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906B1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906B1
KR102662906B1 KR1020170019533A KR20170019533A KR102662906B1 KR 102662906 B1 KR102662906 B1 KR 102662906B1 KR 1020170019533 A KR1020170019533 A KR 1020170019533A KR 20170019533 A KR20170019533 A KR 20170019533A KR 102662906 B1 KR102662906 B1 KR 10266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 area
sub
mod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5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4177A (en
Inventor
권태훈
가지현
이민구
차승지
오현욱
정진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906B1/en
Priority to US15/885,611 priority patent/US10916191B2/en
Priority to EP18156542.5A priority patent/EP3361470B1/en
Priority to CN201810149807.XA priority patent/CN108735159B/en
Publication of KR2018009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177A/en
Priority to US17/170,554 priority patent/US114238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pixel area including first pixels; a second pixel area including second pixels; a third pixel area including third pixels; and a display driver that controls image display operations of the first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in response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wherein the first pixel area includes, It includes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wherein in the first mode, the first sub-pixel area displays black, The second sub-pixel area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dummy imag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최근에,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보통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라 불린다.Recently,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worn directly on the body have been developed. These devices are commonly calle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특히,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로서, 머리 장착형 표시 장치(Head Mounted Display Device: 이하 "HMD"라 하기로 함)는 현장감 있는 영상을 표시하므로, 고도의 몰입성을 제공하여 영화 감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s an exampl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MD”) displays realistic images, providing a high level of immersion and enabling a variety of uses, including watching movies. It is being us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xel area including first pixels, a second pixel area including second pixels, a third pixel area including third pixels, and a first mode and a second pixel area. A display driver configured to control an image display operation of the first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in response to a mode, wherein the first pixel area includes a first sub-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located between a first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wherein in the first mode, the first sub-pixel area displays black,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is a dummy. Video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driver displays a valid image in the second pixel area in the first mode, and displays a valid image in the first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in the second mode.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rst pixel area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s, and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 It can emit light.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repeat emitting and non-emitting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 units, and the first pixel unit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ixels, and the In mode 1,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may emit light alternately.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may include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emitting blue,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green.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may include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emitting green,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blue.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do not emit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not emit light in order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there is.

또한, 제3 화소 영역은, 제3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4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pixel area includes a third sub-pixel area and a fourth sub-pixel area located between the third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and in the first mode, the third sub-pixel area The area displays black,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may display a dummy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2 모드에서,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2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a second mode, a first pixel area including first pixels, a second pixel area including second pixels, and a third pixel area including third pixels. In the step of displaying a valid image in the pixel area and when entering the first mode from the second mode, a valid image is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area, and black is display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of the first pixel area. This may include displaying a dummy image in a second sub-pixel area of the first pixel area.

또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또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rst pixel area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s, and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 It can emit light.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repeat emitting and non-emitting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 units, and the first pixel unit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ixels, and the In mode 1,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may emit light alternately.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may include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emitting blue,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green.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may include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emitting green,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blue.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do not emit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may not emit light in order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there is.

또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4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first mode from the second mode, black is display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of the third pixel area, and a dummy image is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of the third pixel area. You can.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진입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the first mode may be entered, 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display device may enter the second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an be provide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화소의 일 실시예 및 그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A to 1C are diagrams exemplari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ixel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pixel shown in FIG. 3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diagram showing pixel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B and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D is a diagram showing pixel 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pixel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n the description below,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only means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to clar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A to 1C are diagrams exemplari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장치(30)는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 the wearable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31 .

프레임(31)에는 밴드(3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밴드(32)를 이용하여 프레임(31)을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31)은 표시 장치(1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A band 32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31, and the user can wear the frame 31 on the head using the band 32. This frame 31 has a structur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detachably mounted.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될 수 있는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that can be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가 스마트 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폰 외에도,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 가능하며 표시 수단을 구비한 태블릿 PC, 전자북 리더기,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owever,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mart phones. In addition to smart phones, it can be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30 and includes a tablet PC equipped with a display means, an e-book reader, a computer, It may be any on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workst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camera, etc.

일례로,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장착될 때 표시 장치(10)의 연결부(41)와 프레임(31)의 연결부(3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31)과 표시 장치(1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frame 31, the connection portion 41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 of the frame 3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us the frame 31 ) and the display device 1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레임(31)에 장착된 표시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장치(30)는 터치 센서, 버튼, 휠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 mounted on the frame 31, the wearable device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button, and a wheel key.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표시 장치(10)는 HMD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예를 들어, VR Mode)로 구동하고,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2 모드(예를 들어, Normal Mode)로 구동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the display device 10 can operate as an HMD device.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the display device 10 operates in the first mode (e.g., VR Mode), and the display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30. When separated, the display device 10 may operate in a second mode (eg, normal mode).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제1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1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the driving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first mode, or may be switched to the first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또한,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면 자동적으로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30, the driving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econd mode, or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

웨어러블 장치(30)는 사용자의 두 눈에 대응되는 렌즈(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20)는 사용자의 관측 시야(FOV: Field of View)를 높이기 위하여 어안 렌즈, 광각 렌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30 may include lenses 20 corresponding to the user's two eyes. Such a lens 20 may be set as a fisheye lens, a wide-angle lens, etc. to increase the user's field of view (FOV).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렌즈(20)를 통하여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을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치 일정한 거리에 대형의 스크린을 두고 영상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fixed to the frame 31, the user can view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lens 20, and thus it is similar to viewing an image with a large screen placed at a certain distance. You can enjoy the same effect.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과 표시 장치(10)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은 시인성이 높은 영역과 시인성이 낮은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and the display device 10 is close, so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is divided into an area with high visibility and an area with low visibility. You can lose.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시인성이 높은 영역을 시인 영역(VDA)이라 칭하기로 하고, 시인성이 낮은 영역을 비시인 영역(NVDA)이라 칭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C, an area with high visibility among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will be referred to as a visible area (VDA), and an area with low visibility will be referred to as a non-visible area (NVDA).

이 경우, 렌즈(20)의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의 중심부가 시인 영역(VDA)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비시인 영역(NVDA)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ns 20 may be the viewable area (VDA), and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center may be the non-viewable area (NVDA).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어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시인 영역(VDA)에서는 유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비시인 영역(NVDA)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며,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and driven in the first mode, a vali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viewable area VDA. Additionally, the other non-visible area (NVDA) may maintain a non-emitting state and display black.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VDA)에서만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프레임 주파수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When a valid image is displayed only in a partial area (VDA) of the display area, the frame frequency can be increased, thereby displaying a more vivid image.

한편,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어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 전체가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면, 표시 영역 전체가 시인 영역(VDA)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 전체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30 and driven in the second mode,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visible to the user.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30, the entire display area can become the viewable area VDA. In this case, a valid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는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설정된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in different way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 may display a valid image in a differently set area corresponding to each mode.

한편, 표시 장치(10)를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비시인 영역(NVDA))은 프레임(31)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and used,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area (for example, a non-visible area (NVDA)) may be obscured by the frame 31 .

이 경우, 비시인 영역(NVDA)의 일부 영역에 더미 영상이 표시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완전히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dummy image is displayed in some areas of the non-visible area (NVDA), it may not be completely visible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 장치(10)를 웨어러블 장치(3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 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제2 모드 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시인 영역과 비시인 영역의 경계선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used together with the wearable device 30,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view various types of imag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displaying the valid image in the first mode is different from the area displaying the valid imag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is switched, the viewable area and the non-visible are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roblem may arise where the boundary of the area is recognized.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 가능한 표시 장치(10)에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oundary line is visible when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device 10 that can be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ixel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화소 영역들(AA1, AA2, AA3)과 주변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nd a peripheral area NA.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는 다수의 화소들(PXL1, PXL2, PXL3)이 위치하며, 이에 따라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서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은 표시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A number of pixels (PXL1, PXL2, and PXL3) are located in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nd accordingly, a predetermined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ccordingly,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area.

주변 영역(NA)에는 화소들(PXL1, PXL2, PXL3)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배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주변 영역(NA)에는 화소들(PXL1, PXL2, PXL3)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주변 영역(NA)은 비표시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Components (eg, wiring, etc.) for driving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may be located in the peripheral area NA. Since there are no pixels (PXL1, PXL2, and PXL3) in the peripheral area (NA), the peripheral area (NA) may be referred to as a non-display area.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은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외측에 존재할 수 있으며,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ipheral area NA may exist outside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nd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은 제1 화소 영역(AA1), 제1 화소 영역(AA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2 화소 영역(AA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 화소 영역(A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re locat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the second pixel area AA2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second pixel area AA2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include a third pixel area AA3. For example, the first pixel area AA1,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be arranged sequentially.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화소 영역(AA1)과 제3 화소 영역(A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Additionally,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second pixel area AA2.

이 때, 제2 화소 영역(AA2)은 도 1c에 도시된 시인 영역(VDA)에 대응되고,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비시인 영역(NVDA)에 대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ixel area AA2 corresponds to the visible area VDA shown in FIG. 1C, and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correspond to the non-visible area NVDA. You can.

즉,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사용자는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볼 수 없으며, 제2 화소 영역(AA2)에 표시되는 영상만을 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first mode, the user cannot see the images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and cannot see the images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You can only view the displayed video.

이와 달리,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second mode, the user can view images displayed in the first to third pixel areas AA1, AA2, and AA3.

화소들(PXL1, PXL2, PXL3)은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may include first pixels PXL1, second pixels PXL2, and third pixels PXL3.

예를 들어, 제1 화소들(PXL1)은 제1 화소 영역(AA1)에 위치하고, 제2 화소들(PXL2)은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하며, 제3 화소들(PXL3)은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s PXL1 are locat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the second pixels PXL2 are locat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third pixels PXL3 are locat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It may be located in the 3 pixel area (AA3).

화소들(PXL1, PXL2, PXL3)은 구동부들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휘도로 발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화소들(PXL1, PXL2, PXL3) 각각은 발광 소자(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can emit light at a predetermined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s, and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e.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do.

한편, 도 2에서는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의 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FIG. 2 , the first pixel area AA1, second pixel area AA2, and third pixel area AA3 are shown to have the same wid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 area AA1 and/or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pixel area AA2 increases.

또는,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의 폭이 제2 화소 영역(AA2)의 폭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width of the first pixel area AA1 and/or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be set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pixel areas AA1 and/or third pixel areas AA3 may b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한편,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유효 영상은 제2 화소 영역(AA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화소 영역(AA1)과 제3 화소 영역(AA3)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전체적으로 블랙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first mode, a valid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are areas that are not visible to the user, black may be displayed entirely.

즉,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한 제2 화소들(PXL2)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pixels PXL2 locat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perform a normal light emissio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and the first pixel area AA2 ( The first pixels PXL1 and PXL3 located in the third pixel area AA1) and AA3 may be set to a non-emission state.

이 경우,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제2 화소들(PXL2)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특성과 상이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s included in the first pixels PXL1 and the third pixels PXL3 may be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s included in the second pixels PXL2.

따라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진입 시, 각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에 따라, 제2 화소 영역(AA2)과 다른 화소 영역들(AA1, AA3) 사이의 휘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화소 영역(AA1)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 및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 사이의 경계선(가로줄)이 시인될 우려가 있다. Accordingly, when entering the second mode from the first mode, the pixel areas AA1, A luminance deviation may occur between AA3), and also a boundary line (horizontal line)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between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There is a risk that this will be acknowled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로 구동 시,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한 제1 화소 영역(AA1)의 경계 영역(SB2)에 소정의 더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경계 영역(SB2)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제2 화소 영역(AA2)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근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in the first mode, a predetermined dummy image is displayed in the border area SB2 of the first pixel area AA1 adjacen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thereby displaying the border area (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present in SB2) may be adjusted to be close to those of the driving transistor present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따라서, 비경계 영역(SB1), 경계 영역(SB2) 및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의 휘도 편차가 점진적으로 발생되며, 이는 결국 경계선의 시인 현상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a luminance difference gradually occurs between the non-border area SB1, the border area SB2, and the second pixel area AA2, which ultimately reduces the visibility of the border.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 area AA1 may include a first sub-pixel area SB1 and a second sub-pixel area SB2. At this time,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may be referred to as a border area.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비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sub-pixel area SB1 may be referred to as a non-boundary area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예를 들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second pixel area AA2.

제1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first mod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may display black,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display a dummy image.

이를 위하여,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특정 패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의 발광 패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maintain a non-emission state, and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re maintained in a specific pattern. It can emit light depending on the The emission pattern of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제3 화소 영역(AA3)의 경우, 제1 화소 영역(AA1)과 동일한 방식으로 경계선의 시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hird pixel area AA3, the visibility of the border line can be improv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pixel area AA1.

즉, 제1 모드로 구동 시,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한 제3 화소 영역(AA3)의 경계 영역(SB4)에 소정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at is, when driving in the first mode, a predetermined dummy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border area SB4 of the third pixel area AA3 adjacen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예를 들어, 제3 화소 영역(AA3)은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include a third sub-pixel area SB3 and a fourth sub-pixel area SB4. At this tim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may be referred to as a border area.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비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be referred to as a non-boundary area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예를 들어,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and the second pixel area AA2.

제1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e first mode,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display a dummy image.

이를 위하여,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특정 패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의 발광 패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intain a non-emission state, a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are maintained in a specific pattern. It can emit light depending on the The emission pattern of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화소 영역들(AA1, AA2, AA3)과 표시 구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and a display driver 100.

표시 구동부(100)는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에 대응하여,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isplay driver 10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operation of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in response to the driving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100)는 제1 모드에서 제2 화소 영역(AA2)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구동부(100)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블랙을 표시하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driver 100 may display a valid image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in the first mode. In this case, the display driver 100 displays black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sub-pixel area SB3, an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can be displayed.

또한, 표시 구동부(100)는 제2 모드에서 전체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대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play driver 100 may display a valid image for all pixel areas AA1, AA2, and AA3 in the second mode.

구체적으로, 표시 구동부(100)는 제1 주사 구동부(211), 제2 주사 구동부(212), 제3 주사 구동부(213), 제1 발광 구동부(311), 제2 발광 구동부(312), 제3 발광 구동부(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driver 100 includes a first scan driver 211, a second scan driver 212, a third scan driver 213, a first light emission driver 311, a second light emission driver 312, and a third scan driver 213. 3 It may include a light emission driver 313, a data driver 230, and a timing controller 250.

제1 화소들(PXL1)은 제1 주사선들(S11~S1j),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1 화소 영역(AA1)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s (PXL1) are locat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partitioned by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first emission control lines (E11 to E1j), and data lines (D1 to Dm). can do.

이와 같은 제1 화소들(PXL1)은 제1 주사선들(S11~S1j)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se first pixels (PXL1) can receive data signals from the data lines (D1 to Dm) when scan signals are supplied from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은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은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PXL1 loca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may receive a black data signal, and the first pixels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receive a black data signal. (PXL1) can be supplied with a dummy data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sub-pixel area SB1 may display black,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display a dummy image.

한편, 제2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은 모두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모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pixels PXL1 loca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first pixels PXL1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both emit valid data signals. can be supplied. Accordingly, both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can display a valid image.

제1 화소들(PXL1)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s PXL1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LVSS vi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ta sign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generate light with a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예를 들어, 제1 화소들(PXL1)이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화소들(PXL1)은 상기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pixels PXL1 receive a valid data signal or a dummy data signal, a corresponding current flow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s PXL1 receive the valid data signal. Alternatively, it may emit light with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dummy data signal.

또한, 제1 화소들(PXL1)이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들(PXL1)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first pixels PXL1 receive a black data signal,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s PXL1 may be set to a non-emission state.

제2 화소들(PXL2)은 제2 주사선들(S21~S2n),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pixels PXL2 are locat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partitioned by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the second emission control lines E21 to E2n, and the data lines D1 to Dm. can do.

이와 같은 제2 화소들(PXL2)은 제2 주사선들(S21~S2n)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se second pixels (PXL2) can receive data signals from the data lines (D1 to Dm) when scan signals are supplied from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예를 들어, 제2 화소들(PXL2)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소들(PXL2)은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pixels PXL2 may receive valid data signals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ly, the second pixels PXL2 can display a valid image.

제2 화소들(PXL2)은 공급받은 유효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ixels PXL2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LVSS vi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valid data sign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generate light with a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제3 화소들(PXL3)은 제3 주사선들(S31~S3k),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hird pixels (PXL3) are located in the third pixel area (AA3) partitioned by the third scan lines (S31 to S3k), third emission control lines (E31 to E3k), and data lines (D1 to Dm). can do.

이와 같은 제3 화소들(PXL3)은 제3 주사선들(S31~S3k)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se third pixels (PXL3) can receive data signals from the data lines (D1 to Dm) when scan signals are supplied from the third scan lines (S31 to S3k).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한 제3 화소들(PXL3)은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제3 화소들(PXL3)은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the third pixels PXL3 locat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receive a black data signal, and the third pixels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receive a black data signal. (PXL3) can be supplied with a dummy data signal. Accordingly,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display a dummy image.

한편, 제2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은 모두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모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econd mode, the third pixels PXL3 locat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and the third pixels PXL3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all display valid data signals. can be supplied. Accordingly, both the third sub-pixel area SB3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can display valid images.

제3 화소들(PXL3)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The third pixels PXL3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LVSS via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not show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ta signal.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an generate light with a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예를 들어, 제3 화소들(PXL3)이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제3 화소들(PXL3)은 상기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hird pixels PXL3 receive a valid data signal or a dummy data signal, a corresponding current flow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ccordingly, the third pixels PXL3 receive the valid data signal. Alternatively, it may emit light with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dummy data signal.

또한, 제3 화소들(PXL3)이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third pixels PXL3 receive a black data signal,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ccordingly, the third pixels PXL3 may be set to a non-emission state.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may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second pixel area AA2.

이 경우,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의 개수는 제2 화소들(PXL2) 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주사선들(S11~S1j) 및 제3 주사선들(S31~S3k)의 개수는 제2 주사선들(S21~S2n) 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first pixels (PXL1) and third pixels (PXL3)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number of second pixels (PXL2), and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and third scan lines ( The number of scan lines (S31 to S3k)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제1 주사 구동부(211)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1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에 대응하여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first scan driver 211 may supply first scan signals to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in response to the first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1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1 주사 구동부(211)는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1 화소들(PXL1)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can driver 211 may sequentially supply first scan signals to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When first scan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first scan lines S11 to S1j, the first pixels PXL1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on a horizontal line basis.

제2 주사 구동부(212)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2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2)에 대응하여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scan driver 212 may supply second scan signals to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in response to the second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2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2 주사 구동부(212)는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2 화소들(PXL2)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can driver 212 may sequentially supply second scan signals to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When the second scan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econd scan lines S21 to S2n, the second pixels PXL2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on a horizontal line basis.

제3 주사 구동부(213)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3)에 대응하여 제3 주사선들(S31~S1k)로 제3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third scan driver 213 may supply third scan signals to the third scan lines S31 to S1k in response to the third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3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3 주사 구동부(213)는 제3 주사선들(S31~S3k)로 제3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주사선들(S31~S3k)로 제3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scan driver 213 may sequentially supply third scan signals to the third scan lines S31 to S3k. When the third scan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third scan lines S31 to S3k, the third pixels PXL3 can be sequentially selected on a horizontal line basis.

이때, 제1 주사 신호, 제2 주사 신호, 및 제3 주사 신호는, 해당 트랜지스터가 턴-온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can signal, the second scan signal, and the third scan signal may be set to a voltage at which the corresponding transistor can be turned on.

즉, 표시 장치(10) 전체로 볼 때,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각 프레임 기간마다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That is, when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10 as a who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the first pixel PXL1, the second pixel PXL2, and third pixels (PXL3) may be sequentially selected on a horizontal line basis.

제1 발광 구동부(311)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1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에 대응하여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로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emission driver 311 may supply firs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emission control lines E11 to E1j in response to the firs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1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1 발광 구동부(311)는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로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mission driver 311 may sequentially supply firs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emission control lines E11 to E1j.

제2 발광 구동부(312)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2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2)에 대응하여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로 제2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emission driver 312 may supply second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second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E21 to E2n in response to the second ligh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2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2 발광 구동부(312)는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로 제2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ssion driver 312 may sequentially supply second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second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E21 to E2n.

제3 발광 구동부(313)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3)에 대응하여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로 제3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third light emission driver 313 may supply third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third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E31 to E3k in response to the third ligh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3 from the timing controller 250.

예를 들어, 제3 발광 구동부(313)는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로 제3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light emission driver 313 may sequentially supply third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the third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E31 to E3k.

이때, 발광 제어 신호는 화소들(PXL1, PXL2, PXL3)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mission control signal can be used to control the emission time of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and can be set to a voltage at which the corresponding transistor can be turned off.

즉, 표시 장치(10) 전체로 볼 때,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각 프레임 기간마다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발광 제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at is, when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10 as a whole,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driven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the first pixel PXL1, the second pixel PXL2, And the third pixels (PXL3) may sequentially receive the emission control signal on a horizontal line basis.

데이터 구동부(23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대응하여 데이터선들(D1~Dm)로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The data driver 230 may supply data signals to the data lines D1 to Dm in response to the data control signal DCS.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로 블랙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로 더미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first mode, the data driver 230 controls the first pixels PXL1 loca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corresponding to the period during which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first sub-pixel area SB1. ), black data signals are su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nd dummy data signals are supplied to the first pixels (PXL1)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in response to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can be supplied.

또한,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2 화소 영역(AA2)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화소들(PXL2)로 유효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first mode, the data driver 230 transmits valid data to the second pixels PXL2 locat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in response to the period during which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Signals can be supplied.

그리고,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로 블랙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로 더미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And, in the first mode, the data driver 230 operates on the third pixels PXL3 locat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in response to the period during which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third sub-pixel area SB3. Black data signals may be supplied, and dummy data signals may be supplied to the third pixels PXL3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in response to the period during which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there is.

한편, 제2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각각의 화소 영역들(AA1, AA2, AA3)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위치하는 화소들(PXL1, PXL2, PXL3)로 유효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econd mode, the data driver 230 controls the pixels located in each of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corresponding to the period during which scanning signals are supplied to each of the pixel areas (AA1, AA2, and AA3). Valid data signals can be supplied to (PXL1, PXL2, and PXL3).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들(SCS1, SCS2, SCS3)을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로 공급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 unit 250 may supply scan driver control signals SCS1, SCS2, and SCS3 generated based on externally supplied timing signals to the scan drivers 211, 212, and 213.

제1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는 제1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작 신호는 제1 주사 신호들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며, 클럭 신호들은 제1 시작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1 may include a first start signal and clock signals. The first start signal controls the supply timing of the first scan signals, and clock signals can be used to shift the first start signal.

제2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2)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1 주사선(S1j)으로 공급된 제1 주사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2 may include clock signals. Clock signals may be used to shift the first scan signal supplied to the last first scan line (S1j).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3)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2 주사선(S2n)으로 공급된 제2 주사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third scan driver control signal SCS3 may include clock signals. Clock signals may be used to shift the second scan signal supplied to the last second scan line (S2n).

일례로, 제1 내지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SCS3)에 포함된 클럭 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For example, clock signals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scan driver control signals SCS1 to SCS3 may be the same signal.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들(ECS1, ECS2, ECS3)을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로 공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iming control unit 250 may supply the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s ECS1, ECS2, and ECS3 generated based on timing signal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emission drivers 311, 312, and 313.

제1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는 제2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작 신호는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며, 클럭 신호들은 제2 시작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ligh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1 may include a second start signal and clock signals. The second start signal controls the supply timing of the first emission control signals, and clock signals can be used to shift the second start signal.

제2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2)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1 발광 제어선(E1j)으로 공급된 제1 발광 제어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2 may include clock signals. Clock signals can be used to shift the first emission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last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j).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3)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2 발광 제어선(E2n)으로 공급된 제2 발광 제어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third light emission driver control signal (ECS3) may include clock signals. Clock signals may be used to shift the second emission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last second emission control line (E2n).

일례로, 제1 내지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ECS3)에 포함된 클럭 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For example, clock signals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light emitting driver control signals (ECS1 to ECS3) may be the same signal.

타이밍 제어부(25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30)의 사양에 맞는 영상 데이터(DATA)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 unit 250 may supply a data control signal (DCS) to the data driver 230. Additionally, the timing control unit 250 may convert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nto image data (DATA) that meets the specifications of the data driver 230 and supply it to the data driver 230.

데이터 제어신호(DCS)에는 소스 시작신호,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소스 샘플링 클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스 시작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3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23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include a source start signal,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urce sampling clock, etc. The source start signal can control the data sampling start point of the data driver 230. The source sampling clock may control the sampling operation of the data driver 230 based on the rising or falling edge.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can control the output timing of the data driver 230.

도 3에서는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In Figure 3, the scan drivers 211, 212, and 213, the light emission drivers 311, 312, and 313, the data driver 230, and the timing controller 250 are shown individually, but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can be integrated as needed.

또한,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hip On Film)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n drivers 211, 212, 213, the light emission drivers 311, 312, 313, the data driver 230, and the timing control unit 250 are chip on glass (Chip On Glass), chip on plastic ( It can be install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hip On Plastic, Tape Carrier Package, Chip On Film, etc.

한편, 화소들(PXL1, PXL2, PXL3)이 발광 제어 신호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구조인 경우,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및 발광 제어선들(E11~E1j, E21~E2n, E31~E3k)은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ixels (PXL1, PXL2, PXL3)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need to use an emission control signal, the emission drivers (311, 312, 313) and emission control lines (E11 to E1j, E21 to E2n, E31 to E3k) ) can be omitted.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화소의 일 실시예 및 그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pixel shown in FIG. 3 and its driving method.

도 4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번째 데이터선(Dm) 및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된 제1 화소(PXL1)를 도시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4A shows the first pixel PXL1 connected to the m-th data line Dm and the i-th first scan line S1i.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화소(PXL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제1 트랜지스터(T1) 내지 제7 트랜지스터(T7)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first pixel (PXL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irst to seventh transistors (T1) to seventh transistors (T7), and a storage capacitor (Cst). there i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는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제2 화소 전원(ELVSS)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The an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T1) via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cath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LVSS).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generate light of a certain brightness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1 화소 전원(ELVDD)은 제2 화소 전원(ELVSS)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LVDD) may be set to a higher voltage than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LVSS) so that current can flow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Vint)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i+1번째 제1 주사선(S1i+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7 트랜지스터(T7)는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 전원(Vint)의 전압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화 전원(Vint)은 데이터 신호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venth transistor T7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initialization power source Vint and the an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may be connect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This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n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and supplies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to the an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You can. Here,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may be set to a voltage lower than the data signal.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트랜지스터(T6)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6 트랜지스터(T6)는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The sixth transistor T6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sixth transistor T6 may be connect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The sixth transistor T6 may be turned off when an emission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and may be turned on in other cases.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화소 전원(ELVDD)과 제1 트랜지스터(T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트랜지스터(T5)는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The fifth transistor T5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LVDD and the first transistor T1.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fifth transistor T5 may be connect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The fifth transistor T5 may be turned off when an emission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and may be turned on in other cases.

제1 트랜지스터(T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화소 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화소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화소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driving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LVDD) via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via the sixth transistor (T6). It can be connected to the anode of (OLED). Als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This first transistor T1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ixel power source ELVSS via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can do.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1 노드(N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first node N1.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connect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This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first node (N1). You can. Accordingly, when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the first transistor T1 may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diode.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노드(N1)와 초기화 전원(Vint)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i-1번째 제1 주사선(S1i-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노드(N1)로 초기화 전원(Vint)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fourth transistor T4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initialization power source Vint.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may be connect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This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and can supply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to the first node (N1). .

제2 트랜지스터(T2)는 m번째 데이터선(Dm)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T2)는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m번째 데이터선(Dm)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The second transistor T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m-th data line Dm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may be connect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This second transistor (T2) is turned on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mth data line (Dm)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You can do i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화소 전원(ELVDD)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ixel power source ELVDD and the first node N1. Such a storage capacitor Cst can store a data signal and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T1.

한편,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는 제1 화소(PXL1)와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second pixel (PXL2) and the third pixel (PXL3)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circuit as the first pixel (PXL1).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econd pixel (PXL2) and the third pixel (PXL3) will be omitted.

또한, 도 4a에서 설명된 화소 구조는 주사선과 발광 제어선을 이용하는 하나의 예에 해당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화소(PXL1, PXL2, PXL3)가 상기 화소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회로 구조를 가지며, 현재 공지된 다양한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ixel structure described in FIG. 4A is only an example using a scanning line and an emission control line, the pixels (PXL1, PXL2, and PXL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ixel structure. In fact, the pixel has a circuit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curren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can be selected from any of a variety of currently known structures.

본 발명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한 다양한 광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백색 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컬러 필터 등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generate various lights,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driving transistor,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generate white light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a driving transistor. In this case, a color image can be implemented using a separate color filter, etc.

도 4b를 참조하면, 먼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가 공급된다.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가 공급되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오프된다. 이때, 제1 화소(PXL1)는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b, first, the emission control signal (F1i)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When the emission control signal F1i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ixth transistor T6 are turned off. At this time, the first pixel (PXL1) may be set to a non-emission state.

이후,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되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이 제1 노드(N1)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1 노드(N1)는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Afterwards, the scan signal (G1i-1) is suppli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When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is supplied to the first node N1. Then, the first node N1 can be initialized to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제1 노드(N1)가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된 후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 신호(G1i)가 공급된다.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 신호(G1i)가 공급되면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된다.After the first node N1 is initialized to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the scan signal G1i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When the scan signal G1i is supplied to the ith first scan line S1i,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he third transistor T3 are turned on.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면 제1 트랜지스터(T1)가 다이오드 형태로 연결된다. When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 diode.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면 m번째 데이터선(Dm)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 노드(N1)가 데이터 신호보다 낮은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면 데이터 신호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을 감한 전압이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Whe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turned on, the data signal from the mth data line Dm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At this time, because the first node N1 is initialized to a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that is lower than the data signal, the first transistor T1 may be turned on. When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n, a voltag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T1 from the data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node N1. The storage capacitor Cst stores the data signal appli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T1.

이후,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된다.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되면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된다.Afterwards, the scan signal (G1i+1) is suppli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When the scan signal (G1i+1) is supplied to the i+1th first scan line (S1i+1),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n.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기생적으로 형성된 기생 커패시터가 방전되고, 이에 따라 블랙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power supply Vint is su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n, the parasitic capacitor parasitically form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the black expression ability.

이 후,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이 중단된다.After this, the supply of the emission control signal (F1i)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is stopped.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된다. 그러면,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제5 트랜지스터(T5), 제1 트랜지스터(T1), 제6 트랜지스터(T6)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이어지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When the supply of the emission control signal (F1i) to the ith first emission control line (E1i) is stopped,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ixth transistor (T6) are turned on. Then, the current path leading from the first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LVSS) via the fifth transistor (T5), the first transistor (T1),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is formed

이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first transistor T1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from the first power source ELVD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LVSS via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generates light of a certain brightness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실제로, 제1 화소(PXL1)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 역시 제1 화소(PXL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In fact, the first pixel PXL1 can generate light of a certain luminance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PXL2) and the third pixel (PXL3) may also be driven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ixel (PXL1).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공급되는 발광 제어신호(F1i)는, 데이터 신호가 화소(PXL1, PXL2', PXL3)에 충전되는 기간 동안 화소(PXL1, PXL2, PXL3)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사신호와 중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 타이밍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F1i) supplied to the ith first light emission control line (E1i) is in a non-emission state when the pixels (PXL1, PXL2, PXL3) are charged with the data signal. It can be supplied to overlap with at least one scan signal so that it is set to . The supply timing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F1i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a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5b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5A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period of the first mode, and FIG. 5B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second period of the first mode.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include a first pixel group Ga and a second pixel group Gb, each including first pixels PXL1.

이때, 각 화소 그룹(Ga, Gb)에 포함되는 제1 화소들(PXL1)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each pixel group (Ga, Gb) may be the same or set differently.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For example,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emit light alternately during the first mode.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pixel group Ga may not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emit light.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5B , the first pixel group Ga may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not emit light during a second peri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alternatel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a, Gb)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pixel groups Ga and Gb alternately emit light.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include a first pixel group Gc and a second pixel group Gd, each including third pixels PXL3.

이때, 각 화소 그룹(Gc, Gd)에 포함되는 제3 화소들(PXL3)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each pixel group (Gc, Gd) may be the same or set differently.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For example,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emit light alternately during the first mode.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pixel group Gc may not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emit light.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5B , the first pixel group Gc may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not emit light during a second peri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alternatel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c, Gd)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pixel groups Gc and Gd alternately emit light.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do not emit light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status can be maintained.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AA2 can display an effective image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second pixels PXL2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perform a normal light emission oper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각각 하나의 화소 행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각각 복수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5A and 5B illustrate a case where one pixel row is included in each of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rows.

또한, 화소 그룹들(Ga, Gb, Gc, Gd)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hape and number of pixel groups (Ga, Gb, Gc, and Gd) may vary.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6a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6b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6A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period of the first mode, and FIG. 6B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second period of the first mod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include at least one pixel row including first pixels PXL1.

이러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is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일례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repeatedly emit light and not emit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during the first mode.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 at least one pixel row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period.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6B , at least one pixel row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not emit light during the second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화소 행은 제1 모드 동안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pixel row inclu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repeatedly emit light and not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이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at least one pixel row repeats emission and non-emission.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include at least one pixel row including third pixels PXL3.

이러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is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일례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repeatedly emit light and not emit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during the first mode.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 at least one pixel row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period.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6B , at least one pixel row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not emit light during the second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화소 행은 제1 모드 동안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pixel row includ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repeatedly emit light and not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이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at least one pixel row repeats emission and non-emission.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do not emit light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status can be maintained.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AA2 can display an effective image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second pixels PXL2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perform a normal light emission oper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각각 하나의 화소 행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각각 복수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6A and 6B illustrate a case in which one pixel row is included in each of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rows.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7b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7c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Figure 7a is a diagram showing pixel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b and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d is This is a diagram showing pixel 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7B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period of the first mode, and FIG. 7C shows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second period of the first mode.

도 7a를 참조하면,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pixel units PU1, PU2, and PU3 may be located in pixel areas AA1, AA2, and AA3.

예를 들어, 제1 화소 유닛들(PU1)은 제1 화소 영역(AA1)에 배치되고, 제2 화소 유닛들(PU2)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배치되며, 제3 화소 유닛들(PU3)은 제3 화소 영역(AA3)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 units PU1 are disposed in the first pixel area AA1, the second pixel units PU2 are dispos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third pixel units ( PU3)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ixel area AA3.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각각 다수의 화소들(PXL1, PXL2, PXL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ixel units PU1, PU2, and PU3 may each include multiple pixels PXL1, PXL2, and PXL3.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화소 유닛들(PU1)은 다수의 제1 화소들(PXL1)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2 화소 유닛들(PU2)은 다수의 제2 화소들(PXL2)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3 화소 유닛들(PU3)은 다수의 제3 화소들(PXL3)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first pixel unit PU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pixels PXL1, and each second pixel unit PU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pixels PXL2. Each third pixel unit PU3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rd pixels PXL3.

일례로, 제1 화소 유닛(PU1)은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PXL1(G))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 unit PU1 may include four first pixels PXL1. At this time, the four first pixels (PXL1) include one first pixel (PXL1(R))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PXL1(B)) emitting blue, and two first pixels (PXL1(B)) emitting green. It may be composed of first pixels (PXL1(G)).

제2 화소 유닛(PU2)은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2 화소들(PXL2(G))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pixel unit PU2 may include four second pixels PXL2. At this time, the four second pixels (PXL2) include one second pixel (PXL2(R)) emitting red, one second pixel (PXL2(B)) emitting blue, and two second pixels (PXL2(B)) emitting green. It may be composed of two second pixels (PXL2(G)).

또한, 제3 화소 유닛(PU3)은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3 화소들(PXL3(G))로 이루어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pixel unit PU3 may include four third pixels PXL3. At this time, the four third pixels (PXL3) include one third pixel (PXL3(R)) emitting red, one third pixel (PXL3(B)) emitting blue, and two third pixels (PXL3(B)) emitting green. It may be composed of three third pixels (PXL3(G)).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 유닛들(PU1)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B and 7C ,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include a first pixel group Ga and a second pixel group Gb, each including first pixel units PU1. .

이때, 각 화소 그룹(Ga, Gb)에 포함되는 제1 화소 유닛들(PU1)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first pixel units PU1 included in each pixel group Ga and Gb may be the same or set differently.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For example,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emit light alternately during the first mode.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pixel group Ga may not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emit light.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7C , the first pixel group Ga may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not emit light during a second peri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 group Ga and the second pixel group Gb may alternatel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a, Gb)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pixel groups Ga and Gb alternately emit light.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 유닛들(PU3)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include a first pixel group Gc and a second pixel group Gd, each including third pixel units PU3.

이때, 각 화소 그룹(Gc, Gd)에 포함되는 제3 화소 유닛들(PU3)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ird pixel units PU3 included in each pixel group Gc and Gd may be the same or set differently.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For example,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emit light alternately during the first mode.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during the first period, the first pixel group (Gc) may not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emit light.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비발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7C , the first pixel group Gc may emit light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not emit light during a second peri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may proceed repeatedly, and accordingly, the first pixel group Gc and the second pixel group Gd may alternately emit light during the first mode.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c, Gd)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dummy image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during the first mode may have a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pixel groups Gc and Gd alternately emit light.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 유닛들(PU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 유닛들(PU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first pixel units PU1 inclu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pixel units PU3 includ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are A non-luminous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 유닛들(PU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AA2 can display an effective image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second pixel units PU2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perform a normal light emission oper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도 7a와 상이한 조합의 화소들(PXL1, PXL2, PXL3)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D, the pixel units PU1, PU2, and PU3 may each be composed of a different combination of pixels PXL1, PXL2, and PXL3 than that of FIG. 7A.

예를 들어, 제1 화소 유닛(PU1)은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PXL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pixel unit PU1 may include four first pixels PXL1. At this time, the four first pixels (PXL1) include one first pixel (PXL1(R)) emitting red, one first pixel (PXL1(G)) emitting green, and two first pixels (PXL1(G)) emitting blue. It may be composed of first pixels (PXL1(B)).

제2 화소 유닛(PU2)은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2 화소들(PXL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pixel unit PU2 may include four second pixels PXL2, where the four second pixels PXL2 are one second pixel PXL2(R) that emits red light. , one second pixel (PXL2(G)) that emits green light, and two second pixels (PXL2(B)) that emit blue light.

또한, 제3 화소 유닛(PU3)은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3 화소들(PXL3(B))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pixel unit PU3 may include four third pixels PXL3, where the four third pixels PXL3 are one third pixel PXL3(R) that emits red. )), one third pixel (PXL3(G)) that emits green light, and two third pixels (PXL3(B)) that emit blue light.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e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각각 도시하였다.8A to 8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mage display operation in a first m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S. 8A to 8E illustrate image display operations in the first to fifth periods of the first mode, respectively.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A to 8E ,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rows including first pixels PXL1.

이러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is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일례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에서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emit light as a whole in the first mode and then sequentially stop emitting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이를 위하여,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stop emitting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 all pixel rows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emit light as a whole during the first period.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기간으로부터 제5 기간까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화소 행들은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B to 8E , pixel rows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sequentially not emit light from the second period to the fifth period.

이에 따라, 제5 기간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이 전체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ifth period, all pixel rows locat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not emit light as a whole.

이때,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제1 화소들(PXL1)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제2 화소 영역(AA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ixels PXL1 of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AA2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It may be non-luminous.

또한,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은 제1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to fifth period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in the first mode, and accordingly,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rows including third pixels PXL3.

이러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is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during the first mode.

일례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에서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mit light as a whole in the first mode and then sequentially stop emitting light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stop emitting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 all pixel rows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emit light as a whole during the first period.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기간으로부터 제5 기간까지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화소 행들은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B to 8E , pixel rows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sequentially not emit light from the second period to the fifth period.

이에 따라, 제5 기간에서는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이 전체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ifth period, all pixel rows locat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not emit light as a whole.

이때,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의 제3 화소들(PXL3)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제2 화소 영역(AA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rd pixels PXL3 of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AA2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AA2. It may be non-luminous.

또한,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은 제1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to fifth period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in the first mode, and accordingly,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may display a dummy image of a specific pattern.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sub-pixel area SB3 may display black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first pixels PXL1 inclu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third pixels PXL3 includ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do not emit light during the first to fifth periods. status can be maintained.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pixel area AA2 can display an effective image in the first mode. That is, the second pixels PXL2 includ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may perform a normal light emission operation during the first to fifth periods.

한편, 도 8a 내지 도 8e에서는 하나의 화소 행들이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화소 행들이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Meanwhile, FIGS. 8A to 8E exemplarily show a case in which one pixel row does not emit light sequenti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pixel rows may sequentially not emit ligh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며,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pixel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hanged parts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한 표시 장치(10')는 복수 개의 제1 화소 영역들(AA1)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ixel areas AA1.

이때, 제1 화소 영역들(AA1)은 제2 화소 영역(AA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ixel areas AA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이 경우, 각각의 제1 화소 영역들(AA1)의 폭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해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dth of each of the first pixel areas AA1 may be set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 SB2) may be included.

이때,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영상 표시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image display operation of the first sub-pixel area SB1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화소 영역(AA3)도 제1 화소 영역들(AA1)과 같이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화소 영역들(AA3)은 제2 화소 영역(AA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3 화소 영역들(AA3)의 폭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해 작게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ird pixel areas AA3, like the first pixel areas AA1. In this case, the third pixel areas AA3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width of each third pixel area AA3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pixel area AA2. can be se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00).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전체 표시 영역, 즉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에 대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driven in the second mode (S100).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 can display an effective image for the entire display area, that is, the first pixel area AA1, the second pixel area AA2, and the third pixel area AA3.

제2 모드로 구동 중,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While driving in the second mode, a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mode may be performed.

본 단계(S110)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step (S110),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30 or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the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changed.

모드의 변경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모드가 계속적으로 수행되며, 모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20). If no mode change occurs, the second mode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if a mode change occurs,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driven in the first mode (S120).

이 경우, 제2 화소 영역(AA2)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제1 화소 영역(AA1)의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블랙이 표시되며, 제1 화소 영역(AA1)의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valid image is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area AA2, black is display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B1 of the first pixel area AA1,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B1 of the first pixel area AA1 is displayed. A dummy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pixel area SB2.

또한, 제3 화소 영역(AA3)의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블랙이 표시되며, 제3 화소 영역(AA3)의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Additionally, black may be display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B3 of the third pixel area AA3, and a dummy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of the third pixel area AA3.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이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method by which the second sub-pixel area SB2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SB4 display the dummy image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it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제1 모드로 구동 중,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While driving in the first mode, a step (S130) of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mode may be performed.

본 단계(S130)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step (S130), when the display device 1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30 or when there is a user's request, the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 can be changed.

모드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제1 모드가 계속적으로 수행되며, 모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40). If there is no change in mode, the first mode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if a change in mode occurs,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driven in the second mode (S14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0, 10': 표시 장치
AA1: 제1 화소 영역
AA2: 제2 화소 영역
AA3: 제3 화소 영역
SB1: 제1 서브 화소 영역
SB2: 제2 서브 화소 영역
SB3: 제3 서브 화소 영역
SB4: 제4 서브 화소 영역
PXL1: 제1 화소들
PXL2: 제2 화소들
PXL3: 제3 화소들
10, 10': display device
AA1: first pixel area
AA2: Second pixel area
AA3: Third pixel area
SB1: first sub-pixel area
SB2: second sub-pixel area
SB3: Third sub-pixel area
SB4: Fourth sub-pixel area
PXL1: first pixels
PXL2: secondary pixels
PXL3: Third pixels

Claims (24)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
a first pixel area including first pixels;
a second pixel area including second pixels;
a third pixel area including third pixels; and
A display driver configured to control image display operations of the first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in response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The first pixel area includes a first sub-pixel area and a second sub-pixel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In the first mode, the first sub-pixel area displays black,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displays a dummy image,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the first pixels, and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ly A display device that emits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pixel are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river displays a valid image in the second pixel area in the first mode, and displays a valid image in the first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in the second mod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pixel area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sub-pixel area repeats light emission and non-light emission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상기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 units,
The first pixel unit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ixels,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ly emit light.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In clause 7,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includes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light, one first pixel emitting blue light,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green light.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In clause 7,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includes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light, one first pixel emitting green light,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blue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in the second sub-pixel area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do not emit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do not emit light sequentially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소 영역은, 제3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4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ird pixel area includes a third sub-pixel area and a fourth sub-pixel area located between the third sub-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In the first mode, the third sub-pixel area displays black, and the fourth sub-pixel area displays a dummy image.
제2 모드에서,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2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In a second mode, displaying a valid image in a first pixel area including first pixels, a second pixel area including second pixels, and a third pixel area including third pixels; and
When entering the first mode from the second mode, a valid image is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area, black is display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of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of the first pixel area is displayed. A dummy image is displayed in the sub-pixel area,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the first pixels,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ly emit ligh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second pixel are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ixel area and the third pixel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pixel area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ixel area.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first mode, the second sub-pixel area repeats light emission and non-light emission in units of at least one horizontal lin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상기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second sub-pixel area includes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first pixel units,
The first pixel unit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ixels,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 group and the second pixel group alternately emit light.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8,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includes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light, one first pixel emitting blue light,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green light.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8,
Each of the first pixel units includes one first pixel emitting red light, one first pixel emitting green light, and two first pixels emitting blue ligh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in the second sub-pixel area emit light as a whole and then sequentially do not emit light in at least one pixel row uni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상기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21,
In the first mode, the first pixels of the second sub-pixel area do not emit light sequentially from the pixel row located furthest from the second pixel area to the pixel row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pixel area. Driv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4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When entering the first mode from the second mode, black is display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of the third pixel area, and a dummy image is displayed in the fourth sub-pixel area of the third pixel area. Driv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진입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display device enters the first mode when mounted on a wearable device and enters the second mode when the display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device.
KR1020170019533A 2017-02-13 2017-02-1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62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en) 2017-02-13 2017-02-1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5/885,611 US10916191B2 (en) 2017-02-13 2018-01-3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18156542.5A EP3361470B1 (en) 2017-02-13 2018-02-1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810149807.XA CN108735159B (en) 2017-02-13 2018-02-1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7/170,554 US11423836B2 (en) 2017-02-13 2021-02-08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en) 2017-02-13 2017-02-1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77A KR20180094177A (en) 2018-08-23
KR102662906B1 true KR102662906B1 (en) 2024-05-08

Family

ID=634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en) 2017-02-13 2017-02-1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9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015B1 (en) * 2019-06-05 2024-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7784A1 (en) 2008-06-27 2011-02-17 Makoto Shiomi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program
US20110292008A1 (en) 2005-07-29 2011-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098890A (en) * 2012-10-16 2014-05-29 Canon Inc Display device, light e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176U (en) * 1990-03-08 1991-11-27
TWI423218B (en) * 2007-04-24 2014-01-11 Lg Chemical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310130B1 (en) * 2014-09-01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A wearable electronic devci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2008A1 (en) 2005-07-29 2011-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037784A1 (en) 2008-06-27 2011-02-17 Makoto Shiomi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program
JP2014098890A (en) * 2012-10-16 2014-05-29 Canon Inc Display device, light e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77A (en)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82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22312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997585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32863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US10186204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33243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064313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21100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80082692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8470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492447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KR102388478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62906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0553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423836B2 (en)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335777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827761B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20096884A (en)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3088640A (en) Electro-optic device driving method,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097822A1 (en)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desig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