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170B1 -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170B1
KR102660170B1 KR1020230105494A KR20230105494A KR102660170B1 KR 102660170 B1 KR102660170 B1 KR 102660170B1 KR 1020230105494 A KR1020230105494 A KR 1020230105494A KR 20230105494 A KR20230105494 A KR 20230105494A KR 102660170 B1 KR102660170 B1 KR 10266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urriculum
user terminal
content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 중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할 때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교육과정을 인증하는 인증부, 인증의 결과로 사용자 단말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가입된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부여부,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is provided,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content of a subscribed curriculum among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 storage unit that uploads and stores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nd a user When signing up from a terminal, an authentication unit that authenticates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in the user terminal, and a granting unit that verifies the curriculum of the user terminal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and grants access to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curriculum to the user terminal. , and includes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content of the subscribed curriculum from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System for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본 발명은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공기관과 연계되어 법정의무교육, 직무향상교육 및 안전보건교육을 포함한 각종 교육과정의 학습 및 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It provides a system that can manage learning and education of various curricula, including statutory compulsory education, job improvement education, an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public institutions.

저출생, 고령화, 경제성장에 따른 여가 증가, 산업 5.0 패러다임은 국민 모두에게 평생에 걸친 학습권을 보장하는 보편적 평생교육을 요구한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점을 기반으로 모든 국민의 평생학습권을 보장하는 평생학습체계로 재구성하여 사업확장에 따른 예산 증액 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의 경우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은 성인학습자의 역량이 OECD 평균 이하로 낮아지고 경제적 격차에 따른 교육격차가 증가하면서 교육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2018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학습자들이 평생학습 서비스를 스스로 선택하여 구매행위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평생학습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은 평생교육법 제16조 경비보조 및 지원에 근거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2021년 6월에 평생교육법을 개정하여 평생교육이용권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발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했다.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 increased leisure due to economic growth, and the Industry 5.0 paradigm call for universal lifelong education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lifelong learning for all citizens. As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increas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into a lifelong learning system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lifelong learning for all citizens and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the budget according to business expansion. In the case of Korea, the lifelong education voucher project was first introduced in 2018 as part of an education welfare policy as the capabilities of adult learners fell below the OECD average and the educational gap due to economic disparity increased. It was used as a policy tool to expand learners' choices and promote competition in the lifelong learning market by allowing learners to choose lifelong learning services on their own and make purchases. The lifelong education voucher project is being promoted based on Article 16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expense assistance and support, and the Lifelong Education Act was revised in June 2021 to specify that lifelong education vouchers can be issued and used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이때, 법정의무교육을 큐레이팅해주거나 직무교육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520831호(2023년04월13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2-0147347호(2022년11월03일 공개)에는, 법정의무교육 수요기업으로부터 기업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업현황에 맞는 법정의무교육을 추출한 후 교육 콘텐츠를 큐레이팅해주는 구성과, 직무교육 콘텐츠를 추천하기 이전에, 복수의 클래스별 직무교육 콘텐츠 수강 확률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수강 확률을 클래스별로 확인한 후 수강 확률이 높은 직무교육 콘텐츠를 추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curating statutory mandatory education or recommending job training content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the prior art,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520831 (announced on April 13, 2023) and Korea Open Patent No. In No. 2022-0147347 (released on November 3, 2022), information on the corporate status is received from companies in demand for statutory mandatory training, extracts statutory mandatory training that matches the received corporate status, and then curates educational content, Before recommending job training content,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that receives the probability of taking job training content for a plurality of classes as input, checks the user's probability of taking the course by class, and then recommends job training content with a high probability of taking the course.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경우 모두 기업 및 사용자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구성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각종 국가, 기관, 기업 및 개인에 따라 필수적이거나 필요한 교육을 관리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평생교육은 법정의무교육 뿐만 아니라, 실직자 또는 재직자가 배워야 하거나 필요한 교육, 재난안전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직무능력을 얻거나 향상시키기 위한 직무능력향상교육 등 다양한 범주의 교육과정이 존재한다. 이에, 각 기관과 연계하여 각종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및 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cases, only a structure that recommends content suitable for companies and users is disclosed, and a method of managing essential or necessary edu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untries, institutions, companies, and individuals is not disclosed. Lifelong education includes not only legally compulsory education, but also various categories of curricula, such as education that the unemployed or employed must learn or need,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disaster safety, and job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to acquire or improve job competency.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platform that can provide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curriculums and manage learning and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each institut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각종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각 교육과정에 참여한 경우 자격을 인증한 후 인증된 자격에 따른 교육과정의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부여하며, 학습자에게는 학습지원을, 교수자에게는 교수지원을, 관리자에게는 운영지원을 위한 각종 모듈 및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및 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training courses in connection with each public institution, and when a user participates in each training course on a user terminal, the user has the right to access the content of the training course according to the certified qualification after authenticating the qualification. It provides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platform that can manage learning and education by providing learning support to learners, teaching support to instructors, and various modules and menus for operational support to administrators.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can be provided.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 중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할 때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교육과정을 인증하는 인증부, 인증의 결과로 사용자 단말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가입된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부여부,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content of a subscribed curriculum among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nd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 storage unit that receives and stores uploads, an authentication unit that authenticates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in the user terminal when signing up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onfirms the curriculum of the user terminal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on conten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curriculum. It includes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includes a granting unit that grants access rights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content of the subscribed curriculum from the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각종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각 교육과정에 참여한 경우 자격을 인증한 후 인증된 자격에 따른 교육과정의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부여하며, 학습자에게는 학습지원을, 교수자에게는 교수지원을, 관리자에게는 운영지원을 위한 각종 모듈 및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및 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courses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each public institution, and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each educational course on the user terminal, qualifications are certified, and the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ertified qualifications is provided.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platform that manages learning and education by granting access to course content, providing learning support to learners, teaching support to instructors, and various modules and menus for operational support to administrators.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linked to a public institution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preventing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unfair advantage of stated disclosures. The term “step of”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erver 300,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It may include a terminal 500. However, since the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1 shown in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Additionally,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NR(New Radio), 6G(6th Generation of Cellular Networks),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5G New Radio (NR), 6th Generation of Cellular Networks (6G), and Long Term Evolution (LTE).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This should be self-explanatory.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한 자격을 인증하고, 인증된 자격에 따른 교육과정의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부여받아 출력하며, 수강신청을 한 후 콘텐츠의 수강이력을 제공하고, 시험평가를 위하여 문제은행으로부터 문제를 추출하여 출력하며, 과제를 업로드하고 이의 결과를 출력하고, 교과상담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uthenticates qualifications for completing a curriculum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and provides content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ertified qualifications. Access rights are granted and printed, after registering for a course, the course history of the content is provided, questions are extracted and printed from the question bank for test evaluation, assignments are uploaded and the results are printed, and curriculum counseling is provided. It may be a user's terminal.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수강신청 및 학사일정을 관리하며, 관리자 단말(500)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교수 단말(400)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ploads content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manages course registration and academic schedule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manages the user terminal 100 and professor at the administrator terminal 500. It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the terminal 400. Here,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은,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교수자의 단말일 수 있다. 교수 단말(400)은,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강의실을 관리하며, 시험평가를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n instructor who uses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The professo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opens a curriculum, manages a classroom, and conducts test evaluation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교육과정 및 과목을 관리하고, 학습운영 및 수강관리를 수행하며, 사용자 및 교수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500 manages curriculum and subjects, performs learning operation and course management, and monitors users and instructors using web pages, app pages, programs, or applica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It may be the terminal of the manager who manages i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are an embodi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linked to a public instit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도 2를 참조하면,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인증부(320), 부여부(330), 출력부(340), 분류부(350), LMS부(360), 학습지원부(370), 교수지원부(380), 운영지원부(390), 엑세스관리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n authentication unit 320, an granting unit 330, an output unit 340, a classification unit 350, and an LMS unit 360. ), learning support department (370), teaching support department (380), operation support department (390), and access management department (3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로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크롬(Chrome), 에지(Microsoft Edge), 사파리(Safari), 파이어폭스(FireFox), 웨일(Whale), UC 브라우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When transmitting a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the terminal 5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 500) can install or open lifelong educatio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ofess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5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Chrome. , Microsoft Edge, Safari, FireFox, Whale, UC Browser,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는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내일배움과정, 바우처과정 및 일반과정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g와 같이 일반과정은, 혼합훈련과정, 법정의무교육과정 및 직무향상교육과정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콘텐츠는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라 카테고리가 세분화될 수도 있고, 삭제, 추가,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the storage unit 310 can upload and store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tomorrow learning course, a voucher course, and a general course as shown in Figure 4a, and as shown in Figure 4g, the general course includes a mixed training course, a legally mandatory training course, and a job. It can be divided into improvement education courses, etc. In addition,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Accordingly, categories may be subdivided, deleted, added, or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 they are not limited to those listed and are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인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한 교육과정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일배움과정이나 바우처과정은 도 4c 내지 도 4f와 같이 지원기관이 다르고 신청자격도 서로 다르다. 이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내일배움과정이나 바우처과정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각 공공기관에 미리 신청을 하고 지원을 한 후 선정 또는 선발된 자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내일배움과정이나 바우처과정은 내일배움카드나 바우처카드로 결제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카드로 결제가 되는지 또 결제가 되었다면 어떠한 교육과정을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매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교육콘텐츠]와 같이 매핑될 수 있다. 물론, 수강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수강신청한 과목만 들을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교육콘텐츠-수강신청과목]과 같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한 엑세스권만 부여할 수도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authenticate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in the user terminal 100 when signing up in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Tomorrow Learning course and the voucher course have different support organizations and different application qualifications, as shown in Figures 4c to 4f. Accordingly, when applying for the Tomorrow Learning course or voucher course on the user terminal 100, it is necessary to apply in advance to each public institution, apply, and then prove that you have been selected or selected. At this time, since it is necessary to pay for the Tomorrow Learning course or voucher course with a Tomorrow Learning card or voucher card, information on whether payment can be made with each card and, if so, what kind of curriculum can be taken must be mapped. For example, it can be mapped as [curriculum-educational content]. Of course, when registering for a course, you can only take the subjects you have registered for, so it can be mapped and stored as [curriculum - educational content - course registration subject], and only access rights to it can be granted.

부여부(330)는, 인증의 결과로 사용자 단말(100)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가입된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 The granting unit 330 may confirm the curriculum of the user terminal 100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and grant access to the user terminal 100 for conten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curriculum.

출력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 중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340 can outpu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content of a subscribed curriculum among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분류부(350)는,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내일배움과정, 평생교육바우처로 수강하는 바우처과정, 직무과정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직무향상과정 및 법으로 정해진 사항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법정의무교육과정의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분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테고리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 추가, 삭제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classification unit 350 is a tomorrow's learning course to improve workers' job skills, a voucher course taken with a lifelong education voucher, a job improvement course that provides content necessary for the job course, and a court that provides content on matters stipulated by law. Categories of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can be provided.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class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tegories may be changed, added, or dele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LMS부(360)는, 사용자 단말(100)로는 학습지원, 교육과정에 따른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 단말로는 교수지원, 교육과정에 따른 운영을 지원하는 운영지원을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학습지원은 도 3b 및 도 3c와 같이, 교수지원은 도 3d와 같이, 운영지원은 도 3e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The LMS unit 360 provides learning support to the user terminal 100, professor support to the terminal of the professor in charge of lectur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operational support to suppor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rough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can do. At this time, learning support can be provided as shown in Figures 3b and 3c, teaching support as shown in Figure 3d, and operational support as shown in Figure 3e.

학습지원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의 학습지원을 위하여 교과학습모듈, 시험평가모듈, 과제평가모듈 및 교과상담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다. The learning support unit 370 may provide a curriculum learning module, a test evaluation module, a task evaluation module, and a curriculum counseling module to support learning of the user terminal 100. To summarize, it can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학습지원Learning support 교과학습모듈Curriculum learning module -교과 학습 과정 내용 조회
-학습과정에 대한 리스트 및 과목의 상세 정보 조회, 맛보기 강좌 조회
-수강신청 과정 선정 및 수강
-사이버 강의실, 실제 교과 학습 콘텐츠의 접근하여 강의 수강
-사용자별 수강 이력조회
-Check subject learning process contents
-View list of learning courses, detailed information on subjects, and preview courses
-Course registration course selection and attendance
-Take classes by accessing cyber classrooms and actual learning content
-Check class attendance history for each user
시험평가모듈Test evaluation module -문제은행 시스템에 출제된 시험의 수행-Performance of tests presented in the question bank system 과제평가모듈Assignment evaluation module -과제 수행을 통해 학생 수준 판별
-과제 수행 후 결과에 대한 교수의 첨삭지도 확인
- Determine student level through task performance
-After completing the assignment, check the professor's correction guidance on the results
교과상담모듈Subject counseling module -학생의 교과 학습 내용관련 질의 응답 게시판 형태로 축적
-질의에 대한 응답을 게시판 또는 메일을 통한 알림 기능 제공
- Accumulated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to answer questions related to students’ course learning contents
-Provide notification function for responses to inquiries through bulletin board or email

이때,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데,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은, 학습자의 학습활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자 수준을 분석·예측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학습경과에 대한 분석 정보와 최적의 맞춤형 처방 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제고로 이어지는 지능형 학습체제이다. 이때,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플랫폼을 더 제공할 수도 있는데, 학습공간을 위한 학습자와 지식인들의 생태계를 관리하고 진화시켜 나갈 수 있는 에이전트의 활용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코어 에이전트(Core Agent)와 보조 에이전트(Assistant Agent)로 크게 나누어 설계할 수 있다. 코어 에이전트는 사용자-학습-지식인을 위한 에이전트 구성부분으로 사용자 경험 에이전트(User Experience Agent, UXA), 사용자 프로파일 에이전트(User Profile Agent, UPA),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Smart Study Agent, STA), 스마트 튜터 에이전트(Smart Tutor Agent, STA)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와 협력하기 위한 태그 분석 에이전트(Tag Analysis Agent, TAA)와 지식 맵 에이전트(Knowledge Map Agent, KMA)로 설계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intelligent learning analysis platform can be provided. The intelligent learning analysis platform collects the learner's learning activity data and analyzes and predicts the learner's level, providing instructors and learners with analysis information on learning progress and optimal customized prescription data. It is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that ultimately leads to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t this time, an additional intelligent tutoring agent platform can be provided, with the goal of utilizing an agent that can manage and evolve the ecosystem of learners and intellectuals for the learning space. For this purpose,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core agent and an assistant agent. The core agent is a component part of the agent for user-learning-intellectuals, including User Experience Agent (UXA), User Profile Agent (UPA), Smart Study Agent (STA), and Smart Tutor Agent. It can be classified as (Smart Tutor Agent, STA). And it can be designed as a Tag Analysis Agent (TAA) and a Knowledge Map Agent (KMA) to cooperate with smart learning ag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집단지성 기반 학습자와 지식인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소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학습자를 위한 지능형 튜터의 역할을 지원하는 차세대 이러닝 환경 제공을 목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는 시나리오 기반 설계(Scenario-Based Design)기법을 적용하여 집단 학습자의 학습 패턴 분석을 통해, 다른 동료 학습자의 자취(Trace)를 따라가는 페로몬(Pheromone), 학습자가 지정한 특징에 따라 규정된 스터디 캐러밴(Caravan), 익명성을 벗어나 명시적으로 구성된 스터디팀(Team)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UPA는 학습과정 인지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혹은 학습 패턴 과정을 저장관리하며, 통계, 데이터마이닝, 분석 등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SSA와 협력할 수 있다. 또한 STA는 학습자의 활동과 참여, 공유, 커뮤니케이션 분석에 의해 튜터의 자격을 행하거나, 팀의 리더 자격을 가지고 지식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개인들이 집단을 이루어 협력하거나 서로 경쟁할 때, 존재하지 않던 지능이나 행동들이 갑자기 나타날 때, 집단지성의 힘은 더욱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UPA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사용자 데이터의 분석으로 학습과정 인지 모듈에서 사용자 학습 패턴이 구분되며, 자연스러운 페로몬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점에서 내가 학습하고자 하는 전략이 있거나, 혹은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도, 자신과 가장 비슷한 학습 패턴, 학습 목적, 학습 방향이 비슷한 동료 사용자 정보를 에이전트가 제공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참여, 공유가 실시간적으로 가능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designed to provide a next-generation e-learning environment that enables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learners and intellectuals to communicate socially based on a platform and supports the role of an intelligent tutor for learners. This applies the Scenario-Based Design technique to analyze the learning patterns of group learners, pheromones that follow the traces of other fellow learners, and a study caravan def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pecified by the learner. ), can include the concept of an explicitly formed study team (Team), breaking away from anonymity. UPA stores and manages user input or learning pattern processes through a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module, and can cooperate with SSA using algorithms such as statistics, data mining, and analysis. In addition, STAs act as tutors by analyzing learners' activities, particip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or provide knowledge information as team leaders. When individuals cooperate or compete with each other in groups, and when intelligence or behaviors that did not exist suddenly appear,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becomes even greater. Therefore, through analysis of various user data extracted from UPA, user learning patterns are distinguished in the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module, and natural pheromones are formed. For example, from the user's perspective, even if there is a strategy I want to learn, or in a situation where I do not know anything at all, the agent can not only provide information about fellow users who have the most similar learning pattern, learning purpose, and learning direction, but also provide new knowledge. Learning, participation, and sharing become possible in real time.

사용자 경험에 의한 지능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환경과 동료 학습자들 간에 학습 지식정보를 공유하고, 다이내믹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학습을 많이 하고 있는지 혹은 어떤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는지 자세한 분석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학습에 관한 페로몬과 캐러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에이전트 개념을 통하여 지식인과 학습자 간 지식을 공유, 개방,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관리 및 유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와 정보들을 자동 분석하여 지능적으로 학습상황에 대처 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생태계 속에서 튜터와 튜티간에 협력적인 학습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다.By using an intelligent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experience, learners can share learning knowledge information between their own learning environment and fellow learners and utilize it dynamically. Learners can check detailed analysis of what path other learners are learning through or what content they are using, and check pheromones and caravans related to learning. Through this agent concep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tform to share, open, and participate in knowledge between intellectuals and learners, and to provide a structure to create, manage, and distribute new knowledge, and to provide data generated from users. and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analyzed and designed to intelligently respond to learning situations. Additionally, a cooperative learning ecosystem can be formed between tutors and tutees within the platform ecosystem.

<부정 수강 적발><False registration detected>

수료만을 위한 수강의 경우 사람들은 대부분 봇(Bot)을 이용하여 중간중간 나오는 팝업을 제거하고 사람이 직접 듣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수료가 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봇나 매크로가 작동하고 있다면 이를 모두 차단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전면 카메라를 작동시켜 기 설정된 주기 또는 랜덤으로 콘텐츠가 플레이될 때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도록 촬영을 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주기로 촬영을 했으나 사용자가 기 설정된 퍼센테이지만큼 없는 경우, 이는 부정 수강으로 보고 수료증을 발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보안의 이유로 전면 카메라를 막아놓은 경우에는, 현재 교육 콘텐츠가 플레이되는 노트북과 같은 사용자 단말(100) 외에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노트북과 근접하게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현재 교육 콘텐츠가 플레이되고 있는 주변에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노트북을 틀어놓고 사용자는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을 하거나 잘 수도 있으므로, 노트북에 키스트로크, 즉 키보드를 치거나 카카오톡을 활성화시키거나 하는 이벤트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현재 사용자가 자리에 없다고 파악하고 부정수강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aking a course just for completion, most people use bots to remove pop-ups that appear in the middle and provide the same effect as listening in person to make it look like the course has been completed. To prevent this, if any bots or macros are running, block them and operate the front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ake picture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present when content is played at a preset period or randomly. You can. If the photos are taken at a pre-set interval but the user does not meet the pre-set percentage, this can be viewed as illegal course attendance and no certificate of completion can be set to be issued. If the user blocks the front camera for security reaso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a smartphone, in addi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a laptop where educational content is currently played, is close to the laptop.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the vicinity where educational content is currently being played. Even at this time, the user may lie down on the bed and use the smartphone or sleep with the laptop running. Therefore, if no keystrokes, such as hitting the keyboard or activating KakaoTalk, occur on the laptop,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present. And it can be treated as an illegal course.

교수지원부(380)는, 교수 단말의 교수지원을 위하여 과정개설모듈, 강의실관리모듈 및 시험평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이하 표 2와 같을 수 있다.The professor support department 380 can provide a course creation module, a classroom management module, and an exam evaluation module to support professors on professor terminals. This can be summarized as Table 2 below.

교수지원Professor support 과정개설 모듈Course opening module -과정 운영 계획 수립 : 과정 분류 등록 관리
-강의 계획 수립 : 개설 강좌 강의 계획서, 진행 정보 등 등록
-평가계획 수립 : 개설강좌 평가 기준 설정
- Establishment of course operation plan: Course classification registration management
- Establishment of lecture plan: Registration of course syllabus, progress information, etc.
-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offered courses
강의실관리모듈Classroom management module -담당 과목 학습현황 조회 : 커리큘럼, 강좌개설, 게시판 현황 제공
-학습자료 관리 : 동영상 콘텐츠 업로드 인터페이스 제공, 학습자료 등록
- Check the learning status of the subject in charge: Provide curriculum, course opening, and bulletin board status
-Learning material management: Provides video content upload interface, registers learning materials
시험평가모듈Test evaluation module -학생관리 : 학생 별 현황 조회 화면 제공, 학생 진도 관리, 활동조회
-과제관리 : 과제출제, 제출과제 조회 및 점수 부여, 과제 피드백
-시험관리 : 시험출제, 성적 조회, 평가 결과 피드백
-교과상담 : 담당 학생들의 교과상담 질의내용에 대한 대응 처리
-Student management: Provide status inquiry screen for each student, student progress management, activity inquiry
-Assignment management: Assignment assignment, inquiry and score of submitted assignments, assignment feedback
-Test management: test submission, grade inquiry, evaluation result feedback
- Curriculum counseling: Responding to curriculum counseling inquiries from students in charge

이때, 교수 게시판이나 질의 게시판에는 유사한 질문을 반복해서 올리는 경우가 많다. 기 등록된 게시판의 글을 잘 못 찾거나 학생들 간 서로 초점이 달라서 동일한 답변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반복되는 질문 및 답변을 막기 위하여 질의어 확장의 검색엔진을 제공하거나, 동일한 질문인데 다르게 표현된 경우에는 동일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자연어처리 및 자연어해석을 통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생성형 GPT가 이용될 수도 있고 거대 언어모델이 이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milar questions are often posted repeatedly on professor bulletin boards or inquiry bulletin boards. There are many cases where students are unable to find the same answer because they have trouble finding the posted bulletin board posts or because students have different focuses. In these cases, to prevent repeated questions and answers, a search engine that expands the query language is provided, or the same question is expressed differently. In this case, an answer can be provided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natural language interpretation to provide the same answer. For this purpose, generative GPT may be used or a large language model may be used.

<질의어 확장><Query extension>

질의어 확장은 명사와 명사구를 워드 임베딩 모델을 활용하여 유사어/동의어로 확장할 수 있다. 제한된 양의 학습 데이터셋을 사용하는 경우 단어 확장 정확도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 학습 모델에 추가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추가 학습은 학습 코퍼스에서 특수문자 등을 제거 등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명사구 추출 지원하는 OKT 형태소분석기를 사용하여 명사와 명사구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명사구의 결과를 모두 학습시킨다. 명사구는 워드 임베딩 모델에서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기 위해 구분자로 각 단어를 연결하여 학습한다. 이렇게 학습한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 질의에서 분리한 명사와 명사구에 대한 확장을 수행한다. 확장된 질의어는 이를 카티션 곱하여 질의를 생성하고 검색을 수행한다. 데이터셋 검색 결과는 데이터셋 리스트와 데이터셋 유사도 점수를 반환할 수 있다. 그 다음 순위를 매겨야 하는데 연관성 높은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셋의 순위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헤드헌터들이 검색한 질의에 대해 선택된 데이터셋 로그를 활용하여 로그 학습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전에 선택된 데이터셋이 다른 데이터셋에 비해 재선택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다. 따라서, 키워드 검색 결과로 나온 유사도 점수와 로그 학습 모델이 제공하는 점수를 활용하여 랭킹을 부여하여 내림차순 정렬한다. 로그 학습 모델은 질의 결과 중 클릭한 데이터셋에 대한 로그를 기반으로 학습한다. 해당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질의와 클릭된 데이터셋을 도큐먼트 임베딩 모델을 활용하여 임베딩하고, 네거티브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클릭되지 않은 데이터셋 중 랜덤한 N 개에 대해 같은 방식으로 임베딩 하고 1과 0으로 레이블링 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학습한다. 이 모델의 결과 값은 해당 데이터셋의 클릭 확률을 의미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질의어를 확장할 수 있고, 사용자인 헤드헌터가 전문분야여서 다양한 유의어나 동의어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헤드헌팅 도메인 특화된 라이브러리나 사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질의어를 확장해줄 수 있으며, 정확한 키워드를 넣지 않더라도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Query word expansion can expand nouns and noun phrases into similar words/synonyms using the word embedding model. Since problems with word expansion accuracy occur when using a limited amount of training dataset, additional training can be performed on the pre-training model. Additional learning performs preprocessing tasks such as removing special characters from the learning corpus, and extracts nouns and noun phrases using the OKT morpheme analyzer that supports noun phrase extraction. At this time, all results of the extracted noun phrases are learned. Noun phrases are learned by connecting each word with a separator to recognize it as a single word in the word embedding model. Using the model learned in this way, expansion is performed on the nouns and noun phrases separated from the user query. The extended query word multiplies this by Cartesian to create a query and perform a search. Dataset search results can return a list of datasets and a dataset similarity score. Next, ranking is required. Data sets are ranked to provide highly relevant data first. For this purpose, a log learning model can be created using the dataset logs selected for the queries searched by headhunters. This is used because previously selected datasets have a higher probability of being reselected than other datasets. Therefore, the similarity score from the keyword search result and the score provided by the log learning model are used to assign a ranking and sort them in descending order. The log learning model learns based on logs for the dataset clicked on among the query results. To create the model, the input query and the clicked data set are embedded using the document embedding model, and a negative sampling technique is used to embed N random data sets among the non-clicked data sets in the same way and convert them to 1 and 0. Label and learn the stored data. The result of this model refers to the click probability of the data set. Of course, the query language can be expanded in a variety of way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nd even if the user, a headhunter, is in a specialized field and does not know various synonyms or synonyms, the query language can be expanded automatically using the headhunting domain-specific library or dictionary described above. And you can get accurate search results even if you do not enter the exact keyword.

<과제 자동 채점><Automatic grading of assignments>

인공지능(AI)이 도입되더라도 인간(전문가)의 역할이 완전히 배제되기 어려운 도로 주행이나, 항공기 조종, 의료, 법 집행 등의 영역에서는 일찍이 인간과 기계의 협업(Collaboration)이나 기계에 의한 인간의 능력 증대(Augmentation)를 기본 모델로 삼아 기계와의 협업을 전제로 한 시스템 개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이를 다루는 학문 담론 영역은 인지 공학(Cognitive Engineering)인데, 인지 공학은 인지 과학의 연구 결과와 공학적 설계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의 의사 결정 보조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나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작용 방식 등을 설계 하고자 하는 응용 연구 분야이다. 이러한 인지공학적 설계 접근에 따른 자동 시스템의 설계 과정은 일반적으로 첫째, 해당 영역의 실무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하 요인을 파악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보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빠르게 구현한 뒤, 셋째 반복적인 검증을 통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troduced, in areas such as road driving, aircraft piloting, medical care, and law enforcement, where the role of humans (experts) is difficult to completely exclud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or human capabilities by machines was early on. System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the premise of collaboration with machin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using augmentation as a basic model. The area of academic discourse that deals with this is cognitive engineering. Cognitive engineering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design approaches, and is designed to design systems to assist human decision-making and method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is is the field of applied research that we want to design. The design process of an automatic system according to this cognitive engineering design approach is generally: first, to identify the cognitive load factors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in the relevant field while performing tasks, and second, to design a system that can assist based on this and quickly. After implementation, it can be summarized as a series of processes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repeated verifica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과제를 채점하는 교수자, 강사 및 교사 등의 인간 채점자와 기계 채점자의 협업적 채점 상황을 기반으로 한 논증적 글쓰기 채점 수행 모델을 설계하는 단계로, 교사 채점자와 기계 채점자의 협업적 채점 상황을 가정하고, 채점 과정에서의 교사 채점자의 인지부하 경감을 위해서는 기계 채점자가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 등을 포함한 협업적 채점 수행 모델의 잠정적 안을 제안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부터는 이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에 해당 모델을 바탕으로 딥러닝 기반의 자연어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자동 채점 기능을 구현하고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후 세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협업적 평가 수행 결과를 분석하여 채점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ep to design an argumentative writing grading performance model based on a collaborative grading situation between human graders such as instructors, lecturers, and teachers who grade assignments, and machine graders. Assuming a collaborative grading situation between machine graders, it is possible to propose a tentative plan for a collaborative grading performance model, including what role the machine grader should play in order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of teacher graders in the grading process. The second step is to verify this. Accordingly, based on the model, we use deep 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o implement an automatic scoring function and develop an automatic scoring program. In the third step, the effectiveness of the scoring program can be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collaborative evaluation.

운영지원부(390)는, 관리자 단말의 운영지원을 위하여, 교육과정관리모듈, 학습운영모듈, 수강관리모듈, 사용자관리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The operation support unit 390 may provide a curriculum management module, a learning operation module, a course management module, and a user management modul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운영지원Operational support 교육과정관리모듈Curriculum management module -과정관리 : 과정의 영역별 분류 및 등록 관리, 기초정보 등록
-과목관리 : 상세과목에 대한 정보 등록 관리, 콘텐츠 및 교재 관리
-Course management: Classific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by course area, registration of basic information
-Subject management: Information registration management for detailed subjects, content and textbook management
강의실관리모듈Classroom management module -학습정보관리 : 학습에 대한 사전정보 및 등록 관리
-학습자 정보관리 : 현황조회, 수강 승인/변경/취소
-수강진행관리 : 수강 진행과정 조회 및 관리
-통계 및 리포트 관리 : 성적, 통계 관리
-메일 관리 ; 학습자 독려 메일 발송
-게시판 관리 : 공지사항, 자료실, 1:1 문의 관리
-Learning information management: Advance inform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for learning
-Learner information management: status inquiry, course approval/change/cancellation
-Course progress management: View and manage course progress
-Statistics and report management: Grades, statistics management
-Mail management; Sending learner encouragement emails
-Bulletin board management: Notices, data room, 1:1 inquiry management
사용자관리모듈
User management module
-교수 관리 : 교수 기본 정보 및 권한관리
-학생 관리 : 학생 개인 정보 조회 및 관리
-운영자 관리 : 운영자 기본 정보 및 등급 관리
-Professor management: Professor basic information and authority management
-Student management: View and manage student personal information
-Operator management: Operator basic information and rating management

상술한 기능 외에도 비대면에서도 교육훈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활동이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교육훈련 시스템 품질의 우수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비대면 교육의 핵심 요소를 고려하여 비대면 교육을 지원하는 LMS 평가지표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LMS 평가지표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MS를 평가하고, 상술한 기능이나 메뉴 외에도 더 추가할 기능이나 메뉴를 추천할 수 있다.또, LMS는 오픈소스 기반 LMS를 이용할 수도 있고, 서비스형 LMS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업용 LMS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픈소스 기반 LMS는, 예를 들어 개발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하고 한글화 및 커스터마이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Moodl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정보 시스템 간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한 변환모듈이 지원되며 학습자 추적, 채팅, 다이얼로그, 포럼, 용어사전, 저널, 퀴즈. 설문, 레포트의 기능을 지원한다. 국내보다는 국외에 더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 LMS지만, 한글이 지원되고 설치가 용이한 점을 우수하게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초중고 및 평생교육기관이 많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서비스형 LMS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이나 NHN인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edwith를 이용할 수도 있다. edwith(www.edwith.org)는 교육 혁신을 선도하고자 새로운 교육모델 및 플랫폼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개발된 MOOC 플랫폼이며, 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국내 유명 교수진의 강좌를 무료로 제공한다. 학교 및 교육기관 종사자라면 해당 플랫폼 내에서 직접 강좌를 개설하고 학습 콘텐츠를 운영할 수 있으며 edwith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접속이 가능하다. 수강생 관리, 학습자료 관리, 각종 평가 및 채점, 라이브 방송 등 LMS의 기능들을 충분히 포함하고 있다. 물론, 상술한 프로그램 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MS를 이용하거나 직접 개발하여 탑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ent should be developed similar to actual situ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designed to achieve learning goals. Additionally, excellence i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at supports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s requi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t an LMS evaluation index that supports non-face-to-face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key elements of non-face-to-face education, evaluate the L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t LMS evaluation index, and use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or menus. In addition, additional functions or menus to be added can be recommended. Also, the LMS can be an open source-based LMS, a service-type LMS, or a commercial LMS. Here, the open source-based LMS may use, for example, Moodle, which has an active development community and provides Korean language translation and customization services. A conversion module linking databases between information systems is supported, as well as learner tracking, chat, dialog, forum, glossary, journal, and quiz. Supports survey and report functions. Although it is an open source-based LMS that has a larger user base overseas than domestically, it is evaluated as excellent for supporting Korean and being easy to install. In Korea, many elementary, middle, high,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dopted and used it. You can also use Google Classroom, a service-based LMS, or edwith operated by Naver, NHN. edwith (www.edwith.org) is a MOOC platform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a new educational model and platform to lead educational innovation, and provides free courses by famous domestic professors focusing on the software field. Employees at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open courses and operate learning content directly within the platform, and can also access it through the edwith mobile app. It fully includes LMS functions such as student management, learning material management, various evaluations and grading, and live broadcasting.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gram, the L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or developed and installed directly.

추가적으로, 공지사항에 대한 검색결과를 더욱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검색엔진(Search Engine)을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로 제공하고 맞춤화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기관 포털 사이트는, 평생교육원 내부 구성원을 위한 공지사항이 업로드되는 웹사이트인데, 예를 들어, 업무공지사항, 학생공지사항, 학사공지사항, 수료공지사항, 입시공지사항 등 다양한 게시판이 나누어져 있고, 교직원이 적절한 게시판을 선택하여 공지사항을 게시글 형태로 작성한다. 교육기관 포털은 게시글에 대한 검색엔진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학생을 비롯한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게시글이 있을 때, 게시판에서 일일이 원하는 게시글을 직접 찾아볼 필요 없이 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게시글을 찾을 수 있다. Additionally, in order to find search results for announcements more quickly and easily, the search engine is provided as ElasticSearch and additional customiz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bsite where notices for members with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re uploaded, for example, work notices, student notices, academic notices, and completion notices. There are various bulletin boards for notices, entrance exam notices, etc., and faculty and staff select the appropriate bulletin board and write notices in the form of post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rovides a search engine for postings. For example, when users, including students, find a posting they are looking for, they can use the search function to find the posting without having to manually search for the desired posting on the bulletin board. .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은 일반적인 검색엔진의 대상 문서들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검색엔진이 사용자의 질의(Query)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기 어렵다. 주요한 특징으로는 게시글 사이의 하이퍼링크(HyperLink)가 거의 없고, 글 없이 포스터 등의 이미지(Image)만 포함하고 있는 게시글이 많으며, 반복되는 행사나 학사일정에 대한 공지가 많다는 것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공식적인 어휘들을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에 특화된 검색엔진을 설계하도록, 엘라스틱서치를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의 특징에 따라 맞춤화하는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할 수 있다.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hav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the target documents of general search engines, and these characteristics make it difficult for search engines to provide users with the results they want in response to their queries. Main characteristics include that there are almost no hyperlinks between posts, many posts contain only images such as posters without text, and there are many notices about repeated events or academic calendars. Additionally, it uses formal vocabulary that users do not use on a daily basis. According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ustomization that customizes Elasticsear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to design a search engine specialized for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일반적인 검색엔진의 검색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검색엔진은 ① 문서 모으기(Document Collecting), ② 글 처리(Text Processing), ③ 색인 만들기(Indexing), ④ 질의 처리(Query Processing), ⑤ 찾기(Searching), ⑥ 순위 매기기(Ranking)의 6 개의 단계로 진행된다. 문서 모으기 단계에서는 웹 크롤러(Web Crawler)가 사용된다. 검색엔진이 질의에 대해 결과로 줄 문서들을 모으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글 처리 단계에서는 토큰화(Tokenize), 정규화(Normalize), 불용어 제거(Stopword Elimination) 등이 이루어진다. 평문으로 되어있는 글을 형태소 분석(Stemming)을 통하여 각 형태소를 정규화 하고, 토큰들의 리스트(List)로 변형한다. 예를 들면, [수료자의 명단을 작성한다]는 문장은, [수료자-명사], [의-조사], [명단-명사], [을-조사], [작성한다-동사]와 같은 리스트로 변형된다. 또한, 불용어 제거를 통하여 글의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토큰들을 제거한다. 색인 만들기 단계에서는 문서들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색인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문서를 저장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역색인(Inverted Index)이다. 역색인을 통하여 검색엔진은 단어로부터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문서로의 매핑(Mapping)을 만들고 이를 저장한다. 색인 만들기를 함으로써 검색엔진은 찾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가 무엇인지를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낸 질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Looking at the search process of a general search engine, a search engine consists of ① Document Collecting, ② Text Processing, ③ Indexing, ④ Query Processing, ⑤ Searching, ⑥ Ranking is carried out in six stages. A web crawler is used in the document collection stage. This is the process where a search engine collects documents that will be returned as results for a query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In the text processing stage, tokenization, normalization, and stopword elimination are performed. Plain text text is normalized through morpheme analysis (Stemming) and transformed into a list of tokens. For example, the sentence [Create a list of graduates] is a list such as [Complete-noun], [Of-Particle], [List-Noun], [Eul-Particle], [Write-Verb] It is transformed. Additionally, tokens that do not affect the content of the text are removed through stopword removal. In the index creation stage, an index is created so that documents can be accessed quickly and documents are stored based on this index.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 is Inverted Index. Through an inverted index, the search engine creates a mapping from a word to a document containing the word and stores it. By creating an index, the search engine can quickly find documents containing the word you are looking for, so it can quickly process queries sent by users.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검색엔진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질의를 검색엔진에 보낸다. 가장 대중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웹(Web) 기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가 있다. Google과 Naver같은 포털 사이트가 그 예시이다. 질의 처리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보낸 질의를 찾기 단계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가공한다. 글 처리 단계에서 문서를 처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형태소 분석을 통해 토큰화와 정규화가 진행된다. 또한, 유의어 처리를 위한 유의어 분석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직무능력]라는 단어에 대한 유의어가 [직무스킬]이라는 정보를 검색엔진이 알고 있다면, 검색엔진은 질의를 [직무능력]라는 단어가 들어있는 문서 뿐 아니라 [직무스킬]이라는 단어가 들어있는 문서도 찾도록 질의를 가공한다.Users using search engines send queries to the search engine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search engine. The most popular user interface is the web-based graphic user interface. Portal sites such as Google and Naver are examples. In the query processing stage, the query sent by the user is processed so that it is easy to use in the search stage. Similar to document processing in the text processing stage, tokenization and normalization are performed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dditionally, synonym analysis is performed to process synonyms. For example, if a search engine knows that the synonym for the word [job competency] is [job skill], the search engine will query not only documents containing the word [job competency] but also the word [job skill]. The query is processed to also find documents containing .

찾기 단계에서는 주어진 질의에 관련된 문서를 색인으로부터 찾는다. 역색인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이미 단어별로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문서의 리스트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질의에 포함된 토큰들을 포함하는 문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질의가 여러 개의 토큰을 포함한다면, 문서를 선정하는 데 여러 가지 전략이 고려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하게는 모든 토큰을 포함하는 문서만 선정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질의에 관련된(Relevant) 문서를 검색 결과에 포함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져 신뢰도(Recall)가 낮아지나, 관련되지 않은 문서를 포함할 가능성은 낮아져 정확도(Precision)가 높아진다. 이와 반대로, 한 개의 토큰만 포함하더라도 검색 결과에 문서를 포함하는 전략도 존재한다. 이 경우 신뢰도에는 유리하나 정확도에는 불리하다. 일반적으로는 두 전략을 절충하여, 일정 비율 이상의 토큰을 포함하는 문서를 선정 하는 전략을 사용한다.In the search step, documents related to a given query are searched from the index. When using inverted indexing technology, you can easily find documents containing the tokens included in the query because the list of documents containing the word is already mapped for each word. If the query includes multiple tokens, several strategies can be considered for selecting documents. The simplest way is to select only documents that contain all tokens. In this case, the likelihood of not including documents related to the query (relevant) in the search results increases, lowering reliability (recall), but the likelihood of including irrelevant documents decreases, thereby increasing precision. Conversely, there are also strategies that include documents in search results even if they contain only one token.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for reliability but disadvantageous for accuracy. Generally, a strategy is used that compromises the two strategies and selects documents containing a certain percentage of tokens or more.

순위 매기기 단계에서는 찾기 단계에서 찾은 문서들을 질의에 대한 관련성(Relevance)이 높은 순서로 정렬한다. 질의에 관련된 문서가 많은 경우, 그 중 가장 관련된 문서를 먼저 보여주는 것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순위 매기기 단계가 좋은 품질의 검색엔진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연결 분석(Link Analysis)으로 문서들 사이에 존재하는 하이퍼링크의 개수와 중요도를 분석한다. 더 중요한 문서는 다른 중요한 문서로부터 많은 하이퍼링크를 받을 것이라는 가정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페이지랭크(PageRank)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글 분석(Text Analysis)으로 글에 포함된 단어의 개수와 위치를 분석하는데, 예를 들어, TF-IDF(단어 빈도-역 문서 빈도)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ranking stage, the documents found in the finding stage are sorted in order of high relevance to the query. When there are many documents related to a query, showing the most relevant documents first has a great impact on user experience, so the ranking step is important in creating a high-quality search engine. Algorithms used to determine ranking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Link Analysis, which analyzes the number and importance of hyperlinks between documents. More important documents are rank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will receive more hyperlinks from other important documents. For example, the PageRank algorithm can be used. The second is text analysis, which analyzes the number and location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For example, TF-IDF (word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can be used.

<교육기관 포털 검색엔진><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search eng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의 특징을 반영하여 검색엔진의 글처리, 질의 처리, 순위 매기기의 맞춤화를 진행할 수 있다. 글 처리 단계에서는 게시글 본질의 내용을 토큰화, 정규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글자 인식 라이브러리(Library)를 사용하여 게시글에 포함된 이미지의 글자를 추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본문에 핵심적인 단어가 포함되지 않고 이미지에만 핵심적인 단어가 들어있는 경우도 검색엔진이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다. 토큰화와 정규화를 위한 형태소 분석기는 엘라스틱서치가 영어와 한국어 분석기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분석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오픈 소스(Open Source)인 한국어 분석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은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같은 메타데이터(Metadat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메타데이터도 추출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engine's post processing, query processing, and ranking can be customiz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In the post processing stage, the essential content of the post is not only tokenized and normalized, but also the letters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post are extracted using a letter recognition library. Through this process, the search engine can correctly process cases where key words are not included in the text but only in the image. The morpheme analyzer for tokenization and normalization can be used because Elasticsearch provides English and Korean analyzers by default, and other open source Korean analyzers can be used as needed. In addition, since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have metadata such as author, creation date, and number of views, these metadata are also extracted.

질의 처리 단계에서는 유의어 처리를 진행한다. 엘라스틱서치는 유의어 리스트가 제공될 시 자동으로 질의를 가공하여, 원래 질의에 들어있던 토큰이 들어있는 문서 뿐 아니라 유의어가 들어있는 문서도 검색 결과에 포함되도록 만든다. 하지만,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은 일반적인 한국어 유의어와는 다른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존재하는 한국어 유의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에 적합한 유의어 리스트를 직접 만들 필요가 있다. 유의어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행동 경향을 분석해야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라는 단어를 검색한 뒤, 아무 검색 결과도 선택하지 않고 B라는 단어로 다시 검색했다면, A와 B는 유의어 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많이 수집한다면 자동으로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을 위한 유의어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In the query processing stage, synonym processing is performed. Elasticsearch automatically processes the query when a list of synonyms is provided, so that not only documents containing tokens included in the original query but also documents containing synonyms are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s. However, because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use words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Korean synonyms,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the existing Korean synonym datab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nonym list suitable for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To create a synonym list, you need to analyze users' behavioral trends. For example, if a user searches for the word A and then searches again for the word B without selecting any search results, it can be assumed that A and B are likely to have a synonymous relationship. If you collect a lot of data like this, you can automatically create a list of synonyms for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순위 매기기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엘라스틱서치가 제공하는 TF-IDF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에 추가적으로 글 처리 과정에서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순위 매기기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회수가 많고 작성 일시가 최신일수록 높은 순위가 된다. 조회수가 높다는 것은 많은 사용자가 원하는 게시글이라는 의미이므로, 검색 결과로 제공했을 때 사용자가 만족할 확률이 높다. 또한, 작성일시가 최근이라는 것은 반복적인 행사 중 최근 행사에 대한 공지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게시글일 가능성이 높다. 이를 통하여 검색엔진을 맞춤화할 수 있다. 이때, 띄어쓰기가 적용된 경우 다른 단어로 인식하지 않도록 띄어쓰기도 조정할 수 있고, 복수의 사이트에 개별적으로 흩어진 정보의 경우에는 각 사이트의 게시글을 모두 모아서 통합하는 분류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의 결과, 예를 들어, 수업정보를 찾을 때 메인 페이지에서 찾을 수 없고 여러 단계를 거쳐 들어가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까지의 경로길이를 줄이기 위해 메인 페이지의 검색창에서 바로 원하는 결과의 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검색엔진 외에도 다양한 검색엔진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 상술한 검색엔진은 공지사항 외에 각종 검색창에서 이용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ranking stage, you can basically use the TF-IDF algorithm provided by Elasticsearch, and in addition, you can improve the ranking results by using metadata extracted during the article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the more views it has and the more recent the creation date, the higher the ranking. A high number of views means that the post is wanted by many users, so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users will be satisfied when it is provided as a search resul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reation date is recent means that it is a notice about a recent event among repetitive event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st is what the user wants. This allows you to customize the search engine. At this time, if spacing is applied, the spacing can be adjusted so that it is not recognized as a different word, and in the case of information individually scattered across multiple sites, class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collecting and integrating all posts from each si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user's navigation, for example, when looking for class information, if it cannot be found on the main page and must go through several steps, the search box on the main page will be opened to reduce the path length until the user finds the desired information. You can set it so that you can immediately find the page with the desired results.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various search engine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earch engines.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above-mentioned search engine can be set to be used in various search windows other than announcements.

엑세스관리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인증결과에 따라 클라우드 플랫폼 내 엑세스가능한 콘텐츠를 결정 및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엑세스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엑세스권을 부여할 수 있다.The access management unit 391 stores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in the cloud platform, and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100, determines and stores accessible content in the cloud platform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Access rights to content accessible from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granted.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MS의 구조이고, 이는 현재 도 4a 내지 도 4n과 같이 구현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n의 웹페이지는 개발중이므로 이러한 메뉴, 구조, 사이트맵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s 3a to 3f show the structure of an L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as shown in Figures 4a to 4n. Since the web pages of FIGS. 4A to 4N are under development, they are not limited to these menus, structures, site maps, etc.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in Figure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through Figure 1, or can be easily explained from the explained contents. Since inference is possible,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할 때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교육과정을 인증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uploads and stores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S5100), and authenticates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by the user terminal when signing up at the user terminal (S5200).

또,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증의 결과로 사용자 단말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가입된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고(S5300),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한다(S5400).In addition,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confirms the curriculum of the user terminal as a result of authentication, grants access to the user terminal for conten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curriculum (S5300), and provides access to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s of are output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sequ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change,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in Figure 5 are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explained from the contents explain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through Figures 1 to 4. Since inference is possible,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in Figure 5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there is.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by default o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programs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the user installs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services linked to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readable by a computer such as in the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ny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cord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 중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교육과정을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의 결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교육과정을 확인하고, 가입된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부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가입된 교육과정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는,
근로자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내일배움과정, 평생교육바우처로 수강하는 바우처과정, 직무과정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직무향상과정 및 법으로 정해진 사항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법정의무교육과정의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분류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는 학습지원, 상기 교육과정에 따른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 단말로는 교수지원, 상기 교육과정에 따른 운영을 지원하는 운영지원을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로 제공하는 LMS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학습지원을 위하여 교과학습모듈, 시험평가모듈, 과제평가모듈 및 교과상담모듈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활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자 수준을 분석·예측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학습경과에 대한 분석 정보와 맞춤형 처방 자료를 제공하는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 및 학습공간을 위한 학습자와 지식인들을 관리하는 에이전트의 활용하는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플랫폼을 제공하는 학습지원부;
상기 교수 단말의 교수지원을 위하여 과정개설모듈, 강의실관리모듈 및 시험평가모듈을 제공하는 교수지원부;
관리자 단말의 운영지원을 위하여, 교육과정관리모듈, 학습운영모듈, 수강관리모듈, 사용자관리모듈을 제공하는 운영지원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육과정에 따른 콘텐츠를 클라우드 플랫폼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을 수행한 경우,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내 엑세스가능한 콘텐츠를 결정 및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엑세스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엑세스권을 부여하는 엑세스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수지원부는,
명사와 명사구를 워드 임베딩 모델을 활용하여 유사어/동의어로 확장하여 교과를 상담하는 질의 게시판에 동일한 질문인데 다르게 표현된 경우에 동일한 답변을 제공하도록 자연어처리 및 자연어해석을 통한 답변을 제공하는 질의어 확장과, 학습 코퍼스에서 특수문자를 제거하는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명사구 추출을 지원하는 OKT 형태소분석기를 사용하여 명사와 워드 임베딩 모델에서 하나의 단어로 인식하기 위해 구분자로 각 단어를 연결하여 학습된 명사구를 추출하여 추가 학습하고 확장된 질의어에 카티션 곱하여 질의를 생성 및 검색을 수행하고, 데이터셋 리스트와 데이터셋 유사도 점수를 반환한 데이터셋 검색 결과에 연관성 높은 데이터를 우선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셋의 순위를 부여하기 위해 헤드헌터들이 검색한 질의에 대해 선택된 데이터셋 로그를 활용하여 로그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키워드 검색 결과로 나온 유사도 점수와 로그 학습 모델이 제공하는 점수를 활용하여 랭킹을 부여하여 내림차순 정렬하고, 질의 결과 중 클릭한 데이터셋에 대한 로그를 기반으로 학습된 로그 학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질의와 클릭된 데이터셋을 도큐먼트 임베딩 모델을 활용하여 임베딩하고, 네거티브 샘플링 기법을 사용하여 클릭되지 않은 데이터셋 중 랜덤한 N 개에 대해 같은 방식으로 임베딩 하고 1과 0으로 레이블링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학습한 결과 값은 해당 데이터셋의 클릭 확률로 하여 질의 게시판에 질의어를 확장하고,
상기 운영지원부는,
비대면 교육을 지원하는 LMS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LMS 평가지표에 따라 LMS를 평가하고, 검색엔진(Search Engine)을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로 제공하여 정보 시스템 간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한 변환모듈이 지원되어 학습자 추적, 채팅, 다이얼로그, 포럼, 용어사전, 저널, 퀴즈. 설문, 레포트의 기능과, 공지사항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되, 엘라스틱서치를 ① 웹 크롤러(Web Crawler)를 통해 문서 모으기(Document Collecting) 단계, ② 토큰화(Tokenize), 평문으로 되어있는 글을 형태소 분석(Stemming)을 통하여 각 형태소를 정규화(Normalize)하고, 글의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토큰들을 제거하는 불용어 제거(Stopword Elimination)로 글 처리(Text Processing)단계, ③ 문서들에 색인을 만들어 바탕으로 문서를 저장하는 색인 만들기(Indexing) 단계, ④ 형태소 분석을 통해 토큰화와 정규화가 진행 및 유의어 처리를 위한 유의어 분석하는 질의 처리(Query Processing) 단계, ⑤ 질의에 관련된 문서를 색인으로부터 찾기(Searching) 단계, ⑥ 찾기 단계에서 찾은 문서들을 연결 분석(Link Analysis)으로 문서들 사이에 존재하는 하이퍼링크의 개수와 중요도를 분석하고, 엘라스틱서치가 제공하는 TF-IDF 알고리즘을 이용하되 글 처리 단계에서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순위 매기기 결과를 개선하여 질의에 대한 관련성(Relevance)이 높은 순서로 정렬하는 순위 매기기(Ranking)의 6 개의 단계로 진행하여 교육기관 포털 게시글의 특징에 따라 맞춤화하는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that outputs content of a subscribed curriculum among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nd
A storage unit for uploading and storing content according to at least one curriculum,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curriculum subscribed to by the user terminal when signing up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firming the curriculum of the user terminal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and a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granting unit that grants access rights to the user terminal to conten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curriculum,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content of the subscribed curriculum from the user terminal;
The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erver is,
Provides categories of tomorrow's learning courses to improve workers' job skills, voucher courses taken with lifelong education vouchers, job improvement courses that provide content necessary for job courses, and statutory mandatory training courses that provide content on matters stipulated by law. a classification unit that does;
An LMS unit that provides learning support as the user terminal, professor support as the professor's terminal in charge of lectur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operational support to suppor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rough an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support learning on the user terminal, the learner's learning activity data is collected using the curriculum learning module, test evaluation module, task evaluation module, and curriculum consultation module, and the learner's level is analyzed and predicted to provide instructor and learner analysis of the learning progress. A learning support department that provides an intelligent learning analysis platform that provides information and customized prescription materials and an intelligent tutoring agent platform that utilizes agents to manage learners and intellectuals for the learning space;
A professor support department that provides a course creation module, a classroom management module, and an exam evaluation module to support professors using the professor terminal;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 operation support department that provides a curriculum management module, learning operation module, course management module, and user management module;
Store content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curriculum on a cloud platform, and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e user terminal, determine and store accessible content within the cloud platform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and content accessible on the user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an access management unit that grants access rights to,
The faculty support department said,
Query language expansion that provides answers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natural language interpretation to provide the same answer when the same question is expressed differently on the inquiry bulletin board for consulting subjects by expanding nouns and noun phrases into similar words/synonyms using a word embedding model. , perform a preprocessing task to remove special characters from the learning corpus, and use the OKT morpheme analyzer that supports noun phrase extraction to connect each word with a separator to recognize it as a single word in the noun and word embedding model to create the learned noun phrase. Extract, learn further, and Cartesian multiply the expanded query to create and search queries, and rank the dataset to provide highly relevant data first in the dataset search results that return the dataset list and dataset similarity score. In order to assign a ranking, a log learning model is created using the dataset log selected for the queries searched by headhunters, and a ranking is assigned using the similarity score from the keyword search result and the score provided by the log learning model to sort in descending order. , In order to create a log learning model based on the log of the clicked dataset among the query results, the input query and the clicked dataset are embedded using a document embedding model, and a negative sampling technique is used to embed the unclicked data. Among the three, N random numbers are embedded in the same way, labeled as 1 and 0, and the saved data is learned. The result value is set as the click probability of the relevant dataset, and the query is expanded on the query board.
The operation support department said,
A conversion module that sets LMS evaluation indicators that support non-face-to-face education, evaluates the LMS according to the set LMS evaluation indicators, and provides a search engine as ElasticSearch to link databases between information systems. Supports learner tracking, chat, dialog, forum, glossary, journal, and quizzes. It provides survey and report functions, and search results for announcements, but Elasticsearch uses ① document collecting through a web crawler, ② tokenization, and plain text text. Normalize each morpheme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Stemming), and stopword elimination to remove tokens that do not affect the content of the text. Text processing step; ③ Create an index on the documents ④ Query processing step where tokenization and normalization are performed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nd synonyms are analyzed for synonym processing; ⑤ Finding documents related to the query from the index ( Searching stage, ⑥ Analyze the number and importance of hyperlinks between documents through link analysis of the documents found in the finding stage, and use the TF-IDF algorithm provided by Elasticsearch, but at the text processing stage. By using the extracted metadata to improve the ranking results and proceed through six stages of ranking to sort the query in order of relevance, customiz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ortal posts. A public institution-linked lifelong edu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05494A 2023-08-11 2023-08-11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KR102660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494A KR102660170B1 (en) 2023-08-11 2023-08-11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494A KR102660170B1 (en) 2023-08-11 2023-08-11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170B1 true KR102660170B1 (en) 2024-04-24

Family

ID=908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494A KR102660170B1 (en) 2023-08-11 2023-08-11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35A (en) * 2020-07-31 2022-02-08 민환기 System for providing academic institution management service for educational organization
KR102382385B1 (en)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Integrated online education platform system and integrated online education method
KR102418472B1 (en) * 2021-03-29 2022-07-08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KR102520831B1 (en) * 2022-07-08 2023-04-13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Statutory compulsory training curating platform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35A (en) * 2020-07-31 2022-02-08 민환기 System for providing academic institution management service for educational organization
KR102418472B1 (en) * 2021-03-29 2022-07-08 주식회사 비주얼이즈 System for providing e-learning based mandatory workplace training service
KR102382385B1 (en)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Integrated online education platform system and integrated online education method
KR102520831B1 (en) * 2022-07-08 2023-04-13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Statutory compulsory training curating platform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러닝플러스에서 평생교육바우처로 NCS직업교육 무료로 수강하는 방법"(2023.06.02.), <인터넷: https://blog.naver.com/bassguitar12/22311836039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van et al. Reducing unintentional plagiarism amongst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biological sciences: An embedded academic writing development programme
Abedi et al. Assessment accommodation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Implications for policy-based empirical research
Maybee Understanding our student learners: A phenomenographic study revealing the ways that undergraduate women at Mills College understand using information
Cheeseman et al. Taking stock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of the policy literature
Jindapitak et al. Bringing Global Englishes to the ELT classroom: English language learners’ reflections
Hatun Ataş et al. A question–answer system for mobile devices in lecture-based instruc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Baker et al. Trends in mathematics specialist literature: Analyzing research spanning four decades
Olsen et al. “I just Wikipedia it”: Information behavior of first‐year writing students
Stegu et al. Panel discussion: language awareness vs. folk linguistics vs. applied linguistics
TW201816747A (en) Online teaching and action learning system
Caires-Hurley et al. Transforming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documenting missed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perspectives
Morton Afterword: SFL, theoretical pluralism and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ion at the levels of curriculum, pedagogy and assessment
Lee et al. Plagiarism‐free inquiry project‐based learning with UPCC pedagogy
Jamil et al. Environmental journalism education beyond the conventional pedagogical approaches: Exploring the scope of experiential learning to train Pakistan’s journalism students
Slavova et al. INCREASING THE DIGITAL COMPETENCES OF STUDENTS.
KR102660170B1 (en) System for providing life long education service associating with public agency
Cassidy et al. Literacy trends and issues today: An on-going study
Kana et al. Lived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blindness learning and using Braille at Haramaya University in Ethiopia
Le Design of interactive English reading teaching system based on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Anderson A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with multiple resources in an undergraduate physiology course: retrieve or look it up
Liggett et al. Language use and racial redirect in the educational landscape of ‘just good teaching’
Moody et al.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for second language writing instruction: A content analysis
Potter et al. Strengthening collaboration for successful field experiences
Johnstone et al. Assessment in an era of accessibility: Evaluating rules for scripting audio representation of test items
Głowacka et al.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f students’ competencies: A comparativ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