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775A -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775A
KR20010002775A KR1019990022751A KR19990022751A KR20010002775A KR 20010002775 A KR20010002775 A KR 20010002775A KR 1019990022751 A KR1019990022751 A KR 1019990022751A KR 19990022751 A KR19990022751 A KR 19990022751A KR 20010002775 A KR20010002775 A KR 2001000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lephone
registered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108B1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9-002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10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망의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에서 등록된 특정 번호에 대해서만 발신을 허용하고 등록되지 않은 번호에 대해서는 발신을 제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번호를 전화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요구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해당 착신측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므로서 무절제한 통화에 대한 근본 적인 제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착신 전용 전화기 등과 같이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Method for restrict call of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망의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통신망의 이동 단말기에서 등록된 특정 번호에 대해서만 발신을 허용하고 등록되지 않은 번호에 대해서는 발신을 제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망인 국설 교환망(PSTN)에 연결되는 일반 유선 전화기를 비롯하여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는 발신 제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호 종류별로 발신을 제한하고 있으며, 여기서 호 종류라 함은 시외 전화 번호, 국제 전화 번호 또는 '700'으로 시작하는 유료 정보 서비스 등을 말한다.
이하, 일반 유선 전화기와 이동 단말기에서 실시하고 있는 발신 제한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 고정망에서 일반 유선 전화기의 발신 제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 유선 전화기(100)에 연결되는 교환기(110)는 호 종류 별로 발신을 제한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111)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111)에는 가입자별 또는 호 종류별로 발신 제한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하여 소망 번호를 입력하면, 이를 처리하는 교환기(110)에서는 호를 연결하기 전에 먼저 데이터 베이스(111)를 검색하여 입력된 소망 번호가 등록된 호 제한 번호와 동일한지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호를 제한하여 처리한다(예 : 시외 호제한, 국제 호제한 등).
즉, 교환기 내의 호처리 블록(Block)은 입력되는 발신 가입자 정보(Call Type)의 호 종류별 호 제한 또는 가능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신 번호에 대한 호 제한/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소망 번호가 발신 가입자의 데이터 베이스(111)에 저장된 호 제한 번호에 해당하면 교환기는 통화를 연결하지 않게 된다.
도 1b는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발신 제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140)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6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ing location Register, VLR)(150)에 연결되고, 홈위치 등록기(16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는 가입자별로 호 종류에 대한 발신 제한 종류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하여 소망 번호를 이동 단말기에 입력하면, 교환국(140)은 통화를 연결하기 전에 먼저 홈위치 등록기(16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를 검색하여 발신 가입자의 소망 번호가 발신 제한 호 종류에 해당하는 가를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 결과에 따라 소망 번호가 발신 제한 호 종류에 해당하면 통화를 연결하지 않고, 발신 제한 호 종류에 해당하지 않으면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발신 제한 방법은 가입자별 또는 호 종류별(시내, 시외, 국제 및 700 번호)로 발신을 제한함으로써 무절제한 호 사용에 대한 근본적인 제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발신 제한 방법으로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발신 제한 서비스만을 실시할 수 있어 통화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 능력이 없는 청소년이나 또는 제한된 번호의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등록된 특정 번호만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발신 제한 서비스를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발신 가능한 특정 번호를 등록하여, 등록된 특정 번호로만 통화를 연결하고 등록되지 않은 번호는 통화를 연결하지 않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에 발신 가능한 특정 번호를 등록하여, 등록된 특정 번호로만 통화를 연결하고 등록되지 않은 번호는 통화를 연결하지 않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발신 가능한 특정 번호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특정 번호로만 통화를 연결할 수 있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번호를 전화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요구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해당 착신측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화기는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 중 하나를 기본 번호로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가 '통화(SEND)'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기본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측으로 호를 연결하며,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번호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호를 연결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안내 방송을 실시한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번호를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요구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해당 착신측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은 홈위치 등록기 또는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이며,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번호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호를 연결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안내 방송을 실시한다.
도 1a는 종래 고정망에서 일반 유선 전화기의 발신 제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b는 종래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발신 제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에서는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번호로만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과,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즉, 교환국)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번호로만 통화를 연결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에 따르면 발신의 경우에는 등록된 특정 번호로만 가능하며 착신의 경우에는 임의의 다수로부터 무제한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착신 전용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 자체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로만 발신을 할 수 있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한다(S200). 이를 위해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키패드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한다.
이어,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소망 번호를 입력한다(S201). 이때, 사용자는 소망 번호를 직접 누르거나 또는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를 액정 표시 화면에 표시한 후 발신 가능 번호 중에서 하나의 소망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발신 가능 번호를 표시 및 선택할 수 있는 버튼(예를 들면, ▲, ▼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기본(Default) 호출 번호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키패드의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기본 호출 번호로 직접 발신이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유아일 경우 단지 '통화' 버튼만으로 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그러면, 일반 유선 전화 또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소망 번호가 S200 단계에서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인지를 체크한다(S203).
체크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소망 번호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이면 해당 소망 번호로 호를 연결한다(S204).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한 소망 번호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가 아니면, 호를 연결하지 않고 스피커를 통해 안내 방송 또는 호 제한음을 실시한다(S202). 이때, 안내 방송 또는 호 제한음은 스피커 또는 액정 표시 화면을 통해 음성 및 문자로 실시되며, 사용자는 안내 방송을 듣고 통화를 할 수 없음을 인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로만 발신을 할 수 있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은 고정망의 교환기 또는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 전용 시스템 및 지능망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때,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은 홈위치 등록기(HLR)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에 발신 가능 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지능망 시스템은 SCP(Service Control Point)에 발신 가능 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전용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 제한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 이동 통신망에 추가로 구비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교환국, 전용 시스템 및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기 발신 제한 방법은 우선, 시스템 운용자가 고정망의 교환기 또는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에 발신 가능 번호를 등록한다(S300).
이때, 교환국,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또는 임의의 저장장치)에는 특정 번호들에 대해서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발신 제한을 원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발신 가능 번호를 함께 저장한다.
이어, 서비스가 등록된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소망 번호가 입력되어 호가 발신되면 해당 고정망의 교환기 또는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에서는 호를 연결하기 전에 먼저 소망 번호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인지를 체크한다(S303).
부연 설명하면, 서비스가 등록된 가입자로부터 호가 발신되면, 교환기, 교환국,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에서는 이를 인지하여 가입자가 등록된 시스템 또는 호 처리 블록으로 통화 서비스 요구 및 입력된 소망 번호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와의 비교를 요청한다.
이때, 가입자가 등록된 교환국, 전용 시스템, 지능망 시스템 또는 호 처리 블록에서는 입력된 소망 번호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서비스를 요구한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블록(Software block)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입력된 소망 번호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와 동일할 경우에는 해당 소망 번호에 따른 착신측으로 호를 연결하고(S304). 입력된 소망 번호가 등록된 발신 가능 번호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를 연결하지 않고 발신을 제한한다.
한편, 사용자의 발신을 제한할 경우에는 안내 방송을 실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302). 이때의 안내 방송도 도 2에서 전술할 바와 같이 음성 또는 호 제한음 및 문자를 이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유선 전화기/이동 단말기에 등록된 특정 번호 또는 고정망의 교환기, 이동 통신망의 교환국, 전용 시스템, 지능망 시스템에 등록된 특정 번호로만 발신이 이루어지므로서 무절제한 통화에 대한 근본 적인 제한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발신을 허용하고자 하는 특정 번호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이동 단말기를 착신 전용 전화기 등과 같이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번호를 전화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요구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해당 착신측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 중 하나를 기본 번호로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가 '통화(SEND)' 버튼을 누름에 따라 상기 기본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측으로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번호를 고정망 또는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번호를 입력하여 호를 요구하면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특정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요청된 호를 해당 착신측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에서,
    상기 이동 통신망의 시스템은 홈위치 등록기 또는 전용 시스템 또는 지능망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번호가 상기 등록된 번호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호를 연결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안내 방송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1999-0022751A 1999-06-17 1999-06-17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037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51A KR100370108B1 (ko) 1999-06-17 1999-06-17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51A KR100370108B1 (ko) 1999-06-17 1999-06-17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775A true KR20010002775A (ko) 2001-01-15
KR100370108B1 KR100370108B1 (ko) 2003-01-29

Family

ID=1959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751A KR100370108B1 (ko) 1999-06-17 1999-06-17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10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557A (ko) * 2001-08-11 2003-02-19 주식회사 한국밴통신 네트워크 접속 모듈(Network Interface Module)과 제어용컴퓨터를 이용한 외부발신전화 제어 시스템
KR20030041426A (ko) * 2001-11-20 2003-05-27 나천열 무선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20030070205A (ko) * 2002-02-21 200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도용 방지방법
US6928151B2 (en) 2001-01-31 2005-08-09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call origination accompanied by executing application
KR100651546B1 (ko) * 2004-11-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발신 제한 방법과 그 휴대단말기
KR20070100077A (ko) *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과금 서비스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812386B1 (ko) * 2006-06-30 2008-03-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호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18843B1 (ko) * 2006-03-23 2013-01-18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호 연결 설정 제어 시스템 및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394A (en) * 1997-06-18 1999-06-08 Shipley Company, L.L.C. I-line photoresist compositio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8151B2 (en) 2001-01-31 2005-08-09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call origination accompanied by executing application
KR20030014557A (ko) * 2001-08-11 2003-02-19 주식회사 한국밴통신 네트워크 접속 모듈(Network Interface Module)과 제어용컴퓨터를 이용한 외부발신전화 제어 시스템
KR20030041426A (ko) * 2001-11-20 2003-05-27 나천열 무선 단말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20030070205A (ko) * 2002-02-21 200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도용 방지방법
KR100651546B1 (ko) * 2004-11-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발신 제한 방법과 그 휴대단말기
KR101218843B1 (ko) * 2006-03-23 2013-01-18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호 연결 설정 제어 시스템 및 호 연결 설정을 제어하는방법
KR20070100077A (ko) * 2006-04-05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과금 서비스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812386B1 (ko) * 2006-06-30 2008-03-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호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108B1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5731B2 (en) Telephone with dynamically programmable push buttons for access to advanced applications
CN1863252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KR100370108B1 (ko)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0986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JPH1127391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発呼者が呼取り扱いを制御出来るよう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KR100978385B1 (ko)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른 호신호 연결 방법 및 장치, 및그를 이용한 전화통신시스템 및 단말기
KR100549597B1 (ko) 단축번호를 이용한 기본통화 혹은 그룹통화 전화 서비스방법
CN100531260C (zh) 一种电话号码查询系统及电话号码查询和转接方法
KR100221058B1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호 자동접속시스템 및 호 자동접속방법
AU2002306000B9 (en) Services in a telephony system
KR100321880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30601B1 (ko) 통화 배경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283395B1 (ko)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외부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KR100591892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4065A (ko) 그룹 통화 기능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293366B1 (ko) Cdma시스템에서의단말기액세스추적방법
KR19990041528A (ko) 통신단말기에서 다이얼링수 단축방법
KR19990003258A (ko) 착신측 정보 확인 가능한 키폰 시스템의 내선 통화방법
JP2001237973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を利用した通話モニタ方式
KR2000006743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번호 서비스 제어방법
KR20030035246A (ko)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010038620A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