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560A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560A
KR20000021560A KR1019980040711A KR19980040711A KR20000021560A KR 20000021560 A KR20000021560 A KR 20000021560A KR 1019980040711 A KR1019980040711 A KR 1019980040711A KR 19980040711 A KR19980040711 A KR 19980040711A KR 20000021560 A KR20000021560 A KR 2000002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power
sign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연
윤용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560A/en
Publication of KR2000002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6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e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a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is provided to perform a power-on operation though any button of a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when power is tuned on by the remote controller. CONSTITUTION: A methode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a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state is a stand by mode of power-off, or not; determining an arbitrary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if the current state is the stand by mode; performing a power-on operation to execute a driving mode independently of a result from a data code reading of a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if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Description

리모콘 신호에 의한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Powor on control method in home appliances by remocon signal)Pore on control method in home appliances by remocon signal

본 발명은 리모콘을 구비한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의의 가전기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 온동작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리모콘 키버튼 제어시 구비되어 있는 모든 키 버튼중 임의의 키 버튼을 선택하면 파워 온/오프 키 버튼의 선택이 아니더라도 텔레비전의 전원이 온동작하도록 하는 리모콘 신호에 의한 텔레비전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having a remote control, and in particular,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key button to enter the power-o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any home appli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on operation of a television by a remote control signal which causes the power supply of the television to be turned on even if the key button is selected from all the key buttons provided at the time.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 기능의 다양성에 기인하여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키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가전 기기의 본체 전면부에 이 모든 키들을 구비하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사용자가 이 모든 키들을 가전기기에 근접한 상태에서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무선으로 키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Remote Controller : 통상 Remocon으로 칭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provide all these keys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home appliance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keys for using the functions due to the variety of home appliance functions.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in close proximity to the remote control, a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commonly referred to as a Remocon) that allows wireless key input from a remote location is widely used.

이러한 리모콘의 동작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1의 종래의 전형적인 리모콘과 가전 기기에 대한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00)은 키입력부(110), 제어부(120), 송신부(130) 및 동작 표시부(140)를 포함하며, 가전 기기(200)(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텔레비전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는 수신부(210), 신호처리부(220), 제어부(230) 및 구동부(240)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and a home appliance of FIG. 1, the remote controller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transmission unit 130. And an operation display unit 140, and the home applianc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as limited to a televis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210, a signal processor 220, a controller 230, and a driver 240. ).

동 도면에 있어서, 리모콘(100)에서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다수개의 키를 구비한 키입력부(110)로부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 키신호가 제어부(120)로 인가되면, 제어부(120)는 인가된 키 신호에 대응하는 키 데이타를 송신부(130)로 인가하게 된다.In the drawing, when the remote controller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from the key input unit 110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the control unit 120. ) Applies key data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key signal to the transmitter 130.

이때, 송신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의 키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 적외선 반송파가 트랜지스터(TR1)에 의거하여 진폭 변조되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송신되며, 가전 기기(200)의 수신부(210)는 리모콘(100)의 송신부(130)로부터의 적외선 반송파를 포토 다이오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부(220)로 인가되고, 신호 처리부(220)에서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 검파 및 파형 정형화를 수행하여 키 데이터를 제어부(230)로 인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nsmitter 130 modulates a predetermined infrared carrier wave based on the key data from the controller 120 based on the transistor TR1,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infrared light emitting diode D1. 210 receives an infrared carrier from the transmitter 130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through a photodiode and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220, and amplifies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or 220. The key data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230 by performing detection, waveform shaping, and the like.

그러면, 제어부(230)는 신호 처리부(220)로부터 인가된 키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해당 동작을 구동시키게 되어 원격지에서 가전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driver 240 based on the key data a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or 220 to driv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remotely.

한편, 이러한 리모콘(100)의 제어부(120)는 리모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포트를 구비하여 키입력부(110)로부터 소정 키신호가 인가되면 송신부(130)로 소정 키신호에 대응하는 키데이타를 출력하여 적외선 반송파에 키 데이터를 실어서 송신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includes a separate control por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emote control unit, and when a predetermined key signal is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key signal. The key data is output and the key data is loaded on the infrared carrier to be transmitted.

이에 따라, TV는 리모콘에서 송출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수신되는 리모콘 신호를 디코딩하여 TV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V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V. That is,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V is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V by decoding the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따라서, 텔레비전 또는 가전제품을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복수의 키 버튼중 전원 온/오프 키버튼을 선택하고 그에따라 리모콘에서는 전원 키버튼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제품은 대기모드에서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의 데이터 코드를 판독하여 전원 온/오프 키버튼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내부의 전원부를 제어하여 각 구성에 구동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구동모드로 진입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drive a television or home appliance, the user selects a power on / off key button among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wer key button, and the product is in the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ode of the input remote control signal is read and is a power on / off key button, the internal power unit is controlled to supply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to enter the driving mode.

그러나, 주변조도가 낮은 상태 즉, 어두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리모콘에서 전원 온/오프 키버튼을 정확히 선택한다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며, 더욱이 주변조도가 밝은 상태라 하더라도 시력이 나쁘거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리모콘에서 정확한 전원 온/오프 키버튼의 선택에 상당한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위한 리모콘이 순간적으로는 역기능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it is quit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accurately select the power on / off key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 a low ambient light state, that is, in a dark state. In the elderly, since a considerable time may be delayed in selecting the correct power on / off key button on the remote controller, a problem aris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user provides a reverse function at the moment.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가전기기에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해당 가전기기의 전원 온동작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리모콘 키버튼 제어시 구비되어 있는 모든 키 버튼중 임의의 키 버튼을 선택하면 파워 온/오프 키 버튼의 선택이 아니더라도 텔레비전의 전원이 온동작하도록 하는 리모콘 신호에 의한 텔레비전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 remote control key for entering the power o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any home appliance When any key button is selected among all the key buttons provided at the time of button control,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in a television by a remote control signal that causes the power of the television to turn on even if the power-on / off key button is not selected. There is.

도 1은 일반적인 리모콘의 회로 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general remote controller

도 2는 리모콘의 신호의 구성 예시도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과정의 동작 순서 예시도3 is an exemplary operation sequence of a power-on operation control process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리모콘 110 : 키 입력부100: remote controller 110: key input unit

120 : 제어부 130 : 송신부120: control unit 130: transmission unit

210 : 수신부 220 : 신호처리부210: receiver 220: signal processor

230 : 제어부 240 : 구동부230: control unit 240: drive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비되어 있는 키 매트릭스에 따른 키 버튼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헤더 코드와 커스텀 코드에 연이은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등의 무선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 리모콘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computer and the microcomputer for receiving the key button signal according to the key matrix provided to convert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into a data code successive to the header code and custom code In the power-on operation control method in a home appliance that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ha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signal generated in the wireless signal, such as infrared rays to output:

전원 오프의 대기모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대기모드 상태라고 판단되면 유입되는 임의의 리모콘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리모콘 신호가 유입된다고 판단되면 유입되는 리모콘 신호의 데이터 코드의 판독 결과에 관계없이 파워 온동작을 수행하여 구동모드로 진입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off is in the standby mode state;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y remote control signal flowing in when the first step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mode state; and in the second step, the remote control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low is to include a third step of entering the drive mode by performing a power-on operation irrespective of the reading result of the data code of the incoming remote control sig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3 단계이후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대해서는 해당 리모콘 신호의 데이터 코드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 있다.As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ading a data code of a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after the third ste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키신호의 개념을 살펴보면, 리모콘 신호는 워드(WORD)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1 워드의 전송 명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펄스(HEAD PULSE), 커스텀 코드(CUSTOM CODE), 데이터 코드(DATA CODE)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주)대우전자에서 생산되는 텔레비전에 사용되고 있는 전송 명령의 예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First, referring to the concept of a key signal generated from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composed of a word (WORD) unit, one word transmission command is shown in Fig. 2 head pulse (HEAD PULSE), custom code (CUSTOM CODE) ), The data codes are sequentially formed and continuously outpu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IG. 2 is a waveform showing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command used for a television produced by Daewoo Electronics Co., Lt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also.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헤드 펄스는 8msec의 하이(high) 신호와 4msec의 로우(low) 신호로 이루어지고,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 사이 간격은 4msec 이며, 상기의 각 신호는 60msec의 간격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커스텀 코드와 데이터 코드는 각각 8비트로 이루어지며, 16진수로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head pulse is composed of a high signal of 8msec and a low signal of 4msec, the interval between the custom code and the data code is 4msec, and each of the signals is 60msec. Is output. In this case, the custom code and the data code are each composed of 8 bits and are represented in hexadecim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전기기의 제어부에서 데이터 코드가 들어오기만 하면 무조건적으로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그 상세한 동작예를 이하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data code is input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home applianc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unconditionally, a detailed operation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과정의 동작 순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operation sequence of a power-on operation control process in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가전기기의 제어부(230)는 현재 상용전원을 입력받기 위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는 가를 판단한다. 즉, 스텝 S101에서 대기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대기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면 상용전원을 입력받기 위해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므로 스텝 S102로 진행한다.First, the control unit 230 of the home appliance determines whether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o receive the current commercial power. That is, it is determined in step S101 whether standby power is supplied. At this time, if the standby power is being supplied,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o receive the commercial power.

스텝 S102에서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부(230)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텝 S103의 과정을 통해 유입되는 리모콘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In step S102, the controller 230 of the home applian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mote control signal flowing through the process of step S103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mode state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스텝 S103의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가전 기기(200)의 수신부(210)는 리모콘(100)의 송신부(130)로부터의 적외선 반송파를 포토 다이오드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부(220)로 인가되고, 신호 처리부(220)에서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 검파 및 파형 정형화를 수행하여 키 데이터를 제어부(230)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looking at a series of processes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before the control unit 230 performs the process of step S103, the receiving unit 210 of the home appliance 200 from the transmitter 130 of the remote control 100 The infrared carrier is received through the photodiode and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220, and the amplified, detected, and waveform-shaped electrical signals applied by the signal processor 220 are used to control the key data. To be applied.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스텝 S103의 과정을 통해 리모콘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즉, 상기 신호처리부(220)에서 리모콘 신호에 실려있는 데이터 코드를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되는 신호와 무관하게 스텝 S104로 진행하고, 스텝 S104에서 내부의 전원부(도시하지 않았음)를 제어하여 파워 온동작 과정을 수행한다.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that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is input through the process of step S103, that is, when the signal processor 220 detects a data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the controller 230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 Proceeds to step S104 irrespective of the input signal, and controls an internal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n step S104 to perform a power-on operation process.

이후, 스텝 S105에서는 파워 온동작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의 E2PROM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프로그램에 의해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본 가전제품이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텔레비전 세트의 전원 오프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 선국되어 있던 종전의 채널을 선국하여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ubsequently, in step S105, since it is in the power-on operation state, the basic operation is performed by an operating program stored in the internal E 2 PROM. At this tim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television receiver, the user tunes to a previous channel tuned in a state where the user performs a power-off operation of the television set, and receives a television broadcast signal.

또한, 임의의 가전기기인 경우는 파워 온동작상태 직후 수행하여야 하는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y home appliance is to perform the basic operation to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power-on operation state.

상술한 과정을 통해 파원 온동작과 그에따른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는 가운데, 상기 제어부(230)는 스텝 S106의 과정을 통해 새로이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임의의 기능을 선택하였는가를 판단하게 된다.While the power-on operation and a series of operations are per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ontroll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a certain function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process of step S106.

이러한 상기 스텝 S106의 과정에서 새로운 리모콘신호가 입력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7에서 즉, 상기 신호처리부(220)에서 리모콘 신호에 실려있는 데이터 코드를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이 무었인가를 판독하고, 스텝 S108에서는 판독된 기능에 따라 해당하는 구동부(240)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게 되는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6 that a new remote control signal is being input, in step S107, that is, the signal processor 220 detects the data code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signal.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o be read is read, and in step S108, the corresponding driver 2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ad function to respond to the user's request.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리모콘 신호에 의한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 리모콘을 통해 임의의 가전기기 조정시 주변조도가 낮은 상태 즉, 어두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리모콘에서 전원 온/오프 키버튼을 정확히 선택한다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며, 더욱이 주변조도가 밝은 상태라 하더라도 시력이 나쁘거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리모콘에서 정확한 전원 온/오프 키버튼의 선택에 상당한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위한 리모콘이 순간적으로는 역기능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By provid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on operation in a home appliance by a remote control signal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a plurality of key buttons in a low ambient light state, that is, a dark state when adjusting any home appliance through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Selecting the correct power on / off key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is quite inconvenient. Moreover, even if the ambient light is po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s delayed in selecting the correct power on / off key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even if the eyesight is poor or the elderly. As a result, the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the user's convenience may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the reverse function at the moment.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Anyone can see it easily.

Claims (2)

구비되어 있는 키 매트릭스에 따른 키 버튼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리모콘 신호를 헤더 코드와 커스텀 코드에 연이은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컴(120)과 상기 마이컴(120)에서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등의 무선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130)를 구비한 리모콘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It receives the key button signal according to the provided key matrix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into a header code and a custom code in succession to the data code to output the microcomputer 120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120 In the power-on operation control method in a home appliance that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ha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unit 130 for converting into a wireless signal such as infrared rays and output: 전원 오프의 대기모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off state is in the standby mode; 상기 제 1 단계에서 대기모드 상태라고 판단되면 유입되는 임의의 리모콘 신호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rbitrary remote control signal introduc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mode is in the first step; And 상기 제 2 단계에서 리모콘 신호가 유입된다고 판단되면 유입되는 리모콘 신호의 데이터 코드의 판독 결과에 관계없이 파워 온동작을 수행하여 구동모드로 진입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And a third step of entering the driving mode by performing a power-on operation regardless of the result of reading the data code of the incoming remote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introduced in the second step.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on operation in a controlled household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 단계이후 입력되는 리모콘신호에 대해서는 해당 리모콘 신호의 데이터 코드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가전기기에서의 파워 온 동작 제어 방법.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after the third step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ading a data code of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signal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Way.
KR1019980040711A 1998-09-30 1998-09-30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0000215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711A KR20000021560A (en) 1998-09-30 1998-09-30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711A KR20000021560A (en) 1998-09-30 1998-09-30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60A true KR20000021560A (en) 2000-04-25

Family

ID=1955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711A KR20000021560A (en) 1998-09-30 1998-09-30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56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238B1 (en) * 2006-04-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of an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238B1 (en) * 2006-04-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of an imag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6633281B2 (en) Intelligent touch-type universal remote control
AU20022455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KR20000021560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on operation by remote control signal in electric home appliances
KR100943647B1 (en) Remote controller device having tim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elevision using it
KR19990051235A (en) How to automatically set custom codes for the universal remote
KR100192051B1 (en) Decording remocon method
KR20000033714A (en) Integrated interface system for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KR20000037655A (en)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with initial channel recogni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television
KR20000001637U (en) Lock device of remote control adjustment
JPH10308987A (en) Power saving wireless remote controller
KR100602265B1 (en) Remote controller for using timer setting and method thereof
KR19990001154U (en) Remote control receiver
KR100628919B1 (en) PLC remote control IR remocon
KR19990016315U (en)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that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device
KR0117952Y1 (en) Receiving circuit capable of changing cod
KR1005844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Remote Control Code
KR0170150B1 (e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KR19990042404A (en) Remote Control Easy Power On Method
KR19990047538A (en) Transmission code control method of VSI remote controller
KR19980038731A (en) Remote Control Power Saving Control Method
KR19990026329A (en) Signal Control Method for Compatible Use of VSI Remote Control
KR19990020564U (en) Device for checking the memory removal operation on the remote control
KR20000051733A (en) A remocon with function of factory selecting
KR19990009257U (en) Remote control with wireless earphon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