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109B1 - Carrier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ri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109B1
KR102665109B1 KR1020240008738A KR20240008738A KR102665109B1 KR 102665109 B1 KR102665109 B1 KR 102665109B1 KR 1020240008738 A KR1020240008738 A KR 1020240008738A KR 20240008738 A KR20240008738 A KR 20240008738A KR 102665109 B1 KR102665109 B1 KR 10266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pright state
protective plate
hinge connection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8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비
Priority to KR102024000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1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캐리어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캐리어 구조체는, 전면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박스; 및 직립 상태시 상기 박스의 후면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박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보관 상태시 상기 박스의 전면 상에 상기 박스의 전면을 덮으며 배치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등받이 형성부를 포함한다.A carrier structure is disclosed, the carrier structure comprising: a box having a rod that can protrude upward on the front; and is position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ack of the box when in an upright state, forming a seating space between the rod and the rod protruding toward the top of the box,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box when stored. It includes a backrest forming portion including a protective plate arranged to cover.

Description

캐리어 구조체{CARRIER STRUCTURE}Carrier structure {CARRIER STRUCTURE}

본원은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carrier structures.

여행용 캐리어는 여행용 물건을 넣어두는 캐리어의 일종이다.A travel carrier is a type of carrier that stores travel items.

그런데, 종래에, 부모가 어린이를 데리고 여행을 갈 때 어린이는 체력이 제한되고 지구력이 약하여 장시간 걷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부모는 아이를 안고 무거운 캐리어를 끌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부모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어린이용 의자가 있는 캐리어들이 등장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parents take their children on a trip, the children have limited physical strength and weak endurance,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long walks, and the parents have to carry the child and drag a heavy carrier, so to reduce the burden on the parents, children's luggage is used. Carriers with chairs appeared.

예를 들어, 기존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0965호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특허는, 여행용 캐리어에 유아용 시트가 장착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캐리어는, 유아용 시트의 미사용 시에도 캐리어에 유아용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휴대성이 낮고 차지하는 공간이 많은 측면이 있었다.Fo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0965 has previously been disclosed. The disclosed patent is for a child seat mounted on a travel carrier. However, these carriers have low portability and take up a lot of space because the baby seat is maintained in the carrier even when the baby seat is not in us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가 안착되는 시트에 대한 안착 공간을 제공하며 대상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arrier structure that provides a seating space for a seat on which an infant is seated, reduces the space occupied and ensures portability when the object is not seated. The purpos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는, 전면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박스; 및 직립 상태시 상기 박스의 후면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박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보관 상태시 상기 박스의 전면 상에 상기 박스의 전면을 덮으며 배치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등받이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box having a rod that can protrude upward on the front; and is position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ack of the box when in an upright state, forming a seating space between the rod and the rod protruding toward the top of the box,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box when stored. It may include a backrest forming portion including a protective plate disposed to cover.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형성부는, 직립 상태인 상기 보호판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 직립 상태인 상기 보호판의 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타측 연장부; 상기 보호판의 직립 상태시, 상기 일측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일측 힌지 연결부; 및 상기 보호판의 직립 상태시, 상기 타측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의 타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타측 힌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 및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직립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직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In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includes one sid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protection plate in an upright state; another side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plate in an upright state;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 an upright state, one side hinge connection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one side extension portion and has a lower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box; And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 an upright state,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hinge connection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other extension portion and whose lower end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x, wherein the protection plate is connected to the hinged portion of the one hin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It may be rotated by the hinged portion of the other hinge connection portion to change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storage state, or from the storage state to the upright state.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의 전면에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보호판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박스의 일측면에 타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일측 연장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박스의 타측면에 일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타측 연장부가 수용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ox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that is recessed rearward on the front of the box to accommodate the protective plate; a second receiving part that is recessed in one side of the box to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the one side extension; And a third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x by being recessed on one side to accommodate the other side extens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는 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후면의 상기 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전방 지퍼가 형성되는 전방 박스 유닛; 및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상기 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후방 지퍼가 형성되는 후방 박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 공간은, 대상이 전방을 향하게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전방 박스 유닛 및 상기 후방 박스 유닛은, 상기 전방 함몰부가 상기 후방 함몰부보다 큰 부피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ox includes: a front box unit in which a front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a front zipper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front depression at the rear; and a rear box unit in which a rear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a rear zipper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rear depression on the front, wherein the seating space is such that the object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acing forward. The front box unit and the rear box unit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recessed portion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rear recessed port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전방 박스 유닛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ach of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may be hinged to eac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x uni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등받이 형성부의 보호판이 직립 상태 및 보관 상태 중 하나로 배치될 수 있고, 보관 상태시에는 박스의 전면을 덮으며 배치 가능하므로, 대상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리어 구조체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plate of the backrest forming part can be arranged in either an upright state or a storage state, and can be arranged to cover the front of the box in the storage state, so that the space taken up when the object is not seated A carrier structure that can reduce and secure portability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보호판이 직립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2는 보호판이 보관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등받이 형성부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4는 미끄럼 방지 부재 및 무게 측정부가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석 유닛이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th the protective plate in an upright state.
Figure 2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th the protective plate in a stored state.
Figure 3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forming part of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is provided with an anti-slip member and a weight measuring unit.
Figure 5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provided with a magn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상부, 하측, 하면, 하부, 전방, 전면, 후방, 후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전단부,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후면,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후단부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location (top, top, upper, lower, lower, lower, front, front, rear, rear, etc.) are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u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set to .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ure 1,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the side generally facing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the portion generally facing the 12 o'clock direction is the upper side, and the 6 o'clock direction is the lower side, overall. The part facing 6 o'clock is the lower part, the 4 o'clock direction is the front, the part facing 4 o'clock is the front, the part facing 4 o'clock is the front, and the 10 o'clock direction is the rear, overall. The side facing the 10 o'clock direction may be the rear, and the part generally facing the 10 o'clock direction may be the rear end.

본원은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carrier structures.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이하 '본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rri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보호판이 직립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고, 도 2는 보호판이 보관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등받이 형성부의 개념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th the protective plate in an upright state, Figure 2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th the protective plate in a stored state, and Figure 3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is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the backrest forming part of the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박스(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is structure includes a box (1).

박스(1)는 전면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 로드(11)가 구비된다. 로드(11)는 박스(1)에 내장되되, 박스(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드(11)의 사용시에는 로드(11)를 박스(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시켜(도 1에 도시된 상태) 사용할 수 있고, 로드(11)의 미사용시에는 로드(11)를 박스(1)의 로드(11)가 수용되는 공간(박스(1)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으로 하향 삽입하여 공간에 내장시켜 로드(11)를 보관할 수 있다. 로드(11)는 박스(1)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로드(11)는 타이로드일 수 있다.The box 1 is equipped with a rod 11 on the front that can protrude upward. The rod 11 is built into the box 1 an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x 1. Accordingly, when using the rod 11, the user can protrude the rod 11 upward from the box 1 (state shown in FIG. 1), and when not using the rod 11, the rod 11 can be used. The rod 11 can be stored by inserting it downward into the space where the rod 11 of the box 1 is accommodated (a space recess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box 1) and embedding it in the space. Rod 1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x (1). Rod 11 may be a tie rod.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구조체는, 등받이 형성부(2)를 포함한다. 등받이 형성부(2)는 보호판(21)을 포함한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1, this structure includes a backrest forming portion 2. The backrest forming part 2 includes a protective plate 21.

보호판(21)은 직립 상태 및 보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보호판(21)은 직립 상태시 박스(1)의 후면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박스(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인 로드(11)와의 사이에 안착 공간을 형성한다.The protective plate 21 can be in an upright state and in a stored state. The protection plate 21 is positioned to protrude upward on the rear of the box 1 when in an upright state, and forms a seating space between the rod 11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x 1.

안착 공간은 대상이 박스(1)상에 안착되되 박스(1) 상에 안착되는 대상이 보호판(21)에 의해 후방으로 지지되고, 로드(11)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seating space may be a space in which an object is seated on the box 1, and the object seated on the box 1 is supported rearward by the protection plate 21 and forwardly supported by the rod 11.

대상은 안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은 모두 해당될 수 있는데, 어린이, 유아, 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object may be anything located within the seating space, and may include children, infants, luggage, etc.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보호판(21)은 보관 상태시 박스(1)의 전면 상에 박스(1)의 전면을 덮으며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보호판(21)은 미사용시에는 보관 상태가 되어 본 구조체가 최소한의 부피(최소한의 사용 영역)을 갖게 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the protective plate 2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box 1 and covers the front of the box 1 when stored. Accordingly, the protective plate 21 can be stored when not in use, allowing the structure to have a minimum volume (minimum use area).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등받이 형성부(2)는, 직립 상태인 보호판(21)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22), 직립 상태인 보호판(21)의 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타측 연장부(23), 보호판(21)의 직립 상태시, 일측 연장부(22)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박스(1)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241)되는 일측 힌지 연결부(24) 및 보호판(21)의 직립 상태시, 타측 연장부(23)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박스(1)의 타측면에 힌지 결합(251)되는 타측 힌지 연결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 형성부(2)는 u자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일측 힌지 연결부(24) 및 타측 힌지 연결부(25) 각각의 하부는 호형이고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2 has one extension portion 22 extending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protection plate 21 in an upright state, and a side extension portion 22 extending for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plate 21 in an upright state. When the other extension part 23 extends forward and the protective plate 21 is in an upright state, one side hinge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one extension part 22 and the lower end is hinged 241 to one side of the box 1. When the connection part 24 and the protection plate 21 are in an upright state, the other side hinge connection part 25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other extension part 23 and the lower end is hinged 251 to the other side of the box 1. can do. This backrest forming portion 2 may have a u-shaped shape. Additionally, the lower portions of each of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ortion 24 and the other hinge connection portion 25 may be arc-shaped and smooth.

보호판(21)은 일측 힌지 연결부(24)의 힌지 결합된 부분 및 타측 힌지 연결부(25)의 힌지 결합된 부분(251)에 의해 회전되어 직립 상태에서 보관 상태로 전환되거나, 보관 상태에서 직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 protection plate 21 is rotated by the hinged portion of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ortion 24 and the hinged portion 251 of the other hinge connection portion 25 to change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storage state, or from the storage state to the upright state. can be converted.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박스(1)는, 박스(1)의 전면에 후방으로 함몰되어 보호판(21)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14), 박스(1)의 일측면에 타측으로 함몰되어 일측 연장부(22)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15) 및 박스(1)의 타측면에 일측으로 함몰되어 타측 연장부(23)가 수용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용부는 제2 수용부와 대응, 대칭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ox 1 ha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4, which is recessed backward on the front of the box 1 and accommodates the protection plate 21, on one side of the box 1.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5 that is recessed to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the one side extension 22 and a third accommodating part 15 to be recessed to one side to accommodate the other side extension 2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x 1. there is.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may correspond to, be symmetrical with, or be formed identically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이에 따라, 보호판(21)은 보관 상태시 제1 내지 제3 수용부(14, 15)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박스(1)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갖지 않을 수 있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하고, 본 구조체의 사용 공간과 부피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ection plate 21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to third accommodating parts 14 and 15 when stored, so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box 1,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space and volume of this structure can be reduced.

즉, 보호판(21)은 위로 뒤집혀 로드(11)에 대향할 수 있고, 박스(1)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호판(21)과 로드(11)는 안착 공간(보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ection plate 21 can be turned over to face the rod 11 and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x 1, and the protection plate 21 and the rod 11 can form a seating space (protection space). there is.

또한, 보호판(21)은 아래로 뒤집혀 보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보호판(21)의 내면은 박스(1)에 접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ective plate 21 can be turned down and stored, and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plate 21 can be in contact with the box 1.

또한, 보호판(21), 일측 연장부(22), 타측 연장부(23), 일측 힌지 연결부(24) 및 타측 힌지 연결부(25)는 일체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plate 21, one side extension part 22, the other side extension part 23,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24, and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25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molded as one piece.

또한, 안착 공간은, 대상이 전방을 향하게 안착 공간에 안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안착 공간에 대상이 위치할 때, 대상은 박스(1) 상에 앉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ating spac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object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acing forward. When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seating space, the subject can sit on the box (1).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박스(1)는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는 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후면의 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전방 지퍼(131)가 형성되는 전방 박스 유닛(13) 및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후방 지퍼(121)가 형성되는 후방 박스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지퍼(131)와 후방 지퍼(121)가 지퍼 체결됨으로써 전방 박스 유닛(13)과 후방 박스 유닛(12)은 결합하여 닫은 상태의 박스(1)가 되게 할 수 있고, 전방 지퍼(131)와 후방 지퍼(121)가 지퍼 체결 해제됨으로써 전방 박스 유닛(13)과 후방 박스 유닛(12)은 결합 해제되어 열린 상태의 박스(1)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함몰부 및 후방 함몰부 각각은 짐이 들어가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 박스 유닛(13)은 박스(1)의 전방 덮개가 될 수 있고, 후방 박스 유닛(12)은 박스(1)의 후방 덮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ox 1 is a front box unit 13 in which a front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a front zipper 131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front depression at the rear. And it may include a rear box unit 12 in which a rear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a rear zipper 121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rear depression in the front. By fastening the front zipper 131 and the rear zipper 121 with a zipper, the front box unit 13 and the rear box unit 12 can be combined to form the box 1 in a closed state, and the front zipper 131 and When the rear zipper 121 is unfastened, the front box unit 13 and the rear box unit 12 are disengaged, leaving the box 1 in an open state. Additionally, each of the front depression and the rear depression may be provided as a space for loading luggage. The front box unit 13 can be the front cover of the box 1, and the rear box unit 12 can be the rear cover of the box 1. Since this box 1 is self-explanator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전방 박스 유닛(13) 및 후방 박스 유닛(12)은 전방 함몰부가 상기 후방 함몰부보다 큰 부피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 박스 유닛(13)은 내부에 수용되는 짐의 양이 후방 박스 유닛(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짐의 양보다 많게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ont box unit 13 and the rear box unit 12 may be formed so that the front recessed portion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rear recessed portion. That is, the front box unit 13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greater amount of load accommodated therein than the amount of load accommodated inside the rear box unit 12.

또한, 전방 박스 유닛(13)이 후방 박스 유닛(12)보다 무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스(1)의 중심(이를 테면, 무게 중심)이 전방 박스 유닛(13)이 후방 박스 유닛(12)보다 무겁지 않은 경우 대비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어린이가 박스(1)에 앉았을 때 더 안정적이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쉽게 넘어가지 않게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ont box unit 13 may be formed to be heavier than the rear box unit 12.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box 1 (i.e.,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lower than if the front box unit 13 was not heavier than the rear box unit 12, so when a child sits in the box 1 It can be more stable and not easily fall over due to the action of external forces.

이에 따라, 본 구조체의 사용시 대상이 전방을 향하게 안착 공간에 앉을 때, 전방 박스 유닛(13)이 후방 박스 유닛(12)보다 무거우므로 박스(1)가 뒤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using this structure, when the subject sits in the seating space facing forward, the front box unit 13 is heavier than the rear box unit 12, so the box 1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ackwards.

또한, 일측 힌지 연결부(241) 및 타측 힌지 연결부(251) 각각은 전방 박스 유닛(13)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 힌지 결합(241, 251)될 수 있다. 즉, 대상이 등받이 형성부(2)에 기댈 때, 그 하중은 등받이 형성부(2)가 힌지 결합된 전방 박스 유닛(13)에 작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전방 박스 유닛(13)이 후방 박스 유닛(12)보다 무거우므로, 박스(1)가 뒤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며 안정적 사용이 가능하여,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241 and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251 may be hinged (241, 251)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x unit 13,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object leans on the backrest forming part 2, the load may be applied to the front box unit 13 to which the backrest forming part 2 is hinged. However, since the front box unit 13 is heavier than the rear box unit 12, the box 1 is prevented from falling backwards and stable use is possible, thereby ensuring stability.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호판(21)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홀(211)은 보호판(21)의 파지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and 3 , a hole 211 penetr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on plate 21 . The hole 211 can facilitate holding the protective plate 21.

또한, 보호판(21)에는 홀(211)의 둘레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rotrusion 212 that protrudes upward from a peripheral portion of the hole 211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on plate 21 .

또한, 돌출부(212)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리(213)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213)는 무언가를 걸 수 있는 고리로 제공될 수 있다. 고리는 T형 형상일 수 있다.Additionally, a ring 213 protruding backward may be formed on the protrusion 212. The hook 213 may be provided as a hook for hanging something. The ring may be T-shaped.

전술한 바에 따르면, 어린이는 박스(1) 위에 앉아 등받이 형성부(2)와 로드(11)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 공간을 통해 둘러싸여져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른(보호자)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 child can sit on the box (1) and be surrounded and positioned stably and safely through the seating space formed by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2) and the rod (11), thereby allowing the child to sit on the box (1) and be positioned stably and safely. The burden can be greatly reduced.

보호판(21)은 등받이가될 수 있고, 로드(11)는 팔걸이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캐리어는 손수레로 변하여 어른의 손을 크게 해방시킬 수 있다. The protective plate 21 can be used as a backrest, and the rod 11 can also be used as an armrest. In this way, the carrier can be turned into a cart, greatly freeing the adult's hands.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등받이 형성부(2)는 박스(1) 상에 앉은(안착된) 어린이를 보다 포괄적으로 막아 어린이가 박스(1)로부터 낙하하지 않게 하고 등받이 형성부(2)에 어린이가 기대었을 때, 어린이가 더 편안하고 쉽게 배기지 않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2 more comprehensively blocks children sitting (seated) on the box 1, preventing the child from falling from the box 1, and preventing the child from falling from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2. When leaning against it, it can make the child more comfortable and less prone to exhaustion.

도 4는 미끄럼 방지 부재 및 무게 측정부가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ich is provided with an anti-slip member and a weight measuring unit.

도 4를 참조하면, 보호판(21)의 전면에는 무게 측정부(215, 216)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 측정부(215, 216)는 홀(211)의 상측 및 홀(211)의 하측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무게 측정부(215, 216)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작용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rotection plate 21. The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le 211, respectively. The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can detect a load appli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본 구조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측정부(215, 216)는 측정하는 무게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is structure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e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may transmit the measured weight to the control unit.

또한, 본 구조체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is structure may include an alarm unit.

또한, 사용자는 본 구조체(1)의 무게를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can input the weight of the structure 1 into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무게 측정부(215, 216)가 측정한 무게 중 무거운 무게를 입력된 본 구조체(1)의 무게와 비교하여 복수의 무게 측정부(215, 216)가 측정한 무게 값 중 가장 큰 값이 본 구조체(1)의 무게 이상일 경우,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울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heavier weight among the weight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with the input weight of the main structure 1 and selects the heavier weight among the weight value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If the largest value is more than the weight of the main structure (1), an alarm can be sounded through the alarm unit.

무게 측정부(215, 126)가 측정하는 무게는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대상에 의한 것일 수 있는데, 복수의 무게 측정부(215, 216)가 측정한 무게 값 중 가장 큰 값이 본 구조체(1)의 무게 이상인 경우, 안착 공간에 안착된 대상에 의해 보호판(21)에 후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본 구조체(1)의 무게 이상이라는 것이므로, 본 구조체가 후방으로 전도될 가능성이 높다. 알람부의 알람에 의해 본 구조체가 후방으로 전도되어 대상이 다치는 안전 사고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126 may be due to the objec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nd the largest value among the weight value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weight measuring units 215 and 216 is the weight of the structure 1. If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oad applied backwards to the protection plate 21 by the objec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is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main structure 1,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ain structure will fall backwards.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object is injured due to the structure falling backwards due to an alarm from the alarm uni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구조체는 본 구조체(1)의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저울은 통상의 캐리어용 무게 측정기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structure may include an electronic scale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present structure (1). The electronic scale can be a normal weight measuring device for carriers.

또한, 사용자는 전자저울을 통해 파악된 본 구조체(1)의 무게를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저울은 측정한 무게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전자저울로 본 구조체(1)의 무게를 측정만하면, 사용자가 제어부에 별도로 무게를 입력하지 않아도 전술한 구성이 수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can input the weight of the structure 1 determined through the electronic scale to the control unit.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scale can transmit the measured weight to the control unit. In this case, if the user simply measures the weight of the structure 1 using an electronic scal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user having to separately input the weight into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박스(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외부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a program installed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smart watch.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box 1 and may include an external input button to receive a user's comman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박스(1)의 상면에는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대상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125, 135)가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25, 135)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25, 135)는 전방 박스 유닛(13) 및 후방 박스 유닛(12) 각각의 상면에 구비되되,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4, anti-slip members 125 and 13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1 to prevent the objec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rom slipping. The anti-slip members 125 and 135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rubber. The anti-slip members 125 and 13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ront box unit 13 and the rear box unit 12, and may be provided in an attached form.

도 5는 자석 유닛이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개념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structure provided with a magne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박스(1)의 전단부에 대한 무게 증감이 가능하도록, 전방 박스 유닛(13)의 하부에는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함몰부의 내면은 코팅층으로 코팅되되, 코팅층은 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구조체는 함몰부의 내면에 자력에 의해 탈거 가능하게 부착되는(탈착(탈거 및 장착) 가능한) 자석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유닛(133)은 함몰부와 맞물림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자석 유닛(133)은 함몰부에 맞물리는 같은 형상이되 무게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 박스 유닛(13) 및 후방 박스 유닛(12) 내에 배치되는 짐의 무게에 따라, 필요한 경우, 복수의 종류의 자석 유닛(133)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함몰부에 배치함으로써, 전방 박스 유닛(13)에 작용하는 하중을 증가시키거나, 자석 유닛(133)을 더 가볍게 하거나 제거하여 전방 박스 유닛(13)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box unit 13 to enabl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w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box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epression is coated with a coating layer, The coating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iron. In addition, this structure may include a magnet unit 133 that is detachably attached (detachable (removable and moun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by magnetic force. The magnet unit 133 may be shaped to engage with the depression. Additionally, the magnet unit 133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ypes having the same shape but having different weights that engage the recessed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magnet units 133 and places them in the recess,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uggage placed in the front box unit 13 and the rear box unit 12, The load acting on the front box unit 13 can be increased, or the magnet unit 133 can be made lighter or removed to reduce the load acting on the front box unit 13.

이에 따라, 이에 따라, 만약, 사용자가 박스(1) 내에 수용할 짐이 적은 경우, 사용자는 자석 유닛(133)을 함몰부에 배치하여 전방 박스 유닛(13)에 작용하는 하중이 후방 박스 유닛(12)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크게 하여 안착 공간 내에 대상이 안착되었을 때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user has a small load to accommodate in the box (1), the user places the magnet unit (133) in the depression so that the load acting on the front box unit (13) is applied to the rear box unit ( Safety can be ensured by increasing the load acting on 1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forward when the object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박스
11: 로드
12: 후방 박스 유닛
121: 후방 지퍼
13: 전방 박스 유닛
131: 전방 지퍼
14: 제1 수용부
15: 제2 수용부
2: 등받이 형성부
21: 보호판
211: 홀
212: 돌출부
213: 고리
22: 일측 연장부
23: 타측 연장부
24: 일측 힌지 연결부
241: 힌지 결합
25: 타측 힌지 연결부
251: 힌지 결합
1: box
11: load
12: Rear box unit
121: rear zipper
13: Front box unit
131: Front zipper
14: first receiving portion
15: second receiving portion
2: Backrest forming part
21: protective plate
211: Hall
212: protrusion
213: ring
22: One side extension
23: Other side extension
24: One-side hinge connection
241: Hinge coupling
25: Hinge connection on the other side
251: Hinge coupling

Claims (5)

캐리어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에 상측으로 돌출 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박스; 및
직립 상태시 상기 박스의 후면 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위치하여 상기 박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기 로드와의 사이에 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보관 상태시 상기 박스의 전면 상에 상기 박스의 전면을 덮으며 배치되는 보호판을 포함하는 등받이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받이 형성부는,
직립 상태인 상기 보호판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
직립 상태인 상기 보호판의 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타측 연장부;
상기 보호판의 직립 상태시, 상기 일측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일측 힌지 연결부; 및
상기 보호판의 직립 상태시, 상기 타측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박스의 타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타측 힌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 및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직립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직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보호판, 상기 일측 연장부 및 상기 타측 연장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 형성부는 상기 직립 상태에서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대상을 후방으로 지지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박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는 대상을 전방으로 지지하는 것인, 캐리어 구조체.
In the carrier structure,
A box provided with a rod that can protrude upward on the front; and
When in an upright state, it is positioned to protrude upward on the back of the box to form a seating space between the rod that protrudes toward the top of the box, and when in a storage state, the front of the box is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box. It includes a backrest formation including a protective plate that covers and is disposed,
The backrest forming part,
One side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protective plate in an upright state;
another side extension extending for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ve plate in an upright state;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 an upright state, one side hinge connection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one side extension portion and has a lower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box; and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 an upright state, the other side hinge connection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other extension part and has a lower end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x,
The protective plate is rotated by the hinged portion of the one hin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hinged portion of the other hinge connection portion to be converted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storage state or from the storage state to the upright state,
The protective plate, the one side extension portion, and the other side extension portion are formed integrally,
The backrest forming portion rearwardly supports an objec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in the upright state,
The rod is a carrier structure that supports an objec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orward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의 전면에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보호판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박스의 일측면에 타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일측 연장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박스의 타측면에 일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타측 연장부가 수용되는 제3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인, 캐리어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x is,
a first receiving portion that is recessed backward on the front of the box to accommodate the protective plate;
a second receiving part that is recessed in one side of the box to the other side to accommodate the one side extension; and
A carrier structure that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x to form a third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other side extension is accommod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는 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후면의 상기 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전방 지퍼가 형성되는 전방 박스 유닛; 및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후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상기 후방 함몰부를 둘러싸는 부분에 후방 지퍼가 형성되는 후방 박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 공간은, 대상이 전방을 향하게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전방 박스 유닛 및 상기 후방 박스 유닛은, 상기 전방 함몰부가 상기 후방 함몰부보다 큰 부피를 갖게 형성되는 것인, 캐리어 구조체.
According to clause 3,
The box is,
a front box unit in which a front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a front zipper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front depression at the rear; and
It includes a rear box unit in which a rear depression is formed that is depr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a rear zipper is formed in a portion surrounding the rear depression on the front,
The seating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object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acing forward,
The front box unit and the rear box unit are carrier structures in which the front recessed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volume than the rear recessed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타측 힌지 연결부 각각은, 상기 전방 박스 유닛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것인, 캐리어 구조체.
According to paragraph 4,
Each of the one side hinge connection part and the other hinge connection part is hin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x unit, respectively.
KR1020240008738A 2024-01-19 2024-01-19 Carrier structure KR102665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8738A KR102665109B1 (en) 2024-01-19 2024-01-19 Carrie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8738A KR102665109B1 (en) 2024-01-19 2024-01-19 Carrie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109B1 true KR102665109B1 (en) 2024-05-10

Family

ID=9107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8738A KR102665109B1 (en) 2024-01-19 2024-01-19 Carrie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10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288Y1 (en) * 2002-04-17 2002-09-16 황준호 Suit case of cart type having baby seat
US6471019B1 (en) * 2000-03-22 2002-10-29 Travelpro International, Inc. Travel case with deployable table
US20040066069A1 (en) * 2002-09-27 2004-04-08 Marcus Caldana Wheeled suitcase equipped with a seat for a small child
US7097017B1 (en) * 2005-10-06 2006-08-29 Lacrosse Wills Travel suitcase with seat
KR100807215B1 (en) * 2006-09-18 2008-02-27 이성 Carr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1019B1 (en) * 2000-03-22 2002-10-29 Travelpro International, Inc. Travel case with deployable table
KR200289288Y1 (en) * 2002-04-17 2002-09-16 황준호 Suit case of cart type having baby seat
US20040066069A1 (en) * 2002-09-27 2004-04-08 Marcus Caldana Wheeled suitcase equipped with a seat for a small child
US7097017B1 (en) * 2005-10-06 2006-08-29 Lacrosse Wills Travel suitcase with seat
KR100807215B1 (en) * 2006-09-18 2008-02-27 이성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3771B2 (en) Booster seat for convertible high chair
US4291915A (en) Combined suitcase and child's safety seat
US4735426A (en) Tow-a-tot safety wagon
NO154822B (en) SAFETY DEVICE FOR CHILDREN IN A VEHICLE.
JP2004058985A (en) Child-care instrument
US20080258516A1 (en) Infant carrier handle
US5662378A (en) Car seat with tray for use by children
CN214677941U (en) Combination of travel luggage and booster seat
KR20120100715A (en) Baby carriage
KR102665109B1 (en) Carrier structure
CN201938883U (en) Shank rest adjusting mechanism and toddler seat
US8727448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US20220257029A1 (en) Baby bouncer
US20120319438A1 (en) Infant car seat
US20080135593A1 (en) Combined Booster Cushion and Bag
JP7239313B2 (en) How to use stroller bag and stroller bag
US20120299337A1 (en) Easy access child car seat
JP7474960B2 (en) Bicycle child seats and bicycles
KR100807215B1 (en) Carrier
KR102148373B1 (en) Baby car seat
JP2007307299A (en) Infant seat
JP3003744U (en) Baby holder combined waist bag
JP2691122B2 (en) Vehicle seat with infant seat
JP2013043621A (en) Child seat device for bicycle
CN209498888U (en) A kind of mother and baby's luggag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