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190A -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 Google Patents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190A
KR20000076190A KR1019997008284A KR19997008284A KR20000076190A KR 20000076190 A KR20000076190 A KR 20000076190A KR 1019997008284 A KR1019997008284 A KR 1019997008284A KR 19997008284 A KR19997008284 A KR 19997008284A KR 20000076190 A KR20000076190 A KR 2000007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butyl
dihydrothiazole
optionally substituted
dichlorophenyl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론 크로프드 치트햄
프랭크 케리건
콜린 제라르트 프라이스 죤슨
Original Assignee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크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크놀 아게 filed Critical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Publication of KR2000007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10Spir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8Nitrogen atoms
    • C07D277/42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서,
Ar은 각각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나프틸 도는 벤조[b]티오페닐이고;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a) H, b)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c) 탄소수 3 내지 6의 알케닐기, d) 탄소수 3 내지 7의 시클로알킬기, e) 환의 탄소수가 3 내지 7인 시클로알킬메틸기, f)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g) 각각 임의로 치환된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각각 탄소수가 1 내지 3인 하나 이상의 알킬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하고;
R3는 a) H, b) 각각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c) 임의로 치환된 아릴메틸기, 또는 d) 탄소수 3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이고;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환을 형성하는 화합물;
그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그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신경계 장애의 치료, 및 신경계 보호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를 기술하였다.

Description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Substituted 4-Arylmethylene-2-Imino-2,3-Dihydrothiazoles And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본 발명은 신경 세포의 5-히드록시트립타민 및/또는 노르아드레날린 및/또는 도파민 재흡수를 억제하는 특정 치환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그 제조 방법,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간질과 같은 신경계 장애의 치료, 및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아릴알킬- 및 아릴시클로알킬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아릴알킬- 및 아릴시클로알킬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및 아릴알킬- 및 아릴시클로알킬디히드로티아졸 화합물을 포함한다.
샤프 씨이.제이.(Sharpe C.J.) 및 샤드볼트 알.에스.(Shadbolt R.S.)는 문헌[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71, Vol 14 No.10, p977-982]에서 항우울 작용을 가지는 특정 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화합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문헌은 이들 화합물이 역시 문헌에 개시된 이미다졸린에 비해 일반적으로 활성이 더 적으며 독성은 더욱 강함을 또한 기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 문헌에 개시되지도 또는 제시되지도 않았다.
PCT/EP96/02676은 5-HT1A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을 가지며 신경 세포의 5-히드록시트립타민 및/또는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를 억제하는 치환된 벤조[b]티오펜-3-일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벤조[b]티오펜-3-일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벤조[b]푸란-3-일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및 벤조[b]푸란-3-일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화합물을 개시한다. 이들 화합물은 CNS 장애의 치료에 있어 유용한 것으로 기술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 문헌에 개시되지도 또는 제시되지도 않았다.
EP683,160은 제초제인 화학식 A의 이미노티아졸린 화합물을 그 중에서도 특히 개시한다.
상기 식에서, 특히 R1은 C1-C6(할로)알킬이고, R2는 C1-C6(할로)알킬, 하나 이상의 C1-C3(할로)알킬 군, C1-C3(할로)알콕시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C7-C17아랄킬,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이고; R3는 수소, C1-C6(할로)알킬 또는 일반식 CO2R6의 군이고; X는 수소, 염소 또는 불소이고; Y는 염소, 불소, 브롬,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고; R6는 수소 또는 C1-C3(할로)알킬이고; B는 니트로, 또는 일반식 SR4또는 OR4의 군이고; R4는 C1-C6(할로)알킬, C3-C6(할로)알케닐이며; 이 때 상기 치환기의 명칭에 사용된 "(할로)"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음을 뜻한다.
EP600,489는 화학식 B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며, R3, R4및 R5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으며 각각은 수소,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다.
US4,347,248은 이뇨제인 화학식 C의 2,3-이치환티아졸로[3,2-a][1,3]디아자시클렌을 개시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불소, 염소, 브롬, 최대 3개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 또는 디메틸아미노이고; R2는 수소,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최대 3개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Q는 화학식 -CH2-, -C(CH3)2-, -CH2CH2- 또는 -CH2CH2CH2-의 2가 부분이다.
US4,325,955는 이뇨제인 3-벤즈히드릴티아졸로[3,2-a][1,3]디아자시클렌을 개시한다.
특정 시클릭 2-이미노티아졸이 문헌[J.Chem.Soc. 1995, 2943-2948] 및 문헌[J.Chem.Soc.Perkin Trans.1, 1989, 643-64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Ar은 페닐, 나프틸 또는 벤조[b]티오페닐로서, 이들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e)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기 또는 f)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a) H, b)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c) 탄소수 3 내지 6의 알케닐기, d) 탄소수 3 내지 7의 시클로알킬기, e) 환의 탄소수가 3 내지 7인 시클로알킬메틸기, f)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g) 알킬쇄의 탄소수가 1 내지 3이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각각의 탄소수가 1 내지 3인 하나 이상의 알킬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기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하고;
R3는 a) H, b)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c) 아릴기가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메틸기, 또는 d) 탄소수 3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이고;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환을 형성한다.
할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하는 의 미로 사용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탄소수 2가 넘는 알킬기, 알킬티오기 및 알콕시기에서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페닐 또는 나프틸을, 바람직하게는 페닐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환 탄소 원자가 N, S 또는 O와 같은 헤테로원자로 대체된 아릴 및 푸릴 및 티에닐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아릴은 푸릴, 피리딜 또는 티에닐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Ar은 할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페녹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나프틸, 벤조[b]티오페닐 또는 페닐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Ar은 클로로, 브로모, 메틸티오 또는 페녹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나프틸, 벤조[b]티오페닐 또는 페닐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Ar은 2-나프틸, 벤조[b]티오펜-2-일, 4-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4-브로모페닐 또는 4-메틸티오페닐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a) H, b)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c) 탄소수 3 또는 4의 알케닐기, d) 탄소수 3 내지 5의 시클로알킬기, e) 환의 탄소수가 3 내지 5인 시클로알킬메틸기, f)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g) 알킬쇄의 탄소수가 1 또는 2이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할로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1및 R2는 a)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b) 알릴, c) 시클로펜틸, d) 시클로프로필메틸, e) i) 할로, ii) 메틸, iii) 트리플루오로메틸, iv) 에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기, f) 알킬쇄의 탄소수가 1 또는 2이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할로 또는 메톡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및 R2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알릴, 시클로프로필메틸, 벤질, 4-플루오로벤질, 피리드-3-일메틸, 푸르푸릴, 펜에틸 또는 2-(3,4-디메톡시페닐)에틸이거나; 또는 R1및 R2는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한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 1군에서는, R1및 R2는 동일하고 상기 정의를 만족시킨다.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다른 1군에서는, R1및 R2는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3는 H,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아릴이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메틸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에서 R3는 H, 페닐, 4-클로로페닐, 벤질 또는 2-메톡시에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3는 H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메틸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환을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4및 R5는 메틸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또는 시클로헥산 환을 형성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은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서 화학식 Ia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상기 식에서,
m은 2, 3 또는 4이고;
n은 2 또는 3이고;
Ar은 페닐 또는 나프틸로서,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e)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및 Rb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는 H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m은 3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n은 2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Ar은 나프틸, 또는 하나 또는 두개의 할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r은 나프틸, 또는 하나 또는 두개의 클로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페닐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Ar은 2-나프틸 또는 4-클로로페닐 또는 3,4-디클로로페닐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Ra, Rb및 R3는 각각 H이다.
1군의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m은 3; n은 2 또는 3이고; Ar은 페닐 또는 나프틸로서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e)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및 Rb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는 H이다. 바람직하게는, Ra, Rb및 R3는 각각 H이다.
또다른 1군의 바람직한 화학식 Ia의 화합물에서, m은 3; n은 2이고; Ar은 페닐 또는 나프틸로서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e)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및 Rb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는 H이다. 바람직하게는, Ra, Rb및 R3는 각각 H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산과의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모든 염을 포함한다. 그러한 염의 예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메탄술폰산염, 질산염, 말레산염, 아세트산염, 시트르산염, 푸마르산염, 타르타르산염[예. (+)-타르타르산염, (-)-타르타르산염 또는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여 그 혼합물], 숙신산염, 벤조산염 및 글루탐산과 같은 아미노산과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상이한 호변 이성질체 형태로 또는 상이한 기하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호변 이성질체 및/또는 기하 이성질체 각각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분리가능한 상이하고 안정한 형태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3이 부피가 큰 기인 경우, 하나 이상의 단일 결합 주위에 입체적 장애에 기인한 제한된 회전이 있을 수 있다. 비대칭 단일 결합 주위의 제한된 회전에 의한 비틀림 비대칭성은 예를 들어 입체 장애 또는 고리 변형으로 인해 상이한 이형태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각각의 형태이성질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 및 그 염은 하나를 넘는 결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각각의 결정 형태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 및 그 염은 예를 들어 수화물과 같은 용매화물의 형태로도 존재 가능하며 본 발명은 각각의 용매화물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하며 상이한 광학적 활성 형태로 존재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하나의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경우, 화합물은 두가지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하며, 본 발명은 양 거울상이성질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예를 들어, 결정화에 의해 분리 가능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염의 형성, 결정화, 기체-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가능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유도체 또는 착물의 형성; 또는 예를 들어 키랄성 리간드가 결합된 실리카 등 키랄 지지물 상에서 또는 키랄 용매의 존재 하에서의 키랄 환경에서의 기체-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목적하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상기 분리 방법 중 하나에 의해 다른 화학적 실체로 전환되는 경우, 원하는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를 유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하다. 별법으로는, 광학 활성 시약, 기질, 촉매 또는 용매를 사용하는 비대칭 합성에 의해, 또는 비대칭 변환에 의해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다른 것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특정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경우 화합물은 부분입체이성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 쌍은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결정화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으며 각 쌍 중의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각각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구체적인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으며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개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2-벤질-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메톡시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2-(4-클로로페닐)-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메틸-2-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에틸-2-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알릴-2-알릴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벤질-2-벤질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1-(2-나프틸)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5-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6-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메틸-2-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에틸-2-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알릴-2-알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벤질-2-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4-[1-(2-나프틸)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시클로펜틸-2-시클로펜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부틸-2-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페녹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페닐시클로헥실)-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플루오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본 발명은 또한 치료상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염과 함께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활성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가리킨다. 치료상 용도에서, 활성 화합물은 경구적으로, 직장으로, 비경구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상 조성물은 경구적, 직장, 비경구적 또는 국소적 투여를 위한 임의의 공지 제약 조성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제약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99 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단위 용량은 1-500 mg이다. 이들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부형제는 약제사 기술 분야에 공지된 부형제이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이며,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시럽제 및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와 같이 경구 투여용의 공지된 제약상 형태이다. 이들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부형제는 제약사 기술 분야에 공지된 부형제이다. 정제는, 옥수수 전분과 같은 붕괴제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의 존재 하에 활성 화합물을 인산염 칼슘과 같은 불활성 희석제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공지 방법으로 정제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정제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제형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서방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러한 정제에는 요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의 사용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 장용성 제피를 공급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활성 화합물 및 임의적으로 첨가된 부형제를 함유하는,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과 같은 캡슐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요망되는 경우 공지 방식으로 장용성 제피를 제공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제는 편의상 각각 1 내지 500 mg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기타 경구 투여용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같은 비-독성 현수제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 중에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및 예를 들어 낙화생유와 같은 적합한 식물성유 중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성 현탁액을 포함한다.
고형 경구 제형은 당업자에 공지된 방식으로 제제하여 활성 화합물을 서방형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용성 제피를 입힌 고형 경구용 제형은 활성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셸랙 및/또는 설탕과 같은 다양한 물질이 제피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경구용 제형의 물리적 형태를 다르게 변형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제 또는 환제는, 요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또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등의 공지 방법에 의해 장용성 제피를 입힐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지방유와 같은 첨가 부형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캡슐제 및/또는 캡렛(caplet)(예를 들어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요망되는 경우 공지 방식으로 장용성 제피를 입힐 수 있다. 캡슐제 및/또는 캡렛의 내용물은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하여 활성 화합물이 서방형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경구용 제형은 엘릭시르, 현탁액 및/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예를 들면, 비-독성 현수제[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같은]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 중에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및/또는 적합한 식물성유[낙화생유 및/또는 해바라기유와 같은] 중에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성 현탁액). 액상 경구 제형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감미제, 착향제, 보존제 및/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추가적인 부형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과립으로 제제할 수 있다. 과립은 환자에 의해 직접 섭취되거나 또는 적합한 액상 담체(예. 물)에 첨가되어 섭취될 수 있다. 과립은 액상 매질 중에서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붕괴제(예. 산 및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으로부터 형성된 제약상 허용되는 발포 커플)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경구 제형은 약 1 mg 내지 약 1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mg 내지 약 500 mg(예로서, 10 mg, 50 mg, 100 mg, 200 mg 또는 400 mg)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직장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화유,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코코아 버터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제를 함유한 좌제와 같은 직장 투여용으로 공지된 제약상 형태이다.
제약 조성물은 또한 비경구 투여용으로 공지된 제약상 제형(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치료 대상 환자의 혈액과 등장인, 수성 및/또는 유성 매질 중의 멸균 현탁액, 및/또는 적합한 용매 중의 멸균 용액)으로 비경구적으로(예를 들어, 피하로, 근육 내로, 피내로 및/또는 정맥 내로[주사 및/또는 주입]) 투여될 수도 있다. 비경구적 제형은 멸균(예를 들어 미소여과에 의해 및/또는 적합한 멸균제[산화에틸렌과 같은]를 사용하여)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국소 마취제, 보존제, 완충제 및/또는 그 혼합물과 같이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제를 비경구 제형에 첨가할 수 있다. 비경구 제형은 사용 전까지 적합한 멸균 밀봉 용기(예. 앰플 및/또는 바이알)에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기를 충진한 후 비경구 제형을 냉동시키고 유액(예. 물)을 감압 하에 제거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비강 투여용으로 공지된 제약상 형태(예. 분무제, 에어로졸, 연무 용액 및/또는 산제)로 코로 투여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계량 용량 시스템(예. 에어로졸 및/또는 흡입기)을 사용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구강 투여용으로 공지된 제약상 형태(예. 서용성(slow dissolving) 정제, 츄잉 검, 트로키제, 로젠지제, 습제정제, 겔제, 페이스트제, 구강세척제, 헹굼제 및/또는 산제)로 입 속으로(예를 들어 혀 밑으로) 투여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이 분산된 기질을 포함하여 화합물을 경피 투여하기 위해 화합물과 피부의 접촉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적합한 경피용 조성물은 제약상 활성인 화합물과, 미네랄 오일, 와셀린 및/또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또는 밀납 등의 왁스와 같은 국소 매개물을, 디메틸 술폭시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가능한 경피 촉진제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활성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크림 또는 연고 기제에 분산시킬 수 있다. 국소 제제 중에 함유된 활성 화합물의 양은, 국소 제제가 피부와 접촉하는 시간 동안 치료학상 유효한 양의 화합물이 전달될 정도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과 같이 외부 원으로부터, 또는 체내에 위치한 화합물의 원으로부터 지속적인 주입에 의해 투여할 수도 있다. 내부 원은 예를 들어 삼투에 의해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주입용 물질을 함유하는 이식 저장기, 및 (a) 제약상 허용되는 오일 중의 주입용 화합물의 현탁액 또는 용액과 같은, 예를 들어 도데칸산 염과 같은 매우 저-수용성인 유도체 형태의 액체 또는 (b) 주입 화합물을 위한,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왁스 물질과 같은 이식 지지물 형태의 고체일 수 있는 삽입물을 포함한다. 지지물은 모든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일체이거나 또는 각각 전달할 화합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일련의 수 개의 몸체일 수 있다. 내부 원 중에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의 양은, 장시간에 걸쳐 치료학상 유효한 양의 화합물이 전달될 정도이어야 한다.
특정 제형에서는 예를 들어 유체 에너지 밀에 의해 얻은 매우 적은 크기의 입자 형태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활성 화합물은 요망되는 경우 기타 혼화 가능한 약리학적으로 활성인 성분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치료학상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은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간질과 같은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및 인간의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치료에 투여되는 활성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예를 들어 환자으 연령, 증상의 심각도 및 과거 병력 등 몇몇 요인에 따라 좌우되고 항상 투약 의사의 적절한 판단 하에 이루어지나, 하루당 투여되는 활성 화합물의 양은 1 내지 1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mg의 범위로 하루 한 번 또는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투여된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간질과 같은 신경계 장애의 치료용 의약, 및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상 유효한 양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필요한 한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간질과 같은 신경계 장애의 치료 방법, 및 인간의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로서의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레보도파와 같은 도파민 전구체 및/또는 카비도파 또는 벤세라지드와 같은 도파 탈카르복실효소 억제제와 조합하여, 또는 프라미펙솔과 같은 도파민 길항제와 조합하여, 또는 톨카폰 또는 엔타카폰과 같은 카테콜-O-메틸전달효소 억제제와 조합하여 파킨슨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방법은 개별적으로 또는 고속 아날로깅(High Speed Analoguing)으로도 알려진 다중 병렬 합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하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임의적으로 산(예.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r, R1, R2, R3, R4및 R5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아세톤과 같은 용매의 존재 하에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시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식에서 Z는 예를 들어 브롬기와 같은 할로 등의 이탈기이고, Ar, R3, R4및 R5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임의적으로 아세트산 등의 산 및 임의적으로 에탄올 등의 용매의 존재 하에 0-200℃의 온도 범위에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바람직하게는 20-15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단리하지 않고 직접 제조할 수도 있다.
Z가 할로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화학식 V의 화합물과 예를 들어 브롬 등의 할로겐화제를 예를 들어 에테르나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의 존재 하에 0-200℃의 온도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초기 온도 0-50℃, 이후 20-150℃ 온도 범위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r, R3, R4및 R5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특허 GB2098602에 기술된 방법 또는 이와 매우 유사한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관해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도파민(DA) 재흡수 위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화합물의 생체 외 도파민 흡수 저지능을 결정하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5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체중 150-250 g의 수컷 챨스 리버(Charles River) 쥐의 뇌로부터의 선조체 조직을 빙냉 0.32M 수크로스 (1:10 w/v) 중에서 모터 구동 테플론 막자(막자사발과 막자의 직경차는 0.5 mm)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핵 및 세포 파편들을 15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제거하였다. 펠릿(P1)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28,0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조 시냅토좀 펠릿(P2)을 크렙스-헨젤라이트(Krebs-Henseleit)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였다 (조직의 습윤 중량 4.2 mg/ml에 상당).
조 시냅토좀을 37℃의 진탕 수조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분액(150㎕; 튜브 당 조직의 습윤 중량 0.625 mg에 상당)을 275㎕의 크렙스-헨젤라이트 완충액 및 50㎕의 크렙스-헨젤라이트 완충액(총 흡수) 또는 50㎕의 시험 화합물(10-11-10-4M 범위의 10 농도) 또는 50㎕의 GBR 12909(10-5M; 비특이적 흡수)를 함유하는 튜브에 첨가하였다. 25㎕의 새로 제조한 [3H]도파민 (2.5nM)을 첨가한 후 와류시켜 흡수를 개시하고 37℃의 진탕 수조에서 5분간 지속하였다.
스캐트론(Skatron)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스캐트론(Skatron) 11735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흡수를 종결시켰다. 이어 여과기를 8ml의 빙냉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방안 여과지 디스크를 천공하여 바이알에 넣고 섬광 유액을 첨가하여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재흡수 위치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화합물의 생체 외 5-HT 흡수 저지능을 결정하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5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쥐(챨스 리버; 150-250g 중량 범위)의 뇌로부터의 전두 피질 조직을 빙냉 0.32M 수크로스 (1:10 w/v) 중에서 모터 구동 테플론 막자(막자 사발과 막자의 직경차는 0.5 mm)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핵 및 세포 파편들을 15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제거하였다. 펠릿(P1)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28,0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조 시냅토좀 펠릿(P2)을 크렙스-헨젤라이트(Krebs-Henseleit)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였다 (조직의 습윤 중량 8.3 mg/ml에 상당).
조 시냅토좀을 37℃의 진탕 수조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분액(150㎕; 튜브 당 조직의 습윤 중량 1.25 mg에 상당)을 275㎕의 크렙스-헨젤라이트 완충액 및 50㎕의 크렙스-헨젤라이트 완충액(총 흡수) 또는 50㎕의 시험 화합물(10-11-10-4M 범위의 10 농도) 또는 50㎕의 지멜딘(10-5M; 비특이적 흡수)를 함유하는 튜브에 첨가하였다. 25㎕의 새로 제조한 [3H]5-HT (2nM)을 첨가한 후 와류시켜 흡수를 개시하고 37℃의 진탕 수조에서 5분간 지속하였다. 스캐트론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스캐트론 11734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흡수를 종결시켰다. 이어 여과기를 8ml의 빙냉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방안 여과지 디스크를 천공하여 바이알에 넣고 섬광 유액을 첨가하여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노르아드레날린(NA) 재흡수 위치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화합물의 생체 외 노르아드레날린 흡수 저지능을 결정하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5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쥐(챨스 리버; 150-250g 중량 범위)의 뇌로부터의 전두 피질 조직을 빙냉 0.32M 수크로스 (1:10 w/v) 중에서 모터 구동 테플론 막자(막자사발과 막자의 직경차는 0.5 mm)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핵 및 세포 파편들을 15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제거하였다. 펠릿(P1)을 제거하고 상청액을 28,000 g로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조 시냅토좀 펠릿(P2)을 크렙스-생리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였다 (조직의 습윤 중량 8.3 mg/ml에 상당).
조 시냅토좀을 37℃의 진탕 수조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분액(150㎕; 튜브 당 조직의 습윤 중량 2.5 mg에 상당)을 275㎕의 크렙스-생리 완충액 및 50㎕의 크렙스-생리 완충액(총 흡수) 또는 50㎕의 시험 화합물(10-11-10-4M 범위의 10 농도) 또는 50㎕의 데시프라민(10-5M; 비특이적 흡수)를 함유하는 튜브에 첨가하였다. 25㎕의 새로 제조한 [3H]노르아드레날린 (10nM)을 첨가한 후 와류시켜 흡수를 개시하고 37℃의 진탕 수조에서 5분간 지속하였다. 브란델(Brandel)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와트만(Whatman) GF/B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흡수를 종결시켰다. 이어 여과기를 8ml의 빙냉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방안 여과지 디스크를 바이알에 넣고 섬광 유액을 첨가하여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도파민(DA) 흡수,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흡수 및 노르아드레날린(NA) 흡수 억제 시험 각각에 있어서, 시험 화합물 각각의 농도에 대한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흡수 억제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이어 억제 곡선을 만들었다. 특이적 흡수를 50% 억제하는 농도(IC50)를 곡선으로부터 얻었다. 이어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억제 상수(Ki)를 계산하였다.
Ki = IC50/ 1+([리간드]/Km)
식에서, [리간드]는 사용된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농도이고 Km은 리간드에 대한 흡수 위치의 친화도이다. DA, 5-HT 및 NA 흡수 억제에 대한 상기 시험에서 하기 실시예 1 내지 5의 최종 생성물 각각에 대해 얻은 Ki 값(nM)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수치는 3회의 독립적인 측정의 평균이다.
화합물이 생체 외에서 도파민(DA) 재흡수 위치로부터 표준 리간드, [3H]GBR을 치환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하는 다음 시험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도파민 재흡수 위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실시예 6 내지 76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체중 150-250 g의 수컷 챨스 리버 쥐의 뇌로부터의 선조체 조직을 빙냉 0.32M 수크로스 (1:80 w/v) 중에서 모터 구동 테플론 막자(12 행정, 800 rpm)를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1000 g에서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얼음 중에 보관하고 펠릿을 0.32M 수크로스 (1:80 w/v) 중에 재현탁하여 85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혼합된 상청액을 200mM 염화나트륨 및 5mM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빙냉 50mM Tris-HCl, pH 7.4 (25℃) (Tris 완충액)로 1:320 w/v으로 희석하고 40,000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생성된 펠릿을 10 ml의 50 mM Tris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고 37℃에서 10분간 배양하여 50mM Tris 완충액 (1:320 w/v) 중에 희석한 후 40,000g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펠릿을 50mM Tris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여(조직의 습윤 중량 1.25 mg/ml에 상당) 결합 분석에 바로 사용하였다. 모든 원심분리는 4℃에서 수행하였다.
막(800㎕; 튜브당 조직의 습윤 중량 1 mg에 상당)을 1nM 단일 농도의 [3H]GBR 12935 100㎕ 및 100㎕의 증류수(총 결합) 또는 100㎕의 시험 화합물(10-6M) 또는 100㎕의 마진돌(1μM; 비-특이적 결합)과 함께 4℃에서 90분간 배양하였다.
막에 결합된 방사능을 브란델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0.5% 폴리에틸렌이민 중에서 1시간 예비-침지한 와트만 GF/C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회수하였다. 여과기를 16ml의 빙냉 50mM Tris-HCl, pH 7.4로 재빨리 세척하고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2ml Packard MV Gold 섬광기).
화합물이 생체 외에서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재흡수 위치로부터 표준 리간드, [3H]파록세틴을 치환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하는 다음 시험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5-HT 재흡수 위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실시예 6 내지 76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중량 150-250g의 수컷 챨스 리버 쥐의 뇌로부터의 전두 피질 조직을 빙냉 0.25M 수크로스 (1:30 w/v) 중에서 키네마틱 폴리트론(Kinematic polytron)(고정 속도 6으로 30초)를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1000 g로 12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얼음 중에 보관하고 펠릿을 0.25M 수크로스 (1:20 w/v) 중에 재현탁하여 850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혼합된 상청액을 120mM 염화나트륨 및 5mM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빙냉 50mM Tris-HCl, pH 7.5(25℃에서) (Tris 완충액)으로 1:100 w/v으로 희석하고 40,000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생성된 펠릿을 50 mM Tris 완충액(1:100 w/v) 중에 재현탁하고 40,000g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펠릿을 50mM Tris 완충액 중에 재현탁하여(조직의 습윤 중량 2 mg/ml에 상당) 결합 분석에 바로 사용하였다. 모든 원심분리는 4℃에서 수행하였다.
막(1000㎕; 튜브당 조직의 습윤 중량 2 mg에 상당)을 30pM 단일 농도의 [3H]파록세틴 200㎕ 및 200㎕의 증류수(총 결합) 또는 200㎕의 시험 화합물(10-6M) 또는 200㎕의 시탈로프람(1μM; 비-특이 결합)과 함께 22℃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막에 결합된 방사능을 브란델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와트만 GF/C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회수하였다. 여과기를 16ml의 빙냉 50mM Tris 완충액으로 재빨리 세척하고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2ml Packard MV Gold 섬광기).
화합물이 생체 외에서 노르아드레날린(NA) 재흡수 위치로부터 표준 리간드, [3H]니속세틴을 치환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하는 다음 시험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위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실시예 6 내지 76의 생성물에 대해 입증하였다.
중량 150-250g의 수컷 챨스 리버 쥐의 뇌로부터의 전두 피질 조직을 120mM 염화나트륨 및 5mM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빙냉 50mM Tris-HCl, pH 7.4(25℃에서) (Tris 완충액; 1:60 w/v) 중에서 키네마틱 폴리트론(고정 속도 6으로 30초)을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40,000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펠릿을 Tris 완충액(1:60 w/v) 중에서 다시 균질화하여 40,0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단계를 2회 더 반복하여 뇌 조직을 총 4회 균질화 및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펠릿을 300mM 염화나트륨 및 5mM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50mM Tris-HCl, pH 7.4 중에 재현탁하여(조직의 습윤 중량 25 mg/ml에 상당) 결합 분석에 바로 사용하였다. 모든 원심분리는 4℃에서 수행하였다.
막(400㎕; 튜브당 조직의 습윤 중량 10 mg에 상당)을 0.6 nM 단일 농도의 [3H]니속세틴 50㎕ 및 50㎕의 증류수(총 결합) 또는 50㎕의 시험 화합물(10-6M) 또는 50㎕의 마진돌(1μM; 비-특이 결합)과 함께 4℃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막에 결합된 방사능을 스캐트론 세포 수확기를 사용하여 스캐트론 11734 여과기를 통한 진공 여과에 의해 회수하였다. 여과기를 120mM의 염화나트륨 및 5mM의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빙냉 50mM Tris-HCl, pH 7.4로 재빨리 세척하고(wash setting 9,9,0) 액체 섬광 계수법에 의해 방사능을 측정하였다(1ml Packard MV Gold 섬광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생체 외에서 도파민(DA), 5-히드록시트립타민(5-HT) 및 노르아드레날린(NA) 재흡수 위치로부터 표준 리간드를 치환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이들 시험 각각에서, 10-6M의 시험 화합물이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 결합을 치환하는 백분율을 다음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먼저, 시험 화합물의 부재(A) 또는 존재(B) 하의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을 결정하였다:
화합물 부재의 경우:
A(dpm) = 총 결합(dpm) - 비-특이적 결합(dpm)
화합물이 존재하는 경우(10-6M):
B(dpm) = 10-6M에서의 결합(dpm) - 비-특이적 결합(dpm)
이어 화합물 존재시(B)의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을 화합물 부재시(A)의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에 대한 백분율로 전환하였다:
10-6M에서의 % 특이적 결합 = B(dpm) / A(dpm) x 100
이어 최대 결합으로 간주하여 100%에 해당하는 화합물 부재시의 특이적 결합 백분율로부터 화합물 존재시의 특이적 결합 백분율을 감하여, 시험 화합물(10-6M)에 의한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의 치환 백분율을 얻었다:
10-6M에서의 % 치환 = 100 - 10-6M에서의 % 특이적 결합
하기 표 2에서 실시예 6 내지 76에 대해 주어진 값은 10-6M 시험 화합물에 의한 삼중수소 표지 리간드의 특이적 결합 치환 %이고 단 1회의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를 나타낸다. IA는 〈50% 치환을 나타낸다.
표 1 및 2에 나타난 활성 유형은 상기 지적한, 특히 파킨슨병의 치료에 유용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화합물들에 비해 향상된 약리 프로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만 주어진 다음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이들 실시예 각각의 최종 생성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성분 분석, 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 질량 스펙트럼 및 적외선 스펙트럼하나 중 하나 이상의 과정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초기에는 주위 온도에서, 이어 발열 반응이 개시되면 환류 온도에서, 에테르(100ml) 중의 마그네슘 선삭(turnings)(15.9g)의 교반 현탁액에 에테르(100ml) 중의 요오드화메탄(93.8g) 용액을 적가하여 질소 하에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을 제조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고 이어 에테르(80ml) 중의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100g)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환류온도에서 3시간, 주위 온도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한 후 물(400ml) 및 진한 염산(250ml)의 빙냉 혼합물에 나누어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95℃에서 1시간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에테르(6 x 150ml)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건조시키고(MgSO4)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16-118℃/0.13mbar인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89.6g을 얻었다.
질소 하 10-15℃에서 디클로로메탄(50ml) 중의 브롬(10.2ml) 용액을 3.5 시간에 걸쳐 메탄올(75ml) 및 디클로로메탄(15ml)의 혼합물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47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빙수(500ml)에 따랐다. 수용액층을 분리하여 디클로로메탄(3 x 100ml)으로 세척한 후 혼합된 유기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0ml) 및 물(100ml)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CaCl2)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56-164℃/0.8mbar인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40.2g을 얻었다.
아세톤(750ml) 중의 이미다졸리딘-2-티온(4.5g) 용액을 아세톤(125ml) 중의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15g) 용액에 가한 후 교반 혼합물을 10분간 환류하며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로 수집하고 에탄올(50ml)로 세척하여 60℃에서 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156-158℃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이미다졸린-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 16.3g을 얻었다.
아세트산(20ml)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이미다졸린-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5g) 교반 현탁액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에테르(50ml)로 연마(trituration)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에테르(50ml)로 세척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이 241-244℃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4.5g을 얻었다.
〈실시예 2〉
에테르(500ml) 중의 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238g) 용액을 질소 하 환류 온도에서 40분에 걸쳐 교반 에테르성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 용액(3M; 701ml)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주위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하여 쇄빙(1l) 및 진한 황산(1l) 교반 혼합물에 나누어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9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250ml)으로 추출하고 혼합된 추출물을 물(3 x 2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갈색 오일로서 비등점이 0.3mbar에서 95-100℃인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198.1g을 얻었다.
클로로포름(150ml) 중의 브롬(35ml) 용액을 3시간에 걸쳐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150g), 클로로포름(50ml) 및 메탄올(235ml) 교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3시간 교반한 후 빙냉수(750ml)로 희석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200ml)으로 추출하고 혼합된 추출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3 x 100ml) 및 물(1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2-브로모-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을 남겼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아세톤(25ml) 중의 2-브로모-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2.9g) 용액을 아세톤(150ml) 중의 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티올(1.2g) 용액에 가한 후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205℃인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일)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 3.5g을 생성하였다.
아세트산(8.5ml) 중의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일)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3.4g; 상기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 현탁액을 16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50ml)로 연마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에테르(50ml)로 세척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256℃인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브롬화수소산염 3.0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3〉
아세톤(25ml) 중의 2-브로모-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2.9g) 용액을 아세톤(150ml) 중의 이미다졸리딘-2-티온(1.0g) 용액에 가한 후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151-153℃인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이미다졸린-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 2.3g을 생성하였다.
아세트산(6ml) 중의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이미다졸린-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2.4g-상기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 현탁액을 16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50ml)로 연마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에테르(50ml)로 세척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고 메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258-260℃인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1.4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4〉
아세톤(25ml) 중의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3.2g) 용액을 아세톤(150ml) 중의 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티올(1.2g) 용액에 가한 후 혼합물을 0.5 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203-204℃인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 3.9g을 생성하였다.
아세트산(7ml)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2-일티오)에탄온 브롬화수소산염(2.0g-상기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 현탁액을 16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50ml)로 연마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에테르(50ml)로 세척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융점 269℃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브롬화수소산염 1.7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5〉
에테르(350ml) 및 디메틸술폭시드(150ml)의 혼합물 중의 2-나프틸 아세토니트릴(100g) 및 1,3-디브로모프로판(144g) 용액을 질소 하 20-25℃에서 2시간에 걸쳐 미세 분말 수산화 칼륨(150g), 18-크라운-6(1.3g) 및 디메틸술폭시드(570ml) 교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15℃로 냉각시키고 물(330ml)을 서서히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에테르(330ml)를 가하고 혼합물을 하이플로 수퍼셀 여과 에이드(Hyflo Supercel filtration aid)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패드를 에테르로 잘 세척한 후 여과물의 수용액층을 분리하여 물(500ml)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하였다. 모든 에테르성 용액을 혼합하고 물(3 x 100ml)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100ml)로 연마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1-(2-나프틸)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 48.7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톨루엔(100ml) 중의 1-(2-나프틸)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48.2g) 용액을 질소 하에 에테르(60ml) 중의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요오드화메탄(22ml) 및 마그네슘(8.16g)으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 교반 용액에 적가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에테르(50ml)로 세척하고 진한 염산(125ml) 및 물(200ml)의 혼합물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톨루엔(3 x 200ml)으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물(200ml)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비등점 40-60℃)(100ml)로 연마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건조하여 황색 고체로서 1-[1-(2-나프틸)시클로부틸]에탄온 35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브롬(2.6ml)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에 걸쳐 에테르(300ml) 중의 1-[1-(2-나프틸)시클로부틸]에탄온(11.25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고 브롬 색깔이 소산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 물(100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0ml) 및 물(1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2-브로모-1-[1-(2-나프틸)시클로부틸]에탄온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조 2-브로모-1-[1-(2-나프틸)시클로부틸]에탄온, 이미다졸리딘-2-티온(5.1g), 에탄올(60ml) 및 아세트산(40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ml) 및 아세톤(20ml)의 고온 혼합물로 연마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한 후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30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하여 담황색 프리즘으로서 융점 239-241℃인 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10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6〉
1,4-디브로모부탄(106ml)을 질소 하 70-80℃에서 1시간에 걸쳐 3,4-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150g), 벤질트리에틸암모늄 염화물(2g) 및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00ml)의 교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70-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에테르(400ml) 및 물(200ml)을 첨가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수용액층을 에테르(2 x 200ml)로 세척한 후 혼합된 에테르성 용액을 건조하고(MgSO4)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32-140℃/0.4mbar인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탄카르보니트릴 135g을 생성하였다.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에테르 중의 3M 용액; 100ml)을 질소 하 0℃에서 에테르(100ml) 중의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탄카르보니트릴(48g) 교반 용액에 적가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하고 진한 염산(125ml) 및 물(200ml)의 빙냉 혼합물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9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에테르(5 x 100ml)로 추출한 후 혼합된 추출물을 물(2 x 1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24-128℃/0.5mbar인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에탄온 31.9g을 생성하였다.
질소 하 10-15℃에서 디클로로메탄(50ml) 중의 브롬(6.1ml) 용액을 3시간에 걸쳐 메탄올(60ml) 및 디클로로메탄(10ml)의 혼합물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31.9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과량의 빙수에 따랐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100ml)으로 추출한 후 혼합된 추출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0ml) 및 이어 물(100ml)로 세척, 건조(CaCl2)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고 비등점이 〉174℃/1.3mbar인 부분을 수집하여 재증류하였다. 두번째 증류에서 비등점이 〉182℃/2.6mbar인 물질을 수집하여 재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56-162℃/0.4mbar인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에탄온 11.8g을 얻었다.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에탄온(0.5g), 이미다졸리딘-2-티온(0.16g), 에탄올(3ml) 및 아세트산(2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에탄올의 1:1 혼합물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3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미세침(microneedle)으로서 융점 230-232℃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0.27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7〉
톨루엔(100ml) 중의 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35g) 용액을 질소 하 환류 온도에서 에테르(100ml) 중의 펜에틸마그네슘 브롬화물[펜에틸 브롬화물(45.6g) 및 마그네슘(6.24g)으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내부 온도가 110℃로 증가할 때까지 에테르를 혼합물로부터 증류한 후 이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계속하여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얼음(200g) 및 진한 염산(100ml)의 혼합물에 가하고 때때로 교반하며 4시간 동안 95℃에서 가열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200ml)으로 추출하고 혼합된 추출물을 물(100ml), 탄산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0ml) 및 물(100ml)로 세척, 건조(Na2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78-181℃/1.3mbar인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프로판-1-온 38.8g을 생성하였다.
브롬(0.52ml)을 주위 온도에서 20분에 걸쳐 에테르(50ml) 중의 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프로판-1-온(3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고 브롬 색깔이 소산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 물(30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30ml) 및 물(3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2-브로모-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프로판-1-온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조 2-브로모-1-[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프로판-1-온, 이미다졸리딘-2-티온(1.02g), 에탄올(15ml) 및 아세트산(10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탄올(50ml)에 이어 에틸 아세테이트(50ml)로 공비 증류하여 건조하였다. 잔류 용매를 진공 제거한 후 남는 고체를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10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하여 백색 미세침으로서 융점 255-257℃인 2-벤질-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2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8〉
에테르(50ml) 중의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15g) 용액을 에테르(55ml) 중의 3-메톡시프로필마그네슘 브롬화물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15.3g) 및 마그네슘(2.4g)으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 교반 용액에 적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여 쇄빙(100g) 및 진한 염산(80ml)혼합물에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1.5시간 동안 95℃에서 가열한 후 주위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생성물을 에테르(3 x 100ml)로 추출하고 혼합된 추출물을 물(100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100ml) 및 물(1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38-147℃/0.5mbar인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4-메톡시부탄온 16.4g을 생성하였다.
브롬(0.35ml)을 주위 온도에서 20분에 걸쳐 에테르(40ml)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4-메톡시부탄-1-온(2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고 브롬 색깔이 소산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 물(30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30ml) 및 물(3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4-메톡시부탄-1-온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조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4-메톡시부탄-1-온, 이미다졸리딘-2-티온(0.68g), 에탄올(15ml) 및 아세트산(10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탄올(50ml)에 이어 에틸 아세테이트(20ml)로 공비 증류하여 건조하였다. 잔류 용매를 진공 제거한 후 남는 고체를 에탄올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2:1 혼합물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10ml)로 세척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하여 무색 프리즘으로서 융점 227-229℃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메톡시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1.39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9〉
톨루엔(100ml) 중의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6.56g) 용액을 질소 하에서 에테르(100ml) 중의 벤질마그네슘 염화물[염화벤질(5ml) 및 마그네슘(1.08g)으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내부 온도가 95℃가 될 때까지 에테르를 혼합물로부터 증류한 후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물(30ml)에 이어 진한 염산(10ml)을 적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혼합물을 95℃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2 x 100ml) 및 포화 염수(100ml)로 세척, 건조(Na2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톨루엔의 5:95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무색 오일로서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에탄온 5.08g을 생성하였으며, 이는 주위 온도에서 서서히 응고하여 융점 53-55℃인 무색 고체를 생성하였다.
페닐트리메틸암모늄 삼브롬화물 (4.02g) 을 -1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00ml) 중의 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에탄온(3.41g) 교반 용액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비등점 60-80℃)의 3:97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무색 오일로서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에탄온 3.8g을 생성하였다.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에탄온(3.8g), 이미다졸리딘-2-티온(0.97g), 에탄올(70ml) 및 아세트산(40ml)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10ml)로 세척하고 100℃에서 진공 건조하여 담갈색 고체로서 융점 280℃(분해)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1.43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0〉
톨루엔(100ml) 중의 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6.56g) 용액을 질소 하에서 에테르(100ml) 중의 4-클로로벤질마그네슘 염화물[4-클로로벤질 염화물(9.07) 및 마그네슘(1.08g)으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내부 온도가 95℃가 될 때까지 에테르를 혼합물로부터 증류한 후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물(50ml)에 이어 진한 염산(10ml)을 적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혼합물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100ml) 및 포화 염수(100ml)로 세척, 건조(Na2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비등점 60-80℃)의 1:9-1:4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황색 오일로서 2-(4-클로로페닐)-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7.51g을 생성하였으며, 이는 주위 온도에서 서서히 응고하여 융점 82-84℃인 황색 고체를 생성하였다.
페닐트리메틸암모늄 삼브롬화물(6.59g)을 -5℃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150ml) 중의 2-(4-클로로페닐)-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6.2g) 교반 용액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비등점 60-80℃)의 3:97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비등점 60-80℃)(30ml)로 연마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주위 온도에서 진공 건조하여 무색 고체로서 융점 109-110℃인 2-브로모-2-(4-클로로페닐)-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 4.83g을 생성하였다.
2-브로모-2-(4-클로로페닐)-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3.68g), 이미다졸리딘-2-티온(0.87g), 에탄올(60ml) 및 아세트산(35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탄올(30ml)로 연마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아세트산으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아세트산(10ml)으로 세척하고 100℃에서 진공 건조하여 무색 고체로서 융점 302-304℃(분해)인 2-(4-클로로페닐)-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0.93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1〉
에테르(총 부피 220ml) 중의 3,4-디클로로페닐아세토니트릴(50g) 및 요오드화메탄(37ml)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에 걸쳐 미세 분말 수산화 칼륨(68.3g), 18-크라운-6(0.65g) 및 디메틸술폭시드(220ml) 교반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15℃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물(185ml)을 적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생성물을 에테르(3 x 300ml)로 추출하고 혼합된 추출물을 물(200ml), 5M 염산(200ml), 물(200ml) 및 포화 염수(2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증류하여 담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16-120℃/2.7-3.3mbar인 2-(3,4-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피오니트릴 37.6g을 생성하였다.
에테르(100ml) 중의 2-(3,4-디클로로페닐)-2-메틸프로피오니트릴(12.8g) 용액을 질소 하 -10℃에서 20분에 걸쳐 에테르성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 용액(3M; 30ml)에 적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2시간 및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하고 빙수(100ml) 및 진한 염산(50ml) 혼합물에 나누어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9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100ml)으로 추출한 후 혼합된 추출물을 건조(CaCl2)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담갈색 오일로서 3-(3,4-디클로로페닐)-3-메틸부탄-2-온 9.07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에테르(25ml) 중의 브롬(1.84ml)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1시간에 걸쳐 에테르(250ml) 중의 3-(3,4-디클로로페닐)-3-메틸부탄-2-온 (8.24g)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고 브롬 색깔이 소산된 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30분간 교반하고, 이어 물(100ml),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2 x 100ml) 및 물(1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1-브로모-3-(3,4-디클로로페닐)-3-메틸부탄-2-온 9.57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추가적인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상기 조 1-브로모-3-(3,4-디클로로페닐)-3-메틸부탄-2-온(3.1g), 이미다졸리딘-2-티온(1.02g), 에탄올(12ml) 및 아세트산(8ml) 혼합물을 22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고온의 에틸 아세테이트(80ml)로 연마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0ml)로 세척하고 50℃에서 진공 건조한 후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5ml)로 세척하고 50℃에서 진공 건조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융점 266-270℃(분해)인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0.95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2〉
벤조[b]티오펜-2-메탄올(32.8g) 및 염화티오닐(29.7g)의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2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증류하여 황색 오일로서 비등점 108-110℃/1.4mbar인 2-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 23.8g을 생성하였다.
2-클로로메틸벤조[b]티오펜(21g), 시안화칼륨(11.7g), 1,4-디옥산(200ml) 및 물(100m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4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고 물(200ml)로 희석하였다. 생성물을 톨루엔(3 x 200ml)으로 추출한 후 혼합 추출물을 물(2 x 300ml)로 세척, 건조(Na2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석유 에테르(비등점 60-80℃)의 1:4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황색 오일로서 융점이 59-61℃인 벤조[b]티오펜-2-아세토니트릴 8.9g을 생성하였다.
에테르(50ml) 중의 벤조[b]티오펜-2-아세토니트릴(8.05g) 및 1,3-디브로모프로판(5.2ml) 용액을 질소 하에서 1시간에 걸쳐 디메틸술폭시드(100ml) 중의 미세 분말 수산화 칼륨(13.53g)의 교반 빙냉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빙냉수(200ml)에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한 염산을 가하여 pH4로 산성화한 후 생성물을 에테르(3 x 200ml)로 추출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물(500ml)로 세척, 건조(Mg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적색 오일로서 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 8.16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에테르(50ml) 중의 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7.7g) 용액을 질소 하 주위 온도에서 에테르성 메틸마그네슘 요오드화물 교반 용액(3M; 18ml)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잘 세척하고 5M 염산(143ml)에 나누어 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때때로 교반하며 95℃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주위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200ml)으로 추출한 후 혼합 추출물을 물(2 x 400ml) 및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수용액(400ml)으로 세척, 건조(Na2SO4)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갈색 오일로서 1-[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에탄온 5g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페닐트리메틸암모늄 삼브롬화물(1.72g)을 -2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50ml) 중의 1-[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에탄온(1.05g) 교반 용액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주위 온도에서 추가로 1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한 번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상에서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비등점 40-60℃)의 1:49 혼합물을 용출제로서 사용하여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혼합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오일로서 1-[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2-브로모에탄온 0.46g을 생성하였다.
1-[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2-브로모에탄온(0.42g), 이미다졸리딘-2-티온(0.14g), 에탄올(15ml) 및 아세트산(10ml) 혼합물을 18시간 동안 환류하며 가열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테르(30ml)로 연마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40℃에서 진공 건조하고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탄올(3ml)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 건조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융점 240-242℃인 3-[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0.28g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3-55〉
일반적인 과정
무수에탄올(0.083M, 1.20ml, 0.10mmol) 중의 2-브로모-1-[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에탄온(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제조) 또는 2-브로모-1-[1-(2-나프틸)시클로부틸]에탄온(실시예 5에서와 유사하게 제조) 원액의 분액을 각각 적합한 화학식 III의 티오우레아(0.10mmol) 및 아세트산(0.80ml)을 함유하는 다수의 20ml 나사마개 바이알에 가하였다. 반응 바이알을 나사마개로 밀봉하고 오비탈 셰이커에서 교반하며 85℃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각 반응 혼합물을 HPLC-MS로 분석한 후 적합한 부피의 디골(digol)로 희석하여 생체외 생물학적 분석에서의 시험을 위한 활성 화합물의 10-3M 용액을 생성하였다.
상기 방법(HPLC 순도 및 MS 분자 이온 표시)에 의해 다음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 중의 주요 성분으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 및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염의 미분리 혼합물, HPLC 97.6%(3.17분); m/z 339 (MH+).
〈실시예 14〉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메틸-2-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2.4% (3.03 분); m/z 327 (MH+).
〈실시예 15〉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에틸-2-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4.3% (3.35 분); m/z 355 (MH+).
〈실시예 16〉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8.7% (3.83 분); m/z 383 (MH+).
〈실시예 17〉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6.0% (3.83 분); m/z 383 (MH+).
〈실시예 18〉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5.7% (4.27 분); m/z 411 (MH+).
〈실시예 19〉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2.1% (3.99 분); m/z 411 (MH+).
〈실시예 20〉
3-알릴-2-알릴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6.1% (3.58 분); m/z 379 (MH+).
〈실시예 21〉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67.9% (3.93 분); m/z 407 (MH+).
〈실시예 22〉
3-벤질-2-벤질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5% (4.79 분); m/z 479 (MH+).
〈실시예 23〉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9.8% (5.00 분); m/z 515 (MH+).
〈실시예 24〉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1.4% (5.26 분); m/z 507 (MH+).
〈실시예 25〉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9.4% (3.63 분); m/z 481 (MH+).
〈실시예 26〉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2.2% (4.57 분); m/z 459 (MH+).
〈실시예 27〉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6.8% (4.94 분); m/z 451 (MH+).
〈실시예 28〉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5.9% (5.22 분); m/z 479 (MH+).
〈실시예 29〉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2.1% (5.22 분); m/z 479 (MH+).
〈실시예 30〉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67.6% (5.16 분); m/z 587 (MH+).
〈실시예 31〉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6.8% (5.47 분); m/z 507 (MH+).
〈실시예 32〉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68.2% (5.09 분); m/z 539 (MH+).
〈실시예 33〉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100.0% (4.05 분); m/z 627 (MH+).
〈실시예 34〉
3-[1-(2-나프틸)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브롬화수소산 염, HPLC 50.9% (3.17 분); m/z 321 (MH+).
〈실시예 35〉
5-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및 6-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의 미분리 혼합물, HPLC 90.4% (3.15 분); m/z 321 (MH+).
〈실시예 36〉
3-메틸-2-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7.1% (3.04 분); m/z 309 (MH+).
〈실시예 37〉
3-에틸-2-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9.4% (3.39 분); m/z 337 (MH+).
〈실시예 38〉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8.5% (3.82 분); m/z 365 (MH+).
〈실시예 39〉
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2% (3.76 분); m/z 365 (MH+).
〈실시예 40〉
3-부틸-2-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4.1% (4.31 분); m/z 393 (MH+).
〈실시예 41〉
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51.2% (4.18 분); m/z 393 (MH+).
〈실시예 42〉
3-알릴-2-알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6.3% (3.56 분); m/z 361 (MH+).
〈실시예 43〉
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9.8% (3.90 분); m/z 389 (MH+).
〈실시예 44〉
3-벤질-2-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5.8% (4.60 분); m/z 461 (MH+).
〈실시예 45〉
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4.7% (4.87 분); m/z 497 (MH+).
〈실시예 46〉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7.2% (4.99 분); m/z 489 (MH+).
〈실시예 47〉
4-[1-(2-나프틸)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68.6% (3.56 분); m/z 463 (MH+).
〈실시예 48〉
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6% (4.44 분); m/z 441 (MH+).
〈실시예 49〉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7.7% (4.93 분); m/z 433 (MH+).
〈실시예 50〉
4-[1-(2-나프틸)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9.8% (5.20 분); m/z 461 (MH+).
〈실시예 51〉
4-[1-(2-나프틸)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5.1% (5.21 분); m/z 461 (MH+).
〈실시예 52〉
4-[1-(2-나프틸)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1.2% (5.44 분); m/z 489 (MH+).
〈실시예 53〉
3-시클로펜틸-2-시클로펜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7.4% (5.68 분); m/z 417 (MH+).
〈실시예 54〉
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6.9% (5.07 분); m/z 521 (MH+).
〈실시예 55〉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9.2% (3.96 분); m/z 609 (MH+).
〈실시예 56-76〉
일반적인 과정
에테르(8.0ml) 중의 화학식 V의 다양한 케톤(0.40mmol) 용액을 20ml의 나사 마개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브롬(64mg, 0.40mmol)을 각 용액에 첨가한 후 바이알을 나사 마개로 밀봉하여 주위 온도에서 70시간 방치하였다. 마개를 제거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이어 각 잔류물을 에탄올(8ml)에 녹이고, 생성된 화학식 IV의 브로모케톤 0.05mmol을 함유하는 각 용액의 매 1ml 분액을 아세트산(1.25ml) 및 에탄올 중의 화학식 III의 티오우레아 용액(0.05M, 1ml, 0.05mmol)을 각각 함유하는 40ml 나사 마개 바이알에 분배하였다. 바이알을 밀봉한 후 오비탈 셰이커에서 교반하며 85℃에서 24-29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각 반응 혼합물을 HPLC-MS로 분석한 후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개개의 잔류물을 메탄올(4.0ml)에 녹인 후 적당한 부피의 디골(digol)로 추가로 희석하여 생체외 생물학적 분석에서의 시험을 위한 활성 화합물의 10-3M 용액을 생성하였다.
상기 방법(HPLC 순도 및 MS 분자 이온 표시)에 의해 다음 화합물을 반응 혼합물 중의 주요 성분으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56〉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8.4% (4.20 분); m/z 377 (MH+).
〈실시예 57〉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부틸-2-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63.2% (4.27 분); m/z 421 (MH+).
〈실시예 58〉
3-부틸-2-부틸이미노-4-[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6.3% (4.15 분); m/z 389 (MH+).
〈실시예 59〉
3-부틸-2-부틸이미노-4-[1-(4-페녹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7.2% (4.63 분); m/z 435 (MH+).
〈실시예 60〉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0.1% (4.41 분); m/z 391 (MH+).
〈실시예 61〉
3-부틸-2-부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3.4% (4.52 분); m/z 371 (MH+).
〈실시예 62〉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3.3% (4.10 분); m/z 365 (MH+).
〈실시예 63〉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7% (4.24 분); m/z 399 (MH+).
〈실시예 64〉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9.1% (4.84 분); m/z 473 (MH+).
〈실시예 65〉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8.4% (3.91 분); m/z 593 (MH+).
〈실시예 66〉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0.6% (3.99 분); m/z 637 (MH+).
〈실시예 67〉
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6% (4.07 분); m/z 607 (MH+).
〈실시예 68〉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78.1% (4.01 분); m/z 587 (MH+).
〈실시예 69〉
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0.6% (3.98 분); m/z 615 (MH+).
〈실시예 70〉
3-[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2.3% (2.96 분); m/z 335 (MH+).
〈실시예 71〉
3-[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5.7% (3.06 분); m/z 305 (MH+).
〈실시예 72〉
3-(1-페닐시클로헥실)-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85.2% (2.91 분); m/z 285 (MH+).
〈실시예 73〉
3-[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8.1% (2.68 분); m/z 279 (MH+).
〈실시예 74〉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7.3% (2.92 분); m/z 313 (MH+).
〈실시예 75〉
3-[1-(3-플루오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5.1% (2.52 분); m/z 275 (MH+).
〈실시예 76〉
3-[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HPLC 91.0% (2.91 분); m/z 303 (MH+).
〈실시예 77〉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도를 다음 설명에 의해 예시하였다. 이 설명에서 "활성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본 발명의 화합물, 특히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의 최종 생성물인 임의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a) 캡슐제
캡슐제의 제조에 있어, 10 중량부의 활성 화합물 및 240 중량부의 락토스를 분산시키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활성 화합물의 단위 용량 또는 단위 용량의 일부를 각각 함유하는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였다.
b) 정제
다음 성분들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중량부
활성 화합물 10
락토스 190
옥수수 전분 22
폴리비닐피롤리돈 1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3
활성 화합물, 락토스 및 얼마의 녹말을 분산,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탄올 중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과 함께 과립화하였다. 건조 과립을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나머지 녹말과 혼합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정제화 기계에서 압축하여 활성 화합물의 단위 용량 또는 단위 용량의 일부를 각각 함유하는 정제를 생성하였다.
c) 장용성 제피 정제
상기 (b)의 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에탄올:디클로로메탄(1:1) 중의 20%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3% 디에틸 프탈레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정제에 장용성 제피를 입혔다.
d) 좌제
좌제의 제조에 있어서, 100 중량부의 활성 화합물을 1300 중량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좌약 기제에 혼입시키고 혼합물을 각각 치료학상 유효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좌제로 만들었다.

Claims (17)

  1.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r은 페닐, 나프틸 또는 벤조[b]티오페닐로서, 이들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e)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기 또는 f)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a) H, b)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c) 탄소수 3 내지 6의 알케닐기, d) 탄소수 3 내지 7의 시클로알킬기, e) 환의 탄소수가 3 내지 7인 시클로알킬메틸기, f)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g) 알킬쇄의 탄소수가 1 내지 3이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각각의 탄소수가 1 내지 3인 하나 이상의 알킬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알킬렌기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하고;
    R3는 a) H, b)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c) 아릴기가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iv)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메틸기, 또는 d) 탄소수 3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이고;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환을 형성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Ar이 할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페녹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나프틸, 벤조[b]티오페닐 또는 페닐인 화합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a) H, b)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c) 탄소수 3 또는 4의 알케닐기, d) 탄소수 3 내지 5의 시클로알킬기, e) 환의 탄소수가 3 내지 5인 시클로알킬메틸기, f) i) 할로, ii)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iii)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g) 알킬쇄의 탄소수가 1 또는 2이고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할로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H,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 아릴이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아릴메틸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콕시알킬기인 화합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및 R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메틸이거나 또는 R4및 R5는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 환을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2가 동일한 화합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및 R2가 알킬렌 쇄를 형성하여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하나의 메틸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 원자 환을 형성하는 화합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및 R5가 동일한 화합물.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및 R5가 연결되는 원자와 함께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또는 시클로헥산 환을 형성하는 화합물.
  10.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기타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서의 화학식 I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a〉
    상기 식에서,
    m은 2, 3 또는 4이고;
    n은 2 또는 3이고;
    Ar은 페닐 또는 나프틸로서, 각각은 a) 할로, b)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 c)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 d)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티오기, 또는 e) 페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Ra및 Rb는 독립적으로 H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3는 H이다.
  11. 하기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그 제약상 허용되는 염: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2-벤질-3-[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2-메톡시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페닐-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2-(4-클로로페닐)-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벤조[b]티오펜-2-일)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5-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6-메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메틸-2-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에틸-2-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알릴-2-알릴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벤질-2-벤질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1-(2-나프틸)시클로부틸]-6,7-디히드로-5H-티아졸로[3,2-a]피리미딘;
    5-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6-메틸-3-[1-(2-나프틸)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메틸-2-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에틸-2-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프로필-2-프로필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이소프로필-2-이소프로필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이소부틸-2-이소부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알릴-2-알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시클로프로필메틸-2-시클로프로필메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벤질-2-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4-플루오로벤질)-2-(4-플루오로벤질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브롬화수소산 염;
    4-[1-(2-나프틸)시클로부틸]-3-(3-피리딜메틸)-2-(3-피리딜메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푸르푸릴-2-푸르푸릴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페닐-2-페닐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p-톨릴)-2-(p-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o-톨릴)-2-(o-톨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2-나프틸)시클로부틸]-3-(2,4-크실릴)-2-(2,4-크실릴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시클로펜틸-2-시클로펜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4-에톡시페닐)-2-(4-에톡시페닐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2-나프틸)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부틸-2-부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페녹시페닐)시클로부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3-부틸-2-부틸이미노-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펜에틸-2-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4-[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4-(1-페닐시클로헥실)-2,3-디히드로티아졸;
    4-[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3-(3,4-디메톡시펜에틸)-2-(3,4-디메톡시펜에틸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
    3-[1-(4-브로모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시클로펜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페닐시클로헥실)-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4-디클로로페닐)-1-메틸에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3-플루오로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3-[1-(4-메틸티오페닐)시클로부틸]-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
  12. 치료상 유효한 양의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14.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및 신경계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의 용도, 및 인간의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로서의 용도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15.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및 신경계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의 용도, 및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제로서의 용도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6. 치료상 유효한 양의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울증, 불안증, 파킨슨병, 비만증, 인식 장애, 급발작, 신경계 장애의 치료, 및 인간의 뇌졸중과 같은 증상에 대해 보호하는 신경계 보호 방법.
  17.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임의적으로 산의 존재 하에 가열하여 제 1항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Ar, R1, R2, R3, R4및 R5는 제 1항에서 화학식 I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KR1019997008284A 1997-03-15 1998-03-09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KR20000076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5428.2A GB9705428D0 (en) 1997-03-15 1997-03-15 Therapeutic agents
GB9705428.2 1997-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190A true KR20000076190A (ko) 2000-12-26

Family

ID=1080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284A KR20000076190A (ko) 1997-03-15 1998-03-09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187802B1 (ko)
EP (1) EP0970090B1 (ko)
JP (1) JP2001515501A (ko)
KR (1) KR20000076190A (ko)
CN (1) CN1255136A (ko)
AT (1) ATE218573T1 (ko)
AU (1) AU6728898A (ko)
BG (1) BG103754A (ko)
BR (1) BR9808254A (ko)
CA (1) CA2283438A1 (ko)
DE (1) DE69805781D1 (ko)
GB (1) GB9705428D0 (ko)
HU (1) HUP0001508A3 (ko)
ID (1) ID22636A (ko)
IL (1) IL131515A0 (ko)
NO (1) NO994452L (ko)
NZ (1) NZ337378A (ko)
PL (1) PL335696A1 (ko)
SK (1) SK122099A3 (ko)
TR (1) TR199902291T2 (ko)
WO (1) WO1998041528A1 (ko)
ZA (1) ZA9821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57B1 (ko) * 2006-04-05 2007-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6965A1 (de) * 1998-12-10 2000-06-15 Bayer Ag Substituierte 2-Imino-thiazoline
WO2000056310A1 (en) 1999-03-19 2000-09-28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AU3894500A (en) 1999-03-19 2000-10-09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U3895400A (en) 1999-03-19 2000-10-09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Control of metabolism
WO2000056321A1 (en) 1999-03-19 2000-09-28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Treatment of hyperactivity disorders
US6403650B1 (en) 1999-03-19 2002-06-11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US6365632B1 (en) 1999-03-19 2002-04-02 Knoll Pharmaceuticals Company Treatment of orthostatic hypotension
AU3894600A (en) 1999-03-19 2000-10-09 Knoll Pharmaceutical Company Method of treating sexual dysfunction
US6803387B1 (en) 1999-03-19 2004-10-12 Abbott Gmbh & Co. Kg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or fibromyalgia
GB9911881D0 (en) * 1999-05-21 1999-07-21 Knoll Ag Therapeutic agents
GB9911863D0 (en) * 1999-05-21 1999-07-21 Knoll Ag Therapeutic agents
FR2796643B1 (fr) * 1999-07-22 2005-04-29 Sod Conseils Rech Applic Derives de 2-arylimino-2, 3-dihydrothiazoles,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therapeutique
GB0005789D0 (en) * 2000-03-11 2000-05-03 Knoll Ag Therapeutic agents
US6699866B2 (en) 2001-04-17 2004-03-02 Sepracor Inc. Thiazole and other heterocyclic ligands for mammalian dopamine, muscarinic and serotonin receptors and transport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IL162408A0 (en) * 2001-12-11 2005-11-20 Univ Virginia Use of pramipexole to treat amyotrophic lateral scelrosis
US20060281797A1 (en) * 2001-12-11 2006-12-14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Neurorestoration with R(+) Pramipexole
US6743797B2 (en) * 2002-02-22 2004-06-01 Chantest, Inc. Methods for treating cardiac arrhythmia
US20050054010A1 (en) * 2003-07-15 2005-03-10 Brown Arthur M. High throughput assa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gents that alter surface expression of integral membrane proteins
US7211407B2 (en) * 2003-07-15 2007-05-01 Chan Test, Inc. High throughput assa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gents that alter surface expression of integral membrane proteins
US20050208595A1 (en) * 2004-03-19 2005-09-22 Brown Arthur M High throughput assay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gents that alter expression of cellular proteins
ATE444750T1 (de) * 2005-08-15 2009-10-15 Univ Virginia Neurorestauration mit r(+) pramipexol
ES2594156T3 (es) * 2006-01-06 2016-12-16 Sunovion Pharmaceuticals Inc. Cicloalquilaminas como inhibidores de la recaptación de monoaminas
US20070259930A1 (en) * 2006-04-10 2007-11-08 Knopp Neur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r(+) pramipexole
US8518926B2 (en) * 2006-04-10 2013-08-27 Knopp Neuro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R)-pramipexole
KR20090021169A (ko) * 2006-05-16 2009-02-27 크놉 뉴로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R(+) 및 s(-) 프라미펙솔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US8524695B2 (en) * 2006-12-14 2013-09-03 Knopp Neurosciences, Inc.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6R)-4,5,6,7-tetrahydro-N6-propyl-2,6-benzothiazole-diamin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1715443A (zh) 2007-03-14 2010-05-26 诺普神经科学股份有限公司 手性纯化的取代的苯并噻唑二胺的合成
JP2012500283A (ja) * 2008-08-19 2012-01-05 ノップ ニューロサイエンシーズ、インク. (r)−プラミペキソールを使用した組成物並びにその方法
KR101049935B1 (ko) * 2008-12-03 2011-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티아졸린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t-형 칼슘 채널 저해제
RU2012101792A (ru) * 2009-06-19 2013-07-27 Нопп Ньюросайенсиз,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бокового амиотрофического склероза
WO2013096816A1 (en) 2011-12-22 2013-06-27 Biogen Idec Ma Inc. Improved synthesis of amine substituted 4,5,6,7-tetrahydrobenzothiazole compounds
US9662313B2 (en) 2013-02-28 2017-05-30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in responders
PT3019167T (pt) 2013-07-12 2021-03-04 Knopp Biosciences Llc Tratamento de níveis elevados de eosinófilos e/ou basófilos
US9468630B2 (en) 2013-07-12 2016-10-18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related to increased eosinophils
US9642840B2 (en) 2013-08-13 2017-05-09 Knopp Bi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lasma cell disorders and B-cell prolymphocytic disorders
HUE055850T2 (hu) 2013-08-13 2022-01-28 Knopp Biosciences Llc Készítmények és módszerek a krónikus urticaria (csalánkiütés) kezelésé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248A (en) 1981-03-23 1982-08-31 American Cyanamid Company 2,3-Disubstituted-thiazolo[3,2-a]pyrimidines
US5232921A (en) 1987-03-12 1993-08-03 Sanofi Thiazole derivatives active on the cholinergic system, process for obten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2612187B1 (fr) * 1987-03-12 1989-07-21 Sanofi Sa Derives du thiazole actifs sur le systeme cholinerg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EP0600489B1 (en) 1992-12-04 1996-11-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2-iminothiazol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ir intermediates
EP0683160A1 (en) 1994-04-04 1995-11-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Iminothiazoline derivatives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m as active ingredients
GB9513467D0 (en) 1995-07-01 1995-09-06 Knoll Ag Therapeutic ag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57B1 (ko) * 2006-04-05 2007-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페닐이미노-1,3-티아졸린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0090A1 (en) 2000-01-12
SK122099A3 (en) 2000-05-16
BG103754A (bg) 2000-06-30
CA2283438A1 (en) 1998-09-24
HUP0001508A3 (en) 2003-01-28
TR199902291T2 (xx) 1999-12-21
NO994452D0 (no) 1999-09-14
GB9705428D0 (en) 1997-04-30
NO994452L (no) 1999-09-14
CN1255136A (zh) 2000-05-31
HUP0001508A2 (hu) 2001-01-29
IL131515A0 (en) 2001-01-28
ZA982134B (en) 1999-09-13
EP0970090B1 (en) 2002-06-05
PL335696A1 (en) 2000-05-08
US6187802B1 (en) 2001-02-13
ID22636A (id) 1999-12-02
NZ337378A (en) 2001-01-26
DE69805781D1 (de) 2002-07-11
ATE218573T1 (de) 2002-06-15
BR9808254A (pt) 2000-05-16
WO1998041528A1 (en) 1998-09-24
AU6728898A (en) 1998-10-12
JP2001515501A (ja) 2001-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190A (ko) 치환된 4-아릴메틸렌-2-이미노-2,3-디히드로티아졸과 유도체 및 그 제약적 용도
SK16852001A3 (sk) Tiazolové deriváty a farmaceutické kompozície ich obsahujúce
RU2593756C2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аминодигидротиазина, пригодны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васе
HRP960349A2 (en) Therapeutic agents
JP2002534511A (ja) 置換型イミダゾール、それらの調製及び使用
WO2015150957A1 (en) Chromene and 1,1 a,2,7b-tetrahydrocyclopropa[c]chromene pyridopyrazinediones as gamma-secretase modulators
JPH04234860A (ja) チアジン(又はオキサジン)誘導体、その製法及びその合成中間体
SK16842001A3 (sk) Substituované imidazotiazoly ako antidepresívne prostriedky
JP2000503667A (ja) アルキルアミノベンゾチアゾールおよび―ベンゾキサゾール誘導体
CZ256090A3 (cs) Derivát v poloze 8-substituovaného 2-aminotetralinu, způsoby jeho přípravy, farmaceutický prostředek s jeho obsahem a použití
RU2232757C2 (ru) Сульфонилоксазоламины в качеств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5869492A (en) Condensed thiazole derivatives, having 5-HT receptor affinity
KR100248643B1 (ko) 아릴 및 헤테로아릴 알콕시나프탈렌 유도체
KR20000062356A (ko) 5-ht 수용체 활성을 갖는 술폰아미드 화합물
US6300354B1 (en) N-substituted azabicycloheptane derivatives, production and use thereof
CZ9903260A3 (cs) Terapeutická činidla
MXPA97009509A (en) Therapeutic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