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883A - 어드용 클립단자 - Google Patents

어드용 클립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883A
KR20000076883A KR1020000013407A KR20000013407A KR20000076883A KR 20000076883 A KR20000076883 A KR 20000076883A KR 1020000013407 A KR1020000013407 A KR 1020000013407A KR 20000013407 A KR20000013407 A KR 20000013407A KR 20000076883 A KR20000076883 A KR 2000007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ttachment plate
pressing piece
cli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738B1 (ko
Inventor
카와모토히데오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0007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원터치장치식의 어드용 클립단자(1)는, 제1및 제2면(2)(3)을 갖는 부착판(4)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고, 결림클로(5)를 부착판(4)의 투과구멍(6)에 걸리게 한다. 단자(1)는 전선(7)이 접속되는 단자 본체(8)를 갖는다. 단자 본체(8)에서, 걸림클로(5)를 갖는 부누름편(15)를 남기고, 주누름편(16)을 잘라 세운다. 주누름편(16)의 누름부(24)에 의해, 도입 공간(S)내의 부착판(4)의 제1면(2)을 탄성적으로 누른다. 그 결과, 단자 본체(8) 및 부누름편(15)은 부착판(4)의 제2면(3)에 따른다.

Description

어드용 클립단자{EARTHING CLIP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정용 전기 기구나 OA전기 기기등의 정전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어드용 클립단자와 이를 포함하는 접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어드용 단자로서, 상기 단자가 부착되는 부착판의 부착구멍에 고정나사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고정나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게 된다. 또한, 부착시에 드라이버를 이용한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립에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버섯형상의 훅을 부착판에 형성한 장착구멍으로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원터치로 부착되게 한 어드용 단자가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1995년 4월 21일 공개된 일본국 실개평7-022471호 공보 참조).
이 어드용 단자로는, 장착구멍의 관통끝에서 훅을 넓게 열리게 해서 부착판의 이면(裏面)에 빠짐이 불가능하게 걸리게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어드용 단자는 한번 부착해 버리면, 그대로 두는 것이지만, 일단 떼어내어서 다시 장착할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공보의 어드 단자는, 처음부터 떼어낼 수 없다.
한편, 도8a에 나타내듯이, 부착판(51)의 끝부분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원터치로 부착되게 한 어드용 클립단자(52)가 제공되고 있다(예컨대, 1996년 2월 21일 출원 공고된 일본국 실공평 8-6366호 공보 참조).
이 클립단자(52)로는, 단자 본체(53)와 이것에서 부터 잘려 세워진 누름편(54)(클립편)과의 사이에 부착판(51)의 끝부분을 도입하도록 하여서, 클립단자(52)을 부착판(51)의 끝부분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단자 본체(53)와 누름편(54)의 사이에서 부착판(51)을 끼워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누름편(54)의 자유단(自由端)에 형성한 걸림클로(claw)(55)를 부착판(51)의 투과구멍(56)에 걸리게 하여서 고정한다.
이 클립단자(52)로는, 누름편(54) 그 자체에 걸림클로(55)를 설치하고 있는 관계상, 부착판(51)에서 떼어낼 때에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부착판(51)의 끝가장자리(57)에 의해 누름편(54)과 단자 본체(53)와의 간격을 크게 넓히지 않으면, 걸림클로(55)와 부착판(51)의 투과구멍(56)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없다. 특히, 누름편(54)의 근원인 기단부(58)에 큰 하중이 걸리고, 소성(塑性) 변형을 일으키기 쉽다. 이 때문에, 클립단자(52)를 부착판(51)에서 일단 떼어내어서 다시 장착한 경우, 누름편(54)과 단자 본체(53) 사이에서 충분한 끼워 지지하는 힘이 얻어지지 않고, 어드접속이 불확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클립단자(52)를 투과구멍(56)을 갖지 않는 부착판 (51)에 부착시키는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의 걸림클로(55)를 부착판(51)의 대응하는 면에 누르는 마찰력만으로, 클립단자를 부착판에 유지하게 하는 결과, 유지력이 약하게 된다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장착식의 어드용 클립단자에 있어서, 만일 재장착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도, 활실하게 어드접속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단자를 부착판에 장착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접지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부착판에서 단자를 떼어낼 때의 접지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어드용 클립단자를 투과구멍을 갖지 않는 타입의 부착판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자 및 부착판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어드용 클립단자를 기판에 장착하는 접지구조의 단면도이고, 기판을 덮고 또한 기판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섀시에 의해서, 기판에서 부터 단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접지구조에 있어서, 단자가 장착된 상태 및 떼어냄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클립단자
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제1면
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제2면
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부착판
4a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끝가장자리
4b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오목부
5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걸림클로
6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투과구멍
7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전선
8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단자 본체
9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고리형상부
10a,10b,10c,10d ㆍㆍㆍㆍ 가장자리부
1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접속부
1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도체배럴
1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절연배럴
1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볼록조
15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부누름편
16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주누름편
17,18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기단부
19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가장자리부
20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스토퍼
2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제1부분
2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제2부분
2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제3부분
2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누름부
25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경사형상 안내면
3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측편
3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선단부
3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연결편
3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클로편
35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선단부
4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전기 기기
4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기판
4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섀시(덮개판)
4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결합부
5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부착판
52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클립단자
53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단자 본체
54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누름편
55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걸림클로
56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투과구멍
57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끝가장자리
58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기단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면을 갖는 부착판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원터치 장착식의 어드용 클립단자가, 전선이 접속된 판형상의 단자 본체와, 단자 본체에서 잘려 세워지고, 부착판에 걸리는 걸림클로와, 단자 본체의 내측의 영역에 상기 걸림클로를 갖는 외팔형상의 부누름편을 남기고 잘려 세워지고, 단자 본체에 의해 외팔형상으로 지지되는 주누름편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부착판은, 상기 주누름편과 단자 본체와의 사이, 및 상기 주누름편과 부누름편 사이에 도입된다. 주누름편은, 도입되는 부착판의 제1면을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단자 본체 및 부누름편을 부착판의 제2면에 따르게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형태로는, 주누름편과 걸림클로가 부착판을 끼운 양측으로 분리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떼어내기 위해서 걸림클로를 결합 해제할 때에, 주누름편을 과대하게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결과, 주누름편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본 단자를 일단 부착판에서 떼어내서 재장착하는 경우에도, 어드접속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어드용 클립단자의 부착판으로의 장착 공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접지구조의 단면도이다. 도2b를 참조하여서, 본 어드용 클립단자(1)(이하에서는, 단순히 단자(1)라고도 한다)는, 서로 마주보는 제1면(2) 및 제2면(3)을 갖는 부착판(4)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상태로 걸림클로(5)를 부착판(4)의 투과구멍(6)에 걸리게 하는 클립 단자이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단자(1)는, 전선(7)이 접속되는 판형상의 단자 본체 (8)를 갖고 있다. 단자 본체(8)는 가장자리부(10a,10b,10c)및 (10d)를 갖는 사각 고리형상을 이루는 고리형상부(9)와, 고리형상부(9)의 하나의 가장자리부(10a)의 중앙부에서 직교형상으로 뻗은 전선 접속부(11)를 갖고 있다. 전선 접속부(11)는, 전선(7)의 심선(芯線) 및 피복부에 각각 압착된 도체배럴(12) 및 절연배럴(13)를 포함하고 있다. (14)는 고리형상부(9)의 각 가장자리부에 강도 향상을 위해 각각 설치된 속이 빈 볼록조(비드(bead))이다.
단자 본체(8)의 내측의 영역(A1)에는, 상기 걸림클로(5)를 갖는 외팔형상의 부누름편(15)을 남기고 주누름편(16)이 잘려 세워져 있다. 이 주누름편(16)은 문형상을 이루고, 단자 본체(8)의 상기 가장자리부(10a)에 의해 외팔형상으로 지지되고 있다.
부누름편(15)은 단자 본체(8)와 동일 평면내에서 문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리형상부(9)의 가장자리부(10a)에서 전선 접속부(11)와 반대측으로 뻗어 있다. 부누름편(15)의 한쌍의 기단부(17,17)는 주누름편(16)의 한쌍의 기단부(18,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b 및 도 2b에 나타내듯이, 주누름편(16)과 단자 본체(8) 사이에 부착판(4)의 끝부분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 공간(S)이 구획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내듯이, 부누름편(15)의 선단의 가장자리부(19)에는, 문 형상의 내측의 영역(A2)에 있어서 상기 걸림클로(5)가 잘려 세워지고, 이 걸림클로(5)의 선단은 도 1b에 나타내듯이 도입 공간(S)측으로 진출하고 있다. 도 2b에 나타내듯이, 걸림클로(5)는 부누름편(15)에 대해서 작은 경사각도로 경사하고 있고 주누름편 (16)의 후술하는 경사형상 안내면(25)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b에 나타내듯이, 부누름편(15)의 문 형상의 내측으로 영역(A2)에 있어서, 부누름편(15)의 한쌍의 기단부(17,17) 사이의 상기 가장자리부 (10a)에서, 단면(L)자형 형상의 스토퍼(20)가 도입 공간(S)측으로 향해서 잘려 세워져 있다.
도 1a,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듯이, 평면에서 보아 문 형상을 이루는 주누름편(16)은 단면 대략 크랭크형 형상을 이루고, 단자 본체(8)의 고리 형상부(9)의 가장자리부(10a)에 기단부(18)에 접속하는 경상형상의 제1부분(21)과, 제1부분(21)에 연속하고 제1부분(21)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하는 제2부분(22)과, 제2부분(22)에 연속하고 제2부분(22)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하는 제3부분(23)을 보유하고 있다.
제3부분(23)은 단자 본체(8)와 주누름편(16) 사이의 도입 공간(S)에 부착 판(4)의 끝가장자리(4a)를 도입할 때에, 도 2a에 나타내듯이 끝가장자리(4a)에 접하여서 안내의 역할을 한다. 제2부분(22)과 제3부분(23)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정상부에 의해서, 누름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부(24)는, 주누름편(16)과 단자 본체(8) 사이, 및 주누름편(16)과 부누름편(15) 사이에 도입되는 부착판(4)의 제1면(2)을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단자 본체(8) 및 부누름편(15)을 부착 판(4)의 제2면(3)에 따르게 하는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 본체(8) 및 부누름편(15)이 부착판(4)의 제2면(3)에 따른 상태로 부착판(4)이 도입되면, 도2b에 나타내듯이, 걸림클로(5)가 부착판(4)의 투과구멍(6)에 걸리고, 단자(1)의 부착판 (4)에서의 떼어짐을 방지한다. 즉 도입하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부착이 완료한다.
주누름편(16)과 걸림클로(5)를 부착판(4)을 끼운 양측으로 분리하여서 배치하여 두었기 때문에, 걸림클로를 주누름편에 설치하고 있는 도 8a 및 도 8b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서, 떼어낼 때에 주누름편(16)을 변형시키는 양을 현격하게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떼어낸 단자(1)를 부착판(4)에 다시 장착한 경우에도, 확하게 어드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입 공간(S)으로 도입된 부착판(4)의 끝가장자리(4a)에 대해서 스토퍼(20)가 접하는 것에 의해, 끝가장자리(4a)가 주누름편(16)의 기단부(18)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누름편(16)의 기단부(18)에 불필요하게 높은 하중이 미치지 않고, 주누름편(16)의 소성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재장착 할 때의 어드접속의 확실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입 공간(S)으로 도입된 부착판(4)의 제1면(2)에 대해서 마주보는 제2부분(22)의 면은 경사형상 안내면(25)을 구성하고 있고, 어떠한 사정에 따라, 도3에 나타내듯이 단자(1)을 부착판(4)에서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떼어내는 동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단자(1)를 떼어낼 때에는, 전선 접속부(11)에 도3에 있어서 속이 빈 화살표로 나타내는 힘을 가해서 경사형상 안내면(25)이 부착판(4)의 제1면(2)에 따르도록 단자(1)의 부착판(4)에 대한 각도를 바꾼다.
이와 같이 부착판(4)의 제1면(2)에 경사형상 안내면(25)을 따르게 하는 것에 의해, 걸림클로(5)가 부착판(4)과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가 정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위치 결정 상태에서, 경사형상 안내면(25)에 따라 부착판(4)을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단자(1)를 부착판(4)에서 쉽게 또한 부드럽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경사형상 안내면(25)에 부착판(4)을 따르게 하는 것에 의해, 주누름편(16)의 변형량이 측정되는 것과 동시에, 작업자가 떼어내기 위한 적당한 각도를 직접 감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주누름편(16)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변형시키지 않아서, 이 점에서도 주누름편(16)의 소성 변형 방지가 확실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도4에 나타내듯이, 어드용 클립단자(1)의 스토퍼(20)를 부착판(4)의 끝가장자리(4a)에 설치한 오목부(4b)에 끼워 맞추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본 단자(1)의 부착판(4)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강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다른 구성은 도 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스토퍼를 폐지한 경우에도, 주누름편 (16) 및 걸림클로(15)를 부착판(4)의 양측으로 분리하여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해서, 재장착할 때에 어드접속의 확실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의 종래의 것에 있어서 단자 본체(53)에 부착판(51)의 끝가장자리(57)에 접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서, 주누름편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1A)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주누름편(16)은, 한쌍의 기단부(18,18)에서 각각 뻗은 한쌍의 측편(31)의 선단부(32)를 연결편(33)으로 연결하여서 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측편(31)이 제1부분(21)과 제2부분(22)을 각각 포함하고, 연결편(33)이 제3부분 (23)에 상당하고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3부분(23)에 상당하는 연결편(33)이, 주누름편(16)의 문 형상의 내측의 영역으로 뻗은 폭이 넓은 클로편(34)을 설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 클로편(34)의 선단부(35)가 부착판의 제1면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성하고 있다. 클로편(34)의 폭(D)는 부착판(4)의 투과구멍(6)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1A)라면, 도에 나타내고 있지 많지만, 도 3에 나타내듯이 투과구멍(6)을 갖는 부착판(4)에 장착된 경우에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누름부를 제공하는 클로편(34)은, 그 폭(D)이 투과구멍(6)의 직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어드용 클립단자(1A)를, 만일, 떼어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투과구멍(6)에 걸리거나 하지 않는다.
한편, 본 어드용 클립단자(1A)를, 도 6에 나타내는, 투과구멍을 갖지 않는 부착판(40)에 장착한 경우에는, 이것을 떼어 내려고 하면, 걸림클로(5)의 선단부 및 누름부로서의 클로편(34)의 선단부(35)가 표면압을 높인 상태로, 각각 부착판 (40)의 대응하는 면(2,3)을 누르기 때문에, 떼어냄에 저항하는 높은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장착유지력을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투과구멍(6)의 유무에 관계없이, 본 어드용 클립단자(1A)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적용 범위가 넓어 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어드용 클립단자(1A)가, 도 7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음향 기기 등의 전기 기기(41)의, 투과구멍을 갖지 않는 부착판을 제공하는 기판 (42)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의 기판(42)을 덮도록 해서 부착된 섀시(43)에 의해서, 단자(1A)의 기판(42)에서의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섀시(43)에 예컨대 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44)를 설치하고, 이 결합부(44)를, 기판 (42)에서 단자(1A)를 떼어내려고 하면, 스토퍼(20)에 간섭하는 위치로 레이아웃해두면 좋다. 섀시(43)의 결합부(44)는, 단자(1A)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 단자 (1A)의 어느 부분에 결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4의 실시 형태를 도 5나 도 7의 각 실시 형태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의 실시 형태를 도 1의 실시 형태에 적용하여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면(2)(3)을 갖는 부착판(4)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원터치장착식의 어드용 클립단자(1)로서,
    전선(7)이 접속되는 판형상의 단자 본체(8)와,
    단자 본체(8)로 부터 잘려 세워져, 부착판(4)에 걸리는 걸림클로(5)와,
    단자 본체(8)의 내측의 영역에 상기 걸림클로(5)를 갖는 외팔형상의 부누름편(15)을 남기고 잘려 세워지고, 단자본체(8)에 의해 외팔형상으로 지지되는 주누름편(16)을 구비하고,
    부착판(4)은, 상기 주누름편(16)과 단자본체(8) 사이, 및 상기 주누름편 (16)과 부누름편(15) 사이에 도입되고,
    주누름편(16)은, 도입되는 부착판(4)의 제1면(2)을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단자 본체(8) 및 부누름편(15)을 부착판(4)의 제2면(3)에 따르게 하는 누름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본체(8)에 설치된 스토퍼(20)를 구비하고,
    스토퍼(20)는, 부착판(4)의 도입측의 끝가장자리(4a)에 접하여서, 상기 끝가장자리(4a)가 주누름편(16)의 기단부(18)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스토퍼(20)를 부착판(4)의 끝가장자리(4a)에 설치한 오목부(4b)에 끼워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4. 제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24)는 주누름편(16)의 선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24)와 주누름편(16)의 기단부(18) 사이에는, 단자 본체(8)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형상 안내면(25)이 형성되고,
    이 경사형상 안내면(25)은, 부착판(4)의 제1면(2)에 따르게 됨으로써, 걸림클로(5)가 부착판(4)과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가 결정된 상태로, 상기 단자 (1)의 부착판(4)에서의 떼어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부착판(4)의 제1면(2)을 탄력적으로 누르는 클로편(34)의 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클로(5)는, 부착판(4)을 관통하는 투과구멍(6)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클로(5)는 부착판(4)의 제2면(3)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8.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면(2)(3)을 갖는 부착판(4)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원터치 장착식의 어드용 클립단자(1)에 있어서,
    전선(7)이 접속되는 판형상의 단자 본체(8)와,
    단자 본체(8)에서 잘려 세워지고, 부착판(4)에 걸리는 걸림클로(5)와,
    단자 본체(8)의 내측의 영역에 상기 걸림클로(5)를 갖는 외팔형상의 부누름편(15)을 남기고 잘려 세워지고, 단자 본체(8)에 의해 외팔형상으로 지지되는 주누름편(16)과,
    상기 단자 본체(8)에 설치되고, 부착판(4)의 도입측의 끝가장자리(4a)에 접하여서, 상기 끝가장자리(4a)가 주누름편(16)의 기단부(18)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드용 클립단자.
  9.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면(2)(3)을 갖는 부착판(4)을 양측에서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해, 부착판(4)과 어드용 클립단자(1)를 접속하는 구조로서,
    전선(7)이 접속되는 판형상의 단자 본체(8)와,
    단자 본체(8)에서 잘려 세워지고, 부착판(4)에 걸리는 걸림클로(5)와,
    단자 본체(8)의 내측의 영역에 상기 걸림클로(5)를 갖는 외팔형상의 부누름편(15)을 남기고 잘려 세워지고, 단자본체(8)에 의해 외팔형상으로 지지되는 주누름편(16)을 구비하고,
    부착판(4)은, 상기 주누름편(16)과 단자 본체(8) 사이, 및 상기 주누름편 (16)과 부누름편(15) 사이에 도입되고,
    주누름편(16)은, 도입되는 부착판(4)의 제1면(2)을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단자 본체(8) 및 부누름편(15)을 부착판(4)의 제2면(3)에 따르게 하는 누름부(24)를 포함하고,
    부착판(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부착판(4)을 덮는 덮개판(43)에 의해서, 부착판(4)에서의 어드용 클립단자(1)의 빠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
KR10-2000-0013407A 1999-03-17 2000-03-16 어스용 클립단자 KR100384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14999 1999-03-17
JP99-72149 1999-03-17
JP28565999A JP3361297B2 (ja) 1999-03-17 1999-10-06 アース用クリップ端子とこれを含む接地構造
JP99-285659 199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883A true KR20000076883A (ko) 2000-12-26
KR100384738B1 KR100384738B1 (ko) 2003-05-22

Family

ID=2641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407A KR100384738B1 (ko) 1999-03-17 2000-03-16 어스용 클립단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7031B1 (ko)
JP (1) JP3361297B2 (ko)
KR (1) KR100384738B1 (ko)
CN (1) CN1138315C (ko)
TW (1) TW4485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79Y1 (ko) * 2010-01-19 2014-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의 전원단자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1166B2 (ja) * 2001-04-20 2010-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セル電圧測定用接続端子部材
ES2207392B1 (es) * 2002-04-15 2005-07-16 Bticino Quintela, S.L. Conector para la conexion electrica de canalizaciones metalicas de cables electricos.
JP4101111B2 (ja) * 2002-11-07 2008-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積層型アース端子
US6971929B2 (en) * 2004-03-31 2005-12-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odular high density connector
JP4476071B2 (ja) * 2004-08-19 2010-06-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施工方法
CN203839613U (zh) * 2014-05-26 2014-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16101713A1 (de) * 2016-01-15 2017-07-20 Epcos Ag Halte- und Kontaktierungsvorrichtung
WO2018059696A1 (fr) * 2016-09-29 2018-04-05 Abb Schweiz Ag Système de liaison électrique avec un ressort à lames additionnel
JP6955863B2 (ja) * 2016-12-26 2021-10-27 株式会社ヨコオ コネクタ
CN109888516B (zh) * 2019-03-28 2020-07-2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组合电器用接地连接板拆装固定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761A (en) 1980-04-11 1981-12-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erminal with resiliently supported contact bow
US4632483A (en) * 1983-02-07 1986-12-30 Microdot Inc. Electrical terminal
US4566747A (en) 1984-07-26 1986-01-28 Microdot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4713026A (en) * 1986-10-08 1987-12-15 Interlock Corporation Tab receptacle terminal having improved electrical and mechanical features
JPH0644059Y2 (ja) * 1989-09-22 1994-11-14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導電膜接続子
JP2725755B2 (ja) 1993-08-31 1998-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H0722471U (ja) 1993-09-28 1995-04-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ース端子用固定具
USD434375S (en) 1999-03-09 2000-11-28 Japan Solderless Terminal Mfg. Co., Ltd Crimp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79Y1 (ko) * 2010-01-19 2014-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의 전원단자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31723A (ja) 2000-11-30
CN1267930A (zh) 2000-09-27
TW448594B (en) 2001-08-01
KR100384738B1 (ko) 2003-05-22
CN1138315C (zh) 2004-02-11
JP3361297B2 (ja) 2003-01-07
US6347031B1 (en) 2002-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7074B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725558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KR101031118B1 (ko) 동축 커넥터
KR100384738B1 (ko) 어스용 클립단자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US6386905B1 (en) Flat cable connector
JP2005101088A (ja) 固定部材
JP3724550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30104726A1 (en)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KR100644787B1 (ko) 기판용 그라운드 핀이 부착된 커넥터
JP2835675B2 (ja) 電子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JP4023685B2 (ja) 固定具
JP6100158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2014120484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44599B1 (ko)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3249072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2001274569A (ja) 線材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固定方法
JP3957022B2 (ja) 補機用コネクタ
TW201340478A (zh) 支座,附帶扁形導體支座及該附帶扁形導體支座與電連接器之組合體
EP4164066A1 (en) High temperature sensor housing with thermocouple connection
JP4042447B2 (ja) 端子装置
JPH10177884A (ja) 可撓性ケーブルの接続装置
JP2002056911A (ja) 帯状導体接続コネクタ
JPH04126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