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002A -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002A
KR19990028002A KR1019970050541A KR19970050541A KR19990028002A KR 19990028002 A KR19990028002 A KR 19990028002A KR 1019970050541 A KR1019970050541 A KR 1019970050541A KR 19970050541 A KR19970050541 A KR 19970050541A KR 19990028002 A KR19990028002 A KR 1999002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ark
watermark information
frames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47249B1 (en
Inventor
문성진
정태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249B1/en
Publication of KR1999002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2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Abstract

본 발명은 B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디지탈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도록 한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를 구비하고,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들을 지그재그 스캔하여 런과 레벨로 분류함은 물론 EOB를 검출한다. 어드레스 발생기는 EOB의 위치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고, 워터마크 롬은 B프레임일 경우에만 동작하여 저장된 복수개의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중 상기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정보를 독출한다. 가산기는 지그재그 스캔된 영상데이타에 워터마크 롬에서 독출한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고, 지그재그 스캔된 I 및 P프레임과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B프레임은 다중화되어 가변길이 부호화된다. 따라서, 부호화 정보량의 증가를 억제하여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워터마크 정보가 저작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in which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only for B frames to prevent illegal copying of digital work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watermark inserter and zigzag scan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into run and level as well as detect the EOB. The address generator generates different address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OB, and the watermark ROM operates only in the case of B frames to read th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ddress from among the stored plurality of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The adder inserts the watermark information read from the watermark ROM into the zigzag scanned image data, and the zigzag scanned I and P frames and the B frame in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are multiplexed and variable length encoded.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can be minimized b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encoded information, and watermark information is not easily removed by users other than the author.

Description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Video data copy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디지탈 저작물의 불법 복제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상 데이타에 대해 워터마크(Watermark) 정보를 삽입할 때 화질의 열화를 최소로 하면서도 저작자 이외의 사용자는 워터마크 정보를 손쉽게 제거할 수 없도록 한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evention of illegal copying of digital works. In particular, when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moving image data, the image quality can be minimized while users other than the author cannot easily remove the watermark information. A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일반적으로 고선명 텔레비젼(HD-TV), 디지탈 VTR 및 캠코더, 멀티미디어(Multimedia), 영상 전화기등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영상과 음성을 디지탈 신호로 부호화한 후 전송하거나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이를 다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디지탈 영상/음향 서비스를 위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고, 기존의 텔레비젼과 같은 일방향의 정보 전달 뿐만 아니라 통신채널을 통한 쌍방향의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in systems such as high-definition television (HD-TV), digital VTR and camcorder, multimedia, video telephone, etc., video and audio are encoded into digital signals and then transmitted or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and then decoded and played back. The way to do it is mainly use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digital video / audio servic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and efforts have been made for various services in two directions through communication channels as well as one-way information transmission such as conventional television.

예를 들면, 고화질 텔레비젼, 주문형 비디오/오디오/게임, 영상전화, 영상회의, 홈뱅킹, 홈쇼핑, 원격진료, 전자데이타 교환, 전자거래, 데이타베이스, 원격강의, 재택근무 등이 그것이다. 이때 정보는 문자, 도형, 음성, 음향, 정지영상, 동영상, 일반데이타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주로 영상과 음향을 중심으로 결합된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전송된다. 이들을 단순 변조기술로 처리할 경우 데이타량이 과다하게 되므로 저장이나 전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제한된 통신채널을 이용하므로 데이타의 전송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고압축율, 즉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Examples include high-definition television, video / audio / games on demand, video telephony, video conferencing, home banking, home shopping, telemedicine, electronic data exchange, electronic transactions, databases, remote lectures, and teleworking.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has various forms such as text, figure, voice, sound, still image, video, and general data, and is mainly stored or transmit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combined mainly with image and sound. If they are processed by a simple modulation technique, the amount of data becomes excessive, which causes a lot of difficulties in storage or transmission. In particular, the use of a limited communication channel requires a high compression rate, that is, a technique for effectively compressing data in order to maximiz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도 1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에서 권고한 동화상 압축 알고리즘을 채용한 종래의 영상데이타 부호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부호 1은 제 1프레임(Frame) 메모리로, 소정크기의 블럭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여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제 1프레임 메모리(1)의 출력단에는 프레임/필드(Field) 메모리(2)가 연결되어, 프레임 단위로 입력된 영상데이타를 다시 우수필드와 기수필드로 분리하게 된다. 프레임/필드 메모리(2)의 출력단에는 감산기(3)와 운동 예측기(13)와 활동도(Activity) 계산기(14)가 연결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deo data encoding apparatus employing a moving picture compression algorithm recommended by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MPEG2). Reference numeral 1 is a first frame memory, and the screen data is configured by storing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block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units of frames. A frame / field memory 2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frame memory 1 to separate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frames into even field and odd fiel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rame / field memory 2 is connected to a subtractor 3, an exercise predictor 13 and an activity calculator 14.

감산기(3)는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에서 적응 예측기(12)로부터 궤환된 데이타를 감산하여 오차데이타를 출력한다. 감산기(3)의 출력단에 연결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부(4)는 입력된 오차데이타를 이산여현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타로 변환시킨다. DCT부(4)에서 출력된 변환계수들은 양자화기(5)로 입력되어 소정의 양자화 가중 매트릭스에 의해 양자화되는데, 이때 양자화기(5)는 비율(Rate) 제어기(15)로부터 양자화 레벨신호를 공급받고, 이 신호에 따라 변환계수들을 일정레벨의 대표값들로 바꾸어준다. 양자화기(5)의 출력단에는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와 역양자화기(8)가 연결된다.The subtractor 3 subtracts the data fed back from the adaptive predictor 12 from the image data input in field units and outputs error data. The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unit 4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3 converts the input error data into discrete cosine transformed data into frequency domain data. The transform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DCT unit 4 are input to the quantizer 5 and quantized by a predetermined quantization weighting matrix, where the quantizer 5 supplies the quantization level signal from the rate controller 15. According to this signal, the conversion coefficients are converted into representative values of a predetermined level. A variable length encoder and multiplexer 6 and an inverse quantizer 8 ar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quantizer 5.

통상, 화면간에는 유사한 부분이 많으므로 약간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그 움직임을 추정해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이 벡터를 이용해 데이타를 보상해주면 인접한 화면간의 차신호가 매우 작아져 전송데이타를 더욱 압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역양자화기(8)는 입력된 양자화 계수에 대해 전술된 양자화에 대응하는 역양자화를 실행한다. 역양자화기(8)의 출력단에 연결된 역DCT부(9)는 역양자화된 데이타를 역 이산여현 변환하여 공간영역의 영상데이타로 변환하게 된다. 역DCT부(9)에서 출력된 공간영역의 영상데이타는 가산기(10)로 입력되고, 여기서 적응 예측기(12)로부터 궤환된 데이타와 합쳐져 제 2프레임 메모리(11)로 인가된다.Normally, there are many similar parts between screens, so if there is a slight movement, the motion vector is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motion, and if the data is compensated using this vector, the difference signal between adjacent screens is very small, so that the transmission data can be further compressed. have. In order to perform such motion compensation, the inverse quantizer 8 performs inverse quantization on the input quantization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quantization described above. The inverse DCT unit 9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se quantizer 8 converts the inverse quantized data into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s into image data of the spatial domain. The image data of the spatial region output from the inverse DCT unit 9 is input to the adder 10, where it is combined with the data fed back from the adaptive predictor 12 and applied to the second frame memory 11.

제 2프레임 메모리(11)는 입력된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여 화면을 재구성하는데, 이 제 2프레임 메모리(11)는 적응 예측기(12)에 연결되고, 아울러 적응 예측기(12)를 통해 운동 예측기(13)에도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필드 메모리(2)의 출력단에 연결된 운동 예측기(13)는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데이타를 제 2프레임 메모리(11)에 저장된 데이타로부터 찾아 움직임 벡터를 산출한다. 이 움직임 벡터는 복호화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로 전송됨과 아울러 적응 예측기(12)로 전송된다. 적응 예측기(12)는 제 2프레임 메모리(11)의 저장데이타에서 운동 예측기(13)의 움직임 벡터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독출하여 상기 감산기(3)와 가산기(10)로 공급한다.The second frame memory 11 reconstructs the screen by storing the input data in units of frames. The second frame memory 11 is connected to the adaptive predictor 12, and the motion predictor through the adaptive predictor 12. It is also connected to (13). The motion predictor 13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rame / field memory 2 finds data of a pattern most similar to the image data input in units of fields from the data stored in the second frame memory 11 and calculates a motion vector. This motion vector is transmitted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and multiplexer 6 and to the adaptive predictor 12 for use in the decoding apparatus. The adaptive predictor 12 reads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vector of the motion predictor 13 from the stored data of the second frame memory 11 and supplies the data to the subtractor 3 and the adder 10.

상기 양자화기(5)의 출력단에 연결된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는 입력된 양자화 계수들을 가변길이로 부호화하여 압축하고, 이때 대표값들의 통계적 특성을 살려 부호화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타를 압축시킨다. 이렇게 압축된 데이타는 다른 입력데이타들, 즉 비율 제어기(15)로부터 입력된 양자화 레벨신호와 운동 예측기(13)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벡터들과 합쳐져 다중화된다.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에서 출력된 비트열은 불규칙한 상태로 버퍼(7)로 인가되고, 버퍼(7)는 부호화된 상태로 입력되는 비트열을 저장했다가 이를 일정한 속도로 수신측으로 전송하거나 기록매체에 저장한다.The variable length encoder and multiplexer 6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quantizer 5 encodes and compresses the input quantization coefficients by variable length, and compresses the data transmitted by encod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values. The compressed data is multiplexed with other input data, that is, the quantization level signal input from the ratio controller 15 and the motion vectors input from the motion predictor 13. The bit string output from the variable length encoding and multiplexer 6 is applied to the buffer 7 in an irregular state, and the buffer 7 stores the bit string input in the encoded state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ing side at a constant speed. Or store it on a record carrier.

또한 버퍼(7)에서 출력된 비트열은 비율 제어기(15)로 궤환되어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하지 않도록 입력데이타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비율 제어기(15)와 프레임/필드 메모리(2) 사이에는 활동도 계산기(14)가 연결되는데, 프레임/필드 메모리(2)의 출력단에 연결된 활동도 계산기(14)는 필드단위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에 대해 정규화된 활동도를 구한다. 활동도 계산기(14)의 출력단에 연결된 비율 제어기(15)는 버퍼(7)로부터 궤환된 비트열을 이용하여 버퍼의 충만정도를 계산하고 이 값과 활동도를 이용하여 양자화 레벨을 계산한다. 비율 제어기(15)에서 출력된 양자화 레벨신호는 양자화기(5)로 입력되고, 아울러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로도 입력되어 부호화된 데이타 및 움직임 벡터와 다중화된다.In addition, the bit string output from the buffer 7 is fed back to the ratio controller 15 and used to adjust the input data amount so that no overflow or underflow occurs. An activity calculator 14 is connected between the ratio controller 15 and the frame / field memory 2, and the activity calculator 14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rame / field memory 2 is inputted in field units. Find the normalized activity for. The ratio controller 15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ctivity calculator 14 calculates the degree of fullness of the buffer using the bit stream fed back from the buffer 7 and calculates the quantization level using this value and the activity. The quantization level signal output from the ratio controller 15 is input to the quantizer 5, and also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and multiplexer 6 to be multiplexed with the encoded data and the motion vector.

상기와 같은 동화상 부호화 방식의 연구,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영상/음향기기의 디지탈화 및 인터넷의 폭발적인 보급이 이루어지고, 디지탈 저작물을 유통시키는 방법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를 사용하면 누구나 손쉽게 디지탈 저작물을 복제, 편집할 수 있으므로 불법 복제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종래에는 디지탈 영상/음향 데이타의 불법 복제에 대한 방지책으로 다음의 두가지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schemes become more active, digitalization of video / audio devices and the explosive spread of the Internet are increasing, and methods of distributing digital works are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the use of computers allows anyone to easily copy and edit digital works, so the problem of illegal copying is highlighted.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following two technologies are in the spotligh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illegal copying of digital video / audio data.

첫번째 방식은 암호화, 스크램블(Scramble)화를 통해 복제를 방지하는 기술로, 정상적으로 구입한 영상/음향 저작물에 대해서만 구동이 가능한 암호 해독 정보 및 디스크램블(Descramble) 정보를 알려주어 디지탈 영상/음향 데이타의 복제를 원천적으로 금지하게 된다. 두번째 방식은 디지탈 정보의 불법적인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기 위한 디지탈 워터마크 기술로, 영상/음향 content 데이타에 ID나 로고등을 잡음의 형태로 삽입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법 복제 행위를 자제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method is to prevent duplication through encryption and scramble, and to inform the decryption information and the descramble information that can only be operated on the normally purchased video / audio works, and thus the digital video / sound data Reproduction is fundamentally prohibited. The second method is digital watermark technology to prohibit illegal commercial use of digital information, and inserts ID or logo into the video / audio content data in the form of noise so that the user refrains from illegal copying.

그러나 암호화 및 스크램블에 의한 첫번째 방식은 비트(Bit) 단위로 복제하거나 키(Key) 데이타가 유출될 경우에는 쉽게 복제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화상 데이타에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는 두번째 방식은 ID나 로고를 잡음의 형태로 삽입하므로 부호화 효율을 감소시켜 화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irst method by encryption and scramble has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replicated in the case of bit-by-bit or key data leakage. In addition, the second method of inserting watermark information into moving image data has a problem in that an ID or a logo is inserted in the form of noise, thereby reducing coding efficiency and thus degrading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B(Bidirection) 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부호화 정보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watermark information only for B (Bidirection) frames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ncoded information and to minimiz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t is to provide a data copy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OB(End of Block)의 위치에 따라 다른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원화상에 골고루 섞음으로써 저작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한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that is inserted by different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nd of Block (EOB) and mixed evenly on the original picture so that it is not easily removed by users other than the author. .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잡음형태의 워터마크 정보를 이산여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삽입하여 하드웨어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ing picture data copy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hardware burden by inserting watermark information in the form of noise in a discrete cosine transformed frequency domain.

도 1은 MPEG2에서 권고한 동화상 압축 알고리즘을 채용한 종래의 영상데이타 부호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deo data encoding apparatus employing a moving picture compression algorithm recommended in MPEG2.

도 2는 본 발명의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동화상 데이타 부호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ving picture data encoding device including a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of FIG.

도 4는 MPEG2 동화상 부호화 방식에서의 화상 구조도.4 is a picture structure diagram of an MPEG2 video encoding syste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양자화기, 6 :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5: quantizer, 6: variable length coding and multiplexer,

8 : 역양자화기, 16 :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8: inverse quantizer, 16: digital watermark inserter,

17 : 지그재그 스캔부, 18 : 스위칭부,17: zigzag scanning unit, 18: switching unit,

19 : 어드레스 발생기, 20 : 워터마크 롬,19: address generator, 20: watermark ROM,

21 : 가산기, 22 : 다중화기,21: adder, 22: multiplex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는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의 주파수 분포를 표현하는 EOB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워터마크 정보를 선택하고 B타입의 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한 양자화 계수들을 가변길이 부호화하기 위해 출력하는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를 구비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different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OB represen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d watermarks only the B-type frame. A digital watermark inserter for outputting the quantized coefficients into which the information is inserted for variable length coding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도 2는 MPEG2에서 권고한 동화상 데이타 부호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갖는 블럭들은 전술된 도 1의 블럭들과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ving picture data encoding apparatus recommended in MPEG2, and includes the moving picture data copy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block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blocks of FIG. 1,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특징부는 양자화기(5)의 출력단에 연결된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로, 이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의 출력단에는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와 역양자화기(8)가 연결되어 있다.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는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의 주파수 분포를 표현하는 EOB(End of Block)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워터마크 정보를 선택하여 삽입한다. 이때 종래와 같이 I(Intra), P(Predictive), B(Bidirectional)타입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B타입의 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한다. 워터마크 정보가 다중화된 양자화 계수들은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로 입력되어 부호화되고, 아울러 역양자화기(8)로도 입력되어 역양자화가 행해진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quantizer 5, wherein the output of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has a variable length encoder and multiplexer 6 and an inverse quantizer ( 8) is connected.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selects and inserts different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nd of block (EOB) represen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t this time,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only for the B-type frame, rather than the watermark information for all the frames of the I (Intra), P (Predictive), and B (Bidirectional) type.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in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multiplexed are input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and multiplexer 6 and encoded, and also input to the inverse quantizer 8 to perform inverse quantization.

도 3은 상기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부호 17은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부로서, 양자화기(5)로부터 입력된 양자화 계수들을 지그재그 스캔하여 런(Run)과 레벨(Level, Amplitude)로 분류하고, 블럭의 끝에 이르면 EOB에 해당하는 부호를 검출한다. 지그재그 스캔된 영상데이타는 스위칭부(18)로 입력되고, 스위칭부(18)는 프레임 타입에 따라 절환되어 입력된 데이타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입력데이타에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지그재그 스캔부(17)에서 출력된 부호(EOB)는 어드레스(Address) 발생기(19)로 입력되고, 어드레스 발생기(19)는 입력된 부호(EOB)의 위치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워터마크 롬(Watermark Rom, 20)으로 출력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As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 17 is a zigzag scan unit, which classifies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inputted from the quantizer 5 into run and level and amplitude, and corresponds to the EOB when the end of the block is reached. Detect the code to be The zigzag scanned image data is input to the switching unit 18, and the switching unit 18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frame type to select whether to output the input data as it is or to insert the watermark information into the input data and output the same. Done. The sign (EOB) output from the zigzag scan section 17 is input to the address generator 19, and the address generator 19 generates a different addr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 (EOB) to generate a watermark ROM. Output as (Watermark Rom, 20).

워터마크 롬(20)은 복수개의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를 저장하고, 이 정보중 입력 어드레스가 지정한 워터마크 정보를 읽어 가산기(21)로 출력한다. 이때 워터마크 롬(20)의 단자(CS)에는 프레임 타입을 나타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워터마크 롬(20)은 이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B타입의 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스위칭부(18)의 출력단에 연결된 가산기(21)는 지그재그 스캔된 영상데이타에 워터마크 롬(20)에서 출력된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다중화기(22)로 출력한다. 다중화기(22)는 지그재그 스캔된 I, P타입의 영상데이타와 가산기(21)에서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B타입의 영상데이타를 다중화하여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와 역양자화기(8)로 출력하게 된다.The watermark ROM 20 stores a plurality of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and reads out watermark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input address from th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watermark information to the adder 21. At this time,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frame type is input to the terminal CS of the watermark ROM 20, and the watermark ROM 20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read watermark information only for the B type frame. . The adder 2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8 inserts the watermark information output from the watermark ROM 20 into the zigzag scanned image data and outputs the watermark information to the multiplexer 22. The multiplexer 22 multiplexes the zigzag scanned I, P type image data and the B type image data in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in the adder 21, and then the variable length encoder and multiplexer 6 and the dequantizer ( 8).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의 동작을 도 3의 블럭도 및 도 4의 화상 구조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3 and the image structure diagram of FIG.

도 3에서 지그재그 스캔부(17)로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는 DCT부(4)에 의해 이산여현 변환되어 주파수 영역의 데이타로 변환된 후 양자화기(5)에서 소정의 양자화 가중 매트릭스에 의해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이다. 지그재그 스캔부(17)에서 스캔된 양자화 계수들은 런과 레벨로 분류되어 스위칭부(18)로 출력된다. 스위칭부(18)와 다중화기(22)를 거친 데이타는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로 입력되고, 여기서 런과 레벨을 묶어 하나의 부호로 만드는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때 소정크기의 블럭단위로 부호화되는 영상데이타는 지그재그 스캔해 나가는 과정에서 진폭이 없고 런만 계속되다가 블럭의 끝에 이르게 되면 EOB에 해당하는 부호로 부호화된다.In FIG. 3, the image data input to the zigzag scan unit 17 is discrete cosine transformed by the DCT unit 4 to be converted into data in a frequency domain, and then quantized by a predetermined quantization weighting matrix in the quantizer 5. Coefficients.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scanned by the zigzag scan unit 17 are classified into run and level and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8. The data pass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18 and the multiplexer 22 is input to the variable length encoding and multiplexer 6, where encoding is performed to tie the run and the level into one code. At this time, the image data encoded in the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has no amplitude in the zigzag scanning process and continues with the run, and is encoded with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OB when the end of the block is reached.

즉, 모든 블럭단위로 부호화된 영상데이타는 설정된 부호(EOB)로 끝나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호(EOB)로 끝나지 않으면 그 데이타의 부호화는 잘못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지그재그 스캔부(17)에서는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의 주파수 분포를 표현하는 EOB에 해당하는 부호를 검출하여 어드레스 발생기(19)로 출력한다. 그러면 어드레스 발생기(19)는 입력된 부호(EOB)의 위치에 따라 워터마크 롬(20)에 저장된 복수개의 워터마크 정보중 하나를 독출하도록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워터마크 롬(20)에는 이산여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삽입할 수 있는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8×8 블럭단위로 영상데이타를 부호화할 경우에는 64개의 서로 다른 워터마크 정보가 저장된다.That is, the video data encoded in every block unit ends with the set code (EOB). If the code does not end with this code (EOB), the encoding of the data should be regarded as wrong. The zigzag scan unit 17 detect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OB represen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d outputs it to the address generator 19. The address generator 19 then generates an address for designating to read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mark information stored in the watermark ROM 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code EOB. The watermark ROM 20 stores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that can be inserted in a discrete cosine transformed frequency domain. For example, when encoding image data in 8 × 8 block units, 64 different watermarks are included. The information is stored.

도 4는 MPEG2 동화상 부호화 방식에서의 화상 구조도이다. 이 구조도에 따르면, 영상 프레임은 영상정보의 공간적 잉여정보를 줄이는 I타입(Intraframe)과, 전방 예측(Forward Prediction)을 통해 프레임간의 상관관계를 줄이는 P타입(Predicted frame)과, 양방향 예측(Bidirectional Prediction)을 통해 프레임간의 상관관계를 줄이는 B타입(Interpolated frame)으로 구분된다. MPEG2 부호화 방식에서는 프레임을 상기 3가지 타입으로 구분하고, I, B, B, P, B, B, …, I의 순서로 부호화한다. 이때 처음 I타입에서 그 다음 I타입 바로 전까지의 프레임을 합쳐 GOP라고 부르며, GOP는 통상 12∼15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4 is a picture structure diagram in the MPEG2 video encoding system. According to this structure diagram, an image frame is an I-type (Intraframe) that reduces spatial surplus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 P-type (Predicted frame) that reduces the correlation between frames through Forward Prediction, and Bidirectional Prediction ) Is divided into B type (Interpolated frame) which reduces the correlation between frames. In the MPEG2 coding scheme, frames are classified into the above three types, and I, B, B, P, B, B,... , In order of I. In this case, the frames from the first I type to just before the next I type are called GOPs, and the GOP is usually composed of 12 to 15 frames.

이러한 동화상을 복호화할 때 P프레임은 복호화된 선행 I프레임이 있어야만 움직임 보상을 통해 완전히 복원할 수 있다. 또한 B프레임은 부호화시 B프레임의 예측에 사용된 복호화된 I 및 P프레임이 있어야만 움직임 복원을 통해 복호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16)에서는 B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잡음의 형태로 삽입되는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에 의한 화질 저하와 부호화시의 발생 정보량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도 3의 워터마크 롬(20)에 프레임 타입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I 및 P프레임에 대해서는 워터마크 롬(20)이 동작하지 않고 B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독출하도록 하였다.When decoding such a moving picture, a P frame can be completely reconstructed through motion compensation only when there is a decoded preceding I frame. In addition, a B frame can be decoded through motion recovery only when there are decoded I and P frames used for prediction of the B frame. In 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16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only for B frames to suppress the degradation of the image quality due to the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inserted in the form of noise and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encoding. To this end,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frame type is input to the watermark ROM 20 of FIG. 3 so that the watermark ROM 20 does not operate for I and P frames, and watermark information is read only for B frames.

부호(EOB)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출력되는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는 가산기(21)로 입력되고, 스위칭부(18)를 거친 지그재그 스캔부(17)의 출력데이타와 가산된 상태로 다중화기(22)로 전송된다. 이때 스위칭부(18)는 워터마크 롬(20)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타입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의해 절환된다. B프레임일 경우에는 단자(a)로 절환되어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가산기(21)의 출력데이타가 다중화기(22)로 입력되도록 한다. I 및 P프레임일 경우에는 단자(b)로 절환되어 지그재그 스캔부(17)의 출력데이타가 그대로 다중화기(22)로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데이타들은 다중화기(22)에서 다중화된 상태로 가변길이 부호화 및 다중화기(6)와 역양자화기(8)로 전송된다.The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outp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ign EOB is input to the adder 21, and the multiplexer 22 is added with the output data of the zigzag scan unit 17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18. Is sent to.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18 is switched by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the frame type like the watermark ROM 20. In the case of the B frame, the output data of the adder 21 in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is switched to the terminal a so as to be input to the multiplexer 22. In the case of I and P frames, it is switched to the terminal b so that the output data of the zigzag scan unit 17 is input to the multiplexer 22 as it is. The input data are transmitted to the variable length encoder and the multiplexer 6 and the dequantizer 8 in a multiplexed state in the multiplexer 22.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잡음형태의 워터마크 정보를 이산여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B프레임의 동화상 데이타에 대해서만 삽입하므로 하드웨어의 부담을 줄이고, 부호화 정보량의 증가를 억제하며,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EOB의 위치에 따라 다른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여 원화상의 주파수 대역에 골고루 섞으므로 저작자 이외의 사용자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only the watermark information in the form of noise into the moving picture data of the B frame in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d frequency domain,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hardwar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ncoded information, and minimizing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It can be effective. In addition, since different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OB and mixed evenly in the frequency band of the original image, it is not easily removed by users other than the author.

Claims (5)

소정크기의 블럭단위의 영상데이타를 이산여현 변환, 양자화, 가변길이 부호화,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등의 과정을 거쳐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encoding the image data of the block unit of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process such as discrete cosine transform, quantization, variable length coding, motion prediction and compensation,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의 주파수 분포를 표현하는 EOB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워터마크 정보를 선택하고 B타입의 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한 양자화 계수들을 가변길이 부호화하기 위해 출력하는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A digital watermark that selects different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OB represen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d outputs the variable length coding of the quantization coefficients in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only for B-type frames. Moving picture data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n inser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워터마크 삽입기는The digital watermark inserter of claim 1, wherein 양자화된 이산여현 변환계수들을 지그재그 스캔하여 런과 레벨로 분류하고 블럭의 끝에 이르면 EOB에 해당하는 부호를 검출하는 지그재그 스캔부와; 프레임 타입에 따라 절환되어 지그재그 스캔된 영상데이타를 그대로 출력할 것인지,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스위칭부;A zigzag scan unit which classifies the quantiz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into run and level and detect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EOB when the end of the block is reached; A switching unit which selects whether to output zigzag scanned image data as it is or to insert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rame type; 지그재그 스캔부에서 출력된 부호의 위치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기;An address generator for generating different address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de output from the zigzag scan unit; 프레임 타입에 따라 동작하여 저장된 복수개의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중 어드레스 발생기의 어드레스가 지정하는 워터마크 정보를 읽어 출력하는 워터마크 롬;A watermark ROM that reads and outputs watermark information designated by an address of an address generator among a plurality of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stored in operation according to a frame type; 지그재그 스캔된 후 스위칭부를 거친 영상데이타에 워터마크 롬에서 독출한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하는 가산기; 및An adder for inserting the watermark information read from the watermark ROM into the image data after the zigzag scan is pass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And 지그재그 스캔된 후 스위칭부를 거친 I 및 P타입의 영상데이타와 가산기에서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B타입의 영상데이타를 다중화하는 다중화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And a multiplexer for multiplexing the I- and P-type image data after the zigzag scan and the switching unit, and the B-type image data in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in the add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I 및 P프레임이 입력될 경우 입력데이타가 그대로 다중화되도록 절환하고 B프레임이 입력될 경우에는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중화되도록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3. The moving picture dat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witching unit switches so that input data is multiplexed as it is when I and P frames are input, and is multiplexed when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when a B frame is input. Copy prot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 롬은 이산여현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서 삽입할 수 있는 디지탈 워터마크 정보를 부호화하는 블럭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갯수만큼 저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watermark ROM stores the number of digital watermark information that can be inserted in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d frequency domain according to the size of a block for encoding the watermark RO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 롬은 프레임 타입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I 및 P프레임에 대해서는 동작하지 않고 B프레임에 대해서만 워터마크 정보를 독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데이타 복제 방지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watermark ROM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dicating a frame type so that watermark information is read only for B frames without operating for I and P frames. .
KR1019970050541A 1997-09-30 1997-09-30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KR100247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41A KR100247249B1 (en) 1997-09-30 1997-09-30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41A KR100247249B1 (en) 1997-09-30 1997-09-30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02A true KR19990028002A (en) 1999-04-15
KR100247249B1 KR100247249B1 (en) 2000-03-15

Family

ID=1952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541A KR100247249B1 (en) 1997-09-30 1997-09-30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2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251B1 (en) * 2000-09-21 200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pparatus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Audio/Video/Multimedia
KR100663604B1 (en) * 1999-12-13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Embedding/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Shuffling
WO2008147142A2 (en) * 2007-05-30 2008-12-04 Mmchip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inserting watermark for h.264/avc video stre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04B1 (en) * 1999-12-13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Embedding/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Shuffling
KR100392251B1 (en) * 2000-09-21 200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pparatus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Audio/Video/Multimedia
WO2008147142A2 (en) * 2007-05-30 2008-12-04 Mmchip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inserting watermark for h.264/avc video stream
KR100873947B1 (en) * 2007-05-30 2008-12-12 주식회사 엠엠칩스 Method and System of inserting watermark for H.264/AVC video stream
WO2008147142A3 (en) * 2007-05-30 2009-01-22 Mmchip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inserting watermark for h.264/avc video 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249B1 (en)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0962B1 (en) MPEG2 moving picture encoding/decoding system
KR1002521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using mpeg compression codec
US5136371A (en) Digital image coding using random scanning
JP3268306B2 (en) Image coding method
US20070153894A1 (en) Pictur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ictur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092021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ding/decoding moving picture
US200402082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scalable coded video signal from a non-scalable coded video signal
JP2001292451A (en) Moving picture signal 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JP20040487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oding
JP2001211455A (en) Image coding method and image coder
EP0827344A2 (en) Video decoder
JP4018335B2 (en)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method
LeGall MPEG (moving pictures expert group) video compression algorithm: a review
KR0185932B1 (en) Video data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247249B1 (en) Moving image copy protection device
JP3703088B2 (en) Extended image encoding device and extended image decoding device
JP401830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0449200B1 (en) Computer implementation method, trick play stream generation system
Bellisio Current trends in digital video
JPH08195948A (en) Moving image transmission system
Guillotel et al. FLC and VLC coding for professional digital HDTV recording—Application to D1-like recorders
JP2009296327A (en) Scramble processor, descramble processor,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scramble processing method, descrambl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H06233278A (en) Decoder for picture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