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460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460A
KR20010001460A KR1019990020686A KR19990020686A KR20010001460A KR 20010001460 A KR20010001460 A KR 20010001460A KR 1019990020686 A KR1019990020686 A KR 1019990020686A KR 19990020686 A KR19990020686 A KR 19990020686A KR 20010001460 A KR20010001460 A KR 20010001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zer
area
inking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병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460A/en
Publication of KR2001000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6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PURPOSE: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recognizing a written-down styl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recognize the character and the number inputted into an inking area, by distinguishing the inking area from each other, without the operation for assigning the kind of a recogniz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a character that will be recognized. CONSTITUTION: A microprocessing unit(30) includes an inking determination part, a recognizer determining part and a recognition part. The inking determination part checks if the inking of a character is continued on a touch screen(38). The recognizer determining part decides for what recognizer an inputted character is included in the area. The recognition part recognizes the inputted character by the recognizer determined by the recognizer determining part. A memory(32) stores data. The character is inputted via a keyboard(34). The touch screen(38) responds to the pressure on its surface applied when the character and the number are inked, and a display controller(36) converts the pressure to an electric signal.

Description

필기체 인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본 발명은 문자나 숫자를 인식하는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킹 영역을 구별하여 각 영역별로 인킹된 문자와 숫자를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gnizer for recognizing letters and numb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s and numbers encoded for each area by distinguishing the area of the recognition.

정보 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정보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크기가 작은 정보 기기의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 음성, 문자 인식기의 사용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필요성의 증대에 따라 문자 인식 분야도 많은 변천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보아도, 어떤 필기체 인식기도 일반적인 사람의 필기체를 100% 인식하는 것은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인식기도 드문 실정이다.As the use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has become common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necessity of using voice and text recognizers as data input means of small information devices is increasing. As the development and necessity increase, the field of character recognition continues to change and develop. In the present world, no handwriting recognizer recognizes 100% of the handwriting of a general person, and in most cases, a handwriting recognizer can obtain satisfactory results.

인식기의 한글, 영문, 숫자 등을 함께 인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혼합하여 필기한 문자, 숫자들 각각을 구분해서 인식하는 경우에는 인식율이 별로 좋지 않다. 그러므로 각 문자 종류별로 인식기를 미리 구별해서 문자 혹은 숫자를 인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이런 경우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한글, 영문 또는 숫자들을 인식할 때 먼저 해당 인식기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 입력 영역 즉 인킹(inking) 영역에 필기하여 인식을 위한 입력을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경우 혼합해서 인식시키는 방법에 비해 인식율이 아주 좋게된다.In the case of recognizing Korean, English, numbers, etc. of the recognizer together, the recognition rate is not very good when the user recognizes each of the handwritten characters and numbers separately. Therefore, each character type uses a method of recognizing letters or numbers by distinguishing recognizers in advance. In this case, when recognizing Korean, English, or number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the user first selects the corresponding recognizer and then writes it in the input area, that is, the inking area.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rate is very good compared to the mixed recognition method.

도 1은 종래의 한글, 영문, 숫자 인식기를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인식기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recognizer that can distinguish and use a conventional Korean, English, and numeric recognizer.

이 경우 각각의 인식기를 구분하기 위한 영역이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인식기 영역을 펜이나 손가락 혹은 마우스 등으로 누르면 해당 인식기가 활성화되고 인킹 영역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도면의 경우 현재 한글 인식기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며, 사용자는 "홍길동"이라는 문자를 인킹 영역에 펜으로 입력하였고, 이 입력 내용이 한글 인식기로 인식되게 된다.In this case, an area for distinguishing each recognizer is located at the top, and when the user requires a pen, finger, or mouse to recognize the recognizer, the corresponding recognizer is activated and data input to the inking area is recognized. In the case of the figure, the Hangul recognizer is currently selected, and the user inputs the character "Hong Gil Dong" into the inking area with a pen, and the input content is recognized as the Hangul recognizer.

도 2는 영문 전용 인식기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case of an English-only recognizer.

인킹 영역의 중앙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중앙의 점선에 걸쳐서 쓰면 영문자의 대문자로 인식하고, 중앙 점선에 걸치지 않은 글자는 소문자로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면에서는 첫 번째 "S" 만이 대문자이고 다른 문자는 전부 소문자이다. 대문자만을 인식시키려면 중앙의 점선에 걸치게 쓰고, 소문자만을 인식시키려면 중앙의 점선에 걸치지 않게 쓰면 된다. 이처럼 영문자의 경우도 대소문자를 구별하면 인식기의 효율이 더 좋아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인식기를 지정하는 동작이 필요 없게 된다.If the center of the marking area is marked with a dotted line and written over the center dotted line, it is recognized as an uppercase letter of the English letter, and a letter not crossing the center dotted line is recognized as a lowercase letter. In the figure only the first "S" is uppercase and all other characters are lowercase. To recognize only uppercase letters, write across the middle dotted line; to recognize only lowercase letters, write across the middle dotted line. In this case, the case of the alphabet, the case is more efficient the recognizer.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designating the recognizer as shown in FIG. 1 is unnecessary.

도 1의 경우에는 인식율은 좋아지지만 데이터 입력 시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인식기를 일일이 구분하여 지정한 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 경우 각각의 인식기 전환에 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로 인해 입력이 불편해진다. 또 한 인식기 사용 중 다른 인식기를 지정하게 되면, 예를 들어 한글 인식기를 사용하다가 한글 입력을 끝내고 디스플레이 상단의 영문 인식기를 활성화시켜 영문을 입력하게 되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인식기를 구동할 수 없으므로 인식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FIG. 1, the recognition rate is improved, but it is cumbersome to input a required recognizer after distinguishing the necessary recognizers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o be input at the time of data input. In this case, it takes a long time to switch each recognizer, which makes input difficult. In addition, if a different recognizer is specified while using the recognizer, for example, when the Hangul recognizer is finished and the Korean input is completed and the English recognizer at the top of the display is activated to input English, the recognition efficiency cannot be driven because two or more recognizers cannot be driven at the same time.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deteriorating.

도 2의 경우에는 영문 전용인 경우에는 실행하려는 인식기 종류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로움이 적고 사용하기가 편하지만, 한글, 영문 그리고 숫자 등의 인식기를 혼합해서 사용하려고 할 때에는 별도의 구현 방법을 강구해야만 한다. 즉, 여러 종류의 문자와 숫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FIG. 2,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 of recognizer to be executed in the case of English only, it is less cumbersome and convenient to use. However, when using a mixture of Korean, English and numbers, a separate implementation method is devised. must do it.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the case where various types of letters and numbers are requi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식시키려는 문자 종류에 따라 미리 인식기 종류를 지정하는 동작이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인킹 영역에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를 인식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 of recognizer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to be recognized, handwriting recognition that recognizes letters or numbers that are efficiently input to the area to be identified A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도 1은 종래의 한글, 영문, 숫자 인식기를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인식기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recognizer that can distinguish and use a conventional Korean, English, and numeric recognizer.

도 2는 종래의 영문 전용 인식기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case of a conventional English-only identifier.

도 3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장치의 하나인 컴퓨터의 기능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3 shows in block form the functionality of a computer, which is one of the devices in which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식기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flow of recognizer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illustrates one embodiment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기체 인식 장치는, 사용자가 문자를 필기하는 인킹이 시작될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을 지어서 각 인식기 영역 간 구별되게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문자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인킹 판단부; 상기 인킹 판단부가 인킹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된 문자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인식기 판단부; 및 인킹된 입력 문자를 상기 인식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해당 인식기별로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andwriting recognizing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tinguish between each recognizer area by creating a partition for each recognizer area where a user starts to write a letter; An inking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character inking continues; A recognize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ich recognizer area an input character is included in when the ink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inking is finished; And a recognizer configured to recognize the encoded input character for each corresponding recognizer determined by the recognizer determiner.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누르는 압력에 반응하는 터치 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pressure.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기체 인식 방법은, 사용자가 문자를 필기할 화면에 인킹이 시작될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을 지어서 각 인식기 영역 간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사용자의 문자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인킹이 끝나면 입력된 문자의 일부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인킹된 입력 문자를 해당 인식기별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gnizing a handwriting, comprising: distinguishing between recognizer areas by creating a partition for each recognizer area on which a user starts writing on a screen on which a user writes text;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character inking continues; Determining which recognizer area a part of the input character is included in after the inking is finished; And recognizing the encoded input character for each corresponding recognizer.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되어지고 남은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도 하나의 인식기 영역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playing step, the display area of the remaining screen divided by each recognizer area is used as one recognizer area.

그리고 상기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는, 인킹 도구가 화면을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인킹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며, 인킹 도구가 화면을 누르는 압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인킹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inking contin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inking tool detects the pressure by pressing the screen, and the inking tool determines that the inking is finished if the inking tool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features.

상기 인식기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 인킹의 시작 부분이 어느 영역에서 시작한 것인가에 따라 인식기의 종류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of the recognizer area may include identifying a type of recognizer according to which area the starting portion of the inking starts.

도 3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장치의 하나인 컴퓨터의 기능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3 shows in block form the functionality of a computer, which is one of the devices in which the invention is implemented.

컴퓨터는 컴퓨터의 주요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MPU부(30), 기억 장치(32), 키보드(34), 디스플레이 제어부(36) 및 화면부인 터치 스크린(38)을 포함한다.The computer includes an MPU unit 30, a memory device 32, a keyboard 34, a display control unit 36, and a touch screen 38, which is a screen unit, which performs main control functions of the computer.

MPU부(30)는 인킹 판단부, 인식기 판단부 및 인식부를 포함한다.The MPU unit 30 includes an inking determination unit, a recognizer determination unit, and a recognition unit.

인킹 판단부는 터치 스크린(38) 위에 사용자의 문자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인식기 판단부는 상기 인킹 판단부가 인킹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된 문자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며, 인식부는 인킹된 입력 문자를 상기 인식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해당 인식기별로 인식한다.The checking determin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character inking continues on the touch screen 38. The recognizer determiner determines which recognizer region the input characters are included in when the inking determiner determines that the inking is finished, and the recognizer recognizes the encoded input characters for each corresponding recognizer determined by the recognizer determiner.

기억 장치(32)는 컴퓨터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고, 키보드(34)는 컴퓨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의 하나이다.The storage device 32 is a place for storing data required by a computer, and the keyboard 34 is one device for receiving input from a computer user.

터치 스크린(38)은 인식될 문자나 숫자를 인킹할 때에 화면을 누르는 압력에 따라 반응하며, 이 압력이 디스플레이 제어부(36)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된다. MPU부(30)의 인식부는 이 신호에 따라 인킹된 문자나 숫자를 인식한다.The touch screen 38 responds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pressing the screen when the letters or numbers to be recognized are recognized, and the pressure is changed by the display control unit 36 into electrical signals. The recognition unit of the MPU unit 30 recognizes the encoded character or number in accordance with this sig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식기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flow of recognizer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PU부(30)은 인식기를 초기화한다(40a 단계). 인식기의 종류는 한글 인식기, 영문 대문자 인식기, 영문 소문자 인식기 및 숫자 인식기를 포함한다. 인식기 영역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를 초기화하여 화면인 터치 스크린(38)에 디스플레이하고(40b 단계), 인식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한다(40c 단계). 인식기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인식할 문자를 입력받을 준비를 한 것이다.The MPU unit 30 initializes the recognizer (step 40a). Types of recognizers include a Korean recognizer, an English uppercase identifier, an English lowercase identifier, and a numeric identifier. The display is divided by the recognizer area and initialized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38 which is a screen (step 40b), and the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 is started (step 40c). You are ready to display the recognizer areas and receive the characters to be recogniz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illustrates one embodiment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한글 영역(52)과 영문 대문자 영역(54), 영문 소문자 영역(56) 및 숫자 영역(58)으로 구분되어 있는 인킹 영역이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형의 모습으로 배경 화면(50)에 도시된다. 한글을 입력하고 싶을 때에는 한글 영역(52)에서 첫 번째 글자를 시작하면 되며, 첫 번째 글자만 한글 영역(52)에서 시작된다면 나머지 글자는 한글 영역(52)을 벗어나도 한글로 인식하게 된다.The inking area divided into the Korean area 52 and the uppercase English area 54, the lowercase English area 56, and the numeric area 58 is shown on the background screen 50 in the shape of a rectangle indicated by a dotted line. When you want to input Hangul, the first letter is to be started in the Hangul area 52. If only the first letter is started in the Hangul area 52, the remaining letters are recognized as Hangul even if they leave the Hangul area 52.

도 2에서와 같은 "Student"를 입력하고 싶은 경우에는, "S"를 영문 대문자 영역(54)에서 입력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입력용 펜을 화면에서 떼어서 영문 대문자 인식을 마친 후 "tudent"를 영문 소문자 영역(56)에서 시작되도록 입력한다. 이 소정의 시간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환경에 따라 정해지며, 바뀔 수 있는 값이다.In the case of inputting "Student" as shown in FIG. 2, "S" is inputted in the English uppercase letter field 54, the input pen is removed from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udent" is entered. Enter to start in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56. This predetermined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nd is a value that can be changed.

숫자 입력을 위해서는 위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숫자 영역(58)에서 입력을 시작하면 된다.In order to input a number, input is started in the number area 58 as in the above method.

본 실시예에서는 위의 4개의 영역만을 제시하였지만, 영역별로 디스플레이 되고 남은 화면 영역을 다른 인식기 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된 구성은 도 5와 같지만, 화면에 배경 화면으로 지정되지 않은 영역을 특수 문자(예를 들어 회계 전용의 기호 혹은 수학 기호 등)의 영역으로 지정하여, 점선의 사각형으로 구별된 영역 이외의 부분에서 인킹이 시작되면, 특수 문자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혹은 도 5의 영역 구성에서 한글 영역을 없애고, 그 대신 점선의 사각형으로 구별된 영역 외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모두 한글 영역으로 지정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above four areas are presented, but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aining screen area displayed for each area as another recognizer area. For example, the displayed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FIG. 5, but the area not designated as the background screen is designated as the area of special characters (for example, an accounting-only symbol or a mathematical symbol), and is divided by a dotted rectangle. If the inking starts anywhere else, it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special characters. Alternatively, the Hangul area may be removed from the area configuration of FIG. 5, and instead, all display areas other than the area separated by the dotted rectangle may be designated as the Hangul area.

터치 스크린(38)에 압력이 가해지면 이 압력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6)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화되어 MPU부(30)의 인킹 판단부는 입력이 시작된 것을 판단한다(41 단계). 압력이 감지되면 인킹이 시작되는 것이며(42 단계), MPU부(30)의 인킹 판단부는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이 계속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43b 단계), 인킹 도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인킹이 끝나는 것으로 판단한다(43a).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38, the pressur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display control unit 36, and the inking determining unit of the MPU unit 30 determines that the input has started (step 41). When pressure is sensed, inking is started (step 42), and the determining unit of the MPU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to continue the inking (step 43b), and is applied by the inking tool. If the pressure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king is finished (43a).

인킹 도구로는 인킹 펜이 주로 사용된다. 스크린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도 인킹이 가능하다. 그러나 손가락으로는 스크린의 크기 때문에 문자 표현이 부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리고 구현하는 장치의 환경에 따라 인킹 도구로 디지타이저(digitizer)나 마우스 혹은 화면에 전자선을 방출하여 이를 감지해서 입력을 구별할 수 있는 전자펜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an inking tool, an inking pen is mainly used. Anything that can be pressurized without damaging the screen, for example by fingering. But with your fingers, the size of the screen will make your character unnatural.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device to be implemented, as an encoding tool, a digitizer, a mouse, or an electronic pen that detects and emits an electron beam on the screen can be used to distinguish input.

인킹이 끝나게 되면 MPU부(30)의 인식기 판단부는 인킹 펜이 최초로 눌러진 영역이 어떤 인식기 영역인가를 판단한다(44 단계). 인식기 영역에서 시작되어 입력된 것이라면 인킹이 시작된 부분이 어느 인식기 영역에서 시작된 것인지에 따라 해당 인식기가 인식 과정을 시작한다(45a 내지 45d 단계).When the end of the inking is completed, the recognizer determination unit of the MPU unit 30 determines which recognizer area is the first pressed area of the pen (step 44). If the input is started in the recognizer area, the corresponding recognizer starts the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which recognizer area the starting portion of the inking starts from (steps 45a to 45d).

입력 화면 구성과 인식기 영역의 판단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input screen configur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recognizer area is presented.

위에서는 각 문자의 종류별로 각 인식기 영역에서 시작되는 입력 방법을 예시하였다. 이 방법 외에도, 한번에 화면에 쓰는 문자 혹은 문자들의 일부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그 영역에 해당하는 인식기가 동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홍길동"을 입력할 때에 "홍길동"이라는 문자의 일부분만이라도 한글 인식기 영역(52)에 포함되면 한글 인식기가 동작하는 것이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영역에 동시에 인킹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먼저 인킹 문자가 포함되는 영역의 인식기가 동작되도록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각 인식기 영역을 나타내는 인식기 구획들을 적당한 간격을 두고 화면에 세로로 위치시킨다면(예를 들면 도 5에서 숫자 인식기 영역(58)을 영문 소문자 영역(56)의 하단에 위치시킴), 인킹하는 문자들이 두 개 이상의 영역에 겹쳐서 써지는 경우를 없앨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n input method starting from each recognizer area for each type of character is illustrated. In addition to this method, if a character or parts of characters written on the screen are located in a certain recognizer area, a recognizer corresponding to the area may be operated. For example, when inputting "Hong Gil Dong" in FIG. 5, if only a part of the character "Hong Gil Dong" is included in the Hangul recognizer area 52, the Hangul recognizer operates. In this case, two or more areas may be simultaneously locked. In this case, first, the recognizer of the area containing the encrypted character may be operated. In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if the identifier sections representing each recognizer area are vertically positioned on the screen at appropriate intervals (for example, the number recognizer area 58 in FIG. 5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English letter 56). ), You can eliminate the case where the characters you are inserting are overwritten in two or more areas.

MPU부(30)의 인식부의 해당 인식기가 입력된 내용을 인식하면, 인식 내용을 입력한 사용자가 입력하여 인식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MPU부(30)의 인식부는 인식된 내용을 터치 스크린(38)의 일부분에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가 이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보고 확인의 입력을 하게되면 인식하는 과정을 종료하게 되며, 사용자의 확인의 입력이 없으면, 즉 자신이 입력한 내용과 틀리거나 혹은 입력을 잘못했던가 해서 사용자가 잘못되었다는 입력을 하면, 인킹 입력이 시작되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41 단계)부터 다시 반복하게 된다(46 단계).When the corresponding recognizer of the recognition unit of the MPU unit 30 recognizes the input contents, the recognition unit of the MPU unit 30 recognizes the recognized contents so that the user who inputs the recognized contents can easily check the recognized contents. Is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38. When the user sees the displayed contents and inputs the confirmation, the recognition process is terminated. If there is no input of the confirmation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is wrong because the user inputs wrong or wrong input. Then,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of the input starts (step 41) (step 46).

위의 설명에서 MPU부(30)는 인킹 판단부, 인식기 판단부 및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실제의 구현에 있어서는 인킹 판단부, 인식기 판단부 및 인식부는 소프트웨어 즉, 인식기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서 컴퓨터의 주 프로세서(main 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PU unit 3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n identification determiner, a recognizer determiner, and a recognizer. In an actual implementation, the inking determiner, the recognizer determiner, and the recognizer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that is, recognizer software, and may be executed by a main processor of the computer.

본 발명을 적용하여, 문자의 종류별로 구별해서 인식을 할 수 있게 되며, 이 구별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가 없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인킹 입력을 할 때에 한 영역에서 인킹을 하다가 다른 영역에서 입력을 하게 되면, 먼저 인킹한 영역에 대한 인식을 하는 중에 다른 영역에 대한 인킹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인식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어, 인식기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by distinguishing by type of characters, and this separate process does not need to be distinguish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when inputting from one area to another while inking input, it is possible to accept the input of input to another area while recognizing the first area.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recognizer.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터치 스크린 같은 인킹 입력 도구와 인식기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의 이동성이 뛰어난 기기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and a recognizer software in a general computer, and can be used in a small portable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인식하려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인식기의 영역을 별도로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이 구별된 인식 영역별로 그 인식 영역에서 시작된 인킹 입력을 인식하게되어, 사용자가 문자 종류별로 지정하는 동작을 추가로 할 필요가 없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고, 구분된 인식기를 지정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두 개 이상의 인식기가 동시에 동작 가능하도록 해서 빠르게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인식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of the recognizer is separat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to be recognized, and the recognition input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area is recognized for each of the distinguished recognition areas, thereby adding an operation of designating the user by character type. There is no ne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and it has the effect of designating a separate recognizer, and by enabling two or more recognizers to operate at the same time, a quick recognition result can be obtained, thereby improving the recognition efficiency. have.

Claims (10)

필기되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recognizing a character input by handwriting, 사용자가 문자를 필기하는 인킹이 시작될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을 지어서 각 인식기 영역 간 구별되게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recognizer areas by creating a partition for each recognizer area where a user starts writing the text; 사용자의 문자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인킹 판단부;An inking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character inking continues; 상기 인킹 판단부가 인킹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된 문자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인식기 판단부; 및A recognize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ich recognizer area an input character is included in when the inking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inking is finished; And 인킹된 입력 문자를 상기 인식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해당 인식기별로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장치.And a recognizer for recognizing the inputted character by the recognizer determined by the recognizer determ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누르는 압력에 반응하는 터치 스크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장치.Handwriting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pressing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zer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에 각 인식기 영역으로 구획되어 표시되고 남은 영역에만 인킹이 입력되면 표시된 인식기 영역 외의 다른 인식기 영역에 인킹이 시작된 것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장치.And when the input is partitioned into each recognizer area on the display unit and an input is input only to the remaining area, the recognition recognizes that the inking is started in a recognizer area other than the displayed recognizer area. 필기되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recognizing a character that is written and input, 사용자가 문자를 필기할 화면에 인킹이 시작될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을 지어서 각 인식기 영역 간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Creating a partition for each recognizer area on which a user starts writing on a screen on which a user writes letters, and displaying the partitions separately among the recognizer areas; 사용자의 문자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character inking continues; 인킹이 끝나면 입력된 문자의 일부가 어떤 인식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ich recognizer area a part of the input character is included in after the inking is finished; And 인킹된 입력 문자를 해당 인식기별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And recognizing the encoded input character for each recogniz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the displaying step, 인식기 영역들은 한글,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및 숫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Recognizer areas include Korean, English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and number area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ing step, 각 인식기 영역별로 구획되어지고 남은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도 하나의 인식기 영역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area of the screen divided by each recognizer area is used as one recognizer are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킹이 계속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inking continues 인킹 도구가 화면을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인킹하고 있는 것을 판단하며, 인킹 도구가 화면을 누르는 압력이 소정의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인킹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And determining that the inking tool detects the pressure by pressing the screen, and determines that the inking is finished if the inking tool does not sense the pressure on the screen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recognizer area comprises: 인킹의 시작 부분이 어느 영역에서 시작한 것인가에 따라 인식기의 종류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And a type of recognizer according to which area the beginning of the inking start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recognizing the input comprises: 각 인식기 영역에 인킹한 문자나 숫자를 제대로 인식한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인식한 문자나 숫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recognized letters or numbers on the screen to confirm whether the letters or numbers encoded in the recognizer area are correctly recogniz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인식되어 디스플레이된 내용에 대해 긍정하는 확인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부터 계속하며, 긍정하지 않는 확인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인식하는 단계부터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체 인식 방법.And continuing from the display step if there is an input of affirmative confirmation on the recognized and displayed contents, and continuing from the step of recognizing if there is an input of affirmative confirmation.
KR1019990020686A 1999-06-04 1999-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KR200100014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86A KR20010001460A (en) 1999-06-04 1999-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86A KR20010001460A (en) 1999-06-04 1999-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60A true KR20010001460A (en) 2001-01-05

Family

ID=1959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686A KR20010001460A (en) 1999-06-04 1999-06-04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46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71A (en) * 2001-09-25 2003-04-10 주식회사 디오텍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KR101006749B1 (en) * 2005-06-24 2011-01-10 노키아 코포레이션 Handwriting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KR101124274B1 (en) * 2005-10-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Notes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the Same
KR101534308B1 (en) * 2008-08-22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71A (en) * 2001-09-25 2003-04-10 주식회사 디오텍 A personal information treat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various handwritten characters
KR101006749B1 (en) * 2005-06-24 2011-01-10 노키아 코포레이션 Handwriting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KR101124274B1 (en) * 2005-10-28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Notes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the Same
KR101534308B1 (en) * 2008-08-22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464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with immediate response
WO2003021788A2 (en) Component-based, adaptive stroke-order system
US20040243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ymbols in ideographic languages
JPH11305896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200100014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ome hand-writing
KR20010073976A (en)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Information Unit
JPS5935277A (en) Controlling method by real-time recognition of handwritten character pattern
JP2003005902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method for controlling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H05225399A (en) Document processor
JPH0950433A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WO2009044997A1 (en) Character input device
JPH06208660A (en) On-line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2922513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JPH0548478B2 (en)
JPH067309B2 (en) Electronics
JPH09212080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H01103787A (en) Device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aracter with personal dictionary preparing function
JPS608991A (en) Registering system of on-lin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zing dictionary
JPS61220078A (en) On-line character recognizing device
JPH10171341A (en) Electronic character practice device
JPH067310B2 (en) Electronics
KR20040099937A (en) Device for inputting letter by using touch-screen and method therefor
JPS61276011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JPS60110090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S6115378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