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649A -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 Google Patents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649A
KR19980050649A KR1019960069494A KR19960069494A KR19980050649A KR 19980050649 A KR19980050649 A KR 19980050649A KR 1019960069494 A KR1019960069494 A KR 1019960069494A KR 19960069494 A KR19960069494 A KR 19960069494A KR 19980050649 A KR19980050649 A KR 1998005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xt
reception mode
digital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6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649A/en
Publication of KR1998005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49A/en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체(Mobile Unit)에서 통화 또는 메세지 등의 정보 수신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에 판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oice-to-text conversion apparatus of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which can convert and receive a voice or text form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a call or a message from a mobile uni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수신모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모드에 따라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과 문자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한다.In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to-text conversion device detects a reception mode signal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and converts a voice into a text or converts a text into a voice according to the detected reception mode. A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voice and text received from the mobile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수신모드에 따라 이동 전화 교환국에서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수신된 메세지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a voice into a string or converting a string into a voice in a mobile telephone exchange according to a recep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can make a call using a screen and a microphone, or listen to a received message by voice. You can receive a variety of services.

Description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도 1는 일반적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도 2 는 도 1의 구성에서 종래의 이동 전화 교환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switching cent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3 는 도1의 구성에서 종래의 이동체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telephon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에시 이동 전화 교환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in a voice-to-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of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에서 이동체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lephone in the voice-to-text conversion apparatus of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도4의 구성에서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흐름도.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voice-to-character conversion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4; FIG.

도 7 는 도5의 구성에서 제어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흐름도.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l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이동 전화 교환국(MTSO) 2,3:기지국(Cell-Site)1: Mobile Telephone Switch Office (MTSO) 2,3: Cell-Site

4,5:이동체 10:시스템 제어 처리기4,5: Moving body 10: System control processor

11,12:디지털 교환기 13:디지털 보코더11, 12: Digital exchange 13: Digital vocoder

14:다이버시티 조합기 20:안테나14: Diversity combiner 20: Antenna

21:아날로그 수신부 22:디지털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1: analog receiver 22: digital data receiver and decoder

23: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 24:송신부23: digital baseband processor 24: transmitter

25:스피커 26:마이크25: Speaker 26: Mike

30,210:제어부 101:음성과 문자간 변환부30,210: controller 101: voice and character conversion unit

102:수신모드 검출부 200:음성/문자 분리부102: reception mode detection unit 200: voice / character separation unit

201:문자 디코더부 202:문자 출력부201: character decoder 202: character output

203:수신모드 처리부 204:다중화부203: Receive mode processing unit 204: Multiplexing unit

220:디스플레이220: display

본 발명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판한 것으로, 특히 이동체(Mobile Unit)에서 통화 또는 메세지 등의 정보 수신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에 판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nd in particular, when a mobile unit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a call or a message, a voice of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voice or text form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received. It is a version of the character-to-character converter.

일반적으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이하, MTSO라 한다), 기지국과 이동국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새로운 전화 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수용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확장을 하고 있는 형된이다. 예를 들어, 최근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GSM방식에 따라 수신자와 통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최대 160가의 문자정보를 수신자에게 송신함으로서 수신자가 문자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 메세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consists of a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TSO),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has been extended to various functions such as accommodating new telephone services and multimedia services. For example, recent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s provide users with a short message service that allows recipients to receive text messages by sending up to 160 text messages to recipients when they are not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recipients according to the GSM method. Doing.

도1는 종래의 디지털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통상 시스템 제어 및 교환기인 MTSO(1)와 다수의 기지국(Cel1-Site, 2,3)가, 다수의 이동체(Mobile Unit, 4,5)를 구성으로 한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In general, the MTSO 1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Cel 1 -Site 2 and 3, which are system control and switching systems, include a plurality of mobile units; 4, 5) is configured.

도1에서 MTSO(1)는 기지국A, B(2,3)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PSTN(Public Switching Telephobne Network, 공중 전화망)과 기지국A, B(2,3) 사이의 루팅(Routing) 및 기지국A, B(2,3) 간의 루팅을 제어한다. 이때, MTSO(1)는 전화선, 광섬유 링크, 초고주파 링크 등을 통하여 기지국과 연결된다. 그리고, 기지국A, B(2,3)는 50a-50b, 51a- 51b, 52a-52b, 53a-53b와 같은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동체I, J(4,5)와 연결된다. 여기서, 기지국A, B(2,3)과 이동체I, J(4,5) 사이의 통신방법의 일례로 미합중국 특허 제 5,416,797호에서 적용된 대역 확산 통신 기술을 들 수 있다.In FIG. 1, the MTSO 1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s A and B (2,3), and the routing between the Public Switching Telephobne Network (PSTN) and the base stations A and B (2,3) Routing) and routing between base stations A and B (2,3). At this time, the MTSO 1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telephone line, an optical fiber link, an ultrahigh frequency link, or the like. The base stations A and B (2,3) are connected to the mobile bodies I and J (4,5) through communication links such as 50a-50b, 51a-51b, 52a-52b, and 53a-53b. Here,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base stations A, B (2, 3) and mobile bodies I, J (4, 5) is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technique applied in US Patent No. 5,416,797.

도2는 도1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MTSO(1)의 구성 블록도로서, MTSO(1)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10), 제1,2 디지털 교환기(11,12), 디지털 보코더I(Digital Vocoder,13), 다이버시티 조합기(Diversity Combiner,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보코더(13) 및 다이버시티 조합기(14)는 필요에 따라 추가하여 상기 제1,2 디지털 교환기(11,12)에 접속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MTSO 1 in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of FIG. 1, wherein the MTSO 1 is a system control processor 10, a first and second digital switchers 11 and 12, and a digital vocoder I (Digital). Vocoder 13, and Diversity Combiner 14. The digital vocoder 13 and diversity combiner 14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exchangers 11 and 12 as necessary.

도1에서 통상 다이버시티 모드가 활성화되이 있는 경우, 통화가 두 기지국A, B(2,3)에서 처리되므로 MTSO(1)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MTSO(1)의 다이버시티 조합기(14)는 제 2디지털 교환기(12)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정보를 조합하고 양질의 신호로 만든후 디지털 보코더(13)로 출력한다. 디지털 보코더(13)는 다이버시티 조합기(14)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표준 포맷, 즉 64kbps PCM의 전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1 디지털 교환기(11)로 전송하거나,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여제2 디지털 교환기(12)로 비트열을 출력한다. 제2 디지털 교환기(12)는 시스템제어 처리기(10)의 제어하에 MTSO(1)와 기지국A, B(2,3) 사이의 루팅을 담당하고, 제1 디지털 교환기(11)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10)의 제어하에 셀룰러 망과 PSTN 사이의 루팅을 담당한다. 시스템 제어 처리기(10)는 상기 제1,2디지털 교환기(11,12)를 제어하여 MTSO(1)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루팅하므로서 통화를 기지국A, B(2,3) 및 디지털 보코더(13)에 적절히 할당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처리기(10)는 각 기지국A, B(2,3)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한다.In FIG. 1, when the normal diversity mode is activated, since the call is handled by two base stations A and B (2, 3), the MTSO 1 receives the same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base stations. Accordingly, the diversity combiner 14 of the MTSO 1 combines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cond digital exchanger 12, generates a high quality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digital vocoder 13. The digital vocoder 13 conver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diversity combiner 14 into a standard format, i.e., a telephone format of 64 kbps PCM,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digital switch 11, or encodes the input voice signal. 2 A bit string is output to the digital exchange 12. The second digital switch 12 is responsible for routing between the MTSO 1 and the base stations A, B (2, 3)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 processor 10, and the first digital switch 11 is a system control processor ( It is responsible for routing between the cellular network and the PSTN under the control of 10). The system control processor 1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exchanges 11 and 12 to route data to and from the MTSO 1 so that calls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s A, B (2, 3) and the digital vocoder 13. Assign appropriately to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processor 10 communicates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of each of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도3는 도1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체I, J(4,5)의 전화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일반적으로 안테나(20), 아날로그 수신부(21), 디지털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22),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23), 송신부(24), 스피커(25), 마이크(26), 제어부(30)를 구비한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of mobile bodies I and J (4,5) in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of FIG. 1, and generally includes an antenna 20, an analog receiver 21, a digital data receiver and decoder 22 And a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a transmitter 24, a speaker 25, a microphone 26, and a controller 30.

도3에서 안테나(20)는 도시되지 않은 듀플랙서(Duplexer)를 통하여 아날로그 수신부(21) 및 송신부(2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20)는 도1의 기지국A, B(2,3)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모아서 아날로그 수신부(21)로 전송하고, 송신부(2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기지국A, B(2,3)으로 송출한다. 아날로그 수신부(21)는 안테나(20)로부터 고주파(이하,RF라 한다)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 주파수(이하,IF라 한다) 대역으로 변환하고, 대역 동가 필터(이하, BPF라 한다)를 이용하여 필터링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수신부(21)는 필터링된 신호를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양자화하여 디지털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22)로 전송한다. 디지털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22)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기지국A, B(2,3)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롯 신호를 검색하고, 아날로그 수신부(21)로부터 수신된 비트열을 2개 이상의 복조장치를 이용하여 복조한다.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22)는 복조된 비트열을 다이버지티 조합하여 양질의 신호를 얻은 후, 오류정정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23)로 전송한다. 보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23)는 디지털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22)로부터 수신된 비트열을 디코딩하여 스피커(25)로 출력한다. 또한,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23)는 마이크(26)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고, 보코더에서 인코딩하여 송신부(24)로 전송한다. 송신부(24)는 디지털 기저대역 처리부(23)에서 입력된 신호를 RF 대역으로 변환하여 안테나(20)를 통하여 기지국A, B(2,3)으로 송출한다. 제어부(30)는 상기 장치들을 제어한다.In FIG. 3, the antenna 20 is connected to the analog receiver 21 and the transmitter 24 through a duplexer (not shown). Accordingly, the antenna 20 collects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of FIG. 1 and transmits them to the analog receiver 21, and transmits the signals input from the transmitter 24 to the base stations A and B (2). And 3). The analog receiver 21 receives a high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signal from the antenna 20, converts it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IF) band, and uses a band equivalent fil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PF). To filter. The analog receiver 21 quantizes the filtered signal using an A / D converter and transmits the quantized signal to the digital data receiver and decoder unit 22. The digital data receiving and decoder unit 22 retrieves pilot signal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nd retrieves two or more bit strings received from the analog receiving unit 21. Demodulate using a demodulator. Then, the digital data receiving and decoder unit 22 diversity-combines the demodulated bit strings to obtain a good signal, and then corrects the error to transmit to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The digital baseband processing unit 23 including the vocoder decodes the bit string received from the digital data receiving and decoder unit 22 and outputs the decoded bit string to the speaker 25. In addition,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A / D-conver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6, encodes the vocoder, and transmits the encoded audio signal to the transmitter 24. The transmitter 24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into an RF ban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s A and B (2,3) through the antenna 20.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devices.

이와 같은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은 메세지 정보의 문자 송수신이 가능한 쇼트 메세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제는 통화 정보를 문자로도 수신할 수 있거나, 메세지 정보를 음성으로도 수신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Such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provides a short message service capable of tex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essage information. However, it is hoped that the user can now receive call information as text or message information as voice.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는 신호간의 변환이 불가능하므로 음성은 음성으로만 수신이 가능하고, 메세지는 문자로만 수신이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since the conversion between signals is impossible, voice can be received only by voice, and a message can be received only by text.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또는 메세지 등의 정보 수신시 사용자가 음성 수신모드 또는 문자 수신모드를 선택하여 MTSO에서 상기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한 모드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shortcoming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 voice reception mode or a text reception mode when a user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a call or a message and convert the voice into a string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in the MTSO. By converting or converting a character string into a voice, a user is provided with a voice-to-character conversion apparatus of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which can be received in a selected mode.

본 발명의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의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to-text conversion apparatus of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converting and receiving a voice or tex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전화 제어 프로그램 갱신 장치는 다수의 이동 전화 장치, 다수의 이동 전화장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를 갖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수신모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모드에 따라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과 문자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lephone control program updating device of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devices, one or more base stations that are wireless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devices, and are coupled with one or more base stations.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having a mobile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comprising: a mobile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for detecting a reception mode signal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and converting a voice into a text or converting a text into a voice according to the detected reception mode; And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to the mobile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nd separately outputting voice and text received from the mobile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

상기의 목적외에도 발명의 따른 목적 및 장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된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and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4 내지 도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서 MTSO(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4의 구성과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2의 구성을 대비하여 보면, 도4의 구성은 수신모드 검출부(102)와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1 구성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동작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MTSO 100 in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configuration of FIG. 4 and the configuration of FIG. 2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onfiguration of FIG. 4 further includes a reception mode detector 102 and a voice-to-character converter 101.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nd their operation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도6는 도4의 구성에서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oice-to-text conversion unit 101 in the configuration of FIG.

도4의 MTSO(100)에서 수신모드 검출부(102)는 후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 전화기로부터 기지국A, B(2,3)과 제2 디지탈 교환기(12) 및 다이버시티 조합기(14)를 경유하여 전송된 수신모드 신호를 검출하여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로 출력한다.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는 상기 수신모드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수신모드에 따라서 음성을 문자로, 또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제2 디지탈 교환기(12) 및 기지국A, B(2,3)을 통하여 이동 전화기로 송신한다.In the MTSO 100 of FIG. 4, the reception mode detection unit 102 controls the base stations A, B (2, 3), the second digital switch 12, and the diversity combiner 14 from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 user input described later. The reception mode signal transmitted via the signal is detected and output to the voice-to-character conversion unit 101. The voice-to-text converter 101 converts voice into text or text into voi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detected by the reception mode detector 102, and the second digital switch 12 and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to the mobile phone.

도6를 참조하여 상기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우선 수신모드 검출부(102)에서 입력되는 수신모드가 음성모드인가 문자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1을 수행한다, 1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수신모드가 음성모드로 판별되면 송신할 데이터가 문자(메세지)인가 아니된 음성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2를 수행한다. 2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문자로 판별되면, 문자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A, B(2,3)을 통하여 이동 전화기로 송신하는 단계 3을 수행하고,2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음성으로 판별되면 변환없이 이동 전화기로 송신한다. 한편, 1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수신모드가 문자모드로 판별되면, 송신할 데이터가 문자인가 아니면 음성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4를 수행한다. 4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음성으로 판별되면, 음성 신호를 문자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A, B(2,3)을 통하여 이동 전화기로 송신하는 단계 5를 수행한다. 4단계의 판단에 의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문자로 판별되면 변환없이 이동 전화기로 송신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voice-to-text conversion unit 10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First, step 1 of determining whether a reception mode input from the reception mode detection unit 102 is a voice mode or a text mode is performed. If the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voice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step 1, step 2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a voice (message) or not is performed.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as text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 step 2, step 3 of converting the text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is performed.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to be voic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lephone without conversion.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text mode by the determination in step 1, step 4 of determining whether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text or voice is performed.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to be voice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 step 4, step 5 is performed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a text signal and transmit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base stations A and B (2, 3). If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determined as text by the determination in step 4,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lephone without conversion.

이때, 음성과 문자간 변환부(101)의 변환방법에서 상기 단계 3 및 단계 5는 통상적으로 음성 합성 및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문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데에 컴퓨터 등에서 많이 연구되어온 음성 합성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음성을 문자 신호로 변환하는 데에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s 3 and 5 in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voice-to-character converter 101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using speech synthesis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a speech synthesis technique, which has been studied in computers and the like, may be used to convert text into speech signals,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may be used to convert speech into text signals.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에서 이동 전화기의 구성을 블록도이다. 도5의 구성과 종래의 도3의 구성을 대비하여 보면, 도5는 음성/문자 분리부(200), 문자 디코더부(201), 문자출력 부(202), 수신모드 처 리 부(203), 다중화부(204)를 추가로 구비 하고 있고, 제어부(210)는 기능을 확장하여 구비한다. 따라서, 도3와 중복되는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lephone in the voice-to-text conversion apparatus of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configuration of FIG. 5 and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FIG. 3, FIG. 5 illustrates a voice / character separator 200, a character decoder 201, a character output unit 202, and a reception mode processing unit 203. In addition, the multiplexing unit 204 is further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210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func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 3 and their operations will be omitted.

도7는 도5의 구성에서 제어부(21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의 이동 전화기에서 음성/문자 분리부(200)는 디지탈 데이터 수신 및 디코더부(22)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열을 음성과 문자로 분리한다. 또한, 음성/문자 분리부(200)는 수신모드 처리부(203)로부터 제어부(210) 및 노드 300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수신모드 신호를 참조하여 음성 신호 처리 경로 또는 문자 신호 처리 경로를 선택한다. 상기 음성/문자 분리부(200)에서 음성 신호 처리 경로가 선택된 경우, 음성 정보는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로 출력되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성 동화를 위한 처리 과정을 거쳐 스피커(25)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음성/문자 분리부(200)에서 문자 신호 처리 경로가 선택될 경우, 문자정보는 문자 디코더부(201)로 출력된다. 문자 디코더부(201)는 음성/문자 분리부(200)에서 입력되는 문자 정보를 디코딩하여 LCD(220) 동에서 인식 가능한표맷으로 변환하고, 문자 출력부(202)로 출력한다. 문자 출력부(202)는 LCD(220)를 제어하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문자 디코더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LCD(220)로 출력한다. 수신모드 처리부(20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모드를 제어부(210) 및 노드 300을 통하여 음성/문자 분리부(200)로 전송하여 음성 신호 처리 경로와 문자 신호 처리 경로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신모드 처리부(203)는 상기 수신모드를 MTSO(100)로 송신한다. 다중화부(204)는 송신할 음성 정보에 수신모드 처리부(203)에서 발생된 수신모드 신호를 다중화시켜 송신부(24)로 전송하거나, 음성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수신모드 신호받을 송신부(24)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상기 장치들을 모두 제어하여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 신호 처리 경로와 문자 신호처리 경로를 분리하여 출력시킨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ntroller 21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In the mobile phone of Fig. 5, the voice / text separator 200 separates the bit string output from the digital data reception and decoder unit 22 into voice and text. Also, the voice / text separator 200 selects a voice signal processing path or a text signal processing path with reference to the reception mode signal input from the reception mode processing unit 203 via the control unit 210 and the node 300. When the voice signal processing path is selected by the voice / character separator 200, voic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and output to the speaker 25 through a process for voice assimil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xt signal processing path is selected by the voice / text separator 200, the text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text decoder 201. The text decoder 201 decodes the text information input from the voice / text separator 200, converts the text information into a format recognizable by the LCD 220, and outputs it to the text output unit 202. The character output unit 202 controls the LCD 22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haracter decoder unit 201 to the LCD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The reception mode processor 203 determines 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ransmits the reception mode to the voice / text separator 200 through the controller 210 and the node 300 to process the voice signal processing path and the text signal. Controls the path selection. In addition, the reception mode processing unit 203 transmits the reception mode to the MTSO 100. The multiplexer 204 multiplexes the reception mode signal generated by the reception mode processing unit 203 to the transmission unit 24 by transmitting the reception mode signal to the reception mode signal when there is no voice information. do. The control unit controls all of the devices to separate and output the voice signal processing path and the text signal processing path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도7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210)의 상세한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모드를 음성 수신 또는 문자 수신으로 결정하는 단계 10을 수행한다. 10단계에 의하여 수신모드가 길정되면 수신모드를 음성신호에 삽입하여 MTSO(100) 로 전송하는 단계 11를 수행한다. 이어서, 단계 1에서 수신모드가 음성 수신인가 문자 수신인가를 판단한다. 12단계에서 음성 수신모드로 판별되면 단계 13에서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23)에서 음성신호를 복원하여 스피커(25)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12단계에서 문자 수신모드로 판별되면 문자 디코더부(201) 및 문자 출력부(202)에서 디스플레이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14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모드를 선택하여 음성이나 문자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A detailed operation principle of the controller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First, step 10 of determining a reception mode as voice reception or text recep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is performed. If the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by step 10, step 11 of inserting the reception mode into the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ode to the MTSO 100 is performed. Next, in step 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ption mode is voice reception or text reception. If the voice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in step 12,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23 restores the voice signal to the speaker 25 in step 13. On the other hand, if the character receiving mode is determined in step 12, the character decoder 201 and the character output unit 202 outputs the display character 14.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 reception mode to talk by voice or text.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는 사용자가 음성 수신모드 또는 문자 수신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수신모드에 따라 MTSO에서 음성을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과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수신된 메세지를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oice-to-text conversion apparatus of the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a voice reception mode or a text reception mode and converts the voice into a string or converts the text into a voice in MTSO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By converting to, since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making a call using the screen and a microphone or listening to a received message by voi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상기 대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제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저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3)

다수의 이동 전화 장치, 다수의 이동 전화장치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를 갖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수신모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 하는 이동 전화 교환장치와,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apparatuses, one or more base stations wirelessly coupled to a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apparatuses, and a mobile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coupled to one or more base stations, the reception mode signal determined by a user's selection A mobile telephone switching device that detects and converts voice into text or converts text into voice according to the detected reception mod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모드를 길징하여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모드에 따라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과 문자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이동 전화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And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for lengthening a recep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nd separating and outputting voice and text received from the mobile telephone swi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Voice-to-text converters in telephone syste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루팅하는 디지탈 교환기와, 상기 루팅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 처리기와, 상기 입력된 정보를 조합하여 양질의 신호로만들어 출력하는 다이버시티 조합기와, 상기 다이버시티 조합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포맷 변환하거나 인코딩하는 디지탈 보코더와, 상기 다이버시티 조합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서 수신모드를 검출하는 수신모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수신모드에 따라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과 문자간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 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lephone exchange device comprises: a digital switch for routing data input and output, a system control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outing, and a diversity combiner for combining and out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into a high quality signal; A digital vocoder for format-converting or encoding a signal input from the diversity combiner, reception mod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eception mode from a signal input from the diversity combiner, and a voice into a text according to the detected reception mode; And a voice-to-text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or converting a text into a vo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전화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 변환하고 디지탈 신호를 변환하는 아날로그 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수신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고 오류정정하는 디지탈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와, 상기 디지탈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에서 수신된 비트열을 디코딩하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탈 변환하고 인코딩하는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와, 상기 디지탈 기저대역 처리부로터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대역으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디지탈 데이터 수신및 디코더부로부터 입력되는 비트열을 음성과 문자로 분리하여 각각의 경로를 선택하는 음성/문자 분리수단과, 상기 음성/문자 분리수단에서 입력되는 문자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문자 디코더 수단과,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문자 디코더 수단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문자 출력 수단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모드를 제어부를통하여 상기 음성/문자 분리부로 전송하여 경로 선택을 제어하며 상기 수신모드를 상기 이동 전화 교환장치로 송신하는 수신모드 처리수단과, 송신할 음성 정보제 상기 수신모드 처리부에서 발생된 수신모드를 다중화하는 다중화 수단과, 상기수신모드에 따라 음성 신호 처리 경로와 문자 신호 처리경로 분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셀룰라 전화시스템의 음성과 문자간 변환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lephone apparatus comprises: an analog receiver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ting a signal of a high frequency band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a digital signal; and a digital dat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error correcting a signal input from the analog receiver. And a digital baseband processor for decoding the bit stream received by the digital data receiver and the decoder, or for digitally converting and encoding a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and a signal input from the digital baseband processor. A voice / character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bit stream inputted from the transmitter and the digital data receiving and decoder unit through an antenna and inputting the digital data into voice and text, and selecting respective paths; Decode the charact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means A character decoder means for converting to a format recognizable by the splay unit, a character output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character decoder means to the disp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receiving mod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Receiving mode proces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path selection by transmitting the receiving mode to the voice / text separating unit through a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receiving mode to the mobile switching device, and the receiving mode processing unit for voic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multiplexing means for multiplexing a reception mode generated by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eparation of a voice signal processing path and a text signal processing path according to the reception mode. .
KR1019960069494A 1996-12-21 1996-12-21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KR199800506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94A KR19980050649A (en) 1996-12-21 1996-12-21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494A KR19980050649A (en) 1996-12-21 1996-12-21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49A true KR19980050649A (en) 1998-09-15

Family

ID=6638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494A KR19980050649A (en) 1996-12-21 1996-12-21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649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17A (en) * 1998-06-29 2000-01-25 윤종용 Voice communicating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synthesi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010005857A (en) * 1997-04-01 2001-01-1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Telecommunications speech/text conversion and message delivery system
KR100323755B1 (en) * 1999-12-28 2002-02-19 서평원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ed auto response service using th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28501A (en) * 2000-10-10 2002-04-17 김철권 Method for conversion between sound data and text data in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KR100489203B1 (en) * 1997-12-30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mobile radio communicator that converts voice to text service
KR20060001176A (en)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668919B1 (en) * 1999-12-30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voice process of internet service by mobile phon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857A (en) * 1997-04-01 2001-01-1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Telecommunications speech/text conversion and message delivery system
KR100489203B1 (en) * 1997-12-30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mobile radio communicator that converts voice to text service
KR20000003717A (en) * 1998-06-29 2000-01-25 윤종용 Voice communicating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synthesis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100323755B1 (en) * 1999-12-28 2002-02-19 서평원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ed auto response service using the communication system
KR100668919B1 (en) * 1999-12-30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voice process of internet service by mobile phone
KR20020028501A (en) * 2000-10-10 2002-04-17 김철권 Method for conversion between sound data and text data in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KR20060001176A (en) * 2004-06-30 2006-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9502B1 (en) Tone detection elimination
US57646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of communication signals over a public network
US200200013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nd data over digital wireless cellular system
US20040220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over a voice channel
KR10036213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voice packet communications
JPH08130775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JP2795151B2 (en) Multiplexing of system information and voice for simplified mobile phone system
KR20000036125A (en) Conference calling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channel
EP0959581A2 (en) Radio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KR19980050649A (en) Voice to Text Converters in Digital Cell Phone Systems
KR1002448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dvertising in a cellular phone system
JP2000253187A (en) Audio communications equipment
US7079838B2 (en)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performing a conference call thereof
EP1014738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bandwith usage in a packet switching network
JPH0661903A (en) Talking device
JP3120836B2 (en) CODEC1 link control method and CODEC1 link connection control base station
US6701139B1 (en) Code converter and a system using same
US609794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bile telephony
JP3357558B2 (en) Call control method
JPH10108262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329550B1 (en) Multimedia service appl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IMT-2000 system
US727769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mechanism for preventing demodulation of text telephone information during poor signal reception
US7457314B2 (en)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oice transmission via a radio interface
JP2616675B2 (en) Handover processing circuit
JPH11127485A (en) Voice/data simultaneous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