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79B1 -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79B1
KR102662279B1 KR1020180154569A KR20180154569A KR102662279B1 KR 102662279 B1 KR102662279 B1 KR 102662279B1 KR 1020180154569 A KR1020180154569 A KR 1020180154569A KR 20180154569 A KR20180154569 A KR 20180154569A KR 102662279 B1 KR102662279 B1 KR 10266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exible display
clause
opening pattern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0740A (en
Inventor
김준형
김태우
이한울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11590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010001B/en
Priority to CN202110434572.0A priority patent/CN113053250B/en
Priority to US16/233,962 priority patent/US10490771B2/en
Publication of KR2019008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740A/en
Priority to US16/659,054 priority patent/US111080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 동작에서도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장치 내에서 특정 구성이 처지거나 형상의 변경을 일으킴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display panel even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by var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plate, and can prevent a specific configuration from sagging or changing shape within the device. It relates to flexible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잦은 폴딩 동작에서도 강성을 유지하여 신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exible display that maintains rigidity and reliability even during fr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a device including the same.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 디스플레이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벼우며, 고 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자발광이 가능하여 광원 유닛을 생략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등이 각광받고 있다.Video displays, which implement various information on the screen, are a core technology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ra and are developing into thinner, lighter, and higher performance. Accordingly, flat displays that can reduce the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CRT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s that emit self-luminescence and thus can omit a light source unit, are attracting atten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display images by arranging multiple pixels in a matrix form. Here, each pixel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and a pixel driving circu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at independently drive the light-emitting element.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관점에서, 주머니나 작은 파우치에 넣은 상태로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의 표시시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하여,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고 또한 사용자의 시감을 향상시키며 실감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rec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applications, the demand for flexible displays that are easy to carry in a pocket or small pouch and can display images on a larger screen than when carried is increasing. The flexible display can be folded or partially bent when carrying or storing, but can be implemented in an unfolded state when displaying an image, thereby increasing the image display area and improving the user's viewing experience and realism.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본 구성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보호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한다.Meanwhile, a flexible display includes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backplate that supports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from the bottom.

백플레이트는 표시 패널보다는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 패널을 하측에서 보호한다. 그런데, 백플레이트가 표시 패널보다 큰 차이의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이 반복될 때, 폴딩부에서 단단한 백플레이트로 인해 표시 패널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backplate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and protects the display panel from the lower side. However, since the backplate has a greater difference in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when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are repeated, damage such as cracks may occur in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hard backplate in the folding portion.

이러한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과 유사한 강성의 백플레이트를 구비할 경우, 백플레이트의 비중이 낮아 백플레이트가 표시 패널을 온전히 지지하지 못하고, 언폴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일정 형상을 유지하지 못해, 사용자에게 시감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panel, when a backplate with similar rigidity as the display panel is provid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ckplate is low, so the backplate cannot fully support the display panel, and the flexible display maintains a certain shape in the unfolded state. Failure to do so may cause visual impairment to the user.

따라서, 현재까지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언폴딩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도 신뢰성을 유지하지 못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구성간의 강성 차가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상대적으로 연성인 표시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제기되고 있다.Accordingly, flexible displays to date cannot maintain reliability even through repeated folding/unfolding operations, and thus improvement is required. Additionally,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rigidity between components,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vent damage to the relatively soft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 동작에서도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장치 내에서 특정 구성이 처지거나 형상의 변경을 일으킴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plate, the display panel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and the display panel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device without sagging or changing shape.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that can prevent changes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백플레이트의 구성을 달리하여,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 동작에서도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장치 내에서 특정 구성이 처지거나 형상의 변경을 일으킴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the display panel even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by var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plate, and can prevent a specific configuration from sagging or changing shape within the device. It relates to flexible displays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표시 패널 및 폴딩부와 비폴딩부로 구분되며, 상기 표시 패널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의 제 1 층과, 상기 폴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에 제 1 밀도를 갖는 제 1 개구 패턴과,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에 상기 제 1 밀도보다 낮은 제 2 밀도를 갖는 제 2 개구 패턴을 포함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display panel, a folding portion, and a non-folding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layer of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layer in the first layer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portion. It may include a back plate including a first opening pattern having a density of 1 and a second opening pattern having a second density lower than the first density in the first layer corresponding to the non-fold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비폴딩부는 2 영역 이상 분할되어, 일 영역은 상기 제 2 밀도의 제 2 개구 패턴을 갖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제 2 밀도와 다른 밀도의 제 3 개구 패턴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non-folding portion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regions, where one region may have a second opening pattern of the second density, and the remaining region may have a third opening pattern of a density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ensities.

상기 폴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개구 패턴을 포함한 백플레이트의 비중은 낮아질 수 있다.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art increase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ck plate including the opening pattern may decrease.

또한, 상기 제 1 밀도는 상기 폴딩부에서 고정적이며, 상기 제 2 밀도는 상기 비폴딩부에서, 상기 폴딩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줄어들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density is fixed in the folding part, and the second density in the non-folding part may graduall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art increases.

상기 제 1 층은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morphous silicon, and Invar.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층의 적어도 한 면에 스킨 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ack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kin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layer.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A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plate.

상기 스킨층은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kin layer may be made of resin.

상기 레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에 채워질 수 있다.The resin may be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1층과 상기 스킨 층 사이에 제 2 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back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kin layer.

그리고,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제 1층보다 탄성 회복력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kin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elastic recovery force than the first layer.

상기 스킨층은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k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morphous silicon, and Invar.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을 통해 상기 제 2 접착층이 노출될 수 있다.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상기 제 2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하지 않은 상기 제 1 층의 표면과의 사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에서, 상기 제 1 층 두께 이하의 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layer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have a spac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상기 폴딩부에서 복수개이며, 각각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opening patterns in the folding part, and each of the first opening patterns may be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복수개 열(column)에 대해 각각 배치되며, 각 열에서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인접한 열에서 불연속부가 서로 상이한 행(row)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opening pattern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each colum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with a discontinuity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pattern may be located in rows where discontinuiti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jacent columns.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제 1 층보다 얇은 두께일 수 있다. The skin layer may be thinner than the first layer.

상기 제 1 층 내 상기 폴딩부의 경계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이 구비되지 않는 영역을 일정 폭 더 포함할 수 있다. A reg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are not provided may be further included at a border of the folding portion within the first layer of a certain width.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상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ame purpose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flexible display and a case for storing the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에, 폴딩부와 비폴딩부에 비중이 다른 개구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폴딩 동작에 상응하여 백플레이트도 폴딩 동작이 가능하며, 동시에 언폴딩시 비폴딩부와 폴딩부간의 패턴 편차가 시인됨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by equipping the back plate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with an opening pattern with a different specific gravity in the folded portion and the non-folded portion, the back plate can also be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t the same time, when unfolded, the back plate can be non-fo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attern deviation between the part and the folding part from being recognized.

둘째, 백플레이트의 표면에 백플레이트 본체보다 강성이 낮은 스킨층을 구비하고, 상기 스킨층의 재료가 개구 패턴에 채워지게 하여, 빈 공간에 의한 개구 패턴의 시인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a skin layer with lower rigidity than the backplate main body on the surface of the backplate and filling the opening pattern with the material of the skin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pattern from being visible due to empty space.

셋째, 폴딩부의 개구 패턴을 구비함과 함께, 비폴딩부에 개구 패턴을 순차적 또는 그라데이션하게 밀도 차를 주어 구비하여, 백플레이트의 영역별 강성 차를 줄여 특정 부위가 쳐지는 형상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in addition to providing an opening pattern in the folding part, the opening pattern in the non-folding part is provided sequentially or in a gradient manner with a difference in density,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stiffness between regions of the back plate and preventing shape imbalance in which a specific part sags. there is.

넷째, 백플레이트의 본체와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스킨층을, 본체보다는 탄성 회복력이 좋은 합금층 혹은 비정질 실리콘의 무기 재료로 형성하여, 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구 패턴의 형성(식각) 전 접착층의 고화로 스킨층이 평탄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터치 등의 사용 중 외력에 대해 표시 패널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the skin layer opposing the main body of the back plate with the adhesive layer in between is formed of an alloy layer or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 with better elastic recovery than the main body, thereby ensuring ductility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etching) the opening pattern. By solidifying the adhesive layer, the skin layer maintains a flat shape, thereby preventing cracks in the display panel due to external forces during use, such as touch.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I~I' 선상, Ⅱ~Ⅱ' 선상 및 Ⅲ~Ⅲ' 선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영역별 패턴의 밀도와 이의 강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도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영역별 패턴의 밀도와 이의 강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도
도 7a 및 도 7b는 비교예와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간의 평탄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도
도 8은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의 제 1 영역에 대응된 사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13a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폴딩부 및 그 주변을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사시 확대도
도 14a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폴딩부 및 그 주변을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사시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ckplate of Figure 1
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lines I to I', lines II to II', and lines III to III' of FIG. 2.
FIGS. 4A and 4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density and rigidity of the pattern in each region of FIG. 2
5 is a plan view showing a backplat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ures 6a and 6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density and rigidity of patterns in each region of the backplat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7A and 7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flatness between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plate of Figure 10
FIGS. 12A to 12C are cross-sectional process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plate of FIG. 11.
FIG. 1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ld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FIG. 11 and its surrounding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3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3a
FIG. 14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ld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FIG. 11 and its surround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4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4a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specifications,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names of the actual product.

그리고,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의 "위(on)" 또는 "상(on)" 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에 "접하는" 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when a device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device, it includes not only cases directly on top of another device layer,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device is interpose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in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other element or layer.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중앙이 접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와 가장자리가 접히는 벤더블 디스플레이(Bendable Display)를 나타내지만,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의 어느 부분이라도 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하부 플레이트 및 자성체의 변형은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의 영역 변동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여 함께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벤더블, 롤러블 등 플렉서블이 가능하다면 여러가지 명칭으로도 통용될 수 있다.The display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represent a foldable display in which the center of the display is folded and a bendable display in which the edges are folded, but the folding area may be in any part of the display, 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exible display,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plate and the magnetic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can be applied together by changing their positions according to the area change of the folding area of the display.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various names, such as foldable, bendable, and rollable, as long as it is flexible.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0)는 평판형의 표시 패널(100)과, 이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백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lexible display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display panel 100 and a backplate 200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00 from the bottom.

표시 패널(100)과 백플레이트(200) 하면 사이는 접착층(접착쉬트)(미도시)이 개재되어 서로 부착될 수 있고, 표시 패널(100)과 백플레이트(200)가 수납되는 케이스(400)에 고정 장치를 부가하여 케이스(4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An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200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and a case 400 in which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200 are stored. It can be stored in the case 400 by adding a fixing device to it.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백플레이트(2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일 측변에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이를 백플레이트(200)과 케이스 (400) 사이로 접어 부착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splay panel 100, a backplate 200, and a case 400.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on one side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isplay panel 100, and this can be folded and attached between the back plate 200 and the case 400. .

그 외에 상기 백플레이트(200)와 케이스(400) 사이에는 방열 또는 차폐 기능을 갖는 보드 및 배터리(미도시)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a board with a heat dissipation or shielding function and a battery (not shown) may be added between the back plate 200 and the case 400.

한편,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0)는 그 명칭과 같이, 접거나 휠 수 있는 것으로, 각 구성이 가요성을 가져 폴딩, 벤딩 등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flexible display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s name suggests, can be folded or bent, and each component is flexible, allowing folding, bending, etc.

특히,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100)은 글래스와 같은 딱딱한 경도의 재질을 생략하여 필름 형태로 얇게 제조된 것이다.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100 on which images are displayed is manufactured in a thin film form by omitting hard materials such as glass.

전자 장치 내에 표시 패널은 그 자체로는 형상을 일정 형태로 지지할 수 없고, 외부 자극에 취약하므로 영상이 표시되는 면과 반대되는 하면에 상기 표시 패널보다 강성이 큰 백플레이트(200)를 구비한다.Since the display panel in an electronic device cannot support a certain shape by itself and is vulnerable to external stimuli, a back plate 200 with great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

백플레이트(20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SUS: Stainless Use Steel)이나 일정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도가 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상기 백플레이트(200)는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또는 인바(Inva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ck plate 20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SUS: Stainless Use Steel) or a plastic material with high hardness to maintain a certain thickness. Alternatively, the back plate 200 may be formed of an amorphous metal or Invar material.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0)는 상대적으로 연성이 폴딩부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부위에 손상을 방지하고자 백플레이트(200)의 형상이 변경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flexible displ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at the shape of the back plate 200 has been changed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ly soft folding portion.

도 2는 도 1의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I~I' 선상, Ⅱ~Ⅱ' 선상 및 Ⅲ~Ⅲ' 선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ckplate of Figure 1. 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lines I to I', lines II to II', and lines III to III' of FIG. 2.

도 2 내지 도 3c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용되는 백플레이트(200)는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로 구분되며, 상기 표시 패널(도 1의 100 참조)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의 제 1 층과(200a), 상기 폴딩부(FR)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에 제 1 밀도를 갖는 제 1 개구 패턴(205a)를 갖고, 상기 비폴딩부(UFR)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200a)에 상기 제 1 밀도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제 2 개구 패턴(205b) 및 제 3 개구 패턴(205c)을 포함한다.2 to 3C, the backplate 200 used in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folding part (FR) and a non-folding part (UFR), and is higher than the display panel (see 100 in FIG. 1). It has a first layer 200a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a first opening pattern 205a having a first density in the first layer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portion FR, and a first opening pattern 205a in the non-folding portion UFR. Correspondingly, the first layer 200a includes a second opening pattern 205b and a third opening pattern 205c having a density lower than the first density.

상기 제 1 층(200a)은 스테인리스 강(SUS),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층(200a)은 열거된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열거된 재료 중 일부가 라미네이트되거나 합금 혹은 도금화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layer 200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SUS), amorphous metal, amorphous silicon, and Invar. That is, the first layer 200a may be made of any of the listed materials, or some of the listed materials may be laminated, alloyed, or plated.

스테인리스 강은 철의 내식성을 개선하여 크롬 등과 철을 합금화하여 형성된 것으로, 크게, 철-크로뮴계 페라이트 스테인리스 강과, 철-니켈-크로뮴계의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강으로 나뉜다. 스테인리스 강은 철, 크롬을 기본 성분으로 하며, 니켈은 스테인리스 강의 분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크롬의 함량비에 따라 탄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Stainless steel is formed by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iron and alloying iron with chromium, etc., and is largely divided into iron-chromium-based ferritic stainless steel and iron-nickel-chromium-bas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consists of iron and chromium as its basic ingredients, and nickel may be optionally included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stainless steel. Additionally, the degree of elasticity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hromium content ratio.

또한, 비정질 금속은 유리 혹은 액체와 값이 원자 배열이 무정형으로 배열된 상태로 응고된 것으로, 금속원료를 초급냉시켰을 때, 결정 성장이 방해를 받아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정질 금속은, 내식성과 탄성 관점에서 일반적인 규칙적 원자배열의 금속보다 뛰어나다.In addition, amorphous metals are solidified with an amorphous arrangement of atoms similar to glass or liquid, and are formed when crystal growth is interrupted when metal raw materials are ultra-quickly cooled. These amorphous metals are superior to metals with regular atomic arrangements in terms of corrosion resistance and elasticity.

또한, 비정질 금속과 유사한 비정형성을 가지며, 비정질 금속보다 탄성 정도가 좋은 비정질 실리콘이 제 1 층(200a)에 이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amorphous silicon, which has amorphous properties similar to amorphous metals and has better elasticity than amorphous metals, may be used for the first layer 200a.

인바(Invar)는 Fe-Ni 합금으로, 내식성이 뛰어나고,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 크롬의 함유 여부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과는 비교된다.Invar is an Fe-Ni alloy that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tensile strength. It is compared to stainless steel depending on whether it contains chromium.

재료 자체로 볼 때, 스테인리스 강과 인바는 강성이 높고 비정질 금속이나 비정질 실리콘은 탄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포함되는 금속 합금의 성분비나 냉각 속도를 조정하여 내부 결합 정도 및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거된 재료 모두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폴딩 동작에 따라 가요성을 갖도록 조절 가능할 수 있다. When looking at the materials themselves, stainless steel and Invar have high rigidity, and amorphous metal and amorphous silicon can be classified as having high elasticity. However, the degree of internal bonding and rigid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mponent ratio or cooling rate of the metal alloy included. . Through this, all of the listed materials have relatively high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and can be adjusted to have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예에는 비폴딩부(UFR)이 각각 폴딩부(FR)의 일측에서 2분할된 것으로, 분할된 영역마다 다른 밀도의 제 2 개구 패턴(205b, 205c)이 포함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 to 3C, the non-folding portion (UFR) is divided into two on one side of the folding portion (FR), and each divided region includes second opening patterns 205b and 205c with different densities. .

또한, 도시된 예는 폴딩부(FR)가 제 1층(200a)의 중앙을 반분하는 위치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폴딩부(FR)의 위치는 장치적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 및 백플레이트(200)의 일 변에 따를 수도 있고, 혹은 사선 방향을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that the folding part FR is positioned to divide the center of the first layer 200a in half.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 of the folding part F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device requirements. And, as shown, it may be set along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200, or may be set along a diagonal direction.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의미를 갖는 것은 비폴딩부(UFR)에도 개구 패턴(205b, 205c)을 갖는 점과, 폴딩부(FR)에서 멀어질수록 개구패턴의 밀도가 낮아진다는 점이다.In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hat is significant is that the non-folding portion (UFR) also has opening patterns 205b and 205c, and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ortion FR increases.

폴딩부(FR)에 대응되어 상기 백플레이트(200)에 제 1 개구 패턴(205a)을 갖는 점은 폴딩 동작이 수행되어 수축과 신장이 반복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분할시켜 폴딩 동작을 안정성 있게 수행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면되는 표시 패널(100)과의 접촉 면적을 줄어 폴딩 동작시 상대적으로 연성인 표시 패널(100) 측에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The point of having the first opening pattern 205a on the back plate 200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portion FR partially divides the area where the fold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contraction and expansion are repeated to perform the folding operation stably. This is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display panel 100 facing the display panel 100, thus alleviating the impact on the relatively soft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또한, 비폴딩부(UFR)에 대응되어 상기 백플레이트(200)에 영역별(UFR-1, UFR-2)로 다른 밀도의 제 2, 제 3 개구 패턴(205b, 205c)을 구비하는 이유는, 폴딩시 표시 패널(100)과의 연동 동작을 위해 개구 패턴의 밀도가 큰 폴딩부(FR)를 백플레이트(200)의 일정 영역에만 구비할 경우, 나머지 부위와 밀도 차가 크게 있어,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의 경계가 시인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구 패턴의 밀도가 커 비중이 작아진 폴딩부(FR)가 상대적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second and third opening patterns 205b and 205c with different densities for each region (UFR-1 and UFR-2) on the back plate 200 corresponding to the non-folding portion (UFR) is , when the folding portion (FR) with a large opening pattern density is provided only in a certain area of the back plate 200 for interlocking operation with the display panel 100 when folde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density from the remaining portion, so the folding portion (FR) This is to prevent the boundary between the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from being recognized. In addition, this is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folding portion FR, whose specific gravity is reduced due to the high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being relatively saggy, occurs.

참고로 개구 패턴의 밀도가 크다는 의미는 백플레이트(200)의 해당 영역에 빈 공간이 많이 분포하여, 제 1층(200a) 자체가 남아있는 비중은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반대로, 개구 패턴의 밀도가 작다는 의미는 제 1 층(200a)에 빈 공간이 적어 제 1층(200a)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의미이다.For reference, a high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means that a lot of empty space is distribu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back plate 200, and the remaining proportion of the first layer 200a itself is reduced. Conversely, a low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means that there is little empty space in the first layer 200a, so the first layer 200a occupies a large proportion.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상기 백플레이트(200)는 상기 제 1 층(200a)의 적어도 한 면에 스킨 층(210)을 더 구비하여, 개구 패턴(205a, 205b, 205c)의 빈 공간을 채워 시인 방지 기능을 더 추가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back plate 200 further includes a skin layer 21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layer 200a to form the blanks of the opening patterns 205a, 205b, and 205c. Additional anti-visibility functions can be added by filling the space.

상기 스킨층(210)은 레진(resin)과 같이, 백플레이트(200)의 중심 층인 제1 층(200a)보다 상대적으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킨층(210)의 형성시 스킨층 형성 물질이 상기 개구 패턴(205a, 205b, 205c) 내를 채울 수 있다.The skin layer 210 is made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such as resin, than the first layer 200a, which is the central layer of the back plate 200. When forming the skin layer 210, the skin layer forming material is used. The opening patterns 205a, 205b, and 205c may be filled.

도시된 예에서는, 백플레이트(200)가 중앙에 폴딩부(FR)를 갖고, 상기 비폴딩부(UFR)는 상기 폴딩부(FR) 일측에, 타측에 2 영역(B-1, B-2)씩 분할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ack plate 200 has a folding portion (FR) in the cente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has two regions (B-1, B-2) on one side of the folding portion (FR) and on the other side. ) indicates the state of being divided.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부(FR)를 백플레이트(200)의 중앙에 반분된 위치에 갖는 것으로, 대칭성을 위해 폴딩부(FR)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비폴딩부(UFR)에 각각 동일 형태 및 동일 개수의 영역들이 위치한다.The illustrated flexible display has a folding portion (FR) in a half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back plate 200, and for symmetry, the non-folding portion (UFR) locat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other side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number of areas are located.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부(FR)에 높은 제 1 밀도로 형성되는 제 1 개구 패턴(200a)에 의해 타 영역과의 시감 차가 발생되고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의 경계가 시인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 패턴의 배치를 폴딩부(FR) 뿐만 아니라 비폴딩부(UFR)에도 제 1 밀도보다 낮은 밀도로 한 것이다.In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ce in visual perception from other areas is generated by the first opening pattern 200a formed at a high first density in the folding part F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folding part FR and the non-folding part UFR is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this from being visible, the opening patterns are arranged at a density lower than the first density not only in the folding portion (FR) but also in the non-folding portion (UFR).

여기서, 비폴딩부(UFR)에서 분할될 수 있는 영역은 백플레이트(200)의 크기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대면적일수록 비폴딩부(UFR)의 분할 영역은 많을 수 있다.Here, the area that can be divided in the non-folding portion (UFR)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ckplate 200. The larger the flexible display area, the more divided areas the non-folding portion (UFR) can be.

그리고, 하나의 비폴딩부(UFR)에서 분할 영역은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백플레이트(200)가 받는 스트레스가 분산시키고 특정 부위가 개구 패턴의 밀도의 두드러진 차이에 의해 시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re are two or more divided areas in one non-folding portion (UFR). This is because the stress on the back plate 200 can be distributed and a specific are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sible due to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상기 폴딩부(FR)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개구 패턴의 밀도는 낮아진다. 도시된 바와, 개구 패턴의 밀도는 영역별(FR, UFR-1, UFR-2)에 따라 고정 밀도를 가지며, 폴딩부(FR), 제 1 비폴딩부(UFR-1), 제 2 비폴딩부(UFR-2)의 순으로 단계별로 줄어들 수도 있고, 혹은 폴딩부(FR)를 제외하여 비폴딩부(UFR) 전체에서 폴딩부(FR)에서 멀어질수록 선형적으로 그 개구 패턴의 밀도를 줄일 수도 있다.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ortion FR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decreases. As shown,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has a fixed density according to each region (FR, UFR-1, UFR-2), and the folding portion (FR), the first non-folding portion (UFR-1), and the second non-folding portion It can be reduced step by step in the order of the folding part (UFR-2), or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can be linearly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art (FR) increases in the entire non-folding part (UFR), excluding the folding part (FR). It can also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백플레이트가 갖는 영역별 개구 패턴의 밀도에 따라 받는 영역별 스트레스와 변형량을 살펴본다.Hereinafter, we will look at the amount of stress and deformation in each region of the backplat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in each region.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영역별 패턴의 밀도와 이의 강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도이다.FIGS. 4A and 4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density and rigidity of the pattern for each region of FIG. 2.

도 2의 백플레이트를 세로 방향을 잘랐을 때, 개구 패턴의 밀도는 도 4a와 같이, 나타난다. 개구 패턴은 백플레이트(200)의 중심, 즉, 폴딩부에서 가장 밀하며, 비폴딩부에서는 폴딩부에서 멀어질수록 개구 패턴의 밀도가 점차 낮아진다. 이 경우, 백 플레이트(200)의 폴딩부(FR)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26.76MPa에 상당하여, 폴딩부(FR)에만 개구 패턴이 위치하는 경우 대비 스트레스의 값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When the backplate of FIG. 2 is cut vertically,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appears as shown in FIG. 4A. The opening pattern is densest at the center of the back plate 200, that is, at the folding portion, and in the non-folding portion,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ortion increases. In this case, the stress received at the folding portion (FR) of the back plate 200 was equivalent to 26.76 MPa,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stress valu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pening pattern was located only at the folding portion (FR).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백플레이트를 복수개의 폴딩 동작 후 다시 펼쳤을 때, 백플레이트의 변형량을 살펴보면, 도 4b와 같이, 3.75mm 의 변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backplate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nfolded again after a plurality of folding operations, looking at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backplat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splacement of 3.75 mm, as shown in FIG. 4B.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폴딩부에서 선택적으로 개구 패턴을 구비한 백플레이트를 갖는 비교예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compared to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look at a comparative example having a back plate selectively provided with an opening pattern in the folding portion.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의 영역별 패턴의 밀도와 이의 강성을 나타낸 시뮬레이션도이다.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backplat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and Figures 6a and 6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density and rigidity of the pattern for each region of the backplat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5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20)는 폴딩부(FR)에만 선택적으로 개구 패턴(25)을 구비한 것이다. 비교예에 따른 백플레이트(20)는 개구 패턴(25)을 폴딩부(FR)에만 포함한 제 1 층(20a)으로만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 the backplate 2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attern 25 selectively only in the folding portion FR. The backplate 2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consists only of the first layer 20a including the opening pattern 25 only in the folding portion FR.

도 6a와 같이, 백 플레이트(20)의 폴딩부(FR)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39.47MPa에 상당하여, 도 4a와 나타난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가 받는 대비 스트레스의 1.485배에 해당하는 스트레스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ure 6a, the stress received at the folding portion (FR) of the back plate 20 is equivalent to 39.47 MPa, resulting in a stress equivalent to 1.485 times the stress received by the ba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a. Confirmed.

그리고, 비교예의 백플레이트를 복수개의 폴딩 동작 후 다시 펼쳤을 때, 백플레이트의 변형량을 살펴보면, 도 6b와 같이, 5.64mm 의 변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When the back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was unfolded again after a plurality of folding operations,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backplate was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plate had a displacement of 5.64 mm, as shown in FIG. 6B.

비교예에서, 상기 개구 패턴(25)의 밀도는 본 발명의 폴딩부(FR)의 개구 패턴(205a)의 밀도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25 was set to be the same as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 205a of the folding part FR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비교예에의 백플레이트의 폴딩부가 받는 스트레스는 39.74MPa로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 대비 1.485배의 스트레스를 받고, 그 변위가 5.64mm로,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 대비 1.504배에 해당된다. 즉, 개구 패턴의 특정 영역에 집중하면, 특정 부위에 스트레스가 집중되고, 이는 백플레이트의 변형이 직접 시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fold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39.74 MPa, which is 1.485 times that of the ba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lacement is 5.64 mm, which is 39.74 MPa, which is 1.485 times that of the ba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rresponds to 1.504 times the comparison. In other words, if you focus on a specific area of the opening pattern, stress is concentrated in that specific area, which means that deformation of the backplate can be directly visible.

도 7a 및 도 7b는 비교예와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간의 평탄도를 나타낸 시뮬레이션도이다.7A and 7B are simulation diagrams showing the flatness between the back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에서, 공통적으로, 평탄도가 유지되는 것은 세로축의 좌표가 0인 지점이며, 0과 다른 값을 가질 때,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함을 의미한다.In FIGS. 7A and 7B, in common, the point where flatness is maintained is the point where the coordinates of the vertical axis are 0, and when it has a value different from 0, it means that flatness is not maintained.

도 7a와 같이, 비교예의 백플레이트는 폴딩부와 비폴딩부의 강성 차로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부분이 폴딩부와 비폴딩부 경계 및 폴딩부에서 나타난다.As shown in FIG. 7A, in the back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reas where flatness cannot be maintained due to differences in rigidity between the folded portion and the non-folded portion appea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olded portion and the non-folded portion and at the folded portion.

반면,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는 도 7b와 같이, 개구 패턴의 밀도 차를 가지며,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와 모두 개구 패턴이 구비되어 있어, 전체 영역에서 거의 평탄도가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ce in the density of the opening patterns, as shown in Figure 7b, and is provided with opening patterns in both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so that almost flatness is maintained in the entire area. can confirm.

도 8은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의 제 1 영역에 대응된 사진이다.Figure 8 is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20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영역별 밀도 차를 달리한 제 1 층(200a) 개구 패턴(205a, 205b, 205c) 외에 제 1 층(200a)의 적어도 일면에 스킨층(21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backplat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layer 200a in addition to the opening patterns 205a, 205b, and 205c of the first layer 200a with different density differences for each region. A skin layer 210 is provided.

상기 스킨층(210)은 레진 물질로 표면이 평탄하며,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층(200a) 내 개구 패턴(205a, 205b, 205c)을 채울 수 있으며, 이로써, 제 1 층(200a)이 유지되어 남아있는 부분과 두드러진 밀도 차를 줄여, 개구 패턴(205a, 205b, 205c)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표면이 평탄한 스킨층(210)이 구비된다.The skin layer 210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has a flat surface, and as shown in FIG. 8, it can fill the opening patterns 205a, 205b, and 205c in the first layer 200a, thereby forming the first layer 200a. By reduc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nsity between the remaining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he problem of the opening patterns 205a, 205b, and 205c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and a skin layer 210 with a flat upper surface is provided.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9A to 9C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back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백플레이트(200)는 도 9a와 같이, 제 1 층(300a)이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로만 구분되어 개구 패턴(305a, 305b)이 폴딩부(FR)의 제 1 밀도, 비폴딩부의 제 2 밀도로만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폴딩부(FR)의 제 1 밀도가 비폴딩부의 제 2 밀도보다 큰 것으로, 폴딩부(FR)의 개구 패턴(305a)이 비폴딩부(UFR)의 개구 패턴(305b)보다 촘촘히 배열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A, the back plate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layer 300a is divided only into a folded portion (FR) and a non-folded portion (UFR) and the opening patterns 305a and 305b are folded. It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first density of the portion (FR) and the second density of the non-folded portion. In this case as well, the first density of the folding portion (FR) is greater than the second density of the non-folding portion, and the opening pattern 305a of the folding portion (FR) is arranged more densely than the opening pattern 305b of the non-folding portion (UFR). It can be.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백플레이트(200)의 제 1 층(300a)에서, 비폴딩부(UFR)가 각각 폴딩부(FR)의 일측과 타측에서 3 영역(UFR-1, UFR-2, UFR-3)으로 분할되며, 폴딩부(FR)에서부터 개구 패턴들(315a, 315b, 315c, 315d)이 차례로 그 밀도가 줄어든 상태로 배치된 것이다.Figure 9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layer 300a of the back plate 200, the non-folding portion (UFR) has three regions (UFR-1)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olding portion (FR), respectively. , UFR-2, and UFR-3), and the opening patterns 315a, 315b, 315c, and 315d are arranged sequentially with their density reduced from the folding portion FR.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백플레이트(200) 의 제 1 층(300a)에서, 폴딩부(FR)는 제 1 밀도로 개구 패턴(325a)이 분포되고, 비폴딩부(UFR)의 개구 패턴(325b)은 폴딩부(FR)에 인접하여는 제 1 밀도와 유사하게 분포되고, 점차 폴딩부(FR)에서 멀어질수록 그라데이션하게 폴딩부(FR)에서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게 배치된 것이다.Figure 9c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layer 300a of the back plate 200, the folding portion FR has an opening pattern 325a distributed at a first density,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 The opening pattern 325b is distributed similarly to the first density adjacent to the folding part FR, and gradually becomes gradated as it moves away from the folding part FR, and has a lower density as it moves away from the folding part FR. It is placed.

상술한 구성들 모두 백플레이트(200)가 폴딩부(FR)와 비폴딩부(UFR)에 개구 패턴을 밀도를 달리하여 구비한 것으로, 폴딩부(FR)의 폴딩 동작의 유연성을 백플레이트가 확보함과 함께, 폴딩부와 비폴딩부간의 강성 차를 줄이고 경계부가 시인됨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In al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backplate 200 is provided with opening patterns with different densities in the folding portion (FR) and the non-folding portion (UFR), and the backplate ensures flexibility i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olding portion (FR).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duce the difference in rigidity between the folding portion and the non-folding portion and prevent the boundary portion from being recognized.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앞서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층(300a)의 일면에 스킨층(미도시, 도 3a 내지 도 3c의 210 참조)을 구비하여, 스킨층을 이루는 레진 물질이 제 1 층(300a) 내의 개구 패턴(305a, 305b/315a, 315b, 315c, 315d/325a, 325b)이 갖는 빈 공간을 채우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other embodiments, as previously described in FIGS. 3A to 3C, a skin layer (not shown, see 210 in FIGS. 3A to 3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layer 300a, so that the skin layer The forming resin material may fill empty spaces of the opening patterns 305a, 305b/315a, 315b, 315c, 315d/325a, 325b in the first layer 300a.

상술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부의 개구 패턴을 구비함과 함께, 비폴딩부에 개구 패턴을 순차적 또는 그라데이션하게 밀도 차를 주어 구비하여, 백플레이트의 영역별 강성 차를 줄여 특정 부위가 쳐지는 형상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attern in the folding part, and the opening pattern in the non-f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difference in density in a sequential or gradated manner,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stiffness between regions of the back plate to prevent sagging of a specific part. Shape imbalance can be prevented.

또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에, 폴딩부와 비폴딩부에 비중이 다른 개구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폴딩 동작에 상응하여 백플레이트도 폴딩 동작이 가능하며, 동시에 언폴딩시 비폴딩부와 폴딩부간의 패턴 편차가 시인됨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providing an opening pattern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in the folded portion and the non-folded portion on the back plate that supports the display panel, the back plate can also be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t the same time, when unfolded, the back plate can be non-fol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attern deviation between the part and the folding part from being recognized.

그리고, 백플레이트의 표면에 백플레이트 본체보다 강성이 낮은 스킨층을 구비하고, 상기 스킨층의 재료가 개구 패턴에 채워지게 하여, 빈 공간에 의한 개구 패턴의 시인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kin layer having lower rigidity than the backplat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ckplate, and the material of the skin layer fills the opening pattern, thereby preventing the opening pattern from being visible due to empty space.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백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plate of FIG. 10.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는 표시 패널(100)과, 이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백플레이트(4000) 및 상기 표시 패널(100)과 백플레이트(4000) 사이를 접착시키는 제 1 접착층(190)을 포함한다. 10 and 11,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back plate 4000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00 from the bottom, and a back panel 100. It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190 that bonds the plates 4000 together.

상기 제 1 접착층(190)은 예를 들어, 주로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이거나 혹은 압감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액상형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과 백플레이트(4000)의 어느 한쪽에 도포시켜 두 개체를 합착시킨 후 이에 소정의 열을 가해 경화시켜 고화 상태의 제 1 접착층(190)을 형성한다. 압감 접착제는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것으로, 압감 접착제의 일면을 표시 패널(100) 및 백플레이트(4000)의 어느 한쪽에 부착한 후, 접착제의 다른 면을 표시 패널(100) 및 백플레이트(4000) 중 다른 한쪽에 대응시키도록 합착한 후, 표시 패널(100)의 자중 혹은 부가적인 압력에 의해 압감 접착제의 양면에 표시 패널(100)과 백플레이트(4000)를 접착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layer 190 may be mainly made of thermosetting resin such as epoxy resin, silicone resin,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or phenolic resin, or may be mad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rmosetting resin is generally in a liquid form and is applied to either the display panel 100 or the back plate 4000 to bond the two objects together, and then hardens by a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heat to form the first adhesive layer 190 in a solidified state. d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s adhesive properties on both sides. After attaching on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plate 4000,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plate 4000. ),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4000 ar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ing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panel 100 or additional pressure.

도시하지 않았지만, 앞서의 도 1의 케이스(400)가 상기 제 1 접착층(190)에 의해 표시 패널(100) 및 백플레이트(4000)가 합착되어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수납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측면 및 하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 및 백플레이트(4000)의 측부 및 백플레이트(4000) 하측에 케이스가 위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ase 400 of FIG. 1 is provid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to accommodate the flexible display formed by bond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4000 by the first adhesive layer 190. More may be provided. That is, the case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back plate 4000 and below the back plate 4000.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4000)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폴딩부(FR)에 대해 제 1 개구 패턴(405)을 갖는 제 1 강성의 지지부(4100), 상기 지지부(4100) 상에 위치한 제 2 접착층(420) 및 상기 제 2 접착층(420) 상의 스킨층(430)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back plate 4000 includes, in order from the bottom, a first rigid support part 4100 having a first opening pattern 405 with respect to the folding part F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located on the support part 4100 ( 420) and a skin layer 430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상기 지지부(4100)는 제 1 층(410a)과 제 1 층(410a) 사이에 제 1 개구 패턴(405)을 구비한다. 제 1 개구 패턴(405)은 제 1 층(410a)이 없는 영역으로, 지지부(4100)는 제 1 층 물질에서 패턴화된 제 1 개구 패턴(405)의 영역을 제거한 제 1 층(410a)에 해당한다.The support portion 4100 includes a first layer 410a and a first opening pattern 405 between the first layers 410a.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is an area without the first layer 410a, and the support portion 4100 is formed on the first layer 410a by removing the area of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patterned from the first layer material. It applies.

상기 제 1 층(410a)은 상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으로, 표시 패널(100)보다는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상술한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및 인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410a has enough rigidity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00 located on the top,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100, such as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nd amorphous materi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on and invar.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제 1 층(410) 상부에 상기 제 1층(410)과 유사한 재료로 상기 제 1 층(410)보다 탄성 회복력이 높은 스킨층(430) 및 제 1 층(410)과 스킨층(430) 사이에 제 2 접착층(420)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레진 재료를 이용하였으나, 제 2 실시예에서 스킨층(430)은 상기 제 1층(410)보다 탄성 회복력이 높은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합금 혹은 무기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다. 백플레이트(4000)의 적층 구조에서, 제 2 접착층(420)을 사이에 두고 스킨층(430)과 제 1 층(410)이 상하에 위치한다.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feature is a skin layer 430 on top of the first layer 410 made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first layer 410 and having a higher elastic recovery force than the first layer 410. ) and a second adhesive layer 42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yer 410 and the skin layer 430.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resin material was used,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kin layer 430 is made of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nd Invar, which has a higher elastic recovery force than the first layer 410. It includes, and is formed of alloy or inorganic material. In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backplate 4000, the skin layer 430 and the first layer 410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 층(410)과 스킨층(430)은 동종 계열의 합금 혹은 무기 재료로 형성하되 합금의 성분비를 달리하여 탄성 회복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혹은 두께를 달리하여 탄성 회복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혹은 제 1 층(410)과 스킨층(430)은 서로 차등한 탄성 회복력을 갖는 물질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410)은 스테인리스 강 혹은 인바로 형성하고, 스킨층(430)은 비정질 금속 혹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layer 410 and the skin layer 430 are formed of the same type of alloy or inorganic material, and the elastic recovery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alloy component ratio, or the elastic recovery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thickness. Alternatively, the first layer 410 and the skin layer 430 may be selected from materials having different elastic recovery properties. For example, the first layer 410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invar, and the skin layer 430 may be formed of amorphous metal or amorphous silicon.

상기 스킨층(430)이 더 구비되어,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보다 폴딩부(FR)의 보호가 가능하여, 손이나 펜 등의 터치에서 폴딩부(FR)의 시인성이나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등의 동작에서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skin layer 430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protect the folding portion FR in the electronic device, thereby preventing visibility or cracking of the folding portion FR when touched by a hand or a pen. . Therefor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in operations such as touch.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비폴딩부(UFR)에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딩부(FR)의 제 1 개구 패턴(405a)보다 낮은 밀도로 제 2 개구 패턴(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 패턴은 제 1 개구 패턴(405a)이 두드러지는 시인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S. 10 and 11,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n-folding portion (UFR) also has a second opening pattern (not shown) at a lower density than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a of the folding portion (FR). ) may be further provided. The second opening pattern is intended to prevent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a from being prominently visible.

상기 스킨층(430)은 백플레이트(4000)의 연성을 높이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제 1 층(410a)보다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대략 상기 제 1 층(410a)은 3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하며, 스킨층(430)은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접착층(420)은 스킨층(430)과 가깝거나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으로, 5㎛ 내지 2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kin layer 430 is provided to increase the ductility of the back plate 4000 and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first layer 410a. Approximately, the first layer 410a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30 ㎛ to 200 ㎛, and the skin layer 43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 to 50 ㎛.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provided in between is formed close to or thinner than the skin layer 430, and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of 5㎛ to 20㎛.

상기 제 2 접착층(420)은 주로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can be mainly formed of thermosetting resin, such as epoxy resin, silicone resin,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and phenol resin.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백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ck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FIGS. 12A to 12C are cross-sectional process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plate of FIG. 11.

도 12a와 같이, 제 1 층 물질(410) 상에 제 2 접착층(420)을 형성한 후, 이어, 제 2 접착층(420) 상에 스킨층(430)을 형성하여, 제 2 접착층(420)에 의해 상하로 스킨층(430) 및 제 1 층 물질(410)이 부착하여 박층화(lamination)한다. As shown in FIG. 12A, after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on the first layer material 410, a skin layer 430 is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thereby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The skin layer 430 and the first layer material 410 are attached top and bottom to form a thin layer (lamination).

이어, 도 12b와 같이, 접착되지 않은 상기 제1 층 물질(410)의 표면에 제 1 개구 패턴이 형성될 부위( 및 제 2 개구 패턴)를 제외하여 감광막 패턴(440)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12B, a photoresist pattern 4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nadhered first layer material 410,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pattern is to be formed (and the second opening pattern).

상기 감광막 패턴(440)에 의해 노출된 부위에 식각액을 적용하여 노출된 제 1 층 물질(410)을 식각하여 도 12c와 같이, 제 1 개구 패턴(405) (및 제 2 개구 패턴(미도시))을 내부에 갖는 제 1층(410a)을 형성한다. 제 2 개구 패턴 형성시 제 1 개구 패턴(405)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제 2 개구 패턴간의 간격은 제 1 개구 패턴(405)보다 멀 수 있다.The exposed first layer material 410 is etched by applying an etchant to the area expos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440 to form a first opening pattern 405 (and a second opening pattern (not shown)) as shown in FIG. 12C. ) to form a first layer 410a having it inside. When forming the second opening pattern, the dens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 so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opening patterns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

이어, 상기 감광막 패턴(440)을 제거하여, 제 1 개구 패턴(405)이 층상 구조에서 선택적으로 제 1 층(410a)의 층에만 형성된 백플레이트(4000)를 형성할 수 있다. 공정을 완료한 후 상기 제 2 접착층(420) 및 스킨층(430)은 그 두께를 유지하고 있다. Next, the photosensitive film pattern 440 may be removed to form a backplate 4000 in which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is selectively formed only on the first layer 410a in a layered structure. After completing the process,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and skin layer 430 maintain their thickness.

상술한 공정에서, 도 12a의 박층화 과정에서, 상기 제 2 접착층(420)은 열경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층 물질(410)의 식각 공정 전 상기 제 2 접착층(420)은 고화 상태로, 그 두께가 거의 유지되어, 도 12c와 같이, 제 1 층 물질(410)의 식각 공정 후에도 제 1 개구 패턴(405)을 통해 상기 제 2 접착층(420)이 노출되어 관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접착층(420)과, 상기 제 2 접착층(420)과 접하지 않은 상기 제 1 층(410a)의 표면과의 사이의 상기 제 1 개구 패턴(405)에서, 상기 제 1 층(410a) 두께 이하의 스페이스(s)를 가질 수 있다. 도 12c에는 스페이스(s)를 상기 제 1 층(410a) 두께를 갖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제 2 접착층(420)의 일부가 제 1 개구 패턴(405)으로 들어와 상기 제 1 층(410a)보다 낮은 두께의 스페이스(s)를 가질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the thinning process of FIG. 12A,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may be thermally cured, and accordingly,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may be solidified before the etching process of the first layer material 410. As is, the thickness is almost maintained, and as shown in Figure 12c,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can be exposed and observed through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even after the etching process of the first layer material 410. Additionally, in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layer 410a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the first layer ( 410a) It may have a space (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In FIG. 12C, the space s is shown to have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410a, but this is not limiting, and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420 enters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to form the first layer ( It may have a space (s) with a thickness lower than that of 410a).

이하, 제 1 개구 패턴(405)을 갖고 완성된 백플레이트에서의 제 1층은 410a로 통칭한다.Hereinafter, the first layer in the backplate completed with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410a.

구체적으로 제 1 층에 형성된 개구 패턴의 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살펴본다.In detail, examples will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pening pattern formed in the first layer.

도 13a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폴딩부 및 그 주변을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사시 확대도이다.FIG. 13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ld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FIG. 11 and its surround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3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3A.

도 13a 및 도 13b에 따른 백플레이트는, 제 1층(410a)의 층상 내에, 제 1 개구 패턴(405)이 복수개 열(column)에 대해 각각 배치되며, 각 열에서 불연속부(DC)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분할된 형태로 지지부(4100)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개구 패턴(405)은, 인접한 열에서 평행하지 않다. 즉, 짝수 열의 제 1 개구 패턴(405)이 홀수 열의 제 1 개구 패턴(405)에 대해, 제 1 개구 패턴(405)의 길이 방향에서 각 제 1 개구 패턴(405)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 쉬프트될 수 있다. 이는 폴딩시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힘의 분산을 위해서이다. 이 때, 홀수 열의 제 1 개구 패턴(405)간 불연속부(DC1) 및 짝수 열의 제 1 개구 패턴(405)간 불연속부(DC2)가 서로 상이한 행(row)에 위치한다. 상기 불연속부(DC1, DC2)는 제 1 층(410a)과 일체형이다.In the backplate according to FIGS. 13A and 13B,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columns within the layer of the first layer 410a, with a discontinuity DC between each column. It has a support portion 4100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divisions.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are not parallel in adjacent rows. That is,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in even rows are shifted by a distance smaller than the length of each first opening pattern 40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in odd rows. You can. This is to distribute force when stress is applied during folding. At this time, the discontinuity DC1 between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in odd columns and the discontinuity DC2 between the first opening patterns 405 in even columns are located in different rows. The discontinuities DC1 and DC2 are integrated with the first layer 410a.

상기 제 1 개구 패턴(405)이 형성된 길이 방향은 폴딩 방향이거나 폴딩 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is formed may be a folding direction o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direction.

또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부(FR)의 에지부(E) 양쪽으로 비폴딩부 일부에서 개구 패턴이 구비되지 않고, 제 1층(410a)의 두께를 유지하는 영역이 일정 폭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 1 층에서 개구 패턴의 연속으로 떨어진 강성을 폴딩부(FR) 주변에서 회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폴딩부(FR)의 에지부(E) 양쪽으로 일정 폭 개구 패턴 미형성부를 갖고, 다시 도 9b와 같이, 제 1 개구 패턴(315a)보다 낮은 밀도의 제 2 개구 패턴 등(315b..)이 상기 개구 패턴 미형성부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A, the non-fold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E of the folding portion FR is not provided with an opening pattern, and the area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410a has a certain width. It can be provided. This is to recover the rigidity lost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e opening pattern in the first layer around the folding portion (FR). There are unformed portions of the opening pattern of a certain width on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E) of the folding portion (FR), and again, as shown in FIG. 9B, a second opening pattern (315b, etc.) having a lower density than the first opening pattern (315a). The opening pattern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nformed portion.

상기 제 1 개구 패턴(405)은 인접한 두 열(column)을 한쌍으로 하여 반복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may be repeatedly arranged by pairing two adjacent columns.

폴딩 부(FR)에 구비된 제 1 개구 패턴(405)은 폴딩 동작에 따라 하드한 지지부(4100)가 가요성을 갖고 마치 스프링과 같이 유연하게 동작하게 하여, 폴딩시의 수축 및 인장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다시 원 상태로의 회복이 용이할 것이다.The first opening pattern 405 provided in the folding portion FR allows the hard support portion 4100 to have flexibility and operate flexibly like a spring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thereby reducing stress due to contraction and tension during folding. It will be easy to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without receiving it.

도 14a는 도 11의 백플레이트의 폴딩부 및 그 주변을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사시 확대도이다.FIG. 14A is a plan view showing the folding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FIG. 11 and its surroundin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4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4A.

도 14a 및 도 14b에 따른 백플레이트는, 제 1 층(510a)의 층상 내에, 상기 제 1 개구 패턴(505)은 상기 폴딩부(FR)에서 복수개이며, 각각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지지부(510)을 갖는다. The backplate according to FIGS. 14A and 14B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opening patterns 505 in the folding portion FR within the layer of the first layer 510a, each of which has a support portion ( 510).

앞서 설명한 도 13a 및 도 13b에 따른 제 1 개구 패턴(505)은 메쉬 타입(mesh)에 가깝게 형성되며, 도 14a 및 도 14b에 따른 제 1 개구 패턴(505)은 스트라이트 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 때, 상기 제 1 개구 패턴(505)의 길이 방향은 폴딩 방향이거나 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opening pattern 505 according to FIGS. 13A and 13B described above is formed close to a mesh type, and the first opening pattern 505 according to FIGS. 14A and 14B is formed in a straight type.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attern 505 may be a folding direction o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lding direction.

이러한 스트라이프 형의 개구 패턴을 비폴딩부에 제 1 개구 패턴보다 보다 작은 밀도로 더 구비할 수 있다. 폴딩 부에서는 폴딩 동작에 따라 하드한 지지부(510)가 가요성을 갖고 마치 스프링과 같이 유연하게 동작하여 폴딩시의 수축 및 인장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다시 원 상태로의 회복이 용이할 것이다. Such a stripe-type opening patter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non-folding portion at a densit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 pattern. In the folding part, the hard support part 510 has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and operates flexibly like a spring, so that it is easy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ithout stress from contraction or tension during folding.

상술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백플레이트는, 백플레이트의 제 1 층과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스킨층을, 제 1 층보다는 탄성 회복력이 좋은 합금층 혹은 비정질 실리콘의 무기 재료로 형성하여, 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구 패턴의 형성(식각) 전 접착층의 고화로 스킨층이 평탄한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터치 등의 사용 중 외력에 대해 표시 패널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backpl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skin layer opposing the first layer of the backplate with the adhesive layer in between is made of an alloy layer or an inorganic material of amorphous silicon with better elastic recovery than the first layer. This ensures ductility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 flat shape of the skin layer by solidifying the adhesive layer before forming (etching) the opening pattern,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panel from cracking due to external forces during use such as touch.

이하,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panel of a flexible display commonly used i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패널(1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100 of the flexibl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플렉서블 베이스 기재(112)) 상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1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20)은 생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a buffer layer 120 is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flexible base substrate 112), and a thin film transistor (Tr)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120. The buffer layer 120 may be omitted.

상기 버퍼층(120) 상에는 반도체층(122)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122)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miconductor layer 122 is formed on the buffer layer 120. The semiconductor layer 122 may be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or polycrystalline silicon.

상기 반도체층(122)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22)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22)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22)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2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22)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When the semiconductor layer 122 is made of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a light blocking patter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2, and the light blocking pattern prevents light from entering the semiconductor layer 122. This prevents the semiconductor layer 122 from being deteriorated by light. Alternatively, the semiconductor layer 122 may be mad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in this case, both edg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2 may be doped with impurities.

반도체층(122)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24)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4)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gate insulating film 124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22. The gate insulating film 124 may be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상기 게이트 절연막(124)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30)이 반도체층(122)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A gate electrode 13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124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2.

도 16에는, 게이트 절연막(124)이 플렉서블 베이스 기재(112)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24)은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In FIG. 16 , the gate insulating film 124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lexible base substrate 112, but the gate insulating film 124 may be pattern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30.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3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3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30.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2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benzocyclobutene or photo-acryl.

상기 층간 절연막(132)은 상기 반도체층(122)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게이트 전극(13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3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2 has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4 and 136 exposing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2.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4 and 136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gate electrode 130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gate electrode 130 .

여기서,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게이트 절연막(124)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24)이 게이트 전극(13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은 층간 절연막(13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4 and 136 are also formed within the gate insulating film 124. Alternatively, when the gate insulating layer 124 is pattern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ate electrode 130,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4 and 136 may be formed only with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32.

상기 층간 절연막(13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이 형성된다.A source electrode 140 and a drain electrode 14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r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32.

소스 전극(140)과 드레인 전극(142)은 상기 게이트 전극(13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134, 13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22)의 양측과 접촉한다.The source electrode 140 and the drain electrode 142 ar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gate electrode 130, and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134 and 136, respectively. come into contact with

상기 반도체층(122), 상기 게이트전극(130), 상기 소스 전극(140), 상기 드레인전극(14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The semiconductor layer 122, the gate electrode 130, the source electrode 140, and the drain electrode 142 form the thin film transistor (Tr),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a driving element. It functions as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120)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기 소스 전극(142) 및 상기 드레인 전극(144)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thin film transistor (Tr) may have a coplanar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30, the source electrode 142, and the drain electrode 144 are located on top of the semiconductor layer 120.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contrast, the thin film transistor (Tr) may have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ourc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are located at the top of the semiconductor layer.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layer may be made of amorphous silicon.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gate wires and data wires intersect each other to define a pixel area, and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gate wire and data wire is further formed.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Tr), which is a driving element.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데이터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wer wire is form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data wire or the data wire, and a storage capacitor is further provided to keep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which is a driving element, constant during one frame. It can be configured.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4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52)을 갖는 보호층(145)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 이러한 동일한 형상의 박막트랜지스터(Tr)이 각 화소영역에 구비되며, 플렉서블 베이스 기재(112) 상에 포함되는 전체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라고 한다.A protective layer 145 having a drain contact hole 152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4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formed to cover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in film transistors (Tr) of the same shape are provided in each pixel area, and, including all thin film transistors (Tr) included on the flexible base substrate 112, are called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상기 보호층(145)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52)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4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6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6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6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 혹은 이러한 투명 도전성 물질을 적어도 일층 포함하는 복수층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protective layer 145, a first electrode 160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4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52 is formed separately for each pixel area. The first electrode 160 may be an anode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ith a relatively high work function valu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60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tin-oxide (ITO) or indium-zinc-oxide (IZO), or such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t may be made of multiple layers of electrodes including at least one layer of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표시 패널(100)이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 1 전극(16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반사 전극 하부에도 투명 도전성 물질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lay pa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emission type, a reflective electrode or a refl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low the first electrode 160. For example, the reflective electrode or the reflective layer may be made of aluminum-palladium-copper (APC) alloy. In some case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under the reflective electrode.

또한, 상기 보호층(145)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6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6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 (16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160)의 중앙을 노출한다.Additionally, a bank layer 166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45 to cover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60. The bank layer 166 exposes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160 corresponding to the pixel area.

상기 제 1 전극(160) 상에는 유기 발광층(162)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기 발광층(162)은 상기 제 1 전극(16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6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62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f an emitting material layer made of a light-emitting material.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light emission efficienc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2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상기 유기 발광층(162)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베이스 기재(112) 상부로 제 2 전극(16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6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16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164 is formed on the flexible base substrate 112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2 is formed. The second electrode 164 is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area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with a relatively low work function value and can be used as a cathode.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64 may be made of any one of aluminum (Al), magnesium (Mg), and aluminum-magnesium alloy (AlMg).

상기 제 1 전극(160), 상기 유기발광층(162) 및 상기 제 2 전극(164)는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D)는 각 화소 영역에 박막트랜지스터(Tr)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전체 화소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통칭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라 칭하기도 한다.The first electrode 1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2, and the second electrode 164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thin film transistor (Tr) in each pixel area,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rmed in the entire pixel area are also collectively referred to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상기 제 2 전극(16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17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70)은 제 1 무기 절연층(172)과, 유기 절연층(174)과 제 2 무기 절연층(17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 절연층과 유기 절연층이 교번한 형태로, 가장 최외측이 무기 절연층이 위치하도록 하여 구성된다.An encapsulation film 17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64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 The encapsulation film 170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of a first inorganic insulating layer 172, an organic insulating layer 174, and a second inorganic insulating layer 176,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and It is composed of alternating organic insulating layers, with the inorganic insulating layer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70) 상에, 터치 검출을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 1 터치 전극(181)과, 제 2 터치 전극(182)을 구비하는 터치 전극 어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형태는 가장 최외측의 제 2 무기 절연층(176) 상에, 브릿지 배선(181a)을 구비하고, 상기 브릿지 배선(181a) 상부에 터치 절연막(183)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절연막(183) 상에 서로 이격하는 제 1 터치 패턴(181b)과 제 2 터치 전극(182)을 구비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터치 패턴(181b)은 브릿지 배선(181a)과 터치 절연막(183) 내의 콘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터치 전극(181)을 이루고 있다. 도면 상의 제 2 터치 전극(182)은 일부만을 나타낸 것으로, 제 2 터치 전극(182)은 상기 제 1 터치 패턴(181b)이 위치하지 않은 터치 절연막(183) 상에 위치하며, 이격된 제 1, 제 2 터치 패턴(181b)과의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Cm)을 발생시킨다.Additionally, a touch electrode array including first touch electrodes 181 and second touch electrodes 182 that cross each other for touch det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encapsulation film 170. The illustrated form includes a bridge wiring 181a on the outermost second inorganic insulating layer 176, a touch insulating film 183 on top of the bridge wiring 181a, and the touch insulating film 183. ) is provided with a first touch pattern 181b and a second touch electrode 18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first touch pattern 18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idge wire 181a through a contact hole in the touch insulating layer 183 to form the first touch electrode 181. The second touch electrode 182 in the drawing only shows a portion. The second touch electrode 182 is located on the touch insulating film 183 where the first touch pattern 181b is not locat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uch electrode 182. A mutual capacitance (Cm)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touch pattern 181b and the second touch pattern 181b.

그리고, 터치 여부에 따라 상호 정전 용량(Cm)의 변화로 터치가 검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a touch may be detected through a change in mutual capacitance (Cm)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ouch is touched.

도시된 터치 전극 어레이는 일 예에 따른 것으로, 이에 한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캡슐레이션 필름(170) 상에 터치 전극 어레이가 바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별도의 기재나 절연막을 더 구비하고, 그 상부에 터치 전극 어레이가 구비되거나 커버 필름의 내측에 터치 전극 어레이를 구비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전극 어레이가 구비되지 않고, 혹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가 인캡슐레이션 필름(170)으로 위치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touch electrode array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the touch electrode array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encapsulation film 170, o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ubstrate or insulating film. And, a touch electrode array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cover film, or a touch electrode array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film. In some cas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touch electrode array is not provided or that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100 is located with the encapsulation film 170.

그리고,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상측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전극 어레이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등의 커버 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olarizer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touch electrode array to reduce external light reflection. For example, the polarizer may be a circular polarizer. Alternatively, a cover layer such as a cover window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tect the upper part of the touch electrode array.

한편, 설명하지 않은 '1100'은 플렉서블 베이스 기재(112) 상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어레이, 상기 각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D)의 어레이, 이들을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170), 터치 전극 어레이(181, 182, 183)를 모두 포함하는 어레이 구조체를 의미한다.Meanwhile, '1100', which is not described, refers to an array of thin film transistors (Tr) formed on the flexible base material 112, an arra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 connected to each thin film transistor (Tr), and an encapsule covering them. It refers to an array structure that includes both a lation film 170 and a touch electrode array 181, 182, and 183.

한편, 상술한 표시 패널은 일예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것으로, 플렉서블이 가능하다면 다른 형태의 표시 패널로도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가능한 액정 패널, 양자점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이 상술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대체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display pane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to other types of display panels if flexible. For example, a flexible liquid crystal panel, quantum dot display panel,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tc. may repla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ed exampl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limits of .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100: 표시 패널 200: 백플레이트
200a: 제 1 층 205a, 205b, 205c: 개구 패턴
210: 스킨층 400: 케이스
100: display panel 200: backplate
200a: first layer 205a, 205b, 205c: opening pattern
210: skin layer 400: case

Claims (20)

표시 패널; 및
폴딩부와 비폴딩부로 구분되며, 상기 표시 패널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의 제 1 층과, 상기 폴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에 제 1 밀도를 갖는 제 1 개구 패턴과,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 1 층에 상기 제 1 밀도보다 낮은 제 2 밀도를 갖는 제 2 개구 패턴을 포함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밀도는 상기 비폴딩부에서, 상기 폴딩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줄어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display panel; and
It is divided into a folding part and a non-folding part, a first layer of a material having higher rigidity than the display panel, a first opening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part and having a first density in the first layer, and the non-folding part a back plate including a second opening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yer and having a second density lower than the first density,
The second density gradually decreases in the non-folding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ortion increa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는 2 영역 이상 분할되어,
일 영역은 상기 제 2 밀도의 제 2 개구 패턴을 갖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 1, 제 2 밀도와 다른 밀도의 제 3 개구 패턴을 갖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non-folding portio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regions,
A flexible display including a backplate where one area has a second opening pattern of the second density, and the remaining area has a third opening pattern of a density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densiti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개구 패턴 중 상기 폴딩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개구 패턴의 밀도는 낮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2,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density of the second and third opening patterns in the non-folding part becomes lower as the distance from the folding part increa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도는 상기 폴딩부에서 고정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density is a fixed flexible display in the fold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layer is a flexible display comprising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morphous silicon, and Inv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층의 적어도 한 면에 스킨 층을 더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back plate is a flexible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skin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에 제 1 접착층을 더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hesive layer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pl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레진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6,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skin layer is made of resi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에 채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im 8,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resin is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1층과 상기 스킨 층 사이에 제 2 접착층을 더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6,
The backplate is
A flexible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kin lay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제 1층보다 탄성 회복력이 높은 재질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wherein the skin layer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elastic recovery than the first lay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스테인리스 강, 비정질 금속, 비정질 실리콘 및 인바(Inva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1,
A flexible display wherein the ski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amorphous metal, amorphous silicon, and Inva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을 통해 상기 제 2 접착층이 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하지 않은 상기 제 1 층의 표면과의 사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에서, 상기 제 1 층 두께 이하의 스페이스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having a spac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a surface of the first layer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상기 폴딩부에서 복수개이며, 각각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wherein the first opening pattern is plural in the folding part, and each of the first opening patterns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복수개 열(column)에 대해 각각 배치되며, 각 열에서 불연속부를 사이에 두고 복수개 분할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opening pattern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each colum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with a discontinuity therebetwee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 패턴은, 인접한 열에서 불연속부가 서로 상이한 행(row)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6,
The first opening pattern is a flexible display in which discontinuities are located in different rows in adjacent colum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제 1 층보다 얇은 두께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1,
The skin layer is a flexible display whos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first lay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 내 상기 폴딩부의 경계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 패턴이 구비되지 않는 영역을 일정 폭 더 포함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further including a region of a predetermined width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patterns are not provid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folding portion in the first layer.
제 1 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표시 패널과 백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 전자 장치.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se storing the display panel and back plate.
KR1020180154569A 2017-12-28 2018-12-04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6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90468.5A CN110010001B (en) 2017-12-28 2018-12-20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0434572.0A CN113053250B (en) 2017-12-28 2018-12-20 Foldable display
US16/233,962 US10490771B2 (en) 2017-12-28 2018-12-27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6/659,054 US11108011B2 (en) 2017-12-28 2019-10-21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81802 2017-12-28
KR1020170181802 2017-1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4861A Division KR20240063091A (en) 2017-12-28 2024-04-24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740A KR20190080740A (en) 2019-07-08
KR102662279B1 true KR102662279B1 (en) 2024-05-02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158B1 (en) * 2015-06-30 2016-12-16 크루셜텍 (주)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pattern layer applicable to flexib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158B1 (en) * 2015-06-30 2016-12-16 크루셜텍 (주)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pattern layer applicable to flexi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8011B2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1669B1 (en) Flexible Display
JP7269862B2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36685B1 (en) Rollable Display
US11355559B2 (en) Display device
US10600341B2 (en) Curve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148300A (en)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US951509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48415B1 (en)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46525B2 (en) Display device
KR102662279B1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63091A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66839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24041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55473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favricating method thereof
US1108822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locking unit
KR20190080740A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209792A1 (en) Display panel
JP2023099445A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89249A (en) Display device
KR20240065478A (en) Digitizer and display d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70246A (en)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