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720A -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720A
KR19980073720A KR1019970009184A KR19970009184A KR19980073720A KR 19980073720 A KR19980073720 A KR 19980073720A KR 1019970009184 A KR1019970009184 A KR 1019970009184A KR 19970009184 A KR19970009184 A KR 19970009184A KR 19980073720 A KR19980073720 A KR 1998007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vending machine
ticket vend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0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3720A/en
Publication of KR1998007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20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pplied as part of subway station automation.

본 발명은 도어(11)로 개폐되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상위통신부(18) 등의 주요부가 전면조작부(16)·후면조작부(17) 등과 연계되어 조작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어(11)와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도어(11)의 개방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위치(21); 상기 후면조작부(17) 상에 장착되고, 역무원코드·작업코드 등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텐키스위치(22);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11)의 비정상적 개방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23); 및 상기 텐키스위치(22)의 입력신호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면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그 데이터가 DPU 및 중앙감시반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2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rts such as the ticket issuing unit 12,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the coin processing unit 14, and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which ar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1, are operated at the front operation unit. (16) a ticket vending machin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and the like; A micro switch 21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door 11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when the door 11 is opened; A ten key switch 22 mounted on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a station attendant code, a work code, or the like; A buzzer 23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door 11 is abnormally opened; And a main control unit which has a function of storing the input signal of the ten key switch 22 together with time data,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And 2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기 등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이력을 관리하여 역무원 등에 의한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llegal use by the station attendant by managing the history that the door is opened in the ticket vending machine.

Description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 등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이력을 관리하여 역무원 등에 의한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which prevents unauthorized use by station personnel by managing a history of opening a door in a ticket vending machine applied as part of subway station automation. It is about.

도 1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ticket vending machine as a block.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 고용되는 승차권 발매기는 외부로 전면조작부(16)가 노출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승차권 발행부(12), 지폐처리부(13), 동전처리부(14), 주제어부(20) 등이 설치된다.In general, a ticket vending machine employed in subways and the like is installed with the front control unit 16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ticket issuing unit 12, a banknote processing unit 13, a coin processing unit 14, a main control unit 20, etc. Is installed.

그 밖에도 소정의 동작전원을 형성하는 전원부, 동전 및 지폐를 수집하는 금고(15) 등도 있고, 근래에는 카드가 각종 요금의 결재수단으로 이용되므로 지폐처리부(13) 및 동전처리부(14)와 병행하여 카드처리부를 설치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ower supply unit for 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ng power supply, a safe 15 for collecting coins and bills, etc. In recent years, since the card is used as a payment means of various charges, the bill processing unit 13 and coin processing unit 14 There is also a card processing unit.

지하철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전면조작부(16)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주제어부(20)가 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카드처리부에서 요금을 정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고 승차권 발행부(12)에서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승차권을 발행하도록 한다.When the subway user inputs a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and inputs a destination in the front control unit 16, the main control unit 20 sets the fare in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coin processing unit 14, and card processing unit to release the change and pass the ticket. The issuing unit 12 causes the ticket to which the predetermined record is inputted to be issued.

승차권 발행부(12)는 TIU(ticket issuing unit)라고도 하며 롤상에 권취된 승차권 소재를 절단, 인쇄, 자기기록한 후 구입자에게 보내는 것을 주기능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자체의 셀프테스트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동작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지니는 시험버튼과, 하드웨어체크·모니터체크·각종 데이터 설정·발권테스트·폐표입수테스트 등 다양한 시험결과를 소정의 부호로 표시하는 세븐세그먼트 등을 지닌다.The ticket issuing unit 12, also known as a ticket issuing unit (TIU), has a main function of cutting, printing and magnetically recording a ticket material wound on a roll and then sending it to a purchaser. In addition, the test button has a number of function keys for running its own self-test program to test the operation status, and various test results such as hardware check, monitor check, various data setting, ticketing test, and closed receipt test It has seven segments and so on.

주제어부(20)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 등의 작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셀프테스트 후 에러에 대한 정보, 승차권발매 완료 정보·승차권 발매시 에러 정보·광센서 광량 정보·독출/기록 정보 등 승차권 발행부(12)의 동작상태 및 제어파라미터를 전송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 not on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icket issuing unit 12,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and the coin processing unit 14, but also the information on the error after the self-test, the ticket release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ticket release error. The operation status and control parameters of the ticket issuing unit 12 are transmitted, such as information, light sensor light quantity information, reading / recording information, and the like.

그 전송은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단위역 관리시스템인 DPU(data processing unit) 및 통합 관리 시스템인 중앙감시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설치된 각각의 장비에서 보내오는 승차권 발매수, 투입금액 등에 관한 데이터는 역단위의 회계관리 목적으로도 이용된다.The transmiss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through a data processing unit (DPU), which is a unit station management system, and a central monitoring board, which i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t is also used for the accounting of unit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역무자동화를 수행하는 승차권 발매기는 승차권발행부(12)의 셀프테스트 및 롤지교환, 지폐처리부(13) 및 동전처리부(14)의 거스름돈 보충, 금고(15)의 출입 등 관리의 목적이나 각부의 에러조치 등 유지·보수의 목적으로 역무원 등이 자주 도어를 개방해야 하는 실정이다.The ticket vending machine which performs the automated service by such a configuration is capable of self-test and roll paper exchange of the ticket issuing unit 12, replenishment of change of the bill processing unit 13 and coin processing unit 14, and entry and exit of the safe 15. In order for maintenance and repair purposes, such as errors and parts of each part, station officials often need to open the door.

그러나, 허가받지 않은 자가 도어를 무단으로 개방하는 경우나 허가받은 자가 정상적인 관리·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고의, 과실에 의해 기기가 파손되고 이것이 은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when an unauthorized person opens the door without permission or an authorized person performs normal management, maintenance, and maintenanc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is damaged due to intentional negligence and this tends to be concealed.

또, 역무원 등이 도어를 열고 고의적으로 승차권 또는 현금을 부정유출시키는 경우 그 판단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station employee or the like opens a door and intentionally misleads the ticket or cas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udgment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이력을 관리하여 역무원 등에 의한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the illegal use by the station attendant by managing the history of the door is opened in the ticket vending machine applied as part of the subway station automation to solve this problem. have.

도 1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ticket vending machine as a bloc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승차권 발매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cket vending machine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어부의 입출력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 output connection state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ve arrangement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본체케이스11 : 도어10: body case 11: door

12 : 승차권발행부13 : 지폐처리부12: ticket issuing unit 13: banknote processing unit

14 : 동전처리부15 : 금고14: coin processing unit 15: safe

16 : 전면조작부17 : 후면조작부16: front control unit 17: rear control unit

18 : 상위통신부20 : 주제어부18: upper communication unit 20: main control unit

21 : 마이크로스위치22 : 텐키스위치21: micro switch 22: tenkey switch

23 : 부저23: buzz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11)로 개폐되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상위통신부(18) 등의 주요부가 전면조작부(16)·후면조작부(17) 등과 연계되어 조작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어(11)와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도어(11)의 개방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위치(21); 상기 후면조작부(17) 상에 장착되고, 역무원코드·작업코드 등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텐키스위치(22);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11)의 비정상적 개방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23); 및 상기 텐키스위치(22)의 입력신호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면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그 데이터가 DPU 및 중앙감시반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cket issuing unit 12, a banknote processing unit 13, a coin processing unit 14, and a higher communication uni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1 ( 18) a ticket vending machine in which main parts such as the back ar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front manipulator 16, the rear manipulator 17, and the like; A micro switch 21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door 11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when the door 11 is opened; A ten key switch 22 mounted on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a station attendant code, a work code, or the like; A buzzer 23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door 11 is abnormally opened; And a main control unit which has a function of storing the input signal of the ten key switch 22 together with time data,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It provides a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20).

이때, 상기 주제어부(20)는 도어(11)의 개방부 소정시간 내에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없거나,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기준치와 상위한 경우 부저(23)를 작동시킨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20 operates the buzzer 23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f the opening of the door 11 or when the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Let's do it.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승차권 발매기의 사시도가 도시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cket dispense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도어(11)로 개폐되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상위통신부(18) 등의 주요부가 전면조작부(16)·후면조작부(17) 등과 연계되어 조작되는 승차권 발매기에 적용하는 바, 마이크로스위치(21)·텐키스위치(22)·부저(23) 등을 추가로 구성하는 동시에 주제어부(20)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rts such as the ticket issuing unit 12,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the coin processing unit 14, and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which ar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1, are operated at the front operation unit. (16), applied to the ticket vending machin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ear operation unit 17 and the like, the micro switch 21, the ten key switch 22, the buzzer 23, and the like are further configured, and the main control unit 20 is provided. The idea is to change the algorithm of.

이때,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위치(21)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어(11)와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도어(11)의 개방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micro switch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oor 11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the door 11 is opened.

상기 마이크로스위치(21)는 돌출된 접촉자가 도어(11)에 의해 가압되는 여부에 따라 내부의 접점상태가 반전된다. 만일 b접점을 사용하면 도어(11)가 개방되는 순간 접점이 클로스되고, 도어(11)가 닫혀 있는 동안에는 접점이 오픈되어 아무런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micro switch 21 inverts the contact state of the inside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ruding contact is pressed by the door 11. If the contact b is used, the contact is closed at the moment the door 11 is opened, and the contact is opened while the door 11 is closed so that no signal is generated.

또, 본 발명의 텐키스위치(22)는 상기 후면조작부(17) 상에 장착되고, 역무원 코드·작업코드 등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한다.In addition, the tenkey switch 2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a station attendant code, a work code, or the like.

상기 텐키스위치(22)는 0~9의 숫자키, 엔터키(enter key), 딜리트키(delete key) 등 다수의 입력키가 키메트릭스 상에 구성되고, 각각의 키마다 특정의 바이너리 신호를 엔코드하는 일반적인 회로수단과 연계된다. 상기 후면조작부(17)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설치되므로 도어(11)를 개방하여야 텐키스위치(22) 측으로 접근할 수 있다. 텐키스위치(22)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역무원 고유의 식별번호(예컨대 '1234'), 각 작업별 고유번호(예컨대 동전보충은 '987') 등이 있다.The ten key switch 22 includes a number of input keys such as a number key of 0 to 9, an enter key, a delete key, and the like on a key matrix, and provides a specific binary signal for each key. It is associated with common circuit means for encoding. Since the rear operation unit 17 is installed rearwar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the door 11 may be opened to approach the tenkey switch 22. The signal input from the tenkey switch 22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1234') unique to a station employee, a unique number for each job (for example, a coin supplement is '987'), and the like.

또, 본 발명의 부저(23)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11)의 비정상적 개방시 경보음을 발생한다.In addition, the buzzer 2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the door 11 is abnormally opened.

상기 부저(23)는 역무원실까지 경보음이 들리는 정도의 최대 음량을 지니고 가변저항 등에 의해 음량이 적절히 조절되는 것을 사용하는데, 그 작동은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한다. 부저(23)는 작동전 또는 작동중에 고의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케이스(10) 내부에서 은폐되도록 설치된다.The buzzer 23 is used to have a maximum volume of the alarm sound to the station staff room, and the volume is appropriately adjusted by a variable resistor, etc. For the operation thereof, see FIG. The buzzer 23 is installed to be conceal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to prevent intentional damage before or during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예 따른 주제어부의 입출력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 output connection state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제어부(20)는 상기 텐키스위치(22)의 입력신호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면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그 데이터가 DPU 및 중앙감시반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input signal of the tenkey switch 22 together with the time value while storing the time signal,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It is further equipped with a function.

이러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주제어부(20)는 도어의 열림에 따라 소정의 펄스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스위치(21)와 결선되고, 역무원 등이 수동으로 코드를 입력함에 따라 정해진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는 텐키스위치(22)와 결선되고, 상기 입력조건에 의해 도어의 비정상적 개방을 인식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하는 부저(23)와 결선되고, 상기 신호의 입출력 상태를 DPU 및 중앙감시반에 전송하는 상위통신부(18)와 결선된다.In order to perform this algorithm, the main cont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micro switch 21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as the door is opened, and inputs a predetermined digital signal as a station attendant manually inputs a code. It is connected to the Tenkey switch 22, and connected to the buzzer 23 which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and alarms as the abnormal opening of the door is recognized by the input condition, and the input / output state of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to transmit.

전술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20)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 등의 작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그 상태를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DPU 및 중앙감시반으로 전송하지만, 그 외에 도 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21)·텐키스위치(22) 등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도 입력하여 저장, 비교,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지닌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20 not on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icket issuing unit 12,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the coin processing unit 14, etc., but also the state of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icro switch 21, the ten key switch 22, and the like are also input, stored, compared, and trans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되는 바, 표시되지 않은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and 2.

본 발명은 도어(11)의 개방후 소정시간 내에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없거나,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기준치와 상위한 경우 주제어부(20)가 부저(23)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요약된다.The main control unit 20 operates the buzzer 23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oor 11 is opened or when the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Is summarized.

단계 ST10에서 주제어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플로우를 서브루틴 프로그램으로 하여 일정한 주기로 수행한다. 그러나 도어(11)의 열림을 인터럽트 신호로 받아 비정기적으로 수행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In step ST10, the main controller 20 performs the operation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ubroutine program at regular intervals. However, a modified example of receiving the opening of the door 11 as an interrupt signal and performing it irregularly may be possible.

단계 ST20에서 주제어부(20)는 마이크로스위치(21)의 입력으로부터 도어(11)의 열림을 검출하여 yes이면 다음 단계로 가고 no이면 단계 ST80으로 가서 종료한다. 마이크로스위치(21)의 입력은 소정시간(예컨대 2초) 이상 지속되는 신호로 판단하여야 오작동에 의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In step ST20, the main controller 20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11 from the input of the microswitch 21, and if yes, goes to the next step, and if no, goes to step ST80. The input of the micro switch 21 should be determined as a signal tha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to prevent an error due to a malfunction.

단계 ST30에서 주제어부(20)는 마이크로스위치(21)의 입력후 소정시간(예컨대 5~10초) 이내에 역무원코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yes이면 다음 단계로 가고 no이면 단계 ST70으로 가서 부저(23)를 울린다.In step ST30, the main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station employee code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to 10 seconds) after the input of the micro switch 21, and if yes, goes to the next step and if no, goes to step ST70 and the buzzer 23 Rings.

단계 ST40에서 주제어부(20)는 역무원코드 입력후 소정시간(예컨대 5~10초) 이내에 작업코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여 yes이면 다음 단계로 가고 no이면 단계 ST70으로 가서 부저(23)를 울린다.In step ST40, the main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work code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to 10 seconds) after inputting the station employee code, and if yes, goes to the next step and if no, goes to step ST70 and rings the buzzer 23.

단계 ST50에서 주제어부(20)는 입력된 코드를 날짜·시각과 함께 저장하는 동시에 기준치와 비교하여 정확하면 단계 ST80으로 가고 틀리면 단계 ST70으로 가서 경보한다. 작업자 및 작업내용에 대한 데이터는 미리 코드화하여 주제어부(20)의 메모리에 저장시켜 두는데, 필요에 따라 수시로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날짜·시각 등의 데이터는 마이컴회로인 주제어부(20)의 카운트/타이머(도시 생략)를 이용한다.In step ST50, the main control unit 20 stores the input code together with the date and time, and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value, if it is correct, goes to step ST80 and if it is wrong, goes to step ST70 to alert. The data on the operator and the contents of the work are cod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in control unit 20. The data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as necessary. The data such as date and time is used by a count / timer (not shown) of the main controller 20 which is a microcomputer circuit.

전술한 단계 ST70에서 발생하는 경보는 단계 ST10으로부터 서브루틴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단계 ST20에서 도어(11)가 다시 닫히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나, 단계 ST50에서 다시 입력되는 코드가 정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T60에서 즉시 오프된다. 그러나 DPU 및 중앙감시반에 소정의 스위치(도시 생략)를 별도로 설치하여 지령전송에 의한 원격제어로 오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The alarm genera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T70 is detected when the door 11 is closed again in step ST20 while the subroutine program proceeds from step ST10,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de input again in step ST50 is correct. Is off immediately. However, a predetermined switch (not shown)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o be turned off by remote control by command transmission.

한편, 어느 역무원이 언제 도어(11)를 개방하여 무슨 작업을 하고 언제 도어(11)를 닫았는지에 대한 데이터도 주제어부(2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는 또한 DPU 및 중앙감시반에 전송되므로 다른 역무원이 모니터 또는 프런트로 출력시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data on which station attendant opened the door 11 at what time and when the door 11 was closed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ain control unit 20, which is also transmitted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 The station attendant can output to the monitor or front desk for management.

한편, 상기의 실시예는 승차권 발매기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역무원실 내에서 역무원이 개별적으로 승차권을 발행하는 승차권 발권기의 경우 그 주요부가 승차권 발매기와 대부분 중복되면서 일부(예컨대 동전처리부·지폐처리부 등)가 생략되므로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icket vending machine. However, in the case of the ticket issuing machine in which the station attendant individually issues tickets in the station attendant's room, the main part of the ticket vending machine is mostly overlapped with the ticket vending machine (for example, a coin processing part and a bill handling part). Since it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same configu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 등에서 주제어부의 입출력부를 개선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이력을 관리하여 역무원 등에 의한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nput / output unit of the main control part in the ticket vending machine, which is applied as part of the subway station automation, thereby managing the history of opening of the door to prevent unauthorized use by station personnel. There is.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adily know.

Claims (2)

도어(11)로 개폐되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차권발행부(12)·지폐처리부(13)·동전처리부(14)·상위통신부(18) 등의 주요부가 전면조작부(16)·후면조작부(17) 등과 연계되어 조작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Main parts of the ticket issuing unit 12, the banknote processing unit 13, the coin processing unit 14,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and the like, which ar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1, are operated by the front operation unit 16. A ticket vending machin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or the like;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서 도어(11)와 접촉되도록 장착되고, 도어(11)의 개방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위치(21);A micro switch 21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to be in contact with the door 11 and generating a predetermined signal when the door 11 is opened; 상기 후면조작부(17) 상에 장착되고, 역무원코드·작업코드 등에 대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텐키스위치(22);A ten key switch 22 mounted on the rear manipulation unit 17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a station attendant code, a work code, or the like;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11)의 비정상적 개방시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23); 및A buzzer 23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door 11 is abnormally opened; And 상기 텐키스위치(22)의 입력신호를 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면서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상위통신부(18)를 통하여 그 데이터가 DPU 및 중앙감시반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The main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storing the input signal of the ten key switch 22 with the time data,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DPU an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through the upper communication unit 18 (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20)는 도어(11)의 개방부 소정시간 내에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없거나, 텐키스위치(22)의 입력이 기준치와 상위한 경우 부저(2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 도어개폐 제어장치.The main controller 20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ler 20 does not have an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f the opening of the door 11, or when the input of the tenkey switch 22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buzzer ( 23)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KR1019970009184A 1997-03-18 1997-03-18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KR199800737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84A KR19980073720A (en) 1997-03-18 1997-03-18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84A KR19980073720A (en) 1997-03-18 1997-03-18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20A true KR19980073720A (en) 1998-11-05

Family

ID=6595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184A KR19980073720A (en) 1997-03-18 1997-03-18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37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4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reas of gaming machines
US6814283B2 (en) Individual identification card system
EP0803830A1 (en) Electronic wallet system
AU2002250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reas of gaming machines
US20040134980A1 (en) Scaleable locking
JPH06119525A (en) Method for managing automatic teller machine
KR19980073720A (en) Ticket vending machin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KR101256294B1 (en) Automatic Fare Correc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US20030155209A1 (en) Currency control system and portable safe
JP4843919B2 (en) IC card stacker and electronic money system
KR19990016971A (en) Door open / close detection device of ticketing machine
KR101276517B1 (en) Automatic Fare Correction with Power Saving Function
JPH09251577A (en) Register system
KR100227500B1 (en) Ticket illegal jam protection system
JPS6097469A (en)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JPH11102459A (en) Security managing system for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H0325234Y2 (en)
JP3348931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2000090338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its managing method
JP3011652B2 (en) Cash transaction device locking device
JPS5854430B2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H0431430B2 (en)
JPH07192149A (en)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KR19990004206A (en) Ticket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icket Issuing Device
JPH07334719A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