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44B1 -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 Google Patents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944B1
KR102661944B1 KR1020210108620A KR20210108620A KR102661944B1 KR 102661944 B1 KR102661944 B1 KR 102661944B1 KR 1020210108620 A KR1020210108620 A KR 1020210108620A KR 20210108620 A KR20210108620 A KR 20210108620A KR 102661944 B1 KR102661944 B1 KR 10266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mergency situation
wearable device
wearer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6695A (en
Inventor
조원준
이원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즈
Priority to KR102021010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944B1/en
Publication of KR2023002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심박수, 심박리듬, 온도, 활동량 등의 바이탈신호를 측정 판단하는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해양 레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실시간 사전 경고하여 해양 사고를 예방하고, 위급 상황 시 사고 위치 및/또는 사고 영상을 등록된 보호자나 구조 센터로 자동 알림하고, 지속적인 구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모듈과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바이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탈신호 검출수단;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나거나 들어가는 경우 장치 자체 및 외부 단말장치로 알람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제공받아 알람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the basic function of measuring and judging vital signals such as the wearer's heart rate, heart rate rhythm, temperature, and activity level, but also prevents marine accidents by providing real-time advance warning of specific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or relates to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that can automatically notify registered guardians or rescue centers of accident images and generate continuous rescue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GPS module, a camera module, and a vibration module; A band member provided on the wearable device body;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to detect the wearer's vital signals;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modu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leaving the set area.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alarm the device itself and an external terminal device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device, or to receive a warning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alarm;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is provided.

Description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본 발명은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심박수, 심박리듬, 온도, 활동량 등의 바이탈신호를 측정 판단하는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해양 레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실시간 사전 경고하여 해양 사고를 예방하고, 위급 상황 시 사고 위치 및/또는 사고 영상을 등록된 보호자나 구조 센터로 자동 알림하고, 지속적인 구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More specifically, it not only has the basic function of measuring and judging vital signals such as the wearer's heart rate, heart rate rhythm, temperature, and activity level, but also provides real-time monitoring of specific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This relates to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that can prevent marine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automatically notify the registered guardian or rescue center of the accident location and/or accident video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generate continuous rescue signals.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Due to the recent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come the most common necessities found around us. According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s are releasing products with better performance and versatility, and in line with this, communication service companies are providing higher-level communication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기능들 중에는 위급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납치, 추행 등의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경보 기능을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범죄가 단말기 접근을 막아 구조 요청을 하기 어렵다.Among the many functions provid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re is an alarm function that notifies other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Howev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kidnapping or molestation occurs, it is not only difficult for the user to use these alarm functions sequentially, but also difficult to request rescue because criminals block access to the terminal.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 기술들은 위급상황 발생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보호자에게 상기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다.To complement this, prior technologies have proposed various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ying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guardia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첫 번째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0356호에서는 손목을 감싸는 손목 밴드 또는 신체나 의류에 부착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범죄 보호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범죄 보호용 장치는 동작버튼이나 동작장치를 작동시켜 기 설정된 연락처의 단말로 위험상황을 통지하고, GPS 센서를 구동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주변 영상을 전송한다. 그러므로 상기 범죄 보호용 장치는 위험상황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동작버튼이나 동작 장치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0356 discloses a crime protection device consisting of a wrist band that wraps around the wrist or a memb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or clothing. The crime protection device operates an operation button or operation device to notify a dangerous situation to a preset contact terminal, operates a GPS sensor,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surrounding images. Therefore, the crime protec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n operation button or operation device must be activated in order to transmit dangerous situ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두 번째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9009호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긴급구조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긴급구조 신호가 오류인지 판단하여 긴급 구조 서버로 전송하는 긴급 구조요청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긴급 구조요청 방법의 활성화 신호는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키는 행위 등을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긴급 구조요청 방법은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9009, an activ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s motion, an emergency rescue signal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ignal,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an error. Thu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method for transmitting to an emergency rescue server is being disclosed. The activation signal for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method is generated through actions such as pressing a button or turning or rotating a switch. Therefore, the emergency rescue request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a button must be pressed or a switch must be turned or rotated to generate an activation signal.

상기와 같이 위급상황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지만 위급상황을 전송하기 위해서 동작 버튼을 누르거나 스위치를 회동 또는 회전시키는 행위 등을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various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have bee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ctions such as pressing an operation button or turning or rotating a switch are required to transmit an emergency situation.

한편,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해양구조 대상자 본인이 혹은 이를 관찰한 주변사람이 휴대폰을 사용해 해양경찰청의 122상황실에 신고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22상황실에서는 접수를 받아 해양구조 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한 후 인근 해에 위치해 있는 해양 구조팀에게 출동지령을 내려 사고지점으로 이동토록 하고 해당 구조 대상자를 구조하도록 되어 있다.Meanwhile, in general, when an accident occurs at sea, the person subject to marine rescue or someone nearby who observes the incident uses a mobile phone to report it to the Coast Guard's 122 Situation Room. In addition, the 122 Situation Room receives information,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person subject to marine rescue, and then issues a dispatch order to the marine rescue team located in the nearby sea to move to the accident site and rescue the person subject to rescue.

그러나 구조 대상자 본인은 바다 한가운데에서 사고를 당했기 때문에, 특히 주변 해상에서는 지표가 되는 건물이나 시설물들이 없기 때문에 구조자 본인이 주변을 확인하고 사고 발생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122상황실로 설명하기에는 난해한 점과 곤란한 점이 많이 있었다.However, because the person being rescued had an accident in the middle of the sea, especially in the surrounding sea, there are no buildings or facilities that serve as landmarks, so it is difficult and difficult for the rescuer to check the surroundings,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and explain it to the 122 Situation Room. There were a lot.

따라서 해양경찰청의 122상황실에서는 신고접수를 받는 경우, 구조 대상자의 휴대폰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해양 경찰청의 중앙위치정보서버를 통해 이동통신사의 위치정보서버로 접속하여 해당 구조 대상자의 위치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22상황실에서는 이동통신사로부터 해당 구조 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사고 발생 지점을 확인하고, 해양 구조팀에게 출통지령을 내리면서 어느 지점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알려주도록 되어있다.Therefore, when the 122 Situation Room of the Korea Coast Guard receives a report, it checks the mobile phon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erson being rescued, connect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er of the mobile carrier through the Korea Coast Guard's central location information server, and requests confi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person being rescued. do. In addition, the 122 Situation Room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rescued from the mobile carrier, confirms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and issues an order to the marine rescue team to inform them at which point the accident occurred.

그러나 이동통신사에서는 기지국의 PN코드를 통해 어느 권역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하게 되는데, 이때 해상에서는 주파수 간섭이나 지형 또는 시설물들에 의한 손실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전파가 지상보다 멀리 방사되어 수신범위가 대략 30~60%정도 넓어지게 된다.However, mobile carriers use the PN code of the base station to determine in which area an accident occurred. At this time, at sea, frequency interference and loss due to terrain or facilities are minimized, so radio waves are radiated further than on the ground, so the reception range is approximately It becomes wider by about 30-60%.

따라서 해양구조팀이 사고 발생지점으로 출동하더라도 넓어진 기지국의 권역 내에 있는 모든 지역을 수색하여야지만 해상 구조 대상자를 찾아야만 하게 되었던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marine rescue team was dispatched to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they had to search all areas within the expanded base station area to find the person to be rescued at sea.

더욱이 해양 구조팀 역시 위치정보를 가지고 해당 사고 권역으로 이동할 지라도 해상에는 어떠한 지표나 시설물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고 지점으로 찾아 가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을 배회하면서 육안으로 구조 대상자를 찾아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Moreover, even if the marine rescue team moves to the accident area with location information, there are no landmarks or facilities installed in the sea,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o to the accident site and they have to wander around and look for rescue victims with the naked eye. There were difficulti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4730(2014.01.23.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44730 (announced on January 23,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0356(2014.06.1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0356 (published on June 10,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09009(2009.01.22.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9009 (published on January 22, 20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8493(2015.08.2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8493 (published on August 28,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5869(2009.06.2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65869 (published on June 23, 2009)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심박수, 심박리듬, 온도, 활동량 등을 측정 판단하는 기본 기능뿐만 아니라, 구역 이탈이나 이안류 발생 등 해양 레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실시간 사전 경고하여 해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not only has the basic function of measuring and judging the wearer's heart rate, heart rate rhythm, temperature, activity level, etc., but also provides specific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such as leaving the area or generating rip curr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that can prevent marine accidents by providing real-time advance warning.

또한,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사고 위치 및/또는 사고 영상을 등록된 보호자나 구조 센터로 자동 알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속적인 구조 신호와 생체 자극 신호를 자동 발생시켜 신속한 대처와 의식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notify the registered guardian or rescue center of the accident location and/or accident imag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automatically generate continuous rescue signals and biostimulation signals to enable rapid response and maintenance of consciousnes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통신 모듈과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바이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탈신호 검출수단;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나거나 들어가는 경우 장치 자체 및 외부 단말장치로 알람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제공받아 알람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GPS module, a camera module, and a vibration module; A band member provided on the wearable device body;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to detect the wearer's vital signals;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modu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leaving the set area.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alarm the device itself and an external terminal device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device, or to receive a warning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alarm;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is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 또는 밴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태양광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작동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생산 전력이 작동 전력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작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wearable device body or the band member further includes a solar modul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olar module to supply operating power first, When the production power of the solar module decreases below the operating power, operating power can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은,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와, IMU(inter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온도 센서와, 고도 센서, 및 수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may include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an intern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altitude sensor, and a water pressure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상황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 상기 GPS 모듈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을 벗어나거나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 판단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주변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및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실행하는 경고 실행부; 및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와 함께 위급상황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원격지의 관제 서버나 장치 본체에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위급신호 자동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leave a preset location or area or move to a preset location or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module;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decision result of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o a remote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 linked application unit that receives and displays surrounding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a warning execution unit that receives a decision result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nd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and executes a warning signal; And an automatic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unit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of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a remote control server or contac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device body. can d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위치를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착용자의 바이탈신호도 함께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동 애플리케이션부는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제한 구역이나 출입 금지 구역 또는 이안류 발생 구역의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경고 실행부는 상기 진동 모듈 진동시켜 착용자에게 알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in real time,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e wearer's vital signals are also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server. The linked application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on restricted areas, no-entry areas, or rip current areas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and the warning execution unit may vibrate the vibration module to notify the wear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를 통해 신체에 자극을 주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성되는 생체 자극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의 바이탈 신호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생체 자극 모듈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생체자극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biostimulation module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to provide stimulation to the body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provide stimulation to the body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If the vital signal of the signal detection means is outside a certain range, it may include a biostimul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biostimulation module to oper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자극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의 착용자 접촉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미세 자극 전류가 흐르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체자극 제어부는 바이탈신호가 기준값에서 감소하는 경우, 전류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stimul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wearer's contact surface of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and consists of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rough which a microstimulation current flow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nd the biostimulation control unit If the signal decreases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step by step.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심박수, 심박리듬, 온도, 활동량 등에 대한 바이오 센싱 검출인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변화를 자동으로 감지 판단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능과 연계하여 해양 레포츠 전용의 IoT 스마트 밴드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detect and determine changes in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biosensing detection factors for the wearer's heart rate, heart rate rhythm, temperature, and activity level, but also provides an IoT smart device exclusively for marine leisure sports in conjunction with these functions. The ability to provide a band has the effect of securing product competitiveness.

둘째, 본 발명은 해상에서 설정된 구역의 이탈이나 이동 방지 구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및 이안류 발생 경우 등 해양 레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다양한 알림 방식으로 사전 경고하여 해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rine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through various notification methods of specific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such as leaving a set area at sea or entering a no-movement zone, and rip currents. .

셋째,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사고 위치 및/또는 사고 영상이나 음성을 등록된 보호자나 구조 센터로 자동 알림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대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rescue response by automatically notifying the accident location and/or accident video or audio to the registered guardian or rescue cent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넷째,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사고 위치의 전송과 함께 지속적인 구조 신호를 자동 발생시켜 구조자나 구조 센터로 하여금 사고 위치를 안정적으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continuous rescue signal along with transmitting the accident loc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llowing rescuers or rescue centers to stably identify the accident location and respond.

다섯째,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 시 생체 자극 신호를 자동 발생시키고, 검출되는 바이탈 신호나 위급상황 발생 이후 지연 시간 등과 연동시켜 의식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biological stimulation sig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maintaining consciousness by linking it with the detected vital signal or the delay time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구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의 내부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구조자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관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역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constituting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s.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a display of a rescuer terminal device show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display of a control terminal device show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zone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구성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의 내부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구조자 단말장치 또는 관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예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역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constituting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s.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and 6 are respectively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a display of a rescuer terminal device or a control terminal device,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zone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a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통신 모듈(110)과 GPS 모듈(120)과 카메라 모듈(130)과 음성녹음모듈(140) 및 진동 모듈(150)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 밴드 부재(200);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 제어 모듈(400); 및 배터리(500);를 포함하며, 생체 자극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GPS module 120, a camera module 130, a voice recording module 140, and a vibration module. Wearable device body 100 including (150); Band member (200);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Control module 400; and a battery 500, and may further include a biostimulation module 6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모듈(110)과 GPS 모듈(120)과 카메라 모듈(130)과 음성녹음모듈(140) 및 진동 모듈(150)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밴드 부재(200);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바이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GPS 모듈(120)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나거나 들어가는 경우 장치 자체 및 외부 단말장치로 알람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제공받아 알람하도록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 모듈(40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 및/또는 밴드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각 구성요소 중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5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를 통해 신체에 자극을 주는 생체 자극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7,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GPS module 120, a camera module 130, a voice recording module 140, and A wearable device body 100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150; a band member 200 provided o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and configured to be detachably worn on the wearer's wrist;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to detect the wearer's vital signals; It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hrough the GPS module 120. A control module 400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locking application that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and alarms the device itself and an external terminal device when leaving or entering a set area, or provides an alarm by receiving a warning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a battery 500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and/or the band member 200 to provide power to components requiring power among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iological stimulation module 600 that stimulates the body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40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와 밴드 부재(200)는 신체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고,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밴드 형식 또는 워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며 바이오 정보를 취득할 수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and the band member 200 can be worn on the wrist of the body and may be configured in a band format or watch format including related components, but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worn on the wearer's wris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acquire bio information.

예를 들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는 노출면인 상부면에 터치식 또는 비터치식의 디스플레이부(101)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1)에는 평상 시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위급 상황 등에서는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미리 등록된 보호자의 연락처가 자동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may have a touch or non-touch display unit 101 on the exposed upper surface. This display unit 101 can display the time, etc. in normal times, and in emergency situations, etc., the pre-registered contact information of the guardian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400.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의 노출면 일측에는 카메라 모듈(130)의 촬영 렌즈(13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음성녹음모듈(140)의 마이크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lens 131 of the camera module 1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and the microphone unit (not shown) of the voice recording module 14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상기 촬영 렌즈(131)는 광범위한 촬영을 위한 어안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oting lens 13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fisheye lens for wide-range shooting.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되며, 전원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온/오프 LED)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온/온프 LED 대신에 온/오프 상태는 디스플레이부(101)의 일측에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Additionally, a power on/off switch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and an on/off LED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he power on or off state. Here, instead of the on/off LED, the on/off state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01.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는 통신 칩(예를 들면, 유심 칩)을 장착하여 통신 모듈(110)과 연동시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may be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chip (for example, a SIM chip) to enable communication by link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계속해서, 상기 밴드 부재(200)는 통상의 시계 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를 손목에 착용하고 손목의 굵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Continuing, the band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ypical watch ban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can be worn on the wrist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rist.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 및/또는 밴드 부재(200)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성되어 배터리(500)를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태양광 모듈(510)이 더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400)은 1차적으로 태양광 모듈(510)로부터 작동 전력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며, 태양광 모듈(510)의 생산 전력이 작동 전력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500)로부터 작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olar module i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and/or the band member 200 to assist the battery 500. Here, when the solar module 510 is further configured, the control module 400 primarily controls to receive operating power from the solar module 510, and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module 510 is When the operating power decreases below the operating power, the operating power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500.

다음으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은 착용자의 바이오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탈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 또는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may be composed of sensors or sensor modules capable of detecting vital signals for detecting the wearer's bio-state.

상기 검출 신호로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체온, 일일 보행량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biofactors including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body temperature, and daily walking amount.

예를 들면,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구성되어 생체신호 인자의 심박과 산소포화도 및 호흡수를 검출하는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310)와, 보행 시 일어나는 Z축방향의 주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Max-Min의 평균으로 보행량(Step 수)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와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IMU(interial measurement unit) 센서(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i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and includes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310 that detects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rate of biosignal factors. )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walking (number of steps) by averaging the Max-Min of the data using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the Z-axis direction that occurs during walking, and an IMU (internal measurement) that includes a motion sensor or gyro sensor that detects motion. unit) may include a sensor 320, etc.

또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은 착용자의 체온과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체온과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 센서(330)와 고도 센서(또는 기압계 센서)(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330 and an altitude sensor (or barometer sensor) that respectively detect the body temperature, surrounding temperature, and surrounding altitude so that the wearer's body temperature, surrounding temperature, and surrounding altitude can be detected. 340) may further be included.

또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은 수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수압 센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해양 레포츠 활동 시 착용자의 수심 위치, 예를 들면 극단적인 경우 익사 사고가 발생할 시 사고자의 위치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ressure sensor 350 to detect water press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wearer's depth of water during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for example, in extreme cases, the location of the casualty in the event of a drowning accident.

다음으로,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GPS 모듈(120)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나거나 들어가는 경우 장치 자체 및 외부 단말장치로 알람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제공받아 알람하도록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성부이다.Next, the control module 400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linked application that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module 120 and alarms the device itself and an external terminal device when leaving or entering a set area, or receives a warning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It is wealth.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상황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410)와, 상기 GPS 모듈(12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을 벗어나거나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 판단부(420)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 및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의 판단 결과를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430)와,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주변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부(440)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 및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의 판단 결과 및/또는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실행하는 경고 실행부(450), 및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 및/또는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와 함께 위급상황신호(예를 들면, SOS)를 자동 생성하여 원격지의 관제 서버나 장치 본체에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위급신호 자동 송출부(460)를 포함한다.The control module 400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tha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module 120. Based on this,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o leave a preset location or area or move to a preset location or area, and judgments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30 that transmits the results to a remote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 linked application unit 440 that receives and displays surrounding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and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 warning execution unit 450 that receives the judgment result at 420 and/or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and executes a warning signal, and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and/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It includes an automatic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unit 460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e.g., SOS)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and transmits it to a remote control server or contac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device body. do.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는 미리 설정된 생체신호 인자들에 대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is configured to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bio-signal factors are outside the preset range.

다시 말해서,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는 심박, 체온,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과 중력 가속도 변화값의 영(zero)이거나 급격한 변화 등은 응급상황 주시 또는 응급상황이나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determines that zero or sudden changes in heart rate, body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etc.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are an emergency situation or emergency situation. .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420)는 해양 레포츠를 즐기는 구역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반경범위를 미리 설정하거나 임의의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또한 소정 지점을 중심으로 한 반경범위를 제한 범위로 설정하여, 해당 범위에서의 벗어남 또는 해당 범위로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presets a predetermined radius range centered on the area where marine leisure sports are enjoyed, or presets the radius range centered on a random point, and also limits the radius range centered on a predetermined point. By setting it to a rang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out of the range or approaching the range.

상기 정보 송신부(430)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 판단된 현재 위치를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게 되면, 착용자의 바이탈신호도 함께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 information transmitter 430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in real time, and if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e wearer's vital signals are also sent to remote control. It is sent to the server.

상기 연동 애플리케이션부(440)는 관제 서버로부터 해양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제한 구역, 출입 금지 구역 등의 정보를 전송받아 나타낼 수 있다.The linked application unit 440 can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such as restricted areas where marine leisure sports can be enjoyed and no-entry areas from the control server.

상기 경고 실행부(450)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범위의 벗어남이나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포함된 진동 모듈(150)을 진동시켜 착용자에게 알림한다.When the warning execution unit 450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is out of the movement range or approaching, the warning execution unit 450 vibrates the vibration module 150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to alert the wearer. Notify to

또한, 상기 경고 실행부(450)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 이동범위의 벗어남이나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관제 서버로부터 경고 신호를 전달받아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에 포함된 진동 모듈(150)을 진동시켜 착용자에게 알림한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is out of the movement range or approaching, the warning execution unit 450 receives a warning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and sends a vibration module included in the wearable device main body 100. (150) vibrates to notify the wearer.

이에 더하여, 상기 경고 실행부(450)는 응급상황으로 판단되거나 이동범위의 벗어남이나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130)과 음성녹음모듈(140)을 자동 활성화시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rning executing unit 450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is out of the movement range, or is approaching, the warning execution unit 450 automatically activates the camera module 130 and the voice recording module 140 to provide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t can be done to transmit together.

이러한 경고 실행부(450)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장치(예를 들면, 보호자의 스마트 폰)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This warning executing unit 450 may transmit related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device on which a companion application is installed (for example, a guardian's smart phone).

상기 위급신호 자동 송출부(460)는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410) 및/또는 위치정보 판단부(420)에서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와 함께 위급상황신호(예를 들면, SOS)를 원격지의 관제 서버나 장치 본체에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지속적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unit 460 sends an emergency signal (e.g., SOS)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cision result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10 and/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20. I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server or contact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on the device itself.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모듈(400)은 각기 다른 착용자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바이오 인자를 실시간 저장하고, 바이오 인자별로 메타 데이터하여 해당 바이오 인자별로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며, 이러한 평균 데이터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나 값을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데이터 업데이트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400 stores bio factors in real tim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judgment for different wearers, metadata for each bio factor, and calculates average data for each bio factor. It may further include a data update unit 470 that updates a preset range or value based on the data.

계속해서, 상기 배터리(500)는 예를 들면 충전용 내장 리튬이온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포트, 및 상기 충전 포트를 커버하기 위한 일단 회동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Continuing, the battery 5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built-in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y, and on one side of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there is a charging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charging po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that is once pivotably coupl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를 통해 신체에 자극을 주는 생체 자극 모듈(600);을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iological stimulation module 600 that stimulates the body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40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상기 생체 자극 모듈(600)은 웨어러블 장치 본체(100)의 배면(착용자의 착용면)에 형성되고, 배터리(5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미세 자극 전류가 흐르는 제1 전극(+극)(610)과 제2 전극(-극)을 포함한다.The biostimulation module 600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wearable device body 100 (the wearer's wearing surface),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500, and generates microstimulation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400. It includes a flowing first electrode (+ electrode) 610 and a second electrode (- electrode).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300)의 바이탈 신호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착용자의 의식이 흐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전극(610)과 제2 전극(620)을 통해 미세 자극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생체자극 제어부(480)를 더 포함한다.If the vital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00 is outside a certain range, the control module 400 determines that the wearer's consciousness is blurred and detects the wearer through the first electrode 610 and the second electrode 620. It further includes a biostimulation control unit 480 that controls the flow of microstimulation current.

여기에서, 상기 생체자극 제어부(480)는 바이탈신호가 기준값에서 감소하는 경우, 미세 자극 전류에 의한 자극 정도를 증가시키도록 전류량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when the vital signal decreases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biostimulation control unit 480 can control the current amount to increase step by step to increase the degree of stimulation by the microstimulation curr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에 의하면, 착용자의 심박수, 심박리듬, 온도, 활동량 등에 대한 바이오 센싱 검출인자를 통해 생체 정보의 변화를 자동으로 감지 판단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능과 연계하여 해양 레포츠 전용의 IoT 스마트 밴드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해상에서 설정된 구역의 이탈이나 이동 방지 구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및 이안류 발생 경우 등 해양 레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다양한 알림 방식으로 사전 경고하여 해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not only has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determining changes in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bio-sensing detection factors for the wearer's heart rate, heart rate rhythm, temperature, activity level, etc.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se func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oT smart band dedicated to marine leisure sports, thereby securing product competitiveness, and marine leisure sports activities such as when leaving a set area at sea, entering a movement prevention zone, or when a rip current occurs.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marine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of specific situations that may occur through various notification method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급상황 발생 시 사고 위치 및/또는 사고 영상이나 음성을 등록된 보호자나 구조 센터로 자동 알림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 대처를 행할 수 있고, 사고 위치의 전송과 함께 지속적인 구조 신호를 자동 발생시켜 구조자나 구조 센터로 하여금 사고 위치를 안정적으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으며, 또한 생체 자극 신호를 자동 발생시키고, 검출되는 바이탈 신호나 위급상황 발생 이후 지연 시간 등과 연동시켜 의식 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accident location and/or accident video or audio can be automatically notified to the registered guardian or rescue center, enabling rapid rescue response, and a continuous rescue signal along with transmission of the accident location. It automatically generates a signal so that rescuers or rescue centers can reliably identify and respond to the accident location. It also automatically generates a biological stimulation signal and maintains consciousness by linking it with the detected vital signal or the delay time after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doing thi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iv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통신 모듈
120: GPS 모듈
130: 카메라 모듈
140: 음성녹음모듈
150: 진동 모듈
200: 밴드 부재
300: 바이탈신호 검출수단
310: PPG 센서
320: IMU 센서
330: 온도 센서
340: 고도 센서
350: 수압 센서
400: 제어 모듈
410: 응급상황 판단부
420: 위치정보 판단부
430: 정보 송신부
440: 연동 애플리케이션부
450: 경고 실행부
460: 위급신호 자동 송출부
470: 데이터 업데이트부
480: 생체 자극 제어부
500: 배터리
600: 생체 자극 모듈
610: 제1 전극
620: 제2 전극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GPS module
130: Camera module
140: Voice recording module
150: Vibration module
200: Absence of band
300: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310: PPG sensor
320: IMU sensor
330: temperature sensor
340: Altitude sensor
350: water pressure sensor
400: Control module
410: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20: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43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40: Interlocking application unit
450: Warning execution unit
460: Automatic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unit
470: Data update unit
480: Biostimulation control unit
500: Battery
600: Biostimulation module
610: first electrode
620: second electrode

Claims (7)

통신 모듈과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체;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밴드 부재;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바이탈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탈신호 검출수단;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하기 제어 모듈의 제어를 통해 신체에 자극을 주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성되는 생체 자극 모듈;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응급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설정된 구역을 벗어나거나 들어가는 경우 장치 자체 및 외부 단말장치로 알람하거나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경고신호를 제공받아 알람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응급상황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응급상황 판단부와, 상기 GPS 모듈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을 벗어나거나 미리 설정된 위치나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정보 판단부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와,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주변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부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에서의 판단 결과 및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경고신호를 실행하는 경고 실행부와,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 또는 위치정보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와 함께 위급상황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원격지의 관제 서버나 장치 본체에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위급신호 자동 송출부, 및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의 바이탈 신호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생체 자극 모듈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생체자극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판단부에서 판단된 현재 위치를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응급상황 판단부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는 경우, 착용자의 바이탈신호도 함께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동 애플리케이션부는 원격지의 관제 서버로부터 제한 구역이나 출입 금지 구역 또는 이안류 발생 구역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경고 실행부는 상기 진동 모듈을 진동시켜 착용자에게 알림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생체 자극 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의 착용자 접촉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미세 자극 전류가 흐르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체자극 제어부는 바이탈신호가 기준값에서 감소하는 경우, 전류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A wearable device bod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GPS module, a camera module, and a vibration module;
A band member provided on the wearable device body;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to detect the wearer's vital signals;
a biological stimulation module configur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to provide stimulation to the body through control of the following control modul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wearable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wear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modu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leaving the set area.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alarm the device itself and an external terminal device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device, or to receive a warning signal from an external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alarm; and
Includes a battery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body,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and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and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move to a set location or area,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decision result of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in real time to a remote control server, and peripher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erver. A linked application unit that receives and displays, a warning execution unit that receives the decision result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and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and executes a warning signal, and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or location An automatic emergency signal transmitter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 emergency signal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judgment result of the information judgment unit and transmits it to a remote control server or contac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device body, and the vital signal of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When it is outside a certain range, it includes a biostimul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biostimulation module to operate,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in real time, and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the wearer's vital signals are also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server,
The linked applic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restricted areas, no-entry areas, or rip current areas from a remote control server,
The warning executing unit is configured to vibrate the vibration module to notify the wearer,
The biostimul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wearer's contact surface of the wearable device body and consists of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hrough which a microstimulation current flow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The biostimulation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ital signal decreases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current is controlled to increase step by step.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 본체 또는 밴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태양광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작동 전력이 먼저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생산 전력이 작동 전력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작동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of the wearable device body or the band member further includes a solar modul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solar module to supply operating power first, and when the production power of the solar module decreases below the operating power,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operating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탈신호 검출수단은,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와, IMU(interial measurement unit) 센서와, 온도 센서와, 고도 센서, 및 수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ital signal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an intern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altitude sensor, and a water pressure sensor.
Smart band device for marine leisure spor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08620A 2021-08-18 2021-08-18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KR102661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20A KR102661944B1 (en) 2021-08-18 2021-08-18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620A KR102661944B1 (en) 2021-08-18 2021-08-18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95A KR20230026695A (en) 2023-02-27
KR102661944B1 true KR102661944B1 (en) 2024-04-29

Family

ID=8532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20A KR102661944B1 (en) 2021-08-18 2021-08-18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9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80B1 (en) * 2012-09-06 2014-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ment device wearable to a bod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133A (en) * 1997-05-21 1998-12-02 Teruo Ido Biological signal radio equipment of arm mounting type
KR100884633B1 (en) * 2007-02-08 2009-02-23 이승재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rescue automatically
KR20090009009A (en) 2007-07-19 2009-01-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escue signal generation device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065869A (en)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signal detection based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its monitering method
KR101344730B1 (en) 2011-10-12 2014-01-23 아바드(주) The rescue smart device and respond smart device installed the help application and, the rescue system
KR20140070356A (en) 2012-11-29 2014-06-10 이영이 Apparatus for protecting crime
KR101634972B1 (en) 2014-02-20 2016-07-01 주식회사 보형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orming emergency state
KR20160146390A (en) * 2015-06-12 2016-12-21 황재호 Smart band for maritime accidents
KR102245963B1 (en) * 2019-05-21 2021-04-29 주식회사 케즈 Intelligent smart ban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throuth bio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80B1 (en) * 2012-09-06 2014-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Treatment device wearable to a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95A (en)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084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s
US6812840B2 (en) Object area network
US20170213439A1 (en) Swim-a-sure system & device
US20100267361A1 (e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2245963B1 (en) Intelligent smart band for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throuth bio sensing
US9705547B2 (e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earable input/output transducers
KR101920537B1 (en) smart band system for detecting emergency patients emergency pati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RU152040U1 (en) INDIVIDUAL EQUIPMENT FOR ASSISTANCE TO PERSONS ABOUT THE BOARD (OPTIONS)
US20110045795A1 (en) Portable radio with automatic motion sensing and emergency alert facility
EP3065116B1 (en) Digital re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US8264365B2 (en) Motion sensing remote microphone
US11857339B2 (en) Headgear-type device for hazardous air quality warning and air quality improvement
EP3756176A1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102661944B1 (en) Smart band device for marin sports
KR20180137684A (en) the escaping protection system using the biometric recognition type smart handcuffs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CN207995992U (en) A kind of bracelet
KR100990490B1 (en) Wearable Risk Detector Utilit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in Disaster Situation
TW201633264A (en) Wearable firefighting reminding equipment and escape reminding system
KR100971848B1 (en)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RU213658U1 (en) Multifunctional radio module for search, detection and signaling in hard-to-reach areas
CN109935051A (en) The anti-drowned salvage system of one kind
JPH1168653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ommey et al. digiRESCUE: A Smart Personal Emergency Rescue System
KR200231390Y1 (en) Device for sending the emergency signal automatically by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human phonetic defense ready w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