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553U -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553U
KR19990004553U KR2019970017723U KR19970017723U KR19990004553U KR 19990004553 U KR19990004553 U KR 19990004553U KR 2019970017723 U KR2019970017723 U KR 2019970017723U KR 19970017723 U KR19970017723 U KR 19970017723U KR 19990004553 U KR19990004553 U KR 199900045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lder
deflection yoke
neck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수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70017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553U/ko
Publication of KR19990004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553U/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를 개신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패널과; 네크부를 가지는 퍼넬과; 네크 홀더가 형성된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홀더,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가지는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네크 홀더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 가능한 삽입부 및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편향 요크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된 상기 각각의 삽입부 및 절개부 외주면을 감싸는 단일의 클램프 부재에 의해 상기 네크부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칼러 음극선과 조립체에서는 단일의 클램프에 의해서 편향 요크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의 고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본 고안은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 요크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convergence purity magnet)가 단일의 클램프로 고정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는 텔레비젼 수상기나 모니터등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된 전자 비임이 패널의 내부에 형성된 형광막에 주사됨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칼러 음극선관에서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된 전자 비임을 패널 내측 전면에 걸쳐 주사하려면 전자 비임에 수직 방향 및 수평 편향 자계를 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소위 편향 요크를 칼러 음극선관 퍼넬의 넥크부에 설치된다. 또한 레드, 그린 및, 블루의 3 색에 대응하는 전자 비임을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거리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비임에 대응하는 형광체 도트(dot)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하는 퓨리티 조정을 수행하고, 아울러 상기 3 색중 2 색에 대응하는 전자 비임을 동일하거나 또는 반대 방향에서 동일한 거리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하나의 색에 중첩시키고 화면 중앙에 집중되도록 하는 콘버전스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콘버젼스 퓨리티 마그네트가 칼러 음극선관 퍼넬의 넥크부에 설치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는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2)가 장착되는 패널(13)과, 네크부(14a)에 전자총(15)이 봉입되는 펀넬(14)과, 상기 네크부(14a)의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 요크(16)와, 또한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17)를 구비한다.
도 2에는 통상적인 편향 요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편향 요크(20)는 전체적으로 꼭지점 부분이 부분이 절단된 원추형을 가지는 세퍼레이터(21)와, 상기 세퍼레이터(21)의 외측 표면에 설치된 수직 편향 코일(22)과, 세퍼레이터(21)의 일측에 형성된 네크 플레이트 부분(23) 및 네크 홀더 부분(24)을 구비한다.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퍼레이터(21)의 내부에는 수평 편향 코일이 설치된다.
위와 같은 편향 요크(20)는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14a)를 세퍼레이터(21)의 내부 공간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칼러 음극선관에 조립되며, 네크 홀더(24)의 외주면에서 클램프(25)를 볼트(26a)와 너트(26b)로 조임으로써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는 통상적인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는 모두 6 개의 마그네트(31)가 한쌍씩 홀더(33)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한쌍의 마그네트(31)들 사이에는 스페이서(32)가 개재된다. 홀더(33)는 도 1에 도시된 음극선관의 네크부(14a)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 단부(33a)는 소정 형상으로 절개되어 후크(33b)의 형상을 가진다. 홀더(33)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31)는 홀더(33)의 후크(33b)에 걸려서 홀더(33)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클램프(34)는 홀더(33)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30)는 도 1에 도시된 음극선관의 네크부(14a)가 홀더(3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음극선관에 설치된다. 즉, 네크부(14a)가 홀더(33)에 삽입되고, 마그네트(31) 및 스페이서(32)가 홀더(33)의 외주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클램프(34)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면 마그네트(31)와 스페이서(32)는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클램프(34)는 볼트(35a)와 너트(35b)를 상호 체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통상의 편향 요크(20)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를 구비한 칼러 음극선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편향 요크(20)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네크(14a)에 조립되므로, 부품의 수 및 조립 공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편향 요크(20)는 클램프(25)에 의해 네크(14a)에 조립되고,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는 별도의 클램프(25)에 의해 네크(14a)에 조립되므로 최소한 2 개의 클램프가 필요하며, 이러한 부품의 조립은 별도의 공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에 편향 요크(20)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를 소정 위치에 조립하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즉, 편향 요크(20)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30)는 네크(14a)의 길이 방향에서 상호간에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가지도록 조립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상대적인 관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작업이 곤란하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체결 수단을 통해 편향 요크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는 칼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네크부상에서 편향 요크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 상호간의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 칼러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통상적인 편향 요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통상적인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 요크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4. 퍼넬 14a. 넥크부
15. 전자총 16. 편향 요크
20. 편향 요크 21. 세퍼레이터
22. 수직 편향 코일 25. 클램프
31. 마그네트 32. 스페이서
40. 편향 요크 44. 넥크 홀더
50.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 54. 클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네크부를 가지는 퍼넬과; 상기 네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네크 홀더가 형성된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홀더,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가지는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네크 홀더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구비된 마그네트 홀더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 가능한 삽입부 및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편향 요크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된 상기 각각의 삽입부 및 절개부 외주면을 감싸는 단일의 클램프 부재에 의해 상기 네크부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네크부상에서 상기 편향 요크에 대한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상기 편향 요크에 형성된 네크 홀더의 삽입부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구비된 마그네트 홀더의 삽입부에는 스케일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마그네트 또는 스페이서의 축방향 이동을 제하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상기 돌기부에 대하여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 링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칼러 음극선관에 구비된 편향 요크 및 콘버전스 퓨리트 마그네크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편향 요크(40)는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부(14a)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세퍼레이터(41)와, 상기 세퍼레이터(41)의 일측에 형성된 네크 플레이트(43) 및 네크 홀더(44)와, 상기 세퍼레이터(41)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수직 편향 코일(42) 및 세퍼레이터(41)의 내부 표면에 설치된 수평 편향 코일(미도시)을 구비한다. 네크 홀더(44)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서 외주면을 절개함으로써 삽입부(44a)와 절개부(44b)를 형성하며, 이러한 삽입부(44a) 및 절개부(44b)는 이후에 설명될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의 홀더에 형성된 삽입부 및 절개부에 결합된다.
한편,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는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부(14a)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마그네트 홀더(53)와, 상기 마그네트 홀더(53)의 외주면에 결합될 마그네트(51) 및 스페이서(52)를 구비한다. 마그네트 홀더(53)에서 상기 편향 요크(40)를 향하는 부분에는 편향 요크(40)의 네크 홀더(44)에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부(57a)와 절개부(57b)가 형성된다.
마그네트 홀더(53)의 외주면에는 돌기부(53a)가 형성된다. 돌기부(53a)는 그 위에 끼워진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51) 또는 스페이서(52)가 마그네트 홀더(53)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마그네트 홀더(53)의 일 단부에는 나사부(53b)가 형성되며, 나사부(53b)에는 고정 링(56)이 결합된다. 고정 링(56)의 내측면에는 상기 마그네트 홀더(53)의 나사부(53b)에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링(56)은 마그네트 홀더(53)의 외주면에 끼워진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51)와 스페이서(52)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고정 링(56)을 마그네트 홀더(53)의 축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그 외주면에 끼워진 마그네트(51)와 스페이서(52)를 돌기부(53a)에 가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편향 요크(40)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가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부(14a)에 결합될 때, 상기 편향 요크(40)의 삽입부(44a)는 마그네트 홀더(53)의 절개부(57b)에 삽입되고, 편향 요크(40)의 절개부(44b)에는 마그네트 홀더(53)의 삽입부(57a)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편향 요크(40)에 대한 마그네트 홀더(53)의 상대적인 위치는 각각의 삽입부(44a,57a)에 형성된 스케일(45 58)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즉, 편향 요크(40)의 삽입부(44a)에 형성된 특정의 스케일(45)에 대하여, 마그네트 홀더(53)의 삽입부(57a)에 형성된 스케일(58)이 일치하는 지점까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를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부(14a)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 선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편향 요크(40)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의 고정은 단일의 클램프(54)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프(54)는 편향 요크(40)의 네크 홀더(44)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의 네크 홀더(53)가 서로 교차하는 외주면을 함께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만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편향 요크(40)의 네크 홀더(44)에 형성된 삽입부(44a)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의 네크 홀더(53)에 형성된 절개부(57b)로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편향 요크(40)의 네크 홀더(44)에 형성된 절개부(44b)에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의 네크 홀더(53)에 형성된 삽입부(57a)가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44a,57a) 및 절개부(44b,57b) 사이에는 상호 교차되는 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교차 부분을 칼러 음극선관의 네크부(14a)에 가압시키는 클램프(54)를 채용함으로써, 편향 요크(40)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50)가 정위치에서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클램프(54)는 그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볼트(55a)를 너트(55b)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되며, 와셔(55c)가 상기 볼트(55a) 및 너트(55b) 사이에 개재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칼러 음극선관에서는 편향 요크 및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가 단일의 클램프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또한 조립 공수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부에 스케일을 형성하고, 스케일을 통해서 편향 요크와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 상호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전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측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네크부를 가지는 퍼넬과; 상기 네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네크 홀더가 형성된 편향 요크와; 상기 네크부에 결합되는 마그네트 홀더,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가지는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네크 홀더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구비된 마그네트 홀더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 가능한 삽입부 및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편향 요크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호 교차하여 결합된 상기 각각의 삽입부 및 절개부 외주면을 감싸는 단일의 클램프 부재에 의해 상기 네크부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상에서 상기 편향 요크에 대한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상기 편향 요크에 형성된 네크 홀더의 삽입부 및, 상기 콘버전스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에 구비된 마그네트 홀더의 삽입부에는 스케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마그네트 또는 스페이서의 축방향 이동을 제하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상기 돌기부에 대하여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고정 링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러 음극선과 조립체.
KR2019970017723U 1997-07-04 1997-07-04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KR199900045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723U KR19990004553U (ko) 1997-07-04 1997-07-04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723U KR19990004553U (ko) 1997-07-04 1997-07-04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53U true KR19990004553U (ko) 1999-02-05

Family

ID=6968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723U KR19990004553U (ko) 1997-07-04 1997-07-04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55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42B1 (ko) * 2002-07-25 2004-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921798B1 (ko) * 2009-07-31 2009-10-15 자화전자(주) 전자빔 집속장치의 마그넷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42B1 (ko) * 2002-07-25 2004-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KR100921798B1 (ko) * 2009-07-31 2009-10-15 자화전자(주) 전자빔 집속장치의 마그넷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7692A (en) Magnet assembly for correcting CRT misconvergence
KR19990004553U (ko) 칼러 음극선관 조립체
US4151561A (en) Adjustable yoke mounting for in-line beam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US3354336A (en) Ring magnetized across thickness with two diametrically opposed and oppositely oriented groups of magnetic pole pairs
KR950002426B1 (ko) 인-라인 칼라 디스플레이 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 장치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US3363127A (en) Permanent magnet beam control apparatus for a color television cathoderay tube
KR20000007026U (ko) 편향요크
KR910005198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구조물
KR20015404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100356291B1 (ko) 편향요크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20017620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0133687Y1 (ko) 디가우싱 코일 결합구조
KR200214313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0839416B1 (ko) 섹션 권선 방식의 편향 코일을 갖는 음극선관용 편향 장치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145774Y1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KR0126535Y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00000426Y1 (ko) 편향 요크용 세퍼레이터
KR100393558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312960Y1 (ko) 편향요크의 러버 마그네트 삽입구조
KR100732291B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9990025843U (ko) 편향요크용 컨버젼스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