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748A - In the exchange system, - Google Patents

In the exchan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748A
KR19990009748A KR1019970032245A KR19970032245A KR19990009748A KR 19990009748 A KR19990009748 A KR 19990009748A KR 1019970032245 A KR1019970032245 A KR 1019970032245A KR 19970032245 A KR19970032245 A KR 19970032245A KR 19990009748 A KR19990009748 A KR 1999000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all
exchange system
extension numb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64337B1 (en
Inventor
한미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337B1/en
Publication of KR1999000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4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 H04Q3/10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for PBX selectors, i.e. private branch exchange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4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 H04Q3/12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for line selectors providing transfer of routing dig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교환기 시스템에서 호 착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o a call incoming method in an exchange system.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한다.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request to the exchange system, the incoming ring is gener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devices registered in the exchange system in response to the incoming request.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poin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교환기 시스템에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고, 이에 응답이 없으면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device registers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 the exchange system so that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device shares the agreed extension number, and if there is a call to be forwarded to the extension number, And if the call is not answered, calls are simultaneously receive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서 이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exchange system.

Description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In the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서 호 착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receiving method in an exchan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l receiving method in which,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request to an exchange system, an incoming ring i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devices registered in the exchang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통상적으로 교환기 시스템은 일반 사무실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어,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통상적으로 국선 이라 칭함)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Usually, an exchange system is used in a place such as a general office, and serves to connect a connection between a local line and an extension line by a telephone line (usually referred to as a local line) between the local exchange facility and the affiliate switching section.

한편, 이러한 교환기 시스템에는 다중 착신 기능이 있어,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내선 번호를 체크하여 상기 착신 요구에 해당하는 내선 번호가 있으면,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에 착신 링이 발생 되도록 하고, 또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다른 착신 할 내선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착신 링 발생 동작을 지속하여 수행한다. 만일 더 이상 착신할 내선이 없고 상기 착신 링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에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모든 단말 장치에 착신 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한 단말 장치라도 응답이 있으면 나머지 단말 장치들의 착신 링 발생은 중지하게 된다.In the meantime, such an exchange system has a multi-destination function, and when there is a call reception request to the exchange system, checks the extension number registered in the exchange system and if there is an extens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 reception request, The ring tone is generated in the apparatus,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re is another extension to be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number, there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ring tone generation operation. If there is no extension to be received and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incoming ring, an incoming ring is generated to all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number. At this time, even if one terminal device responds, the generation of the ringing ring of the remaining terminal devices is stopped.

하지만, 종래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중 착신 기능이 단지 유선 단말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되어 졌다. 따라서, 상기 교환기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자리를 이석하거나 외출시 상기 착신되는 호를 받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witching system, such a multi-destination function is implemented only through a wired terminal device.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in that an extension subscriber of the exchange system does not receive the incoming call when leaving the room or going out.

..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 apparatuses in the exchange system in response to a call reception request to an exchange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 시스템에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고, 이에 응답이 없으면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gister a radio terminal device in an exchange system so that the registered radio terminal device can share an agreed extension number, and if there is a call to the extension number, A method is proposed in which a call is sequentially received in the apparatus and, if there is no response, the call is simultaneously recei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는 교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다.1 shows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change system in which a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gistered.

도 1을 참조하면, 교환기100은 국선망110과 접속되어 국선과의 통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환기100은 다수의 유선 단말 장치들이 등록되며 상기 도 1에는 일예로 유선 단말 장치A130과 유선 단말 장치B135가 나타나 있다. 유선 단말 장치는 상기 교환기100의 내선 가입 용량에 따라 더 많은 유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사용 될 수 있다 . 또한, 상기 교환기100에는 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사용되어 지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교환기100과 접속된 무선 단말 기지국120과 상기 무선 단말 기지국120에 무선 주파수가 등록되어 무선 통화를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 단말 이동국이 있다. 도 1에는 일예로 무선 단말 이동국A125와 무선 단말 이동국B126이 나타나 있는데, 상기 무선 단말 이동국은 상기 무선 단말 기지국의 가입 용량에 따라 더 많이 등록되어 사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들은 동일한 내선 번호를 공유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내선 번호를 모두 공유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등록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witching center 100 is connected to the national network 110 to form a call with a CO line. The wired terminal device A 130 and the wired terminal device B 135 are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The wired terminal apparatus can register and use more wired terminal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extension subscription capacity of the exchange 100. [ The radio terminal apparatus is registered and used in the exchange 100. The radio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 radio terminal base station 120 connected to the exchange 100 and a plurality of radio terminals There is a wireless terminal mobile station. In FIG. 1, for example, a wireless terminal mobile station A125 and a wireless terminal mobile station B126 are shown, and the wireless terminal mobile station is registe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ubscription capacity of the wireless terminal base st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devices are set and registered so that they can share the same extension number or share each different extension number.

도 2는 상술한 교환기 시스템에서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ultiplexing a registered radio terminal apparatus in the above-described exchange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환기100은 202단계에서 호가 착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호가 착신되지 않으면, 203단계에서 상기 교환기100에 미리 설정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호가 착신되면, 204단계에서 상기 호에 대응하는 내선 번호를 체크한다. 내선 번호가 체크되면, 206단계에서 상기 내선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될 내선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착신될 내선이 있으면, 208단계에서 상기 내선이 무선 단말 장치인지를 판단한다. 무선 단말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210단계에서 등록된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 장치가 다수개 일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의해 첫 번째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고 다시 206단계를 되풀이 수행하여 두 번째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내선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들을 호출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착신될 내선이 무선 단말 장치가 아니거나 또는 더 이상 호출할 무선 단말 장치가 없으면, 209단계에서 유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과 마찬가지로 206단계를 반복하여 유선 단말 장치 호출을 지속하고, 더 이상 호출할 유성 단말 장치가 없을 때까지 상기 호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착신될 내선에 해당하는 모든 유,무선 단말 장치가 없으면, 216단계에서 상기 호출한 무선 단말 장치의 상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에도 다수개의 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하나라도 응답하게 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218단계에서 상기 유선 단말 장치의 상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수개의 유선 단말 장치일 경우 또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마찬가지로 판단한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신에 우선하여 응답하는 단말 장치를 무선 단말 장치로 설정하였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자리를 이석하더라도 무선 단말 장치를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착신이 연결될 확률이 고정된 위치에만 있는 유선 단말 장치보다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상기 우선 순위는 바뀔 수 있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217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유선 단말 장치 호출 동작은 정지한다. 그리고 219단계에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착신이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없고, 상기 218단계에서 유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220단계에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 동작은 정지하고, 222단계에서 상기 착신에 응답한 유선 단말 장치와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다수 개로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유,무선 단말 장치가 응답하면, 나머지 유,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 동작은 정지한다. 상기 219단계 혹은 상기222단계의 통화 동작의 수행 중에, 224단계에서 호가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224단계에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호 착신 동작이 종료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02, the switching center 100 checks whether a call is incoming. If the call is not receiv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preset in the exchange 100 is performed in step 203.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step 202, an extens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 is checked in step 204. If the extension number is checked, it is determined in step 206 whether there is an extension to be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number. If there is an extension to be received, it is determined in step 208 whether the extension is a wireless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o be a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registered wireless terminal device is called in step 210. At this tim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the first wireless terminal device is call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and the step 206 is repeated to call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is manne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are called. If the extension to be terminated in step 208 is not a wireless terminal device, or if there is no wireless terminal device to be called any mor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called in step 209. At this time, repeating step 206 as in the case of the cal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call terminal continues to call and repeatedly performs the call operation until there is no more voiceless terminal device to be called. If there is no wireless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to be received in step 206, it is determined in step 216 whether there is a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of the called wireless terminal device. At this time, if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are registered,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one of them is answer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6 that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t is determined in step 218 whether there is a response to the incoming call of the wired terminal devic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wired terminal apparatuses, it is judged similarly to the above-mentioned wireless terminal apparatus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terminal device responding to the incoming call is set as a wireless terminal device. However, sinc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usually carried by the user even if the user leaves the room, Is higher than that of the wired terminal device in the fixed location only. However, the priority may be changed b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f there is an incoming respons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step 216, the registered wired terminal device call operation stops in step 217. [ In step 219,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o perform a call. If there is no incoming respons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step 216 and there is an incoming response of the wired terminal device in step 218, the calling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stopped in step 220. In step 222, So that a call with the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When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are registered, when on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responds, the call operation of the remaining wireless terminal devices is stopp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all operation in step 219 or 222, it is determined in step 224 whether the call is terminated. If the call is terminated in step 224, the call termination operation is terminat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를 먼저 호출하고, 그다음 유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 즉 상기 교환기에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미리 설정된 차례에 의해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방법으로 다중 착신 방법을 구현하였는데,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를 동시에 호출하도록 하는 방법, 혹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이에 응답이 없는 경우 모든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에 의한 다중 착신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alling a wireless terminal device first and then a wired terminal device, that is, a method of sequentially calling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registered in the exchange in a predetermined ord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method of simultaneously calling the above-mentioned mobile terminal device or a method of calling all registered mobile terminal devices in a sequential mann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ceive multiple cal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되는 호를 다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유선 단말 장치로 동시에 착신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리에서는 유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고 자리를 이석할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호 착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all arriving at an exchange system can be simultaneously received by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and a wired terminal device, the user can respond to the incoming call using a wired terminal device The mobile terminal can respond to the incoming call using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reby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receive the call receiving service regardless of the space.

Claims (6)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all origination in an exchange system,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Wherein the registered wired terminal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share an agreed extension number by registering the wired terminal device and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exchanger system and if there is a call to be received at the extension numb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call from a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호가 착신되어지는 경우,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중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면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착신되는 호가 착신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When one of the registered terminal devices responds to the incoming call, when a call is simultaneously received to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device, the incoming call is not received by the other terminal devic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all origination in an exchange system,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소정의 정해진 순서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Wherein the mobile terminal device shares the predefined extension number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registered in the exchange system and causes the call to be sequentially receiv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 a predetermined order if there is a call to be received at the extension numb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소정의 정해진 순서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어지는 경우,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중 어느 한 단말 장치가 응답하는 경우 상기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는 동작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Wherein, when a call is sequentially received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 the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responds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operation of sequentially terminating the call is suspended A method for multiplexing a mobile terminal device in an exchange system.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all origination in an exchange system,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미리 약정된 각각의 내선 번호를 가지고 동시에 공통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는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고,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고, 상기 공통된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로 동시에 호가 착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The terminal apparatus registers a wire terminal apparatus and a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hich share a common extension number simultaneously with each extension number prearranged in the exchange system, and if there is a call to be received at an extensio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vailable terminal apparatuses And a call is simultaneously received by the registered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when there is a call to be received by the common extension number. Multiple incoming method. 유,무선 단말 장치를 공통된 내선 번호로 등록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receiving a call in an exchange system which registers a radio terminal device and a radio terminal device with a common extension number,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하는 과정과,Calling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device when there is a call to the extension number; 더 이상 호출할 유,무선 단말 장치가 없을 경우,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가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responds to the incoming call if there is no wireless terminal device to be called;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의 응답이 있는 경우 응답된 단말 장치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And performing a call to the answered terminal device when there is a response from the existing wireless terminal device.
KR1019970032245A 1997-07-11 1997-07-11 Multiple Calling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Terminal Equipment in Switching System KR100464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en) 1997-07-11 1997-07-11 Multiple Calling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Terminal Equipment in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en) 1997-07-11 1997-07-11 Multiple Calling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Terminal Equipment in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48A true KR19990009748A (en) 1999-02-05
KR100464337B1 KR100464337B1 (en) 2006-02-28

Family

ID=3717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en) 1997-07-11 1997-07-11 Multiple Calling Method for Wired and Wireless Terminal Equipment in Switc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3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73A (en) * 2002-02-07 2003-08-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Wire/Wireless Call Junction and Wire/Wireless Multi-Functional Terminal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943A (en) * 1991-01-22 1992-08-27 정용문 Call connection method of private exchange using pager
KR940008528A (en) * 1992-09-02 1994-04-29 백중영 Premises exchange system
KR960010887B1 (en) * 1993-11-27 1996-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vate exchange device using cellular line
KR0153013B1 (en) * 1993-12-24 1998-11-16 서평원 Cordless telephone 2-system and call possible of existence wire compound system
FI101338B1 (en) * 1995-06-16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set-up methods
JPH0937314A (en) * 1995-07-17 1997-02-07 Canon Inc Private branch excha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73A (en) * 2002-02-07 2003-08-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Wire/Wireless Call Junction and Wire/Wireless Multi-Functional Termina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4337B1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0488B1 (en) Communications unit,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access to a wireless transceiver
WO1996013948A1 (en) Fixed subscriber loop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system
EP0592963A2 (en)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personal communications
FI107004B (en) Response service procedures and systems
KR19990009748A (en) In the exchange system,
JPH09219745A (en) Inter-network connecting system and its connecting device
KR960028637A (en) Wired and wireless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of exchange system
JP2894281B2 (en) Paging incoming call method
KR100270736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through pair designation in private exchange system
KR0184176B1 (en) Auto-answering service method
JPH02280425A (en) Incoming call transfer system in subscriber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21563A (en) Call transfer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7212494A (en) Lan call termination method from telephone
KR100255311B1 (en) Method for driving private branch exchange
JPH11178021A (en)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ublic radio network in private branch of exchange
JPH07284154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537453A (en) Subscriber digit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194418B1 (en) Respond to CO line in private exchange system
KR100299042B1 (en) Call transfer method through analog e&m networking in private exchange
KR100234089B1 (en) Series call feature method of key telephone system
JPH07184255A (en) Incoming outgoing call restriction system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
JPH0568095A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reception system
JPH01295556A (en) Caller name display system
JPH0374980B2 (en)
KR970008774A (en) On-site wireless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