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042A -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042A
KR20000018042A KR1020000000425A KR20000000425A KR20000018042A KR 20000018042 A KR20000018042 A KR 20000018042A KR 1020000000425 A KR1020000000425 A KR 1020000000425A KR 20000000425 A KR20000000425 A KR 20000000425A KR 20000018042 A KR20000018042 A KR 2000001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device
portable terminal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일
Original Assignee
성낙명
주식회사 럭키트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명, 주식회사 럭키트라넷 filed Critical 성낙명
Priority to KR102000000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042A/ko
Publication of KR2000001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0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5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the management of goods or merchand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창고사무소나 운송회사 사무소 등의 화물관리센터와 운송차량이나 창고현장 등의 현장근무요원 사이에서 화물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화물관리센터와 현장은 무선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연결된 중계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사무실은 인터넷망을 통해 중계장치에 연결되고, 현장근무요원은 무선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여 기존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장치에 연결된다. 휴대단말장치는 기존의 휴대전화나 호출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에 바코드 스캐너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현장근무요원은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여 입출고되는 화물을 바코드 스캐닝하여 기존의 무선통신망으로 통해 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중계장치는 다시 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무실로 전달한다. 사무실에서 현장근무요원으로의 정보 전송도 반대의 경로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reight information using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고사무소나 운송회사 사무소 등의 화물관리센터와 운송차량이나 창고현장 등의 현장근무요원 사이에서 화물에 관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창고나 공항, 항만의 하역장 등에서 현장근무요원과 사무실 사이의 통신, 그리고 화물운송차량과 사무실 사이의 통신은 워키토키나 TRS와 같은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현장에서의 화물의 입고 또는 출고에 대한 정보의 송수신은 현장과 사무실 사이에 연결된 컴퓨터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장근무요원에 대한 작업지시 및 현장근무요원의 보고 등은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고, 화물의 입고 및 출고 내역에 관한 정보는 현장에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컴퓨터 통신선로를 거쳐서 사무실에 보고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창고나 하역장 등은 매우 넓기 때문에 현장근무요원이 컴퓨터가 설치된 곳까지 가서 화물 입출고 내역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물론, 컴퓨터 통신선로를 설치하는 대신 무선랜(LAN)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화물운송차량의 경우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전송을 하려면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장비가 고가이고 및 무선데이터망 사용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물 관리소 측의 입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컴퓨터 통신선로를 깔고 컴퓨터를 현장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통신선로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근무요원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도 2는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현장근무요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무실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휴대단말장치, 110 표시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40 바코드 스캔부, 150 인코더부,
160 디코더부, 170 변조부,
180 복조부, 190a,190b 증폭기,
195 듀플렉서, 200 기지국,
300 무선통신교환시스템, 400 중계장치,
410 전용선 인터페이스, 420 애플리케이션 서버,
430 데이터베이스, 440 웹서버,
500 인터넷망, 600 창고사무소,
610 운송회사 사무소, 620 화주 사무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물관리센터와 현장은 무선통신망 및 인터넷망에 연결된 중계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사무실은 인터넷망을 통해 중계장치에 연결되고, 현장근무요원은 무선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여 기존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장치에 연결된다. 휴대단말장치는 기존의 휴대전화기나 호출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에 바코드 스캐너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있다. 현장근무요원은 휴대단말장치를 사용하여 입출고되는 화물을 바코드 스캐닝하여 기존의 무선통신망으로 통해 중계장치에 전송하고, 중계장치는 다시 이를 인터넷망을 통해 사무실로 전달한다. 사무실에서 현장근무요원으로의 정보 전송도 반대의 경로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블록도이다.
휴대단말장치(100a..100n)는 현장근무요원이 들고 다니는 장치이다. 휴대단말장치(100a..100n)는 셀룰러폰이나 PCS폰 또는 양방향 호출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휴대통신단말기 회로를 가지고 있어서, 기지국(200a..200m)을 거쳐서 기존의 셀룰러망, PCS망, 페이저통신망과 같은 무선통신망에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단말장치(100a..100n)는 창고 등과 같이 한정된 장소에서뿐만 아니라, 운행중인 화물차량과 같이 움직이는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휴대단말장치(100a..100n)에는 또한 바코드 스캐너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입출고되는 화물을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인식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물론, 바코드 스캐너를 장착하지 않고 버튼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단말장치(100a..100n)로부터의 데이터는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을 거쳐서 중계장치(400)에 전달된다.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과 중계장치(400) 사이는 전용선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중계장치(400)는 휴대단말장치(100a..100n)로부터의 데이터를 인터넷 전송에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여 인터넷망(500)을 통해 화물관리센터(600,610,620)에 전송한다. 중계장치(400)에서 화물관리센터로의 데이터 전송은, 화물관리센터에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중계장치(400)의 웹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이루어질 수도 있고, 푸시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인스턴트 메시징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창고사무소(600), 운송회사 사무소(610), 화주 사무소(620) 등과 같은 화물관리센터에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화물관리센터의 컴퓨터에는 웹에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만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휴대단말장치(100a..100n)의 내부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휴대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표시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루어지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장치의 동작 상태, 화물관리센터로부터의 지시 사항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부(120)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감지 소자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능을 작동시킨다.
바코드스캔부(140)는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태그를 읽어들이는데 사용된다. 바코드스캔부(140)를 사용하여 읽혀진 바코드 내용은 제어부(130)에서 처리되어 무선회로를 거쳐 무선으로 전송되게 된다. 바코드스캔부(140)를 마련하지 않고 입력부(120)를 사용하여 화물 내역을 입력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인코더부(150)와 디코더부(160)는 각각 제어부(130)로부터의 데이터를 인코딩(부호화)하고 무선채널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딩(복호화)하는데 사용된다.
변조부(170)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무선전송을 위해 인코딩 데이터에 따라 파형을 변화시키는 동작을 한다. 반대로, 복조부(180)는 무선채널을 통해 수신된 파형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해내는 동작을 한다.
변조부(170)에서 변조된 파형은 증폭기(190a)에 의해 무선전송하기에 적절한 레벨로 증폭된다. 마찬가지로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는 증폭기(190b)에 의해 복조부에서 복조하는데 필요한 레벨로 증폭된다.
듀플렉서(195)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의 통신방식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단으로 보내주고, 변조부로부터의 신호는 안테나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의 경우에는 듀플렉서(195)로서 타임스위치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중계장치(4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중계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중계장치(400)는 전용선을 통해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에 연결된다. 전용선 인터페이스(410)는 중계장치(400)에 전용선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웹서버(440)는 인터넷 사용자나 화물관리센터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중계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데이터베이스(430)에는 각 사무실에 소속된 창고, 현장근무요원 등과 같은 각 사무실에 관한 정보, 휴대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현장근무요원에 관한 정보, 창고의 재고, 입출고 현황 등을 포함하는 창고에 관한 정보, 운행차량의 적재화물 정보 등과 같은 운행차량에 관한 정보, 입출고 통계 등과 같은 통계자료 등이 저장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420)는 중계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중계장치의 기능으로서는 창고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 운송업체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 화주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이 있다.
창고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인터넷을 통한 고객 서비스 요청 접수 : 고객은 인터넷을 통하여 중계장치(4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화물의 보관 등 여러가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고객의 서비스 요청은 중계장치(400)에서 해당 창고 사무실로 전달된다.
- 현재 창고 재고 상황 조회 : 각 창고의 재고 상황은 중계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현장요원으로부터 정보가 들어오는대로 업데이트되므로 항상 정확한 재고상황을 가지게 된다. 창고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중계장치(400)에 접속하여 창고의 재고 상황을 조회할 수 있다.
- 입고할 화물 내역 입력/수정/조회/삭제 : 창고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중계장치(400)에 접속하여 입고할 화물의 내역을 입력/수정/조회/삭제할 수 있으며, 현장근무요원도 단말장치(100)를 사용하여 입고할 화물의 내역을 입력/수정/조회/삭제할 수 있다.
- 출고할 화물 내역 입력/수정/조회/삭제
- 화물관리센터로부터의 작업지시를 해당 현장요원에게 전송
- 작업내용 스케줄링 기능
- 작업 진행상황을 고객에게 통보(email, FAX, 휴대전화 문자 서비스 등)
- 각종 통계 자료 조회 (일별/주별/월별/분기별/연간 재고량 변화 추이, 기간별 입/출고 변화 추이 등)
운송업체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인터넷을 통한 고객 서비스 요청 접수 기능
- 현재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적재상황 조회 기능 : 현장근무요원이 단말장치로 입력한 현재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적재상황의 데이터는 무선으로 중계장치에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 그러면, 운송업체 사무실(61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교환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현장근무요원이 자신의 위치를 입력하지 않아도 해당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 공차(부분 공차 포함) 서비스를 게시판에 등록하는 기능(경매 시스템) : 경매 시스템에 의해 비어있는 운송차량의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 화물관리센터로부터의 작업지시를 해당 현장 운송 요원에게 전송
- 고객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최적 차량 검색 기능 :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요청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가장 가까이 있는 공차로서 화물적재능력이 고객의 요구에 가장 가까운 것)을 데이터베이스(430)에서 검색하여 알려주는 기능
- 각종 통계자료 제공
화주 사무실 업무 지원 기능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인터넷을 통한 창고/차량 서비스 요청 접수 기능
- 서비스 요청 내역을 게시판에 등록(경매 시스템)
- 현재 화물의 보관 상황 조회
- 현재 화물의 이동 상황 조회
- 화물 도착 예정 추측 기능
- 각종 통계 자료 조회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현장근무요원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중계장치(400)에 접속한 다음, 현장근무요원을 선택하고 해당 현장근무요원에게 작업지시를 내린다. 그러면, 이 지시내용은 중계장치(400)에서 전용선을 통해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으로 전달되고,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에서는 해당 현장근무요원의 단말장치(100)가 있는 기지국(20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200)에서 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면 해당 현장근무요원의 단말장치(100)에는 사무실로부터의 작업지시가 나타나게 된다(단계 S100).
수신된 작업지시가 화물입고 지시인 경우에는 현장근무요원은 해당 화물을 확인한다(단계 S110). 사무실로부터 작업지시가 내려진 화물을 찾으면 현장근무요원은 바코드 태그를 해당 화물에 부착한다(단계 S120).
현장근무요원은 바코드 태그가 부착된 화물의 바코드를 휴대단말장치(100)로 스캔한 후(단계 S130), 해당 화물을 창고에 입고한다(단계 S140). 창고에 입고가 완료되면 현장근무요원은 스캔된 데이터 및 작업을 완료했다는 내용을 휴대단말장치(100)를 사용하여 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이 데이터는 중계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 중계장치(400)는 또한 이 정보를 사무실에 통보할 수도 있으며,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수신된 작업지시가 화물출고 지시인 경우에는 현장근무요원은 해당 화물을 창고에서 찾아서 확인한다(단계 S150). 화물이 확인되면 해당 화물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휴대단말장치(100)를 사용하여 스캔한 후(단계 S160), 해당 화물을 차량(선박)에 선적한다(단계 S170).
출고가 완료되면 현장근무요원은 스캔된 데이터 및 작업을 완료했다는 내용을 휴대단말장치(100)를 사용하여 중계장치(4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이 데이터는 중계장치(400)의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 중계장치(400)는 또한 이 정보를 사무실에 통보할 수도 있으며,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이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사무실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무실에서는 인터넷, 팩스, 전화 등으로 고객으로 화물의 운반 등과 같은 서비스 요청을 받는다(단계 S200).
서비스 요청이 화물 입/출고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중계장치(400)의 웹서버(440)에 접속하여 해당 창고를 선택한 다음, 그 창고에서 할 작업내용을 입력하고 전송버튼을 클릭한다(단계 S210). 그러면, 중계장치(400)에서 해당 창고의 무선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작업지시내용을 보낼 것을 전용선을 통해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에 요청한다. 그러면, 이 작업지시 내용은 기지국을 거쳐 무선으로 해당 창고의 현장근무요원의 휴대단말장치에 전송된다.
사무실에서는 작업지시를 내리고나서 지시대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단계 S220). 즉, 인터넷을 통해 중계장치(400)의 웹서버(440)에 접속한 다음, 작업진행상황 조회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 창고를 선택하면 중계장치(400)는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읽어와서 인터넷으로 전송한다.
작업이 완료되면, 사무실에서는 그 내역을 인터넷, FAX, 전화 등의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고객에게 통보한다(단계 S230).
단계 S200에서의 서비스 요청이 용차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사무실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중계장치(400)의 웹서버(440)에 접속한 다음, 운송차량 상황조회 기능을 선택하여 각 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방향, 적재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단계 S240).
이와 같은 정보로부터 고객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차량을 선정하고(단계 S250), 해당 차량에 대한 작업지시 내용을 입력한 후 전송버튼을 클릭한다(단계 S260). 그러면, 중계장치(400)에서 해당 차량의 무선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430)에서 검색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작업지시내용을 보낼 것을 전용선을 통해 무선통신교환시스템(300)에 요청한다. 그러면, 이 작업지시 내용은 기지국을 거쳐 무선으로 해당 차량의 현장근무요원의 휴대단말장치에 전송된다.
이때, 사무실에서 고객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차량을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중계장치(400)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고객이 요청한 위치에 가장 가까이 있는 사용 가능한 차량을 찾아낸 다음, 해당 차량의 휴대단말장치로 고객이 요청한 위치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할 것을 지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무선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사용하므로 화물관리센터에서 자체적으로 망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화물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도 중계장치에서 제공되므로 화물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투자비용 및 운용비용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을 적시에 운송하고 입출고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이 절감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에게는 화물의 도착시간을 정확히 통보할 수 있으므로 제품판매 및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고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현장근무요원이 휴대단말장치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동성이 뛰어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선통신망에 접속가능한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와,
    화물관리센터에 설치되어 있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으며 웹브라우저를 장착한 다수의 컴퓨터와,
    웹서버와, 무선통신교환기에의 연결을 위한 전용선 인터페이스부와, 화물관리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화물에 관한 정보, 현장요원에 관한 정보 그리고 사무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무선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와 통신하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다수의 컴퓨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를 구비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화물의 입출고 현황,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 전송하며, 또한 화물관리센터로부터의 업무지시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받으며,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휴대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컴퓨터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된 업무지시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해당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컴퓨터는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상기 중계장치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특정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업무지시내용을 상기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의 웹서버는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인터넷을 통해 접수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4. 무선통신망에 접소가능한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와, 화물관리센터에 설치되어 있고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고 웹브라우저를 장착한 다수의 컴퓨터와, 인터넷망과 무선통신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중계장치로 인터넷을 통해 특정 휴대단말장치에 대한 작업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중계장치에서 상기 작업내용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해당 휴대단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화물의 입출고 내역,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적재상황, 업무완료 등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 입력하여 상기 중계장치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장치에서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중계장치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에는 바코드스캐너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장치에서의 화물의 입출고 내역의 입력은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통계자료를 조회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이 화물운송에 관한 것인 경우에 상기 중계장치에서 상기 고객이 요청한 장소에 가장 가까이 있는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찾아낸 차량의 휴대단말장치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장소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정보 송수신 방법.
KR1020000000425A 2000-01-06 2000-01-06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00018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425A KR20000018042A (ko) 2000-01-06 2000-01-06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425A KR20000018042A (ko) 2000-01-06 2000-01-06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042A true KR20000018042A (ko) 2000-04-06

Family

ID=1963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425A KR20000018042A (ko) 2000-01-06 2000-01-06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0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509A (ko) * 2000-06-05 2001-12-20 김상관, 손정희 무선호출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정보 통신 단말기
KR20020004062A (ko) * 2000-06-30 2002-01-16 김순철 화물운송시스템 및 그 운송 방법
KR20020038173A (ko) * 2000-11-16 2002-05-23 허숭 네트워크를 통한 출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1393A (ko) * 2002-05-16 2002-06-01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0442364B1 (ko) * 2001-11-10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코드 송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06941B1 (ko) * 2005-12-08 2007-04-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654A1 (en) * 1996-04-29 199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dissemination system
EP0812120A2 (en) * 1996-06-06 1997-12-1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using services offered by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for it
KR19990031911A (ko) * 1997-10-15 1999-05-06 윌리암 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00005987A (ko) * 1998-06-08 2000-01-25 스테븐 디.피터스 이동성가입자어카운트서비스를위한영상인터페이스
KR20000007011A (ko) * 1999-11-19 2000-02-07 이종훈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1654A1 (en) * 1996-04-29 199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dissemination system
EP0812120A2 (en) * 1996-06-06 1997-12-1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using services offered by a telecommunication network,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for it
KR19990031911A (ko) * 1997-10-15 1999-05-06 윌리암 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휴대 통신장치 및 방법
KR20000005987A (ko) * 1998-06-08 2000-01-25 스테븐 디.피터스 이동성가입자어카운트서비스를위한영상인터페이스
KR20000007011A (ko) * 1999-11-19 2000-02-07 이종훈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509A (ko) * 2000-06-05 2001-12-20 김상관, 손정희 무선호출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정보 통신 단말기
KR20020004062A (ko) * 2000-06-30 2002-01-16 김순철 화물운송시스템 및 그 운송 방법
KR20020038173A (ko) * 2000-11-16 2002-05-23 허숭 네트워크를 통한 출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42364B1 (ko) * 2001-11-10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코드 송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20041393A (ko) * 2002-05-16 2002-06-01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0706941B1 (ko) * 2005-12-08 2007-04-12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핸디 터미널을 이용한 택배 상품의 집하/배송정보자동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682B2 (en) Context based 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US724885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program
US6246882B1 (en) Wide area item tracking system
US8855626B2 (en) Wireless control for creation of, and command response to, standard freight shipment messages
US8185142B2 (en) Dispatch application utilizing short message service
US7720210B2 (en) CTI system
US2016011764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routing a vehicle
US20010052858A1 (en) Access system to an item of automatic control equipment via a wireless proximity network
CN102521720A (zh) 物流派送跟踪处理方法和物流派送终端
US20010028300A1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CN111695788A (zh) 基于物联网的应急物资管理系统
KR20000018042A (ko) 인터넷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화물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EP1746775A1 (en) Conn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o a server
JPH1049613A (ja) バーコード端末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端末装置を用いた商品管理システム
KR20020057311A (ko) 배송품의 배송정보 제공방법 및 배송시스템
WO2006048706A1 (en) Context based 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KR20020071174A (ko) 물류운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20041393A (ko)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0854474B1 (ko) 평치 창고에 있어서의 입출고ㆍ재고 관리 시스템
Yuan et al. Key technology and system design in mobile supply chain management
KR20010094125A (ko) 인터넷과 모바일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물류 직거래 방법및 시스템
CN220474023U (zh) 用于仓库的物料存储周转系统
KR100284273B1 (ko)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가격표시 시스템
KR200286051Y1 (ko)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류 처리 장치
JPH10143575A (ja) 入出荷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