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079A -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ing type converter for controlling power factor - Google Patents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ing type converter for controlling power f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079A
KR20000032079A KR1019980048420A KR19980048420A KR20000032079A KR 20000032079 A KR20000032079 A KR 20000032079A KR 1019980048420 A KR1019980048420 A KR 1019980048420A KR 19980048420 A KR19980048420 A KR 19980048420A KR 20000032079 A KR20000032079 A KR 2000003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witching
power factor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9539B1 (en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8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539B1/en
Publication of KR2000003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53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7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mprising a passive stage to generate a rectified sinusoidal voltage and a controlled switching element in series between such stage and the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PURPOSE: A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a boosting type converter for controlling power factor is provided to minimize switching loss of a switch and a diode by adapting a soft switching manner. CONSTITUTION: A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a boosting type converter for controlling power factor includes a rectifier(21) for rectifying commercial power into pulse power. The pulse power is regulated by an inductor(L). A soft switching part(22)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using switching elements(S1,Sa), a resonance inductor(Lr), and capacitors(Cr1,Cr2) according to current output from the inductor(L). According to switching states of the switching elements(S1,Sa), current flowing in the inductor(L) is detected by a current detector(24).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21) is detected by an input voltage detector(25), and a voltage of a filter capacitor(C) is detected by an output voltage detector(26). A power factor controller(27) controls an output voltage for controlling the soft switching part(22). A switch driver(28) outputs a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Description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Step-up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본 발명은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서 스위칭시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으로 인한 손실 등으로 인해서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채택하여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a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step-up converter for preventing efficiency from falling due to loss due to reverse recovery characteristics of a diode during switching in the power factor control type conver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loss switching driving circuit of a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to minimize switching losses of switches and diodes.

종래 역률 제어 기능이 없는 DC 전원공급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그 정류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10)와, 상기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필터링하여 부하(12)로 공급하는 필터용 캐패시터(C)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C power supply circuit without the conventional power factor control function includes a rectifying unit 10 for rectifying an input commercial pow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DC voltage, and a DC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10. It is composed of a filter capacitor (C) for filter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load (12).

그리고, 종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대한 회로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그 정류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부(10)와, 상기 정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해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승압형 컨버터부(11)와,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11)에서 출력하는 전압을 필터링하여 부하(12)로 공급하기 위한 필터용 캐패시터(C)와, 상기 부하(12)로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와, 상기 부하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14)와, 상기 부하(12) 동작시 발생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15)와, 상기 검출부(13~15)를 통해 검출한 전류 및 전압값을 이용하여 역률 제어를 위한 스위칭신호를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11)로 출력하는 역률 제어부(1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power factor control boost converter includes a rectifying unit 10 for rectifying an input commercial power and outputting the rectified DC voltage, and outputting from the rectifying unit 10. Step-up converter section 11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improving the power factor with respect to the voltage, and a filter capacitor (C) for filter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tep-up converter section 11 to supply to the load 12 ), A current detector 13 for detecting a current input to the load 12, an input voltage detector 14 for detecting a voltage input to the load, and an output voltage generated when the load 12 is operated. A power factor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witching signal for power factor control to the boost type converter unit 11 using an output voltage detector 15 for detecting a voltage and a current and voltage value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s 13 to 15; 16).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ior art configured in this way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역률 제어 기능이 없는 DC 전원공급 회로에 대하여 도 1과 도 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전원공급단을 통해 상용전원과 그에 비례하는 도 2의 (다)에서와 같은 상용 전류( IAC )가 정류부(10)로 공급된다.First, referring to the DC power supply circuit without the power factor control function based on FIG. 1 and FIG. 2, the commercial power and the commercial current as shown in (C) of FIG. I AC ) Is supplied to the rectifier 10.

그러면 정류부(10)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만들고, 이 정류된 직류전압을 필터용 캐패시터(C)로 출력한다.The rectifier 10 rectifies the input commercial power using a diode to make a DC voltage, and outputs the rectified DC voltage to the filter capacitor C.

이때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에 공급되는 입력전류(IIN)는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같다.At this time, the input current I IN supplied to the filter capacitor C is as shown in FIG.

상기에서와 같은 입력전류(IIN)와 직류전압을 공급받은 필터용 캐패시터(C)는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한 전압, 즉 도 2의 (가)에서와 같은 출력전압(Vo)을 부하(13)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한다.The filter capacitor C receiving the input current I IN and the DC voltage as described above is filtered, and the filtered voltage, that is, the output voltage Vo as shown in FIG. ) To operate.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회로의 역률은 보통 0.4~0.7 사이의 수치를 갖는다.The power factor of a circuit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usually has a value between 0.4 and 0.7.

게다가 고조파(Harmonics) 성분이 크기 때문에 국제규격인 IEC 61000-3-2를 만족할 수 없다.In addition, the harmonics component is so large that it cannot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C 61000-3-2.

역률이 낮으면 실효전력도 작아지기 때문에 가정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power factor is low, the effective power is also reduced, which reduces the power available in the home.

따라서 역률제어용 회로를 삽입하여 역률 및 고조파를 줄이고 있다.Therefore, a power factor control circuit is inserted to reduce power factor and harmonics.

이와같은 회로는 도 3에 도시하였으며, 도 3과 도4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ch a circuit is illustrated in FIG. 3, which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상용전원을 정류부(10)로 공급하면, 상기 정류부(10)는 입력전압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압(VIN)을 승압형 컨버터(11)로 출력하는데, 상기 정류된 전압(VIN)은 입력전원 주파수(50/60Hz)의 두배 주파수를 갖는 전압이 나온다.When supplying commercial power to the rectifier 10, the rectifier 10 rectifies the input voltage and outputs the rectified voltage (V IN ) to the boost converter 11, the rectified voltage (V IN ) is A voltage with twice the frequency of the input supply frequency (50/60 Hz) comes out.

이 전압(VIN)을 입력으로 해서 승압형 컨버터부(11)로 출력하면, 인덕터(L)에는 입력전압(VIN)과 동상인 전류가 흐르고, 상용전원에서 보면 50/60Hz의 입력전압에 동상인 싸인파 전류가 흘러서 역률이 거의 1.0에 가깝게 된다.When this voltage (V IN ) is input and output to the boost converter 11, a current in phase with the input voltage (V IN ) flows through the inductor (L). The in-phase sine wave current flows and the power factor is nearly 1.0.

이때 다이오드(D)와 필터용 캐패시터(C)를 거쳐 필터링되어 부하(12)에 공급되는 출력전압(Vo)은 입력전압(VIN)의 피크치보다 큰 전압이 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voltage Vo that is filtered through the diode D and the filter capacitor C and supplied to the load 12 becomes a voltage larger than the peak value of the input voltage V IN .

상기 출력전압(Vo)은 출력전압 검출부(15)에서 검출하여 역률 제어부(16)로 출력하면, 상기 역률 제어부(16)는 출력전압이 설정치로 안정하게 동작하도록 제어해준다.When the output voltage Vo is detected by the output voltage detector 15 and output to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6,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6 controls the output voltage to operate stably.

그리고, 인덕터(L)의 전류가 입력전압(VIN)을 추종하도록 역률 제어부(16)에서 제어하는데, 이는 입력전압 검출부(14)에서 검출한 입력전압과 전류 검출부(13)에서 검출한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제어한다.The power factor controller 16 controls the current of the inductor L to follow the input voltage V IN , which is an input voltage detected by the input voltage detector 14 and an input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13. Control by using.

상기 스위치(S1)는 20KHz 이상의 높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각 스위칭시에 인덕터(L)의 전류는 전류원과 같은 역할을 한다.Since the switch S1 operates at a high frequency of 20 KHz or more, the current of the inductor L serves as a current source during each switching.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역률 제어부(16)에서 승압형 컨버터부(11)의 스위치(S1)를 온시키면 인덕터(L)에는 정류부(10)를 통해 정류된 전압(VIN)이 걸리고, 인덕터 전류(IL)는 선형적으로 상승한다.When the switch S1 of the boost converter 11 is turned on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6 by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uctor L receives the voltage V IN rectified through the rectifier 10, The current I L rises linearly.

이때 스위치(S1)로 흐르는 전류( IS )는 도통된 스위치(S1)를 통해 (-)측으로 바이패스 되므로 도 4의 (a)에서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다가 소정값이상이 되면 역으로 감소하다가 일정값이 되면 그 값을 유지하고, 다이오드(D)로 흐르는 전류( ID )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역으로 증가하고 소정값 이상이 되면 감소되어 0값을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S1 ( I S ) Is bypassed to the (-) side through the conducting switch (S1), and gradually increases as shown in (a) of FIG. 4, and decreases inversely when the valu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Current flowing into D) I D ) Gradually decreases as shown in FIG. 4 (b) and increases inversely, and decreases when th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o maintain a zero value.

이러한 현상을 다이오드의 역회복(Reverse Recovery) 특성이라고 한다.This phenomenon is called reverse recovery of diodes.

이때 필터용 캐패시터(C)는 출력전압(Vo)을 부하(12)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lter capacitor C supplies the output voltage Vo to the load 12 to operate.

그리고 역률 제어부(16)에 의해서 승압형 컨버터부(11)의 스위치(S1)가 오프되면 다이오드(D)가 도통하여 인덕터(L)에는 (Vo-VIN)전압이 걸리고, 인덕터 전류(IL)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When the switch S1 of the boost converter 11 is turned off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16, the diode D is turned on so that the inductor L receives the (Vo-V IN ) voltage and the inductor current I L. ) Decreases linearly.

이 경우 입력에서 출력으로 파워를 공급하여 필터용 캐패시터(C)를 충전하게 된다.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put to the output to charge the filter capacitor (C).

이때 스위치( S1 )로 흐르는 전류( IS )는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감소하고, 다이오드(D)로 흐르는 전류( ID )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같이 서서히 증가한다.The switch ( S 1 Current flowing through I S ) Decreases as shown in (a) of FIG. 4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iode D ( I D ) Gradually increases as shown in (b) of FIG. 4.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인덕터전류( IL )가 입력전압의 모양을 추종하도록 역률을 개선한다.By repeating the same operation as above, the inductor current ( I L Improve the power factor so as to follow the shape of the input voltage.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각 소자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손실이 많고, 특히 다이오드(D)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전류 (ID) 가 흐르는 역회복 특성을 갖는데 이 역회복전류는 D→S1→C의 패스로 흐르고 이는 스위치(S1)와 다이오드(D)의 손실을 상당히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스위칭을 하는 회로는 효율이 상당히 낮고 게다가 이러한 손실을 방열시켜 주기 위해서는 큰 방열판의 사용 및 큰 풍량의 팬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switching losses occurring in each element, and particularly in the diode D, the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I D ) This reverse recovery current flows in the path of D → S1 → C, which greatly increases the loss of the switch S1 and the diode D. Therefore, this switching circuit has a very low efficiency, 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using a large heat sink and a large airflow fan to dissipate these losses.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서, 소프트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여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a low-loss switching of the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to minimize the switching losses of the switch and the diode in the boost converter for power factor control using a soft switching method. In providing a driving circuit.

도 1은 종래 역률 제어 기능이 없는 DC 전원공급 회로도.1 is a DC power supply circuit diagram without a conventional power factor control.

도 2는 도 1에 대한 출력전압 및 입력전류에 대한 신호 파형도.FIG. 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an output voltage and an input current of FIG. 1. FIG.

도 3은 종래의 역률 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power factor-type boost converter.

도 4는 도 3에서, 스위칭시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4 is a voltage and current waveform diagram at the time of switching in FIG.

도 5는 본 발명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도.5 is a low loss switching driving circuit diagram of the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저손실 스위칭 방식 및 한 주기 동안의 스위칭 상태 와 전류/전압 파형도.FIG. 6 is a low loss switching scheme and switching state and current / voltage waveform diagram during one cycle in FIG. 5; FIG.

도 7은 도 5에서, 스위치 구동부의 제1실시예.FIG. 7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switch driver in FIG. 5; FIG.

도 8은 도 5에서, 스위치 구동부의 제2실시예.FIG. 8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witch driver in FIG. 5; FIG.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각 부의 신호 파형도.Fig. 9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in Figs. 7 and 8;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21 : 정류부 22 : 소프트 스위칭부21: rectifier 22: soft switching unit

23 : 부하 24 : 전류 검출부23: load 24: current detector

25 : 입력전압 검출부 26 : 출력전압 검출부25: input voltage detector 26: output voltage detector

27 : 역률 제어부 28 : 스위치 구동부27: power factor control unit 28: switch drive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덕터와, 소프트 스위칭부와, 전류 및 전압 검출부와, 역률제어부와, 스위치 구동부로 구성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스위칭부는 공진 인덕터에 역병렬 다이오드를 갖는 주 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직렬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보조공진 캐패시터와 보조 스위치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의 연결점과 상기 공진 인덕터와 주 스위치의 연결점 사이에 보조공진 캐패시터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factor converter for a power factor control including an inductor, a soft switching unit, a current and voltage detector, a power factor control unit, and a switch driver, wherein the soft switching unit includes an antiparallel diode in a resonant inductor. In this case, the main switch having the main switch i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two diode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and the auxiliary switch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diodes connected in series, the resonance inductor, and the main Auxiliary resonant capacitor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여 50/60Hz의 두배 주파수를 갖는 맥류전원으로 만드는 정류부(21)와, 상기 정류부(21)로 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덕터(L)와, 상기 인덕터(L)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에 대해 두 개의 스위칭소자(S1,Sa)와 공진 인덕터(Lr) 및 캐패시터(Cr1,Cr2)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스위치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소프트 스위칭부(22)와, 두 개의 스위칭소자(S1,Sa)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4)와, 상기 정류부(21)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25)와,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의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26)와, 소프트 스위칭부(22)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역률 제어부(27)와, 상기 출력전압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28)로 구성한다.5 is a low-loss switching driving circuit diagram of the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rectifier 21 rectifies the commercial power input to make a pulse current power having a double frequency of 50/60 Hz, and An inductor L for regulating the current input from the rectifier 21, two switching elements S1, Sa, a resonant inductor Lr, and a capacitor Cr1 for the current output through the inductor L; The soft switching unit 22 performs a soft switching operation using Cr2 and detec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ductor L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s of the two switching elements S1 and Sa. The current detector 24, the input voltage detector 25 for detec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21, the output voltage detector 26 for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filter capacitor C, and the soft switching unit ( To control 22) And a power factor controller 27 for outputting one output voltage, and a switch driver 28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voltage.

상기에서 소프트 스위칭부(22)는, 공진 인덕터(Lr)에 역병렬 다이오드(D1)를 갖는 주 스위치(S1)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직렬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Da1,Da2)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보조공진 캐패시터(Cr1)와 보조 스위치(Sa)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Da1,Da2)의 연결점과 상기 공진 인덕터(Lr)와 주 스위치(S1)의 연결점 사이에 보조공진 캐패시터(Cr2)가 연결되어 구성한다.In the soft switching unit 22, the main switch S1 having the antiparallel diode D1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resonant inductor Lr, and the two diodes Da1 and Da2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ddition, the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Cr1 and the auxiliary switch Sa are connected in parallel,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two diodes Da1 and Da2 connected in series, and the resonance inductor Lr and the main switch S1, respectively. Auxiliary resonant capacitor Cr2 is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s.

그리고, 상기 스위치 구동부(28)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역률 제어부(27)에서 출력되는 신호(a)를 받아 낸드게이트를 이용하여 2개의 펄스를 만들어 주는 펄스 발생부(281)와, 상기 펄스 발생부(28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주며, 아울러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출력 버퍼부(282)와, 상기 출력 버퍼부(28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두 개의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는 게이트 펄스를 발생시켜 주는 게이트 펄스발생부(283)로 구성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switch driver 28 includes a pulse generator 281 that receives two signals a output from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and generates two pulses using a NAND gate. And an output buffer unit 282 capable of inver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281 and supplying sufficient current for driving the transistor,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buffer unit 282. Accordingly,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generates gate pulses capable of driving two switches.

또한, 상기 스위치 구동부(2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역률 제어부(27)에서 출력되는 신호(a)를 받아 하나의 낫게이트(NOT7)를 이용하여 반전시킴과 아울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로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281')와, 상기 펄스 발생부(281')의 낫게이트(NOT7) 출력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 출력을 반전시켜 주며, 아울러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출력 버퍼부(282')와, 상기 출력 버퍼부(28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두 개의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는 게이트 펄스를 발생시켜 주는 게이트 펄스발생부(283')로 구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switch driver 28 receives the signal a output from the power factor control unit 27 and inverts the signal by using a sickle gate NOT7 and monostable multivibrator. (MM) inverts the pulse generator 281 'to adjust the pulse width, and outputs the NOT gate output and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MM) output of the pulse generator 281'. An output buffer unit 282 'capable of supplying sufficient current for driving a transistor, and a gate generating gate pulses capable of driving two switches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buffer unit 282' And a pulse generator 283 '.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각 소자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하고, 초기상태는 소프트 스위칭부(22)의 주 스위치(S1)와 보조 스위치(Sa)가 오프되어 있어서 다이오드(D)를 통해서 인덕터(L)의 전류를 필터 캐패시터(C)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First, assuming that each device is ideal, the initial state is the main switch (S1) and the auxiliary switch (Sa) of the soft switching unit 22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of the inductor (L) through the diode (D) filter capacitor It is the situation supplying to (C).

역률 제어부(27)에서 상기 소프트 스위칭부(22)의 주 스위치(S1)를 온시키기 위한 신호(a)를 출력하면, 이를 스위치 구동부(28)에서 Vg1단자로는 하이상태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Vg2단자로는 로우상태의 스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outputs a signal a for turning on the main switch S1 of the soft switching unit 22, the switch driver 28 outputs a switch control signal of a high state to the terminal Vg1. The low voltage switch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Vg2 terminal.

여기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28)의 동작에 대하여는 뒤에 도 7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driver 28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이에따라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소프트 스위칭부(22)의 주 스위치(S1)는 턴온되고, 보조 스위치(Sa)는 턴오프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A, the main switch S1 of the soft switching unit 22 is turned on and the auxiliary switch Sa is turned off.

상기 주 스위치(S1)가 턴온됨에 따라 공진 인덕터(Lr)에는 출력전압(Vo)이 걸리고, 공진 인덕터 전류 (iLr) 는, 도 6(b)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t0-t1 구간)As the main switch S1 is turned on, the resonant inductor Lr receives the output voltage Vo, and the resonant inductor current (i Lr ) Increases linearly, as shown in FIG. 6 (b). (T0-t1 interval)

이 공진 인덕터 전류 (iLr) 가 인덕터(L)의 전류 (IL) 와 같아지면, 다이오드(D)로 흐르는 전류 (ID) 는, 도 6(i)에서와 같이, 영(zero)이 되고, 보조공진 캐패시터(Cr1)와 Cr1 → Lr → S1의 패스로 공진을 해서 보조 스위치(Sa)의 전압은 도 6(d)에서와 같이 영으로 떨어진다.(t1-t2 구간)2 resonant inductor current (i Lr ) Is the current in the inductor (L) (I L ) If is equal to, the current flowing to the diode (D) (I D ) 6 is zero, as shown in FIG. 6 (i), and the resonance of the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Cr1 and Cr1? Lr? Falls to zero as in (t1-t2 section)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의 전압은 도 6(h)에서와 같이 영에서 출력전압(Vo) 까지 상승한다.The voltage of the diode D rises from zero to the output voltage Vo as shown in FIG.

t2구간 부터는 공진 인덕터 전류 VIN → L → Lr → S1 →Rs의 패스와, Da2 → Da1 → Lr → S1의 패스로 환류(Freewheeling)한다.Resonant inductor current from t2 V IN → Freewheeling to the path of L → Lr → S1 → Rs and the path of Da2 → Da1 → Lr → S1.

상기 소프트 스위칭부(22)의 주 스위치(S1)의 턴온시간이 끝나면, 역률 제어부(27)와 스위치 구동부(28)에 의하여 상기 주 스위치(S1)는 턴오프시키고, 보조 스위치(Sa)는 턴온시킨다.When the turn-on time of the main switch S1 of the soft switching unit 22 ends, the main switch S1 is turned off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and the switch driver 28, and the auxiliary switch Sa is turned on. Let's do it.

상기 보조 스위치(Sa)가 턴온되면, 공진 인덕터(Lr)를 통해 흐르는 공진 인덕터 전류 (iLr) 는 공진 인덕터(Lr) → 보조공진 캐패시터(Cr2) → 다이오드(Da1)의 패스를 통해 공진을 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영까지 떨어진다.(t3-t4 구간)When the auxiliary switch Sa is turned on, the resonant inductor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onant inductor Lr (i Lr ) Is resonated through the pass of the resonant inductor (Lr) →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Cr2) → diode (Da1) and drops to zero as shown in FIG. 6 (b). (T3-t4 section)

이 공진 인덕터 전류 (iLr) 가 영이 된 후 이번에는 공진 인덕터(Lr) → 보조 스위치(Sa) → 다이오드(Da2) → 보조공진 캐패시터(Cr2)의 패스로 계속 공진을 하여 공진 인덕터 전류 (iLr) 는 도 6(b)에서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공진하여 증가한다.(t4-t5 구간)2 resonant inductor current (i Lr ) After is zero, this time, the resonant inductor (Lr) → auxiliary switch (Sa) → diode (Da2) → auxiliary resonant capacitor (Cr2) continues to resonate to pass the resonant inductor current (i Lr ) Is increased by reson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6 (b) (t4-t5 section).

t5 구간에서 도 6(c)에서와 같이 보조공진 캐패시터(Cr2)의 전압이 영이되면, 공진 인덕터 전류 (iLr) 는 공진 인덕터(Lr)→ 보조 스위치(Sa) → 다이오드(D1)의 패스로 보조 스위치(Sa)가 온되어 있는 동안 계속해서 환류한다.When the voltage of the auxiliary resonance capacitor Cr2 becomes zero in the section t5 as shown in FIG. 6 (c), the resonance inductor current (i Lr ) Is continuously refluxed while the auxiliary switch Sa is turned on in the path of the resonant inductor Lr? Auxiliary switch Sa? Diode D1.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이 환류 기간을 될수록 짧게 해야 한다.To minimize losses, this reflux period should be as short as possible.

t6 구간에서, 보조 스위치(Sa)를 턴오프시키면, 공진 인덕터(Lr) → 공진 캐패시터(Cr1) → 다이오드(D)의 패스로 공진을 해서 공진 캐패시터(Cr1)의 전압인 보조 스위치(Sa)의 전압이 도 6(d)에서와 같이 출력전압(Vo) 까지 상승하고, 다이오드(D)의 전압은 도 6(h)에서와 같이 영으로 떨어진다.In the t6 section, when the auxiliary switch Sa is turned off, the resonant inductor Lr → resonant capacitor Cr1 → diode D is resonated in the path of the auxiliary switch Sa, which is the voltage of the resonant capacitor Cr1. The voltage rises to the output voltage Vo as shown in FIG. 6 (d), and the voltage of the diode D drops to zero as shown in FIG. 6 (h).

상기 보조 스위치(Sa)의 전압이 출력전압(Vo)과 같아지면 다이오드(D)가 도통하여 인덕터(L)의 전류 (IL) 를 부하(23)로 전해준다.When the voltage of the auxiliary switch Sa is equal to the output voltage Vo, the diode D conducts and the current of the inductor L (I L ) To the load 23.

이때 공진 인덕터(Lr)에는 출력전압(Vo)이 가해져서 공진 인덕터 전류 (iLr) 가, 도 6(b)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영으로 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voltage Vo is applied to the resonant inductor Lr so that the resonant inductor current (i Lr ) 6 decreases linearly to zero as shown in FIG.

이후에 다시 역률 제어부(27)와 스위치 구동부(28)에 의해 주 스위치(S1)를 온시키라는 신호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 상태가 유지되어 한 주기가 끝난다.Thereafter, this state is maintained until the signal for turning on the main switch S1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and the switch driver 28 again ends.

각 스위치의 스위칭시 항상 소프트 스위칭을 하기 때문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주 스위치(S1)에 흐르는 전류가 거의 인덕터(L)의 전류 (IL) 와 같기 때문에 온손실도 최소로 할 수 있다.Loss can be minimized because soft switching is always performed at the time of switching of each switch,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in switch S1 is almost the current of the inductor 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 L ) Since the on-loss can be minimized.

그러면 여기서 스위치 구동부(28)의 동작에 대하여 도 7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가령 역률 제어부(27)에서 도 9(a)에서와 같이 하이상태의 신호(a)를 출력하면, 그 신호(a)는 펄스 발생부(281)의 제1낸드게이트(ND1)를 통해 낸드링되어 도 9(b)에서와 같은 로우신호(b)를 출력한다.Then, the operation of the switch driver 28 will now be described based on FIG. 7. For example, if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outputs a high signal a as shown in FIG. A NAND ring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NAND gate ND1 of the pulse generator 281 to output a low signal b as shown in FIG. 9B.

상기 로우상태의 신호(b)는 제2,제3낸드게이트(ND2)(ND3)를 각각 순차적으로 통해 낸드링한 로우상태의 신호를 출력 버퍼부(282)의 인버터를 각각 통해 반전되는 하이상태의 신호(e)를 저항(R1)을 통해 게이트 펄스발생부(283)로 발생한다.The low state signal b is a high state in which a low state signal obtained by NANDing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NAND gates ND2 and ND3 is sequentially inverted through the inverter of the output buffer unit 282, respectively. Signal e is generated to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through the resistor R1.

이에따라 상기 게이트 펄스발생부(283)의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Accordingly, the transistor Q1 of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ff.

이에 전원전압단(Vcc)의 하이상태의 신호는 트랜지스터(Q1)와 게이트 저항부(283A)를 통해 Vg1단자로 하이상태의 펄스를 발생시킨다.Accordingly, the high state signa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cc generates a high state pulse to the Vg1 terminal through the transistor Q1 and the gate resistor 283A.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펄스 발생부(281)의 제1낸드게이트(ND1)를 통해 출력되는 로우상태의 신호(b)는 캐패시터(c)와 가변저항(VR)를 통해 제4낸드게이트(ND4)로 입력된다.Similarly, the signal b in the low state output through the first NAND gate ND1 of the pulse generator 281 is input to the fourth NAND gate ND4 through the capacitor c and the variable resistor VR. do.

그러면 상기 제4낸드게이트(ND4)는 도 9(c)에서와 같은 하이상태의 신호(c)를 출력 버퍼부(282)로 제공한다.Then, the fourth NAND gate ND4 provides the signal c of the high state as shown in FIG. 9C to the output buffer unit 282.

이에따라 상기 출력 버퍼부(282)는 그의 인버터를 통해 반전된 도 9(d)에서와 같은 로우상태의 신호(d)를 저항(R2)을 통해 게이트 펄스발생부(283)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output buffer unit 282 outputs the low-state signal d as shown in FIG. 9 (d) through the inverter to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through the resistor R2.

상기 저항(R2)을 통한 로우상태의 신호(d)는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Q4)는 턴온시킨다.The signal d in the low state through the resistor R2 turns off the transistor Q3 and turns on the transistor Q4.

상기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됨에 따라 로우상태의 펄스는 게이트 저항부(283B)를 통해 Vg2단자로 출력된다.As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n, a low pulse is output to the Vg2 terminal through the gate resistor 283B.

그리고, 역률 제어부(27)에서, 도 9(a)에서와 같이, 로우상태의 신호(a)가 입력되면 펄스 발생부(281)는 제2,제3낸드게이트(ND2)(N3)를 통해 낸드링된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시키고, 제4낸드게이트(ND4)를 통해서는 도 9(c)에서와 같이 로우상태의 신호(c)를 출력한다.In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as shown in FIG. 9A, when the low state signal a is input, the pulse generator 281 passes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NAND gates ND2 and N3. The NAND signal of the high state is output, and the signal c of the low state is output as shown in FIG. 9C through the fourth NAND gate ND4.

이렇게 출력신호는 각각 출력 버퍼부(282)를 통해, 도 9(d)(f)에서와 같이, 반전된 로우(e) 및 하이상태의 신호(d)를 각각 출력한다.In this way, the output signal outputs the inverted low (e) and high state signals (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 (d) through the output buffer unit 282.

이렇게 출력된 신호는 게이트 펄스발생부(283)의 Vg1, Vg2단자를 통해 최종적으로 로우 및 하이상태의 게이트 펄스를 발생시킨다.The signal thus output generates gate pulses of low and high states through Vg1 and Vg2 terminals of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이와같이 동작하다가 펄스 발생부(281)의 캐패시터(C)에 전압이 모두 충전되면 제4낸드게이트(ND4)의 한쪽 입력단으로는 로우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타측 입력단으로는 계속해서 하이상태의 신호가 입력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capacitor C of the pulse generator 281 is fully charged, the low signal is input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fourth NAND gate ND4. At this time, the signal of the high state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이에따라 상기 제4낸드게이트(ND4)를 통해 낸드링된 도 9(c)에서와 같이 하이상태의 신호(c)가 되고, 이는 출력 버퍼부(282)의 인버터를 통해 반전되어 도 9(d)에서와 같이 로우상태가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c), which is NAND ringed through the fourth NAND gate ND4, the signal c becomes a high state, which is inverted through the inverter of the output buffer unit 282, and thus, FIG. It goes low as in.

이때 출력 버퍼부(282)를 통한 e점의 출력신호는 계속해서 도 9(e)에서와 같이 로우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point e through the output buffer unit 282 continues to be low as shown in FIG.

결국 이때는 출력 버퍼부(28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e,d)는 각각 로우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signals e and d output through the output buffer unit 282 are respectively low.

여기서 d점의 파형이 보조 스위치(Sa)를 구동하는 파형이고, e점의 파형이 주 스위치(S1)를 구동하는 파형이 되는 것이다.The waveform at point d is a waveform for driving the auxiliary switch Sa, and the waveform at point e is a waveform for driving the main switch S1.

그리고, 스위치 구동부(28)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8 및 도 9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먼저 펄스 발생부(281')로 도 9(a)에서와 같은 하이상태의 신호(a)가 입력되면, 낫게이트(NOT7)에서 도 9(b)에서와 같이 반전시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의 입력단(+T)으로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river 2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rst, when the signal a having a high state as shown in FIG. 9 (a) is input to the pulse generator 281 ′. Inverted from the gate (NOT7), as shown in FIG. 9 (b), is provided to the input terminal (+ T)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MM).

그러면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는 저항(VR)과 캐패시터(C)의 시정수에 의하여 펄스폭을 변화시켜 출력 버퍼부(282')로 출력시킨다.Then,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MM changes the pulse width by the time constant of the resistor VR and the capacitor C and outputs the pulse width to the output buffer unit 282 '.

결국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는 도 9(c)에서와 같이 펄스폭을 조절하여 비반전단자 로 하나의 펄스를 출력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낫게이트(NOT7)의 출력을 펄스로 하여 출력한다.As a result,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MM adjusts the pulse width as shown in FIG. One pulse is outputted, and the other outputs the output of the natgate NOT7 as a pulse.

이에 상기 출력 버퍼부(282')의 두 개의 낫게이트(NOT8,NOT9)(NOT10,NOT11)는 펄스 발생부(282')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펄스를 각각 반전시켜 도 9(e)(f)에서와 같은 펄스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two knock gates NOT8 and NOT9 (NOT10 and NOT11) of the output buffer unit 282 'invert two pulses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282', respectively, to prevent the pulses from being generated. Output the same pulse as in

이렇게 출력된 신호는 게이트 펄스발생부(283)의 Vg1, Vg2단자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된다.The signal thus output is finally output through the Vg1 and Vg2 terminals of the gate pulse generator 283.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소프트 스위칭부(22)를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 제어신호가 역률 제어부(27)에서 제공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치 구동부(28)에서 생성하여 출력한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switc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oft switching unit 22 is generated and output by the switch driver 28 by the signal provided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따라서, 본 발명은 소프트 스위칭부의 스위치들을 소프트하게 스위칭하도록 하여 스위치 손실을 줄이고, EMI문제도 저감하고, 전체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가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oftly switching the switches of the soft switching unit to reduce the switch loss, reduce the EMI problem, and to reduce the price by compactly configuring the entire system.

Claims (5)

상용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1)의 출력을 받아서 입력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덕터(L)와, 상기 인덕터(L)를 거친 출력을 받아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프트 스위칭동작을 행하는 소프트 스위칭부(22)와, 두 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4)와, 상기 정류부(21)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25)와, 부하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26)와, 상기 각 검출부(24-26)에서 제공되는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소프트 스위칭을 위한 출력전압을 제공하는 역률 제어부(27)와, 상기 역률 제어부(27)의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소프트 스위칭부(22)의 스위치 및 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로 구성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부(28)는 역률 제어부(27)에서 출력되는 신호(A)를 받아 2개의 펄스를 만들어 주는 펄스 발생부(281)와, 상기 펄스 발생부(28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주며, 아울러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해 줄 수 있는 출력 버퍼부(282)와, 상기 출력 버퍼부(28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두 개의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는 게이트 펄스를 발생시켜 주는 게이트 펄스발생부(2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Inductor (L) for adjusting the input current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rectifier 21 for rectifying the commercial power, and the soft switching operation to receive the output through the inductor (L) to minimize the loss of the switch and diode A switching unit 22, a current detector 24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inductor L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two switching elements, and an input voltage detector 25 for detecting an output voltage of the rectifier 21. ), An output voltage detector 26 for detecting a voltage output to the load, and a power factor controller 27 for providing an output voltage for soft switching using the voltage and current provided from each of the detectors 24-26. And a switch driver configured to output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witch and the diode of the soft switching unit 22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power factor control unit 27. In the type converter, the switch driver 28 receives a signal A output from the power factor controller 27 to generate two pulses, and a pulse generator 281 and an output from the pulse generator 281. An output buffer unit 282 capable of inverting a signal and supplying sufficient current to drive a transistor; and a gate pulse capable of driving two switches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buffer unit 282. Low-loss switching driving circuit of the step-up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ate pulse generator (283) for generating a. 제1항에 있어서, 펄스 발생부(281)는 역률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두 입력단으로 받아들여 낸드링하는 제1낸드게이트(ND1)와, 상기 제1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낸드링하여 하나의 펄스를 만들어 주는 제2,제3낸드게이트(ND2,ND3)와, 상기 제1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를 일측입력단으로 받고, 그 출력신호를 캐패시터(C)와 가변저항(VR)을 통해서 타측입력단으로 받아들여 낸드링하여 다른 하나의 펄스를 만들어주는 제4낸드게이트(ND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2. The pulse generator 28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se generator 281 sequentially receives the first NAND gate ND1, which receives and outputs a signal provided from the power factor controller to two input terminals, and sequentially outputs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NAND gate ND1. Receive the output signals of the second and third NAND gates ND2 and ND3 and the first NAND gate ND1 to one side of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 the output signals to the capacitor C. A low-loss switching driving circuit of a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NAND gate (ND4) for accepting the other input terminal through a variable resistor (VR) to NAND to make another pulse. 제1항에 있어서, 펄스 발생부(281')는 역률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낫게이트와, 상기 낫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저항 및 캐패시터의 시정수에 의해 펄스폭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2. The pulse generating unit 28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se generator 281' receives a sickle gate for inverting a signal provided by the power factor controller and an output of the sick gate, and adjusts a pulse width by a time constant of a resistor and a capacitor. A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a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comprising a monostable multivibrator.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버퍼부(282')는 펄스 발생부에서 제공하는 두 개의 펄스를 각각 병렬연결된 3개의 낫게이트로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The low loss of the step-up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buffer unit 282 'is configured to invert two pulses provided by the pulse generator into three natgat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ing drive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출력 버퍼부(282)는 펄스 발생부에서 제공하는 두 개의 펄스를 각각 병렬 연결된 2개의 낫게이트로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The low-loss switching of the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buffer unit 282 inverts the two pulses provided by the pulse generator into two knock gates connected in parallel. Driving circuit.
KR1019980048420A 1998-11-12 1998-11-12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KR100339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420A KR100339539B1 (en) 1998-11-12 1998-11-12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420A KR100339539B1 (en) 1998-11-12 1998-11-12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79A true KR20000032079A (en) 2000-06-05
KR100339539B1 KR100339539B1 (en) 2002-09-26

Family

ID=1955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420A KR100339539B1 (en) 1998-11-12 1998-11-12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5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45A (en) *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파웰 High efficiency soft-switching AC-DC boost converter using coupled inductor and energy recovery circuit having power factor correction function
KR100393260B1 (en) * 2000-10-06 2003-07-31 김규 a pulse power supply using zero crossing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893B2 (en) * 1992-11-13 2000-10-03 松下電工株式会社 Power supp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260B1 (en) * 2000-10-06 2003-07-31 김규 a pulse power supply using zero crossing control method
KR20020074245A (en) *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파웰 High efficiency soft-switching AC-DC boost converter using coupled inductor and energy recovery circuit having power factor corr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539B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4540A (en) Inverter device for stable, high power-factor input current supply
KR1011761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ltage converting mode
KR100221705B1 (en) Power circuit for ac-dc conversion
US6269012B1 (en) Energy efficient power supply with light-load detection
US7825605B2 (en) DA/AC convert for driving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US20100289532A1 (en) Adaptation circuit for controlling a conversion circuit
US5508602A (en) Voltage boosting circuit with load current sensing
US20040095101A1 (en)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the power factor in power supply units with forced switching operating in transition mode
US6111763A (en) Switching power supply
US10804813B2 (en) Power inverter for reducing total harmonic distortion via duty cycle control
KR100339539B1 (en) Low Loss Switching Drive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KR100277513B1 (en)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ng Boost Converter
KR100359709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100277512B1 (en)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ng Boost Converter
US5883506A (en) Power supply with voltage stabilizing control circuit
KR100279629B1 (en) Switching Circuit of Step-up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KR100279604B1 (en) Soft Switch Single-Phase Active Rectifier with Power Factor Control
JP2003219652A (en) Power converter
JP2012029397A (en) Load driving device
KR100266598B1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for power factor correcting boost converter using soft switching technique
JP2975045B2 (en) Power supply
KR19990058750A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of boost converter for soft switching power factor control
JPH0421358A (en) Switching regulator
KR20040103610A (en) Sychronous Rectifier Type High Efficiency Power Correction Circuit
JPH11318083A (en) Three-phase full-wave rect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