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851A -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 Google Patents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851A
KR19990030851A KR1019970051289A KR19970051289A KR19990030851A KR 19990030851 A KR19990030851 A KR 19990030851A KR 1019970051289 A KR1019970051289 A KR 1019970051289A KR 19970051289 A KR19970051289 A KR 19970051289A KR 19990030851 A KR19990030851 A KR 1999003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display
monitor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범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851A/en
Publication of KR1999003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851A/en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소정 시스템에 구성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이때,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설치된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사용자가 소정 각도로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힌지구조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힌지 결합된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니터는 휴대용 컴퓨터와 탁상용 컴퓨터에 설치되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시스템에서 문서 작성을 하면서 CD-ROM을 이용하여 영화를 보는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모니터는 매우 편리하다. 이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는 모니터가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닫았을 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수납되는 소정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의 이동성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다.The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mprises a main display unit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display unit in various ways. However,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coupled to the main display unit in a hinge structure so that the user may set the display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the main display unit are hinged,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unit through a cable. The moni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very usefully used by being installed in portable computers and desktop computers. In particular, a monitor equipped with a secondary display unit is very convenient when using a multimedia function such as watching a movie using a CD-ROM while creating a document in a computer system. In this case,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closed i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computer in which the monitor on which the secondary display unit is installed is formed, a predetermined accommodating unit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accommodated may not limit the mobility of the portable computer.

Description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a monitor and a portable computer provided with the monitor)A monitor and a portable computer provided with the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 시스템에서 주 장치의 정보를 표시 화면에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nd a portable computer provided with a moni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nd a portable computer provided with a monitor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main device on an image display screen in an electronic system.

모니터(monitor)는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주 장치의 정보를 처리하는 각종 주변장치 중에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화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을 예로 들면, 주변기기는 주 장치인 개인용 컴퓨터에 들어 있는 각종 정보를 종이에 인쇄하는 프린터와 각종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 그리고,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하게 하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보조 기억장치와 각종 정보를 다른 곳의 컴퓨터와 전화선으로 연결하는데 쓰이는 모뎀과 같은 정보 변환장치와 같은 것들이 있다. 그 중 모니터는 가장 손쉽고 빠르게 주 장치의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는 편리한 장치로서 정보 시스템 중 항상 주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가장 보편적인 주변기기이다.A monitor refers to a device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an image on a display screen among various peripheral devices that process information of a main device in a system for handling information. As an example of a personal computer system, a peripheral device includes a printer for prin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 personal computer, a main device, a monitor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display screen, and a floppy disk drive and a hard disk for storing more information. There are auxiliary storage devices such as drives and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s such as modems that are used to connec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with computers and telephone lines. Among them, the monitor is the most convenient and quick way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main device and is the most common peripheral device that is always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of the information system.

보통의 시스템에서 모니터는 1대가 필요하나 주 장치의 처리 정보량에 따라 다수의 모니터도 필요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는 터미널이라고도 불려지며, 각기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터미널에는 주 장치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로직 회로와 같은 별도의 장치와 로직 회로를 구동하는 키보드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때로는 모니터와 구분하여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In a typical system, one monitor is required, but depending on the amount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main unit, many monitors are required. In this case, the monitor is also called a terminal, and in order to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the terminal often has a separate device such as a logic circui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ain device and a keyboard that drives the logic circuit. You may think of it separately from a monitor.

이와 같은 모니터의 종류에는 표시 색상에 따라 모노 모니터(mono monitor)와 컬러 모니터(color monitor)로 나누고 있으며, 표시 소자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 그리고, 전광 발광체 표시 소자 또는 플라즈마 표시 소자 등을 이용한 모니터들이 있다.These monitors are divided into mono monitors and color monitors according to the display colors. Cathode ray tube (CRT) monitors,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nitors, and all-optical illuminators are used depending on the display elements. There are monitors using display elements or plasma display elements.

이와 같은 모니터는 그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 많은 종류의 전자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모니터가 필수적인 주변장치로써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Such monitors are used in many kinds of electronic systems due to their variety. In particular, moni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puter systems as an essential peripheral.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종래 모니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오직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1 and 2, only one display unit is provided in a computer system having a conventional monitor which is generally used for personal use.

즉, 도 1에서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10)에는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각종 보조 기기가 설치되며, 키보드(16)가 윗면에 설치된 본체부(12)와 액정 디스플레이(18)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키보드(16)가 설치된 면으로 절첩되는 디스플레이부(1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탁상용 컴퓨터(20)는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각종 보조 기기가 설치된 본체부(22)와 CRT 디스플레이(28)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22)와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24) 그리고 상기 본체부(22)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키보드(26) 등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portable computer 10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 main board, various auxiliary devices, a main body 12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18 provided with a keyboard 16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t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14 which is hinged to the main body portion 12 is fold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keyboard 16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desktop computer 20 shown in FIG. 2 has a main board, a main body 22 and various CRT displays 28 provided with various auxiliary devices,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 through a cable. The display unit 24 is us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 and the keyboard 26 is connected via a cable.

이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컴퓨터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한 번에 다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능을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상당히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일례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 이용자는 문서 작성을 수행하면서 CD-ROM을 이용한 영화 또는 각종 정보를 사용하게 되지만, 종래 모니터는 오직 하나의 디스플레이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 화면에 여러 개의 작은 화면으로 나누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s such, a computer with a single display is inconvenient for a user when using a multimedia function that performs a plurality of functions at one time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For example, a computer user who mainly uses multimedia functions may use a movie or various information using a CD-ROM while writing a document. However, since a single monitor has only one display installed, many small screens are displayed on one screen. There is inconvenience to sha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때 다수 개의 화면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new type of monitor and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 monitor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a user uses a multimedia function.

도 1은 종래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 conventional monitor is installed and used;

도 2는 종래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탁상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sktop computer in which a conventional monitor is installed and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탁상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sktop computer on which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힌지부를 도시한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illustrating a hinge unit to which an auxiliary display unit is coupled to a main display unit;

도 6은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덮였을 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안착되도록 본체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display part is seat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the main display part is covered by the main body part;

도 7은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접힌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 접힌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mputer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display unit is folded in a main body unit while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folded in a main display uni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90 : 휴대용 컴퓨터 32,52,92 : 본체부30,90: portable computer 32,52,92: main body

34,58,94 : 키보드 36,54,96 : 메인 디스플레이부34,58,94: keyboard 36,54,96: main display unit

38,42,56,62,98,102 : 디스플레이 40,60,100 : 보조 디스플레이부38, 42, 56, 62, 98, 102: display 40, 60, 100: secondary display

50 : 탁상용 컴퓨터 70 : 제 1 힌지부50: desktop computer 70: first hinge portion

72,80 : 관통홀 74 : 케이블72, 80: through hole 74: cable

76 : 힌지축 78 : 제 2 힌지부76: hinge axis 78: second hinge portion

104 : 수납부104: stor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모니터는 소정 시스템에 구성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힌지부 및; 상기 제 1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nitor comprises a main display unit which is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system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 first hinge port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hing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portion,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cluding at least one auxiliary display portion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힌지부와 제 2 힌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각 면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hol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each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econdary display unit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the main display by a cable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secondary and secondary display un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는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윗면에 키보드가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윗면에 절첩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면으로 절첩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으로 펼쳤을 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ortable computer with a monitor is built-in main board, the main body is a key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 main display unit which is hing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l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is installed; At least one hinge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fold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is installed,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when unfolded to th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소정 깊이와 크기로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접히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덮였을 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d size, and when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is folded into the main display portion and the main display portion is cover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It is stored in payment.

본 발명의 주제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다수 개의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니터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주요 작업을 수행할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고, 다른 정보를 이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display units are installed. Such a monitor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main display unit when performing main tasks in a computer system using a multimedia function, and to use the secondary display unit as a display for using other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는 소정 시스템에 구성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The moni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system and installed on a main display unit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unit, and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secondary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displa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30)는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키보드(34)가 윗면에 설치된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일단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32)의 윗면에 절첩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8)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3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와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보조 디스플레이부(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40)의 디스플레이(42)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의 디스플레이(38)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compute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ard, and a hinge structure at one end of the main body 32 and the main body 32 having the keyboard 34 disposed thereon. The main display unit 36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2 is folded on the upper surface, the display 38 for display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36 is coupled to the main display unit 36 in a hinged structure,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40 is install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display 42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40 is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play 38 direc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3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탁상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sktop computer in which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컴퓨터(50)는 메인 보드가 내장되고, 각종 보조 기기가 설치된 본체부(52)와 상기 본체부(52)와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6)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54)의 측면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54)와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보조 디스플레이부(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60)의 디스플레이(62)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54)의 디스플레이(56)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desktop comput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ard embedded therei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52 and the main body 52 where various auxiliary devices are installed. The main display unit 54 is provided with a display 56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ddition, a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54 is coupled to the main display unit 54 in a hinge structure,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60 is install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display 62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60 is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display 56 of the main display unit 54.

이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모니터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주 작업을 위한 화면으로 사용하고,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작업을 하면서 이용하기를 원하는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는 문서 작성을 하면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는 CD-ROM을 이용한 사전을 이용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는 그래픽 작업을 하면서 보조 디스플레이부에서는 CD-ROM을 이용한 화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여러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computer system using a monitor having an auxiliary display unit, when the multimedia function is used, the main display unit may be used as a screen for the main task,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may be used as a screen desired to be used while working on the main display unit. That is, the document may be created in the main display unit while using the dictionary using the CD-ROM in the sub display unit, or the image information using the CD-ROM in the sub display unit while using the graphic work in the main display unit. Such a function can overcome a problem caused when the main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several screens.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는 힌지부를 도시한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unit illustrating a hinge unit to which the auxiliary display unit is coupled to the main display unit.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를 가장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은 메인 디스플레이부(36,54)에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를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method of most conveniently using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display units 40 and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inge-couple the auxiliary display units 40 and 60 to the main display units 36 and 54. To use.

이와 같은 메인 디스플레이부(36,5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의 힌지 결합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54)의 일면에 각각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힌지부(70)와 상기 제 1 힌지부(70)와 힌지결합되도록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된 제 2 힌지부(78)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부(70)와 제 2 힌지부(78)에 결합되는 힌지축(7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The hinge coupling of the main display units 36 and 54 and the sub display units 40 and 60 may include a first hinge unit 70 protruding to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s 36 and 54 by a predetermined length. A second hinge portion 78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s 40 and 60 so as to be hing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70, and the first hinge portion 70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78 It is made by the hinge shaft 76 coupled to.

한편,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법은 상기 제 1 힌지부(70)와 제 2 힌지부(78)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36,54)와 보조 디스플레이부(40,60)의 각 면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관통홀(72,80)을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블(7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display parts 40 and 60 to the main display parts 36 and 54 may include the main display in which the first hinge part 70 and the second hinge part 78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made by a cable 74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72, 80)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each side of the portion (36, 54) and the sub display (40, 60).

도 6은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덮였을 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안착되도록 본체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휴대용 컴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접힌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본체부에 접힌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puter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display part is seat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the main display part is covered by the main body part. FIG. 7 is a main display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part is folded in the main display part.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computer which shows the state folded in the main-body part.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90)는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윗면에 키보드(94)가 설치된 본체부(92)와 상기 본체부(92)의 일면에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부(92)의 윗면에 절첩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98)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96) 그리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의 일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의 디스플레이(98)가 설치된 면으로 절첩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의 측면으로 펼쳤을 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2)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의 디스플레이(98)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1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100)는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부의 형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portable computer 9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ard in which a main board is installed, and a hing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92 and the main body unit 92 having a keyboard 94 installed thereon. The main display unit 96 is coupled to be fol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92, the display 98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96, the main display The display 98 of the main display unit 96 is folded to a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98 of the unit 96 is installed, and a display 102 for displaying information when the display unit 98 is extended to th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96 is displayed. It consists of an auxiliary display unit 100 facing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a plurality of auxiliary display units 100 may be installed, and the shape of the hinge unit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한편, 상기 휴대용 컴퓨터(90)는 상기 본체부(92)의 일면에 소정 깊이와 크기로 수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부(104)는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에 접히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가 상기 본체부(92)에 덮였을 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수납부(104)에 수납된다.In the portable computer 90, an accommodating part 104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92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size. The accommodating part 104 is the auxiliary display part 100 when the auxiliary display part 100 is folded into the main display part 96 and the main display part 96 is covered by the main body part 92. 100 is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04.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90)를 이동 또는 휴대시 불편이 없도록 한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96)를 상기 본체부(92)에 닫았을 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1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 또는 휴대시 불편함을 없애는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prevents inconvenience when moving or carrying the portable computer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FIG. 7, when the main display unit 96 is closed to the main body unit 92, the auxiliary display unit 100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to eliminate inconvenience when moving or carrying. will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때 화면 분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의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하면서 CD-ROM을 이용하여 영화를 볼 때 메인 디스플레이부에서 문서 작성을 하고,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영화를 감상할 수 있으므로 한 디스플레이에서 여러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모니터가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에 메인 디스플레이부를 닫았을 때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수납되는 소정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의 이동성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uxiliary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vide the screen when using the multimedia function. Therefore, the user can widen the screen space so that the multimedia function can be easily used. For example, when a user writes a document while viewing a movie using a CD-ROM, the user can create a document on the main display unit and watch a movie through the secondary display unit, so it is inconvenient to divide the screen into multiple screens.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when the main display portion is closed i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portable computer in which the monitor provided with the auxiliary display portion is used, the mobility of the portable computer is not limited and thus it can be used very conveniently.

Claims (4)

소정 시스템에 구성되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와;A main display unit configured in a predetermined system and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힌지부 및;A first hinge portion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portion; 상기 제 1 힌지부와 힌지결합되는 제 2 힌지부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A second hinge portion hing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portion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monitor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display portion provid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힌지부와 제 2 힌지부가 결합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각 면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to which the first hinge unit and the second hinge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ub display unit are connected by cables connec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A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메인보드가 내장되고, 윗면에 키보드가 설치된 본체부와;A main body having a main board installed therein and having a key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윗면에 절첩되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A main display unit which is hing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ol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is installe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면으로 절첩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으로 펼쳤을 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At least one hinge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display unit, fold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is installed,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when unfolded to the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play of the main display unit. Portable computer with a monitor including a secondary display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소정 깊이와 크기로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접히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부에 덮였을 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One side of the main body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size, wherein the auxiliary display part is folded into the main display part and the auxiliary display par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main display part is covered by the main part. A portable computer equipped with a monitor.
KR1019970051289A 1997-10-07 1997-10-07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KR199900308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89A KR19990030851A (en) 1997-10-07 1997-10-07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89A KR19990030851A (en) 1997-10-07 1997-10-07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851A true KR19990030851A (en) 1999-05-06

Family

ID=6604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289A KR19990030851A (en) 1997-10-07 1997-10-07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85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696A (en) * 2000-03-25 2000-07-05 변충룡 multi-purpose multi-functional supplementary screen system
KR20020006106A (en) * 2000-07-11 2002-01-19 박규진 Apparatus and method for on-line game with multi-display control
US7231529B2 (en) 2003-07-01 2007-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o an auxiliary system comprising a display part and a wireless sending/receiving part connected to a portable computer through a mounting part
KR100731587B1 (en) * 2005-11-10 2007-06-22 주식회사 토비스 Display apparatus having sub monitor
KR100761953B1 (en) * 2001-02-07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System
KR101440315B1 (en) * 2012-11-05 2014-10-02 (주)와이에스테크 Notebook having submonitor and the notebook's display control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696A (en) * 2000-03-25 2000-07-05 변충룡 multi-purpose multi-functional supplementary screen system
KR20020006106A (en) * 2000-07-11 2002-01-19 박규진 Apparatus and method for on-line game with multi-display control
KR100761953B1 (en) * 2001-02-07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System
US7231529B2 (en) 2003-07-01 2007-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o an auxiliary system comprising a display part and a wireless sending/receiving part connected to a portable computer through a mounting part
KR100731587B1 (en) * 2005-11-10 2007-06-22 주식회사 토비스 Display apparatus having sub monitor
KR101440315B1 (en) * 2012-11-05 2014-10-02 (주)와이에스테크 Notebook having submonitor and the notebook's display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7961B2 (en) Portable computer
US6144358A (en)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US5594620A (en) Secondary display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clamping devices for mounting on a computer monitor
JP3782433B2 (en) Display device
US6064373A (en)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KR100291367B1 (en) Book type information terminal
US7221562B2 (en) Portable computer
EP1329797B1 (en) Portable computer
KR100284300B1 (en) Portable computer
US6912122B2 (en) Rotatable display fixing module
US20060067036A1 (en) Display
US20060114234A1 (en) Keyboard-mouse-video switch with a digital visual interface
US20040196209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n add-o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module
KR19990030851A (en) Monitor and portable computer with monitor
JPH05298257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400448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tiers
KR20020037157A (en) Rotation Monitor and there's display system
KR19990017510A (en) Detachable Laptop Computer
KR200182804Y1 (en) A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JPH0920415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KR100434048B1 (en) Lcd module connecting device of potable electronic system
KR100281532B1 (en) Auxiliary Equipment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Computers
KR200157957Y1 (en) Tft-lcd module structure
KR200216164Y1 (en) The computer moniter
JP2005108038A (en)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