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599A -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599A
KR19990001599A KR1019970024976A KR19970024976A KR19990001599A KR 19990001599 A KR19990001599 A KR 19990001599A KR 1019970024976 A KR1019970024976 A KR 1019970024976A KR 19970024976 A KR19970024976 A KR 19970024976A KR 19990001599 A KR19990001599 A KR 19990001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xtension
pager
call number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도현
박상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599A/ko
Publication of KR1999000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9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여 주도록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므로, 페이져 수신에 대한 응답전화가 있을때 호출자를 찾기 위하여 교환원이 안내 방송하지 않아도되어 교환원의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고, 호출자를 찾는 안내 방송에 기인한 실내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간이 교환장치가 설치된 대중 음식점, 호텔, 커피숍과 같은 장소에서 피호출자와 통화하기 위해서 프론트에게 별도의 부탁을 하지 않아도 되어 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본 발명은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여 주도록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되어 있는 내선 가입자가 국선측에 다이얼링하여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는 경우 해당 피호출자는 호출자와 통화하기 위하여 전화를 걸게 되는데, 이때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했던 내선 가입자에게 착신호를 정확히 연결해 주어야 만이 통화할수 있다.
종래에는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국선측에 다이얼링하여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는 경우에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면 누가 페이저 수신기를 호출했는 지를 모르기 때문에 교환원이 안내 방송하여 해당 호출자를 찾아 착신호를 연결해 주어야 하였으므로, 교환원의 업무가 증가되고 호출자를 찾는 안내 방송에 기인하여 실내에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점 또는 호텔 등의 사람이 많은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호출자를 찾는 안내 방송이 발생될 때 마다 호출자가 신경을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간이 교환장치가 설치된 대중 음식점, 호텔, 커피숍과 같은 장소에서 피호출자와 통화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에 자신이 호출한 호출번호를 알려주며 별도의 부탁을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여 주도록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이 교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페이져 수신기 호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호출 전화 연결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테이블 소거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이 교환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페이져 수신기 호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호출 전화 연결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 간이 교환장치 11, 41 : 국선 인터페이스
12, 42 : 스위칭부 13, 43 : 내선 인터페이스
14, 15, 44, 45 : 톤감지부 16, 46 : 톤발생부
17, 47 : 제어부 18, 48 : 메모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이 교환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 인터페이스(11), 스위칭부(12), 내선 인터페이스(13), 톤감지부(14, 15), 톤발생부(16), 제어부(17) 및 메모리부(18)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간이 교환장치(10)에 있어서, 국선 인터페이스(11)는 국선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고, 내선 인터페이스(13)는 내선 전화기(T1∼Tn)와 중계대 전화기(RT)에 대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고, 스위칭부(12)는 국선 인터페이스(11)와 내선 인터페이스(13) 사이의 통화로를 스위칭함으로써 내선 가입자에 대한 통화로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톤감지부(14)는 국선으로부터의 톤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7)에 인가하고, 톤감지부(15)는 내선 전화기(T1∼Tn)와 중계대 전화기(RT)으로 부터의 톤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7)로 인가하고, 메모리부(18)는 간이 교환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여러 데이타를 저장하고, 제어부(17)는 메모리부(18)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가동되어 각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톤발생부(16)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톤신호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수신기의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전화기의 내선번호와 호출번호 뒷자리(4자리)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하여 놓은후,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 중계대 전화기(RT)의 안내원이 피호출자와 통화하여 호출번호 뒷자리(4자리)를 입력함에 따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서 해당 호출자의 내선번호를 찾아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주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된 사항을 소거하도록 구성된다.
간이 교환장치(10)의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는 경우 도2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한다. 즉, 내선 전화기(T1∼Tn)가 오프훅 되면(스텝 S1), 간이 교환장치(10)의 제어부(17)는 스위칭부(12)를 제어하여 내선 전화기(T1∼Tn)를 국선에 연결시키고,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호출번호가 다이얼링되면(스텝 S2), 해당 호출번호는 페이져 국선측에 송출됨과 동시에 간이 교환장치(10)의 제어부(17)에 의해 감지되는데, 제어부(17)는 톤감지부(15)를 통해 호출 서비스 번호 12, 15 등을 인지함으로써 호출번호를 인지하여 호출번호 뒷자리(4자리)와 해당 내선전호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기록한후(스텝 S3), 호출이 완료되면(스텝 S4), 동작 종료한다.
그리고,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가입자에게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순서로 내선 전화기(T1∼Tn)를 연결한다. 즉, 국선으로부터 호착신이 발생되면(스텝 S10), 간이 교환장치(10)의 제어부(17)는 해당 호착신을 톤감지부(14)를 통해 감지하여 톤발생부(16)를 제어해서 중계대 전화기(RT)측에 링신호를 출력하고, 이때 안내원이 중계대 전화기(RT)의 송수화기를 오프훅하면(스텝 S11), 제어부(17)는 스위칭부(12)를 제어하여 해당 착신호를 중계대 전화기(RT)측에 연결한다. 이와같이, 착신호가 중계대 전화기(RT)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내원이 중계대 전화기(RT)를 통해 발신자와 통화하여 해당 발신자의 페이저 호출번호를 확인한후, 중계대 전화기(RT)의 페이져 탐색 기능 버튼을 입력하면(스텝 S12), 제어부(17)는 해당 착신호를 보류상태로 진입시키고(스텝 S13), 이어서 중계대 전화기(RT)로부터 인가되는 호출번호의 뒷자리(4자리)를 입력받은후 페이져 탐색 기능 버튼의 입력을 받고 중계대 전화기(RT)의 온훅을 감지하면(스텝 S14), 해당 입력된 호출번호가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15). 이 스텝 S15에서 해당 입력된 호출번호가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7)는 해당 호출번호와 함께 등록되어 있는 내선번호의 내선 전화기(T1∼Tn)에 링신호를 송출하고 보류상태에 있는 착신호를 해당 내선 전화기(T1∼Tn)에 넘겨주어(스텝 S16), 호출자와 통화하게 한다(스텝 S17). 한편, 상기 스텝 S15에서 해당 입력된 호출번호가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7)는 톤발생부(16)를 제어하여 중계대 전화기(RT)측에 경고음을 송출하여(스텝 S18), 중계대 전화기(RT)가 오프훅되면 보류상태에 있는 착신호를 중계대 전화기(RT)측에 연결하여 안내원이 호출자가 없음을 안내할 수 있게 한다(스텝 S19).
한편,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된 사항을 소거하는 경우의 동작은 도4에 도시된 순서로 진행된다. 즉, 중계대 전화기(RT)가 오프훅 된후 중계대 전화기(RT)의 페이져 삭제 기능 버튼이 입력되면(스텝 S21), 간이 교환장치(10)의 제어부(17)는 메모리(18)의 호출번호 테이블을 소거할 준비를 갖추며, 그후 중계대 전화기(RT)로부터 내선번호가 입력되고 이어서 중계대 전화기(RT)의 페이져 삭제 기능 버튼이 한 번 더 입력되면(스텝 S22), 간이 교환장치(10)의 제어부(17)는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서 해당 입력된 내선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항목을 소거한후(스텝 S23), 톤발생부(16)를 제어하여 중계대 전화기(RT)에 확인음을 송출하며(스텝 S24), 중계대 전화기(RT)가 온훅되면(스텝 S25) 동작을 종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수신기의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전화기의 내선번호와 호출번호 뒷자리(4자리)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하여 놓은후,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 중계대 전화기(RT)의 안내원이 피호출자와 통화하여 호출번호 뒷자리(4자리)를 입력함에 따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서 해당 호출자의 내선번호를 찾아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주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18)의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된 사항을 소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착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이 교환장치(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 인터페이스(41), 스위칭부(42), 내선 인터페이스(43), 톤감지부(44, 45), 톤발생부(46), 제어부(47) 및 메모리부(48)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간이 교환장치(40)에 구비된 각 회로부는 도1에 도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각 회로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수신기의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전화기의 내선번호를 메모리부(48)에 등록하여 놓은후,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 피호출자로부터 호출자 코드가 입력되면 메모리부(48)에서 해당 내선번호를 찾아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주고, 메모리부(48)에 등록된 사항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소거하도록 구성된다.
간이 교환장치(40)의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는 경우 도6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한다. 즉, 내선 전화기(T1∼Tn)가 오프훅 되면(스텝 S61), 간이 교환장치(40)의 제어부(47)는 스위칭부(42)를 제어하여 내선 전화기(T1∼Tn)를 국선에 연결시켜 내선 전화기(T1∼Tn)에게 외부 국선을 점유시키고(스텝 S62),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수신기가 호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63). 이때 내선 전화기(T1∼Tn)를 통해 인가되는 해당 호출번호는 국선측에 송출됨과 동시에 간이 교환장치(40)의 제어부(47)에 의해 감지되는데, 제어부(47)는 톤감지부(45)를 통해 호출 서비스 번호 12, 15 등을 인지함으로써 페이져 호출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스텝 S63에서 간이 교환장치(40)의 제어부(47)는 페이져 호출이 발생됨을 확인하면, 해당 호출자의 내선번호를 메모리부(48)에 자동 저장하고(스텝 S64), 스위칭부(42)에 의해 연결된 통화로를 유지하여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호출 또는 통화 가능케 하고(스텝 S65), 내선 전화기(T1∼Tn)가 온훅 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S66), 내선 전화기(T1∼Tn)가 온훅 되면 스위칭부(42)를 제어하여 외부 국선을 차단하고 동작 종료한다(스텝 S67).
한편,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가입자에게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순서로 내선 전화기(T1∼Tn)를 연결한다. 즉,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인가되면(스텝 S70), 간이 교환장치(40)의 제어부(47)는 해당 호착신을 톤감지부(44)를 통해 감지하여 국선과의 통화로를 설정하고, 국선으로부터 톤감지부(44)를 통해 호출자 코드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스텝 S71), 예를들어 #74와 같이 '#'버튼과 숫자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된 호출자 코드를 인식하게 된다. 스텝 S71에서 호출자 코드가 입력되지 않고 내선번호가 인가되면 해당 내선 전화기(T1∼Tn)에게 링신호를 제공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하고(스텝 S77), 호출자 코드가 인가되면 메모리부(48)에서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를 검색하여(스텝 S72), 메모리부(48)에서 페이저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73). 이 스텝 S73에서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가 검출되면, 제어부(47)는 톤발생부(46)를 제어하여 해당 내선번호의 내선 전화기(T1∼Tn)에 링신호를 제공하고(스텝 S74), 해당 내선 전화기(T1∼Tn)로 부터 지정된 시간내에 오프훅 되어 응답되면(스텝 S75), 스위칭부(42)를 제어하여 착신호를 해당 내선 전화기(T1∼Tn)에게 연결하여 통화할수 있게한다(스텝 S76). 또한, 상기 스텝 S73에서 제어부(47)가 메모리부(48)로 부터 페이저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상기 스텝 S75에서 지정된 시간내에 내선 전화기로 부터 응답이 없으면, 국선링 응답자(안내자)의 내선 전화기에 호출링을 송출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적절한 응답을 하게한다(스텝 S78).
한편, 간이 교환장치(40)의 제어부(47)는 메모리부(48)에 저장된 페이져 호출한 내선번호를 소정시간(약 30분) 간격으로 자동 소거함으로써 새로운 내선번호가 저장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 소정의 음성메세지 송출수단에 의해 호출자 코드를 국선측에 송출하여 호출자 코드를 안내함으로써 페이져 피호출자가 호출자 코드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다이얼링하게 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내선 전화기(T1∼Tn)로부터 페이져 수신기의 호출이 발생되는 경우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 전화기의 내선번호를 메모리부(48)에 등록하여 놓은후,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착신이 발생되는 경우 피호출자로부터 규정된 호출자 코드가 입력되면 메모리부(48)에서 해당 내선번호를 찾아 착신호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주고, 메모리부(48)에 등록된 사항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소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착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이 교환장치에 수용된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여 해당 피호출자로 부터의 호가 착신되는 경우 착신호를 효율적으로 내선 가입자에게 연결하므로, 페이져 수신에 대한 응답전화가 있을때 호출자를 찾기 위하여 교환원이 안내 방송하지 않아도되어 교환원의 업무를 감소시킬 수 있고, 호출자를 찾는 안내 방송에 기인한 실내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간이 교환장치가 설치된 대중 음식점, 호텔, 커피숍과 같은 장소에서 피호출자와 통화하기 위해서 프론트에게 별도의 부탁을 하지 않아도 되어 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5)

  1. 내선 가입자가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하는 경우 해당 호출번호와 내선번호를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하는 제1과정과; 국선으로 부터의 착신호를 중계대 전화기에 연결하여, 중계대 전화기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호출번호 테이블에서 호출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검색 호출번호와 함께 등록된 내선번호의 내선 가입자에게 상기 착신호를 연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중계대 전화기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호출번호 테이블에 등록된 항목을 소거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국선으로 부터의 착신호를 중계대 전화기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계대 전화기가 오프훅됨을 감지한후 중계대 전화기의 페이져 탐색 기능 버튼이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착신호를 보류상태에 있게하는 제1단계와; 상기 중계대 전화기로 부터 호출번호를 입력받은후 상기 페이져 탐색 기능 버튼의 재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중계대 전화기의 온훅을 감지하면 상기 호출번호 테이블에 해당 호출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호출번호 테이블에 해당 호출번호가 있는 경우 호출번호와 함께 등록된 내선번호의 내선 가입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하고, 보류상태에 있는 상기 착신호를 해당 내선 가입자에게 넘겨주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중계대 전화기의 오프훅을 감지한후 상기 중계대 전화기의 페이져 삭제 기능 버튼이 입력됨을 감지하고, 상기 중계대 전화기로 부터 내선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페이져 삭제 기능 버튼의 재입력을 감지하는 제1단계와; 입력 내선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항목을 상기 호출번호 테이블에서 소거하는 제2단계와; 등록 항목의 소거를 통보하기 위한 확인음을 상기 중계대 전화기에 송출한후 중계대 전화기로 부터의 온훅을 감지하여 동작 종료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4. 링신호에 응답하여 국선을 연결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국선으로 부터 지정된 코드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지정된 코드가 입력되면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를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제3단계와; 상기 페이져 수신기를 호출한 내선번호가 검색되면 해당 내선번호에 링신호를 송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소정시간 내에 내선가입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국선링 응답자에게 링신호를 송출하여, 응답하면 통화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KR1019970024976A 1997-06-16 1997-06-16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KR19990001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76A KR19990001599A (ko) 1997-06-16 1997-06-16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76A KR19990001599A (ko) 1997-06-16 1997-06-16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99A true KR19990001599A (ko) 1999-01-15

Family

ID=6598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976A KR19990001599A (ko) 1997-06-16 1997-06-16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 a customer a promotional message between ringing signals or after a call waiting tone
JPH0652914B2 (ja) 発呼者電話番号表示装置
US8023632B2 (en) Method, system and article for providing a family tele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originating dual-tone multi-frequency trigger
SE9504378D0 (sv) System och förfarande för att undvika oönskade inkommande anrop till en telefon
JP2710122B2 (ja) 通信制御装置
US7295661B2 (en) Enhanced telecommunications alerting
KR19990001599A (ko) 페이져 호출자 자동 연결 방법
KR960043710A (ko) 3인통화 서비스가 가입된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 착신신호를 외출지로 자동연결하는 방법
JPH02159859A (ja) 自動車電話移動機の着信表示制御装置
JP3221438B2 (ja) 移動体電話装置
KR100212742B1 (ko) 자동 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에서 무선호출기로 녹음 갯수를 송출하는 방법
JPS63187755A (ja) 通信端末装置
JPS6243632B2 (ko)
KR100352266B1 (ko) 전화기의 착신자 통화방법
KR960043708A (ko) 키폰 시스템의 발신자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37205B1 (ko) 키폰 시스템의 착신 번호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JP3039535B2 (ja) 移動体電話装置
JP3050057B2 (ja) 電話装置
JPH04230152A (ja) 公衆網における話中不在時ヘルプサービス方式
JPS60213157A (ja) 電話転送システム
JPS6224753A (ja) 音声呼出機能付電話端末
JPH04230198A (ja) テレポイントにおける話中不在時ヘルプサービス方式
KR19990075541A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JPH05252276A (ja) Diサービス機能付電話装置
JPH05236119A (ja) 構内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