR20010091138A (ko) * 2000-03-13 2001-10-23 조광훈 종합금융분야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KR100357825B1 (ko) * 2000-03-16 2002-10-25 윤종오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매매 중개 시스템
KR20010100329A (ko) * 2000-04-22 2001-11-14 김준섭 인터넷을 이용한 채권 거래 방법
KR20010113986A (ko) * 2000-06-20 2001-12-29 홍범석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9187A (ko) * 2000-07-20 2000-10-05 김관동 네트워크를 통한 어음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0217A (ko) * 2000-07-27 2002-02-04 송근섭 인터넷을 이용한 국/공채 경매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10B1 (ko) * 2001-01-22 2003-11-28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KR100475471B1 (ko) * 2001-09-29 2005-03-08 이효제 인터넷 전자거래에 있어서 전자증권을 이용한전자증권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4798A (ko) * 2001-10-27 2003-05-09 주식회사 한국주택은행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상품 매매 방법
KR20030085611A (ko) * 2002-04-29 2003-11-07 전석진 개인채권 거래 장치 및 방법
KR100808059B1 (ko) * 2007-06-29 2008-02-28 신현욱 커뮤니티를 활용한 대출 중개 시스템
WO2010051368A3 (en) * 2008-10-31 2010-09-23 Pollen, Llc Dynamic discounting system and method
US10817932B2 (en) 2008-10-31 2020-10-27 Pollen, Llc Dynamic discount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4383B1 (en) Online sales risk management system
KR100512151B1 (ko) 전자어음 매매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020161690A1 (en) System, medium and method for trading fixed income securities
US200900373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pricing, and selling securities over a network
US20020010685A1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
JP2006505869A (ja) 資産取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160518A (ja) 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及び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システム
JP2006509308A (ja) 相場より高く又は安く売買を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11620701B1 (en) Platform for trading assets in different currencies
JP2015109112A (ja) 金融商品等交換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金融商品等交換取引システム及び商品交換取引方法
JP2003030438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融資申請処理方法
KR100978527B1 (ko) 물품 거래 정보를 이용한 중고물품 경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25313A (ko)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1016815A2 (en) A computer based fractional auctioning system
KR20060124926A (ko) 온라인 매매 서버를 이용한 무역 중개방법
US20160307245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transfer
JP5567631B2 (ja) 対象の要素に係る取引サーバ、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支援方法
KR20010110071A (ko) 인터넷을 통한 외환환전 중개 서비스 방법
JP2015043243A (ja) 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システム及び金融商品等リース取引方法
JP2004213642A5 (ko)
JP4548704B2 (ja) 取引サーバ、取引プログラム及び取引支援方法
JP4471227B2 (ja) リース取引サーバ、リース取引プログラム及びリース取引支援方法
KR20050094499A (ko) 인터넷망을 통한 주식투자기법 거래방법
KR20020020473A (ko) 가맹점 지급보증을 통한 기업 간 전자상거래 방법
JP6471362B2 (ja) 店頭外国為替証拠金取引の取引資産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