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930A -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930A
KR19990064930A KR1019990018732A KR19990018732A KR19990064930A KR 19990064930 A KR19990064930 A KR 19990064930A KR 1019990018732 A KR1019990018732 A KR 1019990018732A KR 19990018732 A KR19990018732 A KR 19990018732A KR 19990064930 A KR19990064930 A KR 19990064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xml
database
voice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1999001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4930A/ko
Publication of KR1999006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9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27Concept to speech synthesisers; Generation of natural phrases from machine-based concep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XML기반으로 전자메일이 표현되는 방법과 이것이 메일서버 시스템을 통해서 운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자메일을 문자열 단위로 음성표현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토록 지원하는 X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을 정의하는 과정, 합성하고자 하는 문서에 정의된 태그를 삽입하는 과정, 작성된 전자메일을 XML 문법확인기(파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메일을 음성합성기에 의해 합성음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 방법에 의하여 음성합성기와 XML 파서를 통하면 전화와 인터페이스가 됨은 물론 전자메일을 중요한 내용단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성이 재생될 때 부가된 음성정보는 단순한 TTS(Text to Speech)보다 음성 대화시 수반되는 내용 이외의 환경, 스타일, 감정, 음의 높낮이, 속도 등 대화의 중요한 변수(속성)를 태그 형태로 반영하므로, 기존의 재생하는 방식에 비하여 음의 자연스러움을 보장할 뿐 아니라 내용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수정, 검색할 수 있게 되어서 전자메일이나 대량의 음성자료를 유지 관리하는데 효과가 있고 인터넷상에서 검색 조회도 별다른 변형없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본 발명은 엑스엠엘(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메일의 구조 및 표현정보를 XML 태그 형태로 표기하여 이 정보에 의하여 음성합성, 인터넷상 표현,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이 정교하게 될 수 있도록 한 XML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에 관한 방법이다.
전자메일은 현재 수신인, 발신인, 제목, 본문, 첨부파일의 제목만이 구분 가능한 형태의 파일형태의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단위들은 단순한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는 기존 전자메일 방법은 이러한 구분 단위로만 저장, 관리 및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전화와 결합을 위한 음성 합성(text to speech conversion)을 할 때도 이러한 단순한 텍스트 문자열을 이용해야하므로 자연스러운 음성표현시 요구되는 감정, 스타일, 상황등에 관한 추가 정보가 없어서 부자연스러운 음성합성이 이루어 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의 전자메일 자료형태와 운용체계가 다른 응용시 필요한 정보를 추가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문장 음성합성이란 합성하고자 하는 어휘나 문장을 음절, 음소, 단어, 문장 등 음성합성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음성합성 단위들을 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연속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음성을 기록하는 방식에는 크게 세가지로 파형을 저장하는 방식, 파형의 특징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식, 문자를 저장한 후 합성하는 방식이 있다.
파형을 저장하는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재생된 음성의 질이 매우 양호하나, 저장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파형을 그대로 저장하여 음성합성 단위를 구성하는 방식은 합성해야 할 음성신호가 제한적인 숫자인 경우, 예를 들면 자동응답 시스템 등에 적용된다.
또한 파형의 특징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식에서는 재생된 음성의 질이 음성의 종류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실질적인 음성과 거리가 먼 문제점을 가지나, 저장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적은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합성해야 할 음성신호가 무제한이라고 볼 수 있는 문장의 음성합성에서는 파형의 특징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음성에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합성된 음성의 질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문자열에 의미 있는 XML 태그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구성하여 의미있는 내용 단위로 메일을 저장관리하고 인터넷상에 표현하며, 한편으로는 보다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합성하여 소리로도 메일을 청취할 수 있는 XML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메일의 구조정보 DTD와 음성 합성의 자연스러움을 위한 XML 태그 구조를 함께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메일 구현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전자메일 구현방법 중에 수신화일과 음성합성 연결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XML 태그를 이용한 음성합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XML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방법은, 전자메일을 문자열 단위로 음성표현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토록 지원하는 각 XML DTD (Document Type Definition)을 정의하는 과정, 합성하고자 하는 전자메일의 문자열에 정의된 태그를 삽입하는 과정, 태그가 삽입된 전자메일을 XML 파저(parser)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메일을 음성합성기에 의해 합성음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서를 HTML로 변환하는 파일을 작성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여 웹(인터넷)상에서의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음성합성의 구체적 예를 들면, XML 문서를 가져와서 입력된 문장의 XML 태그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따라 각 단어 및 문장을 발음표기로 변환시켜서, 선택적으로 음조 조정을 수행한 후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한 XML 기반 음성합성에서는 기존의 파형 추출 저장형과는 다르게 데이터의 저장이나 합성을 텍스트 기반에서 진행한다. 즉, 저장의 단위가 파형의 특징이 아니고 파일로서 의미 있는 문자열이 된다. 따라서 합성 엔진을 통해 문자를 음으로 합성하게 된다.
여기서, 합성 엔진은 텍스트 형태의 문자열을 전자음으로 합성해주는 것으로 문장분석 기능, 운율생성 부문, 합성음 생성 기능의 모듈들로 이루어져 있다. 문장분석 기능에서는 형태소의 분석, 품사 태깅, 구문분석, 발음열의 생성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운율정보를 추가하게 된다. 이때 억양, 음의 세기, 정지시간, 억양은 경험치와 참조모델을 이용하여 정해지고 마킹된다. 음성합성기에서는 이러한 운율정보와 문자열을 고려하여 음성을 생성하게 된다.
즉, XML 기반 음성합성은 저장된 문자열, 태그 및 DTD를 이용하여 파형을 정하는 것으로, XML 기반 전자메일은 이러한 파일에 의미 있는 문자열 단위별로 XML 태그를 부가하여 저장, 관리 및 표현 단위를 세밀화 할 수 있다. 표현에는 인터넷상의 표현, 음성 표현, 프린트 표현을 포함한다.
XML 태그를 포함하는 음성 표현은 음성 대화시 수반되는 내용 이외의 감정, 음의 높낮이, 속도 등의 정보를 내용의 문자열 사이에 XML 태그 형태로 표기하여 이 정보에 의하여 보다 정교하게 음성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XML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XML은 최근 인터넷 표준으로 승인된 이후, HTML 기반의 문서표현에 한계를 느낀 개발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게 되었다. XML은 표현과 내용의 분리를 통한 정보의 처리 유연성이 양호하여 사용하는 내용의 형태 구조 즉, DTD는 응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문서의 구조정보를 내용에 추가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응용분야에 널리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도 이러한 XML을 전자메일 체계에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여기에 사용될 수 있는 XML 태그 및 속성과 DTD는 유통, 메일구조, 관리, 저장 같은 것들을 기본으로 한다.
유통 관련 엘리먼트들은 전자메일의 유통에 필요한 정보를 정의한다. 현재 메일서버가 지원하는 데이터 이외에 경로, 우편종류 등 전자메일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엘리먼트들이 첨가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현재의 전자메일과 그룹웨어(Groupware)간의 연계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통 관련 엘리먼트
수신인 이름, 메일주소
발신인 이름, 메일주소
참조인 이름, 메일주소
경로 메일주소, 날짜기록
수신확인 자동= YorN
우편종류 보통, 보안, 긴급
Calling YorN
메일 구조 엘리먼트
언어 종류
제목
첨부문서 YorN, 첨부화일이름, 종류, 크기
본문
메일 본문 구성 엘리먼트
메시지
문단 구분
문장 구분
음절
표현 엘리먼트들은 HTML상에 표현을 정의하는 엘리먼트와 마찬가지로 메일의 작성시 필요한 표현 지원 엘리먼트 이다. 웹상에서 보여질 때는 웹으로의 표현전환 프로그램을 통하여 HTML 엘리먼트로 변환된다.
표현 엘리먼트
그림 파일명
테이블 col row 선굵기
번호리스트
리스트
디렉토리
메뉴
이탤릭
밑줄
고딕
글꼴색
연결 URL
음성의 표현은 주로 다음과 같은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은 각각 문장, 문단, 음절에 종속되어 사용되어진다. 음성의 더욱 세밀한 표현은 이와 같은 엘리먼트들을 추가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성 표현 엘리먼트를 지원하는 합성엔진이 현재 존재하지 않으나, 기존의 합성엔진이 문장의 형태와 종류를 가지고 운율관련 태그를 추정하는 방식이므로 이러한 추가정보의 사용은 오히려 합성엔진의 개발을 쉽도록 지원하는 측면을 지니게 된다.
음성 표현 엘리먼트
강조 강, 중, 약
멈춤 시간
합성모드 문자, 메일, 전화, URL
음속성 크기, 속도, 높이, 음색
성별 남, 녀
나이 세대
상황 분노, 애걸, 설득, 슬픔, 속삭임, 전화
스타일 업무, 캐주얼, 컴퓨터, 연인
배경소리 파일이름 강, 중, 약
변화 pp, p, f, ff
패턴 감탄, 의문, 특정인물
사투리 지역
인용
첨부 파일명
관리 엘리먼트는 서명여부와 암호화 여부 등 문서의 관리상 필요한 정보를 지니는 부분으로 다음과 같다.
관리 엘리먼트
유효기간
저장구분 개인, 업무, 참고
서명 YorN
암호화
저장 엘리먼트는 전자메일상의 내용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 중요하게 인텍스를 하거나 구별을 하고자하는 엘리먼트를 구분하는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
저장 엘리먼트
저장
음성표현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XML 기반 전자메일의 문서 형태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 및 표현 엘리먼트의 단말 정의는 생략되어 있다.
!ENTITY % 음성 (강조 | 멈춤 | 모드 | 음속성 | 메모 | 첨부 | 성별 )
!ENTITY % 표현 (그림 | 테이블 | 번호리스트 | 리스트 | 디렉토리 | 메뉴| 이탤릭 | 밑줄 | 고딕 | 글꼴색 | 연결 )
!ELEMENT XML전자메일 (유통, 메일구조, 관리 )
!ELEMENT 유통 (수신인, 발신인, 참조인?, 경로?, 송신확인?, 우편종류, Calling)
!ELEMENT 수신인 (이름? , 메일주소)+
!ELEMENT 발신인 (이름? , 메일주소)+
!ELEMENT 참조인 (이름? , 메일주소)+
!ELEMENT 경로 (이름? , 메일주소 , 날짜기록)+
!ELEMENT 송신확인
!ATTLIST 송신확인 여부 (Yes|No) No
!ELEMENT Calling
!ATTLIST Calling 여부 (Yes|No) No
!ELEMENT 메일구조 (언어, 제목, 첨부문서, 본문, 관리)
!ELEMENT 언어
!ATTLIST 언어종류 (한국어|영어|일본어) 한국어
!ELEMENT 제목 (#PCDATA)
!ELEMENT 첨부문서
!ATTLIST 첨부문서 여부 (YeslNo) No 파일이름 CDATA #REQUIRED 종류 CDATA #REQUIRED 크기 CDATA #REQUIRED
!ELEMENT 본문 (#PCDATA | %음성; | %표현; | 인용 | 사투리 | 스타일 | 배경소리 | 나이 | 메시지* | 저장 )+
!ELEMENT 메시지 (#PCDATA | %음성; | %표현; | 인용 | 사투리 | 스타일 | 배경소리 | 나이 | 문단* | 저장)+
!ELEMENT 문단 (#PCDATA | %음성; | %표현; | 사투리 | 스타일 | 배경소리 | 인용 | 나이 | 문장* | 저장)+
!ELEMENT 문장 (#PCDATA | %음성; | %표현; | 사투리 | 스타일 | 나이 | 변화 | 인용 | 패턴 | 상황 | 음절* | 저장 )+
!ELEMENT 음절 (#PCDATA | %음성; | %표현; | 음절* | 저장 )+
!ELEMENT 관리 (유효기간?, 저장구분, 서명, 암호화)
!ELEMENT 유효기간 (#PCDATA)
!ELEMENT 저장구분
!ATTLIST 저장구분 분류 (개인|업무|참고) 개인
!ELEMENT 서명
!ATTLIST 서명 여부 (YeslNo) No
!ELEMENT 암호화
!ATTLIST 암호화 여부 (Yes|No) No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한 XML 태그가 입력된 파일의 경우의 예는 다음과 같다.
XML전자메일
유통
수신인이름 김이박/이름 메일주소klp@kns.kang.ac.kr/메일주소/수신인
발신인이름 박이사/이름 메일주소abc@kns.nam.ac.kr/메일주소/발신인
참조인/
경로메일주소cde@kns.nam.ac.kr/메일주소
메일주소ref@hanmail.net/메일주소
메일주소zrs@hanmail.net/메일주소/경로
수신확인 자동= Y/
우편종류 보통/
Calling N/
/유통
메일구조
언어한국어/언어
제목국민교육헌장 소개/제목
본문
메시지
문장 저장국민교육헌장 본문/저장입니다. 스타일 업무우리는 민족강조 수준 = 중중흥이 역사적 사명/강조을 띄고멈춤 시간 = 2초 이땅에 /멈춤태어났다/스타일/문장
/문장
/메시지
/본문
/메일구조
관리
유효기간1999년9월20일/유효기간
저장구분 개인/
서명 N/
/관리
/XML 전자메일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메일 편집기로 작성된 파일을 메일 서버를 통해서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수신된 메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음성합성, 조회에 사용되는 절차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태그가 첨가된 전자메일은 전자메일 서버로 송수신 전후 문법 확인기(파서)를 통하여 전자메일 서버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하고 복원하게 된다. 음성합성 서버는 결과적으로 XML 파일을 가지고 전화와의 연계시 음을 합성하게 된다. 메일의 내용은 웹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조회하거나 클라이언트의 메일조회기를 사용하여 조회하거나 음성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일단 생성된 XML 파일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중요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전자메일 구현방법에서 음성 합성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면에서 음성합성의 대상이 되는 문자열은 텍스트 문자열로서, 타이핑하여 입력할 수 있다.
DTD 작성은 XML 태그의 타입을 정의하는 단계이며, XML 태그의 입력은 DTD를 기준으로 텍스트 문자열의 음성합성 단위 데이터들 사이에 태그를 사람이 직접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때 XML 태그는 DTD에서 정의된 이름에 따라 사용되는데, 위치나 속성도 DTD에서 정해진 구조를 따라야 한다.
여기서 음성합성 단위로는 문단, 문장, 음절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의 아침은 아름답습니다 에서 한국의, 아침은 등 모든 음절을 이루는 모든 부분이 합성단위가 된다. 단어 하나 하나도 합성단위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작성된 XML 문서는 XML 문법확인기(파서)에 의해 DB에 저장되며, 추후 XML 음성합성기에 의해 음성합성이 진행된다.
즉, XML 음성합성기에 의해 소정의 메모리에 원하는 XML문서를 가져오게 되고, 이 메모리를 탐색하여 그로부터 데이터를 독출(read out)한다. 독출된 데이타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타들로서, 음성합성시 요구되는 태그정보와 내용을 담고 있게 된다. 다음 태그정보에 따라 음조를 제어하면서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XML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방법은 전자메일을 단순한 파일 단위의 관리 및 표현 방식에서 벗어나 의미 있는 문자열 단위의 표현, 저장, 음성합성, 다른 시스템들과의 연결을 가능케 하여 현재 전자메일에서 파일 단위 형태로 유통되던 정보를 문자열 단위로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표현에도 XML이 첨가되어 음성대화시 수반되는 내용 이외의 환경, 감정, 음의 높낮이, 속도 등 대화의 중요한 변수(속성)를 태그 형태로 반영하므로 기존의 음성 녹음 후 재생하는 방식에 비하여 음의 자연스러움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자메일을 문자열 단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토록 지원하는 X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을 정의하는 과정, 합성하고자 하는 문서에 정의된 태그를 삽입하는 과정, 작성된 전자메일을 XML 문법 확인기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메일을 음성합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과 연결하여 합성음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XML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시스템 구현 방법.
  2. 한국어 표현을 지원하는 XML DTD (Document Type Definition)을 정의하는 과정, 합성하고자 하는 문서에 정의된 태그를 삽입하는 과정, 작성된 문서를 음성합성기에 의해 합성음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XML 태그를 이용한 음성합성 시스템 구현 방법.
KR1019990018732A 1999-05-18 1999-05-18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KR19990064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32A KR19990064930A (ko) 1999-05-18 1999-05-18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32A KR19990064930A (ko) 1999-05-18 1999-05-18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30A true KR19990064930A (ko) 1999-08-05

Family

ID=5477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732A KR19990064930A (ko) 1999-05-18 1999-05-18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49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01B1 (ko) * 1999-10-11 2003-10-22 채운들 차세대 표준 마크업 랭귀지를 이용한 문서의 변환 방법
KR101149135B1 (ko) * 2004-03-18 2012-05-29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음성 대화형 메시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401B1 (ko) * 1999-10-11 2003-10-22 채운들 차세대 표준 마크업 랭귀지를 이용한 문서의 변환 방법
KR101149135B1 (ko) * 2004-03-18 2012-05-29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음성 대화형 메시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858B2 (en) Multilingual administration of enterprise data with default target languages
US7487093B2 (en) Text structure for voice synthesis, voice synthesis method, voice synthesi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US7062437B2 (en) Audio renderings for expressing non-audio nuances
US8249857B2 (en) Multilingual administration of enterprise data with user selected target language translation
US78091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essages within the framework of an integrated message system
US8594995B2 (en) Multilingual asynchronous communications of speech messages recorded in digital media files
US8849895B2 (en) Associating user selected content management directives with user selected ratings
US8326629B2 (en) Dynamically changing voice attributes during speech synthesis based upon parameter differentiation for dialog contexts
US6334104B1 (en) Sound effects affixing system and sound effects affixing method
US9318100B2 (en) Supplementing audio recorded in a media file
KR100567126B1 (ko) 음성 xml 파일을 자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7257534B2 (en) Speech synthesis system for naturally reading incomplete sentences
Eide et al. A corpus-based approach to< ahem/> expressive speech synthesis
US20090326948A1 (en) Automated Generation of Audiobook with Multiple Voices and Sounds from Text
KR101513888B1 (ko) 멀티미디어 이메일 합성 장치 및 방법
US20070214148A1 (en) Invoking content management directives
US20070214147A1 (en) Informing a user of a content management directive associated with a rating
KR20070090745A (ko) 감정 보존 기능을 갖는 음성 및 텍스트 채널을 통한 통신
US20080162559A1 (en) Asynchronous communications regarding the subject matter of a media file stored on a handheld recording device
KR19990064930A (ko) 엑스엠엘 태그를 이용한 전자메일 구현방법
JP4409279B2 (ja) 音声合成装置及び音声合成プログラム
JP2003044072A (ja) 音声読み上げ設定装置、音声読み上げ装置、音声読み上げ設定方法、音声読み上げ設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alker et al. A new W3C markup standard for text-to-speech synthesis
JP2007127994A (ja) 音声合成方法及び音声合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086597A (ja) テキスト音声変換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