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726A - 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 Google Patents

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26A
KR19990076726A KR1019980704844A KR19980704844A KR19990076726A KR 19990076726 A KR19990076726 A KR 19990076726A KR 1019980704844 A KR1019980704844 A KR 1019980704844A KR 19980704844 A KR19980704844 A KR 19980704844A KR 19990076726 A KR19990076726 A KR 1999007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pness
signal
control signal
ctrl
enh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헬 보우터 니오이벤후이젠
레엔데르트 아베르투스 딕 반 덴 브로에케
마아르텐 빌헬무스 헨리쿠스 마리에 반 도멜렌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1999007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2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선명도 개선 방법에서, 영상 신호(y-in, u-in, v-in)내의 소정의 색(R, M)의 존재는 제어 신호(CTRL)를 얻기위해 결정되고(7), 영상 신호(y-in, u-in, v-in)의 선명도는 상기 제어 신호(CTRL)의 따라 강화된다(1-5).In the sharpness improvement method, the presence of the predetermined colors R, M in the image signals y-in, u-in, v-in is determined to obtain the control signal CTRL (7), and the image signal y The sharpness of -in, u-in, v-in) is enhanc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RL (1-5).

Description

선명도 개선 방법 및 회로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이러한 유형의 몇몇 공지된 회로는 과도 휘도가 검출되는 경우에 현재의 과도 휘도를 강조함으로써 선명도를 개선한다. 이는 화상의 선명도 감지가 휘도 신호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논리적이다.Some known circuits of this type improve the sharpness by emphasizing the current transient brightness when it is detected. This is logical because the sharpness detection of the imag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luminance signal.

본 발명은 선명도 개선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며, 그와 같은 선명도 개선 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circuit for improving the sharpness, and to a multimedia device and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a sharpness improving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기본 블록도.1 is a basic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의 가능한 선명도 검출 영역의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first possible sharpness detection region;

도 3은 양호한 선명도 검출 영역의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good sharpness detection region;

도 4는 피킹 필터의 가능한 실현을 도시한 도면.4 shows a possible realization of the picking filt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5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6 illustrates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색- 의존 선명도 개선 회로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7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lor-dependent sharpening improvement circu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나은 선명도 개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청구항 1에 규정된 바와 같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청구항 9에 규정한 바와 같은 선명도 개선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 형태는 그와 같은 선명도 개선 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운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better sharpness improvements. To this end,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s defined in claim 1.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as defined in claim 9. The third and four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ultimedia device and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such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s. Advantageous embodiments are defin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선명도 개선 방법에서, 제어 신호를 얻기 위해 영상 신호내의 소정의 색의 존재가 판정되고, 영상 신호의 선명도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강화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TV 신호의 화질은 영상의 적색 및 마젠타색 부분의 선명도 감지를 강화하기 위해 컬러 정보에 따라 휘도 채널에 대해 피킹(peaking)을 적용함으로써 개선된다.In the sharpness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f a predetermined color in the video signal is determined to obtain a control signal, and the sharpness of the video signal is enhanc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icture quality of the TV signal is improved by applying peaking on the luminance channel according to the color information to enhance the sharpness detection of the red and magenta portions of the image.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또 다른 형태는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분명해지고 명료해진다.These and o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포화된(saturated) 색(주로 적색, 마젠타색, 청색)이 종종 현행 TV 시스템(PAL, NTSC, SECAM)에서 흐릿하게 보인다. 이는 이들 TV시스템의 개념에 대해 사용된 색 이론이 카메라에서 감마 보정을 못 보고 지나친다는 사실에 의해 부분적으로 야기된다.Saturated colors (primarily red, magenta, blue) often appear blurry in current TV systems (PAL, NTSC, SECAM). This is part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color theory used for the concept of these TV systems is overlooked by gamma correction in the camera.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포화된 적색, 마젠타색, 청색의 감지된 선명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회로는 스크린의 포화된 적색 및 마젠타색 부분에서의 휘도 선명도를 증가시킨다. 눈에 띄는 결과는 명백해진다(청색은 강화되지 않으며, 자연 그대로의 경치에서는 매우 적은 항목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지 잡음만 강화된다.). 상기 회로는 IC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ims to increase the perceived sharpness of saturated red, magenta and blue. The circuit increases the brightness sharpness in the saturated red and magenta portions of the screen. Noticeable results are obvious (blue is not enhanced; only noise is enhanced because there are very few items in the natural landscape). The circu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an IC.

텔레비전 신호는 카메라에서의 1/γ 예비 보정과 CRT의 γ특성 때문에 비선형적이다. 이 기본 특성은 종종 못 보고 지나친다. 왜냐하면, 컬러 바와 그레이 스케일 등의 테스트 화상으로 TV 세트를 테스트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들 화상은 γ 예비 보정없이 발생된다.Television signals are nonlinear because of the 1 / γ preliminary correction in the camera and the γ characteristic of the CRT. This basic characteristic is often overlooked. This is because the TV set is to be tested with test images such as color bars and gray scale. These images are generated without gamma preliminary correction.

모든 표준 TV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센서는 화상을 3원색, 즉 R, G, B로 분해한다. 1/γ 예비 보정은 센서뒤와 유효 전달에 적절한 3개 신호, 즉 Y, U, V로 신호를 매트릭싱하기 전에 즉시 부가된다.In all standard TV systems, the camera sensor decomposes the image into three primary colors: R, G, and B. The 1 / γ preliminary correction is added immediately before matrixing the signal with three signals, Y, U, and V, which are suitable for effective transmission behind the sensor.

이 비선형성의 결과중의 하나는 일정 휘도 원리의 부족이다. 본 원리에 따르면, 모든 휘도 정보가 Y 신호에 있는 방식으로 TV 신호의 표시를 위한 직각의 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2개의 축은 단지 컬러 정보만을 포함한다. 통상, R-Y(또는 V)와 B-Y(또는 U)가 이들 컬러축에 대해 선택된다.One of the consequences of this nonlinearity is the lack of a constant luminance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principle,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a right angle axis for the display of the TV signal in such a manner that all the luminance information is in the Y signal. The other two axes only contain color information. Usually, R-Y (or V) and B-Y (or U) are selected for these color axes.

상기한 γ 때문에, 그와 같은 직각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휘도 및 채도 정보 사이에 항상 크로스토크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간단한 계산은 몇몇 색(주로 청색, 마젠타색, 적색)에 대해 대부분의 휘도 정보가 컬러 신호내에 코딩된다. 다른 색은 영향을 덜 받는다(황색, 청록색, 녹색).Because of the above-described gamma, such orthogonality does not exist. This means that there is not always crosstalk between luminance and chroma information. A simple calculation is that most of the luminance information is coded in a color signal for some colors (mainly blue, magenta, red). Other colors are less affected (yellow, cyan, green).

Y, U, V 신호를 컬러 신호(R, G, B)로 디코딩하는 것이 코딩의 역 처리이기 때문에, 밴드가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에서의 전체 에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적인 경우에, 원 대역폭으로 휘도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제의 TV에서, 양 U, V가 TV 수상기에서 원 휘도 정보의 재구성을 방해하는 매우 축소된 대역폭(Y의 4MHz와 비교해서 약 700kHz)을 갖는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그 결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유효 휘도 대역폭은 적색, 마젠타색, 청색 등과 같이 저휘도 내용을 갖는 포화된 색에 대해 주로 제한될 것이다. 이 문제는 현행 TV 시스템에 본래부터 있었으며, 일정 휘도 부족으로서 공지되어 있다.Since decoding the Y, U, V signals into color signals R, G, B is a reverse process of coding, there is no overall error in a system where the band is not limited. In an ideal case, it is possible to retrieve luminance information with a raw bandwidth.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n real TVs, both U and V have a very reduced bandwidth (about 700 kHz compared to 4 MHz of Y) which prevents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luminance information in the TV receiver. As a result, the effective luminance bandwidth displayed on the screen will be primarily limited for saturated colors with low luminance content such as red, magenta, blue, and the like. This problem is inherent in current TV systems and is known as a lack of constant brightness.

이 일정 휘도 부족은 화상의 감지된 선명도 느낌이 휘도 정보에 의해 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래서 휘도 정보의 일부가 채도 채널(U, V)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휘도 대역폭은 이상적으로 기대되는 것보다 작게될 것이다. 이는 흐릿한 영상이 포화된 청색, 마젠타색, 적색 부분으로 된다.This lack of constant luminance is important because the perceived sharpness feeling of an image is mainly determined by the luminance information. Thus, if some of the lumina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over the chroma channels U and V, the luminance bandwidth will be less than ideally expected. This results in a saturated blue, magenta, and red portion of the blurred image.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알고리즘, 즉 화상의 적색, 청색 또는 마젠타색이 있는 경우 검출하고 국부적으로 컬러 신호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화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색차 신호가 약 700kHz로 대역 제한되기 때문에, 색차 신호의 고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YUV 도메인에서 선명도 강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휘도 선명도는 증가되어야 한다. RGB 도메인에서의 컬러 신호의 선명도를 강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 동안, 휘도 신호의 선명도 강화는 비용보다도 우선적인 고려 대상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an image by the following algorithm, i.e., an algorithm that detects when there is a red, blue or magenta color of the image and locally improves the sharpness of the color signal. Since the color difference signal is band limited to about 700 kHz, increasing the high frequency of the color difference signal is not used. Instead, luminance sharpness should be increased if sharpening enhancements are made in the YUV domain. While it is conceivable to enhance the sharpness of the color signal in the RGB domain, the enhancement of the sharpness of the luminance signal becomes a priority over cost.

표준 피킹 또는 선명도 알고리즘과는 반대로, 여분의 이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즉, 700kHz 내지 2MHz, 반면, 종래 기술의 피킹이 통상 2 내지 4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용한다)에서 양호하게 적용된다. 부족해지는 정보가 약 700kHz에서 개시하기 때문에 이는 바라던 바이다. 2MHz이상에서, 이 특성의 영향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색 부반송파 가까이에서, 상기 효과는 크로스 휘도(cross-lminance) 효과의 증폭을 무효로 하는데 무시될 수 있다.In contrast to standard picking or sharpness algorithms, the extra gain is well applied at relatively low frequencies (ie 700 kHz to 2 MHz, whereas prior art picking typically operates in the frequency range between 2 and 4 MHz). This is desired because the lack of information starts at about 700 kHz. Above 2 MHz, the effect of this characteristic is not very important. Near the color subcarrier, the effect can be neglected to negate the amplification of the cross-lminance effect.

본 발명의 선명도 강화는 현행 선명도 강화 알고리즘에 부가하여 양호하게 사용된다. 현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휘도 선명도를 강화하는 것을 만족시키는 반면, 적색, 마젠타색, 청색에서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이들 색에 관한 한, 현행 알고리즘은 너무 높은 주파수에서 피크(peak)가 되기 때문에 주로 잡음을 높인다. 이 피킹이 (포화된) 적색, 마젠타색, 청색에 대해 최적화되면, 영상의 대응 부분은 개선되며, 반면 나머지 부분(회색, 녹색, 황색)은 매우 흐리게된다. 따라서, 전체 색에 대한 종래의 선명도 강화의 사용은 바람직하며, 또한 적어도 적색 및 마젠타색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선명도 강화의 사용이 바람직하다.The sharpening enhan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harpening enhancement algorithm. Current algorithms generally satisfy increasing brightness clarity, while the effect is insufficient for red, magenta, and blue. As far as these colors are concerned, current algorithms typically raise noise because they peak at too high frequencies. If this peaking is optimized for (saturated) red, magenta, and blue,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image is improved, while the remaining parts (gray, green, yellow) are very blurred. Thus, the use of conventional sharpening enhancements for all colors is preferred, and the use of the sharpening enhancement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at least red and magenta is also prefer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명도 개선 회로(SI)의 제1 실시예의 기본 블록도이다. 입력 영상 신호의 휘도 성분(y-in)은 제2 유도 획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피킹 회로(1)에 입력된다. 피킹 회로(1)의 피킹 신호 출력은 곱셈기(3)에 의해 제어 신호(CTRL)와 곱해지고, 이어서 가산기(5)에 의해 입력 휘도 성분(y-in)과 더해져서 출력 휘도 성분(y-out)을 생성한다. 제어 신호(CTRL)는 적어도 적색, 마젠타색, 가능한 한 청색도 검출하는 색 검출기(7)에 의해 영상 신호의 입력 색차 성분(u-in, v-in)으로부터 파생된다. 색차 성분(u-in, v-in)은 출력(u-out, v-out)에서 각각 변하지 않고 공급된다.1 is a basic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S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component y-in of the input image signal is input to a peaking circuit 1 which may include a second induction acquisition circuit. The picking signal output of the picking circuit 1 is multiplied by the multiplier 3 with the control signal CTRL, and then added by the adder 5 with the input luminance component y-in to output luminance component y-out. ). The control signal CTRL is derived from the input chrominance components u-in, v-in of the video signal by a color detector 7 which detects at least red, magenta and possibly blue as well. The color difference components u-in and v-in are supplied unchanged at the outputs u-out and v-out, respectively.

도 2는 수평축상의 색차 성분(B-Y)과 수직축상의 색차 성분(R-Y)에 의해 결정된 컬러 다이어그램내의 제1 가능한 선명도 검출 영역을 설명하고 있다. 적색(R), 마젠타색(M), 청색(B), 청록색(C), 녹색(G), 황색(Y)은 컬러 다이어그램의 모퉁이에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어떻게 U, V 신호가 컬러 평면을 채우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적색, 청색, 마젠타색을 검출하기를 원하면, 검출 영역은 그늘진 영역일 것이다. 이 영역은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2 illustrates a first possible sharpness detection region in a color diagram determined by the color difference component B-Y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color difference component R-Y on the vertical axis. Red (R), magenta (M), blue (B), cyan (C), green (G), and yellow (Y) are indicated at the corners of the color diagram. 2 shows how the U and V signals fill the color plane. If you want to detect red, blue, magenta, the detection area will be a shaded area. This area can be described as follows.

(B-Y)/2.03 + (R-Y)/1.14 ≥ 0(B-Y) /2.03 + (R-Y) /1.14 ≥ 0

스위칭 효과(한 색이 검출되고, 반면 다른 유사한 색은 검출되진 않음)를 피하기 위해, 검출된 색과 검출안된 색 사이의 크로스오버가 바람직하게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색이 없는 영역은 회색 톤을 예리하게 하기 때문에 검출되지 않는 것이 또한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의 컬러 특정 알고리즘과 함께 필요로 하지 않는다.To avoid switching effects (one color is detected while the other similar color is not detected), the crossover between the detected color and the undetected color is preferably made gradually.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colorless area is not detected because it sharpens the gray tone, which is not necessary with the color specific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양쪽이 청색이며 많은 항목을 갖는 자연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청색 부분을 강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으로 테스트가 드러난다. 청색을 강화시키지 않는 이유는 청색이 카메라의 잡음비에 대해 제한된 신호이기 때문이다. 적색 및 마젠타색으로의 강화를 제한하는 것이 더 좋게 나타난다. 이는 다음의 적절한 수학식을 유도한다.The test turns out that it is better not to enhance the blue part because both are blue and there are few natural items with many items. The reason for not enhancing blue is because blue is a limited signal to the noise ratio of the camera. It is better to limit the strengthening to red and magenta. This leads to the following appropriate equation.

α*(B-Y) + β*(R-Y) - C ≥ 0α * (B-Y) + β * (R-Y)-C ≥ 0

도 3은 더 이상 청색을 포함하지 않는 양호한 선명도 검출 영역을 설명하고 있다.3 illustrates a good sharpness detection area that no longer contains blue.

수학식 1이외의 수학식도 가능하다. 다음의 수학식 2는 매우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Equations other than Equation 1 are also possible. Equation 2 below proved to be very valid.

CTRL = -C + max(min[(α*V +β*U),(γ*V +δ*U)], C)CTRL = -C + max (min [(α * V + β * U), (γ * V + δ * U)], C)

여기서, V = (R-Y)/1.14Where V = (R-Y) /1.14

U = (B-Y)/2.03U = (B-Y) /2.03

α,β,γ,δ: 전체는 음수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약 1이며,α, β, γ, δ: the whole is not negative, preferably about 1,

C : 음수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0과 0.1 사이이다.C: not negative, preferably between 0 and 0.1.

도 4는 도 1의 피킹 필터(1)의 구현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 입력 휘도 성분(y-in)은 2개의 지연셀(11,13)의 케스케이드 접속에 적용된다. 지연셀(11)의 입력과 지연셀(11,13)의 출력은 각각 곱셈기(15)를 통해 -0.5를 곱하는 가산기(21)와, 1을 곱하는 곱셈기(17)와, -0.5를 곱하는 곱셈기(19)의 각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곱셈기(17)는 직접 접속될 수 있다. 가산기(21)의 출력은 피킹 신호 출력을 공급한다. 도 4의 피킹 회로는 단일 -1/2, 1, -1/2 FIR 필터이다. 지연선의 길이는 피킹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는 700kHz의 채도 대역폭을 보완하는데 선택될 것이다. FIR 필터의 낮는 Q 인자를 고려하면, 최적 피킹 주파수는 1.5MHz 근처이다. 약 250ns의 셀당 지연 시간은 원형을 위해 사용되었다. 아마도 약간 긴 지연 시간이 최적의 결과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숙련된 당업자는 도 4의 피킹 필터를 다른 피킹 필터로 대체하기를 원할 수 있다.4 shows that the picking filter 1 of FIG. 1 can be implemented. The input luminance component y-in is applied to the cascade connection of the two delay cells 11 and 13. The input of the delay cell 11 and the output of the delay cells 11 and 13 are respectively an adder 21 to multiply -0.5 through a multiplier 15, a multiplier 17 to multiply 1, and a multiplier to multiply -0.5 ( It is connected to each input of 19). The multiplier 17 can be connected directly. The output of the adder 21 supplies the peaking signal output. The peaking circuit of Figure 4 is a single -1/2, 1, -1/2 FIR filter.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determines the peaking frequency. This will be chosen to compensate for the saturation bandwidth of 700 kHz. Considering the low Q factor of the FIR filter, the optimum peaking frequency is around 1.5 MHz. A delay of about 250 ns per cell was used for the prototype. Perhaps a slightly longer delay time can be chosen for optimal resul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wish to replace the peaking filter of FIG. 4 with another peaking filter.

피킹의 양은 피킹 신호와 제어 신호(CTRL)를 곱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신호(CTRL)가 0이면, 피킹이 없는 것이다. 제어 신호(CTRL)가 1이면, 피킹이 최대이다.The amount of picking may be controlled by multiplying the picking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CTRL. If the control signal CTRL is zero, there is no peaking. If the control signal CTRL is 1, the peaking is maximum.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들이 처리되기 전에, 입력 성분(y-in, u-in, v-in)은 클램프 회로(23, 25, 27)에 의해 클램프된다. 클램프된 휘도 성분(y-in)은 도 4의 피킹 필터에 입력된다. 클램프된 색차 성분(u-in, v-in)은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각각 지연셀(29, 31)을 거친 후에, 곱셈기(41, 43)에 각각 입력된다. 곱셈기(41, 43)의 출력은 가산기(45)에 의해 합해진다. 그 합은 클램프(47)에 의해 클램프되고 (소프트) 비교기(49)에 의해 기준 전압(C=Vref)과 비교되어 제어 신호(CTRL)가 얻어진다. 보상 지연셀(29, 31)은 출력 휘도 성분(u-out, v-out)을 각각 공급한다. 도 5의 실시예는 수학식 1에 대응한다. 즉 수학식 2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소자들(41-49)은 U, V에 기초하여 CTRL을 계산하는 다른 프로세서로 대체되어야한다.5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y are processed, the input components y-in, u-in, v-in are clamped by the clamp circuits 23, 25, 27. The clamped luminance component y-in is input to the peaking filter of FIG. The clamped chrominance components u-in and v-in go through delay cells 29 and 31, respectively, to compensate for the delay and then input to multipliers 41 and 43, respectively. The outputs of multipliers 41 and 43 are summed by adder 45. The sum is clamped by clamp 47 and compared with reference voltage C = Vref by (soft) comparator 49 to obtain control signal CTRL. The compensation delay cells 29 and 31 supply the output luminance components u-out and v-out, respectively. 5 corresponds to equation (1). That is, in the embodiment corresponding to Equation 2, elements 41-49 should be replaced with another processor that calculates CTRL based on U and V.

출력 성분(y-out, u-out, v-out)은 적색(R), 녹색(G), 청색(B) 신호를 공급하는 매트릭스 회로(MX)에 입력된다. R, G, B 컬러 신호는 레드 프로세스(RP), 그린 프로세서(GP), 블루 프로세서(BP)에 의해 각각 처리된다. 컬러 프로세서(RP, GP, BP)의 출력 신호는 디스플레이관(DP)에 입력된다.The output components y-out, u-out and v-out are input to the matrix circuit MX which supplies red (R), green (G) and blue (B) signals. The R, G, and B color signals are processed by the red processor RP, the green processor GP, and the blue processor BP, respectively. The output signals of the color processors RP, GP, and BP are input to the display tube DP.

도 5에서는, 도 1의 실제의 색 검출기(7)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U와 V의 합은 소프트 비교기(49)에서 Vref와 비교된다. 실제로, 이 비교기는 꼬리가 긴 한 쌍(long-tailed pair)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약 250mV의 크로스오버 영역을 산출한다.In FIG. 5, the actual color detector 7 of FIG. 1 is shown in more detail. The sum of U and V is compared with Vref in soft comparator 49. In practice, this comparator consists of a long-tailed pair, which yields a crossover region of about 250mV.

U, V 가산기(45)와 소프트 비교기(49) 사이의 추가 클램프(47)는 DC 바이어싱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Vref를 선택하여, 무색의 영역이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검출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n additional clamp 47 between the U and V adders 45 and the soft comparator 49 is needed to correct the DC biasing. By selecting V ref , it becomes possible to limit the detection area in such a way that the colorless area is not affected by the process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멀티미디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선명도 개선 회로(SI)를 비교하는 영상 프로세서(IP)(63)에 의해 처리될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61)을 갖는다. CD-ROM 플레이어(65)는 영상 및/또는 데이터 신호(I1)와 음성 신호(S1)를 제공하기 위해 존재한다. 음성 처리 유닛(69)(사운드 카드의 SND1 부분)은 입력(67)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신호(D1)와 음성 신호(S2)를 공급한다. 또 다른 프로세서(73)는 키보드 커넥터(71)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신호(TXT)상에서 작동한다. 디바이스(63, 65, 69, 73)의 영상 및/또는 데이터 출력은 출력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도시안됨)가 접속된 출력(77)에 공급하는 비디오 유닛(그래픽스 카드)(75)에 입력된다. CD-ROM 플레이어(65)의 음성 출력(S1, S2)과 음성 처리 유닛(69)은 사운드 카드의 출력 부분(SND2)에 접속되고, 이 SND2의 출력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성 출력에 접속된다.6 shows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ultimedia device has an input 61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to be processed by an image processor (IP) 63 comparing the sharpness enhancement circuits SI of the type shown in FIG. The CD-ROM player 65 exists to provide the video and / or data signal I1 and the audio signal S1. The speech processing unit 69 (SND1 portion of the sound card) receives a speech signal from the input 67 and supplies a data signal D1 and a speech signal S2. Another processor 73 operates on the text signal TXT received from the keyboard connector 71. The video and / or data outputs of the devices 63, 65, 69, 73 are input to a video unit (graphics card) 75 which supplies an output video signal to an output 77 to which a monitor (not shown) is connected. The audio outputs S1, S2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69 of the CD-ROM player 65 are connected to the output portion SND2 of the sound card, and the output of this SND2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of the multimedia apparatu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색-의존 선명도 개선 회로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입력 휘도 신호(y-in=YO)는 지연 휘도 신호(Y1-Y8)를 얻기 위한 8개의 지연셀(81-88)을 갖는 지연선에 입력된다. 신호(Y0, Y4, Y8)는 저주파 피킹 필터(1)에 입력된다. 코어링 회로(91)(coring circuit)와 스위치(93)는 색-의존 선명도 제어 신호(CTRL)에 의해 제어되는 페이더(3)와 피킹 필터(1) 사이에 위치한다. 스위치(93)는 본 발명에 따른 색-의존 선명도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CDS)에 의해 제어된다.Fig. 7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lor-dependent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luminance signal y-in = YO is input to a delay line having eight delay cells 81-88 for obtaining the delay luminance signals Y1-Y8. The signals Y0, Y4, Y8 are input to the low frequency peaking filter 1. A coring circuit 91 and a switch 93 are positioned between the fader 3 and the peaking filter 1 controlled by the color-dependent sharpness control signal CTRL. The switch 93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CDS which indicates whether color-dependent sharpness control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required.

제2 페이더(107)는 페이더(3)와 가산기(5) 사이에 위치한다. 신호(Y1, Y2, Y4, Y6, Y7)는 코어링 회로(95)와 페이더(97)가 뒤이어지는 고주파 피킹 필터(94)에 입력된다. 고주파 피킹 필터(94)에 입력된 제어 신호(CFS)에 의해, 2.38MHz 피킹 주파수와 3.58MHz 피킹 주파수 사이에서 선택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fader 107 is located between the fader 3 and the adder 5. The signals Y1, Y2, Y4, Y6, Y7 are input to the high frequency peaking filter 94 followed by the coring circuit 95 and the fader 97. By the control signal CFS input to the high frequency peaking filter 94, a selection is made between the 2.38 MHz peaking frequency and the 3.58 MHz peaking frequency.

전체 휘도 신호(YO-Y8)는 최소 진폭 및 최대 진폭 검출기(99)에 입력되고 그 뒤에는 AMP=MAX-MIN을 결정하는 진폭 검출 회로(101)가 이어진다. 검출된 진폭(AMP)은 비교기(103, 105)를 통해 페이더(97, 107)를 각각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킹의 진폭-의존 제어의 목적은 너무 큰 선명도 강화 신호의 결과로서 발생한 스폿의 블루밍(blooming)을 방지하여, 선명도를 감소시킨다. 페이더(97, 107)는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의 최대 진폭의 100%를 절대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검출 진폭(AMP)에 의해 제어된다.The total luminance signal YO-Y8 is input to the minimum amplitude and maximum amplitude detector 99, followed by an amplitude detection circuit 101 that determines AMP = MAX-MIN. The detected amplitude AMP is used to control the faders 97 and 107 through the comparators 103 and 105, respectively. The purpose of amplitude-dependent control of the peaking is to prevent blooming of the spots resulting as a result of too large a sharpening enhancement signal, thereby reducing the sharpness. The faders 97 and 107 are controlled by the detection amplitude AMP in such a way that the output signal never exceeds 100% of the maximum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오프셋 전압 소스(107-111)는 (색-의존 선명도개선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CDS)와 (고주파 피킹 필터(94)의 피킹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CFS)에 따라 스위치(113)에 의해 선택되는 3개의 상이한 오프셋 전압을 제공한다. 스위치(113)에 의해 선택된 오프셋 전압은 비교기(103)에 입력되고, 반면 4개의 오프셋 전압이 오프셋 전압 소스(115)에 의해 비교기(105)에 입력된다. 이들 상이한 오프셋은 검출 진폭(AMP)이 다소 주파수 의존적이기 때문에 필요하며, AMP는 CFS에 따라 조절되도록 한다. 분명히, 색-의존 선명도 개선이 스위치 온되면, AMP에 따른 보정이 조절되어야 하며, 이는 스위치(113)의 CDS-의존 제어를 설명한다.The offset voltage sources 107-111 are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DS (indicating whether color-dependent sharpness improvement control is required) and the control signal CFS (indicating the peaking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peaking filter 94). Three different offset voltages selected by 113). The offset voltage selected by the switch 113 is input to the comparator 103, while four offset voltages are input to the comparator 105 by the offset voltage source 115. These different offsets are necessary because the detection amplitude (AMP) is somewhat frequency dependent, allowing the AMP to be adjusted according to CFS. Clearly, if color-dependent sharpness improvement is switched on, the correction according to the AMP must be adjusted, which accounts for the CDS-dependent control of the switch 113.

도 7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 사이의 또 다른 변형은 최소 진폭 검출 장치(117-119, 121-123)가 곱셈기(41, 43) 앞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각 최소 진폭 검출 장치는 2개의 지연셀(117, 118과 121, 122)의 직렬 접속을 포함하고, 수신된 색차 신호(u-in, v-in)의 최소 진폭과 지연셀에 의해 공급된 한 번 및 두 번 지연된 색차 신호를 선택하는 최소 진폭 검출 회로(119, 123)를 포함한다. 이들 최소 진폭 검출 장치는 색-의존 선명도 제어가 채색된 물체의 고주파 성분을 뾰족하게 하는데만 유효하고 반면 원하지 않는 오버슈트가 채색된 물체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보증하는데 사용된다.Another variation between the embodiment of FIG. 7 and the embodiment of FIG. 5 is that the minimum amplitude detection devices 117-119, 121-123 are inserted before the multipliers 41, 43, respectively. Each minimum amplitud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series connection of two delay cells 117, 118 and 121, 122, and the minimum amplitude of the received color difference signals (u-in, v-in) and the one supplied by the delay cell. Minimum amplitude detection circuits 119 and 123 for selecting the first and second delayed color difference signals. These minimum amplitude detection devices are used to ensure that color-dependent sharpness control is only effective for sharpening the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the colored object while preventing unwanted overshoot from occurring at the boundaries of the colored object.

선명도 개선 알고리즘은 몇몇 크게 포화된 적색, 청색, 마젠타색 영역을 갖는 테스트 신호상에서 테스트되었다. 첫번째 결론은, 상기 회로는 만족스럽게 동작하고 양 PAL 및 NTSC 신호를 갖춘 보다 만족스런 효과를 갖는 포화된 적색 및 마젠타색을 재생한다. 포화된 부분들의 선명도가 증가된다. 많은 항목을 갖는 포화된 청색이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다. 대부분의 청색은 물이나 하늘이며, 가능한 잡음의 증가는 마젠타색과 적색보다 청색에서 더 두드러진다. 그러므로 검출축은 어느 정도 변화되었고, 청색이 덜 검출되도록 한다. 이것은 통상의 화질을 개선한다.The sharpness improvement algorithm was tested on test signals with several heavily saturated red, blue and magenta regions. The first conclusion is that the circuit operates satisfactorily and reproduces saturated red and magenta with a more satisfactory effect with both PAL and NTSC signals. The sharpness of saturated parts is increased. It is unlikely that saturated blue with many items exists. Most of the blue is water or sky and the possible noise increase is more pronounced in blue than magenta and red. Therefore, the detection axis has changed to some extent, so that less blue is detected. This improves normal picture quality.

직접 녹음된 신호 등과 같은 보다 시끄러운 신호에 의해, 선명도 강화가 제한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너무 많은 색 선명도가 존재하면, 여분의 잡음은 못마땅하게 될 수 있다. 도 7의 코어링 회로(91, 95)는 선명도 강화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It will be clear that the sharpening enhancement is limited by louder signals such as directly recorded signals. If too much color clarity is present, extra noise may be unsatisfactory. The coring circuits 91 and 95 of FIG. 7 are used to limit sharpness enhancement.

상기한 실시예는 오히려 본 발명을 한정하며, 종래 기술에 숙련된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대체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예를 들면, 제어 가능한 피킹 주파수를 갖는 피킹 회로를 생각할 수 있으며, 적색 및 마젠타색용의 피킹 주파수는 다른 색용의 피킹 주파수보다 더 낮다. 청구항에서, 괄호사이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은 몇몇 독특한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하게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t is note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rather limit the inven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sign many alternativ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a picking circuit having a controllable picking frequency can be considered, and the picking frequencies for red and magenta are lower than the picking frequencies for other colors. In the claims, any reference signs placed between parentheses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claim.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hardware and several suitably programmed computers including some unique elements.

Claims (14)

제어 신호(CTRL)를 얻기 위해 영상 신호(y-in, u-in, v-in)내의 소정의 색(R, M)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7, 41-49)와,Determining the presence (7, 41-49) of the presence of a predetermined color (R, M) in the video signal (y-in, u-in, v-in) to obtain a control signal (CTRL), 상기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의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Enhanc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signal (y-in, u-in, v-i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R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색은 적색(R)과 마젠타색(M)을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color comprises red (R) and magenta (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색(R, M)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의 휘도 성분(y-in)의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enhancing the sharpness of the image signal (y-in, u-in, v-)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RL)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color (R, M). enhancing the sharpness of the luminance component (y-in) of 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7, 41-49)는 색차 신호(u-in, v-in)의 소정의 선형 결합을 만드는 단계(41-45)를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7, 41-49) comprises the step (41-45) of making a predetermined linear combination of chrominance signals (u-in, v-i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CTRL)는 상기 소정의 선형 결합을 트래숄딩(thresholding)(49)함으로써 얻어지는 선명도 개선 방법.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control signal (CTRL) is obtained by thresholding said predetermined linear combin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단계(1-5, 11-21)는 약 700kHz와 약 2MHz 사이의 주파수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nhancing (1-5, 11-21) enhancing the sharpness comprises raising a frequency between about 700 kHz and about 2 MHz.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단계(1-5, 11-21)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enhancing the sharpness (1-5, 11-21), 높아질 상기 주파수를 선택하기에 적절한 지연을 제공하는 지연셀(11, 13)과 감산 유닛(15-21)에 의해 차이 신호를 얻는 단계(11-21)와,Obtaining a difference signal (11-21) by the delay cells (11, 13) and the subtraction unit (15-21) providing a suitable delay for selecting the frequency to be raised, 선명도 조절 신호를 얻기 위해 상기 차이 신호를 상기 제어 신호(CTRL)에 곱하는 단계(3)와,Multiplying the difference signal by the control signal CTRL to obtain a sharpness adjustment signal; 상기 선명도 조절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에 가산하는 단계(5)를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방법.Adding (5) the sharpness control signal to the video signal (y-in, u-in, v-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의 휘도 성분(y-in)은 상기 지연셀(11, 13)에 입력되고, 상기 선명도 조절 신호는 상기 휘도 성분(y-in)에 가산되는(5) 선명도 개선 방법.The luminance component (y-in) of the image signal (y-in, u-in, v-in) is input to the delay cells (11, 13), the sharpness control signal is the luminance A method for improving sharpness that is added to the component (y-in) (5). 제어 신호(CTRL)를 얻기 위해 영상 신호(y-in, u-in, v-in)내의 소정의 색(R, M)의 존재를 결정하는 수단(7, 41-49)과,Means (7, 41-49)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predetermined colors (R, M) in the image signals (y-in, u-in, v-in) to obtain a control signal (CTRL), 강화된 영상 신호(y-out, u-out, v-out)를 얻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의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회로.Means for enhancing the sharpness of the video signal (y-in, u-in, v-i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TRL) to obtain an enhanced video signal (y-out, u-out, v-out) Clarity improvement circuit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색은 적색(R)과 마젠타색(M)을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회로.10. The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of claim 9, wherein the predetermined color comprises red (R) and magenta (M).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수단(1-5, 11-21)은 상기 소정의 색(R, M)을 나타내는 상기 제어 신호(CTRL)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y-in, u-in, v-in)의 휘도 성분(y-in)의 선명도를 강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선명도 개선 회로.The image signal y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means for enhancing sharpness (1-5, 11-21)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TRL) representing the predetermined colors (R, M). means for enhancing the sharpness of the luminance component (y-in) of -in, u-in, v-i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수단(7)은 입력 색차 신호(u-in, v-in)와 지연된 색차 신호와의 최소 진폭을 나타내는 최소 진폭 검출 장치(117-119, 121-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CTRL)는 채색된 물체에서 단지 활성화되는 선명도 개선 회로.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determining means (7) comprises a minimum amplitude detection device (117-119, 121-123) indicating the minimum amplitude of the input color difference signal (u-in, v-in) and the delayed color differenc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CTRL) is only activated on a colored object. 제 9 항에 청구된 선명도 개선 회로(1-7)와,A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1-7) as claimed in claim 9, 상기 강화된 영상 신호(y-out, u-out, v-out)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DT)을 포함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means (DT) for displaying said enhanced video signal (y-out, u-out, v-out).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데이터와 텍스트 및/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을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서,A multimedia devic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and processing at least one other item from a group comprising data and text and / or voice, 제 9 항에 청구된 선명도 개선 회로(SI)를 포함하는 영상 프로세서(IP)와,An image processor (IP) comprising a sharpness improvement circuit (SI) as claimed in claim 9, 상기 강화된 영상 신호(y-out, u-out, v-out)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을 공급하는 수단(75)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Means (75) for supplying said enhanced video signal (y-out, u-out, v-out) and / or said at least one other item.
KR1019980704844A 1996-10-21 1997-09-26 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KR1999007672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2924 1996-10-21
EP96202924.5 1996-10-21
EP97200705 1997-03-10
EP97200705.8 1997-03-10
PCT/IB1997/001159 WO1998018263A2 (en) 1996-10-21 1997-09-26 Sharpness improv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26A true KR19990076726A (en) 1999-10-15

Family

ID=2614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44A KR19990076726A (en) 1996-10-21 1997-09-26 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68817A2 (en)
JP (1) JP2000502548A (en)
KR (1) KR19990076726A (en)
MY (1) MY130988A (en)
WO (1) WO1998018263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24B1 (en) * 2001-11-14 2007-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Sharpness enhancement apparatus for dtv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028A (en) * 1988-08-26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Solid state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luminance control
JP2722784B2 (en) * 1990-06-12 1998-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olor imaging device
JPH07231396A (en) * 1993-04-19 1995-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Picture quality correction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24B1 (en) * 2001-11-14 2007-11-3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Sharpness enhancement apparatus for d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2548A (en) 2000-02-29
EP0868817A2 (en) 1998-10-07
MY130988A (en) 2007-07-31
WO1998018263A2 (en) 1998-04-30
WO1998018263A3 (en)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373A (en) Image quality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based on color density
KR100191061B1 (en) Reproduction circuit for skin color in video signals
CA2023852C (en)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 television system
US8102473B2 (en) Image correction circuit,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display
US7548279B2 (en) Video signal processor
KR20070111381A (en) Image correction circuit,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display
KR100945689B1 (en) Tv user interface and processing for personal video players
US5298981A (en) Color signal aperture correction system having automatically selected source signal
JPH0424910B2 (en)
JP4174656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031516B2 (en) Edge achromatization circuit and method
JP200334837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1997042768A2 (en) Providing vivid colors in a television signal
US5912702A (en) Video camera and image enhancing apparatus
KR19990076726A (en) Clarity Improvement Methods and Circuits
JPH09224186A (en) Video camera and control correcting device
US6002448A (en) Image quality correction circuit and method based on color density
JP3287833B2 (en) Blooming reduction circuit of color television receiver
KR100562823B1 (en) Vertical sharpness adjustment device and tv receiver therewith
JP3600678B2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device
JP2001204043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77636A (en) Aperture correction circuit
JP2003009172A (en) Image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345095A (en) Picture contour exaggeration circuit
JPH0846926A (en) Video signal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