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342A -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342A
KR20000049342A KR1019990051595A KR19990051595A KR20000049342A KR 20000049342 A KR20000049342 A KR 20000049342A KR 1019990051595 A KR1019990051595 A KR 1019990051595A KR 19990051595 A KR19990051595 A KR 19990051595A KR 20000049342 A KR20000049342 A KR 2000004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tone
dial tone
called part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기
Original Assignee
이치훈
주식회사 마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훈, 주식회사 마들 filed Critical 이치훈
Priority to KR101999005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342A/ko
Publication of KR2000004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42A/ko
Priority to KR10-2000-0059322A priority patent/KR100411224B1/ko
Priority to JP2001538374A priority patent/JP2003515283A/ja
Priority to PCT/KR2000/001320 priority patent/WO2001037527A1/en
Priority to AU14215/01A priority patent/AU142150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을 한 후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톤신호를 다른 발신음으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환된 발신음을 발신측의 전화기에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Method for changing telephone ring back t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발신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신호를 여러 가지 다양한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얼톤을 교환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는 다이얼톤에 대응되는 착신측으로 호출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착신측은 상태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통해 발신음 또는 화중음을 수화기를 통해 듣고, 착신측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종래 휴대폰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누른 후, 통화버튼 또는 송신(Send)버튼을 누른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종래 휴대폰은 기지국과 무선통화로가 형성되면, 표시부로 통화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폰의 경우 무선통화로를 형성화기 위해서 통화 또는 송신버튼을 누른 후 무선통화로가 셩성되면 다이얼 톤이 송출된다. 그리고, 전화번호를 누른 후 발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링백톤 또는 비지톤이 송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화기 및 휴대폰의 경우 발신음 또는 링백톤은 모두 일률적이어서 매우 단조롭고, 또한 발신음이 가는 시간을 그냥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발신음 대신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발신음을 발신측에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다이얼링을 한 후 상기 다이얼링된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톤신호를 다른 발신음으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환된 발신음을 발신측의 전화기에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신호가 링백톤인 경우 소정의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링이 송출되고 있음을 알기기 위한 상기 발신음을 출력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발신음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발신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불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발신음을 출력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제어부 : 10 메모리 : 11
키입력부 : 12 링검출부 : 14
릴레이 : 15 통화회로부 : 16
DTM발생부 : 17 DTM수신부 : 18
송화부 : 21 수화부 : 2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제어부(10)과 메모리(11)과 키입력부(12)와 표시부(13)과 링검출부(14)와 릴레이(15)와 통화회로부(16)과 DTMF수신부(18)과 송화부(21)과 수화부(22)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키입력부(12)는 각종 기능?? 치 hem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링검출부(12)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상태에서 상기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에 착신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15)는 훅크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전화라인과 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스위칭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16)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송화부(21) 및 수화부(22)는 통화회로부(16)와 연결되며,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화기인 경우, 통화회로부(16)에 RF신호를 처리한는 무선부가 송화부(21) 및 수화부(22)와 병열로 연결된다. DTMF발생부(17)는 제어부(10)와 통화회로부(16)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16)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18)는 통화회로부(16)와 제어부(10)사이에 연결되며 통화회로부(16)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변환되 발신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변환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전송받고, DTMF방생부(17)를 통하여 상기 입력된 키데이터에 따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통화회로부(16)를 통해 상기 단계에서 다이얼링된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착신측의 상태가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0)는 통화회로부(16)를 통해 착신측으로부터 비지톤(Busy tone)이 전송되면, 상기 착신측이 통화중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착신측이 통화중인경우에는 다시 시작단계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착신측이 통화중이 아닌 경우 2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통화회로부(16)를 통해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링백톤(Ring back tone)인지를 검출한다.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링백톤으로 검출된 경우 2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1)에 저장된 발신음을 출력한다. 즉, 이러한 변환된 발신음은 외국어회화, 음악, 사용안내, 회사소개, 광고등 음성신호로 변환가능한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2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통화회로부(16)를 통해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써,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0)는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착신측이 후크오프(상기 착신측에서 링이 송출된 후 착신자가 수화기를 든경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발신측인 자신과 착신측인 상대방간의 통화로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변환된 발신음은 통화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중단될 수도있고, 변환된 발신음이 음악 등과 같은 경우에는 통화로가 형성될 경우에도 흐릿하게되면서 마치 배경음처럼 함께 들리게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는 일률적이고 단조로운 종래 전화기의 발신음 대신, 보다 효율적이고, 듣기에도 좋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발신음을 제공함으로써 통화상태를 기다리는 시간적 낭비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전화기의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톤신호를 다른 발신음으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환된 발신음을 발신측의 전화기에서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톤신호가 링백톤인 경우 소정의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링이 송출되고 있음을 알기기 위한 상기 발신음을 출력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음을 출력하는 방법.
KR1019990051595A 1999-11-19 1999-11-19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20000049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95A KR20000049342A (ko) 1999-11-19 1999-11-19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2000-0059322A KR100411224B1 (ko) 1999-11-19 2000-10-09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방법
JP2001538374A JP2003515283A (ja) 1999-11-19 2000-11-19 電話機の信号音変換を通した音源及び動映像サービス方法
PCT/KR2000/001320 WO2001037527A1 (en) 1999-11-19 2000-11-19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AU14215/01A AU1421501A (en) 1999-11-19 2000-11-19 Method of changing telephone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595A KR20000049342A (ko) 1999-11-19 1999-11-19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42A true KR20000049342A (ko) 2000-08-05

Family

ID=1962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595A KR20000049342A (ko) 1999-11-19 1999-11-19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3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691A (ko) * 2002-11-21 2004-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신자 이동 단말기의 호출음 발생 여부 인지 방법
CN112822334A (zh) * 2020-12-31 2021-05-18 咪咕音乐有限公司 视频彩铃预览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691A (ko) * 2002-11-21 2004-05-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신자 이동 단말기의 호출음 발생 여부 인지 방법
CN112822334A (zh) * 2020-12-31 2021-05-18 咪咕音乐有限公司 视频彩铃预览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JPH04180327A (ja) 電話呼出し方式
KR20020006864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을 통한 음원 및 동영상 서비스 방법
KR100327731B1 (ko)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20010088553A (ko) 휴대폰의 착신음 발생시 무음으로 전환
JP3827878B2 (ja) 携帯電話機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JP3448500B2 (ja) 電話機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1597A (ko) 교환기 시스템의 부재중 자동 방송 방법
KR20000049377A (ko) 전화기의 신호음 변환 방법
JP200126816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9980023371U (ko) 벨 및 수신메세지 오프/온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80026629A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에서 국선 접속 상태 표시방법
KR20000013133A (ko) 키폰 전화기의 부재중 전화 연결방법 및 그장치
JPH05110638A (ja) 電話装置
JPH1168890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