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405A -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 Google Patents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405A
KR20000059405A KR1019990006970A KR19990006970A KR20000059405A KR 20000059405 A KR20000059405 A KR 20000059405A KR 1019990006970 A KR1019990006970 A KR 1019990006970A KR 19990006970 A KR19990006970 A KR 19990006970A KR 20000059405 A KR20000059405 A KR 2000005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peaker
hook
us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빌
Original Assignee
빌 양
코트론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 양, 코트론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빌 양
Priority to KR101999000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405A/en
Publication of KR2000005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40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절가능한 이어폰은 후크, 스피커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구비한다. 상기 후크는 사용자의 귀에 이어폰이 편안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는 아웃트리거에 의해서 후크에 연결된 스피커 챔버 내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외부 음향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붐에 의해서 후크에 연결된 마이크로폰 챔버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 챔버는 상기 사용자의 입 근처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 신호-선은 상기 스피커 챔버로부터 연장되어 후크를 통과하여 오디오 신호 매니저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폰 신호-선은 마이크로폰 챔버로부터 붐을 통과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 매니저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n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has a hook, a speaker and a microphone. The hook serves to comfortably fit the earphone into the user's ear. The speaker is mounted in a speaker chamber connected to the hook by an outrigger and firmly fixed to the user's external sound tube. The microphone is mounted in a microphone chamber connected to the hook by a boom. The microphone chamber may be fixed near the mouth of the user. A speaker signal-line extends from the speaker chamber and passes through a hook to deliver a signal to the audio signal manager. The microphone signal-line passes the signal from the microphone chamber through the boom to the audio signal manager.

Description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Adjustable earphone with microphone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ph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able earphones having a microphone.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동시에 다른 행동을 하면서도 라디오, 테이프 그리고 컴팩트 디스크(CD)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용 오디오 시스템(personal audio system)을 즐긴다. 상기 개인용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의 귀에 끼우는 이어폰(earphone)을 포함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않고도 개인용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서 재생되는 사운드(sound)를 오직 혼자만이 들을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은 상기 사운드가 공기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에 비해서 휠씬 분명하게 사용자에게 들리므로 더 좋은 전송을 제공한다. 덧붙여, 이어폰을 통한 사운드는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운동하거나 혹은 잡음이 심한 환경에 있는 경우라도 방해받지 않는다. 이어폰의 이런 타입(type)은 가령 교육, 전화 혹은 라디오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같은 통신 시스템에도 역시 사용된다. 상기 이어폰이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대개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 근처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서 사용자는 손을 자유롭게 한 상태에서 통신할 수 있다.People enjoy a personal audio system because they can listen to radio, tape, and compact discs (CDs) while doing other actions at the same time without harming others. The personal audio system includes an earphone fitted to a user's ear. Thus, the user can only hear the sound played by the personal audio system without harming others. The earphone provides a better transmission since the sound is much more clearly heard by the user than the sound is transmitted by air. In addition, the sound through the earphones is not disturbed even if the user is moving, exercising or in a noisy environment. This type of earphone is also used in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education, telephone o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When the earphone is used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earphone is usually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extends to a position near the user's mouth. This system allows users to communicate with their hands free.

도 1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종래의 이어폰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이어폰은 대개 스피커(speaker)(10)와 마이크로폰(12)을 구비한다. 상기 스피커(10)는 충분히 작아서 상기 사용자의 외부 음향관(exterior acoustic meatus)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2)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의 입 근처 위치 예를 들어 칼라(collar)위에 마이크로폰(1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립(14)를 구비한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earphone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e earphone usually has a speaker 10 and a microphone 12. The speaker 10 may be small enough to be secured to the exterior acoustic meatus of the user. The microphone 12 has a clip 14 for allowing the user to fix the microphone 12 on a position near the user's mouth, for example on a collar.

하지만 상기 이어폰을 끼고 있는 상기 사용자의 편의(convenience)와 안락(comfort)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 이어폰의 스피커는 자주 귀에서 떨어져서 불편하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어떤 것에 부착되어 있어야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로폰이 부착될 만한 장소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래서 상기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방해받고 잡음(noises)이 발생한다.However,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the user wearing the earphones is very important. Speakers of conventional earphones are often inconvenient to fall from the ear. And although the microphone should be attached to something,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find a place to attach the microphone. Thus, the microphone may be attach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outh of the user. Thus, the communication system is disturbed and noises are generated.

상기 사용자에 안전하게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운동하는 중에도 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은 U.S. patent No. 5412736 에 개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폰을 갖는 상기 이어폰은 U.S. patent No. 5412736 에 기초를 둔 대만출원 No. 8711148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은 마이크로폰과 접속된 신호-선(signal wire)과 스피커와 접속된 신호-선(signal wire)이 이어폰의 후크(hook)에 하나의 슬롯(slot)을 통해서 패스되고 있다. 상기 슬롯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신호-선들의 하나는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신호-선은 붐(boom)을 통해서 마이크로폰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제조 및 조립이 힘들고,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도 힘들다. 덧붙여, 만약 사용자가 한쪽의 귀 위에 끼워져 있는 이어폰이 오래되어서 피곤함을 느끼고, 한 쪽의 귀에서 다른 쪽의 귀로 즉 오른쪽 귀에서 왼쪽 귀로 옮기려고 하는 경우에 많은 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이어폰을 벗는 단계, 스피커 챔버를 터닝(turning)하는 단계, 마이크로폰을 지지하는 붐을 터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피커 챔버를 조절하는 단계를 통해서 상기 스피커 챔버가 외부 음향관(exterior acoustic meatus)에 부가시킬 수 있다.It can be securely fitted to the user and fixed to the ear while the user is exercising. patent No. 5412736. The earphone with a microphone is U.S. patent No. Taiwan application No. based on 5412736 Disclosed in 87111485. In the earphone, a signal wire connected to a microphone and a signal wire connected to a speaker are passed through a slot to a hook of the earphone. After passing through the slot, one of the signal lines is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other signal line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via a boom. This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assemble, and hard to use earphones. In addition, if the user feels tired because the earphones that are fitted on one ear are old and need to move from one ear to the other ear, that is, from right ear to left ear, many steps are required. These steps are as follows. The speaker chamber can be added to an exterior acoustic meatus by removing the earphones, turning the speaker chamber, turning the boom supporting the microphone, and adjusting the speaker chamber. hav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귀에 편안하고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고, 한쪽 귀에서 다른 쪽 귀로의 부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earphone having a new type of microphone that can be comfortably and firmly fitted to the user's ear, and easy to attach from one ear to the other ear have.

도 1은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종래의 이어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earphone with a microphon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어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n earphone with a micro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어폰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with the microphone shown in FIG. 2;

도 4는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를 끼고 있는 경우의 측면도 및;4 is a side view when the user is wearing an earphone device equipped with a microphone;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이어폰을 끼고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머리의 후면에서 본 개략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view from the back of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is wearing the earphone with a micro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후크 22 : 하우징20: hook 22: housing

23 : 터널 30 : 아웃트리거23: tunnel 30: outrigger

40 : 챔버 42 : 스피커40: chamber 42: speaker

50 : 삼각 보어 하우징 52 : 붐50: triangular bore housing 52: boom

62 : 신호-선 63 : 루프62 signal-line 63 loop

80 : 오디오 신호 매니저80: audio signal manag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이 있는 이어폰은 후크, 스피커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구비한다. 상기 스피커는 스피커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로 챔버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스피커 챔버와 상기 마이크로 챔버는 각각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보호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는 스피커 엔드와 상기 마이크로폰과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엔드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이 상기 사용자의 귀에 끼워져 있으면, 상기 후크가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를 따라서 확장된다. 상기 후크의 상기 스피커 엔드는 상기 귓바퀴의 상면의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후크의 상기 마이크로폰 엔드는 상기 사용자의 귓볼의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 이어폰의 상기 스피커는 아웃트리거(outrigger)에 의해서 상기 후크의 상기 스피커 엔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붐(boom)에 의해서 상기 후크와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스피커의 신호-선은 상기 아웃트리거를 통해서 상기 후크의 스피커 엔드와 상기 후크 내의 슬롯을 통과하여 오디오 신호 매니저(audio signal manager)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선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붐을 통과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 매니저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선과 상기 스피커 신호-선 모두는 본 발명에 의해서 견고하게 보호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의 제조는 종래에 비해서 휠씬 용이해진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arphone with a microphone is provided with a hook, a speaker and a microphone. The speaker is located in a speaker chamber and the microphone is located inside the micro chamber. The speaker chamber and the microchamber protect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respectively. The hook includes a speaker end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a microphone end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f the earphone is fitted to the user's ear, the hook extends along the user's ear. The speaker end of the hook is located near the top surface of the earlobe, and the microphone end of the hook is located near the earlobe of the user. The speaker of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speaker end of the hook by an outrigger. The microphone is then connected to the hook by a boom. The signal-line of the speaker extending from the speaker is connected to an audio signal manager through the outrigger through the speaker end of the hook and the slot in the hook. The microphone signal-line extends from the microphone and passes through the boom to connect with the audio signal manager. Both the microphone signal line and the speaker signal line are firmly prot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of the earphone is much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for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어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어폰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with a micro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with the microphone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후크(20)는 사용자의 귀를 따라서 연장되어 둘러싸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편안하고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후크(20)의 일단(24)은 하우징(22)에 연결된다. 아웃트리거(outrigger)(30)는 상기 하우징(22)을 통과하여 스피커 챔버(40)에 연결된다. 스피커(42)는 상기 스피커 챔버(40)의 내에 위치한다.2 to 3, the hook 20 is a device that can be comfortably and firmly fitted to the user's ear because it extends and surrounds the user's ear. One end 24 of the hook 2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22. An outrigger 30 passes through the housing 22 and is connected to the speaker chamber 40. The speaker 42 is located in the speaker chamber 40.

사용자는 화살표 방향(I)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22)의 상기 터널(23) 내로 상기 아웃트리거(30)를 위쪽으로 혹은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또한 화살표 방향(Ⅱ)을 따라서 상기 하우징(22)의 상기 터널(23) 내의 상기 아웃트리거(30)를 돌릴 수도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30)로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지만, 상기 아웃트리거(30)는 마찰력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될 것이다. 상기 스피커 챔버(40)의 방향과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피커 챔버(40)는 상기 사용자의 외부 음향관에 편안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30)의 양단에는 팽창부들(bulges)(33)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팽창부들(33)은 상기 아웃트리거(30)의 두 단(two ends)에 있다. 상기 팽창부들(33)은 상기 아웃트리거(30)가 상기 하우징(22)으로부터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user is able to move the outrigger 30 upward or downward into the tunnel 23 of the housing 22 along the arrow direction I. The user may also turn the outrigger 30 in the tunnel 23 of the housing 22 along arrow direction II. The force applied to the outrigger 30 is lost, but the outrigger 30 will be firmly fixed because of the frictional force. Since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speaker chamber 40 may be adjusted by a user, the speaker chamber 40 may be comfortably fixed to an external sound tube of the user. Both ends of the outrigger 30 are provided with inflated portions 33. That is, the inflation portions 33 are at two ends of the outrigger 30. The expansion portions 33 prevent the outrigger 30 from slipping away from the housing 22.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어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아웃트리거(30)와 붐(52)은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tube)들이다. 상기 후크(20)도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통로를 구비한다. 신호-선(signal-wire)(62)은 스피커(42)로부터 상기 아웃트리거(30)의 보어(bore)(31)까지 연장된다. 상기 신호-선(62)이 상기 아웃트리거(30)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신호-선(62)은 상기 후크(20)로 삽입되기 전에 루프(loop)(63)를 형성한다. 상기 신호-선(62)은 상기 후크(20)를 통과한 후에 상기 후크(20)의 일단(26)까지 연장되고 상기 신호-선(62)은 삼각 보어 하우징(tri-bore housing)(50)을 통과한다. 상기 루프(63)는 상기 신호-선(62)에서 느슨하고 장력(tensile)이 부족한 부분이다. 상기 루프(63)는 상기 하우징(22) 내에서 더 용이하게 상기 아웃트리거(30)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선(62)은 상기 후크(20)의 단(26)으로부터 연장된 후에 상기 삼각 보어 하우징(50)의 보어(48)속을 통과한다. 상기 신호-선(64)은 마이크로폰(5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붐(52)의 보어들(53)을 통과한다. 상기 신호-선(64)은 상기 삼각 보어 하우징(50)의 보어(49)를 통과하여 보어(47)로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신호-선(64)은 오디오 신호 매니저와 접속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신호-선(62)와 신호-선(64)은 하나의 선(60)으로 일반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선(60)은 상기 삼각 보어 하우징(50)의 보어(47)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오디오 신호 매니저(80)의 커플링(coupling)의 끝 포인트(end point)와 연결된다. 상기 오디오 신호 매니저(80)는 예를 들어 자동차 폰, 무선 멀티 미디어 혹은 라디오 인터콤(radio intercom)같은 통신 수단(communication means)이 될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with the microphon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outrigger 30 and the boom 52 are hollow tubes. The hook 20 also has an empty passageway therein. A signal-wire 62 extends from the speaker 42 to the bore 31 of the outrigger 30. After the signal-line 62 passes through the outrigger 30, the signal-line 62 forms a loop 63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hook 20. The signal-line 62 extends to one end 26 of the hook 20 after passing through the hook 20 and the signal-line 62 is a tri-bore housing 50. Pass through. The loop 63 is a loose and lacking tension in the signal-line 62. The loop 63 serves to move the outrigger 30 more easily within the housing 22. The signal-line 62 extends through the bore 48 of the triangular bore housing 50 after extending from the end 26 of the hook 20. The signal-line 64 extends from the microphone 56 and passes through the bores 53 of the boom 52. The signal-line 64 extends through the bore 49 of the triangular bore housing 50 and into the bore 47. Finally, the signal-line 64 connects with an audio signal manager. 3 and 4, signal-line 62 and signal-line 64 are generally combined into one line 60. The line 60 extends from the bore 47 of the triangular bore housing 50 and connects with the end point of the coupling of the audio signal manager 80. The audio signal manager 80 may be, for exampl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car phone, wireless multimedia or radio intercom.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붐(52)의 일단(one end)은 상기 삼각-보어 하우징(50)과 연결되고 상기 붐(52)의 다른 단은 마이크로폰(54)과 연결된다. 상기 붐(52)은 마이크로폰 신호-선(64)을 커버하고 홀딩(holding)하는 것에 사용되는 정교하고 방수처리된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이다. 덧붙여,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붐(52)이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굽혀질 수 있고, 굽혀진 후에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연성(high ductility)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 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폰을 끼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마이크로폰 챔버(5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2 and 3, one end of the boom 52 is connected with the triangular bore housing 50 and the other end of the boom 52 is connected with a microphone 54. The boom 52 is an elaborate, waterproof interior hollow tube used to cover and hold the microphone signal-line 64. In addition, the microphon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ductility since the boom 52 can be easily bent by the user and be able to maintain its shape after being bent.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chamber 54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mouth when wearing the earphone having the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두 개의 이어폰이 유사하게 사용된다면, 신호-선(60)은 Y-타입 커넥터(connector)속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매니저로부터의 신호가 양쪽의 이어폰으로 전송될 수 있게 한다. 필요하다면, 볼륨 조절기(volume controller)와 스위치(switch)가 상기 신호-선(60)에 설치해서 사용자가 온/오프 상태를 조절하거나 볼륨을 쉽게 조절하도록 한다.If two earphones are similarly used, signal-line 60 is inserted into a Y-type connector so that signals from the audio signal manager can be transmitted to both earphones. If necessary, a volume controller and a switch are installed in the signal line 60 to allow the user to adjust the on / off state or easily adjust the volume.

도 4는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를 끼고 있는 경우의 측면도 및 도 5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이어폰을 끼고 있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머리의 후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20)는 귓볼(86) 근처의 위치로부터 귓바퀴(88)의 상면 근처의 위치로 연장된다. 상기 후크(20)는 귀의 형상에 따라서 디자인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귀에 이어폰을 끼우는 것이 편안하다. 상기 후크(20)의 일단(26)은 상기 귓볼(86) 근처의 귀의 후측(rear side)에 위치하고 상기 후크(20)의 타단(24)은 상기 귓바퀴(88)의 상측에 하우징(22)과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후크(20)는 귀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을 낀 후에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 챔버(40)와 후크(20)와 연결된 상기 아웃트리거(30)를 조절해서 상기 스피커 챔버가 더욱 편안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후크(20)와 상기 아웃트리거(30)는 사용자가 격렬한 육체적 행동 중일 경우라도 상기 외부 음향관의 상기 스피커(42)와 상기 스피커 챔버(40)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준다.4 is a side view when the user is wearing an earphone device with a microphone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is wearing an earphone with a micro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the hook 20 extends from a position near the earlobe 86 to a position near the top surface of the earlobe 88. The hook 20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ar. Therefore, it is comfortable for the user to put earphones in the user's ears. One end 26 of the hook 20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ear near the ear ball 86, and the other end 24 of the hook 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r wheel 88 with the housing 22. Connected. Thus, the hook 20 does not fall easily from the ear. In addition, after wearing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djusts the outrigger 30 connected to the speaker chamber 40 and the hook 20 to adjust the speaker chamber to a more comfortable position. It is possible. The hook 20 and the outrigger 30 allow the speaker 42 and the speaker chamber 40 of the external sound tube to remain in position even when the user is in violent physical action.

일반적으로, 고성능의 스피커는 항상 금속 버퍼 캡(metal buffer cap)을 구비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격렬한 육체 행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땀과 습도는 여전히 이어폰을 부식시킨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피커는 상기 금속 버퍼 캡을 커버(cover)한 방수 재질을 가진다. 상기 방수 재질은 레이텍스로 만들어 진다. 상기 방수 재질은 상기 금속 버퍼 캡과 스케일 증명 메쉬(scale proof mesh) 사이에 삽입되고 탄성의 실(seal)에 의해서 봉합된다.In general, high performance speakers always have a metal buffer cap. However, if the user is in violent physical behavior, sweat and humidity still corrode the earphon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proof material covering the metal buffer cap. The waterproof material is made of latex. The waterproof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metal buffer cap and the scale proof mesh and sealed by an elastic seal.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손들이 자유롭기를 요구하고 작업 중에는 주위 환경에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폰은 매우 중요하다. 가끔 사람들은 오랜 시간동안 같은 귀에 이어폰을 끼고 있어서 피곤함을 느낄지도 모르며 한쪽 귀에서 다른쪽 귀로 이어폰을 옮기기를 시도한다. 그럴 경우에, 사용자는 이어폰을 벗어서 스피커 챔버(40)를 180도 회전한 후에 다른 쪽 귀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격렬한 육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은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아웃트리거(30)가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그래서 상기 스피커 챔버(40)는 회전하거나 이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는 격렬하게 행동을 하는 중에도 여전히 편안함을 느낀다.Some people demand that their hands be free and focus on their surroundings while working. Therefore, the earphone with the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important. Sometimes people may feel tired because they wear earphones in the same ear for a long time and try to move them from one ear to the other. In such a case, the user can take the earphone off and insert the speaker chamber 40 into the other ear after rotating the speaker chamber 40 by 180 degrees. When the user makes a vigorous physical movement, the housing prevents the outrigger 30 from rotating or moving by the frictional force. Thus, the speaker chamber 40 does not rotate or move. As a result, the user is still comfortable while acting violently.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상술한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은 다음의 클레임 및 그와 동등한 것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사용자의 귀에 맞게 디자인된 후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편안하고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고, 조절가능한 붐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에 맞게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한쪽 귀에서 다른 쪽 귀로 이어폰을 옮기려는 경우에 이어폰을 벗어서 스피커 챔버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다른 쪽 귀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is designed to fit the user's ear, the earphone can be comfortably and firmly fitted to the user's ear and the microphone is adjusted to the user's mouth because the adjustable boom is used. Can be. In addition, when moving the earphone from one ear to the other ea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arphone and insert it into the other ear simply by rotating the speaker chamber 180 degrees.

Claims (7)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에 있어서,In an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상기 마이크로폰의 일단과 상기 이어폰의 일단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귀의 후면을 따라서 사용자의 귀에 마운팅되기 위한 후크와;A hook including one end of the microphone and one end of the earphone, the hook being mounted to the user's ear along the back of the user's ear; 상기 사용자 귀의 외부 음향관에 마운팅되기 위한 스피커와;A speaker for mounting to an external sound tube of the user's ear; 마이크로폰과;A microphone; 상기 스피커가 상기 후크의 스피커 엔드(speaker end)와 접속하게 하는 아웃트리거와;An outrigger for allowing the speaker to connect with a speaker end of the hook;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후크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엔드와 접속하게 하는 붐과;A boom for allowing the microphone to connect with an end of the microphone of the hook;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스피커 신호-선 및;A speaker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speaker; 상기 마이크로폰과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신호-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And a microphone signal line, wherein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 신호-선은 상기 후크, 상기 후크의 스피커 엔드 그리고 상기 아웃트리거를 통과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선은 붐(boom)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The speaker signal-line passes through the hook, the speaker end of the hook and the outrigger, and the microphone signal-line passes through a boo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은 상기 후크의 마이크로폰의 엔드와 상기 붐의 사이에 설치되는 삼각-보어 하우징(tri-bore housing)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피커 신호-선이 상기 삼각-보어 하우징의 스피커-연결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선이 상기 삼각-보어 하우징의 마이크로폰-연결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스피커 신호-선과 상기 마이크로 신호-선 모두가 상기 삼각-보어 하우징의 메인 보어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The adjustable earphone with the microphone further comprises a tri-bore housing installed between the end of the microphone of the hook and the boom, wherein the speaker signal-line is a speaker of the tribore housing. -Pass through a connecting bore, wherein the microphone signal-line passes through a microphone-connected bore of the triangular-bore housing, and both the speaker signal line and the micro signal-line extend from the main bore of the triangular-bore housing; Adjustable earphone having a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아웃트리거가 설치되고 홀딩되어 상기 아웃트리거가 사용자의 외부 음향관에 스피커 챔버를 조절하고 상기 스피커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The hook further includes a housing such that an outrigger is installed and hel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outrigger can be moved or rotated within the housing to adjust the speaker chamber to the user's external sound tube and to maintain the speaker. Adjustable earphone having a micro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아웃트리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팽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And the outrigger further comprises an inflation portion to prevent the outrigger from sliding away from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폰을 각각 커버하기 위한 스피커 챔버와 마이크로폰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The adjustable earphone with microphone further comprises a speaker chamber and a microphone chamber for respectively cover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붐은 속이 비어있는 튜브이고, 고연성(high ductility)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을 갖는 조정가능한 이어폰.Said boom is a hollow tube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ductility.
KR1019990006970A 1999-03-03 1999-03-03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KR200000594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70A KR20000059405A (en) 1999-03-03 1999-03-03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70A KR20000059405A (en) 1999-03-03 1999-03-03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405A true KR20000059405A (en) 2000-10-05

Family

ID=5478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970A KR20000059405A (en) 1999-03-03 1999-03-03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405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684A (en) * 1994-11-29 1996-06-21 Shigesato Nakamura Call device for telephone
JPH0965474A (en) * 1995-08-22 1997-03-07 Keririki Shahn Earphone
US5761298A (en) * 1996-05-31 1998-06-02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with universally adaptable receiver and voice transmitter
JPH10243492A (en) * 1997-02-21 1998-09-11 Life Sci Shiya:Kk Earphone
JPH10313494A (en) * 1997-05-09 1998-11-24 Life Sci Shiya:Kk Earphone
KR19980068861U (en) * 1998-09-18 1998-12-05 김성호 Earphone Set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684A (en) * 1994-11-29 1996-06-21 Shigesato Nakamura Call device for telephone
JPH0965474A (en) * 1995-08-22 1997-03-07 Keririki Shahn Earphone
US5761298A (en) * 1996-05-31 1998-06-02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with universally adaptable receiver and voice transmitter
JPH10243492A (en) * 1997-02-21 1998-09-11 Life Sci Shiya:Kk Earphone
JPH10313494A (en) * 1997-05-09 1998-11-24 Life Sci Shiya:Kk Earphone
KR19980068861U (en) * 1998-09-18 1998-12-05 김성호 Earphone Set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7827A (en)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US8180090B2 (en) Headset with exchangeable speaker
US20020012441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JP4192347B2 (en) Microphone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JP3556151B2 (en) Transmitter / receiver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US10791390B2 (en)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WO2005051036A3 (en)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JPH11168786A (en) Earphone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2049606A (en) Ear speaker
JPH11215581A (en) Bone-conducting headset
JP2000316198A (en) Headphone
WO2015057750A1 (en) Headset with ball joint allowing rotation of earpieces in multiple axes
CA2262371C (en)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KR20000059405A (en) Adjustable earphone with a microphone
KR102624445B1 (en) Headset attachment unit and headset including same
JPH11229226A (en) Helmet with speaker
KR100250543B1 (en) Earphone with hanger
CN217546265U (en) Earphone set
KR102583552B1 (en) Earphone device
JP2593211Y2 (en) Earphone with microphone
WO1999017586A1 (en) Headset apparatus
KR20070112342A (en) Headphones with cell phone and MP3 functionality
JP2002204489A (en) Earphone microphone
JP2000050375A (en) Ear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