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28B1 -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 Google Patents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528B1
KR102663528B1 KR1020230134825A KR20230134825A KR102663528B1 KR 102663528 B1 KR102663528 B1 KR 102663528B1 KR 1020230134825 A KR1020230134825 A KR 1020230134825A KR 20230134825 A KR20230134825 A KR 20230134825A KR 102663528 B1 KR102663528 B1 KR 10266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ring
key
lock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to KR102023013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6Shackles; Arrangement of the shackle
    • E05B67/063Padlocks with removable shack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2067/386Padlock holder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레버를 통해서 간편하게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물쇠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거가 어려운 상황에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만 따로 제거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는;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키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키설치구멍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구간상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레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개폐레버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부에는 고리부가 가이드 슬릿을 통해 노출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조립체와, 상기 키설치구멍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설치된 잠금조립체를 삽입된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 고리부만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키조립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ent locker in which the lock can be removed from the lock handle. More specifically, the door of the locke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ever in normal times, while using a master key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lock using a normal method. This is about a technology that allows only the lock to be removed separatel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including a locking handle, wherein the locking handle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door of a locker, a key installation hole formed on one upper side, a guide slit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key installation hole, and a locking piece formed on the section where the guide slit is formed, and the main body The door is locked and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closing lever installed at the front that can rotate at an angle, and an opening/closing lev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t the front, a hook is exposed through a guide slit and can be moved horizontally. A lock assembly and a key assembly installed in the key installation hole and making only the ring part independently movable by operation of a master key inserted into the lock assembly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Description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본 발명은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레버를 통해서 간편하게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물쇠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거가 어려운 상황에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물쇠만 따로 제거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ent locker in which the lock can be removed from the lock handle. More specifically, the door of the locker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ever in normal times, while using a master key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lock using a normal method. This is about a technology that allows only the lock to be removed separately.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유치원, 초,중,고,대학교, 학교, 병원, 체육시설, 사우나, 지하철 역사 내, 도서관 등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사용자들의 개인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한 개인용 시설물에 해당된다.In general, lockers are personal facilities placed in places where many people enter, such as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universities, schools, hospitals, sports facilities, saunas, subway stations, libraries, etc. to store users' personal belongings. do.

이러한 개인용 사물함에는 보관되어 있는 물품의 분실이나 다른사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물함의 문을 잠그거나 개방할 수 있는 자물쇠가 채워지도록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items stored in these personal lockers from being lost or exposed to others, the locker door must be locked with a lock that can be locked or opened.

사물함의 특성상 일정 기간동안 사용하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때 개인이 사용하였던 자물쇠는 사물함에서 제거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학교와 같은 곳에서는 갑작스런 전학이나 휴학, 졸업과 같은 상황에서 자물쇠를 제거하지 않고 학교를 떠나버린 경우, 이미 채워져 있는 자물쇠로 인해 사물함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Due to the nature of lockers, they are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allowed to be used by other people. In this case, of course, the lock used by the individual must be removed from the locker. However, in places such as schools, if a student leaves school without removing the lock in situations such as a sudden transfer, leave of absence, or gradu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cker cannot be used due to the lock already being used.

이렇게 자물쇠로 채워진 경우에는 열쇠 수리공을 통해서 자물쇠를 여는 방법이 있으나, 숫자로 입력하는 자물쇠 또는 복잡한 자물쇠의 경우 별도의 절단기를 이용하거나 사물함의 도어를 분해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If the lock is locked like this, there is a way to open it through a locksmith, but in the case of locks that require numeric input or complicated locks, there are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use a separate cutter or disassemble the locker door.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2503421호(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에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되 제1 스프링에 의해 도어틀의 데드볼트홈에 삽입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며, 내측으로는 가동홀과 제1 고리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데드볼트부와, 데드볼트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와, 제 1, 2 고리부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스터키부와 상기 마스터키부에 연결되어 마스터키부의 회전시 같이 회전운동하는 회전링크와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블록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시 상, 하 직선운동을 하여 제2 고리부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된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As a prior art to solve this problem, Registered Patent No. 10-2503421 (locking device that can separate the lock from the door during emergency release) includes a case, which is placed within the case and inserted into the deadbolt groove of the door frame by a first spring. A deadbolt part including a movable hole and a first ring coupling groove on the inside, a lever part for moving the deadbolt part, first and second ring parts, and a master coupled to the case. A rotary link that is connected to the key part and the master key part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master key part rotates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liding block of the second ring part, and controls the sliding of the second ring part by moving up and down in a straight line when the rotary link rotates. A technology consisting of an operating part composed of movable members has been known.

상기 선행기술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할 한 쌍의 걸림편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물쇠를 빼내도록 한 기술로서,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면서 부품수가 많아져 고장을 더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The above prior art is a technology in which a pair of locking pieces, which should normally be fixed, are movably installed to remove the lock. However, it is structurally very complex and ha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which may cause further malfunctions.

선행기술은 걸림편을 정위치로 밀어주는 스프링의 탄성이 저하되면 자물쇠가 걸리는 부분의 틈새가 벌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타인에 의해 자물쇠가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마스터키를 이용한 자물쇠 제거시 걸림편을 한쪽방향으로 밀면서 빼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ior art, if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at pushes the locking piece to the correct position decreases, the gap in the locking part inevitably widen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k may be separated by another perso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removing the lock using the master key,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use because the lock piece must be pulled out by pushing in one direction.

등록특허 제10-2503421호(비상해제시 자물쇠를 도어에서 분리 가능한 록킹장치)Registered Patent No. 10-2503421 (locking device that can separate the lock from the door in case of emergency relea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 손잡이를 통해 사물함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특정한 상황에서 자물쇠를 제거하고자 할 때 관리자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나 손잡이에 손상을 전혀 주지 않고 자물쇠만 제거하도록 구성한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보다 구조적으로 간편하면서도 자물쇠 제거기능을 갖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구조로 구성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of the locker through the door handle, and when the lock is wanted to be removed in a specific situation, the manager's master key can be used to secure the door or hand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ocking handle for lockers designed to remove only the lock without causing any damag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efficiency by having a lock removal function while being structurally simpler than the prior art, and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does not deteriorate functionality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는;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키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키설치구멍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 구간상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레버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개폐레버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부에는 고리부가 가이드 슬릿을 통해 노출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조립체와, 상기 키설치구멍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설치된 잠금조립체를 삽입된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 고리부만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키조립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including a locking handle, wherein the locking handle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door of a locker, a key installation hole formed on one upper side, a guide slit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key installation hole, and a locking piece formed on the section where the guide slit is formed, and the main body The door is locked and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closing lever installed at the front that can rotate at an angle, and an opening/closing lev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t the front, a hook is exposed through a guide slit and can be moved horizontally. A lock assembly and a key assembly installed in the key installation hole and making only the ring part independently movable by operation of a master key inserted into the lock assembly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또한 상기 걸림편은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걸림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ece is fixed.

또한 상기 잠금조립체는; 본체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레버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잠금래치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잠금래치를 잠금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되 잠금래치와 결합되어 잠금래치의 이동에 따라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되, 잠금래치 상에서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뭉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locking assembly; A cas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tout at the top, a lock latch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case and moving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opening/closing lever,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lock the lock latch.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ring that pushes in the direction, and a ring bundle installed inside the case, coupled with the lock latch, and moving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 latch, but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independently on the lock latch. do.

또한 상기 키조립체는; 상기 키설치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키회전부와, 상기 키회전부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마스터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고리뭉치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작동하여 고리뭉치의 이동영역을 조정하는 스톱퍼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key assembly; A key rota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key installation hole and rotated by a master key, and is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key rotating par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master key, and operates in a state of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ring bundle to attach the ring.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stopper bar that adjusts the movement area of the bundle.

본 발명은 사물함에 설치되는 도어 손잡이를 통해서 간편하게 사물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평소에는 도어 손잡이에 자물쇠를 채워서 개인 물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자물쇠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관리자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물쇠를 제거함으로써, 손잡이 또는 도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사물함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locker door to be easily opened through a door handle installed on the locker, and prevents theft of personal items by attaching a lock to the door handle in normal times. In addition, when the lock is removed in a specific situation, the manager By simply removing the lock using the master key, damage or damage to the handle or door is prevented and locker management is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의 주요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본체를 제외한 주요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잠금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개폐레버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개폐레버 작동시 잠금조립체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제거를 위해 마스터키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마스터키 사용에 따른 잠금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물함용 잠금 손잡이에서 잠금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조립체의 제2실시예에서 주요 구성만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잠금조립체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the main body.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assembly in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is operated in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ock assembly when the open/close lever is operated in the lock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ster key is used to remove the lock from the lock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aster key in the lock handle for the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cking assembly in the locking handle for a l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in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ock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ing assembly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ls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은, 사물함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레버를 작동시켜 개방되도록 하면서, 물건을 보관할 때에는 자물쇠를 채워서 레버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자물쇠는 레버의 작동을 억제하여 도어의 개방자체가 불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The student locker, in which the lock can be removed from the lock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n the locker door by operating a lever when opening the locker door, and lock the locker to prevent the lever from operating when storing items, thereby preventing the locker door from being opened. In other words, the lock suppresses the operation of the lever, making it impossible to open the door.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사물함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와 같이 자물쇠를 채운 상태에서는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잃어버렸거나 열쇠를 분실한 경우, 사물함의 사용자가 전학을 가거나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쇠톱이나 절단기를 사용하여 자물쇠를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물쇠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blem that occurred in existing lockers, such as when the lock password is lost or the key is lost when the lock is locked, or when the locker user changes schools or cannot be contacted, a hacksaw or cutter is used. This is about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remove a lock using a separate master key to avoid the inconvenience of removing the lock.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는;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키설치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키설치구멍(110)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된 구간상에 걸림편(13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레버(2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개폐레버(200)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고리형태로 돌출형성된 고리부(342)가 전면에 구비되어 가이드 슬릿(120)을 통해 노출되고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조립체(300)와, 상기 키설치구멍(110)에 설치되며, 후면부에 설치된 잠금조립체(300)를 삽입된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 고리부(342)만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키조립체(400);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er including a locking handle as shown in FIGS. 1 and 2, wherein the locking handle includes; It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locker, and a key installation hole 110 is formed on one upper side, and a guide slit 120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guide slit 120 is formed. A main body 100 in which a locking piece 130 is formed, an opening/closing lever 20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enable angle rotation, and an opening/closing lever 2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00. The door is locked and opened and closed by a lever 200, and a ring portion 342 protruding in a ring shape is provided on the front, exposed through the guide slit 120, and includes a lock assembly 300 that is horizontally movable and , a key assembly 400 installed in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and making only the ring portion 342 independently movable by the operation of the master key inserted into the lock assembly 300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본 발명의 본체(100)는 사물함의 도어에 매립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본체(100)에 개폐레버(200), 잠금조립체(300), 키조립체(400)가 설치되며,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개폐레버(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마감기능을 갖는 커버(140)가 더 결합된다.The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door of a lock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a lock assembly 300, and a key assembly 400 a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an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 cover 140 that prevents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from being separated and has a closing function is further coupled to the portion.

본 발명의 본체(100)는 상부 일측에 키설치구멍(110)이 형성되어 키조립체(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키설치구멍(110)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120)은 잠금조립체(300)의 고리부(342)가 노출되어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한 긴 구멍에 해당되며,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된 구간상에 걸림편(130)이 형성되어 있다. The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 installation hole 110 formed on one upper side so that the key assembly 400 can be installed, and a guide slit 120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It is done. The guide slit 120 corresponds to a long hole through which the ring portion 342 of the locking assembly 300 is exposed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nd a locking piece 130 is formed on the section where the guide slit 120 is formed. It is done.

아울러, 상기 걸림편(130)은 본체(10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걸림편(13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고리부(342) 자체 형상으로는 자물쇠가 빠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된 위치에 형성된 걸림편(130)이 고리부(342)에서 자물쇠가 빠지지 않도록 막아주어 자물쇠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사물함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130 protrudes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ece 130 is fixed. In other words, the ring portion 342 itself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the lock to fall off, but the lock piece 130 formed at a fixed position prevents the lock from falling out of the ring portion 342, so the lock is fastened. The goal is to prevent the locker door from opening.

또한 상기 걸림편(130)은 개폐레버(200) 작동시 고리부(342)가 걸림편(130)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 슬릿(120)의 형상에 맞게 상하로 절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130 is cut up and down to match the shape of the guide slit 120 so that the ring portion 342 can enter between the locking pieces 13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is operated.

상기 개폐레버(200)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폐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어 잠금조립체(300)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레버(200)는 고정된 위치에서 각도회전만 하는 구성으로써 개폐레버(200)를 지나는 고리부(34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리부(342)의 이동경로에 맞게 개폐레버(200)의 상단부에 절개홈(210)이 형성되어 있다.The opening/closing lever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enable angle rotation, and power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to open and close the lock assembly 300. .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is configured to only rotate at an angle at a fixed position,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ring portion 342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ing portion 342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A cutting groove 2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본 발명의 잠금조립체(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부에 설치된다. 사물함 도어의 안쪽에 해당되며, 잠금조립체(300)의 고리부(342)는 가이드 슬릿(120)을 통해 전면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때 고리부(342)는 개폐레버(200)의 작동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locking assembl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3. It corresponds to the inside of the locker door, and the ring portion 342 of the lock assembly 300 is exposed to the front through the guide slit 120. At this time, the ring portion 342 moves horizontal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상기 잠금조립체(30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절개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잠금래치(320)와,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어 잠금래치(320)를 잠금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330)과,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되 잠금래치(320)와 결합되어 잠금래치(3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되, 잠금래치(320) 상에서 독립적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뭉치(340);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assembly 30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a case 310 is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cutout 311 at the top; , a lock latch 320 that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on the case 310 and moves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and a lock latch 320 installed inside the case 310 to lock it. A spring 330 that pushes in the direc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310 and is combined with the lock latch 320 to move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 latch 320, but independently on the lock latch 320. A ring bundle 340 that is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is assembled.

상기 케이스(310)는 나사를 통해 본체(10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잠금래치(320), 스프링(330), 고리뭉치(340)가 설치되도록 한 하우징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에는 절개부(311)가 형성되어 있어 고리뭉치(34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절개부(311)를 따라 고리부(342)가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The case 310 is coupled to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screws, and serves as a housing in which the lock latch 320, spring 330, and ring assembly 340 are installed. A cutout part 31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310 so that the ring bundle 340 can be smoothly coupled, and the ring part 342 can be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cutout part 311. .

상기 잠금래치(320)는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사물함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전면부에는 개폐레버(200)가 끼워져 동력을 전달받는 레버구멍(32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구멍(321)의 일측에는 고리뭉치(340)의 고리부(342)가 관통되어 고리부(342)만 별도로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한 안내장공(322)이 형성되어 있다.The lock latch 320 moves horizontally to open and close the locker door, and a lever hole 321 through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is inserted and power is transmitted is formed on the front part, and the lever hole 321 is formed. On one side, a guide hole 322 is formed through which the ring portion 342 of the ring bundle 340 penetrates so that only the ring portion 342 can be moved horizontally.

즉, 본 발명의 잠금래치(320)에 설치되는 고리뭉치(340)는 잠금래치(320)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되지만, 안내장공(322)에 노출되어 있는 고리부(342)를 통해서 고리뭉치(340)만 안내장공(322)의 구멍을 따라 독립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That is, the ring bundle 340 installed in the lock latch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together with the lock latch 320, but through the ring portion 342 exposed to the guide hole 322. Only the ring bundle 340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dependent horizontal movement along the hole of the guide hole 322.

본 발명의 고리뭉치(3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블록(341)과, 상기 몸체블록(341)의 전면부에 고리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안내장공(322)을 통해 전면부에 노출되는 고리부(342)와, 상기 몸체블록(34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310)의 절개부(311) 위로 노출되는 작동고리(34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ring bundle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ring shape from the body block 341 and the front part of the body block 341 and is exposed to the front part through the guide hole 322. The ring portion 342 and the operating ring 343,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block 341 and are exposed above the cutout portion 311 of the case 310, are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상기 몸체블록(341)은 잠금래치(320)에 안착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잠금래치(320)의 안내장공(322) 후면부에 형성된 안착홈(323)에 몸체블록(341)이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고리부(3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잠금래치(320)와 함께 수평으로 하며, 반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고리부(342) 자체만으로는 자물쇠를 채울 수 없고 걸림편(130)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을 때 자물쇠를 채울 수 있게 된다.The body block 341 is mounted on the lock latch 320 and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The body block 341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323 formed at the rear of the guide hole 322 of the lock latch 320. It is installed in a seating structure. And, as described above, the ring portion 342 is horizontal with the lock latch 3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and is formed in a semi-ring shape, so the ring portion 342 itself cannot be locked and the locking piece cannot be locked. The lock can be locked when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130).

그리고 작동고리(343) 역시 나머지 구성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대문에 몸체블록(341)과 함께 수평으로 이동한다. 다만, 작동고리(343)는 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어 잠급조립체의 영향을 받는 구성이다. 상기 작동고리(343)의 작동관계는 잠금조립체(300)의 구성설명과 함께 더 설명하고자 한다.And because the operating ring 343 is also integrated with the remaining components, it moves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body block 341. However, the operating ring 343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310 and is affected by the locking assembly.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operating ring 343 will be further explained along with the configuration description of the locking assembly 300.

상기 스프링(330)은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어 잠금래치(320)를 잠금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스프링(330)에 의해 잠금래치(320)가 수평이동을 하면서 개폐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잠금래치(320)에 설치된 고리뭉치(340) 역시 함께 수평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spring 33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310 to push the lock latch 320 in the locking direction. As the lock latch 320 moves horizontally by the spring 330 to open and close, the ring assembly 340 installed on the lock latch 320 also moves horizontally.

본 발명의 키조립체(400)는 상기 키설치구멍(110)에 삽입 설치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키회전부(410)와, 상기 키회전부(41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마스터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고리뭉치(340)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작동하여 고리뭉치(340)의 이동영역을 조정하는 스톱퍼바(420);로 구성된다.The key assembly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inserting into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includes a key rotating part 410 that rotates by a master key, and is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key rotating part 410 to control the master key. It consists of a stopper bar 420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and operates in a state of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ring bundle 340 to adjust the movement area of the ring bundle 340.

상기 키회전부(410)는 별도로 구비된 마스터키에 의해서만 회전이 가능하며, 키회전부(4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톱퍼바(4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톱퍼바(420)는 앞서 설명한 고리뭉치(340)의 작동고리(343)를 지지하여 고리뭉치(340)가 지지되는 방향으로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갖도록 하며, 자물쇠 제거시 마스터키를 회전시켜 스톱퍼바(420)가 작동고리(343)를 지지하지 않도록 하여 고리뭉치(340)를 더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리뭉치(340)를 이동시켜 자물쇠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key rotation unit 410 can be rotated only by a separately provided master key, and as the key rotation unit 410 rotates, the stopper bar 420 also rotates. The stopper bar 420 supports the operating ring 343 of the ring bundle 340 described above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ring bundle 340 from moving further in the supported direction, and when removing the lock, the master key is used. By rotating the stopper bar 420 so that it does not support the operating ring 343, the ring bundle 340 can be further moved. In this state, the lock can be removed by moving the ring bundle 340.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각 상황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explained according to each situa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먼저, 평상시에는 도 1 또는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레버(20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때에는 고리부(342)의 개방된 부분이 잠금편에 의해 막혀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가 채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바(420)에 의해 작동고리(343)가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고리부(342)를 강제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다.First, in normal times, as shown in Figure 1 or Figures 3 to 4,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is not rotated, and at this time, the open portion of the ring portion 342 is in a position blocked by the locking piece. , the lock can be locked as shown in Figure 1.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since the operating ring 343 is supported by the stopper bar 420, the ring portion 342 cannot be forcibly moved.

그리고 나서 자물쇠가 없는 상태에서 도어 개방시에는 도 6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레버(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각도 회전된 개폐레버(200)는 잠금래치(320)를 스프링(330) 방향으로 수평이동시켜 도어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자물쇠가 없기 때문에 고리부(342)를 막고 있는 구성이 없는 것이다.Then, when the door is opened without a lock,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is rotated as shown in FIGS. 6 and 7. At this time, the angle-rotated opening/closing lever 200 moves the lock latch 320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spring 330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lock, there is no structure blocking the ring portion 342.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330)이 압축된 상태가 되며, 개폐레버(200)를 다시 놓게되면 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레버(200), 잠금래치(320), 고리뭉치(34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Also, in this state, the spring 330 is compressed, and when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is released again,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the lock latch 320, and the ring bundle 340 are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30. It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다면 위의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에서 다양한 이유로 자물쇠를 열지 못할 때 자물쇠를 제거할 때까지 사물함을 전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물쇠를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다.If no problems occur, it can be used in the above state. However, as explained earlier, when the lock cannot be opened for various reasons while the lock is in place, the lock must be removed because the locker cannot be used at all until the lock is removed. .

이 상황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마스터키를 사용하게 된다. 마스터키를 사용하게 되면 도 9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회전부(410)가 회전하면서 스톱퍼바(4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톱퍼바(420)가 고리뭉치(340)의 작동고리(343)와의 비접촉 상태 즉, 비간섭상태가 되면서 고리뭉치(340)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is situation, a separately provided master key is used as shown in FIG. 8. When the master key is use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key rotation unit 410 rotates and the stopper bar 420 also rotates. In this process, the stopper bar 420 becomes non-contact with the operating ring 343 of the ring bundle 340, that is, in a non-interference state, and the ring bundle 340 becomes movable.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고리부(342)를 손으로 이동시켜 고리부(342)와 걸림편(130)과의 간격을 더 벌리게 되면서 벌어진 틈새로 자물쇠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리부(342)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잠금래치(320)에 형성된 안내장공(322)의 거리만큼이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ring portion 342 exposed on the front is moved by hand to further widen the gap between the ring portion 342 and the locking piece 130, allowing the lock to be removed through the gap. It will exist. At this time, the range in which the ring portion 342 can move is equal to the distance of the guide hole 322 formed in the lock latch 320.

이렇게 자물쇠를 제거한 다음에는 다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원상태로 회전시켜 놓으면 된다.After removing the lock, you can rotate it back to its original state using the master key.

도 11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조립체(3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해당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리뭉치(340)의 형상은 몸체블록(341)과, 고리부(342)로만 구성되어 있고, 고리뭉치(340)와 함께 잠금래치(320)에 결합되는 삼각블록(350)을 더 포함한다. 11 to 12 show a second embodiment correspon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assembl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f the ring bundle 340 includes a body block 341 and a ring portion 342. It consists only of and further includes a triangular block 350 coupled to the lock latch 320 along with the ring bundle 340.

상기 삼각블록(350)은 잠금래치(320)의 후면부에 삼각블록(350)과 대응되게 형성된 삼각홈부(36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삼각블록(350)과 삼각홈부(360)의 경사면은 잠금래치(320)의 잠금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되어 있다.The triangular block 350 is seated in a triangular groove 36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riangular block 350 on the rear part of the lock latch 320, and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triangular block 350 and the triangular groove 360 are locked. It is inclined upward in the locking direction of the latch 320.

상기 삼각블록(350)은 고리뭉치(340)의 몸체블록(34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평상시 삼각블록(350)과 고리뭉치(340)는 잠금래치(320)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triangular block 350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body block 341 of the ring bundle 340, and the triangular block 350 and the ring bundle 340 are normally moved together with the lock latch 320. .

상기 제2실시예로 적용된 잠금조립체(3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ocking assembly 300 applied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평상시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블록(350)이 삼각홈부(360)내에 정확히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리뭉치(340)와 삼각블록(350)이 함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키조립체의 스톱퍼바(420)가 삼각블록(350)의 윗부분을 눌러주고 있기 때문에, 고리뭉치(340)만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In normal times, as shown in FIG. 13, the triangular block 350 is maintained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triangular groove 360, and the ring bundle 340 and the triangular block 350 move together. In this state, because the stopper bar 420 of the key assembly is pressing the upper part of the triangular block 350, only the ring bundle 340 cannot move independently.

그리고 나서 자물쇠를 제거하기 위해 마스터키를 사용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바(420)가 회전하면서, 고리뭉치(340)에 의해 삼각블록(350)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고리부(342)를 잡고 삼각블록(3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삼각블록(350)은 몸체블록(341)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삼각홈부(360)의 경사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고리뭉치(340)의 이동을 막고 있는 삼각블록(350)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고리부(342)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자물쇠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when the master key is used to remove the lock, the stopper bar 420 rotates as shown in FIG. 14, and the triangular block 350 can be moved by the ring bundle 340. That is, when the ring portion 342 is hel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triangular block 350, the triangular block 350 is pushed by the body block 341 and rises upward along the slope of the triangular groove portion 360. In other words, as the triangular block 350, which blocks the movement of the ring bundle 340, moves up the slope, the ring portion 342 can be moved, thereby allowing the lock to be rem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자물쇠
100 : 본체 110 : 키설치구멍
120 : 가이드 슬릿 130 : 걸림편
140 : 커버 200 : 개폐레버
210 : 절개홈 300 : 잠금조립체
310 : 케이스 311 : 절개부
320 : 잠금래치 321 : 레버구멍
322 : 안내장공 323 : 안착홈
330 : 스프링 340 : 고리뭉치
341 : 몸체블록 342 : 고리부
343 : 작동고리 350 : 삼각블록
360 : 삼각홈부 400 : 키조립체
410 : 키회전부 420 : 스톱퍼바
A: lock
100: Body 110: Key installation hole
120: Guide slit 130: Locking piece
140: Cover 200: Open/close lever
210: Cut groove 300: Locking assembly
310: Case 311: Incision
320: Lock latch 321: Lever hole
322: Guide hole 323: Seating groove
330: spring 340: ring bundle
341: body block 342: ring part
343: Operating ring 350: Triangular block
360: Triangular groove 400: Key assembly
410: key rotating part 420: stopper bar

Claims (4)

잠금 손잡이를 포함하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는;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는 키설치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키설치구멍(110)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120)이 형성된 구간상에 걸림편(13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와,
상기 걸림편(130)은 본체(10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걸림편(13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각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레버(200)와,
상기 본체(100)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개폐레버(200)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고리형태로 돌출형성된 고리부(342)가 전면에 구비되어 가이드 슬릿(120)을 통해 노출되고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조립체(300)가 구비되되,
상기 잠금조립체(300)는;
본체(100)의 후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절개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잠금래치(320)와,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어 잠금래치(320)를 잠금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330)과,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되 잠금래치(320)와 결합되어 잠금래치(3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수평으로 이동하는 고리뭉치(34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뭉치(340)는 몸체블록(341)과, 상기 몸체블록(341)의 전면부에 고리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안내장공(322)을 통해 전면부에 노출되는 고리부(342)와, 상기 몸체블록(34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310)의 절개부(311) 위로 노출되는 작동고리(34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잠금래치(320)는 전면부에 개폐레버(200)가 끼워져 동력을 전달받는 레버구멍(32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구멍(321)의 일측에는 고리뭉치(340)의 고리부(342)가 관통되어 고리부(342)가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한 안내장공(3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리뭉치(340)의 고리부(342)가 상기 잠금래치(320)의 안내장공(322)의 구멍을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레버(200)의 상단부에는 고리부(342)의 이동경로에 맞게 절개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키설치구멍(110)에 설치되며,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 잠금조립체(300)의 고리부(342)가 상기 잠금래치(320)의 안내장공(322)의 구멍을 따라 이동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키조립체(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In a locker including a locking handle,
The locking handle is;
It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locker, and a key installation hole 110 is formed on one upper side, and a guide slit 120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guide slit 120 is formed. A main body 100 having a locking piece 130 formed thereon,
The locking piece 130 is formed to protrude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ece 130 is fixed,
An opening/closing lever (20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enable angle rotation,
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to lock and open and close the door by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200, and a ring portion 342 protruding in a ring shape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exposed through the guide slit 120. and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ly movable locking assembly 300,
The locking assembly 300 is;
A case 31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has a cutout portion 311 formed at the top, and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case 310 and moves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A moving lock latch 320, a spring 330 installed inside the case 310 to push the lock latch 320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a lock latch 320 installed inside the case 310. It is made by assembling a ring bundle 340 that is coupled and moves horizontally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 latch 320, and the ring bundle 340 includes a body block 341 and a front portion of the body block 341. A ring portion 342 is formed to protrude in a ring shape and is exposed to the front through the guide hole 322, and a ring portion 342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block 341 and exposed above the cutout 311 of the case 310. The operating ring 343 is structur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The lock latch 320 has a lever hole 321 formed on the front side through which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is inserted and power is transmitted, and on one side of the lever hole 321 is a ring portion 342 of the ring bundle 340. A guide hole 322 is formed through which the ring part 342 can move horizontally, so that the ring part 342 of the ring bundle 340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 322 of the lock latch 320. It is coupled so that it can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le,
A cut groove 2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pening/closing lever 200 to match the movement path of the ring portion 342,
It is installed in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and the ring portion 342 of the lock assembly 300 is made movable along the hole of the guide hole 322 of the lock latch 320 by operation of the master key. A student locker whose lock can be removed from the lock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key assembly (4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조립체(400)는;
상기 키설치구멍(110)에 삽입 설치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키회전부(410)와,
상기 키회전부(41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마스터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고리뭉치(340)와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작동하여 고리뭉치(340)의 이동영역을 조정하는 스톱퍼바(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According to clause 1,
The key assembly 400 is;
A key rotating part 410 that is inserted into the key installation hole 110 and rotated by a master key,
A stopper bar 42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key rotating unit 410 and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master key, and operates in a state of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ring bundle 340 to adjust the movement area of the ring bundle 340. A student locker whose lock can be removed from the lock handle,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
KR1020230134825A 2023-10-11 2023-10-11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KR102663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825A KR102663528B1 (en) 2023-10-11 2023-10-11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825A KR102663528B1 (en) 2023-10-11 2023-10-11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528B1 true KR102663528B1 (en) 2024-05-03

Family

ID=9107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825A KR102663528B1 (en) 2023-10-11 2023-10-11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5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63B1 (en) * 2012-06-19 2012-12-24 장근대 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KR102503421B1 (en) * 2022-09-06 2023-02-24 주식회사 우드메탈 Locking device that can remove the lock from the door in case of emergency rele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63B1 (en) * 2012-06-19 2012-12-24 장근대 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KR102503421B1 (en) * 2022-09-06 2023-02-24 주식회사 우드메탈 Locking device that can remove the lock from the door in case of emergency rel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8001A (en) Push-button actuated latching mechanism
US7513540B2 (en) Inactive door bolt
US20050199025A1 (en) Latching devices for gates and doors
US5666830A (en) Security lock, with free opening from indoors
US11346130B1 (en) Double lock dual action gravity latch
JPH0853959A (en) Push-button type plane handle device
US5791174A (en) Paddle handle locks
US6732664B2 (en) Key and combination locking mechanism
US4031725A (en) Door lock
US4033157A (en) Locking mechanisms
US6151935A (en) Deadbolt combination lock system with automatic locking spring bolt
JPH0821134A (en) Combination lock with adjustment button
JPH0726496B2 (en) Door lock with built-in safety device
US46486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curity lock
KR102663528B1 (en) Student locker with removable lock from lock handle
US4949562A (en) Locking device
US4627252A (en) Coded-card type lock device
US3401968A (en) Cam actuated latch
US3500667A (en) Combination locking and latching device
US2958215A (en) Safety lock
US3608341A (en) Safety medicine chest
GB2358665A (en) Two-way lock for door having two handles coupled together such that one or other of the handles moves a bolt from a locked to an unlocked position
JP3355167B2 (en) Door lock device
JP4480219B2 (en)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keys in furniture
KR100530698B1 (en) Lever type door lock for automatic lo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