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990A -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 Google Patents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990A
KR20000023990A KR1020000000096A KR20000000096A KR20000023990A KR 20000023990 A KR20000023990 A KR 20000023990A KR 1020000000096 A KR1020000000096 A KR 1020000000096A KR 20000000096 A KR20000000096 A KR 20000000096A KR 20000023990 A KR20000023990 A KR 2000002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delivery
post
withdrawal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이성균
유인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균, 유인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균
Priority to KR102000000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3990A/en
Publication of KR2000002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99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keeping and transmitting articles based upon a bar code and a post is provided to perform a real time management for all processes from custody of article to discovery of article by using a network and a bar code. CONSTITUTION: A system for keeping and transmitting articles based upon a bar code and a post comprises a post, a special custody case, an automatic envelope/bar code sticker issue device, a receipt issue device, a bar code reading device, and a computer system. The post is installed to keep and transmit articles. The special custody case comprises a separated plate(1) for performing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articles within the post. The computer system controls the automatic envelope/bar code sticker issue device, the receipt issue device, and the bar code reading device. The system performs an information-intensive work for a whole process to receive, deliver, input, and output the articles by connecting the computer system to a network.

Description

바코드와 포스트를 기초로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Bar 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

본 발명은 최초 물품보관 및 전달 요청에서부터 시작하여 물품을 찾는데까지 일어나는 모든 과정을 네트워크시스템과 바코드로 실시간 관리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으로 물품 및 전달함의 바코드화로 인한 물품 이동 상황의 실시간 정보화, 포스트를 근간으로 하는 배달시스템, 물품의 효율적 투입과 인출을 위해 시스템과 연결된 특수보관함, 이로 인한 전달시간의 단축, 물품의 조밀한 보관, 저비용 등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은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물품을 찾을 수 있거나 전달과정이 실시간으로 정보화 되지 않거나 전달시간이 길거나 비용이 많이 들거나 물품보관을 위해 넓은 장소가 필요하거나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l-time information and post-information of the goods movement situation due to the barcode of the goods and the delivery box to the goods storage and delivery system that manages everything from the initial request for storage and delivery to finding the goods in real time with a network system and a barcode. Based on the delivery system, special storage boxes connected to the system for the efficient input and withdrawal of goods, resulting in shortened delivery time, compact storage of goods, and low cost. Conventional goods storage and delivery system has the disadvantages that only the person with the key can find the goods, the delivery process is not informed in real time, the delivery time is long or expensive, or a large place is required for the goods storage. .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의 보관 및 전달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작업을 작업이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바코드스티커와 네트워크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화하고, 물품을 조밀하게 보관할 수 있는 특수보관함을 물품을 맡기고 찾는 포스트내에 설치함으로써 지하철 플렛폼과 같은 좁은 장소에도 쉽게 포스트를 세울 수 있도록 하고, 물품의 인수, 이동, 보관, 인계 등을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하여 물품전달시간을 단축하고, 물품번호만으로도 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 전화ARS 시스템 등을 통해 고객이 물품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포스트배달의 경우 짧은 전달시간과 저비용이 가능하여 소형물품(CD, 책자 등)의 전자상거래 유통시스템으로 쓰기가 용이하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ll the work occurring in the storage and delivery of the goods at the same time the work takes plac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barcode stickers and network system in a special storage box that can be stored in a compact manner By placing the product in the post where the goods are stored and placed, the post can be easily set up in a narrow place such as subway platform, and the product delivery time can be shortened by making it easy and convenient to receive, move, store, and take over the goods. It allows users to find items by their numbers, and allows customers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goods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and telephone ARS system. In the case of post delivery, short delivery time and low cost are possible. E-commerce distribution system is easy to use .

※ 용어정의※ Definition of terms

포스트 : 물품을 맡기고 찾는 곳으로 물품의 출발지, 물품 이동의 중간 경로, 목적지 등이 되며 지하철 플렛폼, 버스터미널, 편의점 등 교통의 요소에 설치된다.Post: It is a place where goods are stored and placed. It is a starting point of goods, an intermediate route of goods movement, a destination, etc., and is installed in transportation elements such as subway platform, bus terminal, and convenience store.

바코드스티커 : 물품의 일련번호, 배달주소코드 등이 바코드로 정보화되고 이들과 함께 인쇄되거나 배달주소, 주소코드 등을 기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도 5], [도 9]와 같은 스티커Barcode Sticker: Stickers such as [Fig. 5] and [Fig. 9] in which the serial number of the goods, the delivery address code, etc. are made into a barcode and printed with them, or the delivery address, the address code, etc. can be written.

바코드스티커번호 : 바코드스티커에 새겨진 물품의 일련번호Barcode Sticker Number: Serial number of the item engraved on the barcode sticker.

추가번호 : 바코드스티커번호 뒤에 추가되는 번호Additional number: number added after barcode sticker number

물품번호 : 바코드스티커번호와 추가번호를 합친 번호Item Number: Barcode Sticker Number and Additional Number

주소코드 : 물품이 배달될 주소를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포스트를 분류하여 코드화한 것과 일반주소를 분류하여 코드화한 것(우편번호 등)이 있다.Address code: A number representing the address to which the goods will be delivered. There are two types of codes classified by the post and one classified by the general address (zip code, etc.).

포스트배달 : 포스트로 물품을 배달하는 것으로 찾는 사람은 포스트에서 물품을 찾는다.Post delivery: A person who finds the item delivered by post finds the item in the post.

주소지배달 : 일반 택배나 등기우편처럼 주소지로 물품을 배달하는 것Address delivery: delivery of goods to an address, such as regular courier or registered mail

[도 1] 은 분리판을 나타낸 것으로 손잡이(2), 물품 투입지시등(3), 인출지시등(4), 시스템과 지시등을 연결하는 회로선(5) 등으로 구성된다.FIG. 1 shows a separator plate and is composed of a handle 2, an article input indicator 3, a pullout indicator 4, and a circuit line 5 connecting the system and the indicator lamp.

[도 2] 는 분리판들로 구성된 보관함의 한 층을 나타낸 것으로 분리판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물품이 투입된다.Figure 2 shows a layer of the storage compartment consisting of the separator plates that the separator is movable from side to side and the goods are put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separator.

[도 3] 은 포스트내에 설치되는 보관함을 나타낸 것. 이 보관함은 30개의 분리판으로 구성되는 단(층)을 4개 쌓아 올린 것으로 최대 120개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Figure 3 shows a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post. The stack is a stack of four tiers consisting of 30 separators and can hold up to 120 items.

[도 4] 는 물품을 투입하는 봉투의 뒷면을 나타낸 것으로 봉투의 윗면에 접착스티커(8)가 붙여져 있어 이 스티커를 떼고 봉투를 붙일 수 있다.Fig. 4 shows the back side of the envelope into which the article is placed, and an adhesive sticker 8 is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envelope so that the sticker can be removed and the envelope can be attached.

[도 5] 는 바코드스티커를 나타낸 것으로 배달주소의 이름, 주소코드, 바코드스티커번호(일련번호)가 있고 이들 정보가 바코드로 인쇄되어 있다.FIG. 5 shows a bar code sticker, which includes a name of a delivery address, an address code, a bar code sticker number (serial number), and these pieces of information are printed in a bar code.

[도 6] 은 봉투의 앞면에 바코드스티커를 붙인 모습을 나타낸 것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ticking a barcode sticker on the front of the envelope

[도 7] 은 물품영수증을 나타낸 것7 shows the receipt of goods

[도 8] 은 고객이 물품을 찾을 때 기재하는 인출청구서를 나타낸 것Figure 8 shows the withdrawal invoices that customers write when looking for goods

[도 9] 는 포스트가 아닌 주소지에서 물품을 인수할 때 직원이 가지고 가는 것으로 바코드스티커와 영수증이 한쌍이며 바코드스티커에는 일련번호만 있고 주소코드와 배달주소는 직원이 기입한다. 바코드스티커는 물품에 붙이고 영수증은 절취선(9)을 잘라 고객에게 준다.Figure 9 is taken by the employee when taking the goods at the address other than the post, a bar code sticker and a receipt is a pair, the bar code sticker has only a serial number and the address code and delivery address is written by the employee. The barcode sticker is attached to the goods, and the receipt is cut to the perforation line 9 and given to the customer.

[도 10] 은 광센서가 부착된 분리판으로 분리판의 오른쪽 중앙에 부착된 광발신소자(10)에서 나오는 빛을 그 오른쪽 분리판의 왼쪽 중앙에 부착된 광수신소자(11)가 수신하여 물품의 유무를 확인한다. 물품이 없을 때는 광수신소자가 빛을 수신하나 물품이 있으면 광발신소자에서 나오는 빛이 물품에 가려 광수신소자에 전달되지 못한다.10 is a light receiving devic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eft side of the right separation plate receives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0 attached to the right center of the separation plate as the optical sensor attached plate Check for the presence of goods. When there is no article, the light receiving element receives light, but if there is an article,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blocked by the article and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도 11] 은 탄력있는 접지선(14)과 이 접지선에 접지되는 접지판(12)을 부착한 분리판으로 물품이 투입되기전에는 접지선이 오른쪽 분리판의 접지판에 붙어 전류가 흐르고 물품을 투입하면 접지선이 물품에 밀려 뒤로 휘어지면서 접지판과 떨어지게되어 전류의 흐름이 끊어지는데 전류의 흐름을 체크하여 물품의 유무를 확인한다.11 is a separator attached with a flexible grounding wire 14 and a grounding plate 12 grounded to the grounding wire before the article is put into the grounding plate of the right side separating plate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article. The ground wire is pushed back to the item and bent back to the ground plate so that the current flows off. Check the current flow to check the presence of the item.

[도 12] 는 분리판과 시스템을 회로선으로 연결하여 전기 신호로 분리판의 지시등을 제어하지 않고 레이저 등의 빛으로 지시등을 제어하는 광제어 분리판으로 광흡수소자(17)에 빛을 쏘면 광섬유(16)를 통해 지시등(15)에 불이 들어온다.12 is a light control separation plate that connects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system with a circuit line to control the indicator with light such as a laser without controlling the indicator of the separator by an electric signal, The indicator light 15 lights up through the optical fiber 16.

[도 13] 은 광흡수소자의 위치를 달리하여 나타낸 50개의 광제어 분리판으로 각 분리판에 들어 있는 번호(1~50)는 광흡수소자의 위치를 나타냄FIG. 13 shows fifty light control separators with different positions of the light absorbing elements, wherein the numbers 1 to 50 in each separator indicate the positions of the light absorbing elements.

[도 14] 는 [도 13] 의 50개의 광제어 분리판을 보관함의 한 단(층)에 넣고 빛을 쏘는 방향인 보관함의 우측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모습으로 1~50의 번호는 각 분리판의 광흡수소자 위치를 나타냄[FIG. 14] is a view of the 50 light control separators of [13] in one stage (layer) of the storage box and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storage box in the direction of light shooting.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light absorbing element of the plate

[도 15] 는 광제어 분리판에 레이저 등의 빛을 쏘는 모습을 나타낸 것1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hooting light, such as a laser on the light control separation pl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분리판1: Separator

2 : 분리판의 손잡이로 손잡이를 잡고 분리판을 좌우로 이동시킴2: Grasp the handle with the handle of the separator and move the separator from side to side

3 : 물품을 투입할 때 켜지는 투입지시등3: Input indicator light that is turned on when loading the goods

4 : 물품을 인출할 때 켜지는 인출지시등4: The withdrawal indicat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goods are withdrawn

5 : 시스템과 지시등을 연결하는 회로선5: Circuit line connecting system and indicator light

6 : 분리판의 식별번호6: identification number of separator

7 : 포스트내에 설치되는 보관함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분리판 등으로 구성됨.7: The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post consists of a separation plate that can move from side to side.

8 : 봉투를 붙일 수 있도록 접착제가 발라져 있는 스티커로 이 스티커를 떼고 봉투를 붙일 수 있다.8: You can peel off the sticker and attach the envelope with a sticker that has been glued to attach the envelope.

9 : 절취선9: perforated

10 : 광발신소자로 빛을 발사함10: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11 : 광수신소자로 광선발신소자에서 오는 빛을 수신함11: Receives light from a light emitting device as a light receiving device

12 : 접지판(도체)12: ground plate (conductor)

13 : 회로13: circuit

14 : 접지선으로 탄력있는 도체로 만들어지며 물품이 없을 때는 오른쪽 분리판의 접지판에 닿아 있어 전류가 흐름14: It is made of elastic conductor with ground wire, and when there is no goods, it touches the ground plate of right side plate and current flows.

15 : 광제어 분리판의 지시등15: indicator light of the light control separator

16 : 광섬유16: optical fiber

17 : 광흡수소자17: light absorption element

18 : 광발신기18: optical transmit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 바코드와 포스트를 기초로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은 크게 네트워크로 중앙시스템에 연결된 포스트들로 구성되는데 포스트는 봉투/바코드스티커 자동발매기, 영수증 발급기, 특수보관함, 바코드리드기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형물품을 맡기고 찾는 포스트는 지하철 플랫폼, 버스터미널, 편의점 등에 세워질 수 있는데 포스트에는 [도 3]과 같은 특수보관함이 있고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가능한 분리판(1)들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판은 투입지시등(3), 인출지시등(4), 시스템연결회로선(5), 손잡이(2) 등으로 구성되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관함내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며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물품이 투입된다. 이 분리판은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어서 시스템으로부터 물품 투입 신호가 들어오면 투입지시등에 불(예:적색불)이 들어오고 물품 인출 신호가 들어오면 인출지시등에 불(예:청색불)이 들어오도록 구성되어진다. 봉투/바코드스티커 자동발매기는 [도 4]와 같은 봉투와 [도 5]와 같은 바코드스티커를 발매하는 자동발매기이며 봉투는 상단에 접착스티커(8)가 붙여져 있어 이를 떼고 봉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바코드스티커 또한 일반스티커와 같이 아랫부분을 벗겨내고 봉투에 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영수증 발매기는 [도 7]과 같은 영수증을 인쇄하는 인쇄기이다. 이들 분리판, 봉투/바코드스티커 자동발매기, 영수증 발급기 등은 포스트내의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되어 있고 이는 다시 중앙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져 있어 어떤 포스트에서도 서로의 상황을 알수 있도록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을 물품을 맡기고 찾는 과정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스트에서 물품을 전달하고자 하는 발송인(고객)은 봉투/바코드스티커 자동발매기에 돈을 넣고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을 통해 배달주소(주소지명 또는 포스트명)를 선택하여 봉투와 바코드스티커를 발매받는데 바코드스티커에는 배달주소와 물품의 일련번호가 바코드로 정보화되어 인쇄되며 배달주소는 배달주소의 이름과 이를 분류하여 번호로 나타낸 코드(우편번호, 포스트코드 등)로 구성된다. 자동발매기와 포스트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전달하고자하는 포스트의 보관용량이 넘치면 자동발매기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고객에게 알려준다. [도 4]와 같은 접착스티커가 붙여진 봉투를 발매받은 후 소형 물품을 집어넣고 스티커(8)를 벗겨내어 봉투를 봉합한 후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스트로 배달할 물품이면 포스트배달란에 발송인/수취인의 이름과 연락처를 적고, 주소지로 보낼 물품이면 발송인/수취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적는데 발매기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닌 일반 봉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품의 배달주소와 일련번호가 인쇄된 [도 5]와 같은 바코드스티커를 [도 6]과 같이 봉투 앞면의 상단에 붙인 후 포스트의 직원에게 맡기면 포스트직원은 이를 바코드리드기로 읽어 들인 후 영수증을 발급한다. 자동발매기를 통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 직원에게 배달주소를 말하여 직원이 이 배달주소를 시스템에 입력하고 바코드스티커와 영수증을 출력하여 바코드스티커는 물품에 붙이고 영수증은 고객에게 건넬 수도 있다. 영수증에는 [도 7]과 같이 발급포스트명, 배달주소, 주소코드, 발급일자, 물품번호 등이 인쇄되어 있는데 물품번호는 바코드스티커에 인쇄된 일련번호(바코드스티커번호) 뒤에 몇자리의 번호가 추가되어 있다. 물품을 찾을 사람은 바코드스티커번호와 추가번호가 합쳐진 물품번호를 알아야 물품을 찾을 수 있으므로 물품전달과정에서 다른 사람에게 바코드스티커번호가 노출되어도 우려할 것은 없다. 이렇게 인수한 물품들은 물품의 전달 경로에 따라 구분되어지고 일련번호와 바코드가 새겨진 전달함에 투입되는데 전달함은 박스, 푸대, 가방, 차량 등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전달함은 더 상위의 전달함으로 투입되는데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논현동으로 배달될 물품을 전달함1에 넣고 서울 강남구 서초동으로 배달될 물품을 전달함2에 넣은 후 이 두 전달함을 서울 강남구로 배달될 전달함3에 넣는 식이다. 전달함에는 전달함 일련번호와 바코드가 새겨져 있고 포스트와 주소지를 적절히 분류한 배달주소와 주소코드를 적는 란이 있다. 전달함의 바코드를 읽거나 일련번호를 입력하여 전달함을 시스템에 등록하고 전달함이 전달되어야할 주소코드를 입력한 후 물품을 전달함에 투입하는데 물품을 투입할 때도 물품의 바코드를 읽거나 바코드스티커번호(일련번호)를 입력하여 전달함과 물품 사이의 대응관계를 시스템에 등록한다. 이렇게 되면 이송 도중 전달함N안에 들어 있는 전달함M을 분리하여 다른 경로로 가는 전달함K안에 넣는다 했을 때 전달함 사이의 대응관계의 변화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것만으로 그 안에 든 물품들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포스트도 일종의 전달함이 된다. 포스트에서는 가장 큰 단위의 전달함(차량 등)의 바코드를 읽거나 일련번호를 입력하여 그 안에 들어 있는 모든 물품들이 포스트에 도착하거나 떠났다는 것을 정보화하고 차량 등으로 이동 중에는 위성서비스를 통하거나 직원이 휴대폰등으로 이동상황을 중앙시스템에 등록하여 차량(하나의 전달함)안에 든 모든 물품들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정보화한다. 이렇게 되면 모든 물품은 전달함 단위로 이동되므로 이동 경로가 바뀌는 가장 상위의 전달함을 체크하는 것만으로 그 안에 든 모든 물품들의 이동상황, 도착예정시각 등을 파악할 수 있게된다. 먼저 포스트 배달의 경우 물품은 해당 포스트로 이동되는데 포스트가 지하철 플랫폼에 있다면 지하철을 통해 물품이 이동될 것이다. 물품이 포스트로 이동되어져 어느정도 쌓이면 포스트 직원이 투입모드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물품은 [도 3]과 같은 물품보관함의 분리판과 분리판 사이에 투입되는데 분리판 오른쪽에 투입된 물품번호가 분리판과 일대일 대응되는 것으로 약속한다. 투입모드로 전환하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물품을 투입할 수 있는 분리판의 투입지시등(예를 들어 붉은색)을 켜서 깜빡이고 분리판의 번호를 불러준다. 포스트 직원은 이를 확인하고 물품을 바코드리드기로 읽어 삑- 소리로 제대로 읽었음을 확인한 후 해당 분리판 오른쪽에 물품을 투입하는데 투입지시등은 바코드가 읽히면 몇초간 깜빡이지 않고 켜져 있다가 꺼진다. 이는 투입하는 사람에게 분리판의 번호와 물품의 번호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시스템에 입력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분리판의 번호와 오른쪽에 투입된 물품의 물품번호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시스템에 입력된다. 그러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그 다음 투입가능한 분리판의 투입지시등을 켜서 깜빡이고 분리판번호를 불러주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두터운 물품이 많이 투입되어 더 이상 물품을 투입할 수 없는데도 시스템이 투입할 수 없는 분리판을 지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보이는 물품보관함은 하나의 단에 30개의 분리판이 들어 있고 이러한 단이 세로로 4개 쌓여 있어 120개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데 1단에 투입된 물품들이 두터워서 20개의 물품을 투입하고 나니 1단에는 더 이상 투입할 여유 공간이 없는데 시스템은 1단의 21번째 분리판을 지시하고 있다고 하자. 이때는 물품을 투입하는 포스트의 직원이 여유공간이 있는 다른 단을 시스템에 지정하여 주어 이 단에서부터 새로 투입을 지시하도록 시스템을 재설정하여 준다. 물품을 찾을 사람이 [도 8]과 같은 인출청구서를 작성하여 건네면 이를 포스트 직원이 받아 물품번호를 직접 시스템에 입력하거나 문자(숫자)인식기에 넣는다. 물품을 찾는 사람이 많으면 인출청구서를 모아서 받고 이들의 물품번호를 계속하여 시스템에 입력하며 상황을 보아 어느 정도 입력이 끝나면 시스템을 인출모드로 전환한다. 인출모드로 전환하면 시스템이 최초에 입력된 물품번호에 대응되는 분리판의 인출지시등(예를어 파란색)을 켜서 깜빡이고 분리판의 번호를 불러준다. 그러면 포스트 직원이 해당 분리판의 오른쪽에 있는 물품을 인출하고 물품의 바코드를 바코드리드기로 읽는다. 이때 읽기가 성공하면 시스템에서 삑- 소리가 나며 인출지시등이 꺼진다. 이렇게 되면 해당 물품번호와 분리판의 일대일 대응이 해제되며 시스템은 그 다음으로 입력된 물품번호에 대응되는 분리판의 인출지시등을 켜서 깜빡이고 분리판의 번호를 불러주는 과정을 반복한다. 인출과정이 끝나면 포스트의 직원이 인출한 순서대로 연체료 등을 시스템에서 확인하고 물품을 찾는 사람에게 건네준다. 일정 시간이 지나도 찾지 않는 물품은 별도의 물품보관장소로 옮겨지는데 이때는 직원이 일정시간초과 물품 모드로 시스템을 전환한다. 그러면 시간이 초과된 물품이 들어있는 분리판의 인출지시등들에 한꺼번에 불이 들어 오고 직원이 불이 들어온 분리판의 오른쪽에 있는 물품들을 모두 인출한 후 모두 인출하였음을 시스템에 등록한다. 물품보관장소도 포스트와 같이 분리판으로 구성된 보관함과 이를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이 있어 포스트와 같이 물품번호만 알고 있으면 물품을 찾을 수 있다. [도 10]은 분리판의 오른쪽 중앙에 광발신소자(10)를, 왼쪽 중앙에 광수신소자(11)를 부착한 것으로 물품이 투입되기전에는 왼쪽 분리판의 광발신소자에서 나오는 광신호를 오른쪽 분리판의 광수신소자가 계속 수신하나 물품이 투입되면 물품이 광발신 진로를 차단하여 광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는 것을 이용하여 물품이 투입되고 인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시스템에 반영하도록 한 분리판이다. [도 11] 은 분리판의 오른쪽에는 탄력있는 도체 접지선(14)을, 왼쪽에는 접지판(12)을 부착한 것으로 물품이 투입되기전에는 접지선이 오른쪽 분리판의 접지판에 붙어 전류가 흐르고 물품을 투입하면 접지선이 물품에 밀려 뒤로 휘어지면서 접지판과 떨어져 전류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물품이 투입되고 인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시스템에 반영하도록 한 분리판이다. [도 12] ~ [도 15]는 레이저 등의 빛을 분리판의 광흡수소자(17)에 쏘아 이 빛으로 지시등을 제어하는 광제어 분리판을 나타낸 것으로 분리판과 시스템사이에 물리적인 연결선이 없다. 고객의 주소지로 가서 물품을 인수할 때의 물품관리도 바코드스티커를 기초로 하는데 이때는 직원이 [도 9]와 같은 바코드스티커-영수증을 미리 준비하여 간다. 이 중 바코드스티커는 절취하여 인수받은 물품에 붙이고 영수증은 주소코드, 배달주소, 서명란을 기입한 후 고객에게 준다. 물품이 배달되어야 할 배달주소와 이에 해당되는 주소코드를 바코드스티커에 기입하고 주소코드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은 포스트로 물품을 가지고 와서 할 수도 있고 휴대폰, 노트북 등의 통신수단으로 이동중인 직원이 중앙시스템에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물품을 주소지로 인계한 후에도 이들 상황을 포스트에서 모아 중앙시스템에 등록하거나 인계한 직원이 직접 중앙시스템에 등록한다. 이렇게 되면 물품의 이동상황이 실시간으로 정보화되므로 물품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물품번호만으로 인터넷/전화ARS 등을 통해 물품의 이동경로, 도착예정시각 등 물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같은 바코드스티커-영수증은 다른 식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는데 물품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의 앞면은 바코드스티커의 정보를 담고 스티커의 뒷면은 영수증의 정보를 담아 스티커를 벗겨내어 앞면은 물품에 붙이고 뒷면 영수증은 고객에게 주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The article storage and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barcode and pos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posts connected to the central system largely by a network. The post is an envelope / bar code sticker automatic vending machine, a receipt machine, a special storage box, It consists of a bar code reader and a computer system for controlling them,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osts entrusted with small items can be found in subway platforms, bus terminals, convenience stores, etc. There are special storage boxes such as [FIG. 3], which can be moved from side to side as shown in [FIG. 2]. It is composed. As shown in FIG. 1, the separator consists of an input indicator light 3, an indicator light 4, a system connection circuit line 5, a handle 2,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I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goods are put between the separator plate and the separator plate. The separator is connected to the system so that when the product input signal comes from the system, the input indicator light (e.g. red light) lights up and when the product withdrawal signal comes on, the light indicator (e.g. blue light) lights up. It is done. The envelope / bar code sticker automatic ticket machine is an automatic ticket machine that releases an envelope as shown in [Fig. 4] and a barcode sticker as shown in [Fig. 5]. The envelope has an adhesive sticker (8) attached to the top to seal and seal the barcode. The sticker can also be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envelope like a regular sticker. The receipt dispenser is a printing machine that prints a receipt as shown in FIG. 7. These separators, envelope / bar code sticker dispensers, and receipt machines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system in the post, which in turn is networked to the central system so that any post can see each other's situation. 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entrusting and finding the goods as follows. First, the sender (customer) who wants to deliver the goods at the post puts money into the envelope / bar code sticker vending machine and selects the delivery address (address or post name) through the touch screen or button to release the envelope and barcode sticker. On the sticker, the delivery address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goods are printed with a barcode, and the delivery address is composed of a name of the delivery address and a code (post code, post code, etc.) classified by the number. Vending machines and posts are network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posts to be delivered is over, the vending machine notifies the customer in real time. After receiving the envelope with the adhesive sticker attached as shown in FIG. 4, the small item is put in, the sticker 8 is peeled off, the envelope is sealed, and as shown in FIG. Write the name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nsignee / recipient, and if the item is to be sent to the address, write the sender / recipient's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address. After attaching the barcode sticker like [Fig. 5] printed with the delivery address and serial number of the item to the top of the front of the envelope as shown in [Fig. 6], and entrusting it to the post employee, the post employee reads it with the barcode reader and issues a receipt. do. Instead of using a vending machine, the customer directly tells the employee the delivery address, and the employee enters the delivery address into the system, prints the barcode sticker and receipt, attaches the barcode sticker to the goods, and passes the receipt to the customer. Issuance post name, delivery address, address code, issuance date, article number, etc. are printed on the receipt as shown in [Fig. 7]. The article number is a number of digits added after the serial number (barcode sticker number) printed on the barcode sticker. It is. The person who finds the item must know the item number of the barcode sticker number plus the additional number so that the person can find the item. Therefore, there is no concern when the barcode sticker number is exposed to other people during the delivery process. The received good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livery route of the goods and put into the delivery box engraved with the serial number and the barcode. The delivery box may appear in various forms as needed, such as boxes, bags, bags, and vehicles. The delivery box is put into a higher delivery box, for example, to deliver the goods to be delivered to Nonhyeon-dong, Gangnam-gu, Seoul, and to the delivery to Seocho-dong, Gangnam-gu, Seoul. Put it in box 3. The delivery box is engraved with the delivery serial number and bar code, and contains a delivery address and address code that properly classifies the post and address. Register the delivery box to the system by reading the barcode of the delivery box or by entering the serial number and input the address code to which the delivery box should be delivered. Enter (serial number) to register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elivery box and the goods in the system. In this case, when transporting the transport box M contained in the transport box N during transport, and put it in the transport box K going to another route, the chang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ransport boxes is registered in the system,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goods contained therein You can figure it out, and posts are a kind of delivery box. In the post, read the barcode of the largest unit (vehicle, etc.) or enter a serial number to inform that all items in or out of the post have arrived or departed. The mobile status is registered in the central system with the mobile phone and the information of the movement status of all items in the vehicle (one delivery) is informed in real time. In this case, all the goods are moved in the delivery box, so by checking only the uppermost delivery box in which the moving path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vement status of each item in the delivery,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and the like. First, in the case of post delivery, the goods are moved to the corresponding posts. If the posts are on the subway platform, the goods will be moved through the subway. When the goods are moved to the post and stacked to some extent, the post staff switches the system to feed mode. The goods are put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separator plate of the goods storage box as shown in FIG. 3, and the article number put on the right side of the separator promises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separator. When switching to feed mode, the system will automatically flash the feed indicator (e.g. red) on the divider to load the item and call up the divider number. The post staff checks this, reads the item with the barcode reader, confirms that it has been read aloud, and then loads the item on the right side of the separator. The input indicator turns on and off for a few seconds when the barcode is read. This is to confirm that the inputter has entered the system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the separator plate. 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separator and the item number of the item put on the right side correspond to the system in one-to-one correspondence. Then the system will automatically turn on the flashing indicator light of the next insertable separator and repeat the process of calling up the separator number.The separator can not be loaded even though the system can not insert any more thick goods. There may be a case that indicates. For example, the goods storage box shown in FIG. 3 contains 30 separator plates in one stage, and these stages are stacked vertically in four, so that 120 items can be stored. Suppose there is no more free space in the first stage, but the system is pointing to the 21st divider in the first stage. In this case, the staff of the post injecting the goods assigns another stage with free space to the system and resets the system to instruct new input from this stage. When the person who finds the goods fills out a withdrawal invoice like the one shown in FIG. 8, the post employee receives the bill and inputs the item number directly into the system or puts it into a letter (digit) recognizer. If there are many people looking for goods, collect withdrawal invoices and continue to enter their article number into the system, and after seeing the situation, the system switches to the withdrawal mode. When the system is switched to the draw mode, the system turns on the flashing indicator (e.g. blue) of the separat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item number entered first, and flashes to call up the separator plate number. The post staff then withdraws the item on the right side of the separator and reads the bar code with the barcode reader. If the reading is successful, the system beeps and the draw indicator turns off. In this case, the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article number and the separator plate is released, and the system then turns on the withdrawal indicator of the separator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ticle number and blinks, and repeats the process of calling up the number of the separator plate. After the withdrawal process is completed, the late employee checks the late fees in the system and passes them to the person who finds the goods. Items that are not found after a certain amount of time are transferred to a separate storage location, where the employee switches the system to the overtime item mode. The release indicators of the separator plate containing the timed items will then be lit at once, and the employee will register all the items on the right side of the illuminated separator plate and then withdraw them all. There is also a storage box consisting of a separator plate like a post and a computer system that controls it so that you only need to know the item number, like a post. 10 is a light transmitting device 10 attached to the right center of the separator plate,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11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eft side before the article is put into the light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left separator plate to the right Wh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of the separator continues to be received, but the article is inserted, the article blocks the light emitting path and stops the reception of the optical signal, there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article and reflecting it to the system. to be. 11 is a resilient conductor ground wire 14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parator plate, and the ground plate 12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Before the article is introduced, the ground wire is attached to the ground plate of the right separator plate and current flows. It is a separating plate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article and reflects it to the system by using the fact that the ground wire is pushed back to the article and the current flows away from the ground plate. 12 to 15 are views showing a light control separation plate that shoots a light such as a laser to the light absorbing element 17 of the separation plate and controls the indicator by the light, and a physical connection line between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system is shown. none. Goods management when you go to the customer's address and take over the goods is also based on the bar code stickers in this case staff prepare a bar code sticker-receipt as shown in Figure 9 in advance. Among them, the bar code sticker is cut off and attached to the received goods, and the receipt is filled out with the address code, delivery address, and signature box and given to the customer. Enter the delivery address to which the goods should be delivered and the corresponding address code on the bar code sticker and enter the address code into the system. You can bring the goods to the post, or the employee who is moving to th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mobile phone, laptop, etc. You can also register directly with. After handing over the goods to the address, these situations are collected at the post and registered in the central system, or the handed-over staff registers directly with the central system. In this case, the movement status of the goods is informed in real time, so that the sender and receiver can check al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goods, such as the movement route and estimated time of arrival,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 telephone ARS using only the item number. . The bar code sticker-receipt as shown in FIG. 9 can be made in other ways as well. The front side of the stick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item co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bar code sticker, and the back side of the sticker co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receipt. You can also attach it to the customer and give the back receipt to the customer.

물품의 보관 및 전달에 있어 기존 물품보관함은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물품을 찾을 수 있었고 기존 택배, 등기우편, 퀵서비스 등의 경우는 주소지배달이어서 비용이 많이 들거나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수동식 전달시스템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정보화되지 못하여 인터넷이나 전화ARS시스템 등으로 물품의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거나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는데 본발명 바코드와 포스트를 기초로 하는 물품보관 및 전달시스템은 포스트배달의 경우 본인이 아니어도 타인에게 물품번호를 알려주어 물품을 찾게 할 수 있고 물품이 교통이 편리한 포스트로 모아져서 들어오므로 주소지배달보다 전달시간이 짧고 비용이 저렴하며, 지하철, 버스터미널, 편의점 등 교통의 요소에 포스트가 설치될 경우 물품을 맡기고 찾는 것이 용이하며, 바코드와 시스템에 연결된 분리판의 특성으로 물품의 투입 및 인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움직이는 분리판의 특성으로 물품을 조밀하게 보관할 수 있어 지하철 플렛폼과 같은 좁은 곳에도 포스트를 세우기가 용이하며, 모든 물품과 전달함이 바코드스티커로 관리되어 이동상황이 실시간으로 정보화되므로 고객이 인터넷이나 전화ARS시스템 등으로 물품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스트를 지하철 플렛폼 등 교통의 요소에 설치할 경우 전달시간이 짧고 비용이 적게 드는 포스트배달의 특성으로 소물품(책, CD 등) 전자상거래 유통시스템으로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밤늦게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통해 책을 주문하고 찾을 포스트를 지정한 후 다음날 아침 출근길에 지하철 플렛폼에 있는 포스트에서 책을 찾아갈 수도 있다.In the storage and delivery of goods, only the person with the key can find the goods, and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ourier, registered mail, and quick service, it is address delivery, which is expensive, time-consuming, or manual delivery system.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not being able to grasp the movement route of goods in real time by internet or telephone ARS system because the data could not be informed in real time.In the case of post delivery, the goods storage and delivery system based on barcode and pos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you are not yourself, you can tell others the item number to find the goods, and the items are collected into convenient posts, so the delivery time is shorter and cheaper than the address delivery, and the transportation of subways, bus terminals, convenience stores, etc. If a post is installed on the element, it is easy to store and find the goods In addition,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goods is made efficient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or connected to the bar code and the system, and the items can be densely sto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ing plate moving from side to side, making it easy to erect posts even in narrow places such as subway platforms. In addition, all goods and delivery boxes are managed by barcode stickers, so that the movement status is informed in real time, so that customers can grasp the movement status of the goods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or telephone ARS system. In particular, when posts are installed on elements of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 platforms, it is easy to use them as e-commerce distribution system for small items (books, CDs, et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ost delivery, which has short delivery time and low cost. For example, you can order a book late at night, specify a post to find, and then go to the post on the subway platform the next morning.

Claims (3)

물품의 보관 및 전달을 위해 포스트를 설치하고 포스트내에 좌우로 움직이며 물품의 투입과 인출을 지시하는 분리판으로 구성된 특수보관함, 봉투/바코드스티커 자동발매기, 영수증 발매기, 바코드리드기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컴퓨터시스템 등을 설치하고 이 컴퓨터시스템을 중앙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물품의 인수, 배달, 투입, 인출 등의 전체 과정이 실시간으로 정보화되도록 한 물품 보관 및 전달시스템Special storage consisting of separators for installing and moving posts for storage and delivery of goods and moving them from side to side and directing entry and withdrawal of goods, envelope / barcode sticker automatic vending machines, receipt machines, barcode readers and computers controlling them Goods storage and delivery system that installs the system and connects this computer system to the central system so that the entire process such as the receipt, delivery, input, and withdrawal of goods is informed in real time 위 시스템 중 특히 물품의 효율적 투입 및 인출을 위해 포스트의 물품보관함을 구성하는 분리판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분리판에 지시등을 부착하고 이를 시스템과 연결시켜 물품의 투입 및 인출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광흡수소자를 분리판에 부착하여 레이저 등의 빛으로 물품의 투입 및 인출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광센서 또는 전기센서 등을 부착하고 이를 시스템과 연결시켜 물품의 투입 및 인출을 자동 감지하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 물품 보관함The above-mentioned system can move left and right the separating plate constituting the goods storage box of the post, especially for the efficient input and withdrawal of goods, attach indicators to the separating plate and connect it with the system to instruct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goods. Or by attaching a light absorbing element to the separating plate to instruct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goods with light such as a laser, or by attaching an optical sensor or electric sensor and connecting it with the system to automatically detect the input and withdrawal of the product. Locker for reflection in 위 시스템 중 특히 물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물품과 전달함의 정보(일련번호, 배달주소코드 등)를 바코드화 또는 코드화한 바코드스티커를 물품과 전달함에 붙임으로써 물품의 인수, 배달, 투입, 인출 등의 전체 과정을 이 바코드스티커를 기초로 관리하고 전달함도 이동단계마다 가장 상위 전달함의 바코드스티커를 체크하는 것만으로 물품들의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정보화할 수 있도록 하고 포스트배달의 경경우 물품을 찾는 사람이 물품번호와 배달포스트를 아는 것만으로 포스트에서 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 시스템Among the above systems,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goods, the receipt and delivery of the goods, delivery, withdrawal, etc. are made by attaching the bar code sticker that encodes the goods and th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box (serial number, delivery address code, etc.) into barcodes or codes. The entire process is managed based on this barcode sticker, and the delivery of the goods can be realized in real time by simply checking the barcode sticker of the highest delivery box for each moving step. A system that allows you to find an item in a post just by knowing the item number and delivery post
KR1020000000096A 2000-01-03 2000-01-03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KR200000239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96A KR20000023990A (en) 2000-01-03 2000-01-03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96A KR20000023990A (en) 2000-01-03 2000-01-03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990A true KR20000023990A (en) 2000-05-06

Family

ID=1963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096A KR20000023990A (en) 2000-01-03 2000-01-03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3990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30A (en) * 2000-04-04 2000-07-05 윤선규 Half service
KR20010096355A (en) * 2000-04-18 2001-11-07 전익재 A goods delivery system using a subway
KR100370727B1 (en) * 2000-03-27 2003-02-05 정태호 Transporting method of goods used subway stations
KR100484850B1 (en) * 2001-12-21 2005-04-22 정세곤 Post box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post box
KR100799992B1 (en) * 2000-08-12 200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Goods delive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27B1 (en) * 2000-03-27 2003-02-05 정태호 Transporting method of goods used subway stations
KR20000037030A (en) * 2000-04-04 2000-07-05 윤선규 Half service
KR20010096355A (en) * 2000-04-18 2001-11-07 전익재 A goods delivery system using a subway
KR100799992B1 (en) * 2000-08-12 200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Goods delive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84850B1 (en) * 2001-12-21 2005-04-22 정세곤 Post box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post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9903B1 (en) Improved package and mail delivery system
US20010042055A1 (en) Parcel self-servicing machine
US3379295A (en) Self-service apparatus
EP2831821A1 (en) Pickup locations
EP3220329A1 (en) Improved baggage drop system
JP2008506521A (en) Postal sorting method and device
EP0199252B1 (en) Thermal label printer
KR100348122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luggage and method thereof
KR20000023990A (en) Barcode and post based storage and delivery system
JPH09231428A (en) Collection/delivery information confirming device
US3420336A (en) Article delivery system
JP4447134B2 (en) Goods transportation slip
WO2000008612A1 (en) A postal item check-in system
SE526902C2 (en) Automatic cash register for banknote checking, procedure and routine for banknote control
JP2005350232A (en) Picking system
EP1299198B1 (en) A parcel self-servicing machine
JP2001205199A (en) Transporting system and transporting method
US4800254A (en) Commod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for on-line transaction network
JPH1091678A (en) Package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
JPS62111821A (en) Assorting device
NL1002195C2 (en) Modular chip card system with function modules.
JPS62122933A (en) Portable terminal unit with electronic tag dispenser
CN216697329U (en) Terminal parcel unmanned warehouse entry and exit device of express delivery
JP2582577B2 (en) Parcel delivery service
JPS63150795A (en) House-to-house delivery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