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14A - Shoes with folding rollers - Google Patents

Shoes with folding roll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614A
KR19990015614A KR1019970037825A KR19970037825A KR19990015614A KR 19990015614 A KR19990015614 A KR 19990015614A KR 1019970037825 A KR1019970037825 A KR 1019970037825A KR 19970037825 A KR19970037825 A KR 19970037825A KR 19990015614 A KR19990015614 A KR 1999001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acket
shoe
fixing bracket
pivo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1997003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614A/en
Publication of KR1999001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14A/en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하부에 장착되는 롤러가 신발의 내·외부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속적인 이동시에는 롤러 스케이트의 역할을 하고, 학교나 직장 또는 상점 등의 특정 목적지에 이르러서는 보통 신발의 역할을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roller, wherein the roller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hoe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to and out of the shoe, thereby serving as a roller skate during continuous movement, such as school, work or shop The main aim is to provide a shoe with a folding roller that normally serves as a shoe to a particular destination.

저면 전후방에 한 쌍의 함몰부(1a)를 갖는 신발(1)과; 상기 각 함몰부(1a) 내에 고정 장착되고, 양측면에 제 1 지지벽(22)(23)을 형성하는 고정 브래킷(20)과; 상기 함몰부(1a)의 내·외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제 1 지지벽(22)(23) 선단에 힌지축(24)으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제 2 지지벽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지지벽의 선단에는 롤러를 갖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선회 브래킷과; 상기 롤러가 탄력적으로 회동되면서 수납 및 전개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선회브래킷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hoes (1) having a pair of depressions (1a)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A fixing bracket (20) fixedly mounted in each of the depressions (1a) and forming first support walls (22) (23) on both sides thereof;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walls 22 and 23 of the fixing bracket 20 by a hinge shaft 24 so as to be rotated into and out of the recessed part 1a, an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art. A pivot bracket forming a support wall, the rotation shaft having a rolle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wall;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pivot bracket so that the roller is retracted and deployed;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Description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Shoes with folding rollers

본 발명은 롤러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신발 저면의 롤러가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롤러 스케이트의 역할과 일반 신발의 역할을 겸함을 수 있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Shoes Having Roller Being Folded over Bottom Sid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roller, and more particularly, a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that can serve as a roller skate and a general shoe by configuring the roller on the bottom of the shoe to selectively protrude. (Shoes Having Roller Being Folded over Bottom Side).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는, 사용자가 빙판이 아닌 도로면을 슬라이딩하며 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신발의 하부에 돌출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roller skates, which allow the user to run by sliding the road surface, not the ic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roller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is rotatably moun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러 스케이트는, 신발 하부에 장착되는 롤러가 돌설된 상태로 고정되게 장착됨으로써, 오르막 길이나 계단 등을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학교나 직장 또는 상점 등의 특정 목적지에 이르러서 불규칙적인 이동을 하는 동안에는 보통의 신발로 갈아 신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ller skat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uphill, stairs, and the like by being fixedly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ller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hoe is in a protruding state. During the irregular movement to the destin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ange into ordinary sho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하부에 장착되는 롤러가 신발의 내·외부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속적인 이동시에는 롤러 스케이트의 역할을 하고, 학교나 직장 또는 상점 등의 특정 목적지에 이르러서는 보통 신발의 역할을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the roller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can be folded in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hoe, and serves as a roller skate during continuous movement, school However,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hoe with a folding roller that usually serves as a shoe to a specific destination, such as work or sho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의 (가)(나)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3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신발, 1a:함몰부, 10:고정용 지지판, 12:볼트, 14:너트, 20:고정 브래킷, 21:상면, 22,23:제 1 지지벽, 24:힌지축, 30:선회 브래킷, 31:상면, 32,33:제 2 지지벽, 34:회전축, 35a:연결봉, 40:스프링, 50:받침부, 60:개폐용 덮개, R:롤러Reference Signs List 1: shoes, 1a: depression, 10: fixing support plate, 12: bolt, 14: nut, 20: fixing bracket, 21: upper surface, 22, 23: first supporting wall, 24: hinge shaft, 30: turning bracket , 31: upper surface, 32, 33: second support wall, 34: rotating shaft, 35a: connecting rod, 40: spring, 50: supporting part, 60: opening and closing cover, R: rol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면 전후방에 한 쌍의 함몰부를 갖는 신발과; 상기 각 함몰부 내에 고정 장착되고, 양측면에 제 1 지지벽을 형성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함몰부의 내·외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1 지지벽 선단에 힌지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제 2 지지벽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지지벽의 선단에는 롤러를 갖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선회 브래킷과; 상기 롤러가 탄력적으로 회동되면서 수납 및 전개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선회브래킷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having a pair of depressions in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A fixing bracket fixedly mounted in each of the depressions and forming first support walls on both sides thereof; The upper portion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wall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rota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epression, and the second support wall is formed on both side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wall having a roller A pivot bracket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A spring coup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pivot bracket so that the roller is retracted and deployed;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의 (가)(나)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발(1)의 저면에 형성시킨 한 쌍의 함몰부(1a) 내에 고정 브래킷(20), 선회 브래킷(30) 및 스프링(40)을 각기 구비시킴으로써 구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a) (b) is a por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gure 1 As a cross-sectional view,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xing bracket 20, the turning bracket 30, and the spring 40 in the pair of depressions 1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1, respectively. It is composed.

상기 신발(1)의 저면 전후방에는, 각각 저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함몰부(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 브래킷(20)은, 편편한 상면(21)과, 상면(21)의 양측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각기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벽(22)(2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상면(21)이 상기 함몰부(1a)의 내부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벽(22)(23)의 하단부 사이에는, 힌지축(24)이 측방향으로 수평되게 고정 장착된다.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of the shoe 1, recessed portions 1a having a hexahedron shape with open bottoms are formed, respectively. Each of the fixing brackets 20 includes a flat upper surface 21 and a pair of first supporting walls 22 and 23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21. The upper surface 21 of the fixing bracket 20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recess 1a. In addition, the hinge shaft 24 is fixedly horizontally mounted laterally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upporting walls 22 and 23.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장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1a)의 상측에 고정용 지지판(10)을 내설하고, 이 고정용 지지판(10)의 저면으로부터 함몰부(1a) 내부로 볼트(12)를 돌설시키되, 상기 볼트(12)가 고정 브래킷(20)의 상면(21)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14)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 브래킷(20)이 함몰부(1a) 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Mounting of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made in various ways, but as shown, the fixing support plate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1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support plate 10 is shown. The bolt 12 is projected from the recess 1a to the inside of the recess 1a, and the bolt 12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nut 14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21 of the fixing bracket 20, thereby fixing the fixing bracket. 20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cess 1a.

상기 선회 브래킷(30)은, 양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지지벽(32)(33)과, 이 제 2 지지벽(32)(33)의 상부 일부를 연결하는 상면(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지지벽(32)(33)의 상부 타측에는 각기 힌지홀이 동일축을 이루며 관통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홀이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힌지축(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회동됨에 따라, 선회 브래킷(30)이 상기 함몰부(1a) 내부로 수납되는 수납상태와, 상기 함몰부(1a) 외측으로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제 2 지지벽(32)(33) 하단부가 돌출되는 전개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The pivot bracket 30 includes a pair of second supporting walls 32 and 33 forming both side walls and an upper surface 31 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supporting walls 32 and 33. In the upper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wall 32, 33, the hinge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ame axis, the hinge hol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24 of the fixing bracket 20 do. Accordingly, the pivot bracket 30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24 of the fixing bracket 20. At this time, as the pivot bracket 30 is rotated, the pivot bracket 30 is rotated. It is configured to be switched to an expanded state in which an accommodating state accommodated into the recess 1a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walls 32 and 33 of the pivot bracket 30 protrude outward of the recess 1a.

그리고,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제 2 지지벽(32)(33) 하단부에는 롤러(R)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34)이 결합되는데,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수납 및 전개됨에 따라, 상기 롤러(R)도 함께 상기 함몰부(1a) 내로 수납 및 전개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R)가 전개상태일 때에는, 상기 롤러(R)의 저면이 신발(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최하단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롤러(R)의 저면만이 지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walls 32 and 33 of the pivot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34 to which the roller R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pivot bracket 30 is accommodated and deployed. Accordingly, the roller R is also configured to be received and deployed into the depression 1a together. At this time, when the roller R is in a deployed st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roller R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1 to form a bottom end, so that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roller 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

그리고,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탄력적으로 수납 및 전개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부재로서, 상기 선회 브래킷(30)과 상기 고정 브래킷(20) 사이에 결합된다. 즉, 상기 각 제 2 지지벽(32)(33)의 힌지홀 부위로부터, 제 2 지지벽(32)(33)의 무게 중심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편(32a)(33a)을 형성하고, 이 연장편(32a)(33a)을 연결하는 연결봉(35a)을 형성시키며, 이 연결봉(35a)과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저면 사이에 상기 스프링(40)의 양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ring 40 is a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ivot bracket 30 is elastically received and deployed, and is coupled between the pivot bracket 30 and the fixing bracket 20. That is, the extension pieces 32a and 33a are formed from the hinge hole portions of the respective second support walls 32 and 3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pport walls 32 and 33, respectively. And forming connecting rods 35a for connecting the extension pieces 32a and 33a, and both ends of the spring 40 are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35a and the bottom of the fixing bracket 20. .

이때,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전개상태와 수납상태의 중간지점에 있게 될 때에 상기 스프링(40)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게되고,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전개 및 수납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40)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장착되며, 또한, 상기 스프링(40)은 양단부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pivot bracket 30 is at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deployed state and the stored state,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pring 40 becomes the narrowest, and as the pivot bracket 30 is deployed and received, the spring ( 40) The gap between both ends is mounted to be wider, and the spring 40 is configured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nds expand.

또한,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전개시, 선회 브래킷(30)이 소정의 위치까지만 선회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1a)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50)가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소정의 위치까지 전개되면 이 선회 브래킷(30)이 상기 받침부(50)에 걸리게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과도한 전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개된 선회 브래킷(3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ivot bracket 30 is deployed, the support part 50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1a may be formed so that the pivot bracket 30 may pivot onl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when the pivot bracket 30 is deploy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ivot bracket 30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support part 50,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deployment of the pivot bracket 30. It may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deployed pivot bracket 30 to be stably supported.

한편, 상기 함몰부(1a)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본 발명의 장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1a)를 개폐시키는 개폐용 덮개(60)를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용 덮개(60)는,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전개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몰부(1a)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되,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전개시, 전개되어 함몰부(1a) 외부로 돌출된 선회 브래킷(30)의 부위를 제외한 부위만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전개시, 돌출된 선회 브래킷(30) 외의 함몰부(1a) 부위가 상기 개폐용 덮개(60)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전개된 선회 브래킷(30)이 사용자의 의도없이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opening and closing cover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pression (1a) can be mounted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depression (1a) to damage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6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cess 1a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pivot bracket 30, and is developed when the pivot bracket 30 is deployed. The depression 1a is configured to cover only a portion except for a portion of the turning bracket 30 protruding to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pivot bracket 30 is deployed, the recess 1a other than the protruding pivot bracket 30 is blocked by the opening / closing cover 60, thereby expanding the pivot bracket 30 that is deployed by the use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red without intention.

상기에서는, 신발(1)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함몰부(1a)중 하나의 함몰부(1a) 내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하나의 함몰부(1a) 내에도 이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동일한 결합이 구성됨은 물론이며, 단지, 전방의 함몰부(1a)에서는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전방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며, 후방의 함몰부(1a)에서는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후방으로 전개되도록 결합됨이 다를 뿐이다. 물론, 상기 각 선회 브래킷(30)의 전개 방향은 상기 함몰부(1a)의 형성 위치와, 상기 고정 브래킷(20)의 장착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coupling in one recess 1a of the pair of recesses 1a formed in the shoe 1 is described, but the same coupling of the same components in the other recess 1a is also described. This configuration is, of course, only, in the forward recessed portion (1a) is configured so that the pivoting bracket 30 is deployed forward, the rear recessed portion (1a) is coupled so that the pivoting bracket 30 is deployed backward It's just different. Of course, the deployment direction of each pivot bracket 30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recessed portion 1a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xing bracket 20.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롤러 스케이트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폐용 덮개(60)를 열고, 상기 선회 브래킷(30)을 손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선회 브래킷(30)과 함께 롤러(R)가 전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선회에 따라 상기 스프링(40)의 양단부가 가장 짧아지게 되는 중간부분을 지나게 되면,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스프링(40)의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써,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상기 받침부(50)에 걸려서 안정된 전개상태가 되는 지점까지 탄력적으로 전개되게 된다.By us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roller skates,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60, by rotating the pivot bracket 30 by hand with the pivot bracket 30 Let roller R unfold. At this time, when both ends of the spring 40 are shortened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f the turning bracket 30, the spring 40 receiv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rning bracket 30 is developed. As shown in (a) of FIG. 3, the pivot bracket 30 is elastically deployed to a point at which the pivot bracket 30 is caught and becomes a stable deployment state.

그리고, 상기 신발(1)의 각 함몰부(1a)에 내장된 롤러(R)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개시킨 다음, 각 함몰부(1a)를 개폐용 덮개(60)로 덮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 저면의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롤러(R)에 의하여 이 신발(1)을 롤러 스케이트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용 덮개(60)의 단부가 상기 함몰부(1a)를 덮게됨과 동시에, 전개된 선회 브래킷(30)의 받침부(50) 반대쪽을 받쳐주게 됨으로써,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사용자의 의도없이 임의로 수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rollers (R) embedded in each recessed portion (1a) of the shoe (1) is develop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each recessed portion (1a) is cover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60, Figure 2 As shown in FIG. 1, the shoe 1 can be used as roller skates by a pair of rollers R project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bottom of the shoe 1. At this time, th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60 covers the recessed portion 1a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50 of the developed turning bracket 30, thereby allowing the turning bracket 30 to be used by the user. It can be prevented to be stored arbitrarily without the intention of.

한 편, 상기와 같이 전개된 롤러(R)를 수납시킬 때에는, 먼저, 상기 개폐용 덮개(6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선회 브래킷(30)을 수납위치로 선회시킨다. 이때, 상기 선회 브래킷(30)의 선회에 따라 상기 스프링(40)의 양단부가 가장 짧아지게 되는 중간부분을 지나서 수납위치에 가깝게 되면,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수납되는 방향으로 스프링(40)의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써,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 브래킷(30)이 롤러(R)와 함께 상기 함몰부(1a) 내에 안치되는 지점까지 탄력적으로 수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ccommodating the roller R developed as mentioned above, first, the said opening-closing cover 60 is opened, and then the said turning bracket 30 is rotated to a storage position. At this time, when both ends of the spring 40 are close to the storage position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turning bracket 30, the spring 4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rning bracket 30 is received. By being subjected to an elastic force, as shown in (b) of FIG. 3, the pivot bracket 30 is elastically stored to the point where it is placed in the depression 1a together with the roller R.

그리고, 상기 각 개폐용 덮개(60)를 덮게되면, 상기 각 함몰부(1a)의 저부가 각 개폐용 덮개(60)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상기 함몰부(1a)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간의 결합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신발(1)의 바닥면 하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됨으로써, 상기 신발(1)을 보통의 신발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ver 60 is closed, the bottom of each recess 1a is blocked by each cover 60 so that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recess 1a to allow the foreign material to flow into the recess 1a.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ing each component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In addition, in such a state, since there is no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hoe 1, the shoe 1 can be used as a normal shoe.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에 의하여, 하나의 신발로서 롤러 스케이트의 역할과 보통 신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롤러를 이용하여 평지 이동하다가 비탈길이나 계단 등을 만날 경우, 또는 목적지에서 불규칙적인 이동을 위하여 보통의 신발로 갈아 신을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롤러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목적지까지 가고자 할 경우, 그 목적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신발을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by the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role of roller skates and the role of ordinary shoes as a single shoe, thereby moving flat using rollers If you meet slopes or stairs, or if you do not need to change your shoes in order to move irregularly at your destination, you can use roller skates to reach your destination.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sho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shoe with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apply the same.

Claims (6)

저면 전후방에 한 쌍의 함몰부를 갖는 신발과;Shoes having a pair of depressions in the front and rear bottom; 상기 각 함몰부 내에 고정 장착되고, 양측면에 제 1 지지벽을 형성하는 고정 브래킷과;A fixing bracket fixedly mounted in each of the depressions and forming first support walls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함몰부의 내·외부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제 1 지지벽 선단에 힌지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제 2 지지벽을 형성하되, 상기 제 2 지지벽의 선단에는 롤러를 갖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선회 브래킷과;The upper portion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wall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rota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epression, and the second support wall is formed on both sides,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upport wall having a roller A pivot bracket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상기 롤러가 탄력적으로 회동되면서 수납 및 전개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선회브래킷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A spring coup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 and the pivot bracket so that the roller is retracted and deployed;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 상측에 고정용 지지판을 내설하고, 상기 고정용 지지판의 저면에는 상기 함몰부 내부로 돌출되도록 볼트를 고정하되, 상기 볼트가 상기 고정 브래킷을 관통한 체 너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The fixing support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pression, and the bol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support plate so as to protrude into the depression, the bolt is fixed with a sieve nut through the fixing bracket. Shoes having a folding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선회 브래킷의 전개 각도를 규제하는 받침부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The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upport portion for restricting an unfolding angle of the pivot brack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epress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롤러 수납위치 하단에는, 상기 선회 브래킷이 선회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개폐용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4. The shoe having a folding roll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which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ivot bracket is pivoted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oller receiving position of the re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팽창 스프링으로서, 상기 선회 브래킷이 전개상태와 수납상태의 중간지점에 있게 될 때에 스프링 양단부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도록, 상기 선회 브래킷의 연결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봉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2. The connecting r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is an expansion spring and is formed at the connecting end of the swing bracket so that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spring becomes narrowest when the swing bracket is at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deployed state and the stored state. And a folding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ixing brack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각 제 2 지지벽의 힌지 결합부로부터, 제 2 지지벽의 무게 중심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장편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롤러를 갖는 신발.6. The connecting r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hinge coupling portions of the second supporting walls, respective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pporting walls. Shoes having a folding roller.
KR1019970037825A 1997-08-07 1997-08-07 Shoes with folding rollers KR199900156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25A KR19990015614A (en) 1997-08-07 1997-08-07 Shoes with folding rol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25A KR19990015614A (en) 1997-08-07 1997-08-07 Shoes with folding roll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14A true KR19990015614A (en) 1999-03-05

Family

ID=6600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825A KR19990015614A (en) 1997-08-07 1997-08-07 Shoes with folding roll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61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235B1 (en) * 2000-09-15 2003-01-24 이홍길 roller blade shose
KR20030025586A (en) * 2001-09-21 2003-03-29 장정기 A shoes with a built-in a pair of roller skates
KR100378923B1 (en) * 2000-05-27 2003-04-08 주식회사 알엔디센터 in line roller shose
KR20030048864A (en) * 2001-12-13 2003-06-25 권근상 Sports fhoes that can be use for reller-skating or skiing alternately
KR100403713B1 (en) * 1999-04-01 2003-10-30 힐링 스포츠 리미티드 Footwear and apparatus for use on a surface
KR100953673B1 (en) * 2008-03-04 2010-04-20 로타스포츠 (주) Door assembly and shoe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713B1 (en) * 1999-04-01 2003-10-30 힐링 스포츠 리미티드 Footwear and apparatus for use on a surface
KR100378923B1 (en) * 2000-05-27 2003-04-08 주식회사 알엔디센터 in line roller shose
KR100369235B1 (en) * 2000-09-15 2003-01-24 이홍길 roller blade shose
KR20030025586A (en) * 2001-09-21 2003-03-29 장정기 A shoes with a built-in a pair of roller skates
KR20030048864A (en) * 2001-12-13 2003-06-25 권근상 Sports fhoes that can be use for reller-skating or skiing alternately
KR100953673B1 (en) * 2008-03-04 2010-04-20 로타스포츠 (주) Door assembly and shoe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046B2 (en) Sprung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FR2884991A1 (en) Portable device e.g. portable computer, utilizing method, involves displacing movable units of telephone before they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suppression of external force for sliding movement and by rotatively driving rotative unit
KR19990015614A (en) Shoes with folding rollers
KR101745250B1 (en) Tent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EP1897468B1 (en) Sleeping assembly with two foldout beds
JP2007306997A (en) Folding slope
EP0925742A1 (en) Foldable sink furniture
KR100671971B1 (en) Bag For Traveling
NL1007834C1 (en) Sun screen provided with screen cowl
FR2775639A1 (en) Hinge mechanism for fold away table used in motor vehicle
KR200198746Y1 (en) Stand type mirror
KR200367708Y1 (en) A folder-type portable mirror capable of being stationed
CN219197032U (en) Multi-connecting rod hinge and refrigerator
JPH08151845A (en) Multi-joint hinge device
JP2835439B2 (en) Folding door device
KR20230065714A (en) Vehicle for camping
KR200314028Y1 (en) Hinge for collapsible ladder
JPS5933375B2 (en) makeup mirror device
US6067998A (en) Cosmetic box with a retractable protective mask for mirror
KR200367688Y1 (en) Bag For Traveling
JP2656169B2 (en) Partition panel
JP2001286320A (en) Accommodating case having stand function
KR910001458Y1 (en) Attachable table of baby carriage
JP3061786B1 (en) Folding door device
JPH0663000A (en) Do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