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996A - 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facsimil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facsim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996A
KR19980015996A KR1019960035478A KR19960035478A KR19980015996A KR 19980015996 A KR19980015996 A KR 19980015996A KR 1019960035478 A KR1019960035478 A KR 1019960035478A KR 19960035478 A KR19960035478 A KR 19960035478A KR 19980015996 A KR19980015996 A KR 1998001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dentifier
memory
stored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19932B1 (en
Inventor
이원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932B1/en
Priority to GB9713701A priority patent/GB2316565A/en
Publication of KR1998001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9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82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 tone- or pulse-coded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 method for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a facsimile.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종래에 수신 또는 독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기능 수행후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였다.The image data that is conventionally received or read and stored in the memory is deleted from the memory afte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All. The poin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수신 또는 독취되는 화상데이타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식별자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데이타를 복수의 기능 수행에 사용되도록 하였으며,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삭제는 사용자 요구에 의해 삭제되도록 하였다.A unique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image data to be received or read and stored, and the selected image data is used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by using an identifier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nd deletion of stored image data is deleted by a user's request.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팩시밀리.Facsimile.

Description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facsimile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화상데이타의 저장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장되는 화상데이타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부여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toring and managing image data in a facsim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given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stored image data.

종래에 메모리를 가지는 팩시밀리에서는 필요에 따라 수신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수신모드에서는 수신되는 화상데이타를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 요구에 의해 인쇄되면 자동으로 삭제되었다. 또한, 송신모드 또는 복사모드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 요구에 의해 송신하거나, 복사되면 자동으로 삭제되었다.Conventionally, in a facsimile having a memory, received or read image data is stored in a memory and used as needed. In the reception mode, received image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a memory and automatically deleted when printed by a user's request. In addition, the image data read out in the transmission mode or the copy mode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and is transmitted by a user's request, or automatically deleted when copied.

종래에는 수신 또는 독취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는 사용자 요구에 따른 기능 수행후 삭제함으로 인하여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복수 기능 수행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mage data stored in a memory after being received or read can not be used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because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deleted afte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toring a unique identifier to read image data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화상데이타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received image data and storing the unique ident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화상데이타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outputting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stored image data to a li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aging stored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acsim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취 화상데이타 저장을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storing read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화상데이타 저장을 위한 제어 흐름도.3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storing received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화상데이타 관리를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stored image data manag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테이블도.5A is a memory table diagra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도.Figure 5b is a memory ma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관리 리스트.6 is a management list of stored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2)에 설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LIU(Line Interface Unit)(1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공중전화망(PSTN)과 모뎀(14) 간의 데이타를 인터페이싱 한다. 상기 모뎀(14)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LIU(1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복조하며,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조한다. 스케너(16)는 송신 또는 복사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삽입되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프린터(18)는 수신된 화상데이타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인쇄한다. OPE(Operating Pannel)(20)는 각종 서비스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메트릭스로 구성되며, 키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OPE(20) 내부에는 팩시밀리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2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프로그램과,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수신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facsimile according to a control program set in the memory 22,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U (Line Interface Unit) 12 interfaces data betwee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modem 1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he modem 14 demodulates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the LIU 12 into a digital signal and modulate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 into an analog signal. When the transmission mode or the copy mode is set, the scanner 16 reads the inserted docu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converts the document into image data, and provides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 unit 10. The printer 18 prints the received image data or the read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The OPE (Operating Pannel) 20 is composed of key metrics including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service functions, and provides the control unit 10 with key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key operation. In addition, the OPE 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The memory 22 stores a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0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addition, the image data received or rea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is temporarily s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되는 원고를 독취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독취 요구가 있으면 화일 식별자(I.D)의 입력을 요구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삽입된 원고를 독취하여 상기 식별자(I.D)에 대응되는 메모리번지에 상기 독취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reading and storing the inserted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Referring to FIG. 2, a process of registering a document with an input of a file identifier (ID) And storing the read image data in a memory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되는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신요구에 응답하여 프로토콜 수행중 수신되는 식별자(I.D) 데이타에 따라 식별자(I.D)를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토콜 수행중 식별자(I.D)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시각을 식별자(I.D)로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I.D)가 부여되면 수신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식별자(I.D)에 대응되는 메모리번지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storing received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rocess of providing an identifier (ID) according to ID data received during protocol execution in response to a reception request (ID) when the identifier (ID) data is not received during the protocol execution; and a step of assigning the received image data to the memory (ID)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And storing it in an addr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송신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된 화상데이타중 선택된 식별자(I.D)에 대응되는 화일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송신하는 과정과,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복사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된 화상데이타중 선택된 식별자(I.D)에 대응되는 화일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인쇄하는 과정과,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삭제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된 화상데이타중 선택된 식별자(I.D)에 대응되는 화일을 삭제하는 과정과, 저장된 화상데이타에 관한 리스트 요구가 있으면 화일 관리 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managing stored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stored image data, an image corresponding to a file corresponding to a selected identifier (ID)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data and prin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file corresponding to a selected identifier (ID) of the stored image data when there is a request to copy the stored image data; A step of deleting the fi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ID) of the image data, and a step of outputting the file management list if there is a list request regarding the stored imag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구조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5a는 화일 식별자(I.D)를 저장하는 화일식별자영역, 수신된 화상데이타와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구분하는 용도코드를 저장하는 용도영역, 화상데이타가 생성된 시각을 기록하는 생성시각영역, 화상데이타의 페이지수를 기록하는 페이지영역 및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 번지를 기록하는 번지영역으로 구성된다. 도5b는 화상데이타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구조로써, 메모리번지에 대응하여 화상데이타 화일이 저장되는 구조를 나타낸다.FIG. 5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mor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A, a file identifier area for storing a file identifier (ID), an application code for distinguishing received image data from read image data A generation time area for recording the time at which the image data is generated, a page area for recording the number of pages of the image data, and an address area for recording the memory addres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FIG. 5B shows a structure of a memory in which image data is stored, in which image data files are stored corresponding to memory addresses.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데이타를 관리하는 화일리스트의 출력도이다. 상기 화일리스트는 화일식별자(I.D), 용도, 생성시각 및 페이지로 구성된다.6 is an output diagram of a file list manag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e list is composed of a file identifier (ID), a purpose, a creation time, and a pa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 2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210단계에서 스케너(16)로 삽입되는 원고가 있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원고의 삽입이 감지되면 212단계로 진행하여 OPE(20)로부터 삽입된 원고의 독취를 요구하는 키데이타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OPE(20)로부터 키데이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화일 식별자(I.D)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기 화일 식별자(I.D)를 저장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OPE(20)에 구비된 표시창에 화일 식별자(I.D)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OPE(2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를 입력받아 메모리(22)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컨데, 상기 214단계에서는 화일 식별자(I.D)인 A의 저장과 함께 독취된 화상데이타임을 나타내는 용도코드인 0,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따라 화일이 생성된 시각인 96.05.13.12,00, 독취된 화상데이타의 페이지인 2 및 독취된 화상데이타가 저장될 메모리(20)의 번지인 ADD0가 저장된다. 상기 화일 식별자(I.D)를 포함한 화일 관리를 위한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20)의 구조는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관리데이타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6단계에서 상기 스케너(16)를 제어하여 삽입된 원고를 독취한다. 상기 독취된 화상데이타는 218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메모리(20)의 번지(ADD0)에 저장된다.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독취된 화상데이타의 저장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저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16단계로 리턴하며, 저장이 완료된 경우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의 저장을 종료한다.First, a process of storing image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Referring to FIG. 2, in step 210, the controller 10 detects whether there is a document inserted into the scanner 16. If insertion of the document is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2 and detects input of key data requesting reading of the inserted document from the OPE 20. When the key data is input from the OPE 20,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14 and receives and stores the file identifier I.D.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file identifier (ID), a message requesting input of a file identifier (ID) is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the OPE 20, and in response to the displayed message, And stores the key data in the memory 22. For example, in step 214, a use code indicating that the image data is the image data read together with the storage of the file identifier (ID) A, 0, 96.05.13.12,00, the time at which the file wa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ad image data, And ADD0, which is the address of the memory 20 in which the read image data is to be stored. The structure of the memory 20 in which data for file management including the file identifier (I.D) is stored is shown in FIG. 5A. When the storage of the management data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scanner 16 in step 216 to read the inserted document. The read image data is stored in the address ADD0 of the stored memory 20 in step 218. [ In step 220, 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of the read image data is completed. If the storage is not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16. If the storage is completed, the storage of the read image data is terminated.

한편, 수신되는 화상데이타의 저장은 도 3에 따라 수행되며,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230단계에서 공중전화망을 통해 외부의 팩시밀리로부터 화상데이타의 수신 요구가 있는 가를 감지한다. 상기 수신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32단계로 진행하여 I.T.U 권고안의 T.30절차에 따른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34단계에서 상기 프로토콜 진행시 TIC 내용이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234단계에서 TIC 내용이 감지되면 236단계로 진행하여 TIC 내용을 화일식별자(I.D)로 부여한다. 한편, 상기 234단계에서 TIC 내용이 감지되지 않으면 238단계로 진행하여 화상데이타의 수신 요구가 있은 시각을 화일식별자(I.D)로 부여한다. 상기 236단계와 238단계에서 부여된 화일식별자(I.D)는 메모리(22)에 저장된다. 예컨데, 상기 236단계와 238단계에서는 화일 식별자(I.D)인 B의 저장과 함께 수신된 화상데이타임을 나타내는 용도코드인 1, 수신된 화상데이타에 따라 화일이 생성된 시각인 96.05.13.13,10, 수신된 화상데이타의 페이지인 5 및 수신된 화상데이타가 저장될 메모리(20)의 번지인 ADD1가 저장된다. 상기 화일 식별자(I.D)를 포함한 화일 관리를 위한 데이타가 저장된 메모리(20)의 구조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다. 화일식별자(I.D)의 부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40단계로 진행하여 모뎀(14)을 통해 수신되는 화상데이타를 도 5b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22)에 저장한다.상기 화상데이타의 저장 완료가 242단계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수신 화상데이타 저장과정을 종료한다.3, the control unit 10 detects whether there is a request to receive image data from an external facsimile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 step 230. In step 230, do. If the reception request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32 and performs a protocol according to the T.30 procedure of the ITU recommendation.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in step 234 whether there is a TIC content in the protocol progress. If the TIC content is detected in step 23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36 where the TIC content is assigned as a file identifier (I.D.). On the other hand, if the TIC content is not detected in step 23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38 and the time when the reception of the image data is requested is given as the file identifier (I.D.). The file identifier (ID) assigned in steps 236 and 238 is stored in the memory 22. For example, in steps 236 and 238, an application code 1 indicating the image data received along with the storage of the file identifier (ID) B, 96.05.13.13,10, which is the time when the file wa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image data, The page number 5 of the image data to be stored and the address ADD1 of the memory 20 in which the received image data is to be stored. The structure of the memory 20 in which data for file management including the file identifier (I.D) is stored is shown in FIG. 5A. When the assignment of the file identifier (ID)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240 and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modem 14 in the memory 22 in the form of FIG. 5B. If the storage completion is detected in step 242, the control unit 10 ends the reception image data storing process.

다음으로 화상데이타가 저장된 화일의 관리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310단계에서 OPE(20)로부터 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키데이타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키데이타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12단계, 320단계, 328단계 및 336단계에서 입력된 키데이타를 분석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송신을 요구하는 키데이타라 분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14단계에서 송신할 화일을 선택한다. 상기 송신 화일의 선택은 상기 OPE(20)에 구비된 표시창을 통해 화일 선택 요구메세지를 표시하며, 상기 요구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OPE(2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에 따라 선택한다. 상기 송신 화일의 선택은 복수의 식별자를 선택하여 복수의 화상데이타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화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314단계에서 송신 화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16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선택 완료판단은 상기 OPE(20)로부터 완료 키데이타가 입력되는 가를 통해 판단한다. 상기 선택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18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서 독출하여 모뎀(14)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는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메모리번지를 읽어 도5b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22)의 상기 읽은 메모리번지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말한다. 화일의 송신이 완료되면 송신기능을 종료한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e input of the key data requesting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from the OPE 20 in step 310. FIG. When the key data input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 analyzes the key data input in steps 312, 320, 328, and 33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2 that the key data is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he controller 10 selects a file to be transmitted in step 314. The selection of the transmission file is made according to the key data input from the OPE 20 in response to the request message, by displaying a file selection request message on the display window provided in the OPE 20. The selection of the transmission file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 plurality of identifiers and designat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as a file for performing a function. If the transmission file is selected in step 314,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in step 316 whether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selection completion judgment is made based on whether the completion key data is inputted from the OPE 20. 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read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from the memory 22 in step 318,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via the modem 14.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refers to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address of the memory 22 having the structure 5b even if the memory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is read as shown in FIG. 5A.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file is completed, the transmission function is terminated.

만일, 320단계에서 복사를 요구하는 키데이타라 분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22단계에서 복사할 화일을 선택한다. 상기 복사 화일의 선택은 상기 314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복사 화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24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선택 완료판단은 상기 OPE(20)로부터 완료 키데이타가 입력되는 가를 통해 판단한다. 상기 선택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26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서 독출하여 프린터(18)을 통해 인쇄한다.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의 독출은 상기 송신모드 수행시 이루어지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일의 인쇄가 완료되면 송신기능을 종료한다. 또한, 328단계에서 삭제를 요구하는 키데이타라 분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30단계에서 삭제할 화일을 선택한다. 상기 삭제 화일의 선택은 상기 314단계와 322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복사 화일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32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한다. 선택 완료판단은 상기 OPE(20)로부터 완료 키데이타가 입력되는 가를 통해 판단한다. 상기 선택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334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22)에서 삭제한다.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의 독출은 상기 송신모드 또는 복사모드 수행시 이루어지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일의 인쇄가 완료되면 송신기능을 종료한다. 상기 310단계에서 입력된 키데이타가 336단계에서 리스트 요구데이타라 분석되면 33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린터(18)를 통해 리스트를 인쇄한다. 상기 리스트는 메모리(22)에 도 5a 형태로 저장된 데이타에 의해 출력되며, 상기 출력된 리스트의 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310단계에서 입력된 키데이타가 312단계, 320단계, 328단계 및 336단계에서 분석되지 않으면 34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If the key data is requested to be copied in step 320, the controller 10 selects a file to be copied in step 322. [ Since the selection of the copy file is the same as that performed in step 314,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f the copy file is selected in step 322,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in step 324 whether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selection completion judgment is made based on whether the completion key data is inputted from the OPE 20. 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read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from the memory 22 in step 326 and prints the image data through the printer 18. The reading o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ransmission mod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printing of the file is completed, the transmission function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28 that the key data is requested to be deleted, the controller 10 selects a file to be deleted in step 330. The selection of the deletion file is the same as that performed in steps 314 and 322,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f the copy file is selected in step 330,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in step 332 whether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selection completion judgment is made based on whether the completion key data is inputted from the OPE 20. 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0 delete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in the memory 22 (step 334). The reading o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ransmission mode or the copying mod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printing of the file is completed, the transmission function is terminated. If the key data input in step 310 is analyzed as list request data in step 336,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8 and the list is printed through the printer 18. The list is output to the memory 22 by the data stored in the form of FIG. 5A, and an example of the output list is as shown in FIG. If the key data input in step 310 is not analyzed in step 312, step 320, step 328 and step 336,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40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신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기능 수행시 필요한 화상데이타를 식별자를 통해 복수로 선택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된 화상데이타에 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리스트로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된 화상데이타의 삭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한번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복수 기능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oring image data received or read by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the image data,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function through the identifier to perform the function. In addition, data including identifiers of stored image data can be used as a list, and the deletion of the stored image data is performed by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stored image data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functions.

Claims (11)

메모리를 구비한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타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a facsimile having a memory, 수신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에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식별자에 의해 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송신 또는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the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received or read image data and is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image data is selected or transmitted or printed by the identifier, in the facsim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부여는,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시에는 프로토콜 수행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타를 식별자로 부여하며, 상기 프로토콜 수행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타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시각을 식별자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the image data is received as an identifier according to a protocol executed when the image data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stored as an identifier, and when no data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protocol execution, the receiving time is given as an identifier. A method for managing image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부여는,3. The method of claim 2, 독취한 화상데이타를 저장시에 식별자 입력을 요구하여 입력되는 식별자에 따라 식별자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nd an identifier is assigned in accordance with an identifier inputted when the read image data is stored and an identifier input is requested, thereby managing the image data management using the identifier in the facsimi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식별자에 의한 화상데이타의 선택은 복수로 선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nd the selection of image data by the identifier can be selected in a plurality of way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리스트 출력 요구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자를 리스트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nd outputs the identifier stored in the memory as a list according to the list output request. 메모리를 구비한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managing image data using an identifier in a facsimile having a memory, 화상데이타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과정과,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and storing the identifier in the memory;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화상데이타에 대응되는 식별자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리스트 출력과정과,A list output step of outputting, as a list, identifiers corresponding to all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식별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nd outputting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identifier, and outputting the selected image dat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저장과정에서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저장시에는 프로토콜 수행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타를 식별자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when the image data is stored from the outside in the storing step, the data re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execution is given as an identifier in the facsimile.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저장과정에서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타를 저장시 프로토콜 수행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타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시각을 식별자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when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ing step, when the data is not re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ocol execution, the receiving time is given as an identifier in the facsimi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저장과정에서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저장시에는 식별자 입력을 요구하여 입력되는 식별자를 식별자로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when the image data read out during the storing process is stored, an identifier input is requested and the inputted identifier is given as an identifi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리스트 출력과정에서 출력되는 리스트는 식별자, 생성시각 및 페이지수 목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Wherein the list output in the list output process includes an identifier, a creation time, and a list of page numbers in the facsimi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은,7. The method of claim 6, 송신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송신하는 송신단계와, 복사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인쇄하는 복사단계와, 삭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타를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삭제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화상데이타 관리방법.A copying step of reading ou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selected when a copying request is issued from the memory and printing the image data; And deleting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from the memory.
KR1019960035478A 1996-08-24 1996-08-24 Graphic data management method by character-data in facsimile KR100219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78A KR100219932B1 (en) 1996-08-24 1996-08-24 Graphic data management method by character-data in facsimile
GB9713701A GB2316565A (en) 1996-08-24 1997-06-30 Managing image data using identifying indicators in a facsimil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478A KR100219932B1 (en) 1996-08-24 1996-08-24 Graphic data management method by character-data in facsim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996A true KR19980015996A (en) 1998-05-25
KR100219932B1 KR100219932B1 (en) 1999-09-01

Family

ID=1947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478A KR100219932B1 (en) 1996-08-24 1996-08-24 Graphic data management method by character-data in facsimi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19932B1 (en)
GB (1) GB2316565A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3877A (en) * 1989-08-02 1991-03-19 Canon Inc Imag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mage data base system using the same
WO1991003115A1 (en) * 1989-08-18 1991-03-07 The Complete Pc A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facsimile messages
US5072309A (en) * 1990-02-02 1991-12-10 At&T Bell Laboratories Information retrievel arrangement including facsimile apparatus
JPH06164867A (en) * 1991-03-14 1994-06-10 Canon Inc Facsim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facsimile communication method
US5392336A (en) * 1993-05-27 1995-02-21 At&T Corp. Data message storage and pick up service
US5577108A (en) * 1993-08-03 1996-11-19 Mankovitz; Roy J.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with self-contained programmable automatic interface unit
GB2282725A (en) * 1993-10-07 1995-04-12 Julien Snell Facsimile information libr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3701D0 (en) 1997-09-03
GB2316565A (en) 1998-02-25
KR100219932B1 (en)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10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6674537B2 (en) Data processing method i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131080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US7852505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7512988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user identification data allocated to image data
US5798848A (en) Facsimile system having a facsimile machine and an external data processing device
KR100219932B1 (en) Graphic data management method by character-data in facsimile
JP2002077472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0233403B1 (en) Method for outputting received document in a fax
JPH1042125A (en) Facsimile equipment
KR100467563B1 (en) How to set up a fax receiver
JP3647658B2 (en) Facsimile device
KR19990038612A (en) How to manage image data on fax machine
JP2748130B2 (en) Facsimile machine
KR19980074471A (en) Optional Preservation of Scheduled Jobs for Facsimile Devices
JPH04142867A (en) Facsimile equipment
JPH10210260A (en)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1119547A (e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9980065569A (en) How to change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facsimile
JPH09101927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H07177280A (en) Facsimile system
JPH09121263A (en) Reception picture information output method
JPH05327978A (en) Multi-address communication system for facsimile communication network
JPH05122479A (en) Control method for facsimile equipment
KR19980078268A (en) How to send a specific time from the fa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