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982A -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982A
KR20000075982A KR1019997008067A KR19997008067A KR20000075982A KR 20000075982 A KR20000075982 A KR 20000075982A KR 1019997008067 A KR1019997008067 A KR 1019997008067A KR 19997008067 A KR19997008067 A KR 19997008067A KR 20000075982 A KR20000075982 A KR 2000007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stereoscopic
broadcast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야마모또
유조 아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53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575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3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575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49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57526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7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9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Processing image signals for colour aspects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6Image signal generato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체 방송 방식 대응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한 수신이 가능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얻어진다.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에서의 프레임 메모리(3)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를 기억한다. 판별 회로(4)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를 수신하여, 1프레임 중의 특정 영역(AR1)의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AR2)의 화소 데이타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출력 신호 포맷 회로(5)는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를 이용하여 후단에 접속되어 있는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SPLAY}
종래부터,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일례로서, 525p 순차 주사 방식에 의한 디지탈 방송 시스템(이하, 논인터레이스(non-interlace) 디지탈 방송 시스템이라 칭함)이 있다.
이러한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996년 2월 27일 발표의 텔레비젼 학회 기술 보고 제20권 제13호의 제25페이지∼제30페이지의 우라노(浦野) 등에 의한「525 순차 스캐닝 신호 대응 CS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개발」에 상세가 나타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은, 현행의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NTSC)과 다른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일례로서, 입체 방송 서비스를 행하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다른 타입의 디지탈 방송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에서는, 종래의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서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영상 데이타(이하,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라 칭함)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통상의 방송 서비스와 입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수신)측은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에 대응하는 튜너와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에 대응하는 튜너를 구비할 필요가 있고, 그 설비 및 회로 구성이 현저하게 대규모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체 표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채널의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표시하는 방식(예를 들면, 액정 셔터로 개폐하는 안경을 이용한 CRT 방식의 입체 표시)이나, 2채널의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표시하는 방식(예를 들면, 프로젝터 2대를 이용한 입체 표시) 등, 각종의 입체 표시 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 있어서는, 대응 가능한즉, 입체 표시가 가능한 방식은 통상 1개의 입체 표시 방식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대의 수신기로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측의 입체 표시의 선택의 폭이 제한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종 방송 방식이 혼재한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 모든 방송 방식에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직 존재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다고 한다면, 입체 재생 표시 시에는 입체 재생 표시를 행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입체 재생 표시용의 특수한 안경 등을 장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한 수신 및 표시가 가능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의 (a)∼(c)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의 판별 회로(4)에서의 판별 처리의 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도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로 판별 처리되는 특정 영역 AR1과 특정 영역 AR2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판별 회로(4)에서의 판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포맷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12의 (a)∼(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로부터 출력되는 각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로 수신하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a∼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중심으로 한 수신측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6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신호선 L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8의 (a)∼(f)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판별 회로(34)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판별 회로(34)에서의 판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영상 재생 표시부(36)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설비 및 회로 구성으로 입체 방송 서비스 및 통상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고,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 회로와, 수신 회로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의 특성을 검출하여,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고,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 회로와,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별 회로는 영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제1 블럭의 특정 영역의 화소 데이타와, 영상 데이타를 구성하는 제1 블럭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블럭의 특정 영역의 화소 데이타를 수신 회로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는 기억 회로와, 기억 회로에 기억된 제1 블럭의 특정 영역의 화소 데이타와 기억 회로에 기억된 제2 블럭의 특정 영역의 화소 데이타를 비교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제1 영상 데이타인지 또는 제2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이점은,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해석함으로써,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 통상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방송 방식을 판별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모니터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1채널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입체 방송에도 통상의 방송에도 대응한 방송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입체 방송 서비스 및 통상의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간단한 설비및 회로 구성으로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여 재생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재생 표시되는 영상의 방송 방식을 알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국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 회로와, 분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와, 판별 회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이 입체 방송 방식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방송 방식에 따라 모니터에 재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상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입력된 상기 제1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 회로와, 분리 회로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것이,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인지 또는 제1 방송 방식과는 다른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인지를 판별하고, 또한 분리 회로로부터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것이 제1 방송 방식 및 제2 방송 방식과는 다른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인 것으로 판별하는 판별 회로와, 판별 회로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회로와, 판별 회로에서 판별한 방송 방식에 기초하여, 모니터에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를 재생 표시하기 위한 재생 표시 회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을 판별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또한, 판별한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생 표시하는 영상의 방송 방식(특히, 입체 방송 방식)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방송 방식을 판별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후단에 접속하는 모니터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 가능하고, 입체 방송 방식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여 영상을 재생 표시할 수 있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회로와,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입체 표시 방식에 기초하여,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회로와, 수신 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회로를 구비하고, 포맷 회로는,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입체 표시 방식에 따라 포맷화를 행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와 다른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관계없이, 수신한 영상 데이타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표시 방식에 따라 포맷화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회로와,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 입체 방송 방식과는 다른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와, 사용자가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체 표시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수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회로와, 판별 회로에서의 판별 결과와 선택 회로에서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재생 표시하는 표시 방식을 결정하고, 포맷 회로에서의 포맷화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점은, 방송 방식의 판별 결과와, 사용자의 지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한 재생 표시가 가능해지는 점에 있다.
또한, 입체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설비 및 회로 구성으로 입체 방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각종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은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한 수신 및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논인터레이스 디지탈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영상 데이타(이하, "방송 방식 1"이라 칭함) 또는 후술하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에 대해 도 1a∼도 1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a는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도 1b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a∼도 1b를 참조하면,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a) 및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b)은 모두 수평 방향 화소수 704화소(I=1∼704)×수직 방향 화소수 480화소(J=1∼480)이고, 이것은 표준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의 화면 구성과 일치하고 있다.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b)은 2개의 블럭 B1, B2로 구성되어 있다. 블럭 B1, B2 중 어느 한쪽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취득한 우안용(右眼用) 영상 신호의 화면이고, 다른쪽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취득한 좌안용(左眼用) 영상 신호의 화면에 대응하고 있다(이하, 간단하게 하기 위해 블럭 B1이 우안용, 블럭 B2가 좌안용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b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에서의, 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은, 영상을 입력하는 인터레이스 방식 카메라(123a, 123b)와,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를 구비한다.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는 카메라(123a, 123b)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2필드의 영상 신호를, 1프레임의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도 1b 참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필드 메모리를 포함하고, 카메라(123a)로부터 수신한 우안용 영상 신호 R을 한쪽의 필드메모리에 기록하고, 카메라(123b)로부터 수신한 좌안용 영상 신호 L을 다른쪽의 필드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리고, 각 필드 메모리로부터 우안용 영상 신호 R 및 좌안용 영상 신호 L을 기록 속도의 2배의 속도로 판독한다. 이에 따라,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가 생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의 동작을 도 3의 (a)∼(c)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c)는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b)는 각각 우안용 영상 신호 R, 좌안용 영상 신호 L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3의 (c)는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가 출력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b)에 있어서, 우안용 영상 신호 R 및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의 유효 화소수를, 수평 방향 화소수 704화소(수평 방향 화소 번호 I:I=1∼704) × 수직 방향 화소수 240화소(수직 방향 화소 번호 J:J=1∼240)로 하고, 또한 우안용 영상 신호 R 및 좌안용 영상 신호 L의 수평 동기 주파수 FH를 15.75㎑, 수직 동기 주파수 FR을 59.94㎐로 한다.
이 경우, 필드 메모리로의 기록 주파수를 FH로 하고, 판독 주파수를 (2×FH) 로 하면,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에 의해, 수평 동기 주파수가 31.5㎑, 수직 동기 주파수가 59.94㎐의 도 1b에 도시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타가 생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의 송신측은, 또한 영상용 인코더(122), 집음(集音) 장치(124), 음성용 인코더(125), 다중 장치(121), 디지탈 변조기(126), 및 위성 통신 기기(127)를 구비한다.
송신측 프레임 메모리 장치(12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타는, MPEG2 규격(Motion Picture Coding Expert Group phase 2: 풀컬러 동화상 압축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 등에 준거하여 압축화 후, 변조되고, 통신 위성(128)을 통해 전송된다.
우안용 영상 신호 R 및 좌안용 영상 신호 L을 화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MPEG2와 같이 시간축 방향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 방식에 있어서는 압축 효율이 향상된다.
또, 디지탈 입체 방송 시스템(9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장치(123)에 기록 재생 장치(129)를 접속하고, 압축한 2화면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타를 기록 재생 장치(129)에 기록함으로써, 기록 매체를 통해 영상 데이타의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기록 재생 장치(129)에서 재생한 데이타를 수신하여, 통신 위성(128)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록 재생 장치(129)의 구체예로서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DVD, DVD-RAM, D-VTR, MD, 광자기 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는, 수신 회로(1), 디코드 회로(2), 프레임 메모리(3), 판별 회로(4), 출력 신호 포맷 회로(5), 및 CPU(6)를 포함한다.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는, 1채널의 영상 데이타(도 1a 또는 도 1b)를 안테나(8)로 수신한다. 수신 회로(1)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와 디지탈 복조 회로를 구비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디지탈 복조한다.
디코드 회로(2)는, 수신 회로(1)의 출력을 수신하여, 신장(예를 들면, MPEG2에 준거한 복호화)하고, 화소 데이타를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3)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를 프레임마다 기억한다.
판별 회로(4)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를 수신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도 1b)하는 것인지, 방송 방식(1)에 대응(도 1a)하는 것인지를 판별한다.
출력 신호 포맷 회로(5)는, 판별 회로(4)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를 이용하여, 이것을 포맷화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후단에 위치하는 모니터에 보내진다. CPU(6)는 각 구성 회로를 제어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판별 회로(4)에서의 판별 처리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판별 회로(4)에서의 판별 처리의 대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판별 회로(4)는 영상 데이타의 1프레임에서의 특정 영역 AR1 및 특정 영역 AR2의 화소 데이타를 판별하는 데 이용된다.
이들 특정 영역 AR1, AR2는 각각 상술한 블럭 B1, B2(도 1b 참조)에 대응하여 결정한다. 일례로서, 블럭 B1, B2가 도 1b에 도시한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특정 영역 AR1을, 수평 방향 화소가 X1∼X2(=I), 및 수직 방향 화소가 Y1∼Y2 (=J)로 이루어지는, 수평 방향 화소수 P화소(P=X2-X1+1) × 수직 방향 화소수 Q 화소(Q=Y2-Y1+1)의 영역으로 하고, 특정 영역 AR2를, 수평 방향 화소가 X1∼X2 (=I), 및 수직 방향 화소가 Y1+240∼Y2+240(=J)로 이루어지는, 수평 방향 화소수 P화소(P=X2-X1+1) × 수직 방향 화소수 Q화소(Q=Y2-Y1+1)의 영역으로 한다.
즉, 블럭 B1을 블럭 B2와 중첩한 경우, 특정 영역 AR1과 중첩되는 블럭 B2의 영역을 특정 영역 AR2로 한다.
여기서, 특정 영역 AR1과 특정 영역 AR2와의 관계의 일례를 도 6a∼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도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로 판별 처리되는 특정 영역 AR1과 특정 영역 AR2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판별하는 영상 데이타가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경우를, 도 6b는 판별하는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a∼도 6b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타가 방송 방식(1)에 대응하는 경우(도 6a)에는, 특정 영역 AR1의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 AR2의 화소 데이타는 일반적으로 상관 관계가 낮다. 한편,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경우(도 6b)에는, 특정 영역 AR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안용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소 데이타로 구성되고, 특정 영역 AR2는 좌안용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소 데이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특정 영역 AR1의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 AR2의 화소 데이타는 양안 시차의 관계로부터 일치하지 않지만, 상관 관계가 높다.
따라서, 특정 영역 AR1의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 AR2의 화소 데이타와의 관계를 조사하면,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의 일례의 기본 구성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의 일례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별 회로(4)는 CPU(60)와 메모리(61)를 포함한다.
CPU(60)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어드레스선 L1을 통해 어드레스값 ad를, 데이타선 L2를 통해 화소 데이타를 각각 수신한다. 그리고, 특정 영역 AR1, AR2의 화소 데이타를 메모리(61)에 보낸다. 메모리(61)는 CPU(60)로부터 화소 데이타를 수신하여 이것을 기억한다. 또한, CPU(60)는 메모리(61)에 기억한 화소 데이타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타의 판별을 행하고, 판별 결과로서 제어 신호 CON을 출력한다. 판별 방법의 일례로서는, 특정 영역 AR1을 구성하는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 AR2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타 사이에서 색차(차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에서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판별 회로(4)에서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이다. 도 8을 참조하여, CPU(60)가 차분에 의해 판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에서는, CPU(60)는 어드레스값 ad를 수신한다. 단계 S2에서는 취득한 어드레스값 ad가, 비교하는 특정 영역 AR1 혹은 특정 영역 AR2를 지시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특정 영역 AR1, AR2에 해당하는 어드레스값 ad가 아닌 경우, 단계 S1로 되돌아가, 다음에 송신되어 오는 어드레스값 ad를 취득한다.
한편, 특정 영역 AR1, AR2에 대응하는 어드레스값 ad인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행하고, 어드레스값 ad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타를 메모리(61)에 기억한다.
단계 S4에서는, 특정 영역 AR1, AR2를 구성하는 모든 화소 데이타를 메모리(61)에 기억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메모리(61)에, 특정 영역 AR1, AR2를 구성하는 모든 화소 데이타가 기억된 경우에는, 단계 S5에 있어서, 특정 영역 AR1의 화소 데이타와 특정 영역 AR2의 화소 데이타를 비교(차분을 취함)한다.
단계 S6에서는, 단계 S5에서의 비교 결과(차분의 결과)를 수신하여, 이것을 소정의 기준값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기준값 이상이면, 수신한 영상 데이타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단계 S7)이고, 기준값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단계 S8)라고 판별하여, 이 판별 결과를 제어 신호 CON에 설정하고, 출력한다.
도 4에 도시한 출력 신호 포맷 회로(5)는 이 제어 신호 CON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한 프레임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를 포맷화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는 수신한 영상 데이타의 방송 방식(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한다)을 판별할 수 있고,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포맷화를 행함으로써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재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판별 방법으로서 차분을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 이외의 방법이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해석함으로써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 통상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방송 방식을 판별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후단에 접속하는 모니터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1채널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입체 방송에도 통상의 방송에도 대응한 방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영상 데이타를 수신하여도, 후단에 위치하는 모니터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입체 방송 서비스 및 통상의 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간단한 설비 및 회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입체 표시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입체 표시 방식으로 재생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는, 입력으로서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도 1a), 혹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1채널의 영상 데이타(도 1b)를 수신한다. 그리고,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 경우에는,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재생 표시(이하, "표시 방식 1"이라 칭함)하고,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체 표시 방식 1(1채널로 재생 표시함), 혹은 입체 표시 방식 2(2채널로 재생 표시함)로 재생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 도 4에 도시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는 수신 회로(1), 디코드 회로(2), 프레임 메모리(3), 판별 회로(24),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 선택 회로(27), 기록 재생 장치(29) 및 CPU(6)를 포함한다.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는 안테나(8)로 수신하는 1채널의 영상 데이타(도1a, 1b 참조)를 입력으로 수신한다.
판별 회로(24)는 디코드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데이타를 수신하여,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방법으로서는, 영상 데이타에 미리 부가된 방송 방식에 관한 정보를 해독하는 방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판별 회로(4)와 동일한 구성이어도 된다. 판별 회로(24)에서의 판별 결과 AS는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로 보내진다.
선택 회로(27)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 중에서 하나의 입체 표시 방식을 선택하는 회로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입체 표시 방식 1, 혹은 입체 표시 방식 2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회로(27)로서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스위치 전환 동작에 의해, 입체 표시 방식 1로 재생 표시하는지 입체 표시 방식 2로 재생 표시하는지를 나타내는 전환 신호 BS가 발생한다.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는 판별 회로(24)로부터의 판별 결과 AS 및 선택 회로(27)로부터의 전환 신호 BS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화소 데이타를 이용하여 이것을 포맷화한다. 그리고, 생성된 출력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후단에 위치하는 모니터로 보내진다. 또, CPU(6)는 각 구성 회로의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는 제어 회로(10), 입력 전환 회로(11), 및 메모리(12, 13)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10)는, 판별 회로(24)로부터 수신하는 판별 결과 AS와 선택 회로(27)로부터 수신하는 전환 신호 BS에 따라, 재생 표시하는 표시 방식을 결정하고, 후술하는 포맷 처리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제어 회로(10)는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표시 방식 1이라고 결정하고,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전환 신호 BS에 기초하여 선택된 입체 표시 방식 1 혹은 입체 표시 방식 2라고 결정한다.
입력 전환 회로(11)는 프레임 메모리(3)로부터 수신한 화소 데이타를, 제어 회로(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모리(12) 혹은 메모리(13)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10)에 의해 결정된 표시 방식이 표시 방식 1 또는 입체 표시 방식 1이면 메모리(12)에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고, 입체 표시 방식 2이면 메모리(12) 및 메모리(13)에 화소 데이타를 출력한다.
메모리(12, 13)는 입력 전환 회로(11)로부터 출력된 화소 데이타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1라인에 배열하는 화소(수평 방향 화소 번호 I=1∼704, 수직 방향 화소 번호 J=고정)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타열을,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의 주사순으로 기록한다. 메모리(12, 13)로서는 FIFO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메모리(12, 13)에 기록된 화소 데이타열은 제어 회로(10)의 제어에 기초하여, 결정된 표시 방식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판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는, 또한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출력 회로(14), 페데스탈 레벨(pedestal level) 데이타 출력 회로(15), 데이타 전환 회로(16 및 17) 및 D/A 변환기(18 및 19)를 구비한다.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 출력 회로(14)는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 DB(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관련된 데이타를 포함함)를 출력한다.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출력 회로(15)는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를 출력한다.
데이타 전환 회로(16)(또는 17)는 제어 회로(10)의 제어에 기초하여, 메모리(12) (또는 13)로부터 판독되는 화소 데이타열과,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 DB와,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포맷 처리에 대해, 타이밍 차트인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포맷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각 T1은 동기 신호 위치를, 시각 T0, T2 및 T4는 페데스탈 신호 위치를, 시각 T0∼T5는 1 수평 기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데이타 전환 회로(16)는 페데스탈 신호 위치 T0이 되면, 시각 T1까지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동기 신호위치 T1이 되면, 출력을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로부터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 DB로 전환한다. 또한, 페데스탈 신호 위치 T2부터는, 동기 신호 레벨 데이타 DB로부터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또, T0∼T3의 기간은, 메모리(12 및 13)로부터의 화소 데이타열의 판독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T3∼T4의 기간에서는, 메모리(12)로부터 화소 데이타열을 판독하고, 판독한 화소 데이타열을 출력한다. 또한, 페데스탈 위치 T4로부터 시각 T5의 기간은 출력을 페데스탈 레벨 데이타 DA로 전환한다. 또, T4∼T5의 기간은 메모리(12 및 13)로부터의 화소 데이타열의 판독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들 동기 신호 위치 및 페데스탈 신호 위치는 각 방송, 표시 방식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고, 제어 회로(10)가 제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D/A 변환기(18)는 데이타 전환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의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D/A 변환기(19)는 데이타 전환 회로(1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D/A 변환기(1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표시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혹은 입체 표시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또는 입체 표시 방식 2에 대응하는 우안용 영상 신호이고, D/A 변환기(1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입체 표시 방식 2에 대응하는 좌안용 영상 신호이다.
다음에,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로부터 출력되는 각 표시 방식에 대응한 영상 신호의 포맷을 도 12의 (a)∼(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출력 신호 포맷 회로(25)로부터 출력되는 각 표시 방식에 대응한 영상 신호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표시 방식 1에 대응하는 화면과 수직 동기 신호와의 관계를, 도 12의 (b)는 입체 표시 방식 1에 대응하는 화면과 수직 동기 신호와의 관계를, 도 12의 (c)∼(d)는 입체 표시 방식 2에 대응하는 화면과 수직 동기 신호와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기호 G(i) (단, i=1, 2,…)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번호이고, 기호 B1, B2는 도 1b에서 설명한 블럭 B1, B2에 대응하고 있다.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도 1b 참조)인 경우, 도 12의 (b)∼(d)에 도시한 기호 G(i)는 홀수 필드 또는 짝수 필드의 화면에 대응하고 있다(간단하게 하기 위해, G(i)에 있어서, i=2×k의 화면을 짝수 필드의 화면으로 하고, i=2×k+1의 화면을 홀수 필드의 화면으로 한다).
도 12의 (a)∼(d)를 참조하면, 입체 표시를 행하지 않는 경우(도 12의 (a))에는, 도 10에 도시한 메모리(12) 및 데이타 전환 회로(16)가 동작하고, D/A 변환기(18)로부터 1채널의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1채널의 영상으로 입체 표시를 행하는 입체 표시 방식 1을 선택한 경우(도 12의 (b))에는, 도 10에 도시한 메모리(12) 및 데이타 전환 회로(16)가 동작하고, 각 화면 G(i)마다, 우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블럭 B1) 및 좌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블럭 B2)에 동기 신호 등의 정보가 부가된다. 이 결과, D/A 변환기(18)로부터 우안용의 홀수 필드, 좌안용의 홀수 필드, 우안용의 짝수 필드, 좌안용의 짝수 필드, …의 순에 대응하는 1채널의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2채널의 영상으로 입체 표시를 행하는 입체 표시 방식 2를 선택한 경우(도 12의 (c)∼(d))에는, 각 화면마다 메모리(12)에 우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블럭 B1)을, 메모리(13)에 좌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블럭 B2)을 분리하여 기억시킨다. 그리고, 데이타 전환 회로(16, 17)를 이용하여, 기억한 화소 데이타에 동기 신호 등의 정보를 부가한다. 이 결과, D/A 변환기(18)로부터, 우안용의 홀수 필드, 우안용의 짝수 필드, …의 순에 대응하는 1채널의 우안용의 영상 신호가 출력(도 12의 (c))되고, 한편, D/A 변환기(19)로부터, 좌안용의 홀수 필드, 좌안용의 짝수필드, …의 순으로 대응하는 1채널의 영상 신호가 출력(도 12의 (d))된다.
즉,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는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또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체 표시 방식으로 재생 표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를 사용함으로써, CRT 방식에서 액정 셔터로 개폐하는 안경을 이용한 CRT 방식에서의 입체 표시, 프로젝터 2대를 이용한 입체 표시 등, 각종의 입체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8)로부터의 입력에 한하지 않고, 디코드 회로(2)에 접속한 기록 재생 장치(29)로부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디코드 회로(2)에 입력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혹은 디코드 회로(2)에서 복호한 데이타를 기록 재생 장치(29)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기록 재생 장치(29)의 구체예로서는,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DVD, DVD-RAM, D-VTR, MD, 광자기 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는 상기에 설명한 구성 및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로 수신 가능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다른 구성예를, 도 13a∼도 13e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a∼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200)로 수신하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구성하는 블럭 B1을 우안용 영상 신호 R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하고, 블럭 B2를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반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 B1을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하고, 블럭 B2를 우안용 영상 신호 R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은, 우안용 영상 신호 R에 대응하는 화면과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과, 좌안용 영상 신호 L과 우안용 영상 신호 R과의 차분(L-R)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입체 방송 방식 대응에 한하지 않고, 2화면분의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영상 신호 A 및 영상 신호 B의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블럭 B1 및 B2의 각각의 사이즈는 동일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 B1의 수직 방향 화소수를 360화소로 하고, 블럭 B2의 수직 방향 화상수를 120화소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화소수가 360화소인 블럭 B1을 좌안용 영상 신호 L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하고, 수직 방향 화소수가 120화소인 블럭 B2를 영상 신호의 차분(L-R)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해도 된다. 단, MPEG 규격에서는, 8화소×8화소의 블럭 단위로 압축, 신장을 행하므로, 블럭 B1 및 B2의 각 수직 방향 화소수는 8의 배수로 한다.
또한, 블럭 B1과 블럭 B2의 수직 방향 화소수의 비율은 고정이거나 가변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좌안용 영상 신호 L과, 영상 신호의 차분 (L-R)을 전송하는 경우, 영상 신호 R, L의 내용에 의해 차분한 (L-R)의 정보량에 따라 가변으로 한다. 또한, 상호 다른 영상 신호 A, B를 전송하는 경우, 각각의 정보량의 비율에 따라 가변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방송 방식의 판별 결과와, 사용자의 지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한 재생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입체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입체 방송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1채널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입체 방송에도 통상의 방송에도 대응한 방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입체 방송 서비스 및 통상의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간단한 설비 및 회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체 방송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한 재생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재생 표시되는 영상의 방송 방식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이하, "방송 방식 1"이라 칭함)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이하, "방송 방식 2"라 칭함)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및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에 대해 도 14a∼도 14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a∼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도 14b는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도 14c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4a∼도 14c를 참조하면,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4a)은 수평 방향 화소수 704화소(I=1∼704) × 수직 방향 화소수 240화소(J=1∼40) 이다.
또한,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4b) 및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4c)은 모두 수평 방향 화소수 704화소(I=1 ∼704) × 수직 방향 화소수 480화소(J=1∼480)이고, 표준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의 화면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의 화면(도 14c)은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블럭 B1, B2로 구성되고, 어느 한쪽이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취득한 우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 다른쪽이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취득한 좌안용 영상 신호의 화면에 대응하고 있다. 블럭 B1이 우안용, 블럭 B2가 좌안용에 대응하고 있도록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중심으로 한 수신측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신호선 L11 및 L12, 신호 처리 회로(31 및 32), 동기 분리 회로(33), 판별 회로(34),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 및 영상 재생 표시부(36)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안테나(8) 및 튜너(38)를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다. 안테나(8)는 방송 방식 1, 방송 방식 2로 하여 입체 방송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수신한다. 또, 안테나(8) 및 튜너(38)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일체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및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를 60㎐로 한다.
튜너(38)는 안테나(8)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이하에 나타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체 방송 방식 또는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를 (Y, Pb, Pr) 신호로 변환한다.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도 14c 참조)에 대해서는 또한, 우안용의 영상(블럭 B1 대응)과 좌안용의 영상(블럭 B2 대응)으로 분리한다.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에 대해서는, 콤포지트 신호로 변환한다. 이들 영상 신호는 신호선 L11 및 L12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입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신호선 L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화면과 수직 동기 신호와의 관계를, 도 16의 (a)∼(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신호선 L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화면과 수직 동기 신호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방송 방식 2에, 도 16의 (b)는 입체 방송 방식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16의 (b)에서의 기호 B1, B2는 도 14c의 블럭 B1(우안용), B2(좌안용)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도 16의 (a)∼(b)를 참조하면,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서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 FR1은 60㎐인데 반해,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서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 FR2는 그 2배인 120㎐로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신호선 L11을 통해 도 16의 (a)∼(b)에 도시한 입체 방송 방식 또는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선 L12를 통해 방송 방식 1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동기 분리 회로(33)는 신호선 L11에서 수신한 (Y, Pb, Pr) 신호 중, Y 신호 성분을 수신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한다.
판별 회로(34)는 동기 분리 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입체 방송 방식의 것 등)을 판별한다.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는 판별 회로(34)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방송 방식을 표시한다.
신호 처리 회로(31)는 신호선 L11을 통해 수신하는 영상 신호를, (R, G, B)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 회로(32)는 신호선 L12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 신호를, (R, G, B)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재생 표시부(36)는 판별 회로(34)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 회로(31 및 32)로부터 출력된 (R, G, B)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그 영상을 모니터에 재생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판별 회로(34)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판별 회로(34)는 기준 클럭 발생 회로(40), 카운터 회로(41), 래치 회로(42), 제어 신호 발생 회로(43) 및 CPU(44)를 구비한다.
제어 신호 발생 회로(43)는 동기 분리 회로(33)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리셋트 신호 RS, 래치 신호 TS, CPU 취득 신호 CS를 발생하여, 각각을 카운터 회로(41), 래치 회로(42), 그리고 CPU(44)로 출력한다.
기준 클럭 발생 회로(40)는 기준 클럭 CLK를 발생한다.
카운터 회로(41)는 기준 클럭 CLK를 카운트한다. 또, 카운터 회로(41)는 리셋트 신호 RS를 수신할 때마다, 카운트값 CNT를 초기화한다.
래치 회로(42)는 래치 신호 TS를 수신할 때마다, 카운터 회로(41)로부터 카운트값 CNT를 래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기간에 발생한 기준 클럭 CLK의 수를 카운터 회로(41)로부터 수신한다.
CPU(44)는 CPU 취득 신호 CS를 수신할 때마다, 래치 회로(42) 내의 카운트값 CNT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값 TH와 비교하여 판별을 행한다. 판별 결과는 제어 신호 CTL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에서의 처리에 대해 타이밍 차트인 도 18의 (a)∼(f)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의 (a)∼(f)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18의 (a)는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수직 동기 신호, 도 18의 (b)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수직 동기 신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도 16의 (a)∼(b) 참조),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 FR1은 60㎐이고, 입체 방송대응의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 FR2는 그 2배의 120㎐이다.
따라서, 동일 기간 내에서는, 입체 방송에 대응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또는, 하강)의 수를 N1로 하면, N1은 방송 방식 2에 대응하는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의 수 N2의 2배(N1=2×N2)가 된다.
CPU(44)에서 판별 처리에 이용되는 기준값 TH는 기준 클럭 CLK와,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 FR1 및 FR2와의 관계로부터 구한다.
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에서의 판별 처리의 순서를, 도 19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판별 회로(34)에서의 판별 처리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어 신호 발생 회로(43)는 동기 분리 회로(33)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1).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방송 방식 1에 대응하여 재생 표시하는 것으로 판별(초기 설정 상태)한다(단계 S17).
한편,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에 설명한 리셋트 신호 RS, 래치 신호 TS, 및 CPU 취득 신호 CS를 도 18의 (a)∼(f)에 도시한 타이밍으로 발생한다.
CPU(44)는 제어 신호 발생 회로(43)로부터 CPU 취득 신호 CS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12).
CPU(44)는 CPU 취득 신호 CS를 수신하면(단계 S13), 래치 회로(42)로부터 카운트값 CNT를 취득하여, 기준값 TH와 비교한다(단계 S 14).
CPU(44)는 기준값 TH와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방송 방식 2에 대응하여 재생 표시하는 것으로 판별(단계 S15)하거나, 혹은 입체 방송에 대응하여 재생 표시하는 것으로 판별(단계 S16)한다. 판별 결과는, 제어 신호 CTL에 설정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방송 방식 표시 회로(35)는 표시 전환 회로(50) 및 표시기(51)를 구비한다.
표시 전환 회로(50)는 판별 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CTL을 수신하여, 표시기(51)의 표시 내용을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표시기(51)는 표시 전환 회로(50)의 지시를 수신하여, 적절하게 방송 방식 1(초기 설정 상태)로부터 방송 방식 2 혹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표시 내용으로 전환하여 이것을 표시한다. 표시기(51)의 일례로서, LED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기(51)가 입체 방송 방식이라고 표시한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이 입체 방송에 대응하는 것을 순간에 알 수 있으므로, 입체 영상의 재생 표시와 동시에 입체 표시용의 안경을 장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영상 재생 표시부(36)에 대해,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영상 재생 표시부(36)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영상 재생 표시부(36)는 재생 표시 선택 회로(70), 구동 회로(71) 및 모니터(72)를 구비한다.
재생 표시 선택 회로(70)는 판별 회로(3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CTL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 회로(31) 혹은 신호 처리 회로(3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R, G, B) 신호를, 후단에 접속되는 구동 회로(71)로 보내기 위한 전환 제어를 행한다.
구동 회로(71)는 재생 표시 선택 회로(70)로부터 출력된 (R, G, B) 신호를 후단에 접속되는 모니터(72)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모니터(72)는 구동 회로(71)의 지시를 수신하여, 신호선 L11 또는 L12를 통해 수신한 영상 신호를 재생 표시한다. 예를 들면, 모니터(72)의 일례로서는, CRT(브라운 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판별한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생 표시하는 영상의 방송 방식(특히, 입체 방송 방식)을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방송 방식을 판별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후단에 접속하는 모니터에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해석함으로써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 통상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방송 방식의 판별 결과와, 사용자의 지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한 재생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방송 방식을 판별할 수 있다.

Claims (25)

  1.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고,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1, 2); 및
    상기 수신 수단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의 특성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4, 24, 34)
    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2.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고,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는 수신 수단(1, 2); 및
    상기 수신 수단(1, 2)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화소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4)
    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타는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제1 상기 영상 데이타이거나, 또는 제1 상기 영상 데이타와 다른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제2 상기 영상 데이타이고,
    상기 판별 수단(4)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타가 제1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 또는 제2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타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상기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고,
    제1 상기 영상 데이타는 우안용(右眼用)의 상기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제1 블럭(B1, B2)과, 좌안용(左眼用)의 상기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제2 블럭(B1, B2)에 의해 상기 배열을 구성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4)은,
    상기 제1 블럭의 특정 영역의 상기 화소 데이타와, 상기 제1 블럭의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블럭의 특정 영역의 상기 화소 데이타를 상기 수신 수단(1, 2)으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는 기억 수단(61); 및
    상기 기억 수단(61)에 기억된 상기 제1 블럭의 상기 특정 영역의 상기 화소 데이타와, 상기 기억 수단(61)에 기억된 상기 제2 블럭의 상기 특정 영역의 상기 화소 데이타를 비교하여,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타가 제1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 또는 제2 상기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처리 수단(60)
    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타는 논인터레이스(non-interlace) 주사 방식에 의해 재생 표시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7.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 수단(33);
    상기 분리 수단(33)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34); 및
    상기 판별 수단(34)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의 상기 방송 방식이 상기 입체 방송 방식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수단(51)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영상 신호 또는 제2 영상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여, 방송 방식에 따라 모니터에 재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입력한 상기 제1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분리 수단(33);
    상기 분리 수단(33)으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것이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인지 또는 상기 제1 방송 방식과는 다른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인지를 판별하고, 또한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것이 상기 제1 방송 방식 및 상기 제2 방송 방식과는 다른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인 것으로 판별하는 판별 수단(34);
    상기 판별 수단(34)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에서 재생 표시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의 상기 방송 방식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수단(51); 및
    상기 판별 수단에서 판별한 상기 방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모니터에 상기 제1 영상 신호 또는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재생 표시하기 위한 재생 표시 수단(36)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우안용의 영상 신호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좌안용의 영상 신호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논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영상 신호이고,
    상기 제1 방송 방식은 입체 방송 방식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이고,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34)은,
    클럭을 발생하는 기준 클럭 발생 수단(40);
    상기 발생한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41);
    상기 카운트 수단(41)이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래치하는 래치 수단(42);
    상기 래치 수단(42)으로부터 상기 카운트값을 취득하여, 상기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처리 수단(44); 및
    상기 분리 수단(33)으로부터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래치 수단(42)에 상기 카운트 수단(41)이 카운트한 상기 카운트값을 래치시키고, 상기 카운트 수단(41)에 상기 카운트를 리셋트시키고, 또한 상기 처리 수단(44)에 상기 래치 수단(42)이 래치한 상기 카운트값을 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43)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44)은 상기 래치 수단(42)으로부터 취득한 카운트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고, 또한 상기 카운트값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송 방식 및 상기 제2 방송 방식과 다른 상기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34)은,
    클럭을 발생하는 기준 클럭 발생 수단(40);
    상기 발생한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41);
    상기 카운트 수단(41)이 카운트한 카운트값을 래치하는 래치 수단(42);
    상기 래치 수단(42)으로부터 상기 카운트값을 취득하고, 상기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처리 수단(44); 및
    상기 분리 수단(33)으로부터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래치 수단(42)에 상기 카운트 수단(41)이 카운트한 상기 카운트값을 래치시키고, 상기 카운트 수단(41)에 상기 카운트를 리셋트시키고, 또한 상기 처리 수단(44)에 상기 래치 수단(42)이 래치한 상기 카운트값을 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43)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44)은, 상기 래치 수단(42)으로부터 취득한 카운트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고, 또한 상기 카운트값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방송 방식 및 상기 제2 방송 방식과 다른 상기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클럭의 반복 주파수로부터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제2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클럭의 반복 주파수로부터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수단(1, 2); 및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입체 표시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수단(1, 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수단(25, 27)
    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16.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수단(1, 2); 및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수단(25, 27)
    을 포함하고,
    상기 포맷 수단(25, 27)은,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입체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포맷화를 행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관계없이,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타의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포맷화를 행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17.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복조 및 신장하는 수신 수단(1, 2);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타가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인지, 입체 방송 방식과는 다른 영상 데이타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24);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입체 표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체 표시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27);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맷화하는 포맷 수단(25); 및
    상기 판별 수단(24)에서의 판별 결과와 상기 선택 수단(27)에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데이타를 재생 표시하는 표시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포맷 수단(25)에서의 포맷화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0)
    을 포함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타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우안용 영상의 화면과,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좌안용 영상의 화면으로부터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입체 표시 방식은, 1채널의 영상에 의해 입체 표시를 행하는 제1 입체 표시 방식, 혹은 2채널의 영상에 의해 입체 표시를 행하는 제2 입체 표시 방식인 디지탈 방송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10)이 결정하는 상기 표시 방식은, 상기 판별 수단(24)이 상기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제1 입체 표시 방식 혹은 상기 제2 입체 표시 방식이고, 상기 판별 수단이 상기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상관없이, 상기 제1 입체 표시 방식 및 상기 제2 입체 표시 방식 이외의 표시 방식인 디지탈 방송 수신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수단(25)은,
    상기 수신 수단(1, 2)으로부터의 출력을 기억하고, 또한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한 데이타가 판독되는 제1 기억 수단(12);
    상기 수신 수단(1, 2)으로부터의 출력을 기억하고, 또한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한 데이타가 판독되는, 상기 제1 기억 수단(12)과는 다른 제2 기억 수단(13);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수단(1, 2)으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제1 기억 수단(12) 혹은 상기 제2 기억 수단(13)에 입력하는 입력 전환 수단(11);
    레벨 데이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벨 데이타 출력 수단(14, 15);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12)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와, 상기 레벨 데이타 출력 수단(14,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레벨 데이타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1 데이타 전환 수단(16); 및
    상기 제어 수단(1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억 수단(13)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와, 상기 레벨 데이타 출력 수단(14, 15)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레벨 데이타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제2 데이타 전환 수단(17)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타 전환 수단(16)은, 상기 제1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1채널의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타이거나, 혹은 상기 제2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2채널 중 어느 한쪽의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타이거나, 혹은 상기 제1 입체 표시 방식 및 상기 제2 입체 표시 방식과 다른 상기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하고,
    상기 제2 데이타 전환 수단(17)은, 상기 제2 입체 표시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2채널의 상기 영상의 다른쪽의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12)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13)은 FIFO 메모리인 디지탈 방송 수신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방송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 데이타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우안용 영상의 화면과,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의해 취득된 좌안용 영상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디지탈 방송 수신기.
  23.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제1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과 제2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각각 1화면의 상하로 분할하여 배열함으로써, 1채널의 영상 데이타를 형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123, 123b, 120);
    상기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122); 및
    상기 압축한 영상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129)
    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24. 서로 다른 제1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과 제2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각각 1화면의 상하로 분할하여 배열함으로써 형성되고, 압축된 후에 기록된 1채널의 영상 데이타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29);
    상기 재생된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신장하는 신장 수단(2); 및
    상기 신장된 영상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영상 복원 수단(5, 25)
    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
  25.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제1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과 제2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각각 1화면의 상하로 분할하여 배열함으로써, 1채널의 영상 데이타를 형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 수단(123a, 123b, 120);
    상기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122);
    상기 압축한 영상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29, 129);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입력된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29, 129);
    상기 재생된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타를 신장하는 신장 수단(2); 및
    상기 신장된 영상 데이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복원하는 영상 복원 수단(5, 25)
    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KR1019997008067A 1997-03-07 1998-03-04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75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053384 1997-03-07
JP9053384A JPH10257524A (ja) 1997-03-07 1997-03-07 ディスプレイ装置
JP9053385A JPH10257525A (ja) 1997-03-07 1997-03-07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1997-053385 1997-03-07
JP1997-054960 1997-03-10
JP9054960A JPH10257526A (ja) 1997-03-10 1997-03-10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982A true KR20000075982A (ko) 2000-12-26

Family

ID=2729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067A KR20000075982A (ko) 1997-03-07 1998-03-04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024672A1 (ko)
KR (1) KR20000075982A (ko)
WO (1) WO19980399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4271B2 (en) 2004-07-15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forming multidimensional video format
KR101306671B1 (ko) * 2011-05-06 2013-09-1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487B1 (en) 1998-09-23 2001-10-23 Digital Fountain, Inc. Information additive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 systems
US7068729B2 (en) 2001-12-21 2006-06-27 Digital Fountain, Inc. Multi-stage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 systems
CA2380105A1 (en) * 2002-04-09 2003-10-09 Nicholas Routhier Proces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playback of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US9240810B2 (en) 2002-06-11 2016-01-19 Digital Fountain,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decoding chain reaction codes through inactivation
EP2357732B1 (en) 2002-10-05 2022-04-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atic encoding and decoding of chain reaction codes
US7139960B2 (en) 2003-10-06 2006-11-21 Digital Fountain, Inc. Error-correcting multi-stage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single transmitters or multiple transmitters
US7664292B2 (en) 2003-12-03 2010-02-16 Safehouse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an output from a camera
AU2004233453B2 (en) 2003-12-03 2011-02-17 Envysion, Inc. Recording a sequence of images
NZ536913A (en) 2003-12-03 2006-09-29 Safehouse Internat Inc Displaying graphical output representing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 of detectors and their alert status
WO2005112250A2 (en) 2004-05-07 2005-11-24 Digital Fountain, Inc. File download and streaming system
JP4421940B2 (ja) * 2004-05-13 2010-02-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5252917B2 (ja) * 2004-08-10 2013-07-3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ビューモードの検出
DE602005007361D1 (de) 2004-08-17 2008-07-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sichtsmoduserkennung
WO2007095550A2 (en) 2006-02-13 2007-08-23 Digital Fountain, Inc. Streaming and buffering using variable fec overhead and protection periods
US9270414B2 (en) 2006-02-21 2016-02-23 Digital Fountain, Inc. Multiple-field based code generator and decoder for communications systems
WO2007134196A2 (en) 2006-05-10 2007-11-22 Digital Fountain, Inc. Code generator and decoder using hybrid codes
US9386064B2 (en) 2006-06-09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URL templates and construction rules
US9432433B2 (en) 2006-06-09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system using signaling or block creation
US9178535B2 (en) 2006-06-09 2015-11-03 Digital Fountain, Inc. Dynamic stream interleaving and sub-stream based delivery
US9419749B2 (en) 2009-08-19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employing FEC codes with permanent inactivation of symbols for encoding and decoding processes
US9209934B2 (en) 2006-06-09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cooperative parallel HTTP and forward error correction
US8487982B2 (en) 2007-06-07 2013-07-16 Reald Inc. Stereoplexing for film and video applications
US8749615B2 (en) 2007-06-07 2014-06-10 Reald Inc. Demultiplexing for stereoplexed film and video applications
US8373744B2 (en) 2007-06-07 2013-02-12 Reald Inc. Stereoplexing for video and film applications
US8274551B2 (en) 2007-06-11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eader information of stereoscopic image data
BRPI0816680A2 (pt) 2007-09-12 2015-03-17 Qualcomm Inc Gerar e comunicar informações de identificação de origem pra habilitar comunicações confiáveis.
KR101520620B1 (ko) 2008-08-1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8339441B2 (en) 2008-12-26 2012-12-25 Kabushiki Kaisha Toshiba Frame processing device,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frame processing method
JP5460702B2 (ja) 2009-05-14 2014-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ビデオデータのパケット伝送方法
KR20100138806A (ko) 2009-06-23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3차원 영상 포맷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24642A (ko) *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17874B2 (en) 2009-09-22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block-request streaming using block partitioning or request controls for improved client-side handling
EP2489198A4 (en) * 2009-10-16 2013-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3D CONTENTS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
WO2011071473A1 (en) * 2009-12-09 2011-06-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 3d image from a 2d image an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a 3d image format by image difference determination
EP2510499A1 (en) 2009-12-09 2012-10-17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distinguishing a 3d image from a 2d image an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of a 3d image format by feature correspondence determination
IT1397591B1 (it) * 2009-12-21 2013-01-16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per la generazione, trasmissione e ricezione di immagini stereoscopiche e relativi dispositivi.
WO2011079376A1 (en) * 2010-01-03 2011-07-07 Sensio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mpressed stereoscopic frames in a digital video signal
EP3258688A2 (en) * 2010-02-09 2017-12-20 Koninklijke Philips N.V. 3d video format detection
US9860513B2 (en) 2010-02-19 2018-01-02 Thomson Licensing Stereo logo insertion
US20110280311A1 (en) * 2010-05-13 2011-11-17 Qualcomm Incorporated One-stream coding for asymmetric stereo video
US9596447B2 (en) 2010-07-21 2017-03-14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frame packing type information for video coding
US8806050B2 (en) 2010-08-10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anifest file updates for network streaming of coded multimedia data
GB2483637A (en) * 2010-09-10 2012-03-21 Snell Ltd Detecting stereoscopic images
EP2472879B1 (en) 2010-12-31 2013-06-05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video frame type
US8958375B2 (en) 2011-02-11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Framing for an improved radio link protocol including FEC
EP2700236A1 (en) * 2011-04-19 2014-02-26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GmbH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a stereoscopic video signal
GB2491102B (en) * 2011-05-17 2017-08-23 Snell Advanced Media Ltd Detecting stereoscopic images
FR2973980A1 (fr) * 2011-08-25 2012-10-12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u format composite utilise pour formater une sequence d'images stereoscopiques
US9253233B2 (en) 2011-08-31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witch signaling methods providing improved switching between representations for adaptive HTTP streaming
US10313663B2 (en) * 2012-04-12 2019-06-04 Sony Corporation 3D viewing with better performance in both lumen per watt and brightness
TWI521940B (zh) * 2012-06-14 2016-02-1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用於立體及自動立體顯示器之深度圖傳遞格式
TWI558166B (zh) * 2013-04-04 2016-11-11 杜比國際公司 用於多視點裸視立體顯示器的深度地圖遞送格式
CN107046637A (zh) * 2017-01-05 2017-08-15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针对三维图像的非对称拼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291A (ja) * 1983-06-24 1985-0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映像再生装置
JPS6135368A (ja) * 1984-07-28 1986-02-19 Rohm Co Ltd 周波数判別装置
JPS6447196A (en) * 1987-08-17 1989-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JPH0193993A (ja) * 1987-10-05 1989-04-12 Sharp Corp 立体双方向多機能変換装置
JPH03295393A (ja) * 1990-04-13 1991-12-26 Hitachi Ltd 立体画像自動判別装置
JP3428132B2 (ja) * 1994-03-14 2003-07-22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方式及び表示装置
JPH07298310A (ja) * 1994-04-26 1995-11-10 Canon Inc 立体視用表示装置
JP3096612B2 (ja) * 1995-05-29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時分割方式立体映像信号検出方法、時分割方式立体映像信号検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装置
JPH0927968A (ja) * 1995-07-12 1997-01-28 Hitachi Denshi Ltd 立体画像信号伝送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4271B2 (en) 2004-07-15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forming multidimensional video format
KR101306671B1 (ko) * 2011-05-06 2013-09-1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4672A1 (en) 2000-08-02
WO1998039927A1 (en) 199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982A (ko) 디지탈 방송 수신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6618437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0809399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downwards compatible video signals with increased vertical resolution
EP0123174B1 (en) Television system
EP0860992B1 (en) Television receiver with a scan converter and corresponding method
JPS6231287A (ja) 順次走査表示装置
KR100319355B1 (ko) 디지탈 방송 시스템
US6037990A (en) Video signal processor for generating a progressive scanning format signal
KR100614788B1 (ko) 영상 신호 재생 장치
JPH1025752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H1025752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266954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10885B2 (ja) Tv受信機
JP3573166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システム
JPH079544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式
JPH11177935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2002094949A (ja) 映像情報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00418961B1 (ko) 입체 영상 기록, 재생 그리고 송, 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H1026226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JPH0750855A (ja) 画像伝送装置
JPH1023466A (ja) 立体放送システムおよび立体放送方法
JP2001223983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JPS6159984A (ja) 音声画像伝送装置
JPS58194482A (ja) 文字放送受信装置
JPH02302188A (ja) 標準/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718

Effective date: 200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