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403A - Digital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gital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403A
KR19990073403A KR1019990027691A KR19990027691A KR19990073403A KR 19990073403 A KR19990073403 A KR 19990073403A KR 1019990027691 A KR1019990027691 A KR 1019990027691A KR 19990027691 A KR19990027691 A KR 19990027691A KR 19990073403 A KR19990073403 A KR 1999007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input
output
key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영헌
Original Assignee
황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헌 filed Critical 황영헌
Priority to KR101999002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403A/en
Publication of KR1999007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403A/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위의 명암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 조절이 되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icture frame for storing and displaying digitized image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icture frame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brightness according to ambient light.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입출력 수단과,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수단과, 각종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 수단과, 키입력 수단의 키입력에 따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 중 원하는 이미지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며, 광전 변환수단의 출력 및 키입력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저장수단에서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put and output means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outputting to an external device, storage means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means,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intensity of ambient light, and sensing in the sensing means. Outputting desired image information in a desired form from among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key input means for various key inputs, and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key input of the key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and the key input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drawn from the storage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따라서, 관리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이미지 파일을 보유한 경우에는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여러 이미지 파일을 순차적 혹은 임의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분위기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밝기에 따라 액자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management is easy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f you have an existing image file, you can display it freely. In addition, various effects can be applied to images, and various image files can be displayed sequentially or randomly, so that the mood can be easily changed. And the brightness of the frame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Description

디지털 액자{Digital display apparatus}Digital picture frame {Digi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위의 명암에 자동으로 밝기 조절이 되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picture frame for storing and displaying digitized imag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picture frame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brightness of surroundings.

종래의 액자용 사진은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큰 사진의 경우에는 보관 및 관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사진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한 장의 사진만을 액자에 전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그림이나 사진을 전시하고 싶을 때마다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Conventional photo frames not only cost a lot of money, but also have a lot of inconvenience in storage and management in the case of large photos. Even when a picture is replaced, only one picture can be displayed in a frame, so there is a hassle that needs to be replaced whenever another picture or picture is desired to be displayed.

종이를 매체로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색깔이 변색되어 원래의 색을 잃어버리므로 미적인 감각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주위 환경에 맞추어서 액자에 전시해 놓은 사진에 변화를 주고 싶어도 아주 제한적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Since paper is used as a medium, after a long time, the color becomes discolored and the original color is lost. Also, even if I wanted to change the picture displayed in the fra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 could not do it freely except for the limited part.

따라서,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할 수 있고, 주위의 명암에 따라 밝기 조절을 자동으로 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이미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picture frame capable of producing a picture frame at an inexpensive price, automatically adjusting brightnes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trast, and selecting and displaying various imag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위의 명암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 조절이 가능하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variety of images as well as to provide a digital picture fram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ntrast of the surroundings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입출력 수단과,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수단과, 각종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 수단과, 상기 키입력 수단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 중 원하는 이미지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광전 변환수단의 출력 및 키입력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서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 output means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outpu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means, and sensing the intensity of ambient light Sensing means,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light sensed by the sensing means into an electrical signal, key input means for various key inputs, and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key input of the key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e desired imag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in a desired form, and outputs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and the key input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and the brightness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o the imag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torage means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an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서 상기 키입력 수단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입력/출력을 시작하는 키, 상기 입출력 수단을 선택하는 키, 상기 표시수단의 밝기를 조절하는 키, 상기 이미지 정보의 출력 형태를 선택하는 키,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검색하는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means selects a key for starting input / output of the image information, a key for selecting the input / output means, a key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nd an output form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key for searching for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디지털 액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2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picture frame.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키입력 수단 20: 입출력 수단10: key input means 20: input / output means

30: 제어수단 40: 디스플레이 제어부30: control means 40: display control unit

50: 저장수단 60: 감지수단50: storage means 60: detection means

70: 광전 변환수단 80 : 표시수단70: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80: display mea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액자는 각종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 수단(10)과, 이미지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입출력 수단(20)과, 입출력 수단(20)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50)과,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0)과, 감지수단(60)에서 감지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수단(70)과, 키입력 수단(10)의 키입력에 따라 저장수단(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 중 원하는 이미지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며, 광전 변환수단(70)의 출력 및 키입력 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30)과, 저장수단(50)에서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제어수단(30)에서 출력되는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80)을 포함한다.The digital picture frame includes key input means 10 for various key inputs, input / output means 20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outputting to an external device, and storing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means 20. The storage means 50, the sensing means 60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ambient light,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for converting the light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60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key input means 10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the desired image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50 in the desired form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output, and outputs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and the key input ( 30 and display means 80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drawn from the storage means 5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30.

제어수단(30)은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수단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40)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ans 30 further includes a display control part 40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키입력 수단(10)은 이미지 정보의 입력/출력을 시작하는 키, 입출력 수단(20)을 선택하는 키, 표시수단(80)의 밝기를 조절하는 키, 이미지 정보의 출력 형태를 선택하는 키, 저장수단(5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검색하는 키를 구비한다. 키입력 수단(10)은 이외의 기능을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The key input means 10 includes a key for starting input / output of image information, a key for selecting the input / output means 20, a key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80, a key for selecting an output form of the image information, It is provided with a key for retrieving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50). The key input means 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ther functions.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액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키입력 수단(10)에서 입출력 수단(20)을 선택하는 키를 눌러 입력하고자 하는 외부장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미지 정보의 입력을 시작하는 키를 누르면, 선택한 외부장치가 입출력 수단(20)을 통하여 이미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이미지는 디지털 액자의 저장수단(50)에 저장된다.The key input means 10 selects an external device to be input by pressing a key for selecting the input / output means 20. When the key for starting the input of the image information is pressed,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transmits the image through the input / output means 20, and the transmitted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means 50 of the digital frame.

이 때, 외부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케너,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이다. 반대로, 출력하고자 하는 수단을 선택하고 출력을 시작하면 컴퓨터나 이미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이미지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scanner, a computer, or the like. On the contrary, when selecting a means to output and starting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a computer or a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the image information.

외부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은 후, 키입력 수단(10)에서 이미지를 검색하는 키를 누른다. 그러면, 제어수단(30)이 키입력 수단(10)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저장수단(5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검색을 끝마친 후, 다시 키입력 수단(10)에서 원하는 이미지의 출력 형태를 선택한다.After receiving the image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key input means 10 to press the key to search for the image. Then, the control means 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key input means 10 to retrieve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50. After the search is finished, the key input means 10 again selects the output form of the desired image.

그러면 제어수단(30)이 키입력 수단(10)의 키입력에 따라서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 중 원하는 이미지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Then, the control means 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the desired image information among the store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key input means 10 in a desired form.

다른 한편으로 감지수단(60)은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며, 광센서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감지수단(60)에서 감지된 빛은 광전 변환수단(70)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어수단(30)으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means 60 detects the intensity of ambient light,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 device such as an optical sensor. The light sensed by the sensing means 6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and output to the control means 30.

표시수단(8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키입력을 선택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순서에 상관없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키입력 수단(10)이나 광전 변환수단(7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제어수단(30)으로 입력된다.It is possible to select a key input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80 regardless of the above-mentioned order.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output from the key input means 10 o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is input to the control means 30.

제어수단(30)은 디지털 액자에 포함되어 있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신호와 광전 변환수단(70)의 출력 및 키입력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수단(30)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40)가 상기 밝기 제어신호와 저장수단(50)으로부터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표시수단(8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30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s included in the digital picture frame, a brightness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and a key input. The display control unit 40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and the image information drawn from the storage unit 50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80.

제어수단(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표시수단(80)이 입력받아 저장수단에서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TFT나 LCD,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means 8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30 and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drawn from the storage means, and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TFT, LCD, or other display device.

디지털 액자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액자에 리모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더 추가함으로써 원거리 사용이 가능해진다.In order to easily adjust the digital picture frame at a long distance,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ote by adding a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digital picture frame.

이와 같은 디지털 액자로 이미지에 줄 수 있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that can be given to images with such a digital picture frame are as follows.

1.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선택1. Select the image you want to display

2. 이미지의 회전 또는 반전, 확대/축소 등 작업2. Rotate or flip the image, zoom in or out

3. 이미지의 색상 조정3. Adjust the color of the image

4. 주위 명암에 따라 디지털 액자의 명암 조절 여부 선택4. Select whether to adjust the contrast of the digital fra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trast.

5. 이미지 변경에 대한 선택(한 이미지만 계속 출력, 순차적으로 이미지 변경, 랜덤하게 이미지 변경) 및 변경 주기 등 설정5. Setting for image change (continuous output of only one image, image change sequentially, random image change) and change cycle

6. 이미지 방향 선택(가로 이미지만 출력, 세로 이미지만 출력, 방향에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부분만 출력 등)6. Select image orientation (horizontal image only, vertical image only, displayable part regardless of orientation, etc.)

감지수단(60)은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여, 제어수단(30)에서 디지털 액자의 명암 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실제로 액자가 주위 명암에 따라 밝아지고, 어두워지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해 준다.The sensing means 60 serves to sense the intensity of the ambient light,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contrast of the digital picture frame by the control means 30. This feature actually lets the frame brighten and darke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trast.

즉, 주위가 밝아서 액자가 잘 보이지 않더라도, 제어수단(30)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값에 따라 액자를 더 밝게 디스플레이 한다. 대응값은 키입력 수단(10) 및 광전 변환수단(70)의 출력에 대응하여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테이블화 되어 있다. 반대로 주위가 어두운데 액자가 너무 밝은 경우, 액자를 어둡게 디스플레이 하여 눈의 피로를 덜어줄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frame is not visible because the surroundings are bright, the frame is displayed bright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alue stored in the control means 30. The corresponding values are tabulated to control the brightness in response to the output of the key input means 10 an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70. On the contrary, if the frame is too bright and the surroundings are dark, the frame can be displayed darkly to reduce eye strain.

도 2는 디지털 액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2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picture frame.

디지털 액자는 가로와 세로 이미지를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액자의 뒷면에 벽걸이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벽걸이로 액자를 가로 또는 세로로 벽에 고정할 수 있다.Digital photo frames can be wall-mounted on the back of the frame for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images. Therefore, the frame can be fixed to the wall horizontally or vertically by the wall.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케너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 다음 디스플레이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이미지 파일을 보유한 경우 자유롭게 액자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d stores digital image information using a digital camera or a scanner, and then displays it, so that management is easy and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If you have an existing image file, you can freely display it in the frame.

또한 이미지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여러 이미지 파일을 순차적 혹은 임의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분위기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밝기에 따라 액자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can be applied to images, and various image files can be displayed sequentially or randomly, so that the mood can be easily changed. And the brightness of the frame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Claims (3)

이미지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입출력 수단과;Input / output means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outputting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means; 주변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intensity of ambient light;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수단과;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light sensed by the detection means into an electrical signal; 각종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 수단과;Key input means for various key inputs; 상기 키입력 수단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 중 원하는 이미지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출력하며, 상기 광전 변환수단의 출력 및 키입력에 대응되는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Control means for outputting desired image information among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n a desired form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key input means, and outputting a brightness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means and a key input; ; 상기 저장수단에서 인출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액자.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drawn from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수단은 상기 이미지 정보의 입력/출력을 시작하는 키, 상기 입출력 수단을 선택하는 키, 상기 표시수단의 밝기를 조절하는 키, 상기 이미지 정보의 출력 형태를 선택하는 키,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검색하는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key input means selects a key for starting input / output of the image information, a key for selecting the input / output means, a key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nd an output form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key for retrieving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밝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액자.The digital pictur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display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ontrol signal.
KR1019990027691A 1999-07-09 1999-07-09 Digital display apparatus KR199900734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691A KR19990073403A (en) 1999-07-09 1999-07-09 Digi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691A KR19990073403A (en) 1999-07-09 1999-07-09 Digital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403A true KR19990073403A (en) 1999-10-05

Family

ID=5475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691A KR19990073403A (en) 1999-07-09 1999-07-09 Digital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403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7A (en) * 2001-04-04 2002-10-18 전동균 Electromagnetic picture frame and its display method
KR20030024057A (en) * 2001-09-15 2003-03-26 구정회 Business Model for Interior Picture Supply Service using PDP TV Monitor
KR20030032485A (en) * 2001-10-18 2003-04-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Driving Circuit for extending life of EL
KR20030034965A (en) * 2001-10-29 2003-05-09 (주)윈테크 Method for control lighting of using electro luminescence a card and the apparatus thereof
KR100747248B1 (en) * 2005-10-28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77591B1 (en) * 2007-08-02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picture frame having speaker as suppor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7A (en) * 2001-04-04 2002-10-18 전동균 Electromagnetic picture frame and its display method
KR20030024057A (en) * 2001-09-15 2003-03-26 구정회 Business Model for Interior Picture Supply Service using PDP TV Monitor
KR20030032485A (en) * 2001-10-18 2003-04-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Driving Circuit for extending life of EL
KR20030034965A (en) * 2001-10-29 2003-05-09 (주)윈테크 Method for control lighting of using electro luminescence a card and the apparatus thereof
KR100747248B1 (en) * 2005-10-28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77591B1 (en) * 2007-08-02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picture frame having speaker as suppo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7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display brightness
US9318074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backligh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light thereof
US20090315869A1 (en) Digital photo fram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8035632B2 (en) Digital image picture frame with self-adaptive control of brightness level
US7596390B2 (en) Cellular phone
RU2659484C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RU2704724C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of an interface
US2004020177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ource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4312742A (en) Brightness control device of mobile terminal display and its method
JP2007148353A (en)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4408467B2 (en) Digital camera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28572A1 (en) Gamma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panel
TW200834530A (en) Display brightness control circuit
US20070132873A1 (en) Portable instrument and digital camera
US8026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 in portable terminal
KR19990073403A (en) Digital display apparatus
US20100271552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JP45889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utomatic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0254B1 (en) Monitor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KR20020078067A (en) Electromagnetic picture frame and its display method
US20100265227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US20100271384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US20100271355A1 (en) Intelligent digital photo frame
KR20120086035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508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of a digital picture frame supporting a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