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541A -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541A
KR20000030541A KR1020000011131A KR20000011131A KR20000030541A KR 20000030541 A KR20000030541 A KR 20000030541A KR 1020000011131 A KR1020000011131 A KR 1020000011131A KR 20000011131 A KR20000011131 A KR 20000011131A KR 20000030541 A KR20000030541 A KR 2000003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reservation
manager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희송
Original Assignee
김준수
웹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수, 웹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준수
Priority to KR102000001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541A/ko
Publication of KR2000003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6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업소의 실시간 예약 상황을 파악하여, 원거리에서 예약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을 이용자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컴퓨터 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컴퓨터,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예약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운영자의 서버, 자동 응답 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에서 요청 사항을 수신하여,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업소의 현재 예약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요청 사항을 예약이 가능한 업소로 전송하여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이 제공된다. 각 업소와 네트워킹(net-working)이 구현되어 실시간 자료의 제공이 가능하고, 인터넷이 접속되지 않는 장소에 위치하거나, 상기 업소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이용자의 경우에도 폭넓은 범위의 업소의 이용이 가능하며, 급히 업소를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예약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on by using the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업소의 실시간 예약 상황을 파악하여, 원거리에서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이용자가 원격지에서 숙박 업소 등의 예약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어지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첫째,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업소로 전화를 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업소 이용 희망 시간에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예약을 하는 방법이다.
둘째, 서비스 이용자가 특정 지역에 대해 여행을 하거나 할 경우에 특정 서비스 업체(예를 들어, 여행사, 이벤트 회사, 등)를 통하여 예약을 하는 방법이다.
셋째, 상기 두 방법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개선된 방법이며, 업소 관리자의 고객 유치의 욕구와 서비스 이용자의 편리함을 접목시킨 방법으로서 양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컴퓨터 예약 시스템(CRS: Computerized Reservation System)을 들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방법 중에서 첫째와 둘째 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예약 시스템(CRS)의 본질적 용도는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대리점에서 단말기를 통하여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접속하여 비행기, 열차 등과 같은 운송 수단의 좌석을 예약할 수 있는 시스템(예를 들어, 철도청의 발권 단말기, 등)을 말한다.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 단말기에서 실시간 온라인으로 접근하여 예약 업무를 한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예약 시스템(CRS)을 적용하는 범위는 상기 운송 수단의 좌석을 예약하는 단순한 용도에서 발전하여 호텔 등의 숙박 업소의 예약까지도 가능하도록 넓어지고 있다.
상기 컴퓨터 예약 시스템(CRS)을 이용하여 호텔을 예약하는 방법에서는 또한 두 가지 방법으로의 구분이 가능하다.
첫째, 특정 호텔에서 통신망을 통한 예약 관리가 가능하도록 통신망 상에 특정한 공간(예를 들어, 홈페이지, 특정 사이트 등)을 개설하고, 상기 공간에 서비스 이용자가 접속을 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하는 방법이다. '신라호텔(http://www. shilla.samsung.co.k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둘째, 특정 서비스 운영자가 복수의 호텔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예약 관리를 대행하여 주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공간 내에서 그랜드하얏트 호텔, 르네상스 호텔, 서울 올림픽 파크텔, 서울 힐튼호텔, 쉐라톤워커힐호텔, 스위스그랜드 호텔, 신라호텔 등의 예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호텔 페이지 (http://www.hotelpage.com)'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예약 시스템(CRS) 이외에도 자동 응답 시스템(ARS : Audio Response System, Automatic Response Service)을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ARS)은 사람의 손에 의해 음성 정보를 제공하던 것을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음성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대폭적인 인력 감축 및 편의성 증대 등의 효과 때문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ARS)은 기억 장치의 대용량화, 고집적화, 고속화, 음성의 디지털화, 음성 압축 기술의 진보 등에 의해 크게 다음의 두 가지 흐름으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합성 음성에 의한 음성 응답 서비스이며, 임의의 단어를 합성할 수 있다는 특성을 살려 인명, 지명 등이 필요한 은행, 증권 회사, 유통 기관 등의 잔고 조회, 통지 서비스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축적 음성에 의한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음성을 그대로 녹음, 재생할 수 있다는 축적 장치의 특성을 살린 음성 메일(mail)서비스에 이용된다.
상기 자동 응답 서비스(ARS)는 다른 단말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통의 전화기만으로도 가능한 정보 교환 서비스이다.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ARS)보다 한발 앞선 응답 시스템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와 간역 키 패드(Key pad)를 이용해 음성 정보와 함께 정지 화상 정보, 동화상 정보도 뽑아볼 수 있는 화상 응답 시스템(VRS : Video Response System)도 있다.
그러나, 종래 예약 시스템은 각 업소와 네트워킹(net-working)이 구현되지 않는 단순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차원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업소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숙박 업소의 전화번호를 알아낸 후 문의해야 하는 곤란함이 있다.
또한, 특정 업소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상기 업소의 예약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숙박 업소와 관련하여, 종래 예약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호텔 등의 대형, 고급 숙박 업소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용자들이 상기 예약 시스템을 이용하여 숙박 업소를 예약하는 경우에는 숙박 업소 선택의 폭이 다분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예약 시스템은 이용자가 특정 위치나 심야 시간 등의 특정 시간에 급히 숙박 업소를 예약하는 방법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숙박 업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et-work)의 구성은 각 업소마다 다른 시스템(system)이 사용되어 기반 시설(infrastructure)의 미비로 재구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호텔 이외의 민박 업소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인터넷 기반 시설을 갖추지 못한 숙박 업소는 상기 네트워크(network) 상의 통합 시스템(system)의 저장 장치 내에 숙박 업소의 현재 예약 현황이 포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숙박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예약이 가능한 숙박 업소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예약 방법으로는 극장, 운동 경기장, 회의장에 대해 원하는 시간에 대한 예약만이 가능하여 상기 이용자가 특정 좌석의 예약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놀이 시설이나 운동 시설 중 특정 시설을 반복하여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에 대한 예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은 컴퓨터 통신망의 보급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이용자가 현재 상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업소와 네트워킹(net-working)이 구현되어 실시간 자료의 제공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업소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자가 인터넷이 접속되지 않는 장소에 위치하거나, 상기 업소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이용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호텔, 콘도 등의 대형, 고급 숙박 업소뿐 아니라,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등의 소규모, 영세 사업자까지 네트워킹(net-working)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숙박 업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제한하지 않는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특정 위치나 심야 시간 등의 특정 시간에 급히 숙박 업소를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용자가 원하는 숙박 업소의 예약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업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et-work)의 구성은 각 업소마다 다른 시스템(system)이 사용되더라도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킹(net-working)이 가능한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통신망을 갖추지 못한 영세한 업소는 전화를 이용한 자동 응답 시스템을 통하여 업소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극장, 운동 경기장, 회의장에 대해 원하는 시간에 대한 예약뿐 아니라, 상기 이용자가 원하는 좌석의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놀이 시설이나 운동 시설 중 특정 시설을 반복하여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에 대해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통신망의 보급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이용자도 전화망을 이용하여 현재 상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예약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예약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화면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서 숙박 업소 등록의 화면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120 : 기지국
130 : 유선 전화기 140 : 자동 응답 시스템
150 : 서버 160 : 저장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에 결합된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업소는,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소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업소 관리자는 컴퓨터,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숙박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숙박 업소의 위치, 등급,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업소의 위치, 등급, 이용 가능 좌석의 수량, 지정 가능 좌석,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시간,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업소 관리자가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은, 업소 관리자가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전화, 무선 호출기의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 팩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예약 번호, 업소의 위치,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시간, 지정 좌석,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수단은 전자 메일, 무선 호출기, 휴대폰, 유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상기 업소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소 관리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소의 식별자는 당해 업소의 우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요건은 적어도 지역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로부터 지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역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당해 지역의 소식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상황 정보는, 업소 코드, 업소명, 업소 구분, 지역 코드, 주소, 국내/해외 구분, 전화 번호, 평수, 숙박 업소의 등급, 숙박 업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약도, 숙박 업소의 전경, 준공 일자, 등록 일자, 기간별 가격, 교통편, 숙박 업소에 관한 설명, 숙박 업소에서 사용 가능한 외국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수단;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수단;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수단;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수단;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수단;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업소는,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소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업소 관리자는 컴퓨터,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전화, 무선 호출기의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 팩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업소의 위치, 등급,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좌석의 수량, 지정 가능 좌석, 이용 가능 시간,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적어도 예약 번호와 업소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전자 메일, 무선 호출기, 휴대폰, 유선 전화기, 팩스 중 이용자가 미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은 인터넷에 결합되어 있거나 자동 응답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상기 업소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은, 업소 관리자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소의 식별자는 당해 업소의 우편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요건은 적어도 지역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로부터 지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역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당해 지역의 소식을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현재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복수의 관리자에 의해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상기 관리자에 의해 현재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현재 상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은 이용자(100), 서비스 운영자(102), 숙박 업소 관리자(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이용자(100), 서비스 운영자(102) 및 업소 관리자(104)간에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수행 단계를 간략히 설명하며, 각 수행 단계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시스템은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후로는 숙박 업소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간간이 다른 시설에 적용되는 설명을 추가하기로 한다.
우선,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104)가 전화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운영자(102)의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 및 객실 상황을 입력하거나, 또는 통신망과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운영자(102)의 서버로 접속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 및 객실 상황을 입력한다.
상기 업소의 상황은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의 경우에는 좌석 예약 상황, 시설 예약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100)가 상기 서비스 운영자(102)측으로 숙박 업소의 예약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운영자(102)는 상기 수신한 예약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적합한 숙박 업소 관리자(104)에게 예약 상황을 통보한다.
상기 예약 상황의 통보가 종료되면, 상기 서비스 운영자(102)는 상기 이용자(100)에게 상기 예약과 관련한 서류(예를 들어, 예약 확인서, 예약 통지서 등)를 발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120), 유선 전화기(130), 컴퓨터(140), 자동 응답 시스템(ARS : Automatic Response Service)(150), 서비스 운영자 서버(160), 저장 장치(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 상기 유선 전화기(130) 및 상기 컴퓨터(140)는 이용자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하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우선 이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숙박 업소 예약을 시도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신호를 상기 기지국(120)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으로 연결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수행한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유선 전화기(130)로 숙박 업소 예약을 시도하면 상기 유선 전화기(130)의 신호는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으로 연결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수행한다.
상기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은 교환기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전화를 연결하여 음성 데이터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또한, 이용자가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140)를 이용하여 숙박 업소 예약을 시도하면, 상기 컴퓨터(140)의 신호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 서버(160)로 연결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 장치(170)는 상기 이용자의 예약 정보 및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의 숙박 업소 현황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 상기 유선 전화기(130) 및 상기 컴퓨터(140)는 숙박 업소 관리자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 등을 갱신하기 위한 단말 장치이다.
우선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숙박 업소 예약 상황의 갱신을 시도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신호를 상기 기지국(120)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으로 접속한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유선 전화기(130)로 숙박 업소 예약을 시도하면 상기 유선 전화기(130)의 신호는 공중 전화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으로 접속한다.
상기 접속된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을 실시간으로 또는 필요한 시기마다 갱신한다.
또한, 숙박 업소 관리자가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컴퓨터(140)를 이용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의 갱신을 시도하면, 상기 컴퓨터(140)의 신호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 서버(160)로 연결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 상황의 갱신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저장 장치(170)는 상기 이용자의 예약 정보 및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의 숙박 업소 현황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예약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서비스 이용자(230)가 서비스 운영자(220)의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과 서비스 운영자 서버(160)로 접속을 요청한다(240).
상기 이용자(230)의 요청에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의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150)과 서비스 운영자(220) 서버(160)로부터 접속 승인 신호를 발생한다(250).
상기 접속 승인 신호는 전화기의 경우에는 안내 메시지 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컴퓨터로 접속할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의 홈페이지(homepage) 초기 화면을 상기 이용자(230)의 화면상에 출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승인을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230)에 대하여 회원 인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는 저장 장치로부터 호텔, 모텔, 콘도, 여관, 여인숙, 민박을 포함하는 숙박 업소 중 예약이 가능한 숙박 업소 자료를 검색, 추출(260)한 후, 상기 이용자(230)에게 예약이 가능한 지역 목록을 전송한다(280).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전화기의 경우에는 안내 메시지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 내용을 '서울 지역은 1번, 경기 지역은 2번 등'으로 이용자(230)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접속할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지역을 상기 이용자(230)의 화면상에 출력한 후, 상기 이용자(230)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상에 상기 서비스 지역을 표시한 후, 상기 이용자(230)가 번호를 입력하여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230)가 숙박 업소 예약을 희망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 측으로 전송한다(290).
상기 희망 지역을 표시하는 방법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도' 지역을 표시한 후, 상기 이용자(230)가 특정 도 지역을 선택하면, 다시 상기 선택된 도 지역에 해당하는 '시' 지역을 표시하여 상기 이용자(230)의 재 선택을 요청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을 반복적으로 이용하여, 세밀한 지역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는 상기 지역 선택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지역 내에서 숙박 업소 예약이 가능한 숙박 업소 관리자의 목록을 상기 이용자(230) 측으로 전송한다(300).
상기 전송된 숙박 업소 관리자의 목록을 상기 이용자(230)가 수신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 지역 표시 방법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230)가 상기 수신한 숙박 업소 관리자의 목록에서 원하는 숙박 업소 관리자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 측으로 전송한다(310).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가 제공할 수 있는 예약 조건을 상기 이용자(230) 측으로 전송한다(320).
예를 들어, 상기 예약 조건은 예약 날짜, 숙박 일수, 방의 평수, 방이 위치한 층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예약 조건에서 상기 이용자(230)가 원하는 사항을 입력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 측으로 전송한다(330).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는 상기 수신한 예약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 장치(170)를 검색하여,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예약 조건을 만족하여 숙박 업소 예약이 불가능하다면, 상기 이용자(230)에게 사유를 통보한다.
상기 사유를 통보하는 방법은 안내 메시지 또는 화면상에 대화 창을 생성하는 방법 등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상기 예약 조건을 만족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이 가능하면, 상기 저장 장치(170)내에서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항목을 검색하여 추출(350)한 후 상기 이용자(230) 측으로 전송한다(370).
상기 서비스 항목은 룸서비스(room service), 특정 시설 이용 여부, 특정 이벤트 준비 여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용자(23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항목 중에서 희망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 측으로 전송한다(380).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항목을 상기 저장 장치(170)에 저장한다(390).
이후,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는 상기 이용자(230)가 지정한 예약 조건 정보, 서비스 항목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와 상기 이용자(230)에게 예약 확정 통지를 한다(400, 410).
상기 예약 확정 통지와 함께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 측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예약 조건 정보, 서비스 항목 정보뿐 아니라 상기 이용자(230)의 전화번호, 이름 등을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210)는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 측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용자(230)에게 예약 확인 통지를 한다(420).
상기 예약 확인 통지의 방법은 직접적인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이메일(E-mail)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210)는 상기 예약이 확정된 자료를 상기 저장 장치(170)로 입력하여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210)가 제공이 가능한 숙박 업소 정보를 갱신한다(430, 440).
상기 갱신하는 시기는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210)의 숙박 업소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언제라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230)가 전화를 이용하여 숙박 업소의 예약을 하기를 희망하는 특정 숙박 업소의 해당 코드를 알고 있다면, 해당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도 숙박 업소 관리자(210)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코드는 상기 숙박 업소가 위치하는 지역, 숙박 업소의 종류, 숙박 업소의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를 숙박 업소가 위치하는 지역, 숙박 업소의 종류, 숙박 업소의 번호로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서울의 '스위스 그랜드 호텔'의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에,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동'에 위치하므로 우편번호가 120-100이다.
또한, 숙박 업소의 종류를 구분할 때 호텔은 1, 콘도는 2, 모텔은 3, 여관은 4, 여인숙은 5, 민박은 6으로 한다면 숙박 업소 종류는 1번이 된다.
또한, 숙박 업소의 번호는 동일 지역에 위치하고 동일한 종류인 복수의 숙박 업소를 일련 번호로 나열했을 때의 번호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동'에 위치한 호텔이 10개가 있으며, 그 중 '스위스 그랜드 호텔'이 3번째 위치한다고 한다.
따라서, 서울의 '스위스 그랜드 호텔'의 코드는 '120100-1-3'으로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드에 상기 이용자(230)가 희망하는 방의 평수, 욕실 유무와 취사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수의 적용 번호가 '15평이면 1번, 20평이면 2번, 25평이면 3번, 등'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욕실 유무에 따라 '욕실이 있으면 1번, 욕실이 없으면 2번'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개별 취사 여부에 따라 '개별 취사가 가능하면 1번, 개별 취사가 불가능하면 2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이용자(230)가 서울의 '스위스 그랜드 호텔'의 20평의 방에 숙박하기를 희망하며, 욕실이 필요하고 개별 취사의 필요가 없다면 상기 이용자(230)는 숙박 업소 코드로서 '120100-1-3-2-1-2'로 입력함으로써 예약 조건의 입력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예시와는 별도로 다른 코드 체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코드 체계를 이용하여 복수의 숙박 업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숙박 업소 관리자(210)는 상기 서비스 운영자(220)로부터 부여받은 특정 코드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은 이후에,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210)의 숙박 업소의 예약 정보 등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예약의 단계는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우선, 공연장, 운동 경기장, 극장의 경우에는 우선 상기 방법으로 지역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지역 내에 위치한 업소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업소에서 상기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예를 들어, 상영 회차 등)을 선택한 후, 예약이 가능한 좌석을 선택하여 예약이 가능하다.
이후, 극장의 경우에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서울에 위치한 이용자가 1인의 동행자와 함께 특정 영화를 '단성사' 극장에서 관람하기를 희망할 경우에, 우선 지역을 '서울 지역'으로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지역 내에서 상기 극장이 위치한 지역을 한정하여 선택한다. 상기 예에서 '단성사' 극장을 선택하였으므로 '종로'지역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선택된 '종로'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극장(예를 들어, 허리우드 극장, 단성사 극장, 중앙 극장 등) 중에서 이용자가 희망하는 '단성사'극장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극장에서 상영하는 복수의 상영 회차 중 희망하는 회차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회차에서 예약이 가능한 좌석 정보를 안내 메시지를 통해 들은 후에 원하는 좌석의 위치와 수량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후 상기 이용자가 입력하여 예약한 사항이 안내 메시지를 통해 다시 한번 출력되어 이용자의 확인을 요청한다.
물론, 상기의 단계는 안내 메시지를 통해 선택이 가능하며, 웹 네비게이션 기능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표시부를 참조하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예와 같은 방법의 코드를 이용한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교통 수단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특정 이용자가 2000년 5월 5일 오전 10시에 1인의 동행과 함께 서울역에서 출발하여 부산까지 여행을 하고자 한다.
상기의 경우에, 우선 안내 메시지에 따라 여행 일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원하는 여행 일시를 숫자를 통해 일괄 입력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 따르면, '200005051000'으로 입력한다.
이후, 출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서울은 1번, 경기도는 2번, 등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1번을 입력한다.
이후, 출발할 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서울역은 1번, 영등포역은 2번, 등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1번을 입력한다.
이후, 여행할 철도선을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경부선은 1번, 장항선은 2번, 등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1번을 입력한다.
이후, 상기 선택된 경부선에 해당하는 역명을 출력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평택은 1번, 조치원은 2번, 부산은 3번, 등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3번을 입력한다.
이후, 상기 서울-부산간 열차에서 상기 이용자가 희망하는 좌석 정보를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석은 1번, 식당칸은 2번, 일반석은 3번 등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후, 상기 선택된 좌석 정보에 부합하며, 좌석 예약이 가능한 좌석 번호를 출력하며, 또한 예약을 희망하는 좌석의 수량을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된다.
상기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이용자의 교통 수단에 대한 좌석 예약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예약은 전화망뿐 아니라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도 가능하며, 상기 단계의 교환 및 추가 등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 있어서, 예약 정보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2을 참조하여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서비스 운영자와 숙박 업소 관리자의 시스템이 네트워킹(net- working)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 장치(170)를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 측에서 설치한 경우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이용자(530)가 서비스 운영자(520)에게 접속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540).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은 상기 이용자(530)에게 접속 승인(550)을 한 후,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으로 서비스 가능 여부의 질의를 전송한다(560).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는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의 질의에 실시간으로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570).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의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숙박 업소 관리자(510) 목록을 작성하며, 지역별로 분류하여 상기 이용자(530) 측으로 전송한다(580).
이후, 상기 이용자(530)가 숙박 업소 예약을 희망하는 지역을 선택한 후,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510) 중에서 희망하는 숙박 업소 관리자(510)를 선택하여 예약 조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590, 600).
이후,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는 수신한 예약 조건 정보를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으로 전송한다(610).
이후, 선택된 숙박 업소 관리자(510)는 상기 수신한 예약 조건 정보를 바탕으로 예약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예약 가능 여부를 검사한다(620).
상기 검사 결과가 만약 예약이 불가능하다면, 상기 검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검사 결과가 만약 예약이 가능하다면,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630).
이후, 서비스 운영자(52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항목을 상기 이용자(530) 측으로 전송(640)하고, 상기 이용자(530)는 희망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650).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항목 정보를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으로 전송한다(660).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항목을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여 갱신(670)한 후, 예약 확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 측으로 전송한다(680).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는 상기 수신한 예약 확정 정보를 상기 이용자(530) 측으로 전송(690)하며, 또한, 상기 예약 확정 정보를 서비스 운영자(520)의 미확인 정보 저장 영역 내에 저장한다(700).
이후,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510) 측은 내부적으로 예약 확인 작업(예약 통지 및 확인 작업) 등을 수행(710)한 후 서비스 운영자(520)와 상기 이용자(530)에게 예약 확인 통지를 전송한다(720).
상기 서비스 운영자(520)는 상기 수신한 예약 확인 통지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한 미확인 정보를 삭제한다(730).
상기 예약의 단계는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예약 시스템의 화면 표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프레임(frame)에는 지도가 표시되어 있으며, 우측 프레임(frame)은 조건 지정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좌측 프레임(frame)은 이용자가 예약이 가능한 지역의 표시가 지도 형태로 나타나며, 상기 지도를 이용하여 예약이 가능한 숙박 업소를 위치별로 구분하여 이용자의 용도에 적합하게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 프레임 상의 지도에서 상기 이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한 지역이 화면상에 확대되어 출력되며, 상기 지역내에 위치한 숙박 업소 관리자의 목록이 표시된다.
상기 좌측 프레임의 초기 지도상에는 서울/경기도, 서울, 인천, 충청도, 대전, 청주, 전라도, 광주, 제주, 강원도, 춘천, 경상도, 대구, 진주, 부산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지도에서 '서울/경기도' 지역을 선택하면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울/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숙박 업소 관리자의 목록이 표시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된 '서울/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숙박 업소 관리자(예를 들어, 청평 풍림 콘도, 산정호수 한화 콘도 등)의 목록이 지도상에 개략적인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산재하여 출력되며, '예약 가능 호텔 콘도 추가 목록'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6에서 특정 숙박 업소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되어진 숙박 업소의 전경, 주소, 부대 시설, 교통편, 주변 관광지 등의 상세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예약 가능 호텔 콘도 추가 목록'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도 7과 같은 화면 표시가 출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도상에 표시된 호텔과 콘도와 관련한 할인율, 정상가, 할인가, 등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용자가 희망하는 가격의 숙박 업소의 업소명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은 상세 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상에 표시되는 특정 숙박 업소의 숙박 업소의 전경, 주소, 부대 시설, 교통편, 주변 관광지 등의 상세 정보를 열람한 후, 이용자가 상기 숙박 업소에 예약하기를 희망한다면, 예약 버튼을 선택하여 예약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예약이 가능한지 여부의 조회도 가능하며, 상기 전경은 동화상으로의 제작도 가능하다.
상기 지도상에 숙박 업소의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첨부 도면과 같이 호텔, 콘도만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동일 지도상에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등의 숙박 업소의 목록을 병행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도상에 숙박 업소의 등급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상에 호텔, 콘도,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icon)을 위치하게 하여,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숙박 업소의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우측 프레임(frame)에서 사용자가 '지역명', '숙박 일정', '일일 숙박비'를 선택하여 검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지정한 조건에 적합한 숙박 업소의 목록을 사용자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지역명' 항목 중에는 강원도 지역, 경기도 지역, 경상도 지역, 전라도 지역, 제주도 지역, 충청도 지역,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인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 안함' 항목을 포함하여 특정 지역의 선택 없이 숙박 업소의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숙박 일정' 항목은 창을 클릭(click)하여 특정 숫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상기 이용자가 희망하는 숙박 일정의 기간동안 숙박 예약이 가능한 숙박 업소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일일 숙박비' 항목은 50,000원 이하, 50,000원 ~ 70,000원, 70,000원 ~ 100,000원 등과 같은 가격 구분을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가 특정 금액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금액에 해당하는 숙박 업소의 검색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선택 항목은 숙박 업소의 종류를 선택하는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박 업소의 종류는 호텔, 콘도,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등이며, 상기 복수의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 개의 종류를 동시에 선택하여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지도상에 숙박 업소의 등급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상에 호텔, 콘도,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icon)을 위치하게 하여,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숙박 업소의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명을 '경기도'로 지정하고, 숙박 일정을 '2000년 4월 10일부터 2000년 4월 13일'로 지정하고, 일일 숙박료를 '50,000원에서 70,000원'의 범위로 지정한 후, 검색 버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도 8과 같은 검색 결과가 이용자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도 9는, 이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과 상기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가 지역, 시/군, 일일 숙박료, 호텔/콘도명, 평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된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검색 결과에서 상기 이용자가 희망하는 특정 숙박 업소를 선택하면 상기 다시 도 8과 같은 상세 정보가 이용자의 화면상에 출력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예약 시스템에서 숙박 업소 등록의 화면 표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숙박 업소 중에 호텔과 콘도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숙박 업소의 등록 화면은 코드 입력 항목, 상품명 입력 항목, 호텔 또는 콘도 구분 항목, 국내 또는 국외 구분 항목, 지역 코드 입력 항목, 주소 입력 항목, 전화 번호 입력 항목, 호텔 등급 입력 항목, 콘도 평수 입력 항목, 객실 수 입력 항목, 교통편 등을 입력 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도 10의 항목 이외에 하기 휴가 등의 특정 기간을 위해 기간별 가격을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1의 입력에 따라 도 12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도 12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항목의 수정도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 내지 도 11에 부대 시설 코드와 보유 여부의 항목을 더 포함하여,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가 입력한 경우를 표시한다.
물론, 상기 숙박 업소의 상황이 변경된 경우는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숙박 업소에서 예약 가능 상황을 업소 코드의 입력, 예약 가능 일자의 입력, 방 코드의 입력, 예약 가능한 방의 수량 입력, 가격 입력 등을 이용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사항 등은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 측에서 변동 사항이 있을 경우마다 재 입력하여 갱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특정 수량의 데이터베이스를 원격지에 위치한 복수의 관리자에 의해 갱신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물류 서비스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특정 기업의 영업소가 서울, 부산, 강릉, 광주 등에 산재하여 있으며, 중앙 물류 창고가 위치한 서울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수량만큼의 물량을 원하는 지역으로 운송하여야 하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만약, 데이터베이스가 서울의 중앙 물류 창고 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타 지역의 추가 물량의 필요성 유무를 판단하여 운송하도록 하는 경우에, 타 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물류 현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갱신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동 응답 시스템 및 인터넷을 이용한 접속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릉 지역의 관리자가 물류 창고를 검사하여 물량을 확인한 후, 필요 물량을 현장에서 전화기를 통해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상기 지역의 해당 코드를 입력하여 인증을 얻은 후에 필요 물량의 수량, 종류, 필요한 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심야 시간 등에도 물량의 주문 및 요청 등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방법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물량의 주문 및 요청 등의 정보 갱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관리자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갱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가 위치한 장소가 대한민국의 서울이고, 상기 복수의 관리자가 베트남, 말레이시아 내의 컴퓨터 통신망이 보급되지 않는 오지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리자는 특정 정보에 대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전송이 전화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구축되어 있는 정보의 코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의 전송 및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숙박 업소와 네트워킹(net-working)이 구현되어 실시간 자료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숙박 업소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자가 인터넷이 접속되지 않는 장소에 위치하거나, 상기 숙박 업소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호텔 등의 대형, 고급 숙박 업소뿐 아니라, 모텔, 여관, 여인숙, 민박 등의 소규모, 영세 사업자까지 네트워킹(net-working)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숙박 업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용자가 특정 위치나 심야 시간 등의 특정 시간에 급히 숙박 업소를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용자가 원하는 숙박 업소의 예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숙박 업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et-work)의 구성은 각 업소마다 다른 시스템(system)이 사용되더라도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네트워킹(net-working)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컴퓨터 통신망을 갖추지 못한 영세한 숙박 업소는 전화를 이용한 자동 응답 시스템을 통하여 숙박 업소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극장, 운동 경기장, 회의장에 대해 원하는 시간에 대한 예약뿐 아니라, 상기 이용자가 원하는 좌석의 예약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놀이 시설이나 운동 시설 중 특정 시설을 반복하여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의 예약이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 통신망의 보급이 활성화되지 않은 지역에 위치한 이용자도 전화망을 이용하여 현재 상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Claims (42)

  1. 통신망에 결합된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소는,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업소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는 컴퓨터,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가 숙박 업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숙박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숙박 업소의 위치, 등급,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가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업소의 위치, 등급, 이용 가능 좌석의 수량, 지정 가능 좌석,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시간,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업소 관리자가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은,
    업소 관리자가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입력 상황을 확인하는 방법은,
    통신망과 결합된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전화, 무선 호출기의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 팩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예약 번호, 업소의 위치,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시간, 지정 좌석,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전자 메일, 무선 호출기, 휴대폰, 유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상기 업소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소 관리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의 식별자는 당해 업소의 우편 번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건은 적어도 지역 선택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지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역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당해 지역의 소식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가 숙박 업소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숙박 업소 관리자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예약 상황 정보는,
    업소 코드, 업소명, 업소 구분, 지역 코드, 주소, 국내/해외 구분, 전화 번호, 평수, 숙박 업소의 등급, 숙박 업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약도, 숙박 업소의 전경, 준공 일자, 등록 일자, 기간별 가격, 교통편, 숙박 업소에 관한 설명, 숙박 업소에서 사용 가능한 외국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업소 서비스 제공 방법.
  23.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수단;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수단;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수단;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수단;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수단;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수단;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소는,
    숙박 업소, 공연장, 교통 수단, 운동 경기장, 회의장, 극장, 놀이 시설, 운동 시설, 음식점, 연회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업소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는 컴퓨터,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예약 정보를 전화, 무선 호출기의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 팩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29. 제23항에 있어서,
    각 업소의 위치, 등급, 객실 평수, 이용료, 이용 가능 기간, 이용 가능 좌석의 수량, 지정 가능 좌석, 이용 가능 시간, 이용 가능 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업소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적어도 예약 번호와 업소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예약 확인 정보는,
    전자 메일, 무선 호출기, 휴대폰, 유선 전화기, 팩스 중 이용자가 미리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은 인터넷에 결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은 자동 응답 시스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상기 업소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은,
    업소 관리자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고,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로부터 당해 업소의 예약 상황 정보를 입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업소의 식별자는 당해 업소의 우편 번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건은 적어도 지역 선택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8. 제23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지역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역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당해 지역의 소식을 전송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
  3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예약 확인 정보를 통지하는 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미리 지정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관리 시스템.
  40.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이용자로부터 검색 요건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건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업소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장치.
  41. 복수의 업소의 예약 상황이 저장되어 있는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업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업소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업소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당해 업소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업소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업소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업소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42.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복수의 관리자에 의해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관리자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자를 자동 응답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단계;
    미리 정해진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관리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와, 상기 관리자에 의해 현재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현재 상황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KR1020000011131A 2000-03-06 2000-03-06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0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131A KR20000030541A (ko) 2000-03-06 2000-03-06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131A KR20000030541A (ko) 2000-03-06 2000-03-06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541A true KR20000030541A (ko) 2000-06-05

Family

ID=1965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131A KR20000030541A (ko) 2000-03-06 2000-03-06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541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047A (ko) * 2000-11-04 2001-02-05 김주현 실시간 무선예약 시스템
KR20010035238A (ko) * 2001-01-20 2001-05-07 한석순 해외공연 입장권을 이용한 비즈니스모델
KR20010111250A (ko) * 2000-06-09 2001-12-17 강성분 온라인 공연 예매방법 및 그 예매에 이용되는 발권 단말기
KR20020016066A (ko) * 2000-08-24 2002-03-04 최용택 티켓 발급시스템과 티켓 발급방법 및 티켓 발급시스템용단말장치
KR20020017497A (ko) * 2000-08-30 2002-03-07 이기원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관광 정보 시스템
KR20020021557A (ko) * 2000-09-15 2002-03-21 이정훈 호텔 프로그램의 에이에스피 서비스제공 및 인터넷 예약시스템과 그방법
KR20020021964A (ko) * 2000-09-18 2002-03-23 송제훈 온라인 네트워크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한 문화상품 제공방법
KR20020032513A (ko) * 2002-04-17 2002-05-03 안상권 커뮤니티를 활용한 프랜차이징 서비스의 운영 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82741A (ko) * 2001-04-19 2002-10-31 권오선 시설의 이용가능 정보 제공용의 주 서버, 서버 시설서버와 그것을 사용하는 시설의 이용 가능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20084367A (ko) * 2001-04-30 2002-11-07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여행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05755A (ko) * 2001-07-10 2003-01-23 아이패스 주식회사 휴대 전화를 이용한 놀이 공원에서의 쌍방향 예약장치 및예약방법
KR20030023950A (ko) * 2001-09-14 2003-03-26 김광삼 네트 워크를 통한 관광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WO2003027930A1 (en) * 2001-09-28 2003-04-03 Imc Direct Inc. Real time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67416A (ko) * 2002-02-08 2003-08-14 (주)비앤비코리아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KR20040033988A (ko) * 2002-10-16 2004-04-28 이명재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예약/관리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40043398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인텔리먼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약 및 확인 시스템 및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기록매체
KR100596018B1 (ko) * 2002-01-31 2006-07-03 오봉욱 실시간 통합 예약 방법
KR20190115337A (ko) 2018-04-02 2019-10-11 고은혜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102542933B1 (ko) * 2022-11-04 2023-06-16 주식회사 마이스링크 Mice 행사를 위한 부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056A (ja) * 1994-09-20 1996-04-12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予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9293100A (ja) * 1996-04-26 1997-11-11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宿泊予約装置および電話による自動宿泊予約方法
US5832451A (en) * 1996-01-23 1998-11-03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Automated travel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JPH11338952A (ja) * 1998-05-22 1999-12-10 Image Ei:Kk リアルタイム自動予約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056A (ja) * 1994-09-20 1996-04-12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予約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5832451A (en) * 1996-01-23 1998-11-03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Automated travel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JPH09293100A (ja) * 1996-04-26 1997-11-11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宿泊予約装置および電話による自動宿泊予約方法
JPH11338952A (ja) * 1998-05-22 1999-12-10 Image Ei:Kk リアルタイム自動予約システム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250A (ko) * 2000-06-09 2001-12-17 강성분 온라인 공연 예매방법 및 그 예매에 이용되는 발권 단말기
KR20020016066A (ko) * 2000-08-24 2002-03-04 최용택 티켓 발급시스템과 티켓 발급방법 및 티켓 발급시스템용단말장치
KR20020017497A (ko) * 2000-08-30 2002-03-07 이기원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관광 정보 시스템
KR20020021557A (ko) * 2000-09-15 2002-03-21 이정훈 호텔 프로그램의 에이에스피 서비스제공 및 인터넷 예약시스템과 그방법
KR20020021964A (ko) * 2000-09-18 2002-03-23 송제훈 온라인 네트워크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한 문화상품 제공방법
KR20010008047A (ko) * 2000-11-04 2001-02-05 김주현 실시간 무선예약 시스템
KR20010035238A (ko) * 2001-01-20 2001-05-07 한석순 해외공연 입장권을 이용한 비즈니스모델
KR20020082741A (ko) * 2001-04-19 2002-10-31 권오선 시설의 이용가능 정보 제공용의 주 서버, 서버 시설서버와 그것을 사용하는 시설의 이용 가능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20084367A (ko) * 2001-04-30 2002-11-07 쌍용정보통신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여행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05755A (ko) * 2001-07-10 2003-01-23 아이패스 주식회사 휴대 전화를 이용한 놀이 공원에서의 쌍방향 예약장치 및예약방법
KR20030023950A (ko) * 2001-09-14 2003-03-26 김광삼 네트 워크를 통한 관광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WO2003027930A1 (en) * 2001-09-28 2003-04-03 Imc Direct Inc. Real time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100596018B1 (ko) * 2002-01-31 2006-07-03 오봉욱 실시간 통합 예약 방법
KR20030067416A (ko) * 2002-02-08 2003-08-14 (주)비앤비코리아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KR20020032513A (ko) * 2002-04-17 2002-05-03 안상권 커뮤니티를 활용한 프랜차이징 서비스의 운영 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33988A (ko) * 2002-10-16 2004-04-28 이명재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예약/관리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040043398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인텔리먼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티켓 예약 및 확인 시스템 및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기록매체
KR20190115337A (ko) 2018-04-02 2019-10-11 고은혜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102542933B1 (ko) * 2022-11-04 2023-06-16 주식회사 마이스링크 Mice 행사를 위한 부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0541A (ko)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JP5945797B2 (ja) クライアントの旅行者を地理的に関連するデータに接続する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
US200501446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KR20050109919A (ko) 컨텐츠 제작, 배급, 상호작용,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01542923A (zh) 用于递送媒体的方法、系统和装置
WO2010043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match mapping
CN102172007A (zh) 集成社交网站信息的会议网络系统
CN101542941A (zh) 用于递送媒体的方法、系统和装置
KR100984691B1 (ko) 멀티 인터넷주소를 이용한 다중관계 다차원구조 인터넷데이터 양방향 웹사이트 관리시스템
JP202117424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TW201131504A (en) Group reservation support system
US20210027332A1 (en) Method of operating short-term rental restaurant and persuading users to visit short-term rental restaurant based on profile
US20130006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display of time sensitive information
US20060015491A1 (en)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an online reservation system for real estate properties
Beaver Lack of CRS accessibility may be strangling small hoteliers, the lifeblood of European tourism
KR20170138366A (ko) 네트워크를 통한 사업장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2218A (ko) 인터넷을 이용한 호텔 예약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2019067165A (ja) 予約システム
JP2004178000A (ja) 予約システム、予約装置、予約方法及び予約プログラム
JP2003085439A (ja) 広告情報流通システム
KR20180001120A (ko) 온라인 식당 예약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00059118A (ko) 전자 메일을 이용한 모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130018A (ja) サーバ装置、予約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134682A (ja) 施設席の予約方法と装置
KR20040074765A (ko) 무료 및 할인카드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