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760A -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 Google Patents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760A
KR19990004760A KR1019970028901A KR19970028901A KR19990004760A KR 19990004760 A KR19990004760 A KR 19990004760A KR 1019970028901 A KR1019970028901 A KR 1019970028901A KR 19970028901 A KR19970028901 A KR 19970028901A KR 19990004760 A KR19990004760 A KR 1999000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witching
signals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대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760A/en
Publication of KR1999000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760A/en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主)음성 신호와 부(副)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드 설정 신호들에 응하여 제1 내지 제6 스위칭 제어 신호들을 제공한다.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스위칭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내지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제공한다.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제5 및 제6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및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내장된 오디오 기록 헤드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로 설정할 때, 사용자는 원하는 언어로 방송을 시청하거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다.Disclosed is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or reproducing a main audio signal and a sub audio signal included in an audio multicast signal. The controller provides first to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the mode setting signals input by the user.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reads from the left and right channel audio signals of the audio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and the video cassette tape in response to the first to fourth switch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The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of the signal are alternatively switched to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to provide third to fourth switched voice signals. The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selectively switches the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of the voice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to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in response to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The fifth and sixth switched voice signals are provided to an audio recording head embedded i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Thus, when the user sets the video tape recorder to the playback mode or the recording mode,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in the desired language or record on the video cassette tape.

Description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of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본 발명은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主)음성 신호와 부(副)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or reproducing a main audio signal and a sub-audio signal included in an audio multicast signal.

도 1은 통상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의 입출력 신호들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통상적으로, 텔레비전 방송국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출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즉, 전파 신호)(BR.RW)는 일례로 텔레비전 수상기용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어서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100)에 인가된다(도 1 참조). 이때, 튜너(100)는 비디오 신호(V.SG)와 좌0f우 채널의 음성 신호들(A.SG1)(A.SG2)을 제공하여서 텔레비전 수상기는 재생된 화상과 음성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와 우 채널 음성 신호(A.SG2)는 각각 주(主)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라고 정의된다. 이때,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시간에 시청하지 못하는 시청자는 음성 다중 방송 프로그램(예를 들면, 2개 국어 방송 프로그램)을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텔레비전 수상기와 연결하여 사용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a tuner embedded in a conventional television receiver. Typically, an audio multicast signal (i.e., radio wave signal) BR.RW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antenna of a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 i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for a television receiver, for example, and applied to the tuner 100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 See FIG. 1). At this time, the tuner 100 provides the video signal V.SG and the audio signals A.SG1 and A.SG2 of the left and right channels so that the television receiver provides the reproduced picture and audio to the viewer. . Hereinafter,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and the right channel voice signal A.SG2 are defined as a main voice signal and a sub voice signal, respectively. At this time, a viewer who cannot watch a desired broadcast program at a broadcast time uses the video cassette recorder in conjunction with a television receiver to record an audio multicast program (for example, a bilingual broadcast program) on a video cassette tape.

그러나, 음성 다중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언어가 예를 들면 한국어와 영어라고 할 때, 통상적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주음성 신호인 한국어와 부음성 신호인 영어 가운데 하나만을 선택하여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한다. 따라서,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시청할 때, 시청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 당시에 선택된 한 가지 음성 신호만을 들을 수 있다.However, when the languages provided by the voice multicast program are, for example, Korean and English, a typical video cassette recorder selects only one of a main audio signal, Korean and a sub-audio signal, along with a video signal to select a video cassette tape. To record. Thus, when playing back and watching the recorded broadcast program, the viewer can hear only one audio signal selected at the time of recording the broadcast program.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설정에 의하여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主)음성 신호와 부(副)음성 신호 가운데 어느 한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in audio signal and a sub-audio included in a voice multicast signal by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producing any one audio signal.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설정에 의하여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 가운데 어느 한 음성 신호 또는 양자를 모두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deo cassette for recording one audio signal or both of a main audio signal and a sub-audio signal included in an audio multicast signal by an operation mode setting of a user on an audio track of a video cassette tape. It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of the recorder.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설정에 의하여 비디오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 음성 다중 방송 프로그램의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 가운데 어느 한 음성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producing any one of a main audio signal and a sub audio signal of an audio multicast program recorded on an audio track of a video tape by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a user. In providing.

도 1은 통상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의 입출력 신호들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a tuner embedded in a conventional television receiv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입출력 신호들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3 is a circuit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included in a control device for separating and playing a main voice and a sub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4 is a circuit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included in a control device for separately recording a main voice and a sub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튜너,200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100: tuner, 2000: video cassette recorder,

200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50: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2: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10: 제어기.2010: controller.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 reproducing main voice and sub-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드 설정 신호들에 응하여 제1 내지 제6 스위칭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기;A controller for providing first to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mode setting signals input by a user;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스위칭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내지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 그리고Left 0f right channel voice signals provided from a tuner embedded in a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the first to fourth switch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and left 0f audio signal broadcast read from a video cassette tape. An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for alternately switching right channel voice signals to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to provide third to fourth switched voice signals; And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제5 및 제6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및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내장된 오디오 기록 헤드에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로 이루어져 있다.In response to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ler, the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of the voice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are selectively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It consists of an audio recording switching section for providing the switched audio signals to an audio recording head embedded i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본 발명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의하여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가 분리되어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의하여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재생하거나 현재 튜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로 설정할 때, 사용자는 원하는 언어로 방송을 시청하거나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다.In the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 reproducing separate main and sub au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 audio signal included in the voice multicast signal are separated by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Video cassettes are recorded on audio tracks. In addition,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audio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multicast signal provided by the tuner or reproduced separately from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audio signal recorded on the audio track of the video cassette tape by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Play back separately. Thus, when the user sets the video tape recorder to the playback mode or the recording mode,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in the desired language or record on the video cassette tap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의 구성과 동작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 reproducing main voice and sub-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제어 장치는 제어기(2010),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 그리고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02)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controller 2010, an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and an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0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입출력 신호들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어기(20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드 설정 신호들(S.SG)에 응하여 제1 내지 제6 스위칭 제어 신호들(CS; CS1∼CS6)을 제공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010 provides the first to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s CS CS1 to CS6 in response to the mode setting signals S.SG input by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재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는, 제1 내지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들(2020)(2030)(2040)(2050)로 이루어져 있다.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는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스위칭 제어 신호들(CS1∼CS4)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1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A.SG1)(A.SG2)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A.SG3)(A.SG4)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내지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2041)(2051)을 제공한다.3 is a circuit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included in a control device for separating and playing a main voice and a sub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includes first to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s 2020, 2030, 2040, and 2050.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is left to right of the audio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100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the first to fourth switching control signals CS1 to CS4 from the controller 2010. The channel voice signals A.SG1 (A.SG2) and the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A.SG3 (A.SG4) of the voice multicast signal read out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to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Alternatively switching to provide third to fourth switched voice signals 2041 and 2051.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는 튜너(100)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좌 채널 음성 신호(A.SG3)를 제1 및 제2 고정 접점들(2022)(202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1 스위칭 제어 신호(CS1)에 응하여 제1 가동 접점(2024)을 제1 고정 접점(2022) 또는 제2 고정 접점(202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를 제공한다.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receives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from the tuner 100 and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3 read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2022 and 2023, respectively, and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4 is either the first fixed contact 2022 or the second fixed contact 2023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CS1 from the controller 2010. Switch to provide the first switched voice signal 2021.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는 튜너(100)로부터의 우 채널 음성 신호(A.SG2)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우 채널 음성 신호(A.SG4)를 제3 및 제4 고정 접점들(2032)(203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2 스위칭 제어 신호(CS2)에 응하여 제2 가동 접점(2034)을 제3 고정 접점(2032) 또는 제4 고정 접점(203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2031)를 제공한다.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receives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from the tuner 100 and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4 read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2032 and 2033,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2034 or the third fixed contact 2032 or the fourth fixed contact 2033 in response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CS2 from the controller 2010. Switch to provide a second switched voice signal 2031.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는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로부터의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와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로부터의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2031)를 제5 및 제6 고정 접점들(2042)(204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3 스위칭 제어 신호(CS3)에 응하여 제3 가동 접점(2044)을 제5 고정 접점(2042) 또는 제6 고정 접점(204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스위칭된 음성 신호(2041)를 제공한다.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includes the first switched speech signal 2021 from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and the second switched speech signal 2031 from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 Is input to the fifth and sixth fixed contacts 2042 and 2043, respectively, and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is connected to the fifth fixed contact in response to the third switching control signal CS3 from the controller 2010. 2042 or sixth fixed contact 2043 to provide a third switched voice signal 2041.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는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로부터의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와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로부터의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2031)를 제7 및 제8 고정 접점들(2052)(205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4 스위칭 제어 신호(CS4)에 응하여 제4 가동 접점(2054)을 제7 고정 접점(2052) 또는 제8 고정 접점(205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2051)를 제공한다.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includes a first switched speech signal 2021 from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and a second switched speech signal 2031 from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 Are input to the seventh and eighth fixed contacts 2052 and 2053, respectively, and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is connected to the seventh fixed contact in response to the fourth switching control signal CS4 from the controller 2010. 2052 or eighth fixed contact 2053 to provide a fourth switched voice signal 2051.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02)는 제1 및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270)로 이루어져 있다.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02)는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5 및 제6 제어 신호들(CS5)(CS6)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1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A.SG1)(A.SG2)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및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2061)(2071)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내장된 오디오 기록 헤드에 제공한다.4 is a circuit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included in a control device for separately recording a main voice and a sub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record switching unit 2002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audio record switching units 2060 and 270. The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02 control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dio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100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CS5 and CS6 from the controller 2010. Alternatively, the channel voice signals (A.SG1) (A.SG2) are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so that the fifth and sixth switched voice signals (2061) (2071) are integrated into the video cassette recorder. To the recording head.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는 튜너(100)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와 우 채널 음성 신호(A.SG2)를 제9 및 제10 고정 접점들(2062)(206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5 스위칭 제어 신호(CS5)에 응하여 제5 가동 접점(2064)을 제9 고정 접점(2062) 또는 제10 고정 접점(206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스위칭된 음성 신호(2061)를 제공한다.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receives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and the right channel voice signal A.SG2 from the tuner 100 in the ninth and tenth fixed contacts 2062 and 2063. And fifth switching by switching the fifth movable contact 2064 to the ninth fixed contact 2062 or the tenth fixed contact 2063 in response to the fifth switching control signal CS5 from the controller 2010. Voice signal 2061 is provided.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는 튜너(100)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와 우 채널 음성 신호(A.SG2)를 제11 및 제12 고정 접점들(2072)(2073)로 각각 입력하며, 제어기(2010)로부터의 제6 스위칭 제어 신호(CS6)에 응하여 제6 가동 접점(2074)을 제11 고정 접점(2072) 또는 제12 고정 접점(2073)으로 스위칭하여서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2071)를 제공한다.The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connects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and the right channel voice signal A.SG2 from the tuner 100 to the eleventh and twelfth fixed contacts 2072 and 2073. And sixth switching by switching the sixth movable contact 2074 to the eleventh fixed contact 2072 or the twelfth fixed contact 2073 in response to a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 CS6 from the controller 2010. Voice signal 2071 is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상기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유닛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도 2에서 보여준 제어 장치(2010)는 원격 제어 유닛의 형태로 실시되며, 그 조작 버튼부는 사용자가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를 선택할 때, 주음성을 선택하기 위한 제1 버튼(2011), 부음성을 선택하기 위한 제2 버튼(2012) 그리고 주음성과 부음성을 동시에 선택하기 위한 제3 버튼(2013)을 포함한다. 제어 신호(CS)는 적외선 형태의 신호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and a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device 2010 shown in Fig. 2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unit, the operation button portion of which is the first button for selecting the main vo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playback mode or the recording mode. (2011), a second button 2012 for selecting sub-voices, and a third button 2013 for simultaneously selecting main and sub-audios. The control signal CS is an infrared signal.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는 원격 제어 유닛(2010)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CS)에 따라서 동작한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는 그 전면에 사용자가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를 선택할 때, 주음성을 선택하기 위한 제4 버튼(2110), 부음성을 선택하기 위한 제5 버튼(2120) 그리고 주음성과 부음성을 동시에 선택하기 위한 제6 버튼(2130)을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는 그 전면에 제1 내지 제3 버튼들(2011∼2013) 또는 제4 내지 제6 버튼들(2110)(2120)(2130)이 선택됨을 각각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표시 램프들(2080)(2090)(2100)을 포함한다.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CS generated by the user's button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2010.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has a fourth button 2110 for selecting a main voice, a fifth button 2120 for selecting a sub voice, and a main voice when the user selects a playback mode or a recording mode on the front thereof. And a sixth button 2130 for simultaneously selecting sub-voices. In additio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creen for indicating that the first to third buttons 2011 to 2013 or the fourth to sixth buttons 2110, 2120, and 2130 are select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To third display lamps 2080, 2090 and 2100.

이하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의 동작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 reproducing separately the main voice and the sub-au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텔레비전 수상기와 연결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 사용자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시청을 원할 때,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도 5 참조)는 TV 모드와 VCR 모드 가운데 TV 모드로 설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어기(2010)에 포함되는 키(key)들 또는 버튼들(도 5 참조)을 조작하여서 재생 모드와 주음성 모드를 선택할 때, 제어기(2010)는 제1 내지 제4 제어 신호들( CS1∼CS4)을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제1 내지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들(2020)(2030)(2040)(2050)에 각각 인가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 튜너(100)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즉, 주음성 신호) 와 우 채널 음성 신호(A.SG2)(즉, 부음성 신호)가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의 제1 고정 접점(2022)과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의 제3 고정 접점(2032)에 각각 제공된다.I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connected to the television receiver,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the television receiver,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see Fig. 5) is set to the TV mode among the TV mode and the VCR mode.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by operating keys or buttons (refer to FIG. 5) included in the controller 2010, the controller 2010 receives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CS1 to CS4) are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s 2020, 2030, 2040 and 2050 of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respectively. Further,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i.e., main audio signal) and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i.e., sub-audio signal) from the television receiver tuner 100 ar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The first fixed contact 2022 of the 2020 and the third fixed contact 2032 of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are respectively provided.

이때,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에서 제1 가동 접점(2021)은 제1 고정 접점(2022)으로 스위칭되어서 스위칭된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인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를 제공한다.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는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제5 고정 접점(2042)과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제7 고정 접점(2052)에 제공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1 is switched to the first fixed contact 2022 so that the first switched voice signal 2021, which is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is switched. ). The first switched voice signal 2021 is provided to the fifth fixed contact 2042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and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동작 모드가 주음성 모드이므로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에서 제3 가동 접점(2044)은 제5 고정 접점(2042)으로 스위칭되어서 제3 스위칭된 음성 신호(2041)를 제공한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에서 제4 가동 접점(2054)은 제7 고정 접점(2052)으로 스위칭되어서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2051)를 제공한다.Since the operation mode of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is the main audio mode,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is switched to the fifth fixed contact 2042 in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so that the third switched voice signal ( 2041). In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is switched to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to provide the fourth switched voice signal 2051.

TV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주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 고정 접점(2022) → 2제1 가동 접점(2024) → 제5 고정 접점(2042) → 제3 가동 접점(2044)이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 고정 접점(2022) → 제1 가동 접점(2024) → 제7 고정 접점(2052) → 제4 가동 접점(205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좌 채널 음성 신호(A.SG1)로 하고 있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TV mode,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is the first fixed contact 2022 → the second first movable contact 2024. → fifth fixed contact 2042 → third movable contact 204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is the first fixed contact 2022 →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4 →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to be.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TV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부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한 동작 과정을 참조하면,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3 고정 접점(2032) → 제2 가동 접점(2034) → 제6 고정 접점(2043) → 제3 가동 접점(2044)이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3 고정 접점(2032) → 제2 가동 접점(2034) → 제8 고정 접점(2053) → 제4 가동 접점(205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우 채널 음성 신호(A.SG2)로 하고 있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sub-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TV mode, referring to the above operation process,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is determined by the third fixed contact 2032? The second movable contact 2034 → the sixth fixed contact 2043 →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is the third fixed contact 2032 → the second movable contact 2034 → the eighth fixed contact 2053 →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to be.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TV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주+부 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주음성과 부음성2을 동시에 듣는 경우는 없으므로, 이 경우는 제어기(2010)에 의하여 동작 불능 상태로 인식되어서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스위칭 동작은 정지된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 sub 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TV mode, the main audio and the sub audio 2 are not simultaneously hear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10 recognizes the inoperable state and thus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Switching operation is stopped.

사용자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을 원할 때,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도 5 참조)는 TV 모드와 VCR 모드 가운데 VCR 모드로 설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어기(2010)에 포함되는 키(key)들 또는 버튼들(도 5 참조)을 조작하여서 재생 모드와 주음성 모드를 선택할 때, 제어기(2010)는 제1 내지 제4 제어 신호들( CS1∼CS4)을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제1 내지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들(2020)(2030)(2040)(2050)에 각각 인가한다. 또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좌 채널 음성 신호(A.SG3)(즉, 주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A.SG4)(즉, 부음성 신호)가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의 제2 고정 접점(2023)과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30)의 제4 고정 접점(2033)에 각각 제공된다.When the user wants to play the video cassette tape,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see Fig. 5) is set to the VCR mode among the TV mode and the VCR mode.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by operating keys or buttons (refer to FIG. 5) included in the controller 2010, the controller 2010 receives first to fourth control signals. (CS1 to CS4) are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s 2020, 2030, 2040 and 2050 of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3 (i.e., main audio signal) and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4 (i.e., sub-audio signal) read out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ar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The second fixed contact 2023 and the fourth fixed contact 2033 of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30, respectively.

이때,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20)에서 제1 가동 접점(2021)은 제2 고정 접점(2023)으로 스위칭되어서 스위칭된 좌 채널 음성 신호(A.SG3)인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를 제공한다.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2021)는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제5 고정 접점(2042)과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제7 고정 접점(2052)에 제공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20,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1 is switched to the second fixed contact 2023, so that the first switched voice signal 2021 which is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3 is switched. ). The first switched voice signal 2021 is provided to the fifth fixed contact 2042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and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동작 모드가 주음성 모드이므로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에서 제3 가동 접점(2044)은 제5 고정 접점(2042)으로 스위칭되어서 제3 스위칭된 음성 신호(2041)를 제공한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에서 제4 가동 접점(2054)은 제7 고정 접점(2052)으로 스위칭되어서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2051)를 제공한다.Since the operation mode of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is the main audio mode,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is switched to the fifth fixed contact 2042 in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so that the third switched voice signal ( 2041). In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is switched to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to provide the fourth switched voice signal 2051.

VCR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주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2 고정 접점(2023) → 제1 가동 접점(2024) → 제5 고정 접점(2042) → 제3 가동 접점(2044)이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2 고정 접점(2023) → 제1 가동 접점(2024) → 제7 고정 접점(2052) → 제4 가동 접점(205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좌 채널 음성 신호(A.SG3)로 하고 있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is the second fixed contact 2023 →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4 → From the fifth fixed contact 2042 to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is the second fixed contact 2023 → the first movable contact 2024 → the seventh fixed contact 2052 →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to be.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3.

VCR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부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한 동작 과정을 참조하면,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4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4 고정 접점(2033) → 제2 가동 접점(2034) → 제6 고정 접점(2043) → 제3 가동 접점(2044)이다.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5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4 고정 접점(2032) → 제2 가동 접점(2034) → 제8 고정 접점(2053) → 제4 가동 접점(205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우 채널 음성 신호(A.SG4)로 하고 있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sub-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40, is the fourth fixed contact 2033 → The second movable contact 2034 → the sixth fixed contact 2043 → the third movable contact 204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ourth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50, is the fourth fixed contact 2032 → the second movable contact 2034 → the eighth fixed contact 2053 → the fourth movable contact 2054. )to be.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4.

VCR 모드에서 재생 모드와 주+부 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주음성과 부음성을 동시에 듣는 경우는 없으므로, 이 경우는 제어기(2010)에 의하여 동작 불능 상태로 인식되어서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001)의 스위칭 동작은 정지된다.When the playback mode and the main + sub voice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the main voice and the sub voice cannot be hear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10 recognizes the inoperable state and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2001 The switching operation is stopped.

사용자가 튜너(100)(도 1 참조)로부터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A.SG1)(A.SG2)을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상에 기록하기를 원할 때,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도 5 참조)는 TV 모드와 VCR 모드 가운데 VCR 모드로 설정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어기(2010)에 포함되는 키(key)들 또는 버튼들(도 5 참조)을 조작하여서 기록 모드와 주음성 모드를 선택할 때, 제어기(2010)는 제5 및 제6 제어 신호들(CS5)(CS6)을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02)의 제1 및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들(2060)(2070)에 각각 인가한다. 또한, 튜너(100)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즉, 주음성 신호)는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의 제9 고정 접점(2062)과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의 제11 고정 접점(2072)에 각각 제공된다. 튜너(100)로부터의 우 채널 음성 신호(A.SG2)(즉, 부음성 신호)는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의 제10 고정 접점(2063)과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의 제12 고정 접점(2073)에 각각 제공된다.When the user wants to record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A.SG1 (A.SG2) from the tuner 100 (see FIG. 1) on the video cassette tape,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FIG. 5) is set to VCR mode among TV mode and VCR mode.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recording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by operating keys or buttons (refer to FIG. 5) included in the controller 2010, the controller 2010 receives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CS5) and CS6 ar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udio record switching units 2060 and 2070 of the audio record switching unit 200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i.e., the main audio signal) from the tuner 100 is connected to the ninth fixed contact 2062 and the second audio record switching unit of 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 And are provided at eleventh fixed contacts 2072 of 2070, respectively.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i.e., the sub-audio signal) from the tuner 100 is transmitted to the tenth fixed contact 2063 and the second audio record switching unit 2070 of the first audio record switching unit 2060. Are provided at each of the twelfth fixed contacts 2073.

이때,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에서 제5 가동 접점(2064)은 제9 고정 접점(2062)으로 스위칭되어서 스위칭된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인 제5 스위칭된 음성 신호(2061)를 제공한다.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에서 제6 가동 접점(2074)은 제11 고정 접점(2072)으로 스위칭되어서 스위칭된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인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2071)를 제공한다. 제5 및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2061)(2071)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2000)(도 5 참조)에 내장된 오디오 기록 헤드에 제공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the fifth movable contact 2064 is switched to the ninth fixed contact 2062, so that the fifth switched voice signal 2061 which is 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is switched. ). In the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the sixth movable contact 2074 is switched to the eleventh fixed contact 2072 to receive the sixth switched voice signal 2071 which is the switched left channel voice signal A.SG1. to provide. Fifth and sixth switched voice signals 2061 and 2071 are provided to an audio recording head embedded i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2000 (see FIG. 5).

VCR 모드에서 기록 모드와 주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9 고정 접점(2062) → 제5 가동 접점(2064)이다.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1 고정 접점(2072) → 제6 가동 접점(207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좌 채널 음성 신호(A.SG1)로 하고 있다.When the recording mode and the main 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is the ninth fixed contact 2062 → the fifth movable contact 2064. .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is the eleventh fixed contact 2072 → the sixth movable contact 2074.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VCR 모드에서 기록 모드와 부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한 동작 과정을 참조하면,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0 고정 접점(2063) → 제5 가동 접점(2064)이다.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2 고정 접점(2073) → 제6 가동 접점(2074)이다. 즉, 좌 채널 출력과 우 채널 출력 모두 그 음성 신호의 소스를 우 채널 음성 신호(A.SG2)로 하고 있다.When the recording mode and the sub-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is determined from the tenth fixed contact 2063 to the fifth channel. 5 movable contacts 206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is the twelfth fixed contact 2073-&lt; th &gt; That is, both the left channel output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use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as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VCR 모드에서 기록 모드와 주+부 음성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한 동작 과정을 참조하면,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60)의 출력인 좌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9 고정 접점(2062) → 제5 가동 접점(2064)이다.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2070)의 출력인 우 채널 측에서 본 스위칭 경로는 제12 고정 접점(2073) → 제6 동 접점(2074)이다. 즉, 좌 채널 출력의 음성 신호의 소스는 좌 채널 음성 신호(A.SG1)이고, 우 채널 출력 음성 신호의 소스는 우 채널 음성 신호(A.SG2)이다.When the recording mode and the main + sub audio mode are selected in the VCR mode, referring to the above operation process, the switching path viewed from the lef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first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60, is the ninth fixed contact 2062. → the fifth movable contact 2064. The switching path seen from the right channel side, which is the output of the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2070, is the twelfth fixed contact 2073-the sixth copper contact 2074. That is, the source of the audio signal of the left channel output is the left channel audio signal A.SG1, and the source of the right channel output audio signal is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A.SG2.

본 발명에 따른,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서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가 분리되어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의하여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기록된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재생하거나 현재 튜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주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를 분리하여서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재생 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음성 모드와 부음성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때 원하는 언어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기록 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음성 모드, 부음성 모드 그리고 주+부 음성 모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때 원하는 언어로 방송을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다.In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video 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 reproducing separately the main voice and the sub-au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audio signal included in the voice multicast signal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Video cassettes are recorded on audio tracks. In addition,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audio signal included in the audio multicast signal provided by the tuner or reproduced separately from the main audio signal and the sub-audio signal recorded on the audio track of the video cassette tape by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Play back separately. Therefore, when the user sets the video tape recorder to the playback mode,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in a desired language when selecting one of the main audio mode and the sub audio mode. Also, when the user sets the video tape recorder to the recording mode, the broadcast can be recorded on the video cassette tape in a desired language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ain audio mode, the sub audio mode, and the main + sub audio mode.

이상, 본 발명을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concretely by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improvement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of the common knowledg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laims (3)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드 설정 신호들에 응하여 제1 내지 제6 스위칭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수단;Control means for providing first to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s in response to mode setting signals input by a user;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1 내지 제4 스위칭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내지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 스위칭 수단; 그리고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provided from a tuner embedded in a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the first through fourth switch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means and left of a voice multicast signal read from a video cassette tap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means for providing third to fourth switched voice signals by alternatively switching right channel voice signals to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And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5 및 제6 제어 신호들에 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된 튜너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다중 방송 신호의 좌0f우 채널 음성 신호들을 해당 오디오 신호 경로들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및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들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내장된 오디오 기록 헤드에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기록 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In response to the fifth and sixth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means, the left and right channel voice signals of the voice multicast signal provided from the tuner embedded in the television receiver are selectively switched to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paths. A control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 reproducing main audio and sub-audi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udio recording switching means for providing the sixth switched voice signals to an audio recording head embedded in the video cassette record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 스위칭 수단은, 튜너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좌 채널 음성 신호를 제1 및 제2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1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1 가동 접점을 제1 고정 접점 또는 제2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2.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means inputs left channel audio signals from the tuner and left channel audio signals read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s, respectively, and from the control means. A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for providing a first switched voice signal by switching the first movable contact to the first fixed contact or the second fixed contact in response to the first switching control signal; 튜너로부터의 우 채널 음성 신호와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독출되는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제3 및 제4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2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2 가동 접점을 제3 고정 접점 또는 제4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from the tuner and the right channel audio signal read out from the video cassette tape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third and fourth fixed contacts, and the second movable contact is removed in response to the second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for providing a second switched voice signal by switching to a third fixed contact or a fourth fixed contact;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로부터의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와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로부터의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5 및 제6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3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3 가동 접점을 제5 고정 접점 또는 제6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3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3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 그리고A first switche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and a second switched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fifth and sixth fixed contacts, and a third from the control means; A thir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for providing a third switched voice signal by switching the third movable contact to the fifth fixed contact or the sixth fixed contact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제1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로부터의 제1 스위칭된 음성 신호와 제2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로부터의 제2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7 및 제8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4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4 가동 접점을 제7 고정 접점 또는 제8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4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4 오디오 재생 스위칭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A first switche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and a second switched voice signal from the second audio reproduction switching unit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seventh and eighth fixed contacts, and the fourth from the control means; Main audio and sub-audio,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audio contact switching portion for providing a fourth switched voice signal by switching the fourth movable contact to the seventh fixed contact or the eighth fixed contact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Control device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for separately recording / play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기록 스위칭 수단은, 튜너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제9 및 제10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5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5 가동 접점을 제9 고정 접점 또는 제10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5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 그리고2. The audio recording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dio recording switching means inputs a left channel audio signal and a right channel audio signal from a tuner to the ninth and tenth fixed contacts, respectively, and to a fifth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first audio record switching section for providing a fifth switched voice signal by correspondingly switching the fifth movable contact to a ninth fixed contact or a tenth fixed contact; And 튜너로부터의 좌 채널 음성 신호와 우 채널 음성 신호를 제11 및 제12 고정 접점들로 각각 입력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6 스위칭 제어 신호에 응하여 제6 가동 접점을 제11 고정 접점 또는 제12 고정 접점으로 스위칭하여서 제6 스위칭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오디오 기록 스위칭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음성과 부음성을 분리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어 장치.The left channel voice signal and the right channel voice signal from the tuner are input to the eleventh and twelfth fixed contacts, respectively, and the sixth movable contact is made up of the eleventh fixed contact or the twelfth in response to the sixth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nd a second audio recording switching unit for providing a sixth switched voice signal by switching to a fixed contact.
KR1019970028901A 1997-06-30 1997-06-30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KR199900047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901A KR19990004760A (en) 1997-06-30 1997-06-30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901A KR19990004760A (en) 1997-06-30 1997-06-30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760A true KR19990004760A (en) 1999-01-25

Family

ID=6598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901A KR19990004760A (en) 1997-06-30 1997-06-30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76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199A (en) * 1999-05-10 2000-12-26 김충한 Apparatus for Streo Track Separating Record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199A (en) * 1999-05-10 2000-12-26 김충한 Apparatus for Streo Track Separating Record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781A (en) Combination of VCR Index and EPG
JPH04290399A (en) Av system controller
KR960001539B1 (en) Video signal switching apparatus
KR930007060B1 (en) Recoding and displaying system in vtr
KR19990004760A (en) Video car for recording / playback of main and sub audio separately
JPH06111539A (en) Unitary-body system of disk reproducer and video tape recorder
JPH07288874A (en) Composite av equipment
JP2000175140A (en) Program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JP3060428B2 (en) Television receiver
JP2688395B2 (en) Integrated system of audio tape recorder and video tape recorder
JP2889238B2 (en) Video signal switching device
KR018026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ideo
KR200144165Y1 (en) Tv/video mode converting apparatus by number key button of televideo
KR0171331B1 (en) Teletext data processing system for tv having disk drive
JPH09307833A (en) Audio controller for video equipment and audio control method
KR940005792B1 (en) Switching method and circuit of double deck vcr
KR01643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bilingual broadcasting signal
JP2600658B2 (en) TV receiver
JPH07288873A (en) Composite av equipment
KR960010429Y1 (en) Audio/video signal choosing circuit
KR01643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bilingual broadcasting signal
KR950011663B1 (en) Vcr switching apparatus
JPH0479054A (en) Repeated reproducing device for video tape recorder
JPH01105283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video tape recorder
KR0143253B1 (en) Two channel simultaneously recording apparatus of v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