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680A -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lignment of mobile radiotelephone using injected audio sig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lignment of mobile radiotelephone using injected audio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680A
KR19990087680A KR1019980707145A KR19980707145A KR19990087680A KR 19990087680 A KR19990087680 A KR 19990087680A KR 1019980707145 A KR1019980707145 A KR 1019980707145A KR 19980707145 A KR19980707145 A KR 19980707145A KR 19990087680 A KR19990087680 A KR 19990087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telephon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49192B1 (en
Inventor
피터 디 카라비니스
폴 윌킨슨 덴트
닐스 루드거 리드백
Original Assignee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찰스 엘 무어 쥬니어
Publication of KR19990087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1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무선전화는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한다. 가청 정렬 신호는 개선된 정렬용 무선전화 안테나를 무선전화 통신의 소스로써 방향전환하기위해 무선전화 사용자를 프롬프트시킨다. 가청 정렬 신호는 양호하게는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이다. 가청 정렬 신호는 무선전화 통신 신호와 함께 무선전화 확성기에 주입되는 양호하게는 유사잡음이어서, 종속적으로 완만한 저하 동작을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복원시킨다. 유사잡음 주입은 임계값이 도달될 때까지 가청되게 저하하지않는 코드된 디지털 무선전화 시스템과 양호하게 사용되고, 통신은 임계치 이하에서 억제된다. 유사잡음 주입은 가변 전력 기지국으로써 또한 사용될 수 있다.Mobile radiotelephones inject audible alignment signals, which are a func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into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prompts the radiotelephone user to redirect the improved alignment radiotelephone antenna as a source of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is preferably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is preferably similar noise injected into the radiotelephone loudspeaker together with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hereby restoring a dependently slow deterioration operation to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milar noise injection is well used with coded digital radiotelephone systems that do not audibly degrade until the threshold is reached, and communication is suppressed below the threshold. Similar noise injection can also be used as a variable power base station.

Description

주입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는 이동 무선전화의 안테나 재정렬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rrangement of mobile radiotelephone using injected audio signal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이동 통신용으로 그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지상 기지국 또는 궤도 위성과 통신하는 이동 무선전화를 사용한다. 이동 무선전화 통신 시스템의 예는 셀룰러 전화 시스템이다. 셀룰러 전화 시스템은 주파수 재사용 패턴을 사용하는 광역 통신망이다. 아날로그 셀룰러 전화 시스템의 설계 및 동작은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by Blecher,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VT29, No. 2, May 1980, pp. 238-244의 논문에서 설명된다. 아날로그 이동 셀룰러 시스템은 또한 "AMPS" 시스템으로 불리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e mobile radiotelephones that communicate with terrestrial base stations or orbital satellites. An example of a mobi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is a cellular telephone system. Cellular telephone systems are wide area networks using frequency reuse patterns. The design and operation of an analog cellular telephone system is described in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by Blecher,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VT29, No. 2, May 1980, pp. 238-244. Analog mobile cellular systems are also called "AMPS" systems.

최근에, 디지털 셀룰러 전화 시스템은 제안되었고 시분할 다중 접속(TDMA) 기술을 사용해서 실행된다. 표준은 전자 산업 협회/통신 산업 협회(EIA/TIA) 문서 IS-54B에 따르는 미국 디지털 셀룰러(ADC) 기술용으로 EIA 및 TIA에 의해 또한 설정되었다. IS-54B 이중 모드 구조를 실행하는 전화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다른 표준은 유럽에서 디지털 셀룰러 전화 시스템용으로 보급되어왔다. GSM으로 불리우는 유럽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은 TDMA 기술을 사용한다.Recently,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s have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us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echnology. The standard was also established by the EIA and TIA for US Digital Cellular (ADC)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nics Industry Association /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EIA / TIA) document IS-54B. Telephones implementing the IS-54B dual mode architecture are commercially available by the assigne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standards have spread in Europe for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s. European digital cellular systems, called GSM, use TDMA technology.

당업자에게 양호하게 공지되듯이, 이동 무선전화는 안테나와, 이동 무선전화 안테나를 경유해서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차량 이동 무선전화에서,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차량 몸체에 설치된다. 휴대용 이동 무선전화에서, 안테나는 휴대용 무선전화의 하우징으로부터 통상적으로 돌출한다. 무선전화 통신 신호에 대해 알맞은 안테나 지향방향(orientation)은 왜곡 또는 드롭아웃(dropouts)없는 깨끗한 수신에 중요하다. 양호하게 공지했듯이, 약간의 안테나 방향전환은 무선전화 수신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는 송신이 사용자 머리의 나머지측으로부터 수신될 때 신호 강도의 손실을 겪게 된다. 머리로 차단되는 것은 6dB의 신호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mobile radiotelephone includes an antenna and a transceiver for receiving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via the mobile radiotelephone antenna. In a vehicle mobile radiotelephone, the antenna is typic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In a portable mobile radiotelephone, the antenna typically protrudes from the housing of the portable radiotelephone. Proper antenna orientation fo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ignals is important for clear reception without distortion or dropouts. As is well known, slight antenna redirection significantly improves radiotelephone reception. For example, the cellular phone suffers a loss of signal strength when the transmission is received from the rest of the user's head. Blocking the head can cause 6dB signal loss.

안테나 지향방향이 이동 무선전화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다수의 이동 무선전화는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고, 그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또는 언코드된 디지털 이동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수신된 신호 품질은 안테나의 오정렬(misalignment)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저하된다. 그러므로, 잡음 레벨이 점차로 증가하게되고, 그것은 상기 잡음을 감소시키기위해 차량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할수 있게 한다.Since antenna orientation is important in mobile radiotelephones, many mobile radiotelephones displa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which may prompt the user to redirect the antenna. In addition, the signal quality received in analog or uncoded digital mobile radiotelephone systems gradually degrades as the antenna's misalignment increases. Therefore, the noise level gradually increases, which allows the user to prompt the antenna to be redirected by moving the vehicle or portable radiotelephone to reduce the noise.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여,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대해 개선된 정렬용 무선전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기위해 무선전화 사용자를 프롬프트시키는 것이 공지된다. 예를 들어, 문서 EP-A-531918, EP-A-464 911 및 WO-A-95 21 494를 참조하시오.It is known to inject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o prompt the radiotelephone user to redirect the improved alignment radiotelephone antenna to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ee, for example, documents EP-A-531918, EP-A-464 911 and WO-A-95 21 494.

통신 효율을 개선시키기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음성 코딩 및/또는 디지털 에러 정정 코딩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 일반적이다. 상기 디지털 코딩은 2dB 이하의 매우 낮은 신호 대 잡음비 이하의 양호한 품질에서 통신을 상기 임계치 이하의 매우 예리한 차단으로써 가능하게된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FM 또는 언코드된 시스템의 완만한 저하는 없어지고 임계치 이하의 갑작스런 차단으로써 대치된다. 그런 디지털 코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량한 지향방향은 신호 강도를 임계치 이하로 떨어뜨려서 통신이 갑자기 중단한다. 신호 강도의 감소는 안테나 방향전환을 프롬프트할 수 있었던 잡음 레벨의 증가에 의해 동반되지 않는다.To improve communication efficiency, it is currently common to use digital voice coding and / or digital error correction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digital coding is made possible by a very sharp cutoff below the threshold at good quality below a very low signal-to-noise ratio below 2dB. Therefore, the gentle degradation of the analog FM or uncoded system is eliminated and replaced by a sudden cut off below the threshold. In such a digitally cod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poor directing direction causes the signal strength to drop below the threshold so that communication abruptly ceases. The decrease in signal strength is not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noise level that could prompt antenna redirec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특히 지상 기지국 또는 궤도 위성과 통신하는 이동 무선전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mobi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a terrestrial base station or orbital satellite.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이동 무선전화의 블록 다이어그램.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radiotelephon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의 블록 다이어그램.2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for generating an align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정렬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generating a first align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정렬 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generating a second align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신호 처리의 블록 다이어그램.5 is a block diagram of received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조기의 블록 다이어그램.6 is a block diagram of a demodul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된 이동 무선전화 통신에 대해 이동 무선전화 안테나를 지향방향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a mobile radiotelephone antenna to received mobi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딩 기술을 사용하고 그러므로 신호로 하여금 임계치 이하에서 차단되게 하는 임계치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이동 무선전화에서 안테나를 지향방향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ng an antenna in a digital mobile radiotelephone that uses a coding technique and therefore generates a threshold that causes the signal to be blocked below a threshold.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이동 무선전화에 의해 제공된다. 가청 정렬 신호는 무선전화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전화 통신의 소스에 대해 개선된 정렬용 무선전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시킨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a mobile radiotelephone which injects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n audible alignment signal prompts the radiotelephone user to redirect the improved alignment radiotelephone antenna to the source of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특히,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무선전화 안테나의 위치 함수인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는 가청 무선전화 신호로 주입된다. 가청 정렬 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직접적인 함수일 수 있거나, 그것은 신호 강도에 간접적으로 의존하는 왜곡 또는 잡음 레벨 등의 다른 매개변수의 함수일 수 있다. 가청 정렬 신호는 무선전화 통신 신호와 함께 무선전화 확성기로 주입되는 유사(artificial)잡음이고, 그럼으로써 종속적으로 완만한 저하 동작을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복원한다. 종속적으로 완만한 저하 동작을 유사적으로 복원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하는 무선전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시킨다.In particular,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has a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i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s injected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signal.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may be a direct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r it may be a function of other parameters, such as distortion or noise level, which indirectly depends on the signal strength.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is an artificial noise injected into the radiotelephone loudspeaker along with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hereby restoring a dependently slow deterioration behavior to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By similarly restoring a dependently slow degradation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mpts the user to redirect the radiotelephone antenna receiving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전화는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하고 안테나 및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이 수신 수단에 응답해서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신호 강도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시킨다. 상설했듯이, 신호 강도 표시는 신호 강도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함수일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확성기 및 이어스피커(earspeaker)를 통상적으로 포함하고 음성 코덱 및 다른 회로를 포함하는 음향 변환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 및 신호 강도 표시를 결합하는 가청 신호를 발생시키기위해 수신 수단 및 신호 강도 표시 수단에 응답하여, 가청 신호 강도 표시는 가청 무선전화 통신과 함께 제공된다.A mobil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means for receiving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comprising an antenna and a radio transceiver.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generates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means. As mentioned above, the signal strength indication can be a direct or indirect function of signal strength. Acoustic conversion means, typically including one or more loudspeakers and earspeakers, and including a voice codec and other circuitry, for receiving an audible signal to generate an audible signal that combines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and signal strength indications. In response to the means, an audible signal strength indication is provided with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수신 수단이 갑작스런 차단 수신 수단인 디지털 코드된 이동 무선전화 또는 다른 이동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특히 사용되고, 그 수신 수단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상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수신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하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를 억제 또는 차단한다. 그런 무선전화에서,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에 접근한다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강도의 함수인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d in a digitally coded mobile radiotelephone or other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in which the receiving means is a sudden blocking receiving means, the receiving means being capable of receiving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s above a threshold. And the receiving means suppresses or blocks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below a threshold. In such a radiotelephone,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generates a warning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pproaches a threshold.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감소 기능으로서 증가하는 유사잡음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수신된 신호 강도가 저하하거나 임계치에 접근하는 것을 표시한다. 양호하게는, 유사잡음은 임계치 이상인 수신된 신호 강도로부터 임계치 이하인 수신된 신호 강도까지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감소 함수에 따라 증가하여,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에 접근하고 임계치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나, 신호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는 가청 표시는 또한 사용된다. 그러므로, 무선전화 통신 신호가 억제된 후에도, 유사잡음 레벨은 통신을 복원하는 안테나 방향전환에 관해 사용자를 계속 프롬프트할 수 있다.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generating increasing similar noise as a function of decrea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lowered or approaching a threshold. Preferably, the similar noise increases as a function of a decrease in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received signal strength above the threshold to received signal strength below the threshold,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pproaches and passes through the threshold. do. However, an audible indication is also used in which the density increases as the signal strength increases. Therefore, even after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s suppressed, the similar noise level may continue to prompt the user regarding antenna redirection to restore communication.

유사잡음은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과 다르고 안테나 지향방향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잡음은 광대역 백색잡음 또는 도색(pink)잡음, 신호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진폭 또는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단일 사인곡선 주파수 또는 다수의 사인곡선 주파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사잡음이 클릭(click) 또는 처프(chirp) 등의 주기적인 신호일 수 있고, 그것의 반복 주기성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변화 함수에 따라 변화하여, 수신된 신호 강도가 저하하거나 임계치에 접근하는 것을 표시한다. 상기 변화 주기성 신호는 무선 동조 표시로 들릴수 있다. 유사잡음은 가청 워드 "이동" 등의 동기화된 음성 메시지로 또한 될 수 있고, 그것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진폭 또는 주파수를 증가시킨다.The similar noise may be a signal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that changes as a function of antenna orientation. For example, the quasi-noise may be broadband white noise or pink noise, a single sinusoidal frequency or multiple sinusoidal frequencies that vary in amplitude or frequency as signal strength decreases. Alternatively, the similar noise may be a periodic signal such as a click or chirp, the repetitive periodicity of which changes as a function of the change 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hereby recei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es that it is lowering or approaching the threshold. The change periodicity signal may be heard in a radio tune indication. The similar noise can also be in a synchronized voice message, such as an audible word " move ", which increases in amplitude or frequency a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decreases.

본 발명은 송신기(지상 기지국 또는 위성)에서 자동 전력 제어를 사용하는 이동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송신기로 하여금 이동 무선전화가 저 신호 강도를 수신하는 이동 무선전화로부터의 표시에 응답해서 그 전력을 증가시키게한다. 상기 자동 전력 제어 시스템은 예리한 임계치조차도 구비하는 데 왜냐하면 그것은 많은 전력이 제공되지 않을 때까지 자동 전력 제어 시스템이 트랙할 수 있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느린 감소에 대해 신호 저하를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mobile radiotelephone systems that use automatic power control at a transmitter (ground base station or satellite). The transmit power control system causes the transmitter to increase its power in response to an indication from the mobile radiotelephone that receives the low signal strength. The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even has a sharp threshold because it prevents signal degradation against the slow reduction of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the automatic power control system can track until not much power is provided.

본발명에 따라, 송신 전력 표시 신호는 무선전화 통신과 함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다. 가청 정렬 신호는 무선전화에 의해 수신되는 송신 전력 표시 신호에 응답해서 만들어져서,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송신 전력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신호 강도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주입되는 유사잡음량이 또한 증가하여, 감소된 송신 전력 레벨이 사용될 수 있도록 안테나의 지향방향을 프롬프트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 power ind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together with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is made in response to a transmit power indic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adiotelephone, generating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that is a function of the transmit power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us, for example, as the transmit power increases, the amount of similar noise injected also increases, prompting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antenna so that the reduced transmit power level can be used.

본 발명은 가청 유사잡음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함으로써 양호한 수신용 무선전화 안테나를 사용자로 하여금 프롬프트시킨다. 가청되게 저하된 통신이 도달하기전에 사용자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개선된 이동 무선전화 통신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mpts the user for a good receiving radiotelephone antenna by injecting an audible pseudonoise signal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user may be prompted to redirect the antenna before an audibly degraded communication arrives. Thus, improved mobi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are provid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더 충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된다고 해석되지 않아야되고; 오히려, 상기 실시예가 제공되어 상기 개시는 완전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한다. 같은 번호는 전체에 걸쳐 같은 소자로 불리운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However,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현재 도 1에서,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이동 무선전화(100)는 차량 이동 무선전화일수 있으나 양호하게는 휴대용 이동 무선전화이다. 이동 무선전화(100)는 지상 기지국(155) 또는 궤도 위성(도시 안된)으로부터 통상적으로 무선전화 통신(150)을 수신한다. 도 1은 본 양수인의 모(parent) 회사에게 양도되었으며 공동발명자 Paul W. Dent 및 Bjorn Ekelund에 의한 "Multi-Mode Signal Processing"을 명칭으로 하는 미국 특허 출원 제07/967,027호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이중-모드 셀룰러 무선전화를 간단하게 표시한 것이고, 그 개시는 참고로 본원에서 결부된다.1, a functional block diagram is show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he mobile radiotelephone 100 may be a vehicle mobile radiotelephone but is preferably a portable mobile radiotelephone. Mobile radiotelephone 100 typically receives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150 from a terrestrial base station 155 or an orbiting satellite (not shown). 1 is assigned to the parent company of the assignee and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ent Application No. 07 / 967,027 entitled “Multi-Mode Signal Processing” by co-inventors Paul W. Dent and Bjorn Ekelund. The dual-mode cellular radiotelephone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the disclosure of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간략하게, 안테나(145), 무선 송수신기(140) 및 수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25)는 무선전화 통신(150)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수신 DSP(125)는 무선 송수신기(140)로부터 DSP 인터페이스(135)를 경유해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확성기(110) 등의 음향 변환기를 통해 송신용 음성 코덱(115)에 인가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송신 DSP(120)는 마이크로폰(105)으로부터 음성 코덱(115)를 경유해서 수신하고 무선 송수신기(140) 및 안테나(145)에 의해 송신하기위해 그 신호를 DSP 인터페이스(135)에 제공한다. 마이크로제어기(130)는 이동 무선전화(100)의 소자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한다. 이동 무선전화(100)의 설계는 당업자에게는 양호하게 공지되고 본원에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Briefly, antenna 145, wireless transceiver 140, and receiving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25 function as a means for receiving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150. The receiving DSP 125 process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ceiver 140 via the DSP interface 135 and can be applied to the transmitting voice codec 115 via an acoustic transducer such as a loudspeaker 110. Generate a signal. Transmit DSP 120 receives from microphone 105 via voice codec 115 and provides the signal to DSP interface 135 for transmission by wireless transceiver 140 and antenna 145. The microcontroller 130 controls some or all of the elements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100. The design of the mobile radiotelephone 100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not further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C53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일 수 있는 수신 DSP(125)상에서 실행하는 기억된 프로그램으로서 부분적으로 양호하게 구체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마이크로제어기(130) 또는 다른 프로세서상에서 실행하는 기억된 프로그램으로서 부분적으로 또한 구체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주문자 논리 설계,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은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소자는 사용될 수 있다.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well embodied in part as a stored program executing on a receiving DSP 125, which may be, for example, a C53 digital signal processor from Texas Instru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part also as a stored program executing on microcontroller 130 or other processor. Alternatively, custom logic design,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may be used. In analog cordless telephone systems, analog devices can be used.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도 1의 수신 DSP(125)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현재 설명된다. 도 2에 도시했듯이, 수신 DSP(125)는 DSP 인터페이스(135)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전화 통신으로부터 디지털 수신된 무선 통신 (음성) 신호(250)을 발생시키는 통신 신호 발생 수단(210)을 포함한다. 통신 신호(250)는 음성 코덱(115)에 인가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그 아날로그 신호는 확성기(110)에 공급되어 가청 무선전화 통신을 발생시킨다. 통신 신호 처리 수단(210)은 디지털 음성 디코딩 및 에러 정정 기능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양호하게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는 수신기에서 갑작스런 차단을 발생시킨다. 그런 코드된 디지털 시스템에서,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가 제1임계치 이상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는 발생되고, 그 수신된 신호 강도가 제2임계치 이하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는 억제된다. 또한 도 2에서, 수신 DSP(125)는 정렬 신호 발생 수단(220)을 또한 포함한다. 정렬 신호 발생 수단(220)은 DSP 인터페이스(135)로부터 수신된 신호 대 잡음비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하듯이, 무선 송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신 DSP(125) 또는 마이크로제어기(130)는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 신호를 발생시킬수 있다. 수신된 신호 강도 신호의 발생은 당업자에게는 양호하게 공지되고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정렬 신호 발생 수단(220)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정렬 또는 경고 신호(240)를 발생시킨다.In FIG. 2, a block diagram of the receive DSP 125 of FIG. 1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now described. As shown in FIG. 2, the reception DSP 125 comprises communication signal generating means 210 for generating a digitally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voice) signal 250 from a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received from the DSP interface 135. The communication signal 250 is applied to the voice codec 115 and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which is supplied to the loudspeaker 110 to generate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ans 210 generates a sudden interruption at the receiver using techniqu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digital voice decoding and error correction functions. In such coded digital systems,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d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s suppressed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lso in FIG. 2, the reception DSP 125 also comprises an alignment signal generating means 220. The alignment signal generating means 220 may receive an indication of the signal to noise ratio received from the DSP interface 135.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transceiver 140 may generat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signal. Alternatively, receive DSP 125 or micro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signal from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The genera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signal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need not be further explained. The alignment signal generating means 220 generates an alignment or warning signal 240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정렬 신호(240)는 합산기(230)에서 디지털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250) 및 정렬 신호(240)를 결합함으로써 가청 무선 통신 신호로 주입된다. 합산기(230)는 음성 코덱(115)에 제공되는 결합된 신호(260)를 발생시켜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확성기(110)를 통해 전달한다. 무선 통신 신호(250) 및 정렬 신호(240)는 결합될 필요는 없으나,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되게 하는한 오히려 하나 이상의 확성기 또는 이어피쓰(earpieces)(110)에 분리해서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정렬 신호 발생 수단(220) 및 합산기(260)는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주입 수단을 형성한다. 확성기(110) 및 음성 코덱(115) 등의 음향 변환 수단이 수신 디지털 프로세서(125)에 응답하여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 신호(250) 및 정렬 신호(240)를 결합하는 가청 신호를 발생시켜서, 가청 신호 강도 표시는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된다.The alignment signal 240 is injected into the audibl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by combining the alignment signal 24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250 digitally received at the summer 230. Summer 230 generates the combined signal 260 provided to voice codec 115 to convert it 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 it through loudspeaker 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250 and the alignment signal 240 need not be combined,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to one or more loudspeakers or earpieces 110 as long as the audible alignment signal is injected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Can b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alignment signal generating means 220 and summer 260 form injection means for injecting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into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ound conversion means such as a loudspeaker 110 and a voice codec 115 generates an audible signal combining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250 and the alignment signal 240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digital processor 125, thereby audible. The signal strength indication is injected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도 3에서, 정렬 신호(도 2의 블록(220))의 제1실시예를 만드는 동작은 현재 설명된다. 특히, 블록(310)에서, 신호는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기능으로서 증가해서 발생된다. 블록(320)에서, 유사잡음 신호는 발생되고 블록(31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스케일(scale)되거나 증폭된다. 따라서, 유사잡음이 발생되고 그 진폭은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함수에 따라 증가해서, 신호 강도의 점차적인 저하의 유사 표시를 제공한다. 블록(330)에서, 그 증폭된 유사잡음이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된다.In FIG. 3, the operation of mak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lignment signal (block 220 in FIG. 2) is now described. In particular, at block 310, the signal is generated incrementally as a function of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At block 320, a similar noise signal is generated and scaled or amplified by the signal generated at block 310. Thus, similar noise is generated and its amplitude increases as a function of decrea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providing a similar indication of the gradual drop in signal strength. At block 330, the amplified similar noise is injected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유사잡음 신호가 백색잡음, 도색잡음 또는 어떤 다른 광대역 잡음 종류로 될 수 있거나, 진폭을 수신된 신호 강도의 감소로써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사인곡선 잡음 또는 다수의 사인곡선 등의 단일 또는 다수의 주파수 잡음일 수 있다. 양호하게는, 신호 강도로써 증가하는 가청 표시가 음악의 주요 코드(chord) 등의 "유쾌한" 특성을 갖도록 선택되는 반면에, 악화하는 신호로써 증가하는 가청 표시가 백색잡음 또는 불협화음 등의 "비-유쾌한" 특성으로 설정된다. 통신을 중단시키는 갑작스런 임계치를 제공하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유사잡음 신호는 임계치 이상에서 양호하게 가청되고,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통해 통과하고 임계치 이하로 떨어짐에 따라, 더 강해져서,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전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하여 통신을 복원한다.The quasi-noise signal may be white noise, paint noise, or any other type of broadband noise, or may be single or multiple frequency noises such as sinusoidal noise or multiple sinusoids that increase or decrease the amplitude with a decrease i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Can be. Preferably, an audible indication that increases with signal strength is selected to have a "pleasant" characteristic, such as the music's main chord, while an audible indication that increases with an aggravating signal is a "non-" such as white noise or discordant sound. Pleasant "property. In digital systems that provide a sudden threshold for interrupting communication, the quasi-noise signal is well audible above the threshold and becomes stronger a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passes through and falls below the threshold, allowing the user to wirelessly Prompt to redirect the telephone antenna to restore communication.

도 4에서, 도 2의 정렬 신호 발생 수단(220)의 제2실시예(220')는 현재 설명된다. 블록(410)에서, 제1신호는 블록(310)과 연관해서 이미 설명했듯이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에 따라 증가해서 발생된다. 블록(420)에서, 제2신호는 증가하는 송신 전력의 함수에 따라 증가해서 발생된다.In Fig. 4, the second embodiment 220 'of the alignment signal generating means 220 of Fig. 2 is now described. At block 410,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and incremented as a function of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as described previously in connection with block 310. At block 420, the second signal is generated incrementally as a function of increasing transmit power.

자동 송신 전력 제어를 사용하는 이동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기지국(155)(도 1) 또는 위성은 이동 무선전화(100)가 소망된 신호 강도보다 적게 수신되는 표시에 응답해서 그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이동 무선전화(100)가 소망된 신호 강도보다 더 크게 수신되는 표시에 응답해서 그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 또는 위성 송신 전력의 표시는 이동 전화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전화 통신(150)의 다운링크 송신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블록(220)에서, 제2신호는 망으로부터 증가하는 송신 전력의 함수에 따라 증가해서 발생된다. 가청 표시는 업- 또는 다운링크를 개선시키기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그의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시키는 망으로부터 피드백에 의해 제어된다.In a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using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the base station 155 (FIG. 1) or satellite increases and transmits its transmit power in response to an indication that the mobile radiotelephone 100 is received less than the desired signal strength. It i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radiotelephone 100 reduces its transmit power in response to an indication that it is received greater than the desired signal strengt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cation of base station or satellite transmission power is provided in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150 received by the mobile telephone. Thus, at block 220, the second signal is generated and incremented as a function of increasing transmit power from the network. Audible indication is controlled by feedback from the network prompting the user to redirect his antenna to improve the up- or downlink.

도 4의 설명을 계속해서, 블록(430)에서, 제1 및 2신호는 결합되어 제1 및 2신호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제3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3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함수에 따라 증가하나 증가하는 송신 전력의 함수에 따라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이 증가될 때, 정렬 신호는 사용자로 하여금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프롬프트하기위해 증가하여 송신기는 저 송신 전력을 발생시킬수 있다. 블록(440)에서, 정렬 신호는 발생된다. 블록(440)에서, 유사잡음 신호가 사인파 또는 클릭 등의 주기 신호이고, 그것의 주파수는 제3신호의 값을 토대로 해서 변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변 주파수 유사잡음 신호는 동조 표시를 제공하고 거기에서 예를 들어 더 높은 주파수는 더 낮은 신호 강도 및 더 높은 송신 전력을 표시한다. 블록(450)에서, 유사잡음은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된다.Continu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 4, at block 430,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combined to generate a third signal that changes as a fun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For example, the third signal increases as a function of decrea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but also increases as a function of increasing transmit power. Thus, when the transmit power is increased, the alignment signal is increased to prompt the user to redirect the antenna so that the transmitter can generate low transmit power. At block 440, an alignment signal is generated. At block 440, the quasi-noise signal is a periodic signal, such as a sine wave or click, and its frequency is changed based on the value of the third signal. Therefore, the variable frequency pseudonoise signal provides a tuning indication in which, for example, higher frequencies indicate lower signal strength and higher transmit power. At block 450, similar noise is injected into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용 무선전화 안테나의 정렬 또는 오정렬을 표시하는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및 또한 가능하게는 기지국 또는 위성의 송신 전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안테나를 방향전환을 하기위해 프롬프트되어 정렬 신호는 감소한다. 본 발명은 실제 시스템 잡음이 들어가기전에 완만한 저하 표시기를 구비하는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차단 임계치가 접근하게되거나 통과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코딩을 사용하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완만한 저하 표시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기위해 및 고품질 신호를 복원하기위해 프롬프트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audible alignment signal that i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nd also possibly the transmit power of the base station or satellite) indicating the alignment or misalignment of the receiving radiotelephone antenna for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The user is prompted to redirect the antenna so that the alignment signal is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alog systems with a gentle degradation indicator before actual system noise enters, and a gentle degradation indication that can be used in digital systems using coding to indicate that the cutoff threshold is approaching or passing. Equipped. The user is prompted to redirect the antenna and to restore a high quality signal.

도 5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예시된다. 도 5는 무선전화 또는 송신기(지상 기지국 또는 위성)에서 수신 신호 처리의 블록 다이어그램의 다른 구분화(partitioning)를 예시한다. 도 5는 하드웨어 구분화인 도 1에 대응하는 함수 구분화이다.In Fig. 5,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5 illustrates another partitioning of the block diagram of received signal processing at a radiotelephone or transmitter (ground base station or satellite). 5 is a function classification corresponding to FIG. 1, which is a hardware classification.

신호 플러스 잡음 및 간섭은 안테나(145)에서 수신되고 무선 송수신기(140)에 의해 주파수체강변환되고 디지털화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에 알맞은 신호 표시를 얻는다. 수신 DSP(125)는 복조 및 에러-정정 디코딩 기능(500)을 수행하기위해 변환되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코드된 음성을 표시하는 디지털 심벌을 얻는다. 코드된 음성이 또한 DSP(125)에서 디코드되고 코덱(115)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되고, 그 기능은 도 5에서 블록(510)으로 표시된다. 블록(500)은 또한 명령 메시지를 디코드하고 그들을 제어 프로세서(130)로 통과시킨다. 블록(500)은 음성 디코딩으로 통과되는 디코드된 비트가 에러가 없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신호 품질 표시를 또한 발생시킨다.Signal plus noise and interference are received at antenna 145 and frequency transformed and digitized by radio transceiver 140 to obtain a signal representation suitable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The receiving DSP 125 processes the converted and received signal to perform the demodulation and error-correction decoding function 500 to obtain digital symbols representing the coded speech. The coded voice is also decoded in the DSP 125 and converted to analog voice by the codec 115, the function of which is indicated by block 510 in FIG. 5. Block 500 also decodes the command messages and passes them to the control processor 130. Block 500 also generates a signal quality indication indicating the likelihood that the decoded bits passed to speech decoding will be error free.

음성 디코더(510)는 불신될 수 있게(unreliable) 표시된 비트를 무시하고 디폴트(default) 음성 사운드를 출력하는 능력을 포함하거나 그렇치 않으면 "음성 매개변수 보간"으로 공지된 처리에 의해 에러 비트의 영향을 제거한다. 에러 제거는 불신될 수 있는 신호의 주기동안 "편안한(comfort) 잡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편안한 잡음은 "촙된(chopped)" 음성의 바람직하지않은 영향을 주는 모든 음향 출력을 갑자기 차단하는 것을 피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조 및 디코딩 기능(500)은 현재 설명하듯이 디코딩 처리에서 제거되는 무선 잡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부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Voice decoder 510 includes the ability to ignore unmarked bits and output a default voice sound, or otherwise to effect the error bits by a process known as "voice parameter interpolation". Remove Error elimination involves outputting "comfort noise" during the period of the signal that can be distrusted. The comfortable noise avoids abruptly shutting off all acoustic outputs that have the undesirable effect of "chopped" voic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modulation and decoding function 500 may additionally output a signal indicative of wireless noise removed in the decoding process as currently described.

복조 및 에러 정정 디코딩은 1996년 9월 17일에 발간되고 공동 발명자 Dent에 의한 "Channel-Independent Equalizer Device"를 명칭으로한 미국 특허 제 5,557,645호에 따라 최대 가능성(likelihood) 시퀀스 추정기에 의해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고, 그것의 개시는 본원에서 참고로 본원에서 결부된다. 도 6에서, 비터비(Viterbi) 시퀀셜 최대 가능성 시퀀스 추정기는 축적 가망성을 나타내는 각각에 대해 경로 거리(metric)와 함께 수신된 심벌 시퀀스의 다수의 가설을 기억하는 상태 메모리(65)를 포함한다. 처리는 트레이닝(training) 시퀀스 또는 동기워드로 불리우는 공지된 비트 시퀀스를 처리하는 것으로부터 알게된 전달 채널의 모델을 포함한다. 후자의 정보는 상태 메모리(65)에서 기준 벡터 어래이(Reference Vector Arrays)에서 구체화된다.Demodulation and error correction decoding is advantageously performed by a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published on September 17, 1996, and entitled "Channel-Independent Equalizer Device" by co-inventor Dent under US Patent No. 5,557,645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FIG. 6, the Viterbi sequential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includes a state memory 65 that stores a number of hypotheses of received symbol sequences along with a path metric for each representing an accumulating likelihood. The processing includes a model of the delivery channel learned from processing a known bit sequence called a training sequence or sync word. The latter information is embodied in the reference vector arrays in the state memory 65.

송신기 모델(60)은 이전의 가설이 사실로 되는 각 상태에 대해 차례로 가정상에서 새로운 비트 가설에 대응하는 기대된 신호값을 계산한다. 상기 기대된 신호값이 비교기(61)에서 수신된 신호값과 비교되어 차를 얻는다. 그 차는 가설 및 실제 수신된 신호 샘플간의 에러의 측정이고, 그 에러는 가설이 올바르게되는 경우에 무선 잡음만에 기인한다. 부정합 표시는 시험된 가설에 대응하는 이전의 경로 거리에 가산되어 새로운 축적 부정합 또는 경로 거리를 얻는다.Transmitter model 60 computes the expected sign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new bit hypothesis in hypothesis, in turn, for each state in which the previous hypothesis is true. The expected signal value is compared with the signal value received at the comparator 61 to obtain a difference. The difference is a measure of the error between the hypothesis and the actual received signal sample, and the error is due to radio noise only if the hypothesis is correct. The mismatch indication is added to the previous path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ypothesis tested to obtain a new accumulated mismatch or path distance.

가산기(62)는 2진수 '0'인 현재의 가설 메모리에서 최좌측 비트를 갖는 상태로부터 새로운 경로 거리를 형성하는 반면에, 가산기(64)는 2진수 '1'로 되는 최좌측 비트 위치에서만 달리하는 대응하는 현재의 가설에 대한 새로운 경로 거리를 형성한다. 비교기(63)는 현재의 가설중에서 및 메모리의 이미 처리된 부분으로 최좌측 비트(상태가 더 낮은 경로 거리를 설정하는 것에 따라 0 또는 1로 되는)의 좌측 시프트로써 2개의 새로운 경로 거리를 비교하고 상태 메모리의 새로운 내용으로 되기위해 연관된 상태 메모리의 더 낮은 것 및 모두 대응하는 내용을 선택한다. 이전의 모든 가설은 새로운 비트용 가설처럼 및 모든 상기 가설을 처리한 후 '0' 및 '1' 모두로써 시험되고 남겨진 상태수는 이전과 같으나 모든 경로 거리는 2개의 비교된 거리중 더 낮은 것으로 갱신되고 디코딩은 하나의 심벌만큼 앞서간다.Adder 62 forms a new path distance from the state with the leftmost bit in the current hypothesis memory, which is binary '0', while adder 64 differs only at the leftmost bit position, which is binary '1'. To form a new path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current hypothesis. Comparator 63 compares the two new path distances during the current hypothesis and with the left shift of the leftmost bit (going to 0 or 1 as the state sets the lower path distance) and into the already processed part of the memory. Select the lower and all corresponding contents of the associated state memory to become new contents of the state memory. All previous hypotheses are tested as both new and hypothetical bits and after all th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and left as both '0' and '1', and all path distances are updated to the lower of the two compared distances. Decoding advances one symbol.

도 6의 동작은 결부된 특허 출원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조 잡음 표시를 제공하기위해 그 동작이 어떻게 변형될 수 있는지의 설명이다.The operation of FIG. 6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associated patent application. It is a description of how the operation may be modified to provide a tuning noise indicati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전에 언급했듯이, 비교기(61)는 가설화된 신호값 및 실제 수신된 신호값간의 차를 계산하고, 그 차는 가설화된 신호값이 사실인 경우에 무선잡음만에 기인하게된다. 상기 계산된 차를 버리는 대신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태 메모리의 이미 처리된 부분에서 각 데이터 심벌을 따라 그 차를 기록한다. 에러 정정 코딩이 송신되는 원래의 데이터 비트당 몇 개의 송신된 샘플을 발생시킬 때, 송신기 모델(60)은 비교용 몇 개의 신호 샘플을 발생시키고 비교기(61)는 복수의 샘플을 시험하여 몇 개의 차를 얻는다. 상기 차는 자승의 합으로서 정상적으로 결합되어 버려지기전에 부정합 표시를 얻는다.As mentioned previously, comparator 61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ypothesized signal value and the actual received signal value, which is due to radio noise only when the hypothesized signal value is true. Instead of discard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rites the difference along each data symbol in the already processed portion of the state memory. When the error correction coding generates several transmitted samples per original data bit transmitted, the transmitter model 60 generates several signal samples for comparison and the comparator 61 tests the plurality of samples to determine several differences. Get The difference is a sum of squares to obtain a mismatch indication before it is normally comb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그 차는 각 처리된 비트 결정에 대해 상태 메모리(65)에서 저장된다. 2개의 비교된 가설중 하나가 비터비 처리에 의해 구해지도록 선택될 때 하나의 상태로부터 그 저장된 차는 다른 상태의 저장된 차를 과장기록하기위해 허여된다. 비터비 MLSE 프로세서에 의해 만들어진 최종의 비트 결정은 합 자승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남는 에러는 무선 잡음에만 기인하게되고 부정확한 비트 결정에는 기인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해진 차는 수신된 무선잡음과 같고 음성 디코더(510)에 출력될 수 있다. 음성 코더(510)는 무선잡음 샘플을 오디오 신호에 가산할 수 있어 사용자는 신호 대 잡음비와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무선 잡음 특성의 정확한 표시를 듣게되고 디코딩 처리의 갑작스런 임계치에 의해 "촙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s stored in the state memory 65 for each processed bit decision. When one of the two compared hypotheses is selected to be obtained by Viterbi processing, the stored car from one state is allowed to overwrite the stored car of the other state. The final bit decision made by the Viterbi MLSE processor is to minimize ligature differences. Thus, the remaining error is attributed only to radio noise and not to inaccurate bit determination. Therefore, the obtained difference is equal to the received radio noise and can be output to the voice decoder 510. The voice coder 510 may add radio noise samples to the audio signal so that the user hears an accurate indication of the radio noise characteristics that change in proportion to the signal-to-noise ratio and is not "squeezed" by sudden thresholds in the decoding process.

음성 신호의 디지털화를 사용하는 디지털 무선전화는 에러 정정 코딩뿐만 아니라 에러 검출 코드와 결부한다. 예를 들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는 디지털 음성 송신에서 가장 개념적으로 중요한 비트에 종종 첨부된다. CRC 확인이 오동작할 때, 에러 비트는 "디버핑(deburping)"으로 또한 공지된 각종의 에러 제거 방법에 의해 원치않는 음향 결과의 야기를 방지하게된다. 그런 디버핑은 CRC가 시간의 5%만큼 오동작할 때 사용가능한 음성 품질을 보호할 수 있다. 시간의 5%이상에 대한 CRC 오동작의 검출은 사용자로 하여금 정정 동작을 하도록하기위해 가청 신호 품질 표시를 전화 출력에 자동 가산하도록 트리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Digital radiotelephones using the digitization of speech signals are associated with error detection codes as well as error correction coding. For example,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are often appended to the most conceptually important bits in digital voice transmission. When the CRC check malfunctions, the error bit is prevented from causing unwanted acoustical results by various error cancellation methods, also known as " deburping ". Such debuffing can protect the voice quality available when the CRC malfunctions by 5% of the time. Detection of CRC malfunctions for more than 5% of the time can be used as a trigger to automatically add an audible signal quality indication to the phone output to allow the user to make corrective actions.

상설된 실시예는 진실의 무선 잡음에 임의로 가까운 잡음 표시가 복조 및 디코딩 처리로부터 원칙적으로 인출될 수 있고, 오디오 신호로 인공적으로 재도입되어 복조기의 임계 특성에 무관하게 신호 품질의 상승 또는 저하를 진실로 표시하게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noise indication arbitrarily close to the true radio noise can in principle be drawn from the demodulation and decoding process, and artificially reintroduced into the audio signal to truly increase or decrease the signal quality regardless of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modulator. Will be displayed.

진실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해 강조된 방법에서 상승 또는 저하되는 신호 품질의 가청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비의 1dB 감소가 유사적으로 가산된 가청 표시에서 3dB 또는 6dB 상승에 의해 사용자에 표시되야 바람직하다. 그것은 구해진 무선잡음 파형에 부가해서 또는 그 파형에 대안적으로 디코딩 처리로부터 구해진 경로 거리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경로 거리는 무선잡음의 평균 자승에 비례하고, 무선잡음의 자승에 따라, 또는 정말로 무선잡음 레벨의 어떤 전력에 따라 가청 표시를 스케일하기위해 사용될 수 있다.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n audible indication of signal quality that rises or falls in a method highlighted for true signal-to-noise ratio. For example, a 1 dB reduction in signal-to-noise ratio should be indicated to the user by a 3 dB or 6 dB rise in the similarly added audible indication. It is achieved by using the path distance obtained from the decoding process in addition to or alternatively to the obtained radio noise waveform. The path distance is proportional to the mean square of radio noise and can be used to scale the audible indication according to the square of the radio noise, or indeed some power of the radio noise level.

그렇게 스케일된 가청 표시는 복조 및 디코딩 처리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길 바란다면 미리저장된 오디오 파형일수 있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그런 파형이 신호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표시할 때 "불유쾌한" 사운드로 되도록 선택된다. 역으로, 주요한 음악 코드 등의 "유쾌한" 파형이 역으로 스케일될 때, 즉 경로 거리로써 분할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어, 그 밀도는 신호 품질이 좋아짐에 따라 증가한다. 잡음 레벨로써 증가하는 불유쾌한 사운드 및 신호 레벨로써 증가하는 유쾌한 사운드의 결합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나, 적어도 "유쾌한" 사운드는 사용자가 "가청 동조 표시"로 하여금 동작가능하도록 선택될 때 가청해야하므로, 사용자는 그것으로 하여금 음성 대화동안 혼란을 다른 양호한 신호 대 잡음비로써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The scaled audible indication may be a prestored audio waveform if desired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demodulation and decoding process. As mentioned previously, such waveforms are selected to be "unpleasant" sound when indicative of degrading signal quality. Conversely, when a "pleasant" waveform, such as a major music code, is scaled inversely, i.e. by dividing by a path distance, the density increases as the signal quality improves. The combination of an unpleasant sound increasing with the noise level and an increasing pleasant sound with the signal level can also be used, but at least the "pleasant" sound must be audible when the user is selected to enable the "audible tuning indicator". It can prevent it from causing confusion with other good signal to noise ratios during voice conversation.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망은 안테나를 재정렬하기위해 가청 표시를 원격으로 터언 온 또는 오프하기위해 제어기(130)에 대해 이전에 설명했듯이 명령 메시지를 보낼수 있다. 그런 명령은 이동 전화에 의해 측정된 신호 강도를 토대로 하고 그 망에 신호 강도 보고로서 송신된 망에 의해 발생되거나, 이동 전화의 송신을 수신하는 망 수신기에 의해 측정된 신호 강도를 토대로 될 수 있고, 그 둘의 결합도 될 수 있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network may send a command message as previously described for controller 130 to remotely turn on or off an audible indication to realign the antenna. Such a command may b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mobile phone and generated by the network transmitted as a signal strength report to the network, or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network receiver receiving the transmission of the mobile phone, It can be a combination of the two.

현재 대화중이 아닌 사용자에게 신호 품질을 가청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그 시간에 사용자의 전화는 호출 채널상에서 신호 버스트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기위해, 이동 전화는 준비 모드에서 계속해서 수신되지 못하나 각 이동 유니트에 망에 의해 미리할당되는 소위 호출된 슬립(sleep)-모드 슬롯에서만 자각한다(wake up). 그것은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만 발생할 수 있다. 망은 이동 수신기가 자각할 때를 알고 그 수신기에 대한 호출 경보는 그 시간에만 송신된다. 그 수신된 신호를 1초 간격으로만 샘플링하는 것은 사용자가 안테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최적화할 수 있는 준비 상태에서 신호 품질 표시를 사용자에게 너무 느리게 거의 제공할 수 없다.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가청 표시를 동작시키도록 요구할 수 있고, 전화가 준비 모드에 있을 때 그 버튼은 수신기로 하여금 계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빈번하게 동작하도록 일시적으로 야기할 수 있어 안테나를 정렬할 목적으로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It is also desirable to audibly display the signal quality to the user who is not currently talking, at which time the user's phone periodically receives a signal burst on the calling channel. To conserve battery power, mobile phones are not continuously received in ready mode but only wake up in so called sleep-mode slots that are pre-allocated by the network to each mobile unit. It can only happen, for example, at 1 second intervals. The network knows when the mobile receiver is aware and a call alert for that receiver is sent only at that time. Sampling the received signal only at one second intervals can hardly provide the user with a signal quality indication too slowly in the ready state that the user can optimize by moving the antenna position. If necessary, the user may request that the audible indication be activated by pressing a button, and when the phone is in ready mode the button may temporarily cause the receiver to operate continuously or at least frequently to align the antenna. The signal strength is measured for the purpose.

대화중이 아닐 때, 신호 품질을 개선시킴으로써 밀도를 증가시키는 음악적 험(hum) 등의 "유쾌한" 종류의 가청 표시를 제공할때에는 단점이 없다. 설비 사용자 매뉴얼에서 지시는 쉬운 지시를 사용자에게 따르도록하는 "최대 험에 대한 정렬"로 단축될 수 있다. 다른 "험"은 전화가 지상기지로된 셀룰러 시스템으로 로크될 때 예를 들어 "공간 험"으로 로크되는 망 기지국의 아이덴티티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When not in conversation, there are no disadvantages in providing a "pleasing" kind of audible indication, such as musical hum, which increases density by improving signal quality. In the plant user manual, the instructions can be shortened to "alignment for maximum hum" which allows the user to follow easy instructions. Another "hum"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identity of the network base station, for example, locked to "space hum" when the phone is locked to a land-based cellular system.

도면 및 명세서에서, 본발명의 통상적인 양호한 실시예가 개시되고, 특정한 용어가 사용되지만, 그들은 설명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할 목적으로 사용되지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typica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certain terms are used, but they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41)

이동 무선전화에 있어서,In mobile cordless phones, 이동 무선전화 안테나와;A mobile radiotelephone antenna; 무선전화 통신을 상기 이동 무선전화 안테나를 경유해서 수신하는 수단과;Means for receiving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via said mobile wireless telephone antenna; 상기 수신 수단에 응답해서 그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변환하는 수단과;Means for converting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means; 상기 수신 수단에 응답해서, 개선된 정렬용 상기 무선전화 안테나를 그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대해 방향전환하도록 무선전화 사용자를 프롬프트되게하기위해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In response to the receiving means, an audible radio signal is generated that is a func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to prompt the radiotelephone user to redirect the radiotelephone antenna for improved alignment to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 mobile radiotelephon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ng by telephon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상기 무선전화 안테나의 위치 함수인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갖고, 상기 주입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has a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i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nd wherein the injection means injects an audible alignment signal that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A mobile radiotelephone comprising a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하일 때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을 억제하는 갑작스런 차단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3. Th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means comprises a sudden interruption receiving means for suppressing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s below a threshold, 상기 주입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로 감소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said injec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reduced to a thresho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갑작스런 차단 수신 수단이 디지털 코드된 무선전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4. A mobile radiotelephone as set forth in claim 3, wherein said abrupt blocker reception means comprises a digitally coded radiotelephone recep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 A mobile radiotelephon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said injec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a like noise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ich varies a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유사잡음의 진폭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에 응답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injec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similar noise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erein the amplitude of the similar noise increases in response to a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Mobile cordless ph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주기적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기적인 유사잡음의 주기성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에 응답해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injec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periodic similar noise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erein the periodicity of the periodic similar noise changes in response to a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Mobile cordless phone featu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송신 전력 표시 신호에 또한 응답하여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송신 전력의 함수인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njecting means injects an alignment signal which is also a function of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nd the transmit power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power indication signal received by said receiving means. Mobile cordless ph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이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과,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제거되는 잡음의 추정량을 발생시키는 추정 수단을 구비하고;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said conver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removing noise from a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estim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stimate of noise removed from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주입 수단이 상기 추정 수단에 응답해서 추정량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오디오 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오디오 표시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means for generating an audio display signal that changes in response to the estimating function in response to the estimating means, and means for injecting the audio display signal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 경로 거리 수단을 포함하는 에러 정정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10. A mobile radiotelephone as set forth in claim 9, wherein said estimating means comprises an error correction decoder comprising path distance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 비터비 시퀀셜 최대 가망성 시퀀스 추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10. The mobil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said estimating means comprises a Viterbi sequential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stimating means, 상기 수신 수단에 응답해서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을 계산하는 수단과;Means for calculating an expect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said receiving means; 상기 계산 수단에 응답해서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간의 차를 얻기위해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비교하는 수단과;Means for comparing the expect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to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to obtain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calculating means; 상기 비교 수단에 응답하여 그 얻어진 차를 토대로 해서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based on the difference obtained in response to the compar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서 CRC의 오동작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comprises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and wherein the injection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an audible alignment signal that is a function of a malfunction of the CRC 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Mobile cordless phone featu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증가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되게 유쾌한 정렬 신호를 주입하고,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함수인 가청되게 불쾌한 신호를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The audible device as recited in claim 1, wherein said injecting means is a function of injecting an audibly pleasant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in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reduc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a means for injecting an unpleasan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rsion means,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과;Means for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제거 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제거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 수단과;Error detecting means in response to the remov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removing means cannot remove noise from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에러 검출 수단에 응답하여,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서 제거안된 잡음의 효과를 제거하는 에러 제거 수단을 구비하며;In response to the error detecting means, means for eliminating the effect of noise that has not been removed 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주입 수단이 상기 에러 검출 수단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the injection means is responsive to the error detection means.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무선전화와 통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radiotelephone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에 대해 이동 무선전화의 위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 레벨에서 이동 통신을 이동 무선전화에 송신하는 가변 전력 송신 수단과;Variabl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at a power level that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function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relative to the base station; 상기 가변 전력 송신 수단으로 하여금 무선 통신의 송신 전력 레벨 표시를 이동 무선전화에 송신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Means for causing said variable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ransmit a transmission power level ind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o a mobile radiotelephon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지상 기지국 또는 위성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base station is a terrestrial base station or a satellite base station. 이동 무선전화에 있어서,In mobile cordless phones,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하는 수단과;Means for receiving a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수신 수단에 응답하여,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신호 강도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시키는 신호 강도 표시 수단과;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for generating, in response to the receiving means,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수신 수단 및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에 응답하여, 가청 신호 강도 표시가 가청 무선전화 통신과 함께 제공되도록,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 및 상기 신호 강도 표시를 결합하는 가청 신호를 발생하는 음향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in response to said receiving means and said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an acoustic conversion means for generating an audible signal combining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indication such that an audible signal strength indication is provided with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Mobile radio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상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를 발생시키고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하일 때 가청 무선전화 통신 신호를 억제하는 갑작스런 차단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19. The abrupt blockage of claim 18, wherein the receiving means generates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s above the threshold and suppresses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below the threshold. A receiving means;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에 접근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said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pproaches a threshol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갑작스런 차단 수신 수단이 디지털 코드된 무선전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0. A mobile radiotelephone as set forth in claim 19, wherein said abrupt blocker reception means comprises a digitally coded radiotelephone reception mean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향해 감소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유사잡음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유사 잡음의 진폭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함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0. The device of claim 19,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has means for generating similar noise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decreases toward a threshold, wherein the amplitude of the pseudo noise is determined by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A mobile radio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with a function of decreasing.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감소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유사잡음을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유사 잡음의 진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수신된 신호 강도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인 수신된 신호 강도까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감소시키는 함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has means for generating similar noise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decreases above a threshold, and wherein from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he amplitude of the pseudo noise is above the threshold. A mobile radiotelephone,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function of decrea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up to a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is below a threshol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를 향해 감소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주기적 유사잡음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기적 유사잡음의 주기성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에서 변화 기능으로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generating periodic similar noise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decreases toward a threshold, wherein the periodicity of the periodic similar noise is determined by the received signal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A mobile radiotelephone comprising a change in signal strength as a function of chang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가 임계치이상으로 감소되는 것을 표시하기위해 주기적 유사잡음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기적 유사잡음의 주기성은 상기 임계치 이상인 수신된 신호 강도로부터 상기 임계치 이하인 수신된 신호 강도까지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 강도에서 변화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4.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claim 23,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has means for generating periodic similar noise to indicate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reduced above a threshold, wherein the periodicity of the periodic similar noise is above the threshold. And from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to a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depending on the variation func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송신 전력 표시 신호에 또한 응답해서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신호 강도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송신 전력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19.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said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is a function of a signal strength of a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a transmission power of a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further in response to a transmission power indicating signal received by said receiving means. Mobile radio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이,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signal strength display means is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과;Means for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제거되는 잡음의 추정을 발생시키는 추정 수단을 구비하며,Estim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stimate of noise removed from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신호 강도 표시는 추정량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the signal strength indication is an estimator function.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 경로 거리 수단을 포함하는 에러 정정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7. A mobile radiotelephone as claimed in claim 26, wherein said estimating means comprises an error correction decoder comprising path distance mean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 비터비 시퀀셜 최대 가망성 시퀀스 추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27. A mobile radiotelephone as claimed in claim 26, wherein said estimating means comprises a Viterbi sequential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이,27. The apparatus of claim 26, wherein the estimating means is 상기 수신 수단에 응답해서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을 계산하는 수단과;Means for calculating an expect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said receiving means; 상기 계산 수단에 응답해서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간의 차를 얻기위해 기대된 무선전화 통신을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비교하는 수단과;Means for comparing the expect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to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to obtain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and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the calculating means; 상기 비교 수단에 응답하여 그 얻어진 차를 토대로 해서 에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signal based on the difference obtained in response to the comparing mean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서 CRC의 오동작의 함수인 신호 강도 표시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comprises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and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is provided with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strength indication which is a function of a malfunction of the CRC 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Mobile radio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증가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되게 유쾌한 정렬 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되게 불쾌한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19. The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said signal strength indicating means generates an audibly pleasant alignment signal that is a function of in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is a function of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d means for generating an audibly unpleasant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표시 수단은,The signal strength display means according to claim 18,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과;Means for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제거 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제거 수단이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 수단과;Error detecting means in response to the remov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removing means cannot remove noise from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상기 에러 검출 수단에 응답하여,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서 제거안된 잡음의 효과를 제거하는 에러 제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And in response to the error detecting means, an error eliminating means for eliminating the effect of noise that has not been eliminated 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무선전화 통신을 무선전화 안테나를 경유해서 수신하고 그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을 가청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에 있어서,An antenna alignment display method for a mobile radiotelephone that receives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via a radiotelephone antenna and converts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to an audible communication signal.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 대해 개선된 정렬용 상기 무선전화 안테나를 방향전환하도록 무선전화 사용자를 프롬프트되게하기위해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Injecting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 audible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to prompt the radiotelephone user to redirect the radiotelephone antenna for improved alignment to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ntenna alignment display method for a mobile radio telephone.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상기 무선전화 안테나의 위치 함수인 수신된 신호 강도를 갖고, 상기 주입 방법은,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has a received signal strength that i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wherein the injection method comprises: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 졍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Injecting an audible sequence signal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as a function of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의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injecting step comprises injecting similar noise, which changes as a function of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유사잡음의 진폭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에 응답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injecting step comprises injecting similar noise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erein the amplitude of the similar noise increases in response to a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How to display antenna alignment for mobile radio phone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이 주기적 유사잡음을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주기적인 유사잡음의 주기성이 무선전화 통신 신호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에 응답해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35. The apparatus of claim 34, wherein the inject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injecting periodic similar noise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wherein the periodicity of the periodic similar noise changes in response to a de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An antenna alignment display method for a mobile radio telephone.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전화는 송신 전력 표시 신호를 또한 수신하고, 상기 주입 단계는,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the mobile radiotelephone also receives a transmit power indication signal and wherein the injecting step comprises: 무선전화 안테나의 지향방향 및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송신 전력의 함수인 정렬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Injecting an alignme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radiotelephone antenna and the transmit power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nto the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전화는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잡음을 제거하는 수단과, 수신된 무선 통신으로부터 제거되는 잡음의 추정량을 발생하는 추정 수단을 포함하고;34. The apparatus of claim 33, wherein the mobile radiotelephone comprises means for removing noise from a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estim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stimate of noise removed from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주입 단계는 추정량 함수에 따라 변화하는 오디오 표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가청 표시 신호를 가청 무선전화 통신으로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And the injecting step includes generating an audio display signal that changes in accordance with an estimator function and injecting the audible display signal into an audibl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은 CRC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단계는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에서 CRC의 오동작의 함수인 가청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34. The mobile radio of claim 33, where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comprises a CRC, and wherein the injecting step comprises injecting an audible alignment signal that is a function of a malfunction of the CRC in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How to mark antenna alignment for a phone.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7, wherein the injecting step,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증가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인 가청되게 유쾌한 정렬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와;Injecting an audibly pleasant alignment signal that is an increa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received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수신된 무선전화 통신의 감소하는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함수인 가청되게 불쾌한 신호를 주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전화용 안테나 정렬 표시 방법.Injecting an audibly unpleasant signal which is a function of the reduced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KR1019980707145A 1996-03-12 1997-03-07 Mobile cordless phone KR1003491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549796A 1996-03-12 1996-03-12
US8/615,497 1996-03-12
US08/615,497 1996-03-12
PCT/US1997/003558 WO1997034381A2 (en) 1996-03-12 1997-03-07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lignment in a mobile radiotelephone using an injected audio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80A true KR19990087680A (en) 1999-12-27
KR100349192B1 KR100349192B1 (en) 2002-12-26

Family

ID=2446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45A KR100349192B1 (en) 1996-03-12 1997-03-07 Mobile cordless phon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95678A2 (en)
JP (1) JP2000506699A (en)
KR (1) KR100349192B1 (en)
CN (1) CN1135755C (en)
AU (1) AU722052B2 (en)
BR (1) BR9708051A (en)
WO (1) WO1997034381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762A (en) * 2015-01-26 2016-08-03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on the position of the antenna in communication with the orbital angular moment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826B1 (en) 1998-11-17 2002-06-25 Ericsson Inc. Portable radiotelephones including patch antennas having openings therein
JP3691365B2 (en) * 2000-08-23 2005-09-07 三洋電機株式会社 Digital broadcast receiver
GB0104282D0 (en) * 2001-02-21 2001-04-11 Cambridge Silicon Radio Ltd Communication system
EP1649683A1 (en) * 2003-07-21 2006-04-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alignment
US8600325B2 (en) * 2010-04-09 2013-12-03 Harris Corporation Simulated degradation of SNR in decoded digital audio correlated to wireless link bit-error rate
US9037164B2 (en) 2011-10-19 2015-05-1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hanging the orientation of a user based at least in part on transmit power
CN103907380B (en) * 2011-10-19 2017-07-28 英派尔科技开发有限公司 Transmission power is based at least partially on to change the orientation of user
CN102546513B (en) * 2012-01-20 2014-09-24 清华大学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time domain man-made noises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0694A1 (en) * 1990-06-29 1992-01-02 Philips Patentverwaltung RADIO RECEIVER WITH ACOUSTIC SIGNAL
US5327457A (en) * 1991-09-13 1994-07-05 Motorola, Inc. Operation indicative background noise in a digital receiver
US5257408A (en) * 1992-04-30 1993-10-26 Motorola, Inc. Method for seeking a communication system
JPH0832508A (en) * 1994-07-19 1996-02-02 Kokusai Electric Co Ltd Digital mobile radio equipment, digital mobile radio reception method and digital mobil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762A (en) * 2015-01-26 2016-08-03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on the position of the antenna in communication with the orbital angular moment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3471A (en) 1999-04-07
KR100349192B1 (en) 2002-12-26
WO1997034381A3 (en) 1997-11-06
JP2000506699A (en) 2000-05-30
WO1997034381A2 (en) 1997-09-18
AU722052B2 (en) 2000-07-20
CN1135755C (en) 2004-01-21
EP0895678A2 (en) 1999-02-10
AU2071697A (en) 1997-10-01
BR9708051A (en)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8005B2 (en) Error detection system
EP0819302B1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speech transmission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such arrangement
US6081732A (en) Acoustic echo elimination in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3826185B2 (en) Method and speech encoder and transceiver for evaluating speech decoder hangover duration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FI97182B (en) Method for replacing received bad speech frames in a digital receiver and a receiver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5809414A (en) User out-of-range indication for digital wireless systems
US6092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d frames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16643B (en) Noise reduction
JP2919072B2 (en) Error detection system
CA2110090C (en) Voice encoder
AU9435298A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speech inactivity with reduced power in a tdma system
US20020123309A1 (en) Communication system
JPH099326A (en) Method of improving hand 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44605B1 (en) Bad frame detector and turbo decoder
KR1002704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noise in a digital receiver
US20070129022A1 (en) Method for adjusting mobile communication activity based on voicing quality
KR100349192B1 (en) Mobile cordless phone
MXPA970060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noise in a digi receiver
US5812944A (en) Mobile speech level reduction circuit responsive to base transmitted signal
JP318795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131815A1 (en) Processing circuit for correcting audio signals, receiver, communication system, mobile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2010017980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 received voice signal in a mobile terminal
CA2246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realignment in a mobile radiotelephone using an injected audio signal
KR100325135B1 (en) A Voice Signal Error Compensation Algorithm
JP3603469B2 (en) Voice quality improv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