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565A - 트랙터를 위한 유압취출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를 위한 유압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565A
KR19990023565A KR1019980032835A KR19980032835A KR19990023565A KR 19990023565 A KR19990023565 A KR 19990023565A KR 1019980032835 A KR1019980032835 A KR 1019980032835A KR 19980032835 A KR19980032835 A KR 19980032835A KR 19990023565 A KR19990023565 A KR 19990023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tractor
hous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435B1 (ko
Inventor
가즈오미 스기야마
히데오 오오쿠라
히데아키 도조노
다다히토 스즈이
가오루 후지카와
겐고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1999002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2Tractors modified to take lif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좌우의 리프트 아암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를 구비한 트랙터에 장착되는 유압취출장치에서, 유압취출장치의 밸브가 유압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유압 하우징의 상부에, 동시에 좌우의 리프트 아암 사이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에 압유를 이송하기 위한 유로가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트랙터를 습윤토양으로 작업하는 일이 많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 밸브의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게다가 오일 누설을 유발하는 일이 적어진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연락유로를 내장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유압하우징에 밸브를 장착하면 오일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이 밸브는, 복수개를 여러겹으로 쌓아 복합적인 또는 다용도의 유압취출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트랙터를 위한 유압취출장치
본 발명은, 유압작업기를 연결가능한 트랙터를 위한 유압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본 발명은 좌우의 리프트 아암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트랙터로부터 작업기 구동을 위한 유압을 취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우의 리프트 아암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트랙터에서 유압취출장치를 장착한 기술은 예를들면 일본국 실공평 2-15704호 (실개소 61-87128호, 종래예의 1)와 일본국 특개평 7-280206호(종래예의 2)의 각각의 공보로부터 공지된다. 종래예의 1에서는, 작업기측의 유압호스 등을 차체측의 유압취출부에 착탈하는 경우, 유압장치 또는 차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리프트아암, 상부링크 및 이들의 부착대가 장해로 되는 것이 과제로서 제기되고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예의 1에서는, 차체의 후방상부 및/또는 유압장치의 후방면에서 서포트를 후방으로 돌출설치하여, 여기에 유압취출부를 부착하므로서 유압취출부를 상부링크의 회전운동영역과 좌우의 리프트 아암의 회전운동영역과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종래예의 2는 서브컨트롤밸브(유압취출용의 밸브)의 장착위치에 따라서는 이 밸브와 유압포트와의 사이의 배관이 복잡하게 되고, 기타의 밸브에의 배관과 교착하여 유지보수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과제로서 제기되어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예의 2에서는 리프트 실린더를 수납하는 실린더 케이스의 한측에 플로우디바이딩밸브와 롤링컨트롤밸브가, 다른측에 리프트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밸브와 상기 서브컨트롤밸브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각각의 컨트롤밸브가 리프트 실린더의 주위에 접근하여 배열설치되기 때문에 유압배관을 짧게 할 수 있다.
종래예의 1 및 2는 각각 유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종래예의 1에 있어서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를 구성하는 유압하우징(실린더 케이스)의 전방부 좌측면에 보조유압제어밸브가 수평방향으로 연달아 설치되고, 이 제어밸브와 유압취출부가 좌우의 배관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1) 좌우의 배관의 장착이 번거롭다;
(2) 좌우의 배관이 외부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습윤 토양에서 트랙터의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에는 흙탕물과 진흙이 붙기 쉽다;
(3) 보조유압제어밸브가 후륜 펜더의 내측 깊숙한 곳에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흙탕물과 진흙이 붙어 있을 때에는 실질적으로 유지보수가 불가능하다;
등의 과제가 있었다.
종래예의 2에 있어서는 유압포드(유압취출부)를 갖는 서브컨트롤밸브(유압취출용의 밸브)가 유압하우징(실린더 케이스)의 후방부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예의 1에 있어서 과제(3)는 해결되어 있지만,
(4) 서브컨트롤밸브에 좌우의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과제(1),(2)는 해결되어 있지 않다;
(5) 서브컨트롤밸브를 유지보수할 때에는, 이 밸브와 좌우의 배관과의 사이의 접속 및 접속해제가 필요로 되지만, 이와 같은 작업은 특히 배관이 구부러져 있을때에는 번거롭다. 또 접속불량에 의한 오일누설이 일어나기 쉽다;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트랙터를 위한 유압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취출장치를 구비한 트랙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도 1은 트랙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후방부를 확대한 측면도;
도 3은 유압취출장치를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동 주요부의 배면도;
도 6은 유압회로의 개략도;
도 7은 스페이서의 평면도;
도 8은 스페이서의 정면도;
도 9는 스페이서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선 XI-XI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선 XII-XII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7의 선 XIII-XIII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유압승강제어장치의 단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취출 장치를, 캐노피를 갖는 다른 종류의 트랙터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도 15는 트랙터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동 주요부의 평면도;
도 18은 동 주요부의 배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우의 리프트 아암과 유압 하우징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를 구비한 트랙터에 장착되는 유압취출장치는:
상기 유압하우징의 상부에, 동시에 상기 좌우의 리프트 아암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취출용 밸브; 및
상기 유압취출장치의 상기 밸브에 연통되어 있는 상기 유압하우징에 형성되는 유로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에 압유를 이송하기 위한 유로가 배관부재와 같이 노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밸브의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게다가 오일 누설을 유발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 밸브의 유압취출부로서 퀵(quick)커플러를 구비시키면 유압기기, 유압작업기에 대한 유압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트랙터의 다기능화를 한층더 향상할 수 있어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작동에 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 밸브를 유압하우징에 직접 장착하는 (예를 들면 직접 착좌시켜서 볼트로 고정한다)것도 가능하지만, 연락유로를 내장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밸브를 장착하면 오일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밸브를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수개의 밸브를 여러겹으로 쌓으면, 복합적인 유압취출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개의 밸브를 상하방향으로 또는 좌우방향으로 여러겹으로 쌓으므로서, 다용도에 적합한 유압취출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연락유로를 내장한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복수개의 밸브를 여러겹으로 쌓으므로서, 유로와의 위치맞춤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유지보수의 경우에는 각각의 밸브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기능, 효과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설명을 읽으므로서 인지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취출장치(1)를 구비한 4륜 구동형의 트랙터(2)의 전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랙터(2)는, 좌우의 전륜(3)과 좌우의 후륜(4)을 구비하고, 전륜(3)은 조향륜임과 동시에 구동륜이다. 필요할때에는 전륜(3)에의 동력을 차단하여 2륜구동(후륜구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랙터 차체(5)에는 엔진(6)이 탑재되고, 엔진(6)의 후방부에 클러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트랜스미션케이스(7)가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엔진(6) 및 이 전방에 구비된 라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등의 엔진관련기기가 개폐가능한 보닛(8)으로 덮혀진다.
트랙터 차체(5)의 후방부 상면에는, 좌우의 리프트 아암(9)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가 탑재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로터리 작업기(12)가 3점링크(11)를 통하여,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승강제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후륜(4)의 내측에는 각각 후륜펜더(13)가 세워설치되고, 이 펜더(13)에 의하여 각각의 후륜(4)의 덮여져 있다. 이들 후륜 펜더(13)사이에는 운전석(14)이 배치되고 이 운전석과 그 전방의 조종핸들(15)에 의하여 운전조종장치(16)가 구성되어 있다. 운전조정장치(16)는, 트랙터 차체(5)상에 착탈가능하게 탑재된 캐빈(17)에 의하여 둘러쌓여있다. 이 캐빈(17)에는 상기 후륜펜더(13)가 포함된다.
캐빈(17)은, 좌우한쌍의 전방지주(18)과 좌우한쌍의 후방지주(19)와, 전후의 지주 중간에 있어 후방지주(19)측으로 치우쳐 있고 동시에 후륜 펜더(13)로부터 상승한 중간지주(20) 및 천정부(21)에 의하여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정부(21)에는 캐빈(17)의 냉난방 및 환기용의 공조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캐빈(17)에는 저부판 또는 바닥시트(22)가 더 구비되고, 이 바닥시트(22)는 운전석(14)의 장착부위(22A)쪽이 그의 전방부위 (22B)보다도 일단 높게되어 있다.
캐빈(17)은 중간지주(20)에 구비된 피벗금구(20A)를 지지점으로서 개폐가능한 도어(23)를 구비한다. 이 도어(23)의 개폐부위는 승강구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승강단(24)을 구비한다. 이 승강단(24)은 전후좌우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는 방진 고무 등을 통하여 트랙터차체(5)에 탑재되어 있다.
또, 캐빈(17)의 후방지주(19)는 도중의 부위(19A)에서 굴곡하여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위(19A)는, 리프트 아암(9)의 회전운동지점(아암축)을 가로지르는 연직평면의 근방에 위치한다. 이 사실로 인하여 캐빈(17)의 전체가 차체(5)에 대하여, 종래의 것보다도 약 5cm전방에 위치하여 탑재된다. 이 때문에, 트랙터 전체의 중심이 전방으로 전이하기 때문에, 로터리 작업기(12)를 승강가능하게 장착하더라도 전후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트랙터 전체가 경량화되고 습윤 토양에서의 작업에 있어서도 그 작업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후방차축 케이스(25)에는 모자(hat)형의 지지대(26)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대(26)에 캐빈(17)의 후방지주(19)가 브래킷(27)과 방진지지수단(28)을 통하여 연결되므로서, 후방지주(19)가 트랙터 차체(5)에 탑재된다. 후방지주(19)의 하단에는 좌우 한쌍의 하부체(29)가 고착되어 있다. 이들 하부체(29)는 전방으로 신장하여 좌우의 전방지주(18)에 연결된다.
종래는 좌우의 하부체(29)의 후방저면(29A)이 모자형의 지지대(26)에 방진지지수단(28)을 통하여 탑재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지주(19)가 도중의 부위(19A)에서 굴곡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지주(19)의 하방부위가 후방차축 케이스(25)보다도 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후방지주(19)가 브래킷(27)과 방진지지수단(28)을 통하여 트랙터 차체(5)에 탑재된다. 캐빈(17)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것보다도 대략 5cm 전방에 상대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후방지주(19)의 하방부위가 후방 동시에 상방에 경사하고 있으므로 설사 캐빈(17)이 종래의 것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더라도, 거주공간이 종래와 꼭같이 확보된다. 또, 캐빈(17)이 종래의 것보다도 전방으로 위치되었기 때문에, 트랙터 차체(5)의 상면에 탑재된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유지보수할 때, 이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들어올리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의 헤드부분(10A)은 풀로어 시트(22)의 운전석 장착부위(22A)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이 장착부위(22A)위에는, 시트 지지체(31)를 통하여 운전석(14)이 장착된다. 이 운전석(14)은 시트지지체(31)와 함께 장착부위(22A)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유지보수할때에는 운전석(14)과 시트지지체(31)를 떼어낸 후, 장착부위(22A)에 형성된 개구창(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상방에서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차체(5)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이완시킨다. 그후 상기 공간(30)내에서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들어올려 후방으로 뽑아내다.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의 전방의 트랜스미션케이스(7)상에는, 엔진(6)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펌프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펌프장치(32)는 플로어시트(32)의 운전석 장착부위(22A)에 형성된 개구창(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의 헤드부분(10A)과 함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유압펌프장치(32)는 통상은 (종래는) 엔진(6)의 측면에 근접배치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트랜스미션케이스(7)의 상면에 설치된다. 트랜스미션케이스(7)는 작동유 탱크를 겸하고 있다. 유압펌프장치(32)가 트랜스미션케이스(7)의 상면에 설치된 것으로 인하여, 배관부재를 생략 또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유압펌프장치(32)는 엔진(6)의 옆쪽에 설치되어 있었을때에는 전륜(3)의 조향각도가 제한되어 있었지만, 이 구성에서는 이와 같은 과제도 함께 해소한다.
또, 플로어 시트(22)가 장착부위(22A)를 얇은 판으로 구성하고, 전방부위(22B)를 두꺼운 판으로 구성함으로 인하여도, 차체 중심이 전방으로 전이된다. 더욱이, 설사 장착부위(22A)를 얇은 판으로 구성하더라도, 장착부위(22A)의 상기 개구창의 둘레가장자리에 고착되어 있어 시트지지체(31)를 보강하기 위한 스테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장착부위(22A)의 강도는 확보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압취출장치(1)를 구비한 트랙터(2)가 도시된다. 이 유압취출장치(1)는 좌우의 리프트 아암(9)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에 장착된다. 이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는 유압하우징(유압 실린더 본체)(33)에 의하여 구성되고, 유압하우징(33)의 내부에는 유로(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34)는 외부에의 유압취출용의 밸브(35)에 연통되어 있다. 이 밸브(35)는 유압하우징(33)의 상부에 동시에 좌우의 리프트 아암(9)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유압하우징(33)은 주물제로서, 그의 베이스부(36)에 트랜스미션케이스(7)에 대한 부착구멍(36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6)로부터는, 본체부(37)가 불룩하게 나와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7)의 후방부 좌우벽에는, 리프트 아암(9)의 아암축(38)을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39)가 좌우 한쌍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7)의 전방내부에는 앞이 올라간 경사형상에 실린더튜브(40)가 내장되어 있다. 이 실린더 튜브(40)에는 피스톤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다. 41은 실린더 튜브(40)의 개구끝부를 폐쇄하는 헤드덮개이다. 유압하우징(33)이 트랜스미션케이스(7)의 상면 개구부를 덮었을 때 베이스부(36)가 상하방향의 볼트에 의하여 트랜스미션케이스(7)에 고정된다.
유압하우징(33)의 측벽(도면에서는 우측벽)에는 유압펌프장치(32)로부터의 작동유를 위한 입구포트(메인포트)(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포트(42)는 배관이 착탈가능한 나사관 구성이다.
더욱이, 유압하우징(33)에는 트랙터(2)에 프론트로더를 장착하였을 때를 위하여 이 로더를 위한 유압취출포트(48), 뉴트럴포트(49) 및 드레인포트(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하우징(33)에는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43)와 수평제어밸브장치(44)가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밸브장치(43, 44)를 위하여, 유로(45)(도 4), 프라이오리티 밸브(priority valve)(46), 릴리프밸브(47)가 설치되어 있다.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43)는 상승과 하강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파일럿 전환밸브를 일체화한 전자석 파일럿 밸브이다. 드래프트센서(51) 및 리프트아암센서(52)로부터의 신호가 컨트롤박스(53)에 송신되고 여기서 발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자동 드래프트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평제어밸브장치(44)는, 트랙터(2)에 구비된 롤링센서(54)로부터의 신호, 3점링크(11)의 리프트 실린더(리프트 로드)(55)에 구비된 스트로크 센서(56)로부터의 신호 등, 컨트롤 박스(53)에 송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리프트 실린더(55)를 제어한다.
컨트롤 박스(53)가 행하는 각각의 제어는, 스위치 박스(57)로부터 설정 및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래프트 및 위치제어에 대하여는, 자동제어 대신에 수동 조작도 가능하다(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수동조작을 위하여, 유압하우징(33)에는 레버 등을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 있지만, 자동제어일때에는 착탈가능한 덮개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리프트 아암(9)에는 들어올림 양력을 만드는 신축식의 유압 실린더(보조 실린더)의 부착구멍(9A)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덮개(41)에는, 이 실린더를 위한 유압취출구(58)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리프트 아암(9)의 낙하조정밸브(59)가 조립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압취출용 밸브(35)는, 밸브케이스(61)에 전환용 스풀(6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스풀(62)은, 요동아암(63)을 통하여 푸시플(pushful)케이블 또는 버든(burden)케이블(64)의 조작력에 의하여 전환가능하다. 밸브(35)의 유압취출부(35A)는 유압취출호스가 착탈가능한 퀵커플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35)는 유압하우징(33)의 상면에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시의 예에서는 밸브(35)와 유압하우징(33)과의 사이에는, 유로(34)와 연통한 연락유로(60A)를 갖는 스페이서(60)가 개재되어 있다.
또, 단일 밸브(35)만을 장착하여도 좋지만, 도시의 예에서는 중간 스페이서(65) 및 헤드스페이서(66)를 통하여 복수개의 밸브(35)가 여러겹으로 쌓여져 볼트(67)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중간스페이서(65)의 내부에는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유압취출부(35A)는 수평면상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뻗어 있고, 유압취출호스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유압취출용의 밸브(35)에 대한 유로(34)가 유압하우징(3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을 노출시켜 배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스페이서(60)와 중간스페이서(65)를 유압하우징(33)에 여러겹으로 쌓을때에 각각의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끼리의 위치결정을 확실히 하고, 동시에 겹침면을 확실히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누설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밸브(35)가 좌우의 리프트아암(9)의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밸브(35)도 유압취출호스도, 리프트아암(9)의 승강동작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유압하우징(33)의, 뒤에 세워진 면에는, 3점링크(11)의 상부링크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대 장치(69)가 장착된다. 이 상부링크 부착대 장치(69)는, 하중감지부재이며, 동시에 드래프트센서인 토션바아(68)를 갖는다. 유압하우징(33)의, 뒤에 세워진 면에는 트랜스미션케이스(7)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플러그(A)도 구비된다. 이 공급플러그(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한쪽에(도면에서는 좌측에) 치우쳐져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3점링크(11)를 승강시켰을때의 3점 링크(11)와 밸브(35)와의 간섭이 적게된다. 그 결과, 3점 링크(11)(나아가서는 좌우의 리프트 아암(9))의 양정각이 충분히 확보된다.
도 7 내지 도 13에는 연락통로(60A)를 갖는 스페이서(60)의 상세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0)는 유압하우징(33)에 대한 착좌부(60B)에 복수의 볼트 삽입관통구멍(60C)을 갖는다. 볼트 삽입관통구멍(60C)에 삽입관통되는 상하방향의 볼트에 의하여, 스페이서(60)가 유압하우징(33)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유압하우징(33)을 트랙터 차체(5)에 장착한 대로, 스페이서(60)를 통하여 밸브(35)가 착탈가능하다.
더욱이, 스페이서(60)에는 밸브(35)의 부착시트(60D)가 불룩하게 나와서 형성되어 있다. 밸브(35)는 부착시트(60D)에 대하여, 중간스페이서(65)와 헤드스페이서(66)를 통하여 볼트(67)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도 3). 이 사실로서, 유압하우징(33)에 스페이서(60)를 장착한 상태에서 밸브(35)가 착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한층더 용이하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리프트아암(9)의 아암축(38)은, 유압하우징(33)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한쌍의 원통형상의 보스(39)에 삽입관통되고, 아암축(38)과 각각의 보스(39)와의 사이에 원통형상의 부시(70)가 개재되어 있다.
이 부시(70)는 미소한 진동에 의한 늘어붙음이 격심한 것으로, 이를 윤활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43)와 수평제어밸브장치(44)가 유압하우징(33)의 좌우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43)의 트랜스미션케이스(7)에의 복귀유입구(탱크 포트)에 배관부재(71)를 헐겁게 끼워 접속하고, 배관부재(71)를 통하여 복귀유의 일부를 우측의 부시(70)에 이송하여, 이 부시(70)를 강제적으로 윤활한다. 다른 한편, 수평제어밸브장치(44)의 트랜스미션케이스(7)에의 복귀유입구(탱크 포트)에도 배관부재(72)를 헐겁게 끼워 접속하고, 배관부재(72)를 통하여 복귀유의 일부를 좌측의 부시(70)로 이송하여, 이 부시(70)를 강제적으로 윤활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부시(70)의 외측에는 O링(73)과 칼라(74)가 설치되어, 복귀유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각각의 부시(70)에 유막을 조성한 잔여의 오일은 트랜스미션케이스(7)로 환류된다.
더욱이 유압하우징(33)의 우측에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43)를 설치하는 대신에 기계적으로 조작되는 (인위조작되는) 드래프트 제어밸브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관부재(71)에 대하여는 이 드래프트 제어밸브의 탱크 포트에 헐겁게 끼워 접속된다.
배관부재(71,72)는 유압하우징(33)을 덮은 꼴로 이 유압하우징(33)의 전후방향에 배치하면 좋기 때문에, 양배관부재(71,72) 모두 배치가 용이하다. 배관부재(71,72)는 유압하우징(33)에 구멍형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유압하우징(33)에 유압취출용의 유로(34)와 밸브장치(43,44)로 인한 유로(45)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압하우징(33)은 대용량이면서도,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 전체로서는 경량화된다. 이와 같은 경량화는 특히, 트랙터가 습윤토양에서 작업하는 일이 많은 경우에 의의가 있다.
다음에, 도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취출장치(1)가 캐노피(75)를 갖는 트랙터(2)에 적용되어 있고, 동시에 드래프트 밸브제어장치(43)가 자동제어식의 것에 대신하여 기계조작식(수동 조작식)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제1실시예와 공통하는 부분은 공통부호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캐노피(75)는 좌우의 후방차축하우징(25)으로부터 후륜펜더(13)의 상면 근방까지 세워 설치되어 있는 하부지주(75A), 이 하부지주(75A)의 상부에 볼트체결구(75C)에 의하여 끼우고 빼기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지주(75B)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하우징(33)상에 여러겹으로 쌓여져 있는 유압취출장치(1)의 밸브(35)는 버든 케이블(64)을 통하여 조작레버(76)에 의하여 원격조작된다(이 실시예에서는 밸브(35)가 4단으로 포개여져 있다). 이 조작레버(76)는 운전석(14)의 오른쪽옆에서 수평방향의 피벗축(77)을 통하여 플로어 시트(22)에 구비되어 있다. 플로우 시트(22)의 계단부(22C)에 창이 형성되고 이 창에서 레버(76)가 돌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계단부(22C)에는 브래킷(78)이 볼트 고정되고, 계단부(22C)에 형성된 창(22D)의 좌우를 보강한다. 브래킷(78)에는 피벗축(77)이 구비되고, 이 피벗축(77)에 대하여 조작레버(76)의 끝부의 원통부(76A)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 끝부원통부(76A)의 더 앞에 형성된 아암부(76B)에 버든케이블(64)이 금구(79)를 통하여 접속된다. 케이블(64)은 우측에서 유압하우징(33)의 상방, 더욱이 운전석(14)의 후방을 우회하여 좌측으로 연신되어 있다(이 조작레버(76)등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제1실시예에도 채용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자동드래프트 제어장치에 대신하여 수동조작되는 유압제어레버(8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레버장치(80)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지션레버(81)와 드래프트레버(82)로 이루어진다. 유압하우징(33)의 우측에 형성된 개구를 막도록 지지아암(84)이 오른쪽 바깥방향에 돌출되어 있다. 지지아암(84)에는, 내외 2중의 컨트롤 축(83)이 안에 삽입되어 있다. 레버(81,82)의 전후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축(83)이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인하여, 이 축(83)과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유압하우징(33)에 내장된 수동 드래프트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밸브가 제어된다.
더욱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85는 전륜용과 후륜용이 병설된 발디딤식의 차동잠금페달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취출장치(1)는 캐빈(17), 캐노피(75)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트랙터에 대하여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압취출장치(1)의 밸브(35)에 대하여는, 도시한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나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래프트 제어밸브장치에 대하여도, 특히 자동 드래프트 제어밸브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기회가 많으므로 본 발명을 채용하는 의의가 크지만, 수동조작식의 드래프트 제어밸브에 대하여도 의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밸브에 압유를 이송하기 위한 유로가 배관부재와 같이 노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밸브의 유지보수를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게다가 오일 누설을 유발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 밸브의 유압취출부로서 퀵커플러를 구비시키면 유압기기, 유압작업기에 대한 유압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트랙터의 다기능화를 한층더 향상할 수 있어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작동에 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 밸브를 유압하우징에 직접 장착하는 (예를 들면 직접 착좌시켜서 볼트로 고정한다)것도 가능하지만, 연락유로를 내장한 스페이서를 통하여 밸브를 장착하면 오일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밸브를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복수개의 밸브를 여러겹으로 쌓으면, 복합적인 유압취출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개의 밸브를 상하방향으로 또는 좌우방향으로 여러겹으로 쌓으므로서, 다용도에 적합한 유압취출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연락유로를 내장한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복수개의 밸브를 여러겹으로 쌓으므로서, 유로와의 위치맞춤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아니라, 유지보수의 경우에는 각각의 밸브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좌우의 리프트 아암(9,9)과 유압하우징(33)을 갖는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10)를 구비한 트랙터(2)에 장착되는 유압취출장치(1)로서,
    유압취출용의 밸브(35); 및
    상기 유압하우징(33)에 형성되고, 상기 유압취출장치(1)의 상기 밸브(35)에 연통되는 유로(34)로 구성되는 상기 유압취출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밸브(35)가 상기 유압하우징(33)의 상부에 동시에 상기 좌우의 리프트 아암(9,9)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취출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5)가 상기 유로(34)와 연통된 연락유로(60A)를 갖는 스페이서(60)를 통하여 상기 트랙터(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취출장치(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5)가 복수개를 여러겹으로 쌓아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취출장치(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5)의 유압취출부(35A)가 유압취출호스가 착탈가능한 퀵커플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취출장치(1).
KR1019980032835A 1997-08-13 1998-08-13 트랙터를위한유압취출장치 KR100300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8597 1997-08-13
JP21859797A JP3579225B2 (ja) 1997-08-13 1997-08-13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65A true KR19990023565A (ko) 1999-03-25
KR100300435B1 KR100300435B1 (ko) 2001-09-06

Family

ID=1672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835A KR100300435B1 (ko) 1997-08-13 1998-08-13 트랙터를위한유압취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3257A (ko)
JP (1) JP3579225B2 (ko)
KR (1) KR100300435B1 (ko)
IT (1) IT13018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19A (ko)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5675B2 (ja) * 1998-09-25 2006-04-1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US6684537B2 (en) 2001-05-28 2004-02-03 Kubota Corporation Excavator with a piping structure for absorbing variations in hose length
JP4876552B2 (ja) * 2005-11-30 2012-02-15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4877310B2 (ja) * 2008-10-30 2012-02-15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油圧装置
JP5094787B2 (ja) * 2009-06-15 2012-12-1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油圧システム
JP6345087B2 (ja) * 2014-11-14 2018-06-20 Kyb−Ys株式会社 機器取付構造
JP6552936B2 (ja) * 2015-10-09 2019-07-3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596A (en) * 1975-07-24 1977-09-27 Control Concepts, Inc. Electrohydraulic valve assembly for front end loader attachment to farm tractor
US4570425A (en) * 1983-06-09 1986-02-18 Roseman Mower Corporation Hydraulically operated gang mower trailer
JPH0215704Y2 (ko) * 1984-11-13 1990-04-26
US4837523A (en) * 1988-04-04 1989-06-06 Elantec High slew rate linear amplifier
JP3174423B2 (ja) * 1993-02-17 2001-06-11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用の油圧供給装置
JPH08280206A (ja) * 1995-04-12 1996-10-29 Iseki & Co Ltd サブコントロールバルブ取付装置
US5577435A (en) * 1996-03-11 1996-11-26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High flow hydraulic circuit for trac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19A (ko) 2018-03-14 2019-09-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작업차량용 유압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81732A1 (it) 2000-01-27
IT1301874B1 (it) 2000-07-07
ITMI981732A0 (it) 1998-07-27
KR100300435B1 (ko) 2001-09-06
US6053257A (en) 2000-04-25
JPH1159213A (ja) 1999-03-02
JP3579225B2 (ja)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6863B1 (en) Traveling vehicle
KR100300435B1 (ko) 트랙터를위한유압취출장치
US6182771B1 (en) Tractor
JP2007131091A (ja) 作業車両
JP4206373B2 (ja) 油圧リフト構造
JP3579223B2 (ja) トラクタの油圧昇降装置
JP4451831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3509655B2 (ja)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3269992B2 (ja) キャビン付トラクタ
JP3579310B2 (ja)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5133733B2 (ja) 作業車両
JP3579224B2 (ja) トラクタ
JP3583590B2 (ja) トラクタの油圧昇降装置
JP3537323B2 (ja) トラクタ
JP4369399B2 (ja) 走行車両
JP3199667B2 (ja) キャビン付トラクタ
JP2007091044A (ja)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6191811A (ja) 作業車両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2001136809A (ja) トラクタの外部油圧取出装置
JP4344931B2 (ja) 走行車体
JPH1159503A (ja) キャビン付トラクタ
JP4352021B2 (ja) 走行車両
JPS64361Y2 (ko)
JP2007228975A (ja) 乗用型田植機
JPH1189314A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