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841A -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841A
KR20000039841A KR1019980055303A KR19980055303A KR20000039841A KR 20000039841 A KR20000039841 A KR 20000039841A KR 1019980055303 A KR1019980055303 A KR 1019980055303A KR 19980055303 A KR19980055303 A KR 19980055303A KR 20000039841 A KR20000039841 A KR 20000039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video
wireless
player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태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841A/en
Publication of KR2000003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84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ing method of microphone status at a karaoke mode in a video CD player is provided to increase a user's convenience by displaying the contact state of a wireless or a wire microphone in a main body and by displaying a distorted status of microphone sound with measuring a level of microphone sound during accompanying a song. CONSTITUTION: A data of appropriate song is played by setting a number of song according to a karaoke mode through a video CD player. If a wireless or a wire microphone is connected in a main body by deciding the connection status of wireless or wire microphone during playing the song, the normal connection status of microphone is displayed on a screen. If the wireless or the wire microphone is not connected in the main body, a defective connection status of micropho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distortion of microphone sound is displayed when a level of microphone sound is over a regular level by measuring after displaying the status of microphone.

Description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 상태 표시방법How to display microphone status in karaoke mode of video CD player

본 발명은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상태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시에 무선 또는 유선 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됨으로 화면으로 표시하고 노래반주중 마이크 음의 레벨을 측정하여 마이크 음의 왜곡상태를 또한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상태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icrophone state in a karaoke mode of a video CD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karaoke mode is performed through a video CD player, a wireless or wired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displayed on a screen, and a microphone during a karaoke accompan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icrophone state in a karaoke mode of a video CD player in which a sound level is measured and a distortion state of a microphone sound is also displayed on a screen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음성 및 영상 매체가 발전함에 따라 반영구적인 광 디스크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개발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audio and video media, optical disc players have been develope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and audio data on semi-permanent optical discs.

이러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재생하여 화면 및/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 종래의 영상 및/또는 음성 재생장치들 보다 신호대 잡음비가 높아 보다 더 나은 화질 및/또는 음질로 신호를 재생할 수 있고, 불규칙한 재생 및 변조에 의한 잡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왜곡이 아주 적고 고우스트(GHOST: 가상)가 없으며 렌덤 엑세스가 기능한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급속히 발전 및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Such an optical disc player reproduces an image and / or audio recorded on an optical disc and outputs it through a screen and / or a speaker, and has a higher signal-to-noise ratio than conventional image and / or audio reproducing apparatus, resulting in better image quality and / or Or it can reproduce signals with sound quality, generate no noise due to irregular playback and modulation, very low distortion, no ghost (GHOST), random access, and so on. There is a trend that is spreading.

또한, 이러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 compact disk player),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 : laser disk player) 및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CDGP : compact disk graphic player), 및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VCDP : video compact disk player) 등의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such optical disk players include compact disk players (CDPs), laser disk players (LDPs) and compact disk graphic players (CDGPs), and video compact disk players (VCDPs). video compact disk player)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여기서 이와같은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라오케 모드를 포함한 다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74)와, 이 키 입력부(74)로부터 입력된 설정 신호에 따라 플레이어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5)과, 이 마이컴(75)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씨디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 증폭하여 증폭된 정보를 복조함과 에러정정을 수행하는 광재생부(70)와, 이 광재생부(70)로부터 압축 복조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출력하는 엠팩디코더(71)와, 이 엠팩디코더(71)에서 신장된 데이터중에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RGB엔코더(72)와, 이 RGB엔코더(72)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3)와, 상기 엠팩디코더(71)로부터 신장된 데이터 중에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신호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79)와, 이 음성신호처리부(79)로부터 신호처리된 음성신호를 유선마이크 입력부(77)로부터 입력되거나 무선 마이크 입력부(79)로부터 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76)로 출력하는 전자볼륨(75)으로 이루어진다.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compact disc player includes a key input unit 74 for set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including a karaoke mode, and operation of the player according to a setting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74 as shown in FIG. A microcomputer 75 for controlling the overall information, and an optical reproducing unit 70 for demodulating and amplifying the amplified information by reading and amplifying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video C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75. And an MPEG decoder 71 for decompressing and demodulating the data demodulated from the optical reproducing unit 70, an RGB encoder 72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mong the data decompressed by the MPEG decoder 71; And a display 73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RGB encoder 72, and an audio signal for processing the audio signal in analog form among the data extended from the MPEG decoder 71. An electronic volume input from the wired microphone input unit 77 or mixed with the audio signal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79 and output to the speaker 76; It consists of 75.

그리고 상기 무선마이크 입력부(79)의 전단에는 무선 마이크와의 무선 접속되는 무선수신부(78)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wireless receiver 78 which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wireless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79.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video CD play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74)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에 따른 해당곡 번호를 설정하면 그에따른 설정신호는 마이컴(75)으로 입력된다. 그리면 이 마이컴(75)은 소정의 구동 제어신호를 광재생부(70)에 인가한다. 이에 이 광재생부(70)는 비디오 씨디에 기록된 해당 기록 데이터를 독취 및 증폭 후 신호처리를 통해 엠팩디코더(71)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이 엠팩디코더(71)는 광 재생부(70)에서 촐력된 압축된 상태의 데이터를 디코딩 동작으로 신장시키고 이 신장된 데이터 중 영상데이터는 RGB엔코더(72)로, 음성데이터는 음성신호처리부(74)로 각각 인가된다.First, when the user sets the corresponding song number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74, the corresponding sett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75. The microcomputer 75 then applies a predetermined drive control signal to the optical regeneration unit 70. Accordingly, the optical reproducing unit 70 applies the recorded data recorded on the video CD to the MPEG decoder 71 through signal processing after reading and amplifying. Therefore, the MPEG decoder 71 expands the compressed data output by the optical reproducing unit 70 in a decoding operation, and among the decompressed data, the image data is the RGB encoder 72, and the audio data is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74 respectively.

이때, 이 RGB엔코더(72)는 인가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루미넌스와 색차신호의 형태로 영상신호 즉, 영상화면 및 노래가사가 디스플레이(73)를 통해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RGB encoder 72 converts the applied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image screen and the song lyrics on the display 73 in the form of respective luminance and color difference signals.

한편, 상기 음성신호처리부(74)로 인가된 음성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신호처리되어 전자볼륨(75)으로 인가된다. 이때 이 전자볼륨(75)으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선마이크 입력부(77)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무선수신부(78) 및 무선마이크 입력부(79)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이 전자볼륨(75)은 비디오 씨디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와 함께 사용자의 음성을 일정하게 혼합하여 스피커(76)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73)인 티브이나 모니터를 통해 노래 가사를 확인하고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는 음을 청취하며 정확하게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다. 이때 이 사용자의 음성은 미 도시된 채점장치에 입력되고 이 채점장치는 현재 비디오 씨디로부터 재생되는 음의 높이나 박자등을 토대로 사용자의 노래 점수를 채점한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data applied to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74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signal processed and applied to the electronic volume 75. At this time,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wired microphone input unit 77 or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78 and the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79 is input to the electronic volume 75. Therefore, the electronic volume 75 constantly mixes the user's voice with the audio reproduced from the video CD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76.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song lyrics through the display 73 TV or monitor, listen to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76, and sing along with the song accurately. At this time, the user's voice is input to a non-illustrated grading device, and the grading device scores the user's song score based on the height or time signature of the currently played video CD.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시에는 마이크 상태의 점검이 필요한데 즉, 노래반주가 비디오 씨디로부터 출력될 때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가 접속되지 않아도 사용자는 이를 신속히 파악할 수 없고 실질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입력되지 않을시에 비로서 알 수 있어 노래 반주에 따른 가사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performing karaoke mode through such a conventional video CD play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atus of the microphone, i.e., even if a wired or wireless microphone is not connected when the song accompaniment is output from the video CD, the user cannot quickly recognize this and actually the microphone When the voice is not input through it can be known as rain, there was a problem of missing the lyrics according to the song accompaniment.

또한,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와 연결된 외부본체에 마이크를 접속할 때 마이크음과 비디오 씨디로부터 재생음은 적절히 레벨로 혼합되어야 하나 마지막으로 사용할 때 마이크음 레벨을 크게 설정한 상태(상대적으로 노래반주음은 작게 설정됨)에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마이크를 접속 후 노래를 수행할 시 본인은 물론 주위사람들에게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왜곡된 음으로 인한 불괘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when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CD player, the sound from the microphone and the video CD should be properly mixed in level, but the microphone level is set to be large at the last use (relative to the song accompaniment sound). ),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is and connects to the microphone and performs a song, there is a problem of giving a sense of discomfort due to the distorted sound output from the microphone to the surrounding people as well as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시에 무선 또는 유선 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됨으로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잇도록 하고 노래반주중 마이크 음의 레벨을 측정하여 마이크 음의 왜곡상태를 또한 화면으로 표시하여 왜곡된 마이크음 레벨을 신속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상태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ireless or wired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performing the karaoke mode through the video CD play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connection state It provides a method of displaying the microphone status in the karaoke mode of the video CD player, which enables the user to quickly adjust the distorted microphone sound level by displaying the distortion state of the microphone sound on the screen by measuring the microphone sound level during the song accompaniment.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에 따른 곡번호가 설정됨으로 해당 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a)와; 이 단계(a)에서 곡 재생 동작중에 무선 마이크 또는 유선 마이크의 접속상태를 판단하는 단계(b)와; 이 단계(b)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나 무선 마이크가 본체에 연결됨으로 판단되면 해당 마이크의 정상 접속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b)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나 무선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마이크의 접속 불량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d)와; 상기 단계(c) 및 단계(d)에 따른 마이크 상태 표시동작 후 마이크음 레벨을 측정 판단하여 일정레벨 이상으로 판단되면 마이크음 왜곡을 표시하는 단계(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reproducing the song data as the song number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is set through the video CD player; (B)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wireless microphone or the wired microphone during the song reproduction operation in this step (a);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b) that the wired microphone or the wireless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displaying the 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microphone as a screen;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b) that the wired microphone or the wireless microphone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displaying the connection failure state of the microphone as a screen; After the microphone stat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ep (c) and step (d)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icrophone sound level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e) of displaying the microphone sound distortion.

도 1은 일반적인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video CD play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video CD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 상태 표시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icrophone state display method in karaok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상태 표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icrophone status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키 입력부 2 : 마이컴1: key input 2: microcomputer

3 : 무선마이크 접속검출부 4 : 유선마이크 접속검출부3: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detection unit 4: wired microphone connection detection unit

5 : 볼륨레벨 감지부 6 : 브이씨디 재생부5: volume level detection unit 6: VCD playback unit

7 : 엠팩 디코더 8 : 메모리부7: MPEG decoder 8: memory

9 : RGB엔코더 10 : 디스플레이9: RGB encoder 10: Display

11 : 음성신호처리부 12 : 전자볼륨11: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2: electron volume

13 : 스피커 14 : 유선마이크 입력부13: speaker 14: wired microphone input unit

15 : 무선마이크 수신부 16 : 무선마이크 입력부15: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16: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라오케 모드를 포함한 다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1)와,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마이크 검출부(3)와, 유선 마이크로부터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유선마이크 검출부(4)와, 이 유선마이크 검출부(4) 및 무선마이크 검출부(3)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마이크 접속상태에 따른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키 입력부(1)로부터 입력된 기능 신호에 따른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2)과, 이 마이컴(2)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0)로 해당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오에스디부(8)와, 상기 마이컴(2)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씨디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 증폭하여 증폭된 정보를 복조함과 에러정정을 수행하는 브이씨디재생부(6)와, 이 브이씨디광재생부(6)로부터 복조된 압축 데이터를 신장하여 출력하는 엠팩디코더(7)와, 이 엠팩디코더(7)로부터 신장된 데이터 중에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신호 처리하는 음성신호처리부(11)와, 이 음성신호처리부(11)로부터 신호처리된 음성신호를 유선마이크 입력부(14)로부터 입력되거나 무선 마이크 입력부(16)로부터 음성신호와 혼합하여 스피커(13)로 출력하는 전자볼륨(12)으로 이루어진다.The video CD play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key input unit 1 for set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including a karaoke mode, a wireless microphone detection unit 3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a wireless microphone, as shown in FIG. Th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microphone connection state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wired microphone detection unit 4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wired microphone and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wired microphone detection unit 4 and the wireless microphone detection unit 3. A microcomputer 2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function signal inputted from 1), an OSD unit 8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n the display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2; And a VCD playback unit 6 which reads and amplifies information recorded on the video C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2, demodulates the amplified information and performs error correction. An MPEG decoder 7 which decompresses and outputs the demodulated compressed data from the reproduction unit 6, an audio signal processor 11 which processes a voice signal in analog form among the data decompressed from the MPEG decoder 7, The voice signal signal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or 11 is input from the wired microphone input unit 14 or mixed with the voice signal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16 and output to the speaker 13.

그리고 상기 엠팩디코더(7)의 후단에는 신장된 데이터중에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0)로 인가하는 RGB엔코더(9)가 접속된다.The rear end of the MPEG decoder 7 is connected to an RGB encoder 9 which applies to the display 10 which converts and outputs a video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mong the extended data.

그리고 상기 무선마이크 입력부(16)의 전단에는 무선 마이크와의 무선 접속되는 무선수신부(15)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wireless receiver 15 connected to a wireless microphone is connected to a front end of the wireless microphone input unit 16.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1)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에 따른 해당곡 번호를 설정하면 그에따른 설정신호는 마이컴(2)으로 입력된다. 그리면 이 마이컴(2)은 소정의 구동 제어신호를 브이씨디재생부(6)에 인가한다. 이에 이 브이씨디재생부(6)는 비디오 씨디에 기록된 해당 기록 데이터를 독취 및 증폭 후 신호처리를 통해 엠팩디코더(7)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이 엠팩디코더(7)는 브이씨디재생부(6)에서 촐력된 압축 데이터를 디코딩 동작으로 신장시키고 이 신장된 데이터 중 영상데이터는 RGB엔코더(9)로, 음성데이터는 음성신호처리부(11)로 각각 인가된다.First, when the user sets the corresponding song number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the corresponding sett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2. The microcomputer 2 then applies a predetermined drive control signal to the VCD playback unit 6. This VCD reproducing section 6 applies the recorded data recorded on the video CD to the MPEG decoder 7 through signal processing after reading and amplifying. Therefore, the MPEG decoder 7 expands the compressed data output from the VCD reproducing unit 6 in a decoding operation, and among the decompressed data, the image data is the RGB encoder 9, and the audio data is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1. Are applied respectively.

한편, 상기 마이컴(2)은 무선마이크검출부(3) 및 유선마이크검출부(4)로부터 소정의 검출신호를 입력받는데 즉, 상기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무선 마이크나 유선마이크가 접속됨에 따라 그에 따른 동기신호가 하이 상태로 마이컴(2)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마이컴(2)은 현재 정상적인 마이크 접속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오에스디부(8)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RGB엔코더(7)가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루미넌스와 색차신호의 형태로 영상신호 즉, 영상화면 및 노래가사가 디스플레이(73)를 통해 표시할 때 이 디스플레이(10)에는 오에스디부(8)로부터 출력된 문자 신호를 표시한다. 예를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 접속 이라는 문자를 파란색으로 출력하거나 표시된 문자를 일정시간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computer 2 receives a predetermined detection signal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detector 3 and the wired microphone detector 4, that is, as a wireless microphone or a wired microphone is connected through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of the video CD play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2 in a high state. Then, the microcomputer 2 determines that the microphone is normally connected and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OS. Then, when the RGB encoder 7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image screen and the song lyrics on the display 73 in the form of respective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the display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OS section 8 is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a microphone connection character is output in blue or the displayed character is blink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haracter.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 상태 표시방법은 구동전원이 입력되고 비디오 씨디가 장착된 초기상태(S1)는 가라오케모드 설정 판단단계(S2)로 진행한다. 이에 이 가라오케모드 설정 판단단계(S2)에서 판단한 결과 가라오케 모드에 따른 곡 번호등이 설정됨으로 판단되면 재생준비 동작단계(S3)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재생준비 동작단계(S4)에서는 입력된 재생 모드에 따른 기록된 곡의 재생동작에 따른 예비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4)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무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4)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마이크의 접속으로 해당하는 동기신호가 검출됨으로 판단되면 무선마이크 접속표시단계(S5)로 진행하여 무선마이크가 접속됨을 화면으로 표시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in the karaoke mode, the microphone state displaying method proceeds to the karaoke mode setting determination step S2 in which the initial state S1 in which the driving power is input and the video CD is moun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karaoke mode setting determination step S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ong number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is set, the process proceeds to the reproduction preparation operation step S3. Then, in this reproduction preparation operation step S4, a preliminary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operation of the recorded song according to the input reproduction mode is performed, and the flow proceeds to the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en, if it is determin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at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by the connec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display step (S5) and displays a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그리고 상기 무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4)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마이크의 미 접속으로 해당하는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유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6)로 진행한다. 이에 이 유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의 접속으로 해당하는 동기신호가 검출됨으로 판단되면 유선마이크 접속 표시단계(S7)로 진행하여 유선 마이크가 접속됨을 화면으로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at the corresponding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due to the disconnec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wired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6).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wired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synchronous signal is detected by the connection of the wired microphone, the flow proceeds to the wired microphone connection display step (S7) and displays a screen that the wired microphone is connected.

한편, 상기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마이크 입력단자를 통해 무선 마이크나 유선마이크가 접속되지 않음에 따라 로우 신호가 마이컴(2)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마이컴(2)은 현재 비정상적인 마이크 접속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오에스디부(8)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RGB엔코더(7)가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루미넌스와 색차신호의 형태로 영상신호 즉, 영상화면 및 노래가사가 디스플레이(7)를 통해 표시할 때 이 디스플레이(10)에는 오에스디부(8)로부터 출력된 문자 신호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한다.Meanwhile, as the wireless microphone or the wired microphone is not connected through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of the video CD player, the low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2. Then, the microcomputer 2 determines that the microphone is abnormally connected and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OS. Then, when the RGB encoder 7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image screen and the song lyrics on the display 7, in the form of respective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the display 10 displays on the display 10.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OS section 8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B.

예를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 미접속 이라는 문자를 빨간색으로 출력하거나 표시된 문자를 일정시간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B, the character 'no microphone connection' is output in red or the displayed character is flickered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haracter.

즉, 상기 유선마이크 접속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에 해당하는 동기신호가 미 검출됨으로 판단되면 접속불량 표시단계(S8)로 진행한다. 이에 이 접속불량 표시단계(S8)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마이크가 미 접속됨을 표시하고 마이크음 측정단계(S9)로 진행한다. 이에 이 마이크음 측정단계(S9)에서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의 레벨을 측정하여 마이크음 판단단계(S10)로 진행한다. 이에 이 마이크음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입력되는 마이크음이 상대적으로 재생음 레벨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크음 왜곡 표시단계(S11)로 진행하여 화면상에 마이크음이 왜곡됨을 표시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wired microphon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6) that the synchroniz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ired microphone is not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nection failure display step (S8). In this connection failure display step (S8) it indicates that the wired or wireless microphone is not connected and proceeds to the microphone sound measurement step (S9). In this microphone sound measurement step (S9) to measure the sound level input from the microphone proceeds to the microphone sound determination step (S10). If it is determined in the microphone sound determination step (S10) that the input microphone sound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playback sound level, the process proceeds to the microphone sound distortion display step (S11) to indicate that the microphone sound is distorted on the screen and the present loop is repeated. Quit.

즉, 마이크의 접속여부에 따른 상기 마이컴(2)의 제어동작 후 사용자가 유선 마이크나 무선마이크를 통해 반주되는 음악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게 되면 그에따른 음성신호는 유선마이크부(14)나 무선마이크부(16)를 통해 전자볼륨부(12)로 입력된다.That is, when the user sings to the music accompanied by the wired microphone or the wireless microphone aft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2 according to whether the microphone is connected or not,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he wired microphone unit 14 or the wireless microphone unit. Input to the electron volume unit 12 through (16).

또한, 이 유선마이크부(14) 또는 무선마이크부(1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볼륨레벨 감지부(5)로 입력된다. 그러면 이 볼륨레벨 감지부(5)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레벨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마이컴(2)으로 입력한다. 이때 이 마이컴(2)은 입력된 감지신호를 기 저장된 레벨값과 비교 후 입력된 값이 일정값을 초과함으로 판단되면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오에스디부(8)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RGB엔코더(7)가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루미넌스와 색차신호의 형태로 영상신호 즉, 영상화면 및 노래가사가 디스플레이(10)를 통해 표시할 때 이 디스플레이(10)상에는 오에스디부(8)로부터 출력된 문자 신호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한다.In addition,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wired microphone unit 14 or the wireless microphone unit 16 is input to the volume level detecting unit 5. Then, the volume level detecting unit 5 detects the voice level of the user to be input and inputs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2.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2 compares the input detection signal with a pre-stored level valu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microcomputer 2 applie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ly to the OS. Then, when the RGB encoder 7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image screen and the song lyrics on the display 10 in the form of respective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on the display 10.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OS section 8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C.

예를들어, 마이크음 찌그러짐 이라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표시된 문자를 일정시간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microphone may display a character distortion or cause the displayed character to blink for a certain time so that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it.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시에 무선 또는 유선 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됨으로 화면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접속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잇도록 하고 노래반주중 마이크 음의 레벨을 측정하여 마이크 음의 왜곡상태를 또한 화면상에 표시하여 왜곡된 마이크음 레벨을 신속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wireless or wired microphone as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n the karaoke mode is performed through the video CD play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connection state and the sound of the microphone during the song accompaniment. By measuring the level and displaying the distortion state of the microphone soun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quickly adjust the distorted microphone sound level,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Claims (1)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를 통해 가라오케 모드에 따른 곡번호가 설정됨으로 해당 곡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a)와;(A) reproducing the corresponding song data since the song number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is set through the video CD player; 이 단계(a)에서 곡 재생 동작중에 무선 마이크 또는 유선 마이크의 접속상태를 판단하는 단계(b)와;(B)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wireless microphone or the wired microphone during the song reproduction operation in this step (a); 이 단계(b)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나 무선 마이크가 본체에 연결됨으로 판단되면 해당 마이크의 정상 접속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c)와;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b) that the wired microphone or the wireless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displaying the normal connection state of the microphone as a screen; 상기 단계(b)에서 판단한 결과 유선 마이크나 무선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마이크의 접속 불량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d)와;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b) that the wired microphone or the wireless microphone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displaying the connection failure state of the microphone as a screen; 상기 단계(c) 및 단계(d)에 따른 마이크 상태 표시동작 후 마이크음 레벨을 측정 판단하여 일정레벨 이상으로 판단되면 마이크음 왜곡을 표시하는 단계(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가라오케 모드시 마이크상태 표시방법.Karaoke of the video CD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measuring the microphone sound level after the microphone stat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ep (c) and step (d)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above a certain level (e) How to display microphone status in mode.
KR1019980055303A 1998-12-16 1998-12-16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KR200000398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303A KR20000039841A (en) 1998-12-16 1998-12-16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303A KR20000039841A (en) 1998-12-16 1998-12-16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841A true KR20000039841A (en) 2000-07-05

Family

ID=1956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303A KR20000039841A (en) 1998-12-16 1998-12-16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84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57B1 (en) * 2005-04-20 2006-09-2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 on/off control and notify discharge of wireless microphone with karaoke device
CN101120510B (en) * 2005-02-24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Wireless microphone system
KR101108864B1 (en) * 2010-04-15 2012-01-3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Wireless micro phone system with anti-theft feature and battery check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20510B (en) * 2005-02-24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Wireless microphone system
KR100625457B1 (en) * 2005-04-20 2006-09-2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 on/off control and notify discharge of wireless microphone with karaoke device
KR101108864B1 (en) * 2010-04-15 2012-01-30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Wireless micro phone system with anti-theft feature and battery check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9841A (en) Method for displaying microphone status at karaoke mode in video cd player
JPWO20070941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of, program thereof,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DJ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apparatus
KR10035093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ne and method for adjusting ton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ore
KR100850715B1 (en) Audio/Vide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JP2002271715A (en) Av(audio-video) unit
JP3572010B2 (en) Audio playback device
KR20000034392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image mode of vcd player
KR100501931B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optimized aspect ratio according to dvd input source and dvd-player using the same
JP4051853B2 (en) Display device
KR20000028475A (en) Method for displaying score in optical disk karaoke system
JPH08305377A (en) Video and audio reproducing device
KR0147990B1 (en) Reproducing method of vcr
KR970008612B1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karaoke tv system
JP2004355685A (en) Disk player
JP2002344899A (en) Optical disk player
JP3092163U (en) Testing equipment for disc playback equipment
KR20000028454A (en) Method for displaying score of optical disk karaoke system
KR200900162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ounting grade in semi karaoke audio device
KR19980082448A (en) How to process CD playback wallpaper of composite product combined with CD and VCD
KR19980082449A (en) Method of processing voice memo dubbing of combination product of CD and VRF
KR19980075517A (en) How to Display Interim Scores in an Optical Disc Karaoke System
JPH0854885A (en) Picture song medium with recorded chord data and its reproducing apparatus
KR20000028476A (en) Method for displaying score in optical disk karaoke system
JP2007250107A (en) Amplifier
KR20000034391A (en) Method for auto-detecting ring signal in vcd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