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843U - Strobe Light Control - Google Patents

Strobe Ligh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843U
KR19990031843U KR2019970044588U KR19970044588U KR19990031843U KR 19990031843 U KR19990031843 U KR 19990031843U KR 2019970044588 U KR2019970044588 U KR 2019970044588U KR 19970044588 U KR19970044588 U KR 19970044588U KR 19990031843 U KR19990031843 U KR 199900318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control unit
subject
lumina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5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44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843U/en
Publication of KR19990031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843U/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광 센서(101)에서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측거 센서(102)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동작 제어부(20)로 출력하며 동작 제어부(20)에는 보조 처리 제어부(30)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 처리 제어부(30)에서 스트로보 장치(3)로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가 입력되어, 휘도 상태가 스트로보 장치를 구동시켜야 하는 저휘도 상태일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에 따라 스트로보 장치의 구동 시간을 변화시키므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스트로보 장치의 발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광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적정 광량에 따른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amount control device of the strobe, the photoelectric sensor 101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the range sensor 102 and the subject Sensing the distanc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processing control unit 30, the strobe light emission signal from the auxiliary processing control unit 30 to the strobe device 3 When (TRIGGER) is input and the luminance state is a low luminance state in which the strobe device needs to be driven, the driving time of the strobe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subjec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strobe dev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changed. As a result, accurate light amount control can be executed, and an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according to a suitable light amount occurs.

Description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Strobe Light Control

이 고안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카메라의 스트로보(strobe)의 광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amount control device of the camera strobe.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할 경우, 주변환경의 휘도 상태가 촬영 동작을 실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조건에 맞는 휘도 상태로 조정한다.When us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bject, if the luminance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suitable for perform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the auxiliary apparatus is used to adjust the luminance state to meet the photographing conditions.

따라서 주변환경의 휘도 상태가 사진 촬영에 부족한 휘도 상태일 경우엔, 촬영자는 별도의 스트로보 장치를 카메라에 장착하여 촬영시 부족한 휘도를 보충하거나, 또는 별도의 조명 장치를 추가로 작동시키거나 태양 광선을 이용하여 휘도 부족으로 인한 불량한 사진을 촬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for taking a picture, the photographer may attach a separate strobe device to the camera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brightness, or operate a separate lighting device or apply sunlight to the camera. To prevent poor photography due to lack of brightness.

또한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동 카메라일 경우에도, 거의 대부분 스트로보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 장치의 제어 동작에 의해 주변 환경의 휘도 상태가 부족한 상태로 판정되면, 장착되어 있는 스트로보 장치를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맞춰 작동시킨다.In general, even in the case of the most prevalent auto cameras, since the strobe device is almost installed, when the state of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etermined to be insufficient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built in the camera, the installed strobe device is installed. In time with the shooting operation.

따라서 카메라 사용자가 별도의 스트로보 장치 조작 없이도 필요에 따라 스트로보 장치가 작동되어 부족한 휘도 상태를 보충해주어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camera user can operate the strobe device as needed without a separate strobe device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brightness state to obtain a high-quality pictur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다음에, 종래의 스트로보 광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인 도 1을 참고로 하여, 스트로보의 광량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ventional strobe light quantity control apparatus,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controls the light quantity of a strobe is demonstrat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광 센서(11)에서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제어부(2)로 출력하고, 측거 센서(12)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동작 제어부(2)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1, the photometric sensor 11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 and the range sensor 12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he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is out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그리고 동작 제어부(2)에 촬영 동작을 위해 측거 동작과 측광 동작을 실행하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릴리즈 1단 스위치(SW1)와 릴리즈 2단 스위치(SW2)가 연결되어 있다. 동작 제어부(2)에서 스트로보 장치(3)로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와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가 입력되고, 스트로보 장치(3)에서 동작 제어부(2)로 스트로보 충전 완료 신호(NES)가 입력된다. 그로 인해, 피사체의 휘도 부족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적정 광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 and a release second stage switch SW2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to perform a ranging operation and a photometric operation for a photographing operation, and to photograph a subject. The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and the strobe light emission signal TRIGGER are input to the strobe apparatus 3 from the operation controller 2, and the strobe charging completion signal NES is input from the strobe apparatus 3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up for the lack of luminance of the subject so that the appropriate light amount can be achieved.

또한 동작 제어부(2)에 조리개 제어 장치(4)가 연결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와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적정량의 조리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perture control device 4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so that the appropriate amount of apertur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and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휘도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휘도 측광 센서(11) 대신에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씨씨디(CCD,Charge Coupled Device, 이하 CCD라 칭함)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Instead of the luminance metering sensor 11 for sens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an imaging element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CCD)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of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may be used.

그러면, 종래의 스트로보 광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trobe light quantity control devic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위해 릴리즈 1단 스위치(SW1)를 작동시키면 동작 제어부(2)는 피사체와의 측거 동작과 측광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측광 센서(11) 또는 CCD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휘도 정도를 판정하고, 측거 센서(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정한다. 판정된 휘도 상태가 스트로보 장치(3)를 작동시켜야 하는 저휘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스트로보 장치(3)에서 출력되는 스트로보 충전 완료 신호(NES)를 판독하여 스트로보 장치(3)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First, 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 is operated for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performs the ranging operation and the metering operation with the subject. Therefore, the luminance degree is determined by rea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metric sensor 11 or CCD, and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is determined by read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range sensor 12. When the determined luminance state is a low luminance state in which the strobe apparatus 3 should be opera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reads the strobe charging complete signal NES output from the strobe apparatus 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operation is completed.

스트로보 장치(3)가 충전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2)는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를 스트로보 장치(3)로 출력하여, 스트로보 장치(3)가 동작하여 카메라의 스트로보(도시되지 않음)를 발광시키고, 동시에 조리개치를 산출하여 조리개 제어 장치(4)의 동작을 동작으로 산출된 정도의 조리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trobe device 3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a strobe light emission signal TRIGGER to the strobe device 3, and the strobe device 3 operates so that the strobe of the camera is not shown. Light) and at the same time calculate the aperture value so that the apertur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egre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perture control device 4 can be performed.

그러나, 스트로보 장치(3)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엔, 동작 제어부(2)는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를 스트로보 장치(3)로 출력하여 스트로보 발광 동작을 위한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However, whe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trobe device 3 is not completed, the operation controller 2 outputs the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to the strobe device 3 so that the charging operation for the strobe light em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

위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스트로보 장치(3)는 측광 센서(11)나 측거 센서(12)에 의해 산출되는 휘도 상태나 측거한 거리에 무관하게 항상 완전히 발광시켜야 하므로,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가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stroboscopic apparatus 3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should always completely emit light regardless of the luminance state or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photometric sensor 11 or the ranging sensor 12, resulting in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또한, 감지된 휘도 정도에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발광량이 출력되므로 적정 휘도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다 광량이나 광량 부족에 따른 화질 악화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same amount of light is always output regardless of the detected degree of brightness, proper brightness correction is not perform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excessive light amount or lack of light amount.

이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휘도 정도나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발광량을 가변시키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ary the amount of emitted light depending on the degree of luminance and the distance to the subject.

도 1은 종래의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strobe light amount control device,

도 2a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2A is a block diagram of a strobe light quantit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고,2B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2C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n auxiliar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고안에서는 피사체의 휘도 상태가 저휘도 상태일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발광량을 가변시키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uminance state of the subject is a low luminance state, the amount of light emission is vari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피사체의 휘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CC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detect the luminance state of the subject, it is preferable to use a CCD that outputs the image of the subject as an electric image signal.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 광량 제어 장치에 대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strobe light amoun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b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2c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FIG. 2A is a block diagram of a strobe light quantit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n auxiliar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flowchart of.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보 광량 제어 장치의 구조는 측광 센서(101)에서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측거 센서(102)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동작 제어부(20)로 출력한다.As shown in FIG. 2A, the structure of the strobe light quantit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0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in the photometric sensor 101. The distance sensor 102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and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0.

그리고 동작 제어부(20)에 촬영 동작을 위해 측거 동작과 측광 동작을 실행하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릴리즈 1단 스위치(SW10)와 릴리즈 2단 스위치(SW20)가 연결되어 있다. 동작 제어부(20)에는 보조 제어부(30)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 제어부(30)에서 스트로보 장치(40)로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와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가 입력된다. 반대로 스트로보 장치(30)에서 보조 제어부(30)로는 스트로보 충전완료 신호(NEC)가 입력된다.In addition, a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0 and a release two stage switch SW20 are perform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to perform a ranging operation and a photometric operation for a photographing operation, and to photograph a subject. The auxiliary controller 3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20, and the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and the strobe light emission signal TRIGGER are input from the auxiliary controller 30 to the strobe device 40. On the contrary, the strobe charging complete signal NEC is input from the strobe device 30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동작 제어부(20)와 보조 제어부(30)에는 중앙 처리 장치(201, 301)와 메모리 장치(202, 302)가 각각 내장되어 있고, 스트로보 장치(30)는 발진/승압부(41), 충전부(42), 충전 감지부(43), 및 방전부(44)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s 201 and 301 and the memory devices 202 and 302 are built in, respectively, and the strobe device 30 includes an oscillation / boost unit 41 and a charging unit ( 42), the charge detector 43, and the discharge unit 44.

그리고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휘도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휘도 측광 센서(101) 대신에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CCD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luminance metering sensor 101 for sensing luminance information, an imaging element such as a CCD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of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may be used.

그러면,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스트로보 광량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 2b와 도 2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Then, the operation of the stroboscopic light amount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C.

먼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인가되면 각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 제어부(20)와 보조 제어부(30)의 동작도 시작한다.First, when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executed,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also starts.

그로 인해, 동작 제어부(20)의 중앙 처리 장치(201)는 릴리즈 1단 스위치(SW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위한 릴리즈 1단 스위치(SW10)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릴리즈 1단 스위치(SW10)가 피사체 촬영을 위한 온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20)의 중앙 처리 장치(201)는 측광 센서(101) 또는 CCD와 측거 센서(10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측광 동작과 측거 동작을 실행하여, 휘도 정보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메모리부(202)에 저장한다.Therefo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reads a signal input from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0 to determine whether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0 for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is operated. (S11). 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W10 is determined to be in an on stat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operation controller 20 may use a signal input from the photometric sensor 101 or the CCD and the ranging sensor 102. The metering operation and the metering operation a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subject and store them in the memory unit 202.

그리고, 판정된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휘도 상태가 스트로보 장치(40)를 동작시켜야 하는 저휘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3). 저휘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0)의 중앙 처리 장치(201)는 측거 센서(102)에 의해 판정되어 메모리부(201)에 저장되어 있는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 설정되어 있는 산술식에 따라 산출된 거리 정보에 해당하는 발광량(Gno)으로 환산한다(S14).In operation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uminance state is a low luminance state in which the strobe device 40 should be operated using the determined luminance information. In the low luminance stat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is determined by the ranging sensor 102 and has already been set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subject stored in the memory unit 201.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equation is converted (S14).

이 때 발광량(Gno)은 조리개치(Fno)와 측거 거리(r)를 곱하여 산출한다.At this time,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perture value Fno by the range distance r.

그런 다음 측거된 거리에 따라 발광 동작을 시작하기 위하여 보조 제어부(30)의 메모리부(302)로 환산된 발광량(Gno)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저장한다(S15).Then, in order to start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converted to the memory unit 302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is output and stored (S15).

다음 표 1에 환산된 발광량(Gno)에 따라 보조 제어부(3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도시한다.Table 1 shows data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전송 데이터Transmission data GnoGno 0000 00000000 0000 00 0000 00010000 0001 1One 0000 00100000 0010 22 0000 00110000 0011 33 0000 01000000 0100 44 0000 01010000 0101 55 0000 01100000 0110 66 0000 01110000 0111 77 0000 10000000 1000 88 0000 10010000 1001 99 0000 10100000 1010 1010 0000 10110000 1011 1111 0000 11000000 1100 1212 0000 10110000 1011 1313 0000 11100000 1110 1414 0000 11110000 1111 1515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측거되는 거리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Gno)이 산출되어 보조 제어부(30)로 출력되면, 스트로보 장치(40)의 제어 동작을 도 2c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When the corresponding Gno is calculated and output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B,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trobe device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C.

보조 제어부(30)는 동작 제어부(20)의 중앙 처리 장치(201)에서 거리 정보에 의해 환산되는 발광량(Gno)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data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converted by the dista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1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S21).

저휘도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보조 제어부(30)의 중앙 처리장치(301)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발광량(Gno)을 판정한 후, 판정된 발광량(Gno)에 해당하는 트리거 시간을 이미 설정되어 메모리부(30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한다(S22). 그런 다음, 보조 제어부(30)의 중앙 처리 장치(301)는 스트로보 장치(40)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보 충전완료 신호(NEC)를 판독하여, 발광 동작을 위해 스트로보 장치(40)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23).When data for correcting low luminance is inpu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1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light emission amount Gno by using the input data, and then trigger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light emission amount Gno. The time is determined using the data already set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302 (S22). T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1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reads the strobe charge complete signal NEC input from the strobe device 4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trobe device 40 is completed for the light emission operation. It is determined (S23).

스트로보 충전완료 신호(NEC)의 상태가 저레벨인 L일 경우엔, 보조 제어부(30)의 중앙 처리 장치(301)는 발광 동작을 위한 충전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한다.When the strobe charging complete signal NEC has a low level 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1 of the auxiliary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operation for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is not completed.

그러므로, 보조 제어부(30)의 중앙 처리 장치(301)는 저레벨인 L상태의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를 스트로보 장치(40)로 출력한다(S24). 저레벨인 L상태의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에 의해 스트로보 장치(40)의 발진/승압부(41)가 동작하여 설정된 상태까지 전압이 승압될 수 있도록 발진 동작을 실행한 후, 충전부(42)로 해당 크기의 전하를 충전시킨다.Therefor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1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outputs the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of low state to the strobe apparatus 40 (S24). After the oscillation / step-up part 41 of the strobe device 40 is operated by the low-level strobe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the oscil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voltage can be boosted up to the set state. Charge a charge of that size.

충전부(42)에 설정된 크기의 전하가 충전되면, 스트로보 장치(40)는 스트로보 충전 완료 신호(NEC)로 고레벨인 H 신호를 출력하여, 스트로보 장치(40)의 충전 완료 상태를 보조 제어부(30)로 알리게 된다.When the charge of the size set in the charging unit 42 is charged, the strobe device 40 outputs an H signal having a high level by the strobe charge completion signal NEC, and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e charging completion state of the strobe device 40. Will be announced.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스트로보 장치(40)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어 고레벨인 H의 스트로보 충전 완료 신호(NEC)가 보조 제어부(30)로 입력되면, 보조 제어부(30)는 판정된 트리거 시간만큼 스트로보 장치(40)로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를 출력하여(S25), 스트로보 장치(40)의 발광부(44)를 동작시켜 설정된 트리거 시간동안 스트로보 장치(40)의 발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 when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trobe device 40 is completed and the high level strobe charge completion signal NEC is input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the auxiliary control unit 30 strobes for the determined trigger time. The strobe light emitting signal TRIGGER is output to the device 40 (S25),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4 of the strobe device 40 is operated to allow the strobe device 40 to emit light for a set trigger time.

다음 표 2에 판정된 발광량(Gno)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스트로보 발광 신호(TRIGGER)의 트리거 시간을 도시한다.The trigger time of the strobe light emission signal TRIGGER already set according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determined in the following Table 2 is shown.

트리거 시간(㎲)Trigger time (㎲) GnoGno 1010 33 2020 44 4040 55 5050 66 7070 77 100100 88 130130 99 150150 1010 250250 1111 300300 1212 450450 1313 600600 1414 10001000 1515

휘도 상태가 스트로보 장치를 구동시켜야 하는 저휘도 상태일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에 따라 스트로보 장치의 구동 시간을 변화시키므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스트로보 장치의 발광량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광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적정 광량에 따른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When the luminance state is a low luminance state in which the strobe device needs to be driven, the driving time of the strobe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subjec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strobe dev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can be changed, so that the correct amount of light can be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reby produc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amount of light.

또한 별도의 추가 장치를 필요치 않으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이나 설계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제품의 고급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rease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 difficulty of design and to realize the high quality of the product.

Claims (4)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감지부와;A brightness sensor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around the subject;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측거 감지부와;A ranging detector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상기 휘도 감지부와 측거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휘도 상태와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를 판정하고, 판정된 휘도 상태가 저휘도 상태일 경우 거리 정보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발광량(Gno)을 판정하여 해당 상태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와;The 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ubject are determined by us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luminance detector and the range detector, and when the determined luminance state is a low luminance state, the emission amount Gno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is determined. An operation control unit outputting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state;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동작 제어부로부터 발광량(Gno)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발광량에 해당하는 구동 시간을 판정하고, 구동 시간동안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제어부와;When data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input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ssion amount Gno is in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driv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input emission amount is determined using the data already set, and during the driving time. An auxiliary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driving signal; 상기 보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구동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발광 동작을 실행하는 스트로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And a strobe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 light emitting operation while a driving signal is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감지부는,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uminance sensor comprises: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CCD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A strobe light amount controlling device, characterized by using a CCD for outputting an image of an object as an electric image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휘도 감지부와 측거 감지부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 제어부를 제어하는 릴리즈 1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Strobing light amount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lease first stage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luminance detection unit and the range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ontrol unit, 스트로보 장치에서 출력되는 스트로보 충전완료 신호(NEC)의 상태가 설정 상태가 아닐 경우, 스트로보 장치의 충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설정 상태의 스트로보 발진 신호(OSC)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보의 광량 제어 장치.If the state of the strobe charge complete signal NEC output from the strobe device is not in the set state, the strobe light amount control of the strobe light outputs a strobe oscillation signal OSC in order to perform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trobe device. Device.
KR2019970044588U 1997-12-31 1997-12-31 Strobe Light Control KR1999003184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88U KR19990031843U (en) 1997-12-31 1997-12-31 Strobe Ligh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588U KR19990031843U (en) 1997-12-31 1997-12-31 Strobe Light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843U true KR19990031843U (en) 1999-07-26

Family

ID=6969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588U KR19990031843U (en) 1997-12-31 1997-12-31 Strobe Ligh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84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3673B1 (en) Digital camera for adjusting charge accumulation time in response to object distance
JP4228277B2 (en) LED lighting device
US5223935A (en) Electronic camera with automatic exposure control
US20030133021A1 (en) Camera having improved image quality
JP2003232987A (en) Focusing device
JP4406891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US5634146A (en) Camera with automatic flash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355500B2 (en) Digital camera
JP2007017623A (en) Photographing device, light emission controller and light-emitting device
JP5248248B2 (en) Camera strobe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4374863B2 (en) Imaging device
JP3957147B2 (en) Focusing device
JP4406889B2 (en) Camera strobe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4718507B2 (en) Light emitting head
JP2006010746A (en) Illuminat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nd camera
KR19990031843U (en) Strobe Light Control
JP4724891B2 (en) Imaging device
JP2008003627A (en) Light source device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H11298793A (en) Image-pickup device and its method
JP3753520B2 (en) Imaging device
JPH11234550A (en) Electronic camera
US20020140840A1 (en) Camera for film photography and electronic photography
CN109387992B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sufficiently ensuring light emission accurac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62821B2 (en) Imaging strobe device
JP2004184662A (en) Electronic flas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