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95A - Vehicle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Vehicle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895A
KR19990033895A KR1019970055338A KR19970055338A KR19990033895A KR 19990033895 A KR19990033895 A KR 19990033895A KR 1019970055338 A KR1019970055338 A KR 1019970055338A KR 19970055338 A KR19970055338 A KR 19970055338A KR 19990033895 A KR19990033895 A KR 19990033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895A/en
Publication of KR1999003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95A/en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차량사이에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를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하여 차량의 상태를 원격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상태와,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도어열림여부와, 윈도우 및 트렁크 등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일 키 입력신호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문자신호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신호에 해당되는 문자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문자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The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vehicle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can be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checked remotely.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n impact of the door,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an open state such as a window and a trunk; Control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one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outputs a corresponding text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warning sound. A first control unit providing a signal; A second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analyzes the text sig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tex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x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Vehicle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차량용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과 리모트컨트롤러(Remotecontroller)와의 송수신을 양방향으로 가능하게하여 차량의 제어 및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in particular, a vehicle remote control that enabl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emote controller in both directions to detect a control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and inform the driver of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동 및 도어의 록/언록(Lock/Unlock)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시동키 및 도어키를 이용하여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는 운전자가 직접 키를 이용하여 일일이 제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한 문점이 있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trol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the lock / unlock of the door, the driver directly controls the vehicle using a start key and a door key. However, this is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because the driver has to control by hand using the keys.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제어 및 도어 및 윈도우의 제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개발되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engine control and door and window control of a vehicle has been developed to solve such a problem.

이러한, 차량용 원격제어장치(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uch a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원격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100)의 엔진제어 또는 차량(100)의 도어의 락/언락을 제어하기 위한 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14)와, 키 입력부(14)에서 제공되는 키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부(13)와, 제 2 제어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100)의 엔진제어 또는 도어제어에 대한 신호를 무선으로 차량으로 전송하는 송신부(12)와, 송신부(1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수신부(11)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100)의 엔진제어 및 도어제어를 수행하는 제 1 제어부(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제어부(10) 및 수신부(11)는 차량(100)에 장착되고, 송신부(12)와 제 2 제어부(13) 및 키 입력부(14)는 차량의 원격제어장치 즉,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장착되어진다.1 is a view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100 or controlling the lock / unlock of the door of the vehicle 100. In the key input unit 14 for providing a key input signal for the purpose, the second control unit 13 for analyzing the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14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second control unit 13 A transmitter 12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for engine control or door control of the vehicle 100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a receiver 11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2, and a receiver And a first control unit 10 which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at 11 to perform engine control and door control of the vehicle 100. Here, the first control unit 10 and the receiving unit 11 is mounted on the vehicle 100, the transmitter 12, the second control unit 13 and the key input unit 14 is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 20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Let'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먼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먼거리 즉, 원격으로 차량의 도어 또는 엔진의 시동을 걸기 위해 키 입력부(14)의 일 키를 선택하여 제 2 제어부(13)로 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면, 제 2 제어부(13)는 키 입력부(13)에서 제공되는 키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그 키 입력신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송신부(12)로 출력한다.First, when a driver or a user selects a key of the key input unit 14 to start the door or engine of a vehicle remotely, that is, remotely, and provides a key input signal to the second control unit 13, the second control unit ( 13 analyzes a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13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to the transmitter 12.

송신부(12)는 제어부(13)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차량(100)의 수신부(11)로 전송한다. 수신부(11)는 리모트컨트롤러(200)의 송신부(12)에서 전송되는 차량(1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제어부(10)는 수신부(1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에 해당되는 부분 즉, 도어 및 엔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The transmitter 12 wireless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3 to 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0. The receiver 11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vehicle 100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12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10. The controller 10 analyzes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ceiver 11 to control a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door and the engine.

일 예를들어 살펴보면, 차량(100)의 도어가 닫혀있고 엔진이 꺼져 있는상태에서 도어의 오픈 및 엔진의 시동을 걸기위해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먼거리에서 원격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키 입력부(14)의 도어 언락키와, 시동키를 누르게 되면, 이에 해당되는 키 입력신호는 제 2 제어부(13)로 입력되고, 제 2 제어부(13)는 이 신호를 분석하여 송신부(12)로 도어제어 및 엔진의 시동제어요구신호를 송신부(12)로 제공하면, 송신부(12)는 이 신호를 차량(100)의 수신부(11)로 무선으로 전송한다.For exampl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100 is closed and the engine is turned off, the driver or user remotely remotes the key input unit 14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to start the door and start the engine. When the door unlock key and the ignition key are pressed, the corresponding key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second control unit 13, and the second control unit 13 analyz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door control and engine to the transmission unit 12. When the start control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12, the transmitter 12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0.

차량(100)의 수신부(11)는 송신부(12)에서 제공되는 도어 및 엔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제 1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제 1 제어부(10)는 수신부(1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의 언락 및 엔진을 제어하여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The receiver 11 of the vehicle 100 receives a door and an engin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transmitter 12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10. The first control unit 10 starts the door by controlling the unlocking of the door and the engine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ceiving unit 11.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원격제어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차량으로만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즉,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차량으로의 단방향으로만 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차량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ransmits a control signal only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vehicle, that is, transmits a signal only in one direction from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vehicle to control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pinpointed.

또한, 차량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의 도난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can cause theft of the vehicle because it can not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리모트 컨트롤러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즉, 양방향으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차량의 현재 상태를 리모트 컨트롤러가 수신하여 운전자가 쉽게 차량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vehicle and the remote controll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at is, to perform a remote control in both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that can control a vehicl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also enables the driver to easily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by receiv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20 : 엔진상태 감지부 21 : 충격감지부20: engine state detection unit 21: impact detection unit

22 : 도어열림감지부 23 : 윈도우열림감지부22: door open detection unit 23: window open detection unit

24, 28 : 제어부 25, 31 : 경고음발생부24, 28: control unit 25, 31: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26, 27 : 송수신부 29 : 키 입력부26, 27: transceiver unit 29: key input unit

30 : 디스플레이부 100 : 차량30: display unit 100: vehicle

200 : 리모트 컨트롤러200: remote controll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특징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상태와,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도어열림여부와, 윈도우 및 트렁크 등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일 키 입력신호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문자신호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신호에 해당되는 문자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문자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a remote controller, the engine state of the vehicle, the impact from the outside,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n open state such as a window and a trunk; Control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one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outputs a corresponding text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warning sound. A first control unit providing a signal; A second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analyzes the text sig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tex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x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문자신호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전송된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1 송수신부와; 상기 제 1 송수신부로 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키 입력신호를 차량의 제 1 송수신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 2 송수신부와;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문자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문자신호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구비함에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text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ler to the remote controller,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received key input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 A second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one key input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to a first transceiver of the vehicle; And generating a text signal by the second controller to display the text signal on the display unit an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차량과 리모트컨트롤러가 상호 양방향통신을 수행함에 있으며, 상기 감지수단은 엔진의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상태 감지부와; 외부로 부터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도어와, 윈도우 및 트렁크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윈도/트렁크열림감지부로 구성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ehicle and the remote controller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sensing means includes an engine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engine; An imp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mpact from the outside; The door, the window and the door / window / trunk open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 state of the trun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제어장치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차량(100)에는 엔진의 상태를 감지하는 엔진상태 감지부(20)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21)와,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22)와, 윈도우의 열림을 감지하는 윈도우열림감지부(23)와, 리모트컨트롤러(2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각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각각의 감지부(20, 21, 22, 23)에서 제공되는 감지결과값에 해당되는 차량의 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부(24)와, 리모트 컨트롤러(200)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제어부(2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26)에 전송하는 송수신부(26)와, 차량의 이상상태 발생시 제 1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제 1 경고음발생부(25)가 장착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is described. First, the vehicle 100 includes an engine state detection unit 20 for detecting a state of an engine; Shock detection unit 21 for detecting an external shock,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22 for detecting the open state of the door, the window opening detection unit 23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window,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first control unit 24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part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provided by the, and outputs the status signal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value provided by each of the detection unit (20, 21, 22, 23) And a transceiver 26 for receiving a signal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24 to the remote controller 26, and a first controller 24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occurs. The first beep that generates a beep under control of (25) is mounted.

그리고, 리모트컨트롤러(20)에는 차량의 엔진 및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키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키 입력부(29)와, 차량(100)의 제 1 송수신부(26)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제 1 송수신부(26)로 키 입력부(29)에서 제공되는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수신부(27)와, 차량(1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이상상태 발생신호를 OSD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차량(100)의 이상상태 발생을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음을 발생하는 제 2 경고음발생부(31)와, 상기 키 입력부(29)에서 제공되는 각종 키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차량에 전송하기 위해 제 2 송수신부(27)로 출력하고, 제 2 송수신부(27)에서 신호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와, 제 2 경고음발생부(31)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28)가 구성된다.The remote controller 20 receives a key input unit 29 for providing a key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engine and the door of the vehicle, and a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26 of the vehicle 100. The second transceiver 27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key input unit 29 to the first transceiver 26 of the vehicle, and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provided from the vehicle 100 occurs.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a signal in the OSD form, the second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1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for warning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of the vehicle 100, and the key input unit 29 Outpu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various key input signals to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7, and the display unit 30 and the second, depending on whether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7 The second control unit 28 for controlling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1 is configured. .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하자.Let u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차량을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원격에서 엔진의 제어 및 도어 그리고 윈도우를 제어하게 되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First, it is a known fact that a user or a driver uses a remote controller 200 to remotely control the engine, the door and the window as in the prior art.

여기서, 이와 같이 엔진의 제어 및 도어의 제어가 이루어진상태에서 엔진상태감지부(20), 충격감지부(21), 도어열림감지부(22) 및 윈도우열림김지부(23)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에서 신호가 감지되어 제 1 제어부(24)로 인가되면, 제 1 제어부(24)는 차량(100)에 장착된 제 1 경고음발생부(25)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하게 됨과 동시에 제 1 송수신부(26)에 감지된 신호에 대한 해당 제어신호를 제공한다.Herein, at least one of the engine state detection unit 20, the impact detection unit 21,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22, and the window opening locking unit 23 is det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of the engine and the control of the door are performed.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the unit and applied to the first control unit 24, the firs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first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25 mounted on the vehicle 100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and receives the first sound. The control unit 26 provid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the detected signal.

이 신호를 수신한 제 1 송수신부(26)는 무선으로 리모트컨트롤러(200)에 장착된 제 2 송수신부(27)에 전송한다.Receiving this signal, the first transceiver 26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econd transceiver 27 mounted to the remote controller 200.

제 2 송수신부(27)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제어부(28)에 출력한다. 제 2 제어부(28)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OSD형태로 차량의 현재상태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2 경고음발생부(31)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다.The second transceiver 27 receives this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controller 28. The second control unit 28 receives this signal to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n OSD form on the display unit 30 and simultaneously control the second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1 to generate a warning sound.

일 예를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리모트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엔진 및 도어를 제어한 상태에서 도어가 다른 사람에 의해 열리게 되면, 도어열림감지부(22)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 1 제어부(24)에 감지신호를 제공한다. 제 1 제어부(24)는 도어열림감지부(22)에서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발생부(25)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발생하게 함과 동시에 송수신부(26)를 통해 리모트컨트롤러(200)의 송수신부(27)로 도어열림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공한다.For example, if the door is opened by another user while the user or the driver controls the engine and the door of the vehicle 1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door opening detecting unit 22 may open the door. It detects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24. The firs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25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door opening detecting unit 22 to generate a warning s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remote controller 200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6. Provides a signal informing the door open state to the transceiver 27.

그러면, 제 2 제어부(28)는 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OSD형태로 도어열림을 메시지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경고음발생부(31)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운전자는 경고음소리를 듣고 디스플레이부(30)를 확인하여 현재 차량의 도어가 열려있음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second control unit 28 analyzes this and displays the door opening in the OSD form as a message on the display unit 30 and generate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3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message. . Therefore, the user or driver hears the warning sound and checks the display unit 30 to determine that the door of the vehicle is currently open. Therefore, theft of a vehicle can be prevented beforehand.

여기서, 상기 도얼열림상태만을 일예로 설명하였는데 다른 감지부(20, 21, 23)의 동작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only the opening state of the do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operation of the other sensing units 20, 21, and 23 is similar to the above operation,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 2에 도시된 감지부(20, 21, 22, 23)이외의 다른 부분 즉, 트렁크의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 및 다른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본 발명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In addition, other than the detection unit 20, 21, 22, 23 shown in Figure 2, that is,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trunk and other sensors to detect the opera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at can be done is true.

결국,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러(200)와 차량사이에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현재상태를 리모트컨틀롤러(200)를 통해 수신할 수 도 있도록 한 것이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vehicle 100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by enabling communicatio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vehicle, and also control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by the remote controller 200. It can also be received throug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는 리모트컨트롤러와 차량사이에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현재상태를 리모트컨틀로러를 통해 수신할 수 도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vehicl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by enabling communication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vehicle, and also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By making it possible to receive,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theft of the vehicle in advance.

또한,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 및 도어 그리고 트렁크 등을 제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 및 경고음발생부에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차량의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or the driver controls the vehicle's engine, door, and trunk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if the control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user detects this and informs the display unit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attached to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check the control state of the vehicle.

Claims (2)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In the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a remote controller, 차량의 엔진상태와, 외부로 부터의 충격과, 도어열림여부와, 윈도우 및 트렁크 등의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Sensing means for detecting an engine state of the vehicle, an impact from the outside,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an open state such as a window and a trunk;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제공되는 일 키 입력신호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문자신호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일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 1 제어부;Control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one key input signal provid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outputs a corresponding text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warning sound. A first control unit providing a signal;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출력된 문자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신호에 해당되는 문자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 2 제어부와;A second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text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analyzes the text sig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a tex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ignal;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문자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text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문자신호를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리모트컨트롤러에서 전송된 키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 1 송수신부와;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transceiver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 text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ler to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 a key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output the received key input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상기 제 1 송수신부로 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키 입력신호를 차량의 제 1 송수신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 2 송수신부와;A second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one key input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to a first transceiver of the vehicle; 상기 제 2 제어부에서 문자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문자신호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 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 제어장치.And a warning sound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text signal by the second control unit to display a text signal on the display unit and simultaneously generating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KR1019970055338A 1997-10-27 1997-10-27 Vehicle Remote Control KR199900338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8A KR19990033895A (en) 1997-10-27 1997-10-27 Vehicle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338A KR19990033895A (en) 1997-10-27 1997-10-27 Vehicle Re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95A true KR19990033895A (en) 1999-05-15

Family

ID=6604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338A KR19990033895A (en) 1997-10-27 1997-10-27 Vehicle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89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813B1 (en) * 2006-11-06 2008-02-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pparatus and method of theft prevention in a c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813B1 (en) * 2006-11-06 2008-02-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pparatus and method of theft prevention in a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5578C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US20040061604A1 (en) Recording and indicating the state of an apparatus remotely
US7005960B2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with selectable output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4004932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selectable vehicle style image and associated methods
JPH1059131A (en) Keyless system
JP4539513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9990033895A (en) Vehicle Remote Control
KR100243884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a car from being robbed
WO2005020622A1 (en) Antenna module for remote engine 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ing the antenna module
KR100360070B1 (en) Monitoring method of remote control apparatus in automobile
KR200362297Y1 (en) A condition recognize device of packing car
KR19990064987A (en)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80095Y1 (en) A car monitoring installation
JP4061718B2 (en) Keyless entry device for vehicles
KR100191033B1 (en) Anti-theft vehicle security system
KR200214911Y1 (en) System for remote starting engine and air conditioning in car
KR100494774B1 (en)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a parking place of car
KR0130982Y1 (en) Remote door oepning/closing apparatus having direction indicator
KR10053506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obbery of valuables in automobi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200169349Y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anti-theft alarming
JP4488348B2 (en) Alarm device
KR0140608Y1 (en) Anti-theft device for a car
KR970043743A (en) Door remote control to prevent theft
KR19980024567U (en) Car Remote Control Device Using Car Phone
KR19980076618A (en) Remote control device of vehicle with vehicle positio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