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844A - Data Transceiver and Data Transceiver System using CT-2 NET - Google Patents

Data Transceiver and Data Transceiver System using CT-2 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844A
KR19980084844A KR1019970020749A KR19970020749A KR19980084844A KR 19980084844 A KR19980084844 A KR 19980084844A KR 1019970020749 A KR1019970020749 A KR 1019970020749A KR 19970020749 A KR19970020749 A KR 19970020749A KR 19980084844 A KR19980084844 A KR 19980084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central control
transmit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27547B1 (en
Inventor
조상문
Original Assignee
조상문
주식회사 N.E.O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문, 주식회사 N.E.O 텔레콤 filed Critical 조상문
Priority to KR1019970020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547B1/en
Publication of KR19980084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5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6Telephone sets adapted for data transm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타 송수신 장치 및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감시 대상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수단을 제어담당하는 입력신호 제어수단과,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수단과, 검출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로 변환제어 및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입력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부호화수단과, 부호화된 데이타를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송수신수단과, 수신된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인식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복호화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를 감시대상에 설치하여 감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신호 데이타를 다수 분포된 발신전용 무선 전화 기지국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과 연계되는 CT-2 서비스망을 이용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omprising: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detection means installed in a monitoring target, and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Input signal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put means, input signal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control means for converting and controlling the respective data into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cted input signal, and controlling Data encoding means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pu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eans,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through the outgoing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and transmitting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receiving data, and decoding and receiving the received data CT-2 which is provided with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ata decoding means for monitoring, and is connected to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a distribution-only wireless telephone base station with a large number of signal data detected from the monitoring means. By using the service network to transm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Description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와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Data Transceiver and Data Transceiver System using CT-2 NET

본 발명은 데이타 송수신 장치 및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모니터링(monitoring) 대상 위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타를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하여 중앙의 통제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와, 원거리에 떨어져 다수 분포된 상기와 같은 데이타 송수신 장치와 중앙의 통제장치의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collected from a monitoring target location to a central control device using a call-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 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to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of a data controller and a central control device as described above, which are remotely distributed in a large number.

현대에 들어서면서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인화를 통한 데이타 처리와 이와 같이 처리된 데이타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 대한 데이타를 손쉽게 외부에서 받아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so that data about a desired location can be easily received from outside through data processing through unmanned processing.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기술내용이 가장 적절하게 적용되는 부분은 건물 등에 대한 경비보안 부분인 바, 야간의 도난이나 화재 등의 감시 또는 무인 점포(예를 들면 현금출금기 등이 설치된 장소) 등의 도난 감시 등을 중앙의 통제장치에서 이의 데이타를 받아 관리하고 있다.In general, the most appropriate application of such technical information is the security guard for buildings, such as nighttime theft or fire, or theft monitoring of unmanned stores (for example, ATMs). The central control unit receives and manages its data.

이와 같은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감시대상 위치에 대한 데이타의 수집수단과, 수집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장치와, 송신장치로부터 처리된 데이타를 중아의 통제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타 송신망과, 데이타 송신망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타를 처리하여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앙 통제장치가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operate such a system, a means for collecting data on a location to be monitored, a transmitter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the means for collecting the data, and data for transferring the processed data from the transmitter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middle child. There is a need for a central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transmission network and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to determine the site situation and to take a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된 도난 방지 장치 등의 감시 장치를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여 중앙 통제장치로 연결하고, 중앙 통제부에서는 이와 같이 공중 전화망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 건물 감시 장치로부터 현장에 대한 데이타를 전송받아 건물 내의 현장상황을 판단하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connects a surveillance device such as an anti-theft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to a central control unit using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monitors a plurality of buildings connected through such a public telephone network. The data of the site is transmitted from the device to determine the site situation in the building.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선망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을 실행하는 종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타 송신망이 유선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의로 전화선을 절단하게 되면, 일정시간동안 문제발생지역을 찾아낼 수 없는 등 보안상의 문제가 뒤따르게 되며, 또한 설치 및 유지 보수의 문제도 쉽지 않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that executes data transmission using a wired network as described above, if the telephone line is intentionally cut because the data transmission network is composed of a wired network, security problems may occur such that the problem area cannot be found for a certain time. It is also difficult to install and maintain.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T-2 서비스망을 이용하여 데이타 송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감시대상내에 설치된 감시센서와 연결하도록 하여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로 감시대상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며, 다수의 기지국을 통한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신함으로 인한 시스템 파괴 등의 보안상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using the CT-2 service network with the monitoring sensor installed in the monitoring target, the central control device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to the monitoring target In order to transmit the detected data,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and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minimize security problems such as system destruction by transmitting data wirelessly throug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을 보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using a call-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 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구성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a transmission-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의 구성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devi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 장치에 구성된 제어수단에서 진행되어지는 데이타 송신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performed by a control means configured in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은 각각의 감시대상에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타를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감시 대상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수단을 제어담당하는 제어수단과, 입력신호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수단 검출수단과, 입력수단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입력수단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로 변환제어 및 수신된 데이타의 해독에 따른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입력수단를 부호화(encoding)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부호화 수단과, 부호화된 데이타를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며, 중앙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송수신수단과, 호출신호 수신 및 호출 데이타를 수신하는 호출신호 수신수단과, 송수신수단 및 호출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 데이타를 복호화(decoding)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데이타 복호화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using the outgoing dedicated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on each monitoring target to detect for detecting a state for each location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sensed from a means to a central control device, comprising: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nsing means installed on a monitoring target, and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put means for receiving, input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input mean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put signal control means, and corresponding means according to the input means detected from the input means detecting means. Control in charge of controlling each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sion control and decryption of the received data Means, data encoding means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put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through the outgoing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and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data, call signal reception means for receiving call signal and call data, and decoding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and call signal receiving means And data decoding means for converting the data into recognizabl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감시대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데이타 송수신 장치와, 각각의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감시대상 각각의 상태를 판단하고,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 일정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송한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통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는 감시 대상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수단을 제어담당하는 입력수단 제어수단과, 입력수단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수단 검출수단과, 입력수단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입력수단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로 변환제어 및 수신된 데이타의 해독에 따른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입력수단을 부호화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부호화수단과, 부화화된 데이타를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며, 중앙통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송수신수단과, 호출신호 수신 및 호출 데이타를 수신하는 호출신호 수신수단과, 데이타 송수신수단 및 데이타 호출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데이타 복호화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통제장치는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수신 및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 제어신호 데이타 송신을 위한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해독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과, 해독된 데이타를 인식하여 해당 감시대상의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제어 및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동작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로 일정 명령을 전달하기 위하여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호화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와 중앙통제장치는 다수 분포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 기지국을 통해 공중 통신망과 연계되는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remote monitoring targets, and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eac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to determine the state of each monitoring target, and a constant a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It is composed of a central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to rece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receives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sensing means installed on the monitoring target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an input, an input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put means so as to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and an input means detection for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input means under control of the input means control means. Means and the input means detected from the input means detecting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each means of conversion control and decoding of received data into corresponding data, data encoding means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means det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incub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verted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through a dedicated dedicated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call signal receiving and receiving call signal receiving means, And data decoding means for decoding the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and the data call signal receiving means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recognizable data. For sending control signal data to the device A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a decoding means for decrypt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and a center for recognizing the decoded data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and controlling 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ans and encoding means for encoding command control signal data in orde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where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nd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have a plurality of distributed wireless telephone service base sta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transmission-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T-2 service network associated with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또한, 상기 데이타 송신 시스템은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제어수단에서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이상신호가 검출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중앙제어장치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중앙통제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여야 하는 설정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갖고 그 제어과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이상신호가 검출될 경우 또는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또는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 중앙통제장치로 감지된 신호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transmiss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by the control means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means, determining whether a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It ha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set time to be transmitted and its control process is performed, and when the abnormal signal is detected or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the set time is reached, it is detected by the central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he signal data.

또한, 상기 데이타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 장치는 감시대상에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중앙통제장치와 항상 다수 분포된 기지국을 통하여 공중통신망과 연계된 CT-2 서비스망으로써 온 라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data transmission syste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maintains the on-line state as a CT-2 service network connected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the base stations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at all times according to the state set for the monitoring target. It features.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감시대상(100, 200, 300)으로부터 CT-2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타를 중앙통제장치(20)에서 인식하여 감시대상(100, 200, 300) 각각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감시대상(100, 200, 300)에 데이타를 전송하여 정보의 수집 및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치된 부가적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recognizes 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through a CT-2 base station (B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and also transmit data to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to collect information and installed in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Provided is a system that enables control of additional devices.

이와 같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각 감시대상(100, 200, 300)에는 도 2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10)가 필요하게 되는 바,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syste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is required for each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is as follows. same.

감시대상(100, 200, 300)의 내외부 각 위치에 설치된 감지센서부(3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입력채널(11)과, 입력채널(11)의 신호입력 및 입력채널(11)을 통한 제어신호출력 제어를 위한 입력채널제어부(12)와, 입력채널(11)을 통해 입력되는 감지센서부(30)의 감지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검출부(13)와, 입력신호검출부(13)에서 검출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로 변환제어 및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해독에 따른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4)와, 검출된 입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엔코더(encoder)(15)와, 부호화된 데이타를 CT-2 서비스 기지국(BS)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과 연계되는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하며,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중앙통제장치(20)로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타 송수신부(16)와,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며, 호출을 통해 전달되는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수신하는 호출신호 수신부(17)와, 데이타 송수신부(16) 및 호출신호 수신부(17)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인식가능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디코더(decoder)(18)로 이루어진다.Through the input channel 11, the signal input and the input channel 11 of the input channel 11,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30 installed in each posi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In the input channel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output, the input signal detection unit 13 for detec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30 input through the input channel 11, and in the input signal detection unit 13 Control unit 14 in charge of control of each means according to the conversion control and decoding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detected input signal and the detected input signal can be encoded and transmitted. An encoder 15 to transmit the encoded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the CT-2 service base station BS,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he central control center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6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device 20 and a call signal receiving unit 17 for receiving a call signal output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nd receiving command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through a call. And a decoder 18 for decoding the control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6 and the call signal receiving unit 17 and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data into recognizable data.

도 3은 상기에서와 같은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부터 데이타를 전송받아 하나 이상의 다수 분포된 감시대상(100, 200, 300)을 중앙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통제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는 중앙통제장치(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3 is a configuration of a central control device 20 to receive data from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to centrally monitor and control one or more multiple distributed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As shown,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is as follows.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수신 및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 송신을 위한 송수신부(21)와, 송수신부(21)로 수신된 데이타를 복호화하기 위한 디코더(22)와, 복호화된 데이타를 인식하여 해당 감시대상(100, 200, 300)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에 따른 제어동작수행 및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의 동작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23)와,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 일정명령을 전달하기 위하여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부호화하기 위한 엔코더(24)로 이루어진다.Receiving unit 21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and transmitting command control signal data to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and a decoder for decoding the data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 ( 22)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23 which recognizes the decoded data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and performs the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And an encoder 24 for encoding command control signal data in order to transmit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미 설명부호 25는 키이(Key) 입력부, 26은 데이타 저장부이다.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key input unit and 26 a data storage unit.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감시대상(100, 200, 300)에 각각 설치된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부터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감지결과에 따른 데이타를 중앙통제장치(20)에서 전송받아 각각의 감시대상(100, 200, 300)의 현재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consisting of one or more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Received from the device 20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each of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ly.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중앙통제장치(20)는 보안경비업체(ex; secom, caps)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라 할 수 있으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는 이와 같은 보안경비업체가 보안을 담당하게 될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예를 들어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control unit 20 may be referred to as 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security guards (ex; secom, caps),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0 is a surveillance that such security guards will be in charge of security. If the operation is described for example by being installed in the object 100, 200, 300 as follows.

먼저, 감시대상(100, 200, 300)에는 각 위치 즉, 현관문감지센서(31), 후문감지센서(32), 금고감지센서(33), 화재감지센서(34) 등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30)를 설치하게 된다.First,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to detect the presence or failure of each position, that is, the front door sensor 31, the back door sensor 32, the safe sensor 33, the fire sensor 34, etc. The sensor unit 30 to be installed.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감지센서부(30)는 감시대상(100, 200, 30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 구성된 입력채널(11)의 각 채널에 연결된다.The detection sensor unit 3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each channel of the input channel 11 configured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따라서, 감지센서부(30)에서 감지된 신호는 입력채널(11)을 통하여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 입력되어지며, 이때 입력채널(11)을 통하여 입력되는 감지신호는 입력채널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서 신호 입력이 진행되어진다.Therefor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sensor unit 30 is input to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through the input channel 11, wherein the sensing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channel 11 is input channel control unit 12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ignal input proceeds.

입력신호검출부(13)에서는 이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신호 검색(signal detector)하여 각 채널의 현재 상태(channel status)를 인식한 후, 이를 제어부(14)로 알려주게 된다.The input signal detector 13 detects the current channel status of each channel by performing a signal detector on the input signal, and informs the controller 14 of this.

제어부(14)에서는 입력신호검출부(13)로부터 전달된 상태 데이타(status data)를 재분석하여 정상상태인지, 아니면 비상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14 re-analyzes status data transmitted from the input signal detector 13 to determine whether it is in a normal state or an emergency state.

이때,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상기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입력채널(11)을 감시하여 현재 상태를 계속하여 판단하게 된다.In this case, in the normal state, the input channel 11 is monito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continuousl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그러나, 외부침입자가 있을 경우, 또는 화재가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감지센서(31, 32, 33, 34)가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However, when there is an external invader, or when a fire is detecte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ensors 31, 32, 33, 34 output a detection signal.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출력된 감지신호는 입력채널(11)의 해당 채널을 통하여 입력되며, 이와 같이 입력채널(11)로 입력되는 신호는 입력신호검출부(13)를 통하여 신호 검출된다.Accordingly, the sensing signal output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of the input channel 11, and the signal input to the input channel 11 is signal detected through the input signal detector 13.

제어부(14)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비상상태임을 판단하게 되고, 비상상태임을 판단하게 되면 검출된 신호로부터 채널 번호와 상태 데이타를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하여 엔코더(15)로 출력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4 analyzes the detected signal as described above to determine the emergency sta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tate, and transmits the channel number and status data from the detected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o the encoder ( 15).

엔코더(15)에서는 이와 같이 입력된 채널 번호와 상태 데이타 및 감시대상(100, 200, 300)의 고유번호 데이타를 엔코딩하여 전송하기 위한 신호형태로 변환하게 된다.The encoder 15 converts the input channel number and status data and the unique number data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into a signal form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이후, 상기 엔코더(15)에서 엔코딩된 데이타는 데이타 송수신부(16)를 통해 제어부(14)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송신되어진다.Thereafter, the data encoded by the encoder 15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number set in the control unit 14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6.

상기와 같이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서 송신된 데이타는 CT-2 기지국(BS)을 통해 공중통신망(PSTN)으로 중계되어 중앙통제장치(20)에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is relayed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the CT-2 base station BS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중앙통제장치(20)에서는 이와 같이 전송되어온 데이타를 디코더(22)에서 디코딩하여 변환되어지기 전에 데이타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decodes the data transmitted in this way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data form before being decoded by the decoder 22 and converted.

중앙제어부(23)에서는 상기와 같이 변환된 데이타를 분석하게 되는 바, 감시대상(100, 200, 300)의 고유번호를 인식하여 어느 위치인지를 판단하고, 채널번호와 상태 데이타를 인식하여 어떠한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central control unit 23 analyzes the converted data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the unique number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to determine which position, and recognizes the channel number and state data to determine the state. The authorization is determined to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ly.

즉, 상기와 같츤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표시와 함께 순찰대원, 또는 화재일 경우에는 소방서 등에 자동 연락할 수 있는 단계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determining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ase of a fire with a warning sign or a fire, it will proceed to the step of automatically contacting the fire department.

한편, 중앙통제장치(20)에서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 의해 접속되어질 경우에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통제장치(20)에서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감시대상(100, 200, 300)에 CT-2 PLUS 서비스를 통해 호출하여 명령 제어 신호로써 감시대상을 원격 제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hen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0,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to the desired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at a desired time Calling through the CT-2 PLUS service enables remote control monitoring of the monitoring target as a command control signal.

이와 같은 경우 중앙통제장치(20)는 원하는 감시대상(100, 200, 300)을 결정하고, 명령 제어데이타를 결정한후, 명령 제어데이타를 엔코더(24)를 통하여 엔코딩하여 전송가능한 데이타 형태로 변환시키게 된다.In such a case,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determines the desired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and after determining the command control data, encodes the command control data through the encoder 24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transferable data format. do.

이후, 감시대상(100, 200, 300)의 호출신호로 송수신부(21)을 통해 다이얼링하여 호출하고,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와 호출이 연결되면, 상기 엔코더(24)에서 엔코딩된 데이타를 호출 데이타로써 전송한후 호출을 완료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call signal of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is dial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 and when the call is connected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the data encoded by the encoder 24 is called. After transferring as data, the call is completed.

이때, 호출 데이타로 전송되는 데이타에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채널번호와 상태감지 실행여부 등의 명령 제어신호가 포함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tted as the call data includes a command control signal such as a channel number of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whether or not to perform state sensing.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은 과정으로써,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한 동작을 실행하게 되는 바, 호출신호 수신부(17)를 통해 수신된 호출 데이타는 디코더(18)에 의해 디코딩되어 원래의 데이타 형태로 변환되어진다.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as in FIG. 4,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is executed. The call data received through the call signal receiver 17 is decoded ( Decoded by 18) and converted to the original data form.

이와 같이 변환된 명령 제어신호를 제어부(14)에서 읽어들여 입력채널(11)의 해당 채널번호 및 명령 실행여부를 판단하여 입력채널제어부(12)를 통해 해당번호의 채널에 대한 감지신호를 읽어들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command control signal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is read by the control unit 14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channel number of the input channel 11 and whether to execute the command, and through the input channel control unit 12 to read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channel of the corresponding number. Outputs a control signal.

이후, 입력채널제어부(12)에서는 해당번호의 채널로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검출부(13)에서 신호 검색하여 감지신호를 검출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14)에서 판단하여 중앙통제장치(20)에 CT-2 서비스망을 통해 중앙통제장치(20)와 접속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input channel controller 12 detects the detected signal input through the channel of the corresponding number as described above by the input signal detector 13 to detect the detected signal, and determines the detected signal by the controller 14 to control the central control. The apparatus 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and transmits the result thereof.

중앙통제장치(20)에서는 이와 같이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타를 인식하여 현재 감시대상(100, 200, 300)의 상태는 물론 데이타 송수신 장치(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를 인식할 수 있으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와 접속된 상태에서는 제어신호 데이타를 출력하여 원격 제어도 가능하다.In this way,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recogniz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to recognize whethe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is operating normally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current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In the state connected with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it is also possible to remote control by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data.

또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감지센서부(30)로부터 이상신호가 감지되거나,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호출이 왔을 경우이외에도 설정된 일정시간마다 감지결과를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detects an abnormal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unit 30 or receives a call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By transmitting to (20) it can be informed that the normal operation is mad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건에 따라서 전화를 거는 제어방식이 아니더라도, 항상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서 중앙통제장치(20)로 전화를 걸어 CT-2 서비스망을 통한 온 라인(on line)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실시간(real time)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a control method for making a phone call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always call from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0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to maintain an on-line state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Real time control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실시간 제어를 실행하게 될 경우에는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에서 각 감지센서부(30)로부터 전압, 전류, 온도, 습도 등의 환경 데이타를 실시간 수집하여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중앙통제장치(20)에서는 이와 같은 자료를 전송받아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치된 냉방기에 적용하게 되면, 자체온도 및 습도값을 실시간으로 중앙통제장치(20)에서 제어 감시할 수 일수도 있다.When real-time control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 may collect environmental data such as voltage, cur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each sensor 30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Therefore, when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receives such data and is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300), it can control and monitor its own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 in real time in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It may be days.

이와 같이 감시대상(100, 200, 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타 정보는 데이타 저장부(26)에 저장하게 되므로써, 이후에라도 시간대별, 장소별로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As such, the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targets 100, 200, and 300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6, whereby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lace can be searched later.

이와 같이 보안업체 뿐만 아니라, 자동판매기 등과 같이 외부에 다수 분포되어 있는 장치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와 연결하여 중앙통제장치(20)에서 자동판매기내의 물건수량, 판매량, 도난여부 등을 중앙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this way, as well as security companies, the sensor is installed in a large number of devices distributed outside, such as a vending machine, and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he quantity of goods in the vending machine, sales volume, Theft can be monitored centr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CT-2 서비스망을 그대로 사용하여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회선이용의 편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구축가능하며, 시스템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using the existing CT-2 service network as it i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ystem at the convenience of circuit use and at a low cost, and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system maintenance and repair. There is an effect that becomes possible.

또한 다수 분포된 기지국(BS)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에 연결하는 유, 무선 이중화구조의 CT-2 서비스망 특성상 무선데이타 송신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타 손실의 염려가 적다.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T-2 service network of the wired / wireless duplex structure connected to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a large number of distributed base stations (BS),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data loss.

그리고, 항상 중앙통제장치와 항상 온 라인상태의 실시간(real time) 제어와 조건(호출신호 수신시, 이상신호 감지시, 일정시간이 경과시)에 따라서 온 라인 제어됨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사용료로써, 모니터링 및 이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real-time control of the always-on state and the on-line contro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o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use a low-cost fee In other words, monitoring and control are possible.

Claims (6)

각각의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 대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30)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타를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Is installed in each of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for transmitting the data sensed from the sensing means 30 for detecting the state for each location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수단(30)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11)과,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수단(11)을 제어하는 입력신호 제어수단(12)과, 입력수단(11)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수단(13)과, 검출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에 사응하는 데이타로 변환제어 및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14)과, 제어수단(14)의 제어에 따라 검출된 입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부호화수단(15)과, 부호화된 데이타를 다수 분포되는 송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 기지국(BS)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과 연계되는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송수신수단(16)과, 수신된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복화하하여 제어수단(14)에서 인식가능한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데이타 복호화수단(18)을 포함하는 것을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Input means 11 for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detection means 30 installed in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and the input means to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11) an input signal control means (12) for controlling (11), an input signal detection means (13) for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input means (11), conversion control into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cted input signal, and A control means 14 in charge of controlling each means, a data encoding means 15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14, and a plurality of encoded data transmissions Through a dedicated wireless telephone service base station (BS) to transm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20 Receiving And a data decoding means (18) for convert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16) and the received command control signal data into a data recognizable by the control means (14).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using a network (CT-2 NET).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의 호출신호 및 호출 데이타를 수신하는 호출신호 수신수단(17)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ll signal receiving means (17) for receiving call signals and call data from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Data transceiver. 원거리에 위치한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감시대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와, 각각의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타를 입력받아 감시대상(100, 200, 300) 각각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앙통제장치(20)로 구성되며,Each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10 installed on a plurality of monitoring objects composed of one or more remote locations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10 are input to each of the monitoring objects 100, 200, and 300. Consists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0 to determine the state of,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는 감시대상에 설치된 각각의 감지수단(30)으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11)과, 감지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입력수단을 제어하는 입력신호 제어수단(12)과, 입력수단(11)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입력신호 검출수단(13)과, 입력신호 검출수단(13)으로부터 검출된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에 상응하는 데이타로 변환 제어 및 각 수단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14)과, 검출된 입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타 부호화수단(15)과, 부호화된 데이타를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을 통하여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수신하는 데이타 송수신수단(16)과, 수신된 명령 제어신호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제어수단(14)에서 인식가능한 데이타로 변화시키는 데이타 복호화수단(18)을 포함하며,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is an input means 11 for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nsing means 30 installed in the monitoring target, and the input to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 input signal control means 12 for controlling the means, an input signal detection means 13 for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input means 11, and a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detected from the input signal detection means 13; The control means 14 responsible for the conversion control to the data and the control of the respective means, the data encoding means 15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16 for transmitting the command control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and the received command control signal A data decoding means 18 for decoding the data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data recognizable by the control means 14, 상기 중앙통제장치(20)는 상기 데이타 송수신수단(16)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의 수신 및 데이타 송신을 위한 송수신수단(21)과, 상기 송수신수단(21)을 통해 수신된 데이타를 해독하기 위한 복호화 수단(22)과, 해독된 데이타를 인식하여 해당 감시대상(100, 200, 3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수단(23)과,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로 일정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명령 제어 신호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24)을 포함하고,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includes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21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6 and decoding means for decrypting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21. (22), the central control means 23 for recognizing the decrypted data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and control it, and the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Encoding means (24) for encoding command control signal data for transmitting a;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와 중앙통제장치(20)는 다수 분포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 기지국(BS)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에 연계되는 CT-2 서비스망을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 시스템.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and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CT-2 service network connected to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a large number of distribution-only wireless telephone base stations (BSs).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call-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는 호출신호 및 호출 데이타를 수신하는 호출신호 수신수단(17)을 더 포함하며,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call signal receiving means 17 for receiving a call signal and call data.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데이타에 따라 수집된 데이타를 CT-2 서비스망을 통해 중앙통제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 시스템.Call-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llected according to the call data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through the CT-2 service network.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의 제어수단(14)에 의한 제어는 감지수단(30)으로부터 이상신호가 검출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중앙통제장치(20)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중앙통제장치(20)로 데이타를 전송하여야 하는 설정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ontrol by the control means 14 of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means 30, and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Determining whether a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t time to transmit the data to the central control device 20 is determined,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이상신호가 검출될 경우 또는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또는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경우에 중앙통제장치(20)로 감지된 신호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 시스템.When the abnormal signal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bove step, or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when the set time is reached, the central control apparatus 20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data.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CT-2 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송수신 장치(10)는 감시대상(100, 200, 300)에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중앙통제장치(20)와 항상 다수 분포된 기지국(BS)을 통하여 공중통신망(PSTN)과 연계된 CT-2 서비스망에 의해 중앙통제장치(20)와 항상 온 라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전용 무선 전화 서비스망(CT-2 NET)을 이용한 데이타 송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is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PSTN) through the central control unit (BS) always distributed in large number with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state set on the monitoring target (100, 200, 300) CT-2 service network associated with the central control unit 20 and the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transmission-only wireless telephone service network (CT-2 NET), characterized in that to always be on-line.
KR1019970020749A 1997-05-26 1997-05-26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e of the cordless phone service net KR100227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749A KR100227547B1 (en) 1997-05-26 1997-05-26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e of the cordless phone service 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749A KR100227547B1 (en) 1997-05-26 1997-05-26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e of the cordless phone service 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844A true KR19980084844A (en) 1998-12-05
KR100227547B1 KR100227547B1 (en) 1999-11-01

Family

ID=1950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749A KR100227547B1 (en) 1997-05-26 1997-05-26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e of the cordless phone service 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54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547B1 (en)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2442A (en) Two-way pager alarm system
US6619055B1 (en) Security system with wireless thermosta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U756294B2 (en) Monitoring system
US6134303A (en) United home security system
CA1205138A (en) Security alarm system
US6392538B1 (en) Advanced services interactive security system
EP1190402B1 (en) Programmable security alarm system
KR100301674B1 (en) Uninhabited Keep Watch System through the Internet
US4761648A (en) Remote sensing systems
KR20090107600A (en) A wireless security system using SmartIT emergency bell including the mode convertible function
KR101513590B1 (en) Crime protection system, using manless security teminal mounted with lt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100227547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e of the cordless phone service net
KR100582144B1 (en) Crime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100003479A (en) Device for sensing disconnection of wi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1283160A (en) Detour reporting system in case of telephone line disconnection
KR200311023Y1 (en) Home Automation System Controll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14026Y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KR20020057642A (en) Device for transmitting sense signal through electric power line in security system
KR200208815Y1 (en) Security system with monitoring station installed having function which is storing and judging monitoring data
JP3483247B2 (en) Wireless monitoring system
KR100389157B1 (en) An apparatus for remote security and management in base station
KR100802034B1 (en) Network system for office gateway connected with card reader
KR0134349B1 (en) Local no-crime system with wireless network
KR20060078228A (en) Automatic vibr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215205Y1 (en) Wire and wireless type Warning device using dial-pu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