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523A -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 Google Patents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523A
KR19980075523A KR1019970011755A KR19970011755A KR19980075523A KR 19980075523 A KR19980075523 A KR 19980075523A KR 1019970011755 A KR1019970011755 A KR 1019970011755A KR 19970011755 A KR19970011755 A KR 19970011755A KR 19980075523 A KR19980075523 A KR 19980075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posite system
karaoke
karaoke mod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523A/en
Publication of KR1998007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523A/en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라오케 기능을 갖는 A/V 복합 시스템에서 마이크 잭의 삽입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가라오케 모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A/V 시스템의 잭단자에 상기 외부 마이크 잭이 삽입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외부 마이크의 삽입이 없으면 A/V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외부 마이크가 잭단자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결과,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가 아니면 파워를 온시킨 다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선택하는 단계; 체크결과,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이면, A/V 복합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가라오케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단계; 및 A/V 시스템이 가라오케 모드로 자동 선택되거나 강제 전환되면, 모니터상에 재생 배경 비디오를 출력하고, 재생 반주음과 외부 음성신호를 혼합한 혼합 출력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karaoke mode of an AV composite system in which an karaoke mode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in response to an insertion detection result of a microphone jack in an A / V composite system having a karaoke function. 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to a jack terminal of an A / V system, and maintaining the current mode of the A / V system if there is no insertion of an external microphone; If it is determined in this step that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serted into the jack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power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not powered on, turning on the power and automatically selecting a karaoke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powered on, forcibly switching the current mode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to the karaoke mode; And when the A / V system is automatically selected or forcibly switched to the karaoke mode, outputting a playback background video on the monitor, and performing a karaoke mode of outputting a mixed output of a playback accompaniment sound and an external audio signal to the speaker. Include.

Description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본 발명은 에이브이(A/V) 복합 시스템에서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VCD)와 브이씨알(VCR) 복합 시스템에서 마이크 잭의 입력에 따라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karaoke mode in an AV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karaoke according to the input of a microphone jack in a video CD player (VCD) and VCR (VCR) system.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mode.

잘 알려진 바와같이, 반도체 기술의 발달에 따른 각종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로 인해 각종 A/V 시스템의 복합제품(예를들면, 텔레비젼과 브이씨알, 오디오와 브이씨알,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브이씨알 등)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As is well known, due to the thin and short size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 combination of various A / V systems (eg, TV and V-Cal, audio and V-Cal, compact disc player and V-Cal, etc.) The situation is rapidly progressing.

특히, VCR 과 VCD 등의 제품이 함께 사용되는 최근의 과도기적인 상황에서는 부품의 공유를 통한 제조비용의 저가화, 설치공간의 최소화 등을 고려할 때 VCD 와 VCR 의 복합제품화는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VCD/VCR 복합제품에서의 기능개선에 관련된다.In particular, in recent transitional situations where products such as VCRs and VCDs are used together, combined production of VCDs and VCRs is inevitable considering the low cost of manufacturing and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through the sharing of parts. The invention relates to the improvement of function in such VCD / VCR combination products.

한편, 이러한 A/V 시스템에는 가정용 노래방 시스템으로 일컬어지는 가라오케 기능의 채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가라오케 기능을 채용한 A/V 시스템에서는 외부 마이크 입력단자, 모니터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형적인 가라오케 기능을 즐길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doption of the karaoke function, which is referred to as a home karaoke system, is widely used in the A / V system. In this A / V system that employs karaoke function, users can enjoy typical karaoke function by using external microphone input terminal, monitor and speaker.

이때, 종래 가라오케 기능을 채용한 A/V 복합 시스템의 경우, 가라오케 모드를 실행시키거나 혹은 다른 모드(재생 모드 등)의 실행중에 가라오케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파워가 온된 상태에서 키패널 또는 리모콘상의 가라오케 기능키를 누르거나 혹은 다른 모드를 수행중일 때 키조작을 통해 현재 모드를 정지시킨 다음 가라오케 기능키를 조작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employing the conventional karaoke function, when the karaoke mode is executed or when the user wants to switch to the karaoke mode while executing another mode (such as a playback mode), the key panel or the remote controller is turned on. When pressing the karaoke function key on the top or while in another mode, there was a hassle to stop the current mode by operating the key and then operate the karaoke function ke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라오케 기능을 갖는 A/V 복합 시스템에서 마이크 잭의 삽입검출 결과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가라오케 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karaoke mode of the AV composite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executing the karaoke mode in response to the insertion detection result of the microphone jack in the A / V composite system having a karaoke fun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ntrol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생 반주음과 외부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혼합 음성 출력에 상응하는 재생 배경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가로오케 기능을 갖는 A/V 복합 시스템에서 가라오케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V 시스템의 잭단자에 상기 외부 마이크 잭이 삽입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외부 마이크의 삽입이 없으면 상기 A/V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유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외부 마이크가 상기 잭단자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가 아니면 파워를 온시킨 다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선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이면,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가라오케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제 4 단계; 및 상기 A/V 시스템이 상기 가라오케 모드로 자동 선택되거나 강제 전환되면, 상기 모니터상에 재생 배경 비디오를 출력하고, 재생 반주음과 상기 외부 음성신호를 혼합한 혼합 출력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oak function for mixing a playback accompaniment sound and an audio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microphon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and outputting a playback backgrou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ixed voice output to a monitor.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witching to the karaoke mode in an A / V composite system, wherein the external microphone jack is checked to be inserted into the jack terminal of the A / V system. Maintaining a current mode of the V system;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serted into the jack terminal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first step; A third step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karaoke mode after turning on the power i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not turned 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second step; A fourth step of forcibly switching the current mode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to the karaoke mode when the power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turned 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second stage; And when the A / V system is automatically selected or forcedly switched to the karaoke mode, outputs a playback background video on the monitor, and outputs a mixed output of a playback accompaniment sound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to the speaker. The AV comprising the fifth step of performing the karaoke mode of the composite system provides a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A/V 복합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ypical A / V composite system suitable for applying the karaoke mode automati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잭삽입 검출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jack insertion detecto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V 복합 시스템에서 마이크 잭이 삽입될 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karaoke mode when a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 an A / V composit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2 : 잭삽입 검출기104 : 제어 블록102: jack insertion detector 104: control block

106 : 판독 블록108 :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106: read block 108: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110 : 비디오 OSD 처리 블록112 : 오디오 처리 블록110: video OSD processing block 112: audio processing block

202 : 마이크 잭204 : 잭삽입 홀202: microphone jack 204: jack insertion hole

206 : 잭 당접부208 : 증폭기206: jack contact 208: amplifier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A/V 복합 시스템(VCD 및 VCR)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ypical A / V composite system (VCD and VCR) suitable for applying the karaoke mode automati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형적인 A/V 복합 시스템은, 잭삽입 검출기(102), 제어 블록(104), 판독 블록(106),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108), 비디오 OSD 처리 블록(110) 및 오디오 처리 블록(1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typical A / V composite system includes a jack insertion detector 102, a control block 104, a read block 106, a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108, a video OSD processing block 110. ) And audio processing block 112.

도 1을 참조하면, 잭삽입 검출기(102)는, A/V 시스템 본체에 외부 마이크 잭이 삽입될 때 마이크 잭의 삽입을 검출함과 동시에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기설정된 소정레벨로 증폭시키는 것으로, 여기에서 검출되는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마이크 잭 삽입신호는 라인 L11 을 통해 다음단의 제어 블록(104)으로 제공되고, 기설정된 소정레벨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는 라인 L12 를 통해 후술하는 오디오 처리 블록(112)으로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1, the jack insertion detector 102 detects the insertion of a microphone jack when an external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to an A / V system main body and simultaneously sets a user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to a predetermined level. By amplifying, the high or low level microphone jack insertion signal detected here is provided to the next control block 104 through the line L11, and the user voice signal amplified to the predetermined predetermined level is described later through the line L12. To the audio processing block 112.

즉, 잭삽입 검출기(102)는,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잭삽입 홀(204), 잭 당접부(206) 및 증폭기(208)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참조번호 202 는 마이크 잭을 나타낸다.That is, the jack insertion detector 102 may be composed of a jack insertion hole 204, a jack contact portion 206 and an amplifier 208,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reference numeral 202 is a microphone jack Indicates.

도 2를 참조하면, 잭 당접부(206)는 예를들면 유연 판스프링과 같이 작용하여 마이크 잭(202)이 삽입될 때 화살표 방향(외측 방향)으로 각각 벌어지는 전기적인 도체로 된 두 개의 유연판(A,B)과 마이크 잭(20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유연판(A,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두 개의 당접부(a,b)를 갖는다. 또한, 유연판(A)의 일측은 자유단이고 타측은 5V 의 전원과 라인 L11 상에 연결되며, 유연판(B)의 일측은 자유단이고 타측은 접지와 증폭기(208)의 입력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jack abutment 206 acts like a flexible leaf spring, for example, so that two flexible plates of electrical conductors each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utward direction) when the microphone jack 202 is inserted. (A, B) and two jacks (a, 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flexible plate (A, B) with the microphone jack 202 not inserted. In addition, one side of the flexible plate (A) is a free en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of 5V and the line L11, one side of the flexible plate (B) is a free en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input of the amplifier 208. .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잭 삽입 검출기(102)에서는 마이크 잭(202)이 잭삽입 홀(204)을 통해 삽입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연판(A)의 당접부(a)와 유연판(B)의 당접부(b)가 떨어짐으로써 라인 L11 상에 하이레벨(H)의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마이크 잭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는 증폭기(208)를 통해 기설정된 소정레벨로 증폭된 다음 라인 L12 를 통해 도 1의 오디오 처리 블록(112)으로 출력된다.Therefore, in the jack insertion detector 102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a and the flexible plate of the flexible plate A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microphone jack 202 is inserted through the jack insertion hole 204. When the contact portion b in (B) fall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high level H is output on the line L11. In addition, the user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jack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amplifier 208 and then output to the audio processing block 112 of FIG. 1 through the line L12.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 블록(104)은,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A/V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것으로, 각 모드에 따라 비디오 CD 의 데크구동 및 브이씨알의 데크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라인 L13 상에 발생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판독을 제어하고, 라인 L14 상에 판독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 잭삽입이 검출될 때, 즉 잭삽입 검출기(102)로 부터 하이레벨(또는 로우레벨)의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 판독된 오디오 신호와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라인 l15 상에 발생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ntrol block 104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A / V system based on, for example, a user's operation signal.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ck drive of the V-Cal on the line L13 to control the reading of the video and audio signals,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video and audio signals read on the line L14,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icrophone jack insertion is detected, that is, when a high level (or low level)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jack insertion detector 102, the audio signal read out and the user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are input. Generates a control signal on line l15 for mixing.

그리고, 제어 블록(104)에서는 가라오케 모드의 수행시에 하나의 곡재생이 완료될 때 그에 상응하는 점수를 결정(또는 판정)하여 OSD 데이터로서 모니터로 출력하고, 또한 결정된 점수 정보에 상응하여 스피커로의 팡파레음 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 block 104 determines (or determines)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of one song playback when the karaoke mode is performed, outputs it to the monitor as OSD data, and sends the result to the speake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core information. Controls fanfare output.

한편, 판독 블록(106)은, 라인 L13 을 통해 상기한 제어 블록(104)으로 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CD 또는 테이프에서의 데이터 판독을 실행, 즉 도시 생략된 데크를 구동하여 CD 또는 테이프에서 비디오 신호, OSD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판독하며, 여기에서 판독된 각 데이터는 다음단의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으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d block 106 executes the data read from the CD or the tap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trol block 104 via the line L13, that is, drives the deck (not shown) to drive the CD or the like. The video signal, the OSD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read from the tape, where each data read is provided to the next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또한,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108)은 CD 또는 테이프에서 판독된 비디오, OSD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음성신호 또는 곡재생신호(반주음))의 신호처리를 수행, 즉 각 신호에 대해 변복조, 노이즈 제거, 레벨증폭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처리된 비디오 신호 및 OSD 신호는 라인 L16 및 L17 을 통해 비디오 OSD 처리 블록(110)으로 제공되고, 오디오 신호는 라인 L18 을 통해 후술하는 오디오 처리 블록(112)으로 제공된다.In addition, the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108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video, OSD signals, and audio signals (voice signals or song playback signals (accompaniment)) read from CD or tape, i.e., demodulation, noise for each signal.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such as cancellation, level amplification, and the like, wherein the processed video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provided to the video OSD processing block 110 through lines L16 and L17, and the audio signal is described later through the line L18. Provided to processing block 112.

그리고, 비디오 OSD 처리 블록(110)에서는 라인 L16 및 L17 을 통해 상기한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108)에서 각각 제공되는 비디오 신호 및 OSD 신호를 혼합하여 합성된 비디오 신호, 즉 주화면상에 생성된 소정의 OSD 구간에 OSD 신호가 삽입된 합성신호를 도시 생략된 모니터로 제공한다.In the video OSD processing block 110, a video signal synthesized by mixing the video signal and the OSD signal provid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108 through the lines L16 and L17, respectively, i.e., a predetermined value generated on the main screen. The synthesized signal in which the OSD signal is inserted in the OSD section of the monitor is provided to a monitor not shown.

다른한편, 오디오 처리 블록(112)은, 라인 L15 를 통해 전술한 제어 블록(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라인 L18 을 통해 상기한 비디오/오디오 처리 블록(108)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즉, 음성신호)를 도시 생략된 스피커로 바이패스 시키거나 혹은 라인 L18 상의 오디오 신호(즉, 반주음)와 라인 L12 상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도시 생략된 스피커로 출력한다. 즉, 오디오 처리 블록(112)에서는 가라오케 모드일 때 라인 L18 을 통해 제공되는 곡재생신호(반주음)와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라인 L12 상의 사용자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기타 다른 모드일 때 라인 L18 상의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로 바로 바이패스 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block 112,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above-described control block 104 via the line L15, the audio signal provid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block 108 described above via the line L18. (I.e., the audio signal) is bypassed to the speaker not shown or the audio signal on the line L18 (i.e. accompaniment sound) and the user voice signal on the line L12 are mixed and output to the speaker not shown. In other words, the audio processing block 112 mixes the music reproduction signal (accompaniment sound) provided through the line L18 and the user voice signal on the line L12 input through the external microphone in the karaoke mode,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 Bypasses the audio signal on line L18 directly to the speaker.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A/V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 잭 삽입결과에 의거하여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karaoke mode based on the microphone jack insert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 / V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A/V 복합 시스템에서 마이크 잭이 삽입될 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karaoke mode when a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 an A / V composit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 블록(104)에서는 대기전원이 인가되는 상태, 즉 전원코드가 콘센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이크 잭(202)의 삽입여부를 체크, 즉 A/V 시스템이 대기모드 상태이거나 혹은 기타 모드(예를들면, 재생모드 등)에 의한 동작상태일 때 라인 L11 상의 검출신호가 하이레벨(또는 로우레벨)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2,304). 이때, 라인 L11 상의 검출신호가 하이레벨이면 마이크 잭(202)이 삽입된 상태이고, 로우레벨이면 마이크 잭(20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고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in the control block 104, the standby power is applied, that is, whether the microphone jack 202 is inserted while the power cord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hat is, the A / V system is in the standby mode. Or it is checked whether the detection signal on the line L11 is high level (or low level) in the operation state by other modes (e.g., regeneration mode, etc.) (steps 302 and 304).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microphone jack 202 is inserted when the detection signal on the line L11 is high level, and the microphone jack 202 is not inserted when the detection signal on the line L11 is high level.

상기 단계(304)에서의 체크결과, 라인 L11 상의 검출신호가 로우레벨(마이크 잭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현재의 상태(대기모드 상태 또는 기타 다른 동작모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단계 305), 마이크 잭(202)의 삽입여부를 계속 체크하고, 상기 단계(304)에서의 체크결과, 라인 L11 상의 검출신호가 하이레벨(마이크 잭이 삽입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A/V 시스템이 현재 대기모드 상태인지 다른 동작모드 상태인지를 체크, 즉 파워가 온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06).If the check in the step 304 determines that the detection signal on the line L11 is low level (the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jack is not inserted), then the control block 104 in the current state (standby mode or other operation mode) State (step 305), the microphone jack 202 is continuously inserted,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04, the detection signal on the line L11 is at a high level (the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f it is determined to be, it is checked whether the A / V system is currently in a standby mode or another operating mode state, i.e., whether the power is on (step 306).

한편, 상기 단계(306)에서의 체크결과, 파워가 온되지 않은 상태, 즉 현재 대기전원만이 들어오는 대기모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04)에서는 A/V 시스템의 파워를 자동으로 온시킨 다음(단계 308), 가라오케 모드를 선택한다(단계 31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306 that the power is not on, i.e., the standby mode is in which only the standby power is currently input, the control block 104 automatically turns on the power of the A / V system. Next, a karaoke mode is selected (step 308).

따라서, 가라오케 모드가 자동 선택되면, CD 또는 테이프에서 판독된 배경 비디오 신호 및 OSD 신호(현재 재생되는 노래의 가사 데이터)가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판독된 곡 재생신호와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반주곡의 노래 가사 등)가 혼합되어 스피커로 출력될 것이다(단계 314).Therefore, when the karaoke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the background video signal and the OSD signal (the lyrics data of the song currently being played) read from the CD or tape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also the inputted through the read song playback signal and an external microphone. User voice signals (such as song lyrics of the accompaniment) will be mixed and output to the speaker (step 314).

다른한편, 전술한 단계(306)에서의 체크결과, 파워가 온된 상태, 즉 A/V 시스템이 기타 다른 동작모드를 수행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동작모드를 가라오케 모드를 강제 전환시킨 다음(단계 312), 처리는 상기한 단계(314)로 진행되어 이후의 과정을 수행, 즉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the above-described step 306 determines that the power is turned on, that is, the A / V system is in another operation mode,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forcibly switched to the karaoke mode (step 31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4 described above to perform the subsequent process, i.e., perform the karaoke mode.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CD 및 VCR 복합 시스템에서 대기모드 또는 다른 동작모드를 수행중일 때 사용자가 가라오케를 위해 마이크 잭을 삽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현재 모드를 가라오케 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번거러운 키조작 없이 간단하고 손쉽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수행할 수 있어 VCD 및 VCR 복합 시스템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serts a microphone jack for karaoke while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another operation mode in a VCD and VCR composite system, the presen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karaoke mode by detecting it. The simple and easy karaoke mode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the cumbersome key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ase of use of the VCD and VCR composite system.

Claims (2)

재생 반주음과 외부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혼합 음성 출력에 상응하는 재생 배경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가로오케 기능을 갖는 A/V 복합 시스템에서 가라오케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karaoke mode, the A / V composite system having a horizontal ok function which mixes the playback accompaniment sound with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microphone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and outputs the playback background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ixed audio output to the monitor.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witching automatically, 상기 A/V 시스템의 잭단자에 상기 외부 마이크 잭이 삽입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외부 마이크의 삽입이 없으면 상기 A/V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유지하는 제 1 단계;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microphone jack is inserted into the jack terminal of the A / V system, and maintaining the current mode of the A / V system if there is no insertion of the external microphone;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외부 마이크가 상기 잭단자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serted into the jack terminal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first step;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가 아니면 파워를 온시킨 다음 가라오케 모드를 자동 선택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karaoke mode after turning on the power i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not turned 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second step;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파워가 온 상태이면, 상기 A/V 복합 시스템의 현재 모드를 가라오케 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는 제 4 단계; 및A fourth step of forcibly switching the current mode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to the karaoke mode when the power of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turned 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the second stage; And 상기 A/V 시스템이 상기 가라오케 모드로 자동 선택되거나 강제 전환되면, 상기 모니터상에 재생 배경 비디오를 출력하고, 재생 반주음과 상기 외부 음성신호를 혼합한 혼합 출력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가라오케 모드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When the A / V system is automatically selected or forced to switch to the karaoke mode, the karaoke mode outputs a playback background video on the monitor and outputs a mixed output of the playback accompaniment sound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to the speaker. A karaoke mode automatic control method of the AV composite system consisting of a fifth step to per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 복합 시스템은, 비디오 CD 와 VCR 의 복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브이 복합 시스템의 가라오케 모드 자동 제어방법.The karaoke mode automatic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 / V composite system is a composite system of a video CD and a VCR.
KR1019970011755A 1997-03-31 1997-03-31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KR199800755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755A KR19980075523A (en) 1997-03-31 1997-03-31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755A KR19980075523A (en) 1997-03-31 1997-03-31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523A true KR19980075523A (en) 1998-11-16

Family

ID=6595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755A KR19980075523A (en) 1997-03-31 1997-03-31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52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009B1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ng inputs and outputs of audio-visual equipment
US5646699A (en) CDP-incorporated television receiver which selects a signal based on a type of compact disk detected
US5634798A (en) Compact disk player-incorporated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monitor power control function
KR19980035389A (en) Computer system having audio compact disc drive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017744B2 (en) Voice change circuit
US20060034465A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 or headphone signal using analog switch and method thereof
JP2005026868A (en) Sound signal recorder
JP2002149428A (en) Audio signal processor, and method for rewriting inside data of the audio signal processor
JP2007011802A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movable memory
EP1117030A2 (en) Multimedia device for computer
KR19980075523A (en) How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karaoke mode of AV system
JP200606748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volume level control method
US5315662A (en) Karaoke equipment
JP4497544B2 (en) Audio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udio system, and audio signal output method
JPH08293159A (en) Recorder
JP4747697B2 (en)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movable memory
KR100672930B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digital audio player and power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1004081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mode in detachable audio station
KR0164569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voice signal
JP2669939B2 (en) Audio signal mute circuit
KR100255241B1 (en) Auto vocal method and device automatically converting reference voltage level
JPS60236161A (en) Video disk player
JPH0719892U (en) CD-G decoder device
KR20070103328A (en) Microphone type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playing music video
JP2000059900A (en) Audio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