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636A -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636A
KR20010009636A KR1019990028092A KR19990028092A KR20010009636A KR 20010009636 A KR20010009636 A KR 20010009636A KR 1019990028092 A KR1019990028092 A KR 1019990028092A KR 19990028092 A KR19990028092 A KR 19990028092A KR 20010009636 A KR20010009636 A KR 20010009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onitoring
detected
monitoring mode
sound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제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636A/en
Publication of KR2001000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63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onitoring an infant in a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is provided to deliver an alarm to a predetermined handset for displaying that the infant falls asleep when a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for a determined time after setting up an infant monitoring mode. CONSTITUTION: The base set controller checks whether a sound change inputted through a micro phone is detected(417). A sound detected from the micro phone is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signal, and supplied to the base set controller. The base set controller starts to drive a timer from a point that the sound change is detected, and checks time. If the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the base set controller checks whether a determined time elapses(419). If not, the base set controller returns to the step'(415)'. If the determined time elapses, the base set controller decides that the infant monitoring mode performing is unavailable when the infant falls asleep or when the base set is wrongly operated. If the sound change is detected, the base set controller checks whether a level of the detected sound is below a pre-setup level(421). If so, the base set controller checks whether a sound is detected for a determined time(423). If so, the base set controller reads a memory, and read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hand set to deliver an alarm for displaying that the infant is separated from the base set, or that the infant falls asleep in an infant monitoring mode, then delivers the alarm to the hand set corresponding to the ID number of the read hand set(425).

Description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Infant monitoring method of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본 발명은 무선전화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지에 있는 유아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onitoring a state of an infant at a remote location.

종래의 무선전화단말장치에 구현되어 있는 유아 감시 기능은 유아 감시 기능을 설정한 후 유아와 이격되어 있는 원격지에 존재하는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와, 유아가 존재하는 지역의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간에 내선을 연결하여(Intercommunication Call) 유아가 존재하는 지역의 음변화(음성 및 주변소리)를 계속 감시하여야만 했었다. 그래서, 항상 연결된 내선을 통해 음변화를 감시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유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장치 혹은 휴대장치가 동작 수행에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사용자는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The infant monitoring function implemented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is a stationary device or portable device existing at a remote location spaced from the infant after 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function, and the extension between the stationary device or mobile device in the area where the infant is present. Intercommunication Calls had to keep an eye on sound changes (voice and ambient sounds) in areas where infants were present. Therefor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it was always necessary to monitor the sound change through the connected extension. In addition, even when a fixed device or a portable device that performs an infant monitoring function has a problem in performing an operation, the user has no way of identify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한 설정레벨 이상의 음변화가 설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검출될 경우 내선을 연결하는 유아 감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monitoring method for connecting an extension when a sound change over a preset level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set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장치와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에 있어서, 검출되는 음의 소리레벨, 지속시간 및 내선연결할 휴대장치의 식별번호를 등록하여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한 후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를 입력받음에 따라 음변화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음이 등록되어 있는 소리레벨 이상으로 지속시간이상 검출되면 상기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유아 감시 모드에서 음변화가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nfant monitoring method of a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consisting of a single fixed devic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the sound level, du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rtable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Register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detecting a sound change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after 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and detecting the sound level above a registered sound level. When an alarm is detected f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 alarm signal is sent to the registered portable device. If a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an alarm signal is sent to the registered portable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rocess.

도 1은 일반적인 무선전화단말장치를 구성하는 휴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constituting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무선전화단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xing device constituting a general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감시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chip design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radio telephone portable devic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장치 제어부(21)는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송신부(22)는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변환하여 RF신호로 출력한다. 듀플렉서(23)는 송신되는 RF신호 및 수신되는 RF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수신부(24)는 상기 듀플렉서(23)에서 분리되는 수신 RF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하여 음성신호는 스피커(28)로 출력하고 데이터는 휴대장치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 25)는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RF송신부(22)의 송신체널 및 RF수신부(23)의 수신체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키입력부(27)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통화버튼을 구비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감시 모드 설정키와,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 등을 구비한다. 상기 키입력부(27)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로 제공한다.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2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The RF transmitter 22 modulates and frequency-converts the data output from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21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and outputs the RF signal. The duplexer 23 performs a function of separating the transmitted RF signal and the received RF signal. The RF receiver 24 frequency-converts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RF signal separated from the duplexer 23, outputs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28, and outputs data to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21. The frequency synthesizing unit 25 generates a frequency for designating a transmitting channel of the RF transmitting unit 22 and a receiving channel of the RF receiving unit 23 under the control of the portable device control unit 21. The key input unit 27 includes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nd a call button.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27 includes an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and an infant monitoring mode performing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27 generat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key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21.

표시부(26)는 전화 통화에 관련된 데이터나 문자메시지등을 디스플레이하며, 타이머(30)는 음변화가 검출될 경우 그 검출되는 시간을 카운팅한다. 또한 메모리(20)는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의 동작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display unit 26 displays data or text messages related to a telephone call, and the timer 30 counts the detected time when a sound change is detected. In addition, the memory 20 stores data on the performance of the portable device controller 21.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radiotelephone fixing devic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장치 제어부(31)는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RF송신부(32)는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마이크(4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변환하여 RF신호로 출력한다. 듀플렉서(33)는 송신되는 RF신호 및 수신되는 RF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수신부(34)는 상기 듀플렉서(33)에서 분리되는 수신 RF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하여 음성신호는 스피크로 출력하고 데이타는 고정장치제어부(31)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35)는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RF송신부(32)의 송신채널 및 RF수신부(33)의 수신체널을 지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한다. 라인인터페이스(36)는 도1의 교환망과 유선으로 연결되며, 교환망과의 연결을 위해 고정장치 31과 교환망의 제어부간에 신호들을 인터페이스하고, 고정장치와 교환망 간의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표시부(37)는 액정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화 통화에 관련된 데이터나 메세지 및 전화번호등을 표시한다. 타이머(39)는 수정발진기(도시하지 않았음.)를 발진시켜 시, 분, 초 단위의 현재시간 데이타를 발생하는 공지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 타이머(46)에서 발생한 현재시간 데이타는 램(38)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RF송신부(32)는 상기 램(38)으로부터 읽어낸 현재시간 데이타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전파함으로써 휴대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된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 (31)와 타이머(39) 및 메모리(38)등은 원칩 마이크로 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 구현할 수도 있다. 자동응답기(46)는 음성처리부(43), 코덱(42), 음성메모리(44)로 구성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3)는 코덱(42)으로 입,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디지탈신호 처리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3)는 내부에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에서 제공되는 숫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램을 가지고 있다. 음성메모리(45)는 상기 음성처리부(43)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메모리(38)는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의 제어 프로그램 및 전반적인 제어 동작 수행시 발생되는 각종 데이타를 저장한다.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The RF transmitter 32 modulates and frequency-converts the data output from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41 and outputs the RF signal. The duplexer 33 performs a function of separating the transmitted RF signal and the received RF signal. The RF receiver 34 converts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RF signal separated from the duplexer 33 to output a voice signal as a speech and output data to the fixed device controller 31. The frequency synthesizing unit 35 generates a frequency for designating a transmission channel of the RF transmitting unit 32 and a receiving channel of the RF receiving unit 33 under the control of the fixing unit control unit 31. The line interface 36 is wired to the switching network of FIG. 1, and interfaces signals between the fixing device 31 and the control unit of the switching network to interface with the switching network, and interfaces voice signals between the fixing device and the switching network. The display unit 37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data, messages, telephone numbers, and the like related to telephone calls. The timer 39 has a known configuration of oscillating a crystal oscillator (not shown) to generate current time data in hours, minutes, and seconds. The current time data generated by the timer 46 is stored in the RAM 38. In addition, the RF transmitter 32 modulates and converts the current time data read from the RAM 38 into a radio signal, propagates to the air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the air through the antenna. To be delivered to the device. The fixed device controller 31, the timer 39, the memory 38, and the like may be implemented as a one chip microprocessor. The answering machine 46 is composed of a voice processor 43, a codec 42, and a voice memory 44 to record and reproduce voice messages. The voice processor 43 processes digital signals input and output to the codec 42. The voice processing unit 43 has a RAM for storing numerical data provided from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therein. The voice memory 45 stores data provided from the voice processor 43. The memory 38 stores the control program of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and various data generated when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키입력부(45)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통화버튼을 구비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감시 모드 설정키와,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 등을 구비한다. 상기 키입력부(45)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로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45 includes a plurality of dialing digit keys and a call button. In particular, the key input unit 45 includes an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and an infant monitoring mode performing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45 generat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key signal to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감시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무선전화단말장치의 고정장치에서 설정하고, 유아 감시 모드가 수행되면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경우를 일 실시예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process of 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in the fixing device of th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and when the infant monitoring mode is performed,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device as an embodiment. This will be described.

먼저, 311단계에서 키입력부(45)로부터 키신호가 제공되면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키입력부(45)에서 제공된 키신호가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가 아니라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3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키입력부(45)에서 제공한 키신호에 해당하는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리턴한다.First, when a key signal is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45 in step 311,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the key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45 is an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If the inspection result is not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313. In step 313,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45 and returns.

만약 검사 결과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라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3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고정장치의 모드를 유아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고 3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7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메모리(38)에 저장되어 있는 유아 감시 모드 설정값 입력요구 문자메시지, 예를 들어 "음 소리레벨, 지속시간, 내선연결할 휴대장치 식별번호를 입력해 주세요."와 같은 문자메시지를 표시부(37)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3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설정값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설정값이 입력됨을 감지한다 함은 상기 입력요구한 설정값을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7)를 통해 입력하고, 그 입력된 설정값에 상응한 상기 키입력부(37)로부터 제공되는 키신호를 감지하여 검출함을 의미한다.If the inspection result is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315. In step 315,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switches the mode of the fixing device to the infant monitoring mode and proceeds to step 317. In step 317, the fixed device control unit 31 inputs a text message for requesting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38, for example, "sound level, duration, and a portabl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to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lease display the text message such as, "through the display unit 37 and proceeds to step 319. In step 319,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a set value is input. Here, detecting that the setting value is input means that the user inputs the requested setting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37 and the key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37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tting value. It means to detect by detecting.

또한, 설정값은 유아 감시를 위해 검출하는 음의 소리레벨과 또한 그 소리레벨 이상의 음이 검출되었을 때 지속되는 지속시간, 그리고 상기 소리레벨 이상의 음이 지속시간 이상 검출되었을 때 내선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휴대장치 식별번호를 의미한다. 여기서 휴대장치 식별번호라 함은 무선전화단말장치가 하나의 고정장치와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휴대 장치 각각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et value is the sound level of the sound to be detected for infant monitoring, and the duration that is sustained when a sound above the sound level is detected, and when the sound above the sound level is detected for longer than the duration to perform the extension connection Means the mobil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Herein, the portabl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means that th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is assigned with a unique numb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since it is composed of one fixed devic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검사 결과 설정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3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예를 들어 5초가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319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검사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325단계로 진행한다.If the test result is not set,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321. In step 321,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checks whether a preset time elapsed, for example, 5 seconds. If the set time has not passed,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returns to step 319. If the test result setting time has elapsed,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roceeds to step 325.

상기 319단계에서 설정값이 입력된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3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3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을 메모리(38)에 등록시키고 3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5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유아 감시 모드 설정 모드를 해제시키고 리턴한다.If the set value is input in step 319,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roceeds to step 323. In step 323,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registers the input setting value in the memory 38 and proceeds to step 325. In step 325,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releases and returns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mode.

상기에서는 고정장치에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였지만 휴대장치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infant monitoring mode is set in the fixed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in the portable device.

한편, 411단계에서 키입력부(45)로부터 키신호가 제공되면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제공받은 키신호가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가 아니라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제공받은 키신호에 해당하는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리턴한다.On the other hand, if a key signal is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45 in step 411, the fixing unit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the provided key signal is the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If the inspection result is not the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413. In step 413,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key signal and returns.

상기 411단계에서 상기 키신호가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신호라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5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고정장치의 모드를 유아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고 4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마이크(41)를 통해 입력되는 음의 변화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41)를 통해 검출된 음은 전기신호로 변환처리되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로 제공되며, 음변화가 검출된 시점부터 타이머(39)를 구동시작하여 시간을 체크하는 것이다.If the key signal is the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signal in step 411,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roceeds to step 415. In step 415,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switches the mode of the fixing device to the infant monitoring mode and proceeds to step 417. In step 417,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a change in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1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sound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41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d to the fixed device controller 31, and the timer 39 starts to be driven from the time when the sound change is detected to check the time. .

검사 결과 음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9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예를 들어 20분이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415단계로 되돌아간다.If no negative chang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roceeds to step 419. In step 419,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a preset time, for example, 20 minutes, has elapsed. If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returns to step 415.

만약 검사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유아가 수면상태가 되거나 상기 고정장치가 동작 이상으로 인해 유아 감시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425단계로 진행한다.If the set time elapse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determines tha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infant monitoring mode due to the sleeping state of the infant or the operation of the fixing device and proceeds to step 425.

한편, 상기 417단계에서 음변화가 검출되었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1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검출된 음의 레벨이 미리 설정한 설정레벨 이하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설정레벨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3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예를 들어 5초 동안 상기 음이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음이 설정시간 동안 검출되었다면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2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레벨 이하의 음이 설정시간 동안 검출되었다고 하는 것은 유아가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격되어 원거리로 이동하였음을 의미하고, 이에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425단계로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 425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31)는 상기 메모리(38)를 읽어 그에 등록되어 있는 유아 감시 모드에서 유아가 고정장치와 이격되거나 혹은 유아가 수면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알람을 송출할 휴대장치 식별 번호를 독출하고, 그 독출한 휴대장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휴대장치로 알람을 송출하고 리턴한다.On the other hand, if a negative change is detected in step 417,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proceeds to step 421. In step 421,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the detected sound leve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setting leve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st result is less than the set level,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423. In step 423, the fixing devic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the sound is detected for a preset time period, for example, 5 seconds. If the sound is detected during the set time,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425. Here, the detection of the sound below the set level for the set time means that the infant has moved away from the fixing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proceeds to step 425. In operation 425, the fixing device control unit 31 reads the memory 38 and transmits an alarm to indicate that the infant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device or that the infant is in a sleeping state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registered therein. Th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is read, and an alarm is sent to the portab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ead portable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nd return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여 놓은 후 일정시간 동안 음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유아가 수면상태에 있음을, 또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설정레벨 이하의 음이 검출되면 유아가 유아 감시모드를 수행하는 핸드셋에서 이격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지정한 휴대장치로 알람을 송출하여 유아 감시 모드에서 유아의 감시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유아 감시 모드를 수행하는 핸드셋의 동작 수행 이상을 알아 유아의 감시 수행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fant is in the sleep state if the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nfant monitoring mode is set, and if the sound below the set level is detected for the preset time, the infant is the infant. An alarm is sent to a mobile device designated in advance to indicate that the device is spaced apart from the handset that performs the monitoring mode, so that the monitoring of the infant is more efficiently performed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handset perform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monitoring of the infant is stopped.

Claims (5)

하나의 고정장치와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에 있어서,In the infant monitoring method of a radiotelephone terminal device consisting of one fixed devic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상기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한 후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가 입력될 경우 상기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한 고정장치 또는 휴대장치의 모드를 유아 감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과,When the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is input after the infant monitoring mode is set, changing the mode of the fixed device or the portable device which set the infant monitoring mode to the infant monitoring mode; 상기 유아 감시 모드에서 음변화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 sound change is detected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상기 검사 결과 음변화가 검출될 경우 그 검출된 음이 설정레벨이하이고, 설정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미리 지정한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When the sound chang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test, the detected sou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and if the duration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a predetermined port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은;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상기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은 후 상기 유아 감시 모드 설정키를 입력받은 고정장치 혹은 휴대장치의 모드를 유아 감시 모드 설정 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과,Switching the mode of the fixed device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to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mode after receiv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key; 상기 유아 감시 모드 설정 모드에서 설정값을 입력받는 과정과,Receiving a setting value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setting mode;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을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And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input set valu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설정값은 검출되는 음의 레벨값, 검출되는 음의 지속시간, 내선연결할 휴대장치의 식별번호 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And said set value is a level value of a detected sound, a duration of a detected sound,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a portable device to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아 감시 모드에서 음변화가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을 경우 미리 지정한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When the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the infant monitoring method of the wireless telephon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a predetermined portable device. 하나의 고정장치와 다수의 휴대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에 있어서,In the infant monitoring method of a radiotelephone terminal device consisting of one fixed devic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검출되는 음의 소리레벨, 지속시간 및 내선연결할 휴대장치의 식별번호를 등록하여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Registering the sound level, dura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extension to set the infant monitoring mode; 상기 유아 감시 모드를 설정한 후 유아 감시 모드 수행키를 입력받음에 따라 음변화를 검출하는 과정과,Detecting a sound change according to receiving an infant monitoring mode execution key after setting the infant monitoring mode; 상기 검출한 음이 등록되어 있는 소리레벨 이상으로 지속시간이상 검출되면 상기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과,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registered portable device if the detected sound is detected for a duration longer than a registered sound level; 상기 유아 감시 모드에서 음변화가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이상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등록되어 있는 휴대장치로 알람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And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registered portable device when a sound change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n the infant monitoring mode.
KR1019990028092A 1999-07-12 1999-07-12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KR200100096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92A KR20010009636A (en) 1999-07-12 1999-07-12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092A KR20010009636A (en) 1999-07-12 1999-07-12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636A true KR20010009636A (en) 2001-02-05

Family

ID=1960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092A KR20010009636A (en) 1999-07-12 1999-07-12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63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51B1 (en) * 2002-07-25 2005-12-19 박동윤 To help of the sick and security system using radio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MT-2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51B1 (en) * 2002-07-25 2005-12-19 박동윤 To help of the sick and security system using radio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IMT-20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92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all in absence of mobile terminal
KR100713455B1 (en) Method for receiving called call and rejecting it selectively in portable radio telephone
US7089041B2 (en) Method for managing incoming calls on a mobile phone
KR10034553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605778B1 (en) How to restrict call reception on mobile phone
JP2002319997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10009636A (en)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KR20010009632A (en) Method for surveilling a baby in cordless telephone
JP2872162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 having silent and audible notification functions
KR100617712B1 (en) Method for informing a busy call of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584362B1 (en) How to mute recep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07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witching a call reception alarm mode thereof
KR20000044488A (en) Method for generating incoming ring in cellular phone
KR100918757B1 (en) Method for notifying call
KR101091245B1 (en) Method for limiting receipt notice in alarm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400560B1 (en) 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in portable terminal
KR100277069B1 (en) How to Call a Caller on Your Phone
KR20000039245A (en)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 rest function in cellular phone
JPH0378348A (en) Incoming call information device for cordless telephone
JP2000244633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573481B1 (en) Position inform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bell mode automatic conversion
KR20020065030A (en) Setting method of timer fuction in mobile phone
JP2005260621A (en) Call termination repor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30086640A (en) Device and method for notifying calling in wireless telephone
JP2001346243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