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911A -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911A
KR20000046911A KR1019980063639A KR19980063639A KR20000046911A KR 20000046911 A KR20000046911 A KR 20000046911A KR 1019980063639 A KR1019980063639 A KR 1019980063639A KR 19980063639 A KR19980063639 A KR 19980063639A KR 20000046911 A KR20000046911 A KR 2000004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ax
mail
messag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
Original Assignee
고진
바로비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 바로비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진
Priority to KR101998006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911A/ko
Priority to JP10453299A priority patent/JP3267579B2/ja
Publication of KR2000004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36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전화, 인터넷 전자 우편 송수신 기능은 물론 팩스 송수신 기능을 별도의 용지 없이 터치 스크린 방식 및 터치펜에 의한 문자 인식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터 및 프린터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 통화 및 용지가 필요 없는 팩스 송수신 기능 이외에 인터넷 e-mail 송수신 기능을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착탈식 입출력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의 직접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전 비디오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및 스캐너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의 외부 기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및 팬터치 방식에 의한 필기 문자 인식 방식에 의거하여 입출력 조작을 간편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무용지 방식의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전화, 인터넷 전자 우편 송수신 기능은 물론 팩스 송수신 기능을 별도의 용지 없이 터치 스크린 방식 및 터치펜에 의한 문자 인식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터 및 프린터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다기능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일반 전화 통화 외에 팩스 원고를 공중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로서, 송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가입자에게 할당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기를 통해서 접속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별도의 용지 형태의 팩스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며, 상대방 가입자는 교환기를 통해서 인가되는 링신호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착신 제어되어 인가되는 팩스 원고를 별도의 전용 용지 또는 일반 용지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공중 전화망을 이용한 팩스 원고 송수신 방법은 반드시 종이를 사용한 원고 스캔 및 전송 과정과 팩스 용지에 인쇄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기본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팩시밀리의 용지가 떨어졌을 때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점과, 원고의 스캔 및 인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팩스의 사용은 전화 요금과 같이 설정되므로, 송신할 팩스 원고가 많은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특히 팩스 원고를 장거리의 시외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나 국제 전화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는 매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점도 지적된다.
한편,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어 가면서 인터넷을 통해 다량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전자 우편(이하, "e-mail"로 약함)이 팩스 등과 더불어 데이터 통신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e-mail은 개인용 컴퓨터 및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모뎀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e-mail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며, 데이터의 종류(예를 들면, 텍스트 형태, 바이너리 형태) 및 양에 관계없이 정확한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대방과 실시간 접속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상대방과의 접속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도 임의의 시간에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 및 일반 시내 전화료를 적용하는 저렴한 인터넷망 사용료 때문에 널리 대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e-mail 송수신은 별도의 컴퓨터가 구비되어야 이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술한 팩스 송수신과 e-mail 기능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는 단지 e-mail 송수신을 위하여 컴퓨터를 구비해야하고, 아울러 팩시밀리도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게 되며, 단지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술한 별도의 두 제품을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외에도 그 사용상에 두 제품을 조작하는데 있어서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상술한 팩스 기능에 더불어 e-mail 기능을 구비하고, 특히 터치 스크린 및 터치펜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용지 없이 팩스 또는 e-mai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지가 필요 없는 팩스 송수신 기능 이외에 인터넷 e-mail 송수신 기능을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착탈식 입출력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터와의 직접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병렬 인터페이스와 텔레비전 비디오 신호 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및 스캐너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의 외부 기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한 필기 문자 인식 방식에 의거하여 입출력 조작을 간편화시킨 전화, 팩시밀리, e-mail 단말기의 기능을 포함한 무용지 방식의 다기능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자동 메일 체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팩스 착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메시지 입력 선택을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매트릭스 20: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
30: A/D 변환부 40: 마이크로 프로세서
50: 메모리 60: 라인 인터페이스
70: 보이스/데이터 스위처 80: 핸드 셋
90: 팩스 모뎀 100, 110: 제 1,2 직렬 인터페이스
120: 출력 제어부 130: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
140: IDE 인터페이스 150: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
160: 병렬 인터페이스 170: 적외선 송수신부
본 발명에 따라서,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에 의해 프리 핸드라이팅 이미지와 문자를 감지하여 터치 감지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신된 이미지 또는 문자를 출력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와;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의 터치 감지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30)와;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의 디스플레이를 구동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120)와; 외부 통신망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인터페이스(60)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60)에 연결되어 보이스와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와; 상기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에 연결되어 보이스를 송수화하는 송수화기(80)와; 상기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에 연결되어 착신 감지, 발신 출력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의 양방향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모뎀(90)과;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모뎀(90)을 제어하여 전화 및 팩스의 착발신 제어를 수행하고, 기능 선택을 위한 각종 메뉴,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제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저장하는 메모리(50);를 포함하는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전화, 팩스 및 e-mai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온시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스크린 또는 키매트릭스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기능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팩스 기능 선택시 송신하고자 하는 팩스 메시지의 입력원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팩스 메시지의 입력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서 선택된 상대방에게 다이얼링 접속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e-mail 기능 선택시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다이얼링 접속하여 e-mail 메시지가 도착해 있으면 e-mail 메시지를 자동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와, e-mail 메시지 저장후 메시지 송신 모드가 선택되면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서 송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능 선택 대기시 팩스 착신이 감지되면 팩스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은 터치 스크린상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이미지(image) 또는 터치 스크린의 문자 인식 패널상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해 문자 인식된 문자 또는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메시지 또는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메시지중에서 택일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시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텔레비전 수상관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텔레비전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 저장시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외부에 연결된 프린터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 디스플레이 후 또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다이얼링 접속하여 e-mail 메시지가 도착해 있으면 e-mail 메시지를 자동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자동 e-mail 체크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로서, 키매트릭스(10),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 A/D 변환부(30), 마이크로 프로세서(40), 메모리(50), 라인 인터페이스(60),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 송수화기(80), 팩스 모뎀(90), 제 1, 2 직렬 인터페이스(100,110), 출력 제어부(120),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 IDE 인터페이스(140),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 병렬 인터페이스(160) 및 적외선 송수신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키매트릭스(10)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소정 개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40)로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Touch Screen LCD,20)는 e-mail 또는 팩스 내용에 해당 문자 또는 도형을 출력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액정 표시되는 소정의 메뉴 영역을 터치펜이나 손 끝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 입력할 수 있고 프리 핸드라이팅(free handwriting)이 가능하며, 또한 하나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셀로 나뉘어진 문자 인식 패널(20a)을 구비하여 터치펜 등으로 필기한 글자 위치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A/D 변환부(30)는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터치 입력, 프리 핸드라이팅 및 문자 인식을 위한 필기 문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0)로 인가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의 전화 기능, 팩스 기능, e-mail 기능, 자동 e-mail 확인 기능 및, 전화/팩스 번호 디렉토리 관리, 스케쥴 관리 등의 각종 서비스 기능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키매트릭스(10)와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를 통한 A/D 변환부(30)로부터의 키신호와 터치 입력 제어에 의거하여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팩스 모뎀(90)을 제어하여 전화, 팩스 및 e-mail 송신을 위한 발신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IDE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데이터나 A/D 변환부(30)를 통하여 인가되는 프리 핸트라이팅 또는 문자 인식된 데이터를 팩스 또는 e-mail로 선택적으로 송신 제어하며,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팩스 모뎀(90)으로부터 팩스 착신이 검출되면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팩스 데이터를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 제어하고, 수신된 팩스 데이터 또는 e-mail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IDE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하거나, 병렬 인터페이스(160)를 통하여 도시 생략된 프린터로 출력 제어한다.
그리고, 메모리(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거하여 발신을 위한 상대방 전화 및 팩스 번호를 저장하거나 독출하며, 수신된 e-mail 데이터나 팩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독출한다.
또한, 라인 인터페이스(60)는 전화국의 교환기에 연결된 국선 전화 라인에 연결되어 전화 라인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보이스/데이터 스위처(Voice/Data Switcher, 70)는 라인 인터페이스(60)에 연결되어 보이스와 데이터를 스위칭 하며, 송수화기(Hand Set, 80)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한 보이스 송수신 수단으로서,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에서의 스위칭에 의거하여 인가되는 보이스를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를 통하여 픽업된 보이스를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로 인가한다.
한편, 팩스 모뎀(Fax MODEM, 90)은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로 인가하고,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전화 라인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로 출력하며, 라인 인터페이스(60)와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를 통하여 전화 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착신 신호인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40)로 전달하고,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를 통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톤(DTMF) 신호를 발생하여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와 라인 인터페이스(60)를 통하여 전화 라인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는 팩스 모뎀(90)과 마이크로 프로세서(40)간의 직렬 통신을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제 2 직렬 인터페이스(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와 도시 생략된 외부의 스캐너 또는 컴퓨터간의 통신을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또한, 출력 제어부(1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거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를 제어하여 e-mail 데이터, 팩스 데이터 또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제어하거나,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Composite Video Output, 130)로 처리할 e-mail 데이터, 팩스 데이터 및 메뉴 화면 데이터를 출력 제어한다.
한편,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는 출력 제어부(120)의 출력 제어에 의거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텔레비전의 복합 영상 신호(예를 들면, NTSC)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IDE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터의 일반적인 1 내지 2Mbyte의 저장용량을 갖는 플로피 디스크는 물론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40 내지 120Mbyte의 디스크 (예컨대 Iomega사의 클릭 드라이브 등)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할 수 있는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는 IDE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거하여 e-mail 또는 팩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독출한다.
또한, 병렬 인터페이스(1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 연결되어 도시 생략된 프린터와 같은 외부 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적외선 송수신부(IrDA, 1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 연결되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포트로서, 별도의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및 컴퓨터와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디렉토리 메뉴와 개인의 스케줄 관리를 위한 오거나이저 기능을 부여하는 스케줄러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제공된 착탈식 저장 매체를 사용하거나 유무선으로 외부 컴퓨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또는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제어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다기능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각 인터페이스를 초기화시킨다(S300).
다음에,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에 현재 시각과 팩스 기능, e-mail 기능등의 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S302), 자동 e-mail 체크를 수행하게 된다(S304).
이때, 자동 e-mail 체크 과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mail 체크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400), e-mail 체크의 활성화는 통신 단말기가 최초에 전원이 온되는 시점에 한번 활성화하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활성화시켜서 수신된 e-mail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e-mail 체크가 활성화되면 e-mail 태스크를 생성하고(S402), 메일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S404).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제 1 직렬 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팩스 모뎀(90)을 제어하여 해당 서버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 톤 신호를 발생하여 e-mail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다음에, 서버에 수신된 메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406), 존재하면 서버에 수신되어 있는 메일을 다운로드받고(S408), 다운로드 즉, 수신된 메일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시키고,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로 인가하여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합 영상 신호로 처리하여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에 연결된 텔레비젼의 수상관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S410).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수신된 메일을 IDE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하게 되는데,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가 없으면, 즉 고용량의 플로피 디스크가 로딩되어 있지 않으면 내부의 메모리(50)에 저장하게 된다(S412).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e-mail 체크 과정이 종료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S306).
다음에, 상술한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는 키매트릭스(10)의 소정 키조작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키거나,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보고 손끝이나 터치팬을 터치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기 모드에서 착신되는 팩스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데(S308), 만약 팩스가 착신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소정의 착신 제어 과정을 거쳐서 통화 루프가 형성되면 수신되는 팩스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S500).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고용량 플로피 디스크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502),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메모리(50)에 수신된 팩스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S504).
반대로,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고용량 플로피 디스크가 삽입되어 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의 고용량 플로피 디스크에 수신된 팩스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S506).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수신된 팩스 메시지를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시키고,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로 인가하여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합 영상 신호로 처리하여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에 연결된 텔레비젼의 수상관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S508).
그런 다음, 사용자가 프린터 요구를 하는지를 키매트릭스(10) 또는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터치 입력에 의거하여 판단하여(S510), 프린터 요구가 있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프린터가 연결된 병렬 인터페이스(160)를 제어하여 프린터로 수신된 팩스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512).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상술한 단계 (S306)의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310), 입력이 없으면 계속 대기 모드를 유지하면서 팩스 착신이 있는지를 체크하게 되며, 만약 터치 스크린 입력 즉, 메뉴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선택된 메뉴가 전화 메뉴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전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12).
다음에,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S314),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메모리(50)에 기저장되어 있는 전화 번호 디렉토리를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한다(S316).
이때, 사용자는 다시 터치 방식으로 원하는 전화 번호를 선택하게 되며(S318), 선택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팩스 모뎀(70)을 제어하여 다이얼링하게 된다(S320).
한편, 상술한 단계 (S314)에서 자동 다이얼링 선택이 없으면 키매트릭스(10)의 숫자키나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터치 입력에 의한 전화 번호를 입력받고(S322), 입력받은 전화 번호를 상술한 단계 (S320)으로 진행하여 다이얼링하게 되어 발신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전화 통화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S324), 전화 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310)에서 선택된 메뉴가 팩스 메뉴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팩스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26).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전송할 팩스 메시지의 입력을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S328), 이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택 메뉴를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며(S600), 선택 메뉴는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이미지(image)와,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문자 인식 패널(20a)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문자와,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메시지와, 제 2 직렬 인터페이스(110)나 병렬 인터페이스(16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송할 팩스 메시지를 프리 핸드라이팅 이미지로 선택하면(S602),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상에 터치팬에 의거하여 터치되는 이미지를 인식하여 팩스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하게 된다(S604).
한편, 사용자가 전송할 팩스 메시지를 프리 핸드라이팅 문자로 선택하면(S606),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문자 인식 패널(20a)상에 터치펜에 의거하여 터치되는 문자를 인식하여 팩스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하게 된다(S608).
다른 한편, 사용자가 전송할 팩스 메시지를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의 고용량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된 메시지로 선택하면(S610),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IDE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를 제어하여 저장된 메시지를 독출하여 팩스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하게 된다(S612).
다음에, 사용자가 전송할 팩스 메시지를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로 선택하면(S614),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제 2 직렬 인터페이스(110)이나 병렬 인터페이스(160)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팩스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임시 저장하게 된다(S616).
한편, 상술한 과정에 의거하여 팩스 메시지의 입력원이 선택되고 전송할 팩스 메시지가 준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사용자가 상대방 팩스 수신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자동 다이얼링을 선택했는지를 판단하여(S330), 자동 다이얼링이 선택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메모리(50)에 기저장되어 있는 전화(팩스) 번호 디렉토리를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한다(S332).
이때, 사용자는 다시 터치 방식으로 원하는 전화 번호를 선택하게 되며(S334), 선택된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팩스 모뎀(70)을 제어하여 다이얼링하게 된다(S336).
한편, 상술한 단계 (S330)에서 자동 다이얼링 선택이 없으면 키매트릭스(10)의 숫자키나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터치 입력에 의한 전화 번호를 입력받고(S338), 입력받은 전화 번호를 상술한 단계 (S336)으로 진행하여 다이얼링하게 되어 발신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팩스 전송 통화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S340), 팩스 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메뉴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310)에서 선택된 메뉴가 e-mail 메뉴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e-mail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342).
다음에, 상술한 바 있는 자동 e-mail 체크 과정과 동일하게 e-mail 태스크를 생성하고, 메일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S344).
그런 다음, 수신된 메일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346), 존재하면 서버에 수신되어 있는 메일을 수신받고, 수신된 메일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출력 제어부(120)를 제어하여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로 디스플레이시키고,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로 인가하여 텔레비전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복합 영상 신호로 처리하여 텔레비전 신호 처리부(130)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수상관에 디스플레이시키며, 수신된 메일을 IDE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하게 되는데,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가 없으면, 즉 고용량의 디스크 매체가 로딩되어 있지 않으면 내부의 메모리(50)에 저장하게 된다(S348).
다음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메일 송신 모드로 전환되는지를 판단하여(S350), 메일 메시지 송신 모드로 전환되면 상술한 단계 (S328)과 동일하게 메일 메시지의 입력 선택 과정을 제어한 후(S352),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이미지나, 터치 스크린 액정 표시부(20)의 문자 인식 패널(20a)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문자나,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메시지나, 제 2 직렬 인터페이스(110)나 병렬 인터페이스(16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메시지 등의 선택된 메일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S354).
그런 다음, 메일 송신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S356), 메일 송신이 종료되면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단계(S310)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소정의 절차에 의거하여 자동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팩스) 번호를 입력하거나, 스케쥴 관리를 수행하거나, 세계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자 계산을 수행하는 등의 서비스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358).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팩스 기능에 더불어 e-mail 기능을 구비하고, 특히 터치 스크린 및 터치팬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용지 없이 팩스 또는 e-mai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거나이저 기능을 채용하여 개인 스케줄 관리 등 필요한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착탈식 저장 매체를 통해 또는 유무선으로 외부 컴퓨터와 통신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에 의해 프리 핸드라이팅 이미지와 문자를 감지하여 터치 감지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신된 이미지 또는 문자를 출력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와;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의 터치 감지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30)와;
    상기 터치 스크린 표시부(20)의 디스플레이를 구동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120)와;
    외부 통신망과 인터페이스하는 라인 인터페이스(60)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60)에 연결되어 보이스와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와;
    상기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에 연결되어 보이스를 송수화하는 송수화기(80)와;
    상기 보이스/데이터 스위처(70)에 연결되어 착신 감지, 발신 출력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의 양방향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모뎀(90)과;
    각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A/D 변환부(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모뎀(90)을 제어하여 전화 및 팩스의 착발신 제어를 수행하고, 기능 선택을 위한 각종 메뉴,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저장 및 독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제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저장하는 메모리(50);를 포함하는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착탈 가능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를 입력 및 출력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간의 각각 직렬 및 병렬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제 2 직렬 인터페이스(110) 및 병렬 인터페이스(16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와 적외선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적외선 송수신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기.
  4. 전화, 팩스 및 e-mai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온시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스크린 또는 키매트릭스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기능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팩스 기능 선택시 송신하고자 하는 팩스 메시지의 입력원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팩스 메시지의 입력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서 선택된 상대방에게 다이얼링 접속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e-mail 기능 선택시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다이얼링 접속하여 e-mail 메시지가 도착해 있으면 e-mail 메시지를 자동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와;
    e-mail 메시지 저장후 메시지 송신 모드가 선택되면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으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서 송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기능 선택 대기시 팩스 착신이 감지되면 팩스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의 입력원은 터치 스크린상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한 이미지(image) 또는 터치 스크린의 문자 인식 패널상의 프리 핸드라이팅에 의해 문자 인식된 문자 또는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메시지 또는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메시지중에서 택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시 터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텔레비전 수상관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텔레비전 복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팩스 또는 e-mail 메시지 저장시 착탈식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외부에 연결된 프린터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7. 제 4 항 내지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선택을 위한 메뉴 디스플레이 후 또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기설정된 메일 서버에 다이얼링 접속하여 e-mail 메시지가 도착해 있으면 e-mail 메시지를 자동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는 자동 e-mail 체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19980063639A 1998-12-31 1998-12-31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6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639A KR20000046911A (ko) 1998-12-31 1998-12-31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10453299A JP3267579B2 (ja) 1998-12-31 1999-04-12 ファクシミリ/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639A KR20000046911A (ko) 1998-12-31 1998-12-31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911A true KR20000046911A (ko) 2000-07-25

Family

ID=1957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639A KR20000046911A (ko) 1998-12-31 1998-12-31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67579B2 (ko)
KR (1) KR200000469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73B1 (ko) * 2002-11-20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메모리를 이용한 팩스 송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935B1 (en) * 1999-05-25 2003-04-1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distributing documents having common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JP6179493B2 (ja) 2014-09-25 2017-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73B1 (ko) * 2002-11-20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메모리를 이용한 팩스 송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67579B2 (ja) 2002-03-18
JP2000209383A (ja) 200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6911A (ko) 무용지 방식의 팩시밀리/전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26798B2 (ja) 通信端末装置
KR0149714B1 (ko) 음성 및 화상 전송장치
JP3109127B2 (ja) 再発呼装置
KR100301997B1 (ko) 복합기의음성단축다이얼방법및장치
JP3015755U (ja) 電話機
KR100274634B1 (ko) 송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호 거부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JP3258386B2 (ja) マルチメディア端末装置の電子電話帳
KR10024503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송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팩스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20030046750A (ko)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팩시밀리
JP20033331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36687A (ja) 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174858A (ja) 電話機
KR19980031911A (ko) 개인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팩스데이터 가시영역 동적변경장치 및 방법
JPH0437354A (ja) 手書き通信端末機
GB2342248A (en) Internet communication
JPH08279860A (ja) 携帯電話機
KR200501208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JP2000341465A (ja) 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通信装置
KR20060058307A (ko) 주소록 정보를 이용한 팩스 전송방법
JPH04296148A (ja) ファクシミリ受信機能付電話機
JP2003283754A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19406A (ko) 팩시밀리의 수신자정보 전송방법
JP2000253178A (ja) 通信端末装置
JP200319882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