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567U -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 Google Patents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567U
KR19990010567U KR2019970023940U KR19970023940U KR19990010567U KR 19990010567 U KR19990010567 U KR 19990010567U KR 2019970023940 U KR2019970023940 U KR 2019970023940U KR 19970023940 U KR19970023940 U KR 19970023940U KR 19990010567 U KR19990010567 U KR 199900105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switch
turned
keyless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9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국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23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567U/en
Publication of KR19990010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567U/en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것을 망각하고 주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써 전조등의 점등에 따른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When the driver forgets to turn off the headlight and parks or gets off,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to prevent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battery due to the lighting of the headlight. It relates to a flashlight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headlights.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키 세트에 키가 꽂혀있지 않을 때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키레스(keyless) 스위치와, 그 스위치 접점이 온되었을 때 전조등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여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킨 후 소등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전조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그 스위치 접점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전조등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시키는 릴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less switch that outputs an ON signal when a key is not inserted into a key set, and a headlamp that turns on the headlamp by applying battery power to the headlamp when the switch contact is turned on. A control means for recognizing a switch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and maintain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headlamp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And a relay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headlamps to control the battery power applied to the headlamp by switching on or off the switch contac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이로써, 본 고안은 운전자가 전조등을 점등시킨 상태로 하차하여 자동차 운행을 종료하더라도 소정시간 후에는 전조등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게 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verdischarging of the battery because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driver stops driving the vehicle by turning off the headlight.

Description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본 고안은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것을 망각하고 주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써 전조등의 점등에 따른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light control device for an automobile headlight. More specifically, when a driver forgets to turn off the headlight and parks or gets off,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light control device for an automobile headlight that prevents unnecessary discharge of a battery due to lighting of a headlight.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조등은 차량 운행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을 조명하는 램프로서 이 램프안에는 보통 두 개의 필라멘트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전조등에 설치된 두 개의 필라멘트중에서 그 하나는 먼곳을 조명하는 하이비임과 광도를 약하게 하고 비임을 낮추는 로워비임이 있다. 상기 전조등은 상기 두 개의 필라멘트 이외에 렌즈, 반사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조등의 점소등을 위한 회로구성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Generally, headlights are lamps that illuminate the front of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drive safely while the vehicle is normally equipped with two filaments. In other words, one of the two filaments installed in the headlamp is a high beam for illuminating the distant place, and a lower beam for weakening the brightness and lowering the beam. The headlamp further includes a lens and a reflector in addition to the two filaments. The circuit configuration for turning on and off such headlights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전조등(L)의 일단은 접지되어 있고, 그 타단은 퓨즈(F)를 거쳐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마련된 전조등 스위치(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전조등 스위치(10)의 타단은 배터리(B+)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면, 전조등(L)에는 배터리(B+) 전원이 인가되어 전조등(L)이 점등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one end of the headlight L is grounde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dlight switch 10 provided in the combination switch via a fuse F,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light switch 10 is a battery. Is connected to (B +). When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in such a state, the battery L + power is applied to the headlight L so that the headlight L is turned on.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해서 전조등(L)을 점등시켜 사용하다가 소등하지 않은 채로 하차하는 경우 배터리가 과도하게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전조등이 점등되어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하차(또는, 주차)하기 위해 자동차 키를 키 세트에서 뽑아도 전조등이 점등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거나 그 점등상태를 자동으로 소등시키는 장치가 없어 배터리가 과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headlight L is turned on and u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vehicle is unlit, the battery is excessively discharg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tart the vehicle. That is, conventionally, when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in order to forget the fact that the headlight is turned on and to get off (or park), there is no device to indicate that the headlight is turned on or to turn off the lighting automatically. There was a problem of overdischarg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것을 망각하고 주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써 전조등의 점등에 따른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driver forgets to turn off the headlights and parks or gets off, the headlights are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ar keys are removed from the key s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shligh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to prevent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battery.

도 1은 종래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회로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ing control circuit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headligh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ing control device of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 알고리즘의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flashing control algorithm of the vehicle headlight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조등 스위치 20 : 키레스(keyless) 스위치10: headlight switch 20: keyless switch

30 : 릴레이 50 : 마이크로컴퓨터30: relay 50: microcomputer

51 : AND 게이트 53 : 타이머51: AND gate 53: timer

L : 전조등L: headl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lamp of a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lights of the automobile headlights,

키 세트에 키가 꽂혀있지 않을 때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키레스(keyless) 스위치와, 그 스위치 접점이 온되었을 때 상기 전조등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여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킨 후 소등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전조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그 스위치 접점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전조등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시키는 릴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A keyless switch for outputting an ON signal when a key is not inserted into the key set, a headlight switch for applying battery power to the headlight when the switch contact is on, and turning on the headlight, and the keyless Control means for recognizing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to maintain the lighting state of the head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intervening between the headlight switch and the headlamp And relay means for interrupting the battery power applied to the headlamp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switch contact is turned on or off.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체 타이머를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이거나, AND 게이트와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a microcomputer with its own timer, or comprises an AND gate and a timer.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수단의 코일은 그 일단이 상기 전조등 스위치의 온접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하이/로우 출력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에 연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of the relay mea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n contact of the headlight switch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istor is turned on / off by the high / low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stag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을 자화시켜 그 접점을 온시키고,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는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한 다음 상기 전조등을 소등시키기 위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자화를 중단시켜 그 접점을 오프시킨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outputs a high signal to turn on the headlight when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to magnetize the relay coil to turn on the contact, and in the state that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the magnetizer of the relay coil is stopped by outputting a high signal to maintain the lighting state of the head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then outputting a low signal to turn off the headlight. To turn off the conta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기술에서 사용되었던 구성부재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head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stituent members that have the same function as those used in the prior ar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것을 망각하고 주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써 전조등의 점등에 따른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키 세트(미도시)에 키가 꽂혀있지 않을 때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키레스(keyless) 스위치(20)와, 그 스위치 접점이 온되었을 때 전조등(L)에 배터리 전원(B+)을 인가하여 전조등(L)을 점등시키는 전조등 스위치(10)와,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되고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여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예를 들면 1분동안 전조등(L)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킨 후 소등시키도록 하는 제어부(50)로서 자체 내부의 타이머를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 및 전조등 스위치(10)와 전조등(L) 사이에 개재되어 마이크로컴퓨터(50)의 제어에 따라 그 스위치 접점(32)이 온 또는 오프되어 전조등(L)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B+)을 단속시키는 릴레이(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어부(50)인 마이크로컴퓨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조등 스위치(10)와 키레스 스위치(20)로부터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는 AND 게이트(51)와 AND 게이트(5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AND 게이트(51)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될 때, 즉 전조등 스위치(10)와 키레스 스위치(20)가 모두 온되어 있을 때 소정시간동안(예를 들면, 1분) 하이신호를 유지하며, 키레스 스위치(20)가 오프(키 세트에 키가 꽂혀있는 상태)된 상태에서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53)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head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forgets to turn off the headlight and parks or gets off,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As to prevent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battery, a keyless switch for outputting an ON signal when a key is not inserted into a key set (not shown), as shown in FIGS. 20), the headlight switch 10 which turns on the headlight L by applying battery power B + to the headlight L when the switch contact is turned on, and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10 ) Is turned o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o turn off the lamp after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1 minute. A microcomputer having a timer therein as its own internal and a switch between the headlight switch 10 and the headlight L, the switch contact 32 being turn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50, and the headlight. And a relay 30 which intercepts the battery power source B + applied to (L). As shown in FIG. 3, the microcomputer as the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AND gate 51 and the AND gate 51 which receive the switch signal from the headlamp switch 10 and the keyless switch 20. When the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AND gate 51, that is, when both the headlight switch 10 and the keyless switch 20 are turned on, the high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minute), When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while the switch 20 is turned off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set), it may be replaced by a timer 53 that continuously outputs a high signal.

본 고안에 있어서, 릴레이(30)의 코일(31)은 그 일단이 전조등 스위치(10)의 온접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마이크로컴퓨터(50) 또는 타이머(53)의 하이/로우 출력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컴퓨터(50) 또는 타이머(53)는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된 경우에 전조등(L)을 점등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코일(31)을 자화시켜 그 스위치(32) 접점을 온시키고,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된 상태에서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된 경우에는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된 시점, 즉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시점부터 1분 동안 전조등(L)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한 다음 전조등(L)을 소등시키기 위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 코일(31)의 자화를 중단시켜 그 스위치(32) 접점을 오프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oil 31 of the relay 30 is connected to the on-contact point of the headlight switch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by the high / low outpu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50 or the timer 53. It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ransistor Q1 which is turned on /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50 or the timer 53 outputs a high signal to turn on the headlight L when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to magnetize the relay coil 31 to turn on the switch 32 contact point. When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while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the headlight L is turned on for 1 minute from when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that is, when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A high signal is output to output the low signal, and a low signal is output to turn off the headlight L, thereby stopping magnetization of the relay coil 31 to turn off the contact of the switch 32.

본 고안을 구성하는 키레스 스위치(20)와 전조등 스위치(10)는 바람직하게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상품화된 스위치들이다.The keyless switch 20 and the headlight switch 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commercialized switches generally applied to automobiles.

미설명 도면 부호 R1 내지 R5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서 전류제한 저항 및 전압분배 저항들이다. 그리고, 제어부(50)인 마이크로컴퓨터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제어 흐름도 알고리즘이 프로그램화되어 내장되는 것으로 한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R1 to R5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current limiting resistors and voltage distribution resistors.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flowchart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programmed and embedded in the microcomputer as the controller 5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50)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와 도 3의 AND 게이트 및 타이머는 마이크로컴퓨터의 내부구성을 단순화시켜 나타낸 것에 불과함으로 이하의 작용설명은 제어부(50)가 마이크로컴퓨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the head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The microcomputer as the controller 50 and the AND gate and the timer of FIG. 3 are merely shown to simplif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controller 50 as the microcomputer.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입력포트(IN2)를 통해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되었는가, 즉 키 세트(미도시)에서 자동차 키가 뽑혔는가를 판단한다(S10). 키레스 스위치(20)가 오프이면, 즉 키 세트에 자동차 키가 꽂혀 있으면, 이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이용(운행)하고자 하는 상태이므로 마이크로컴퓨터(5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전조등의 점소등을 제어한다. 즉, 키레스 스위치(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출력포드(OUT1)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릴레이(30)의 코일(31)을 자화시킨다. 릴레이(30)의 코일(31)이 자화되어 그 스위치(32) 접점이 온되면, 배터리 전원(B+)이 전조등(L)에 인가되어 전조등(L)이 점등되게 된다(S21)(S22). 그리고, 키레스 스위치(20)가 오프된 상태에서 전조등 스위치(10)가 오프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출력포드(OUT1)를 통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켜 릴레이(30) 코일(31)의 자화를 해제시킨다. 릴레이(30) 코일(31)의 자화가 해제되어 그 스위치(32) 접점이 오프되면, 배터리 전원(B+)이 전조등(L)에 인가되지 않게 되어 전조등(L)이 소등되게 된다(S21)(S23).First, referring to FIG. 4, the microcomputer 50 determines whether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through the input port IN2, that is, whether the car key is extracted from the key set (not shown) (S10). If the keyless switch 20 is off, i.e., if a car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set, this i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wants to use (driving) the car, and thus the microcomputer 50 controls the flashing of the headlamp as in the prior art. That is, when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while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50 outputs a high signal through the output pod OUT1 to turn on the transistor Q1 to turn on the relay ( The coil 31 of 30 is magnetized. When the coil 31 of the relay 30 is magnetized and the contact of the switch 32 is turned on, the battery power source B + is applied to the headlamp L so that the headlamp L is turned on (S21) (S22). When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ff while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50 outputs a low signal through the output pod OUT1 to turn off the transistor Q1 to turn off the relay ( 30) The magnetization of the coil 31 is released. When the magnetization of the relay 30 coil 31 is released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switch 32 is turned off, the battery power source B + is not applied to the headlamp L and the headlamp L is turned off (S21) ( S23).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혀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되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입력포토(IN2)를 통해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되고 전조등 스위치(10)가 오프되었으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전술한 S23 단계에서와 같이 전조등을 소등시키고(S14), 키레스 스위치(20)가 온되고 전조등 스위치(10)가 온되어 전조등(L)이 점등되고 있는 상태이면, 마이크로컴퓨터(50)는 그 내부의 타이머를 동작시켜 출력단자(OUT1)를 통해 약 1분동안만 하이신호를 트랜지스터(Q1)에 인가시킨다(S12)(S13). 따라서, 하이신호가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고 있는 동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32)가 온되어 전조등(L)이 그 점등상태를 유지하지만, 1분이 경과한 후에는 마이크로컴퓨터(50)가 출력포트(OUT1)의 하이신호를 로우신호로 바꾸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전조등이 소등되게 된다.When the car key is extracted from the key set and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50 determines whether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through the input port IN2 (S11). If the keyless switch 20 is on and the headlight switch 10 is off, the microcomputer 50 turns off the headlight as in step S23 described above (S14), the keyless switch 20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10 is turned on.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L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50 operates the timer therein to apply the high signal to the transistor Q1 for about 1 minut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1. (S12) (S13). Therefore, while the high signal is being applied to the transistor Q1, the relay switch 32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dlamp L is kept in its lit state, but after one minute has elapsed, the microcomputer 50 Changes the high signal of the output port OUT1 to a low signal, the headlamp is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이로써, 본 고안은 운전자가 전조등을 점등시킨 상태로 하차하여 자동차 운행을 종료하더라도 1분후에는 전조등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게 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verdischarging of the battery because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1 minute even when the driver stops driving the vehicle by turning off the headligh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것을 망각하고 주차 또는 하차하는 경우 자동차 키가 키 세트에서 뽑힌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써 전조등의 점등에 따른 배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head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forgets to turn off the headlight and parks or gets off, the head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car key is removed from the key set. It provides an advantage to prevent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battery due to the lighting of.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아니하고 많은 제조변형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lights of the headlights of the automobil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carried out by applying many manufacturing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lights of the automobile headlights, 키 세트에 키가 꽂혀있지 않을 때 온(ON) 신호를 출력하는 키레스(keyless) 스위치와, 그 스위치 접점이 온되었을 때 상기 전조등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여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킨 후 소등시키도록 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전조등 스위치와 상기 전조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그 스위치 접점이 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전조등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단속시키는 릴레이 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A keyless switch for outputting an ON signal when a key is not inserted into the key set, a headlight switch for applying battery power to the headlight when the switch contact is on, and turning on the headlight, and the keyless Control means for recognizing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to maintain the lighting state of the head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intervening between the headlight switch and the headlamp And relay means for controlling the battery power applied to the headlamp by switching on or off the switch contac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체 타이머를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2.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control means is a microcomputer with a self ti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AND 게이트와 타이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n AND gate and a timer.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수단의 코일은 그 일단이 상기 전조등 스위치의 온접점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하이/로우 출력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에 연결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4. A re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il of the relay means has one end connected to an on contact of the headligh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turned on / off by a high / low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means. An on / off control device for an automobile headligh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a collector end of a transistor to be turned of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을 자화시켜 그 접점을 온시키고, 상기 전조등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는 상기 키레스 스위치가 온된 시점부터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하이신호를 출력한 다음 상기 전조등을 소등시키기 위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릴레이 코일의 자화를 중단시켜 그 접점을 오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The keyless switch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high signal to turn on the headlight when the headlight switch is turned on, magnetizes the relay coil, and turns on the contact point, and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 high signal is output for maintaining a lighting state of the headlamp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keyless switch is turned on, and a low signal is outputted to turn off the headlight to stop magnetization of the relay coil. Turn off the control lights of the headlights of the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ff.
KR2019970023940U 1997-08-29 1997-08-29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KR1999001056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940U KR19990010567U (en) 1997-08-29 1997-08-29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940U KR19990010567U (en) 1997-08-29 1997-08-29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567U true KR19990010567U (en) 1999-03-15

Family

ID=6968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940U KR19990010567U (en) 1997-08-29 1997-08-29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567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187A (en) * 2003-12-24 2005-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09591686A (en) * 2018-12-18 2019-04-09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A kind of automobile automatic extinguishing lamp protec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187A (en) * 2003-12-24 2005-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CN109591686A (en) * 2018-12-18 2019-04-09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A kind of automobile automatic extinguishing lamp protection system
CN109591686B (en) * 2018-12-18 2023-08-04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Automatic light-off protection system for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4779A (en) Headlight assembly for a vehicle
KR19990010567U (en) Flashlight control device of car headlight
KR0174184B1 (en) Turn signal lamp control circuit
KR200145177Y1 (en) Instrument panel lighting and fog light on / off device of automobile
KR100391541B1 (en) A daytime running lamp control system for a common use in all area
KR0180848B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automatic extinction for a lamp
KR100208828B1 (en) Head lamp
KR0140019Y1 (en) Battery discharging protection circuit in a car
KR100410496B1 (en) A head lamp driving circuit in a vehicle
KR19980022670A (en) Vehicle lights and headlight auto-light off devices
KR0120840B1 (en) Head lamp control device
KR200221786Y1 (en) Auto Power Off Circuit for Car
KR0137875Y1 (en) Foglamp
KR0166285B1 (en) Headlamp control device
JP3580515B2 (en) Auto light device for vehicles
KR19980048231A (en) Car light power supply
KR200151556Y1 (en) A head lamp device of vehicles capable of regulating brightness
KR19980053647U (en) Automobile safety device
KR19980022772U (en) Automotive battery discharge protection device
KR19980022669A (en) Headlight and taillight auto turn off device
JP2005001576A (en) Vehicular headlamp
KR19990026990A (en) Battery discharge auto shut off of car
KR2003001209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urning off room lamps in vehicles
KR19980040503U (en) Power cut off switch of vehicle
KR20000020673U (en) Lighting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