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704A -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704A
KR20000060704A KR1019990009247A KR19990009247A KR20000060704A KR 20000060704 A KR20000060704 A KR 20000060704A KR 1019990009247 A KR1019990009247 A KR 1019990009247A KR 19990009247 A KR19990009247 A KR 19990009247A KR 20000060704 A KR20000060704 A KR 2000006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bile terminal
backlight
flip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862B1 (ko
Inventor
송병섭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0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862B1/ko
Priority to US09/528,437 priority patent/US6373397B1/en
Publication of KR2000006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통신 기기에 있어서, 특히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용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라 약칭함) 및 키패드용 LED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한 LED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백라이트용 LED와 다수의 키패드용 LED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백라이트용 LED를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로부터 상기 키패드용 LED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용 LED가 하나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용 LED가 상기 제어신호와 독립적인 또다른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됨으로써, 단말기의 실질적인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 단말기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tting Diod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용 LED 및 키패드용 LED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한 LED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다기능화를 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통신을 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통신 지원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밖에도 부가적인 여러 기능 및 비밀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 기능들은 사용자가 키패드(keypad)를 조작하여 선택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여러 단말기 기능을 사용할 때는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LED가 온(on)되어 어두운 곳에서의 단말기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단말기에 사용되는 LED는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가 있으며, 단말기에는 백라이트용 및 키패드용으로 다수 개의 LED가 각각 내장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현재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플립형과 폴더형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 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는 이 중에서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LED 제어는 CPU의 제어신호에 의한다.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는 플립을 열지 않고도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 기능키를 가진다.
먼저 CPU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외부 기능키가 온(on) 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1).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는가 여부로 알 수 있으며, 이 때 CPU는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면 백라이트용 LED를 온(on) 시키고 동시에 키패드용 LED도 온(on) 시킨다(S3).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지 않으면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는 오프(off)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4).
또한 CPU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플립이 온(on) 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2).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플립을 여는가의 여부로 알 수 있으며, 이 때 CPU는 사용자가 플립을 열면 백라이트용 LED를 온(on) 시키고 동시에 키패드용 LED도 온(on) 시킨다(S3).
그러나, 사용자가 플립을 열지 않으면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는 오프(off)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4).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는 CPU로부터 하나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를 받게 된다.
따라서, 플립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사용할 때에도 키패드용 LED가 온(on)된다.
이는 외부 기능키만을 사용하는데도 키패드용 LED가 온(on)되므로, 전류 소비가 그 만큼 많아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류 소모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실질적인 대기 시간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방법의 특징은,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용 LED가 하나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용 LED가 상기 제어신호와 독립적인 또다른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용 LED는 상기 백라이트용 LED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신호와, 이와 별도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플립의 온오프(on/off)에 따른 상태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의 특징은, 다수의 백라이트용 LED와 다수의 키패드용 LED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백라이트용 LED를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로부터 상기 키패드용 LED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논리곱 게이트가 상기 백라이트용 제어신호가 하이(High)이고, 상기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가 하이(High)일 때 상기 키패드용 LED를 온(o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CPU) 200 : 논리곱 게이트(AND Gate)
300 : 키패드용 LED 어레이 400 :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 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는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LED 제어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LED 제어는 CPU의 제어신호에 의한다.
먼저 CPU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외부 기능키가 온(on) 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10).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는가 여부로 알 수 있으며, 이 때 CPU는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면 백라이트용 LED를 온(on) 시킨다(S11).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르지 않으면 백라이트용 LED 오프(off)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12).
또한 CPU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플립이 온(on) 되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20).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플립을 여는가의 여부로 알 수 있으며, 이 때 CPU는 사용자가 플립을 열면 키패드용 LED도 온(on) 시킨다(S21).
그러나, 사용자가 플립을 열지 않으면 키패드용 LED는 오프(off)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S22).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는 CPU로부터 각각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 된다.
따라서, 플립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사용한다면 키패드용 LED는 오프(off)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는 외부 기능키만을 사용하는데도 키패드용 LED가 온(on)되는 종래와 다르게 키패드용 LED는 자신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를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용 LED 제어 방법은 제어핀(Control pin)을 사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두 개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한 이동 단말기용 LED 제어 방법을 뒤받침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LED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립의 온오프(on/off) 스위치를 이용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일단 이동 단말기에는 다수의 백라이트용 LED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Array)(400)와, 다수의 키패드용 LED를 포함하는 키패드용 LED 어레이(3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는 이들 LED 어레이(300,400)를 제어하는 제어부(CPU)(100)가 있으며, 이 제어부(CPU)(100)에서는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400)의 온오프(on/off)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BACKLIGHT_EN)가 출력된다.
이 제어신호(BACKLIGHT_EN)는 키패드용 LED 어레이(300)의 온오프(on/off) 제어에도 관계하지만 이는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에 따른 제어부(CPU)(100)의 제어신호(FLIP)에 의해 제약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논리곱 게이트(AND Gate)(2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이동 단말기용 LED 제어 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해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외부 기능키를 누른다고 가정하자.
이 때 제어부(CPU)(100)는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400)를 온(on)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BACKLIGHT_EN)가 하이(High)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400)가 온(on)되고, 동시에 논리곱 게이트(200)의 한 단자의 입력이 하이(High)가 된다.
그러나, 논리곱 게이트(200)는 또다른 단자 입력인 제어신호(FLIP)가 하이(High)가 되야지만 키패드용 LED 어레이(300)를 온(on)시킬 수 있다.
여기서, "FLIP" 제어신호는 이동 단말기 플립의 온(on) 될 때 하이(High)가 된다.
결과적으로, 백라이트용 LED 어레이(400)는 종래와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키패드용 LED 어레이(300)는 플립 온오프(on/off)에 따른 제어부(CPU)(100)의 독립적인 제어를 받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백라이트용 LED와 키패드용 LED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외부 기능키만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사용할 때 소비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실질적인 대기 시간이 증가되어, 단말기 사용시간이 증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백라이트용 LED와 다수의 키패드용 LED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백라이트용 LED를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백라이트용 제어신호 및 상기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로부터 상기 키패드용 LED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곱 게이트는 상기 백라이트용 제어신호가 하이(High)이고, 상기 플립의 온오프(on/off) 상태신호가 하이(High)일 때 상기 키패드용 LED를 온(on)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장치.
  3. 이동 단말기의 백라이트용 LED가 하나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용 LED가 상기 제어신호와 독립적인 또다른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용 LED는 상기 백라이트용 LED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신호와, 이와 별도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플립의 온오프(on/off)에 따른 상태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LED의 제어 방법.
KR1019990009247A 1999-03-18 1999-03-18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0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47A KR100301862B1 (ko) 1999-03-18 1999-03-18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US09/528,437 US6373397B1 (en) 1999-03-18 2000-03-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 light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47A KR100301862B1 (ko) 1999-03-18 1999-03-18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04A true KR20000060704A (ko) 2000-10-16
KR100301862B1 KR100301862B1 (ko) 2001-09-26

Family

ID=1957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247A KR100301862B1 (ko) 1999-03-18 1999-03-18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73397B1 (ko)
KR (1) KR1003018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40A (ko) * 2000-06-16 2001-12-28 박원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 라이트 구동 방법
KR100346215B1 (ko) * 1999-09-27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62560B1 (ko) * 2000-08-19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KR100819261B1 (ko) * 2001-10-16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9855B2 (en) 1990-03-23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JP3508648B2 (ja) * 1999-10-12 2004-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4024444B2 (ja) * 1999-12-27 2007-12-19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JP2003050569A (ja) * 2000-11-30 2003-02-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7054440B2 (en) * 2001-05-23 2006-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keypad represen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320375A (ja) * 2003-04-15 2004-11-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子機器
US7221964B2 (en) 2004-02-27 2007-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LCD backlight duration proportional to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LCD display screen
US20060183516A1 (en) * 2005-02-16 2006-08-17 Ham Byung I Light therapy element incorpor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201266966Y (zh) * 2008-10-17 2009-07-01 陈国平 带液晶显示器的电话机
JP2010171617A (ja) * 2009-01-21 2010-08-05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の照度検出方法、折り畳み式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578214B1 (ko) * 2009-08-04 2015-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02143607A (zh) * 2010-02-03 2011-08-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讯装置数据管控系统及方法
CN105913808A (zh) * 2016-05-19 2016-08-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控制架构及盖窗显示设备
TWI825847B (zh) * 2022-07-14 2023-12-11 宏碁股份有限公司 支援防窺功能的顯示系統及顯示器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759A (en) * 1989-11-20 1992-12-29 Metroka Michael P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JP2833964B2 (ja) * 1993-06-28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携帯電話機
JP2690685B2 (ja) * 1994-04-18 1997-12-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携帯無線機
KR0144390B1 (ko) * 1995-08-16 1998-08-01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키를 이용한 다기능 구현방법
JP3208294B2 (ja) * 1995-08-29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
US5918188A (en) * 1996-09-30 1999-06-29 Ericsson Inc. Flip on/off detec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15B1 (ko) * 1999-09-27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113140A (ko) * 2000-06-16 2001-12-28 박원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백 라이트 구동 방법
KR100362560B1 (ko) * 2000-08-19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KR100819261B1 (ko) * 2001-10-16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백라이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862B1 (ko) 2001-09-26
US6373397B1 (en)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862B1 (ko) 이동 단말기용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62937B1 (ko) 백라이트가 마련된 정보 단말 기기
KR100362560B1 (ko) 이동 전화기의 백라이트부 구동 제어방법
US5363223A (en) Illumination of displays with control which switches illuminator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splay
KR1005951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백라이트 전원제어장치
JP2002094656A (ja) 無線通信端末
KR1004035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장치
KR100250963B1 (ko) 이중구조안테나를갖는휴대폰동작제어장치
KR2001001752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입력 제어장치
KR200200782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방법
JP3043253B2 (ja) 電話機
KR200243487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장치
KR20050038885A (ko)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56646A (ko) 컬러 lcd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절전 장치 및 방법
KR20010044004A (ko) 핸즈프리 킷과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제어 장치
KR20020078388A (ko) 이동통신단말기 밧데리의 사용시간 연장장치
KR20000061851A (ko) Cdma 이동무선전화기의 lcd 백라이트 밝기 조절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6919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상태인식 방법
KR200300452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0368424B1 (ko)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컬러 엘시디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방법
JPH07751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H11275202A (ja) 電子機器
KR20000038445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무선전화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40031300A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온/오프 장치
KR920022793A (ko) 전화기의 전원공급 중단시 메모리 프로그램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