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763A -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 Google Patents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763A
KR19990031763A KR1019970052596A KR19970052596A KR19990031763A KR 19990031763 A KR19990031763 A KR 19990031763A KR 1019970052596 A KR1019970052596 A KR 1019970052596A KR 19970052596 A KR19970052596 A KR 19970052596A KR 19990031763 A KR19990031763 A KR 19990031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output
mode
chann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호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5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763A/en
Publication of KR1999003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763A/en

Links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 이 두 신호가 같지 않으면 스테레오 출력 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비교 결과 이 두 신호가 같으면 모노 출력 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가 변경되어 최대의 음장감으로 오디오를 들을 수 있도록 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of an audio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 light channel signal and a raft channel signal of an audio signal input from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if the two signals are not equal, the stereo output is performed. If the two channels are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the signal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mono output mode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The audio output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llowing the audio to be heard with maximum sound field.

Description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 자동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an audio output mode for comparing reproduced audio data and automatically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result.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 모드는 모노(MONO), 스테레오(STEREO), 서라운드(SURROUND)모드가 있는데, 모노 모드는 오디오 출력시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라이트 채널과 래프트 채널에서 출력되는 것이고, 스테레오 모드는 라이트 채널에서 라이트 오디오 신호가, 래프트 채널에서 래프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며, 서라운드 모드는 라이트 채널에서 라이트 오디오 신호가, 래프트 채널에서 래프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시에 또다른 스피커를 통해 라이트 오디오 신호와 래프트 오디오 신호가 합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오디오 출력시 데이터의 처리된 형태에 따라 적합한 출력 모드로 출력함으로써 보다 음장감있게 오디오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audio system has three output modes: MONO, STEREO, and SURROUND. In mono mode, the same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light channel and the raft channel during audio output. A light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channel and a raft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raft channel. In surround mode, a light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light channel and a raft audio signal is output from the raft channel. It is to output the sum signal. In this way, the audio output can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processed form of the data, so that the audio can be enjoyed more soundly.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audio system.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재생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1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재생된 데이터를 엠펙(MPEG)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엠펙 디코더(10)와; 상기 엠펙 디코더(1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에러 정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40)와; 상기 D/A 컨버터(4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스테레오 출력 모드로 출력하는 음장 효과부(50)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D/A 컨버터(40)를 통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해당 출력 모드로 출력되도록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60)로 구성된다.As shown, a central processing unit 10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audio and video; An MPEG decoder (10) for decoding the reproduced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in an MPEG method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20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10 into a digital signal after error correction; A D / A converter 40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0 into an analog signal; A sound field effect unit 50 for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40 in a stereo output mode; The switch unit 6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and switches a path such that an analog audio signal through the D / A converter 40 is output in a corresponding output mode.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에서 출력 모드를 변경하여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출력 모드 제어 신호를 검색하며, 이 검색 결과 출력 모드 제어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이면 음장 효과부(50)로의 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치부(6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outputting audio by changing the output mode in the general audio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searches for an output mod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outputs the search result. When the mode control signal is in the stereo mod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unit 60 so that a path to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is set.

그러면 음장 효과부(50)는 D/A 컨버터(4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스위치부(60)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통해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장 효과부(50)는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될 경우 최대의 음장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리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장감있게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output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40 in the stereo mode through the path set by the switch unit 60. Here,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shows the maximum sound field effect when the audio signal is output in the stereo mode. Thu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can be heard in a sound field.

또한 중앙 처리 장치(10)에서 출력 모드 제어 신호의 검색 결과 모노 모드로 출력하라는 신호이면, 중앙 처리 장치(10)는 모노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60)를 제어하여, D/A 컨버터(4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음장 효과부(50)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is a signal to output in the mono mode as a result of the search for the output mode control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controls the switch unit 60 to be output in the mono mode, D / A converter 40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is direct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출력 모드 변경 방법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출력 모드로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처리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적절한 출력 모드로 바꾸어 오디오를 들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of such a general audio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audio cannot be heard by switching to an appropriate output mode flexibly according to the audio processing type by outputting audio in an audio output mode selected by a user's manual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를 검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audio output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in which the reproduced audio data checks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audio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result. To provide a wa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ethod) is,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상이 여부 비교 결과값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다름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테레오 모드 제어 단계와;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같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모노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모노 모드 제어 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n input step of receiv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of the MPEG-decoded audio signal; A stereo mod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 switch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in a stereo mode when the input comparison result is a signal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a write channel signal and a raft channel signal; If the input comparison resul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rite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are the same, the method may include a mono mod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in a mono mod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보인 흐름도,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changing an audio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의 파형도.3 is a waveform diagram of reproduced audio dat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중앙 처리 장치 20:엠펙 디코더10: central processing unit 20: MPEG decoder

30:디지털 신호 처리부 40:D/A 컨버터30: digital signal processor 40: D / A converter

50:음장 효과부 60:스위치부50: sound field effect part 60: switch part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udio output mode automatic chang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먼저,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의 실시예 구성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상이 여부 비교 결과값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ST10)와;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다름을 나타내는 하이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테레오 모드 제어 단계(ST11-ST12)와;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같음을 나타내는 로우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모노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모노 모드 제어 단계(ST13)로 이루어진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audio output mode change method may include: an input step ST10 for receiv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light channel signal and a raft channel signal of an MPEG decoded audio signal; A stereo mode control step (ST11-ST12) of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in a stereo mode when the input comparison result value is a high signal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write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If the input comparison result is a low signal indicating that the write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are the same, a mono mode control step ST13 of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output the audio signal in the mono mode is performed.

이와 같이 이루어진 오디오 출력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도1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에 적용시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utomatic method for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udio system shown in FIG.

먼저, 엠펙 디코더(20)는 재생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엠펙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그러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엠펙 디코더(20)에서 출력된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변조 신호를 에러 정정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A 컨버터(4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펙 디코더(20)로부터 동기를 위한 워드클럭(a)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b)를 비교하게 된다. 즉, 워드 클럭(a)이 하이 신호일 경우 입력되는 라이트 채널 오디오 신호(b)와 워드 클럭(a)이 로우신호일 경우 입력되는 래프트 채널 오디오 신호(b)를 비교하게 된다.First, the MPEG decoder 20 receives the reproduced data and decodes the MPEG data to output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e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converts the EFM (Eight to Fourteen Modulation) modulated signal outputted from the MPEG decoder 20 into error-corrected digital signals and transfers the digital signal to the D / A converter 40.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compares the audio signal b output from the MPEG decoder 20 according to the word clock a for synchronization. That is, the write channel audio signal b input when the word clock a is a high signal and the raft channel audio signal b input when the word clock a is a low signal are compared.

이 비교 결과 라이트 채널 오디오 신호와 래프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같지 않으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는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출력 모드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값인 하이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10)로 전달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nd the raft channel audio signal are not the sam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transmits the high signal, which is a value set to output the audio signal in the stereo output mod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이렇게 하이신호를 입력받은 중앙 처리 장치(10)는 라이트 채널 오디오 신호와 래프트 채널 오디오 신호가 다름을 인지하고,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60)를 제어하게 된다(ST10-ST12).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receiving the high signal recogn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channel audio signal and the raft channel audio signal, and controls the switch unit 60 to output the audio signal in the stereo mode (ST10-ST12). .

이리하여 스위치부(60)는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에 의해 D/A 컨버터(40)를 통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음장 효과부(50)를 통해 스피커로 전달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음장 효과부(50)는 D/A 컨버터(40)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최대의 음장 효과가 있도록 스테레오 모드로 스피커에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스피커에서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되는 음장감있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the switch unit 60 sets a path such that the analog audio signal through the D / A converter 40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is to outpu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 / A converter 40 to the speaker in the stereo mode to have the maximum sound field effect. This allows you to hear sound field audio from the speakers in stereo mode.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에서 래프트 채널 오디오 신호와 라이트 채널 오디오 신호의 비교 결과, 이 두 신호가 같으면 모노 출력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된 값인 로우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10)로 전달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raft channel audio signal and the light channel audio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transmits the low signal, which is a value set to operate in the mono output mod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이렇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30)로부터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ST10), 중앙 처리 장치(10)는 이 로우 신호로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같음을 인지하고, 오디오 신호가 모노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60)를 제어하게 된다(ST13). 이리하여 스위치부(60)는 중앙 처리 장치(10)의 제어에 의해 D/A 컨버터(40)에서 출력된 신호가 음장 효과부(5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스피커로 전달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D/A 컨버터(40)는 음장 효과부(50)를 통과하지 않고 스위치부(6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전달하여 스피커의 라이트 채널과 래프트 채널에 동일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low signal is input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ST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recognizes that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are the same as the low signal, and switches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in the mono mode. The unit 60 is controlled (ST13). Thus, the switch unit 60 sets a path such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4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peak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Accordingly, the D / A converter 40 transmits an audio signal to the speaker through the switch unit 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und field effect unit 50 so that the same signal is output to the light channel and the raft channel of the speaker.

이로써 디지털 신호 처리부(30)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오디오 출력모드가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중앙 처리 장치(10)에서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 모드가 자동적으롤 변경되어 보다 음장감있는 오디오를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audio processing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audio signal by controll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so that the audio output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0. You will be able to enjoy the audi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오디오 출력모드 자동 변경 방법"은, 특히,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를 검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디오 출력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음장감의 효과를 최대로 하여 오디오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in particular, by checking the l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of the reproduced audio data and automatically changing the audio output mo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ound field. The effect is to maximize the audio so that you can hear it.

Claims (1)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경우 다양한 오디오 출력 모드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In an audio system capable of outputting audio in various audio output modes when the reproduced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의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의 상이 여부 비교 결과값을 입력받는 입력 단계(ST10)와;An input step (ST10) of receiving a comparison result value between the right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of the MPEG-decoded audio signal;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다름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스테레오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테레오 모드 제어 단계(ST11-ST12)와;A stereo mode control step (ST11-ST12) of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output an audio signal in a stereo mode when the input comparison result is a signal indic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write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상기 입력된 비교 결과값이 라이트 채널 신호와 래프트 채널 신호가 같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오디오 신호가 모노 모드로 출력되도록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모노 모드 제어 단계(ST1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 자동 변경 방법.If the input comparison resul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rite channel signal and the raft channel signal are the same, the audio output mode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mono mode control step (ST13) of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output the audio signal in the mono mode. How to change.
KR1019970052596A 1997-10-14 1997-10-14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KR199900317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596A KR19990031763A (en) 1997-10-14 1997-10-14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596A KR19990031763A (en) 1997-10-14 1997-10-14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763A true KR19990031763A (en) 1999-05-06

Family

ID=660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596A KR19990031763A (en) 1997-10-14 1997-10-14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7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06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from a record carrier
US20010024169A1 (en) Audio-decoder apparatus using a common circuit substrate for a plurality of channel models
KR19990031763A (en) How to automatically change the audio output mode
KR20020000727A (en)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672541B1 (en) External amplifier and method of eliminating the noise
JP3550110B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S6387659A (en) Digital audio channel selecting circuit
JP3294996B2 (en) Digital audio signal playback device
KR100264328B1 (en) Fade out/in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of a digital audio
JP3559838B2 (en) Audio equipment
KR100223627B1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 mode in a digital audio/video reproducer
KR200147770Y1 (en) Audio signal processor
KR100191314B1 (en) Reproducer of multi-channel audio signal
JP3552544B2 (en) Audio system
KR20030005377A (en) Method and means for receiving a digital transmiss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digital audio signals and for simultaneous reproduction of these signals as analog audio programmes
JPH10215182A (en) 1-bit digital signal transmitter
KR930007495Y1 (en) Surround broadcasting listening apparatus using remote controller
JP2868586B2 (en) Serial transmission method of audio signal and transmission device thereof
JPH08147884A (en) Voice output circuit
KR19980078110A (en) Sound card with wired and wireless output
KR980013507A (en) Audio signal switching device
KR19980047452A (en) Audi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optical disc player
JP2003259246A (en) Audio reproducing device
KR970012514A (en) CD OK playback device using double mecha
JP2003257126A (en) Audio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