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496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496B1
KR102656496B1 KR1020160154736A KR20160154736A KR102656496B1 KR 102656496 B1 KR102656496 B1 KR 102656496B1 KR 1020160154736 A KR1020160154736 A KR 1020160154736A KR 20160154736 A KR20160154736 A KR 20160154736A KR 102656496 B1 KR102656496 B1 KR 10265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liner
open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6870A (en
Inventor
박규태
이항복
채지석
오경석
이상명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496B1/en
Publication of KR2018005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870A/en
Priority to KR1020240046308A priority patent/KR20240053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으며, 동시에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하고 정보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selectively made transparent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at the same time, screen output is possible, so that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can be seen and information output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this possible.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Refrigerator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refrigerators are designed to keep stored food in optimal condition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er quality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are being released to ensure user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Refrigerator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ructure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식품의 저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Typically, refrigerators have a problem in that the food inside cannot be checked unless the door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door must be opened to check whether the desired food is stored in the space inside the cabinet or in a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door. Additionally, if the exact location of food storage is not known, the opening time or number of times the door is opened may increase, a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leakage of cold air may occur.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 일부를 투명하게 하거나 고내를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frigerators have been developed that make part of the refrigerator door transparent or allow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be see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선택적으로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selectively made transparent by a user's manipulation, allowing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or to be seen through when the refrigerator door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capable of selectively displaying a screen. The purpose is to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선택적인 온/오프에 따라 도어 일부를 형성하는 투시부가 투명, 불투명 또는 화면 출력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transparent part forming part of the door can be transparent, opaque, or display a screen according to the selective on/off of the door light and the display ligh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조립 장착 및 발포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it is easy to assemble, mount, and foam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게가 무거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heavy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to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투명 도어 어셈블리 사이가 접하도록 하여 보다 일체감 있는 외관을 구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realizes a more unified appearance by allowing contact between the out plate forming the exterior and the transparent door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한 프론트 패널;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투명한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발포 성형된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 방향으로 개방된 도어 라이트 장착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의 개방된 부위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that forms a storage space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door forms a rear side of the door and has a liner opening. door liner; a transparent front panel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a transparent rear panel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engaging the liner opening; a module fram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form an insulating space; an insulation material foam-mol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odule frame, the door liner, and the out plate;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door liner and the rear panel and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liner opening; It includes a door ligh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상기 도어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로 구성되어져, 상기 메인 도어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의 상측이 개폐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is composed of a main door and a sub-door, and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spac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상기 도어 라이너는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의 중앙에 상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ner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it is possible for the liner opening to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oor liner.

상기 라이너 개구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라이너 돌출부가 형성되며,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 liner protrusion protruding backward is formed around the liner opening, and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protrusion.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리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ght can support the back of the rear panel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도어 라이너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어 패널의 후방을 밝히며, 상기 리어 패널과 평행한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과 마주보며 적어로 일부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라이트 하우징;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모듈; 및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과되어 면발광되는 라이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ghts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oor liner in opposite directions to illuminate the rear of the rear panel, and have a mounting surface parallel to the rear pan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light facing the mounting surface inclined or rounded. A light housing in which a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a lighting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and emitting light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and a light cover that shields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and transmits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to emit surface light.

상기 단열 공간 내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투명하게 구성되어 투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모듈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리어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외측에서 상기 도광판의 단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상기 리어 패널과 도광판의 사이에서 상기 리어 패널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프론트 패널과 도광판 사이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간봉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side the insulated space, a displa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and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and capable of being seen through; a light guide plate located in an inner area of the module frame and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and the rear panel; a display light that irradiates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an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a space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rear panel and the light guide plate; It is possible to include an interval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light guide plate to support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모듈 프레임의 둘레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며, 상기 실런트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여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단열재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 sealant is applied around the module frame, and the sealant forms a peripheral surface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insulation material.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단열재와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ght mounting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ulation material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리어 패널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라이너 개구는 상기 리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ght is located at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and the liner opening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panel.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라이너 개구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도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can be opened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ner open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투명한 프론트 패널;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투명한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발포 성형된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리어 패널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방향으로 개방된 도어 라이트 장착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의 개방된 부위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door includes an out plate forming a side of the door; a door liner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having a liner opening; a transparent front panel that forms the front of the door and is coupled to the out plate; a transparent rear panel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engaging the liner opening; a module fram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form an insulating space; an insulation material foam-mol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odule frame, the door liner, and the out plate;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door liner and the rear panel and open in the liner open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a door ligh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open portion of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구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 plate includes a front portion that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door; A side portion forming a side exteri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 plat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include an opening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backward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 opening.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이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 접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 절곡부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수용홈;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접착되는 프론트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further includes an inner fram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late open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and supporting the periphery of the plate opening from the rear, wherein the inner frame includes: a plate support portion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a plat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an end of the plate support portion and into which the opening bend portion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include a front panel support portion that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and is adher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상기 개구 절곡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패널을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 bent portion can be inserted through the inner frame to couple the out plate and the front panel.

상기 프론트 패널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론트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리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 front protrusion exten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module frame and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is formed around the front panel, and a front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rear panel exten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module frame and supported by the door liner. It is possible for a rear protrusion to be formed.

상기 프론트 돌출부는 상기 리어 돌출부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for the front protrusion to extend further outward than the rear protrusion.

상기 도어 라이너에는 상기 리어 돌출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리어 패널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A rear panel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may be formed on the door liner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rotrusion.

상기 리어 패널의 폭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사이 거리보다는 작고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width of the rear panel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frames and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anel supports.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둘레가 형성하는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발포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oam mold by filling the space formed around the outer plate, the door liner, the inner frame, and the front panel with a foaming liquid.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도어에 수납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는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어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라이트의 온오프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가 선택적으로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열지 않고 상기 투시부를 통해서 수납 공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소비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part that can see throug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door, the transparent part includes a transparent display, and the transparent part is selectively transparent depending on the on/off of the door light and the display light. or it may become opaqu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without open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ich can be expected to improve convenience in use and improve power consumption.

또한, 상기 투시부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동작되어 각종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조작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ransparent unit, the display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o output various screens, and various information for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and manipulation can be input,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외측 둘레면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 및 실런트에 의해 발포시 발생되는 열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차단하여 발포시 열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frame and sealant that for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block the heat generated during foaming from directly affecting the display panel,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due to heat during foaming. there is.

그리고, 이너 프레임과 도어 라이너에 각각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전방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삽입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조립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ar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and the door liner, respectivel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can be inserted and mounted from the front, which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assembly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이너 프레임, 도어 라이너 및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모듈의 사이에 폐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열재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이 가능하게 되어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열재의 성형시 프론트 패널의 프론트 돌출부와 리어 패널의 리어 돌출부가 더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둘레면에 접하는 단열재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closed space between the outer plate, the inner frame, the door liner,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module, it is possible to inject a foaming liquid for molding the insulation material, thereby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when molding the insulating material, the front protrusion of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rotrusion of the rear panel are made to protrude further, so that the heavy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can be fixed more stably and firmly by the insulating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프론트 패널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의 단차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과 프론트 패널의 전면이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이어지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late and the front panel can be supported from the rear by the inner fram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plate and the front panel of the front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by the step of the inner frame, so that the sub door It can prevent steps from occurring on the front and improve the appearance.

또한, 상기 이너 프레임의 절곡부 수용홈에 의해 절곡된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단부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둘레면과 접하도록 하여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프론트 패널의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관이 한층 더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outer plate bent by the bent portion receiving groove of the inner frame can be fixed at a set posi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outer plate and the front panel. This can be done, and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appearance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전방에서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서브 도어 상단의 절결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빛의 조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도어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sub door of the refrigerator ope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ope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viewed from the rear.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frame.
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ame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ame viewed from the rear.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p deco and the PC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p deco and the PC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rear.
Figure 1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sub door.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door and sub door.
Figure 1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door and sub door.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side of the patient's stomach can b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reen is outpu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irradiation state of the door ligh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regressive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veloped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can be sugges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 cabinet 10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도 4에서 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may be divided up and down by a barrier (11 in FIG. 4), and a refrigerating chamber 12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0 and a freezer compartment in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10. (13) can be formed.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composed of a refrigerator door 20 and a freezer door 30.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by rotating i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 by rotating it.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pair so th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is shielded by the pair of doors. Additionall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pair so that the freezer compartment 13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air of doors. Of course, the freezer door 30 may be configured to be withdrawn in a drawer type as needed, and may be configured as one or more.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various storage members such as shelves, drawers, or baske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3. If necessary, the storage member can be withdrawn and withdrawn wi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open, and food can be stored by withdrawing and retrac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freez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13 is provided at the bottom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a refrigerator in which a pair of doors are rotated to open and close a single space is applied as an examp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refrigerators equipped with doors,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form an overall appearan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entire refrigerator 1 can have a metal texture. Additionally, if necessary, one of the pair of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20 may be equipped with a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하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상단에는 함몰된 손잡이 홈(201,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홈(201,301)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30)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recessed handle grooves 201 and 30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top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A user can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into the handle grooves 201 and 301.

한편, 적어도 일측의 도어는 고내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도어 배면의 저장공간 및/또는 고내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영역인 투시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부(2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에 수납된 식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oor on at least one side may be formed to allow visibility into the interior of the compartme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21, which is an area capable of seeing the storage space on the back of the door and/or the interior space. The transparent portion 21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The transparent part 21 can be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depending on the user's manipulation, and the food stored in the container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21.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실 도어(20)에 상기 투시부(2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투시부(21)는 냉장고의 구조와 형태에 따라 상기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냉장고 도어에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art 21 is form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as an example, but the transparent part 21 is form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refrigerator. ) may also be provided on other types of refrigerator doors, including.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sub door of the refrigerator ope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ope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3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mong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20,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n the right side (as seen in FIG. 3) may be configured to be dually opened and closed. In detail,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located on the right side includes a main door 40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door 40 that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main door 40 ( It may be composed of a sub door 50 that opens and closes 41).

상기 메인 도어(40)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좌측(도 1에서 볼 때)의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된다. The main door 4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on the left (as seen in FIG. 1) among a pair of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20, and has an upper hinge 401 and a lower hinge 402. 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at least pa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an opening 41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main door 40. A door basket 431 may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40, includ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41.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opening 41 may be formed to occupy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except for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door 40.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둘레에는 메인 가스켓(45)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폐시 상기 캐비닛(10) 내부 공간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a main gasket 45 is provid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40 to prevent cold air from leaking ou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binet 10 when the main door 40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상기 개구부(41)를 노출 시킬 수 있다.The sub door 5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1. Therefore, the opening 41 can be exposed by opening the sub door 50.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는 결합된 상태가 되어 좌측에 형성된 냉장실 도어(20)와 그 크기와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는 서브 가스켓(503)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sub door 5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door 40 and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In addition,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are coupled and can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formed on the left side. . Additionally, a sub gasket 503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ub door 50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선택적으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화면의 출력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투시부(21)는 상기 서브 도어(50)상에서 고내측이 보여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전체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sub door 50 is equipp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 the center that allows selective viewing of the interior and simultaneously outputs a screen. Accordingly, even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inside of the opening 41 can be selectively viewed and an image can be output. The transparent portion 21 may be defined as a portion of the sub door 50 where the inside of the cupboard is visible, and may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entir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서만 투명하게 되어 고내를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hange its state to transparent or opaque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Therefore, it becomes transparent only in the state desired by the user to make the interior visible, and in other states it can remain opaque. Additionally, it may be possible to output a screen whil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transparent or opaque.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서브 어퍼 힌지(501)와 서브 로어 힌지(502)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b door 50 is provided with a sub upper hinge 501 and a sub lower hinge 502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Accordingly, the sub door 50 may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1 when the main door 40 is closed.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개방장치(5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록킹 유닛(4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의 결합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장치(59)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구속이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를 기준으로 개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ub door 5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device 59, and the main door 4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device 59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unit 42. Accordingly, the sub door 50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combining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locking unit 42, and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locking unit 42 can be maintained by manipulating the opening device 59. When the locking unit 42 is released, the sub door 50 may be opened relative to the main door 4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 홈(201)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메인 도어(40)가 회동되면서 상기 냉장실(12)이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locking unit 42 remain coupled, and 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groove 201 is held and pulled, the main door door 50 is closed. As (40) rotat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may be opened.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장치(59)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개방장치(59)와 상기 록킹 유닛(42) 분리된 상태가 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41)가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ning device 59 of the sub door 50 while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locking unit 42 are separated and the sub door 50 is closed. Only (50) can be rotated. Also, the opening 41 may be opened by rotation of the sub door 5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에는 댐핑장치(5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50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브 로어 힌지(502)와 인접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과 측단 모서리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damping device 504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b door 50. The damping device 504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sub door 50 and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and side edge of the sub door 50 adjacent to the sub lower hinge 502.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방장치(59)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개방장치(59)와 록킹 유닛(42)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댐핑장치(504)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opening device 59 is operated while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coupling between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locking unit 42 is released, and the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damping device 504 is released. The sub door 50 can naturally rotat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서브 도어(50)가 빠르게 회전되더라도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가 서로 부딪히기 전에 상기 댐핑장치(504)가 먼저 상기 메인 도어(40)에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을 감속시켜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And,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from an open state, even if the sub door 50 is rotated quickly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damping is applied before the sub door 50 and the main door 40 collide with each other. The device 504 first contacts the main door 40, and as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he rotation of the sub door 50 is slowed down to provide cushioning.

한편,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메인 도어(40) 배면의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1)이 배치된다. Meanwhile, a storage case 43 may b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40. The storage case 43 defines a storage space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40, and a plurality of door baskets 431 are disposed inside.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개구부(41)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개구부(41)가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41)를 통해서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The storage case 43 is configured to be accessible through the opening 41. When the sub door 50 is opened,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ase 43, that is, the opening 41, may be exposed, and the user can insert or remove food through the opening 41.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그리고, 수납 케이스(43)에는 후면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케이스 도어(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상기 케이스 도어(43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storage case 43 may be exposed when the main door 40 is opened. In addition, the storage case 43 may be provided with a case door 432 that opens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ide. When the main door 40 is opened, the case door 432 can be opened, and the user can put food in or take out food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storage case 43.

즉, 상기 수납 케이스(43)는 상기 서브 도어(5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시 모두 접근 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storage case 43 becomes accessible when the sub door 50 or the main door 40 is opened.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3)와 상기 케이스 도어(43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and.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storage case 43 and the case door 432 to allow cold air inside the storage case to flow into the storage case 43 . 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ase 43 can be maintained the same as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구부(41)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 바스켓(431)이 장착될 수 있는 성형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단은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431)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more specifically, molded ends on which the door basket 431 can be mounte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41 on the back of the main door 40. The molded end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door basket 431 to be detached.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viewed from the rear. 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6),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의 개구에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b door 50 includes an out plate 51 forming the exterior, a door liner 56 mounted spaced apart from the out plate 51, and the out plate 51 and the door liner (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sub door 56), and an upper cap deco 54 and a lower cap deco 55 that for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 door 5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se The appearance can be formed by combining.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을 비롯한 외관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냉동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out plate 51 forms the front exterior and part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may be made of a plate-shaped stainless material. The out plate 51 may be configured to form part of the exterior including the front of the sub door 50. Additionally, the out plate 5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The front surface of the out plate 51 may be subjected to various surface treatments such as anti-fingerprint coating, hairline, coating to implement color or pattern, or film attachment.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512)와,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12)의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를 차폐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고내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내측을 상기 투시부(21)라 할 수 있다.The out plate 51 may include a front portion 512 that forms the front exterior and a side portion 513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late opening 5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512, and the plate opening 511 may be formed to be shield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hat shields the plate opening 511, the inside of the plate opening 511 can be referred to as the transparent portion 21.

상기 전면부(512)는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512)는 이웃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과 대응하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ront portion 51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that decreases overall from the center side of the refrigerator 1 to the outside. The front portion 512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neighboring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overall front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may be visible in three dimensions.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면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개구 절곡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이너 프레임(5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ening bending portion 514 that is bent backward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 opening 511.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opening 511, and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ner frame 5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ly, the plate opening 511 may be defined by the opening bend 514.

상기 전면부(512)의 양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상기 측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13)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측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513)의 단부 또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결합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s 513 bent backward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512. The side portion 513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side of the sub door 50. Additionally, the end of the side portion 513 may also be bent inward and coupled to the door liner 56.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과 하단 또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어퍼 캡데코(54) 및 로어 캡데코(5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p and bottom of the out plate 51 may also be bent and combined with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lower cap deco 55. Accordingly, the out plate 51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sub door 50 by combining the door liner 56,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lower cap deco 55.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03)이 장착될 수 있다.The door liner 56 forms the back of the sub door 50, and a liner opening 561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disposed. Additionally, a sub gasket 503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56 to airtighten the space between the sub door 50 and the main door 40.

그리고,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Additionally, door lights 57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ner opening 561. The door light 57 is configured to illuminate the back of the sub door 50 and the rear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 공간을 밝힐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화면 출력시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가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아지게 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 내부의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case 43 can be illuminated by the door light 57, and at the same time, it functions as an auxiliary backligh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You can also make the screen clearer. When the door light 57 is turned on,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becomes brighter,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becomes brighter than the outside of the door, making the interior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양측방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장착위치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에서 충분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한 배치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oor lights 57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face each other. As fo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oor light 57, various arrangements may be possible as long as sufficient brightness can be obtained at the rear of the sub door 50.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상기 개방장치(59)와 댐핑장치(50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서브 도어(50) 하단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재(591)와 상기 조작부재(591)에서 연장되는 로드(592)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서 돌출되는 로킹부재(5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592)가 상기 로킹부재(593)를 움직여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the opening device 59 and the damping device 504 may be mounted on the door liner 56. The opening device 59 includes an operating member 591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50, a rod 592 extending from the operating member 591, and a locking member 593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door liner 56.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By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591 by the user, the rod 592 moves the locking member 593 so that the sub door 50 is selectively restrained to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can be selectively restrained to the main door 40. It becomes possible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4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홀(541a)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upper cap deco 54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 plate 51 and the door liner 56. In addition, the sub-upper hinge mounting portion 5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sub-upper hinge mounting portion 541 has a hinge hole 541a into which the hinge axis of the upper hinge 401 is inserted. can be installed. The structure of the upper cap deco 54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로어 캡데코(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 하단에 결합된다. The lower cap deco 55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 plate 51 and the door liner 56.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도어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명, 반투명, 불투명, 화면 출력의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 plate 51 and the door liner 56. Additionall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plate opening 511 and the door liner opening 561. Additionall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selectively manipulated by a user into any one of transparent, translucent, opaque, and screen output states.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출력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not only selectively see the inner space of the sub door 50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but also view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 둘레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지지하기 위한 이너 프레임(52)이 장착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이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 inner frame 52 is mounted around the plate opening 511 of the outer plate 51 to support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outer plate 51 by the inner frame 52, and in particular, the front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re the same. By placing it on an extension line, the front of the sub door 50 can have a sense of unity.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개구(521)는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개구(521)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65)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리어 패널(65)이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및 프레임 개구(521)를 차례로 지나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ner frame 52 has a frame opening 521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frame opening 521 is formed to be somewhat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late opening 511, so that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seated. It provides structure. Additionally, the frame opening 521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ront panel 61 and larger than the rear panel 65. Accordingly,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installed, the rear panel 65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plate opening 511 and the frame opening 521 and be seated on the door liner 56.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단부가 서로 밀착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frame 52 has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outer plate 51, and the ends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8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상부를 후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frame. And, 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ame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ame seen from the rea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frame 52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frame opening 521 is formed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inner frame 5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o fix the outer plate 51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즉,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전면 일부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inner frame 5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other portion supports the front panel 61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from the rear. You can have it.

상세히,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플레이트 수용홈(526),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그리고 히터 수용홈(5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frame 52 may be configured as a whole to include a plate support portion 525, a plate receiving groove 526, a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and a heater receiving groove 529.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가장 외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가장 외측의 둘레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며,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692) 또는 접착을 위한 부재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forms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inner frame 52, has a flat front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51. That is,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52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outer plate 51 is attached by an adhesive member 692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member. Can be bonded to the back.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을 구성하는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사이드 프레임(524)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may be formed on all of the upper frame 522, lower frame 523, and side frame 524 that constitute the inner frame 52, an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52. It can be formed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inner frame 52.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의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를 따라 절곡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is recessed at an end of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and may be formed to insert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bent along the opening of the out plate 51.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가 상기 어퍼 프레임(522)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단부와 접하게 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사이에 틈새가 없이 밀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ut plate 51 is attached to the upper frame 522,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may be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In addition,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when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thereby forming the outer plate 5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hey can be closely adhered without any gaps in between.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을 제외한 사이드 프레임(524)과 로어 프레임(52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 중 상단을 형성하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내측단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개구 절곡부(514) 전체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may be formed in the side frame 524 and the lower frame 523 excluding the upper frame 522. In addition,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plate opening 51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nd of the upper frame 522, so that the entire opening bending portion 514 of the out plate 5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rame 522. It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바닥을 연결하는 단부에는 가이드 리브(5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Additionally, a guide rib 527 may be formed at an end connecting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and the bottom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The guide rib 527 guides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to maintain an accurate posi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다수개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가이드 리브(527)가 연속하여 인접 배치되고, 이같은 구조는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둘레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rib 527 protrude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A plurality of the guide ribs 527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s shown, three guide ribs 527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succession, and this structur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who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527)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가까운 지점에서 점점 더 돌출되도록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527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부(527a)를 따라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ib 527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Additionally, the guide rib 527 may form an inclined portion 527a that gradually protrudes at a point close to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Therefore, when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is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it can be inserted along the inclined portion 527a.

그리고, 상기 경사부(527a)의 단부에는 수직부(527b)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527b)는 상기 개구 절곡부(514)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개구 절곡부(514)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부(527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 vertical portion 527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527a, and the vertical portion 527b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to support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There will be. Accordingly, when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is fully inserted into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it can be supported by the vertical portion 527b.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보다 더 내측 부분에는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 보다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may be formed further inside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The front panel support 528 is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which forms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is located rearward than the plate support 525. It can be formed to be stepped.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의 전면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693)가 부착되거나,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의 높이 차이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단차 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단과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플레이트 개구(511)의 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전체가 단차지지 않고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을 제외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과 상기 로어 프레임(523)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An adhesive member 693, such as double-sided tape,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support 528, or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adhere it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At this tim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panel support 528 and the plate support 525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front panel 61. Therefore, no steps or gaps are cre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b door 50, and the outer end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the end of the plate opening 511 of the out plate 51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entire front of the sub door 50 can be made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out being stepped. Additionally,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may also be formed along the side frame 524 and the lower frame 523 excluding the upper frame 522.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 상에는 히터 수용홈(5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접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A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support 528.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is used to prevent condensation by heating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support 528, and may be formed along the front panel support 528.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히터(5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32)를 완전히 수용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이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에 안착되고, 이때 상기 히터(532)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ter 532, and completely accommodates the heater 532 so that when the front panel 61 is mounted,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is It is seated on the front panel support 528, and at this time, the heater 532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61.

상기 히터(532)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히터(5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필름 또는 코일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히터(532)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heater 532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heater 532 formed in a wire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film or coil shape, if necessary. Additionally,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to accommodate the heater 532.

한편,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과 상기 로어 프레임(523) 상의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가 형성되지 않는 어퍼 프레임(522)에서는 상기 히터 수용홈(529)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퍼 프레임(522)에 형성되는 상기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 상에 형성되는 히터 수용홈(529)과 연결되어 폐루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on the side frame 524 and the lower frame 523 may be formed in the front panel support 528, but in the upper frame in which the front panel support 528 is not formed. At 522,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formed on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At this time,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formed on the upper frame 522 may be connected to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formed on the side frame 524 to form a closed loop shape.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22)에 형성되는 히터 수용홈(529)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히터(532)의 동작을 위한 히터 피시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2)의 동작을 위한 히터 피시비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상부 또는 상기 캐비닛(10) 상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 프레임(522) 상에는 상기 히터(532)의 단부 또는 히터(532)의 단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히터 홀(529a)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formed in the upper frame 522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 plate 5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eater PCB for operation of the heater 532. A heater PCB for operating the heater 53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ub door 50 or on the cabinet 10. To this end, a heater hole 529a may be formed on the upper frame 522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heater 532 or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eater 532 passes.

상기 히터 홀(529a)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에 형성되는 상기 히터 수용홈(529) 상에 형성되며, 상기 어퍼 프레임(52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의 일단은 상기 히터 홀(529a)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히터 수용홈(529)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히터(532)의 타단은 상기 히터 수용홈(529)을 따라 배치된 후 상기 히터 홀(529a)을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히터(532)의 동작을 위한 히터 피시비 또는 상기 히터 피시비와 연결된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The heater hole 529a is formed on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formed in the upper frame 522,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frame 522. Accordingly, one end of the heater 532 is drawn out through the heater hole 529a and disposed along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er 532 is disposed along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After being guided to the inside of the sub door 50 through the heater hole 529a, it can be connected to the heater PCB for operation of the heater 532 or a wire connected to the heater PCB.

따라서, 상기 히터(532)는 상기 히터 홀(529a)을 통해 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장착에 의해 상기 히터 홀(529a)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홀(529a)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 후방에 배치되는 히터 피시비와 인접하여 상기 히터가 짧은 경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eater 532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heater hole 529a, and the heater hole 529a can be shielded by mounting the out plate 51. Additionally, the heater hole 529a is adjacent to the heater PCB disposed behind the upper frame 522, so that the heater can be connected through a short path.

상기 이너 프레임(52)은 각각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5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결합에 의해서 사각 틀과 같은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중앙에 상기 프레임 개구(521)를 형성하게 된다.The inner frame 52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frame 522 and the lower frame 523, and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522 and the lower frame 523. It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side frames 524 that connect. A shape like a square frame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frame 522, the lower frame 523, and the pair of side frames 524, and the frame opening 521 is formed at the center.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upper frame 522 forms the upper part of the inner frame 5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frame 52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outer plate 51.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양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양단의 형상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upper frame 522 may extend downward and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ide frame 524, and for this purpose, the shape of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522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ide frame 524.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22) 양측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 사이드 돌기(524a)가 삽입되는 어퍼 결합홈(522a)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a)와 상기 어퍼 결합홈(522a)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사이드 프레임(52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사이드 프레임(524)의 결합시 상기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수용홈(529)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upper coupling grooves 522a are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522 into which upper side protrusions 524a,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inserted. The upper frame 522 and the side frame 52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upper side protrusion 524a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522a. Also, when the upper frame 522 and the side frame 524 are combined, the frame opening 521 may be formed and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connected.

한편,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상단에는 프레임 베리어(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는 어퍼 프레임(522) 상방의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에서 상기 어퍼 캡데코(54)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9 and 10, a frame barrier 520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upper frame 522. The frame barrier 520 is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sub door 50 above the upper frame 522 back and forth, and may extend from the back of the upper frame 522 to the upper cap deco 54. .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0a)와 상기 연장부(520a)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베리어부(520b)로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rame barrier 520 includes an extension part 520a extending rearward from the back of the upper frame 522 and a barrier part 520b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520a. It can be composed of:

상기 연장부(520a)는 상기 프레임 개구(521)를 형성하는 상기 어퍼 프레임(522)의 내측 상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20a)의 연장 길이에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상기 베리어부(520b)는 멀어지게 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베리어부(520b)의 사이에는 단열재(531)가 발포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extension portion 520a may extend from the inner top of the upper frame 522 forming the frame opening 521. Accor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520a, the outer plate 51 and the barrier part 520b become separated, and the insulation material 531 is foamed between the outer plate 51 and the barrier part 520b. A space that can be filled is formed.

상기 베리어부(520b)는 상기 연장부(520a)의 연장된 단부와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을 전후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520b) 전방의 공간은 단열재(531)가 형성된 단열 공간이 되고, 후방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와 도어 라이트(57), 히터(532)와 같은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하는 피시비들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barrier portion 520b connects the extended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52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deco 54 to partition the upper end of the sub door 50 back and forth. Accordingly, the space in front of the barrier part 520b becomes an insulating space in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531 is formed, and the rear space is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he door light 57, and the sub-door 50 such as the heater 532. ) PCBs that control internal electrical components can be arranged.

한편, 상기 베리어부(520b)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하면의 베리어 결합부(541e)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리브(520c)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부(520b)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하면과의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완전히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n insertion rib 520c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arrier coupling portion 541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deco 54 may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barrier portion 520b. Therefore, the barrier portion 520b can remain firmly fixed by combini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upper front and rear halves of the sub door 50 can be completely divided. .

그리고, 상기 베리어부(520b) 상단의 일측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을 위한 어퍼 힌지(50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힌지 회피부(520d)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 회피부(520d)는 상기 베리어부(520b)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a hinge avoidance portion 520d may be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top of the barrier portion 520b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upper hinge 501 for rotation of the sub door 50. The hinge avoidance portion 520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rrier portion 520b and forms a space protruding forward.

상기 피시비는 상기 서브 도어(50) 상부의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프레임 베리어(520)와 도어 라이너(56)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피시비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부로 방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CB may be placed in the space above the sub-door 50 an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 barrier 520 and the door liner 56. If necessary, the upper cap deco 54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and may be formed to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PCB to the outside of the sub door 50.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523)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 하부 및 상기 프런트 패널(61)의 하부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523)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로어 프레임(523)의 양단의 형상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frame 523 forms the lower part of the inner frame 52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back of the out plate 51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61 from the rear. And, the lower frame 52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frame 524.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523 may extend upward, and the shape of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5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ide frame 524.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523) 양측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사이드 돌기(524b)가 삽입되는 로어 결합홈(523a)이 형성된다.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b)와 상기 로어 결합홈(523a)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로어 프레임(523)과 사이드 프레임(52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523)과 사이드 프레임(524)의 결합시 상기 프레임 개구(521)가 형성될 수있으며, 상기 히터 수용홈(529)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lower coupling grooves 523a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523 into which lower side protrusions 524b,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inserted. The lower frame 523 and the side frame 524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lower side protrusion 524b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523a. Also, when the lower frame 523 and the side frame 524 are combined, the frame opening 521 may be formed, and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connected.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좌우 양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 양측 및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side frame 52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frame 522 and the lower frame 523, and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side frame 524 forms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frame 52, and the side frame 524 supports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outer plate 51 and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You can.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상단에는 어퍼 사이드 돌기(52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a)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어퍼 결합홈(522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ide protrusion 524a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side frame 524. The upper side protrusion 524a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of the side frame 524,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522a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a)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프런트 패널 지지부(528)의 단부 즉,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사이드 돌기(524a)의 외측면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결합홈(522a)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side protrusions 524a may be formed in pairs at spaced apart positions, and extend upward from the ends of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and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that is, the end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can be formed. Meanwhile, a hook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protrusion 524a, and is caught and restrain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522a to firmly secure the upper frame 522 and the side frame 524. It can be kept in a combined state.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하단에는 로어 사이드 돌기(52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b)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어 결합홈(523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lower side protrusion 524b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de frame 524. The lower side protrusion 524b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ide frame 524,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523a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525)와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의 단부 즉,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사이드 돌기(524b)의 외측면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결합홈(523a)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로어 프레임(523)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side protrusions 524b may be formed in pairs at spaced apart positions,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ends of the plate support portion 525 and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that is, the end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can be formed. Meanwhile, a hook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protrusion 524b, and is caught and restrain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523a to ensure that the lower frame 523 and the side frame 524 are strong. It can be kept in a combined state.

상기 어퍼 프레임(522)과 로어 프레임(523)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524)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526)이 연결되어 상기 개구 절곡부(51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수용홈(529)이 연결되어 상기 히터(532)가 상기 프레임 개구(521)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pper frame 522, the lower frame 523, and the side frame 524 are combined, the plate receiving groove 526 is connected and the opening bent portion 514 can be inserted. Additionally, the heater receiving groove 529 may be connected so that the heater 532 can be dispos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frame opening 521.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And,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21)를 형성하여 고내 공간이 선택적으로 가시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sized to shield the plate opening 511 and the liner opening 561 inside the sub door 50. Also, by forming the transparent portion 21, the space inside the cupboard can be selectively visualized and a screen can be output.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전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듈 프레임(6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 more detail,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cludes a front panel 61 and a rear panel 65 that form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The outer shape can be formed by the module frame 67 connecting between (65).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광판(64)의 지지를 위한 간봉(6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display 62 and a light guide plate 6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65, and a gap 63 for supporting the display 62 and the light guide plate 64. may be further provided, and a display light 68 may be provided to irradiate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64.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소재(예컨대 청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며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front panel 61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eg, blue glass). Of course, the front panel 61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that allows internal transparency and allows touch input.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후방에서 조립 장착될 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부가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배면에 지지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61 may be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plate opening 511 and is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That is,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assembled and mounted from the rear,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61 may be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frame 52.

상세히,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프론트 돌출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돌출부는 상기 리어 패널(65)보다 상하좌우측 방향 모두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후방에서 장착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특성상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front panel 61 may be formed with a front protrusion 613 that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rear panel 65. The front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rear panel 65 in both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ounted at the rear of the out plate 51, the front panel 61 forming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outside the plate opening 511. It can be further extended to be stably and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frame 52.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연장된 각 단부 즉,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each extended end of the front panel 61, that is, the front protrusion 613,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60)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mounting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 둘레에는 베젤(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611)은 검정색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프레임(67)과 간봉(6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bezel 611 may be form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61. The bezel 611 may be printed in black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hide the module frame 67 and the gap 63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히터(532)는 상기 베젤(611)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다. 따라서, 상기 히터(532)는 상기 베젤(611)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인접한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가열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the heater 532 may be disposed along the bezel 611. Therefore, the heater 532 is hidden by the bezel 61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ut heats the perimeter of the front panel 61 adjacent to the out plate 51 to form condensation on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61.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한편, 상기 베젤(611)의 내측 영역에는 터치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61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터치 센서(612)는 인쇄 방식이 아닌 필름 접착 방식 등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a touch sensor 612 may be placed in the inner area of the bezel 611. The touch sensor 612 may be form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using a printing method and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touch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61. Of course, the touch sensor 612 may be capable of using various other methods for inputting input by touching the front panel 61, such as a film adhesive method rather than a printing method.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상단에는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터치 피시비(6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 Cable 또는 Flexible Print Circuit board)와 같은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601)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A touch PCB 603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612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panel 61. The touch PCB 60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ble 601 in the form of a flexible film,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 cable or flexible print circuit board (FPC).

상기 디스플레이(62)는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는 화면이 출력되는 LCD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구성되어 화면 출력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62 may b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The display 62 may be composed of an LCD module that outputs a screen, and may be transparent so that it can be seen through when the screen is not output.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일측에는 소스 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 또한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케이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측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서 상기 티콘(T-CON) 보드(623)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A source board 62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62. The source board 621 may also include a flexible film-type cable structure, and extends upward along the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form the T-CON at the top of the sub door 50. ) may be connected to the board 623.

상세히,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면으로 배치하게 될 경우,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특성상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둘레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소스 보드(621)는 이와 같이 절곡이 용이한 FFC또는 FPC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source board 621 is placed behind the display 6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21 due to the transparent nature of the display 62. Accordingly, the source board 621 may be formed at a peripheral end of the display 62 and may be bent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67 outside the module frame 67 . The source board 621 may be formed in an FFC or FPC structure that is easy to bend. Accordingly, the source board 621 can be arranged along the module frame 67. Additionally, the source board 621 may be formed to a corresponding size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area of the module frame 67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module frame 67 .

물론, 상기 소스 보드(621)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좌우폭 보다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구조의 특성상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좌우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배치될 경우 상기 소스 보드(621)가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source board 621 may be form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display 62,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62 in which the top and bottom lengths ar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the source board 621 i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62. When placed at one end of either side, sufficient space for the source board 621 to be formed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양단은 간봉(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간봉(63)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both ends of the display 62 may be supported by interstitial bars 63. The interstitial bar 63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isplay 62, and may be composed of a first interpolation 631 and a second interpolation 632.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64)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깊이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64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and can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display 62 by the first and second bars 631 and 632.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64,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depth of the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62.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가깝게 느껴지도록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중간 지점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간봉(631)과 제 2 간봉(632)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guide plate 64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than the midpoint between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65 so that the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62 feels closer to the front panel 61. It can be configured, and the heights of the first gap 631 and the second gap 632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서 조사되는 빛의 확산 또는 산란을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켜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후방에서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다소 큰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late 64 is used to diffuse or scatter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light 68,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and 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r a film may be attached. The light guide plate 64 is configured to illuminate the display 62 from the rear when the display light 68 is turned on. To this end, the light guide plate 6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the same size o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display 62, and the display light 68 is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64. may be provided.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광판(6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도광판(6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크기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차폐할 수 있다.The rear panel 65 may be disposed behind the light guide plate 64. The rear panel 65 forms th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may be larger than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smaller than the front panel 61. Additionally, the rear panel 65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liner opening 561 and may shield the liner opening 561.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의 둘레는 상기 모듈 프레임(67)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리어 패널 돌출부(65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돌출부(65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내부에 단열재(531)를 성형하게 될 때 발포액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Meanwhile, the perimeter of the rear panel 65 may protrude further outward than the module frame 67 to form a rear panel protrusion 651.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ear panel protrusion 651 may be seated on the door liner 56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and an insulating material 531 will be formed inside the sub door 50. This forms a space where the foaming liquid can be filled.

상기 리어 패널(65)은 단열을 위해서 로이 글래스(Low-ε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로이 글래스는 통상 단열을 위해 유리의 표면에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한 것으로 단열 효과가 우수한 유리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고내의 냉기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panel 65 may be made of low-ε glass for insulation. Low-E glass is a type of glass with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effects that is formed by forming a low-emissivity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for thermal insulation. Accordingly, the rear panel 65 can prevent cold air inside the refrigerato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기 리어 패널(65)와 상기 도광판(64)의 사이에는 스페이서(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6)는 상기 도광판(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에 접착되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 spacer 66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panel 65 and the light guide plate 64. The spacer 66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is attached to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the rear panel 65 to connect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the rear. The panels 65 can be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프론트 패널(61)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62)의 화면 출력을 위해서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간격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두께 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66)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체 두께를 결정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스팩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61 and the light guide plate 64 is maintained at a fixed distance for screen output on the display 62.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the rear panel 6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b door 50 or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hat is,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pacer 66,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determined and moun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sub door 50.

한편,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와 접하게 되며, 상기 리어 패널(65)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점등된 상태에서 상가 디스플레이(62)의 보조적인 백라이트 기능을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ar panel 65 is in contact with the door light 57,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62 and the door light 57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ear panel 65. The door light 57 may function as an auxiliary backlight of the commercial display 62 when turned on.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는 5cm ~ 15c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와 도어 라이트(57) 사이의 거리가 5cm 미만이 될 경우 내부에 명암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15cm를 초과하게 될 경우 백라이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62)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 패널(65)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62)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스페이서(66)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62 and the door light 57 may be between 5 cm and 15 cm.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62 and the door light 57 is less than 5 cm, there is a problem of internal contrast, and if it exceeds 15 cm, the backlight function may not be performed.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62 and the door light 57, the rear panel 65 is also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62, and the width of the spacer 66 is determined. You can.

상기 스페이서(66)에 의해 상기 도광판(64)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66)와 상기 도광판(64)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단열을 위해 아르곤과 같은 단열성 기체를 주입하여 단열성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pacer 66 can make the space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the rear panel 65 airtight. Therefore, the space between the spacer 66 and the light guide plate 64 may be made into a vacuum state or an insulating gas such as argon may be injected to further improve the insulating performance.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스페이서(66)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이 상기 스페이서(66)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이 장착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While the rear panel 65 is attached to the spacer 66, the outer end of the rear panel 65 may extend further outward than the spacer 66. In addition, the module frame 67 is mounted on the outer end of the rear panel 65, so that the rear panel 65 and the front panel 61 can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배면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전면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dule frame 67 may connect the back of the front panel 61 and the front of the rear panel 65 and form a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dditionally, a space where the display light 68 can be mounted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67.

상기 모듈 프레임(67)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도광판(64)과 간봉(63)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odule frame 67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s sized to accommodate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the spacer 63 therein. In addition, display lights 68 may be mount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module frame 67, respectively, and the light guide plate 64 may be used to control the display lights 68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dule frame 67. It can be located in between.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64)의 단부를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6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광판(64)이 전체면에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display light 68 can be directed to the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can move along the light guide plate 64 to cause the light guide plate 64 to emit light from the entire surface. .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둘레에는 실런트(691)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Sealant 691 may be applied around the module frame 67. The sealant 691 may be applied to form a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forms a peripheral surface between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65.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하는 것으로,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일명 치오콜이라 함)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단열재(531)를 성형하기 위해 주입되는 발포액과 직접 접할 수 있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다른 실런트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sealant 691 seals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interior, and may be made of polysulfide (also called thiokol) material. Of course, if necessary, it may also be made of other sealant materials such as silicone or urethane that can directly contact the foaming liquid injected to form the insulating material 531.

상기 실런트(691)에 의해 상기 모듈 프레임(67)과 상기 프론트 패널(61) 및 리어 패널(65)는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각 구성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봉하여 수분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시 발포액이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를 보호할 수 있다.The sealant 691 allows the module frame 67,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65 to remain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completely seals the connection portion of each component to prevent moisture or moisture from entering. It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the sealant 691 is a portion that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foaming liquid during molding of the insulating material 531 and can protect the perimeter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그리고,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내부의 터치 센서(612), 디스플레이 패널(62),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연결되는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런트(691)는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될 때 상기 케이블(601,605,606)의 외측면을 막아서 케이블(601,605,606)이 출입되는 공간으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ant 691 allows cables 601, 605, and 606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612, display panel 62, and display light 68 insid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enter and exit. That is, the sealant 691 blocks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s 601, 605, and 606 when the cables 601, 605, and 606 extend outward through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llowing water to enter and exit the space where the cables 601, 605, and 606 enter. Alternatively, it can block moisture from entering.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전방에서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캡 데코와 피시비의 결합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서브 도어 상단의 절결 사시도이다.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p deco and the PC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front. And,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ap deco and the PC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rear. And, Figure 1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top of the sub 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캡데코(54)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 및 도어 라이너(56)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p of the sub door 50 may be formed by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upper cap deco 54 is the top of the out plate 51 and the door liner ( It can be combined with the top of 56).

이를 위해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전면 둘레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상단이 삽입되는 플레이트 삽입부(54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삽입부(541b) 하방에는 아웃 플레이트(51)의 배면과 접하는 플레이트 접촉부(541c)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541c)와 이너 프레임(52)의 전면 상단에 의해서 상기 내부에 단열재(531)가 형성될 수 있는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a plate insertion portion 541b into which the top of the out plate 51 is inserted may be formed around the front of the upper cap deco 54. In addition, a plate contact portion 541c is formed below the plate insertion portion 541b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ut plate 51,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plate contact portion 541c and the front top of the inner frame 52. It is possible to form a closed space in which (531) can be formed.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후면 둘레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단에 형성된 캡데코 삽입부(567)와 결합되는 라이너 장착부(54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장착부(541d)는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장착부(541d)의 하단이 상기 캡데코 삽입부(567)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liner mounting portion 541d that is coupled to the cap deco insertion portion 567 formed at the top of the door liner 56 may be formed around the rear of the upper cap deco 54. The liner mounting portion 541d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liner mounting portion 541d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p deco insertion portion 567 and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하면에는 베리어 결합부(541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결합부(541e)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일측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베리어부(520b) 상단의 삽입 리브(520c)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상기 베리어부(520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상부의 공간이 전후로 구획될 수 있다.Additionally, a barrier coupling portion 541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ap deco 54. The barrier coupling portion 541e extend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cap deco 54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rib 520c at the top of the barrier portion 520b. Accordingly, the space at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ub door 50 can be divided back and forth by combining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barrier portion 520b.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전방의 공간에는 단열재(531)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50)를 단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후방의 공간에는 피시비들이 배치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비롯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An insulating material 531 is formed in the front space partitioned by the barrier part 520b to insulate the sub-door 50, and in the rear space partitioned by the barrier part 520b, PCBs are placed. It is arranged to enable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sub door 50, including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상면에는 데코 개구(5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개구(542)에는 데코 커버(5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개구(542)는 상기 어퍼 캡데코(54) 중 상기 베리어부(520b)에 의해 구획되는 후방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 커버(543)의 분리를 통해 상기 피시비들이 장착되는 공간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Additionally, a deco opening 54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p deco 54, and a deco cover 543 may be provided in the deco opening 542. The deco opening 54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pace defined by the barrier portion 520b of the upper cap deco 5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n the space where the PCBs are mounted by separating the decor cover 543.

상기 데코 커버(543)는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동작을 위한 피시비들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발포 후 상기 데코 커버(543)에 상기 피시비들을 장착한 후 상기 데코 개구(542)를 통해서 상기 피시비들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deco cover 543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pper cap deco 54, and PCBs for operating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mounted. Accordingly, after foaming the sub door 50, the PCBs can be mounted on the deco cover 543, and then the PCBs can be mounted through the deco opening 542.

상세히, 상기 데코 커버(543)는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는 커버부(544)와 상기 피시비들이 장착되는 피시비 장착부(54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44)는 상기 데코 개구(54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스크류 홀(544a)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544)가 상기 데코 개구(542)를 차폐하도록 상기 어퍼 캡데코(54)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deco cover 543 may be composed of a cover part 544 that shields the deco opening 542 and a PCB mounting part 545 on which the PCBs are mounted. The cover portion 54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co opening 542, and screw holes 544a are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the cover portion 544 shields the deco opening 542. It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while mounted on the upper cap deco 54.

그리고, 상기 데코 개구(542)의 양단에는 상기 데코 커버(543)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지지부(542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지지부(542a)에 상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cover supports 542a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deco opening 542 to support both ends of the deco cover 543, and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may be attached to the cover support part 542a. Can be configured to be concluded.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는 상기 커버부(54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부(520)와 마주보는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마주보는 배면에 다수의 피시비들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은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의 전면과 배면 양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CB mounting portion 545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44, and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barrier portion 520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faces the door liner 56. The beam may be configured to have multiple PCBs mounted on its rear surface. Of course, if necessary, the plurality of PCBs may be arranged on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CB mounting unit 545.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장착되는 피시비들은 티콘(T-CON) 보드(602)와 터치 피시비(6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콘 보드(602)는 상기 디스플레이(62)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케이블(6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피시비(603)는 상기 터치 센서(612)의 터치 입력 신호의 처리를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센서(612)와 연결되는 케이블(60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CBs mounted on the PCB mounting unit 545 may include a T-CON board 602 and a touch PCB 603. The Ticon board 602 is for driving the display 62 and may include a cable 605. The touch PCB 603 is for processing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612 and may include a cable 601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612.

한편,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는 라이트 피시비와 히터 피시비가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683)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피시비는 상기 히터(532)의 동작을 제어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PCB and a heater PCB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PCB mounting unit 545. The light PCB 683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light 68. Additionally, the heater PCB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er 532.

상기 라이트 피시비와 상기 히터 피시비는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공간이 확보되는 경우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시비 장착부(545)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상기 메인 제어부(도 2에서 101)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space is secured inside the sub door 50, at least one of the light PCB and the heater PCB can be mounted on the PCB mounting unit 545. Of course, if the space of the PCB mounting unit 545 is insufficient or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main control unit (101 in FIG. 2) provided in the cabinet 10.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라이트 피시비와 상기 히터 피시비는 상기 티콘 보드(603)와 터치 피시비(602)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Also, if necessary, the light PCB and the heater PCB may be integrated with one of the Ticon board 603 and the touch PCB 602.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을 연결하는 케이블(601,605,606)은 유연한 필름 타입의 FFC 또는 FP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또한,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테두리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어 상기 피시비들과의 연결구조 또한 간결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 내측의 단열재(531) 발포 성형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ables 601, 605, and 606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CBs may be made of flexible film-type FFC or FPC. Therefore, the cables 601, 605, and 606 do not occupy much space inside the sub door 50. Additionally, the cables 601, 605, and 606 are located closer to the module frame 67 than the border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t can be arranged along the outer surface, so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PCBs can also be provided simply, an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21, and the insulation material inside the sub door 50 ( 531)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foam molding.

특히,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은 모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부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블(601,605,606)들은 벤딩 또는 절곡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the cables 601, 605, and 606 may all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or alo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For this purpose, the cables 601, 605, and 606 may be bent or bent.

또한,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의 힌지 홀(541a)을 통해 유입되는 와이어 형태의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시비들에는 필름 타입의 상기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일반적인 와이어 전선 타입의 전선 연결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도킹 보드(604)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피시비들과 연결된 전선은 한데 모여서 힌지 홀(541a)을 통해서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PCBs may be connected to wire-shaped electric wires introduced through the hinge hole 541a of the upper cap deco 54. To this end, the PCBs may be provided with a docking board 604 that can be converted from the film-type cable connection structure to a general wire-wire type cabl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ly, the wir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CBs can be gathered together and gu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inge hole 541a.

즉, 상기 피시비들에 연결된 다수의 케이블(601,605,606)은 그 폭이 너무 크게 되며 다수의 케이블(601,605,606)이 한꺼번에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기 위해서는 홀의 크기나 공간이 너무 크게 되어 비 효율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와 연결되는 도킹 보드(604)의 출력측에 상기 전선을 연결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외측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안내를 위한 부피 및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width of the multiple cables 601, 605, and 606 connected to the PCBs is too large, and in order for the multiple cables 601, 605, and 606 to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sub door 50 at once, the size or space of the hole is too large, making it inefficient. do. Therefore, by connecting the wire to the output side of the docking board 604 connected to the PCB and guiding it to the outside of the sub door 50, the volume and space for guiding the wire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도킹 보드(604)는 상기 데코 커버(543)의 장착 전에 상기 케이블(601,605,606)과 전선들을 상기 데코 개구(542)를 통해 인출하여 연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601,605,606)과 전선들의 연결 후 상기 데코 커버(543)를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docking board 604 may allow the cables 601, 605, 606 and wires to be drawn out and connected through the deco opening 542 before mounting the deco cover 543, and the cables 601, 605, 606 and the wires may be connected. After connection, the deco cover 543 can be installed.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601,605,606)과 전선이 연결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 커버(543)를 탈착하게 될 때 카트리지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if necessary, a connector to which the cables 601, 605, and 606 are connected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ub door 50, and when the decor cover 543 is detached,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a cartridge. It may be configured as possible.

도 17은 상기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 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17 , the door liner 56 may be injection-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molded to form the rear exterior of the sub-door 50 . In additio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on the door liner 56 can be mounted is provided.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중앙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개구(561)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liner 56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the liner opening 56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oor liner 56. The liner opening 561 may be shield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

상기 아웃 플레이트(51)를 향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56) 전면의 양측단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양측단과 결합되는 라이너 결합부(56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라이너 결합부(56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측면부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Liner coupling portions 56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out plate 51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front side of the door liner 56 facing the out plate 51. That is, the liner coupling portion 56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oor liner 56 so as to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ide portion of the out plate 51.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54)와 로어 캡데코(55)와 결합된다.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door liner 56 are combined with the upper cap deco 54 and the lower cap deco 55.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회전 축과 먼 쪽의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일측에는 래치 수용부(563)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 수용부(563)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상하 길이의 중앙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수용부(563)는 상기 개방장치(59)의 일부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59)는 조작부재(591)와 상기 조작부재(591)와 로킹부재(593)를 연결하는 로드(5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조작부재(59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킹부재(593)를 동작시켜 상기 서브 도어(5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Additionally, a latch receiving portion 56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56 away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ub door 50. The latch accommodating portion 563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door liner 56, and the latch accommodating portion 563 may accommodate some components of the opening device 59. The opening device 59 may include an operating member 591 and a rod 592 connecting the operating member 591 and the locking member 593, and is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sub door 50. By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591, the locking member 593 can be operated to selectively lock the sub door 50.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배면에는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둘레를 따라서 함몰된 가스켓 홈(5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홈(565)은 서브 가스켓(503)이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너(56) 배면에 돌출된 라이너 돌출부(564)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A recessed gasket groove 56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ner opening 561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56 . The gasket groove 565 is where the sub gasket 503 is fixedly mounted, and may b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liner protrusion 564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56.

한편, 상기 가스켓 홈(565) 내측의 상기 라이너 개구(561)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라이너 돌출부(5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돌출부(564)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 및 도어 라이트(57)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단 둘레를 지지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liner protrusion 564 protruding backward may be formed around the liner opening 561 inside the gasket groove 565. The rear protrusion 564 may extend rearwar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the door light 57. Additionally, the rear end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be supported to maintai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fixedly mounted inside the sub door 50 .

상세히,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의 내측면에는 리어 패널 지지부(56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a)는 상기 프레임 개구(521) 보더 더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전방에서 장착될 때 상기 프레임 개구(521)를 통과하여 삽입되는 리어 패널(65)의 둘레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a)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둘레를 형성하는 리어 돌출부(651)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In detail, a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protrusion 564. The rear panel support 564a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inward from the border of the frame opening 521 and is inserted through the frame opening 521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from the front. ) can support the perimeter. That is,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a may extend to a l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rear protrusion 651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rear panel 65.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상기 리어 돌출부(651)가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a)에 안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장착시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론트 돌출부(613)는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접하여 안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the rear protrusion 651 may be seated on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a. Also,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the front protrusion 613 forming the perimeter of the front panel 61 may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of the inner frame 52.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상기 서브 도어(50)의 플레이트 개구(511)를 통해 전방에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면,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가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와 접하고 리어 돌출부(651)가 리어 패널 지지부(564a)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a)와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의 사이에는 모듈 프레임(67)이 배치되며, 도어 라이너(56) 및 이너 프레임(52)은 아웃 플레이트(51)와 접하여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에 단열재(531)를 형성하기 위해 발포액이 충진될 수 있는 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에 단열재(531)가 형성되며, 발포시 외부로 발포액이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포액의 주입에 의한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이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무게가 무거운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적용된 상기 도어(50)의 개폐시에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serted from the front through the plate opening 511 of the sub door 50, the front protrusion 613 contacts the front panel support 528 and the rear protrusion (6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a). Additionally, a module frame 67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a and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and the door liner 56 and inner frame 52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late 51 to form the sub door. A closed space that can be filled with foaming liquid is formed to form the insulation material 531 on the inside of (50). That is, an insulating material 531 is formed arou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aming liqui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uring foam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fixed by molding the insulating material 531 by injection of a foaming liquid, and in particula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 to which the heavy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applied is applied. Even during installatio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mounting state.

그리고, 상기 단열재(531)의 성형을 위해 주입되는 발포액은 상기 모듈 프레임(67) 외측의 실런트(691)와 접하게 되며, 발포액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된다. In addition, the foaming liquid injected for molding the insulation material 5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lant 691 on the outside of the module frame 67, and the foaming liquid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1)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는 도어 라이트(57)가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 영역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liner protrusion 564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41 of the main door 40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Additionally,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on which the door light 57 is mounted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protrusion 564. The door light 57 is intended to illuminate the rear area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may be mounted inside the door light mounting unit 568.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의 내측면 좌우 양측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외측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된 면을 차폐할 수 있다.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liner protrusion 564 to form space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protrusion 564. In addition, when the door light 57 is mounted on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568,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light 57 can shield the open surface of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568.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 전체를 고르게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light 57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568,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oor light 57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thus may be configured to evenly illuminate the entir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라이트 하우징(571)과 라이팅 모듈(575) 그리고 라이트 커버(5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door light 57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housing 571, a lighting module 575, and a light cover 574.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상기 라이팅 모듈(575)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일측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housing 571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lighting module 575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The light housing 57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open surface is disposed on the opening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일단에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이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제 1 하우징 돌출부(57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돌출부(571a)와 반대측의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타단에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을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패널(65)을 향해 단차지도록 돌출되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하우징 돌출부(57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 돌출부(571a)와 제 2 하우징 돌출부(571b) 사이의 상기 라이트 하우징 바닥면(571c)은 상기 리어 패널(65)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하우징 바닥면(571c)에는 상기 리어 패널(65)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A first housing protrusion 57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ight housing 571 so that the light housing 571 can be seated on the rear panel support 564a.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ight housing 571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first housing protrusion 571a protrudes in a stepped manner toward the rear panel 65 and laterally to press and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65. An extending second housing protrusion 571b may be formed. Additionally, the bottom surface 571c of the light housing between the first housing protrusion 571a and the second housing protrusion 571b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anel 65. At this time, an adhesive member for adhesion to the rear panel 65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571c. Accordingly, the rear panel 65 may remain attached to the light housing 571.

즉, 상기 리어 패널(65)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돌출부(651)는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654a)에 안착되어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에 의해 더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에 의해 양측단이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rear protrusion 651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rear panel 65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rear panel support 654a, bu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65 is supported by the light housing ( 571) can be further supported. Accordingly, the rear panel 65 can be substantially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door liner 56 and the light housing 571.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연장된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end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may be bent inward so that the light housing 571 remains locked inside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지하는 라이트 하우징(571)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의해 구속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리어 패널(65)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57)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light housing 571 supporting the rear panel 65 can be restrained by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so the rear panel 65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the door light ( 57)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a fixed mounting state by the door liner 56.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된 면에는 라이트 커버(5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다수의 엘이디가 배치된 상기 라이팅 모듈(575)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빛의 투과 및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574)에는 투과되는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 또는 패턴(574b)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거나, 인쇄 또는 코팅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라이트 커버(574)의 사출 성형시 빛을 확산시키는 입자 또는 소재(574c)가 첨가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light cover 574 may be provided on the open surface of the light housing 571. The light cover 574 shields the lighting module 575 o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arranged. The light cover 574 shields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571 and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5 to pass through. To this end, the light cover 57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diffusing light. In addition, the light cover 57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trusions on the surface so that the transmitted light can be diffused more effectively, irregularities or patterns 574b are formed on the surface, a film is attached, or printed or coated. can be processed. Also, if necessary, particles or materials 574c that diffuse light may be adde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light cover 574.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이 밝아지게 되며,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 또한 밝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밝기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부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가지도록 한다. Meanwhile, when the door light 57 is turn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becomes bright,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may also become bright. At this time, the brightness of the door light 57 is such that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 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온 되면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이 밝혀지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점등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40)의 수납 공간 즉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밝아지게 되면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투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의 수납 공간을 외부에서 상기 서브 도어(50)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In detail, the door light 57 can be selectively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when the door light 57 is turned on,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storage case 43 opens. It becomes clear. When the door light 57 turns o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door 40, that is, the inside of the compartment, becomes brighter than the outside of the compartment,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door light 57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 do it.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s transparent and can view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in door 4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b door 5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와 도어 라이트의 점등 상태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ighting status of the display light and the door light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8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고내측이 투시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해 화면이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door and sub door. And, Figure 1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door and sub door. And,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side of the patient can b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And,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reen is outpu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개방장치(59)의 래치(592)가 상기 록킹 유닛(42)의 래치 홀(4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폐 상태는 별도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감지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latch 592 of the opening device 59 is inserted into the latch hole 421 of the locking unit 42, the sub door 50 remains closed. , In this state, the door light 57 remains turned off. The open/closed state of the sub door 50 can be detected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door switch.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꺼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 공간이 어둡게 되어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고내측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꺼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oor light 57 is turned off, as shown in FIG. 1, the rear space of the sub door 50 becomes dark and the inside of the door is not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21. Accordingly,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and there is no separate operation, the door light 57 can remain turned off so that the inside is not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2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51)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점등되면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operate the front panel 51 to turn on the door light 57. When the door light 57 is turn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5 is irradiated to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65.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 전체 영역을 밝힐 수 있게 된다.The door light 57 may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65. That is, the light emitted by the door light 57 can illuminate the entire rear area of the rear panel 65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65.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함께 점등되는 상태라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에 의해 상방과 하방에서 빛이 조사되고,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서 좌우측방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투시부(21)는 상하 및 좌우 전체 방향에서 빛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부(21) 영역을 최대 밝기로 밝힐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display light 68 is turned on together, light can be emitted from above and below by the display light 68, and light can be emit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by the door light 57. . Ultimately, the transparent unit 21 can be irradiated with light from all directions, includ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the area of the transparent unit 21 can be illuminated at maximum brightness.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리어 패널(65)과 근접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공간을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나 전방의 영역까지 밝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투시부(21)를 통해 보여지는 고내 공간을 밝히는 조명 역할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가 보다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백라이트의 역할을 기대할 수도 있다.The door light 57 is close to the rear panel 65 and emits ligh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light emitted by the door light 57 can not only illuminate the space inside the storage case 43, but also can illuminate the front area by passing through the rear panel 65. Therefore, as shown in FIG. 20, the door light 57 serves as an auxiliary backlight that illuminates the interior spac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21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display 62 to be seen more clearly. You can also expect a role.

즉,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서 화면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고내 공간 즉,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투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50) 후방의 공간이 상기 투시부(21)로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켜지게 될 수 있다. That is, while the screen is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62, the interior space, that is, the space behind the sub-door 50, can be selectively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21. In order for the space behind the sub door 50 to be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21, the door light 57 may be turned on.

물론, 상기 투시부(21)를 통한 상기 수납 케이스(43) 내부의 가시화 정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와 상기 도어 라이트(57)의 온오프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degree of visualization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21, various expressions can be made through an on-off combination of the display light 68 and the door light 57.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의 상기 프론트 패널(61)을 조작하게 될 경우 도 21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온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화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은 특정 위치 또는 터치 횟수 또는 패턴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lso, when the user operates the front panel 61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1, the display light 68 turns on and the display 62 turns on as shown in FIG. 21 to displa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 60), screen output becomes possible.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61 may be input at any one of a specific location, number of touches, or pattern. Of course, if necessary, it may be possible to detect the user's operation using a separate physical button or sensor.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가 켜지게 되고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설정된 특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에 의해 다양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By manipulating the front panel 61, the display 62 can be turned on and a screen can be output. The display 62 can output a specific screen, and various screens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62 through additional manipulation by the user.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와 함께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는 상기 모듈 프레임(67)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도광판(64)의 폭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64)의 상단과 하단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점등에 의해 상기 도광판(64)은 상기 디스플레이 라이트(68)의 빛을 난반사 및 확산시켜 전방의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light 68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64 along with the display 62 may be turned on by a user's manipulation. The display light 68 is arranged along the module frame 67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may be arranged close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64. Therefore, when the display light 68 turns on, the light guide plate 64 diffuses and reflects the light of the display light 68, so that the light can be irradiated with uniform brightness overall toward the front display 62. .

상기 도광판(6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62) 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6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62)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부(21)를 통해서 사용자는 선명하게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Light is irradiated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62 toward the display 62 by the light guide plate 64,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62 outputs a screen based on the input image information.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clearly displayed screen through the transparent unit 21.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는 리어 패널을 도어 라이너가 지지하고, 도어 라이트는 도어 라이너 상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 라이너 및 도어 라이트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panel is supported by the door liner, and the door light is mounted on the door liner.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door liner and door light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ame configuration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56)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통해 전방에서 삽입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b door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ut plate 51, the door liner 56 coupled to the out plate 51, and the plate opening 511. )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serted from the front through the liner opening 561.

이때,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배면에는 이너 프레임(52)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은 단차 및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양단은 상기 모듈 프레임(67) 및 리어 패널(65)의 양단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에 접착부재(693)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ner frame 52 is fixedly mounted on the back of the plate opening 511, and the front panel 61 can be supported from the rear by the inner frame 52. Additionally, the front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61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to prevent steps and gaps from occurring.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61 protrude further than both ends of the module frame 67 and the rear panel 65, and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693 on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of the inner frame 52. can be glued by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면을 지지하는 리어 패널 지지부(56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b)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양측단에 돌출된 상기 리어 돌출부(6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된다.In addition, the door liner 56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that supports the rear side of the rear panel 65.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extends to support the rear protrusions 651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rear panel 65.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b)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b)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과 접착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리어 패널(65)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extend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rear panel 65. Accordingly, the rear panel 65 can be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door liner 56. In addition,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and thus adheres to the rear panel 65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door liner 56 and the rear panel 65. You can avoid it.

이와 같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방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패널(65)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지지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지지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from the front of the sub door 50, the rear panel 65 is supported by the door liner 56, and the front panel 61 is supported by the inner door. It can be supported and fixedly mounted on the frame 52.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도어 라이너(56) 그리고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발포액이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53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531)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를 단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mounted,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 plate 51, the door liner 56,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the foaming liquid may be filled to form the insulation material 531. ) is formed. The insulation material 53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b-door 50 and can insulate the sub-door 50.

즉,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도어 라이너(56)와 아웃 플레이트(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리어 패널(6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모듈 프레임(67)의 둘레에는 실런트(691)가 도포되어 주입되는 발포액이 누설되지 않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둘레를 따라 채워지게 되어 상기 단열재(53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foaming liquid is injected, the door liner 56 and the outer plate 51 are coupled, and the outer plate 51 and the front panel 61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frame 52. , the door liner 56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anel 65, and a sealant 691 is applied around the module frame 67 to prevent the injected foam liquid from leaking and sealing the sub door ( It is filled along the perimeter of 50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531 can be formed.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56)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라이너 개구(56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라이너 돌출부(56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에는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는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b)의 후방에 위치되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Meanwhile, a liner protrusion 564 that protrudes rearward and opens to form the liner opening 561 may be formed on the door liner 56. Additionally,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on which the door light 57 is mounted may be formed on the liner protrusion 564.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and is bent inward to form a space within which the door light 57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door light 57 may be restrained by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568 while being mounted on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568.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라이트 하우징(571)과 라이트 커버(574) 그리고 라이팅 모듈(5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은 일측면이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564b)에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 공간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door light 57 may be composed of a light housing 571, a light cover 574, and a lighting module 575. One side of the light housing 5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564b,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so that it is conf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Make sure to maintain it.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574)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1)의 개구 및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모듈(57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커버(574)를 투과하여 리어 패널 후방의 공간을 밝히게 된다. Additionally, the light cover 574 may be formed to shield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571 and the opening of the door light mounting unit 568.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5 passes through the light cover 574 and illuminates the space behind the rear panel.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도어 라이트가 면발광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도어 라이트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ight has a structure that emits surface light. Accordingl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door ligh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일측단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도어 라이트의 빛의 조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nd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the light irradiation state of the door ligh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서브 도어(5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51),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56)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와 라이너 개구(561)를 통해 전방에서 삽입 장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b door 5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ut plate 51, the door liner 56 coupled to the out plate 51, and the plate opening 511. ) and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serted from the front through the liner opening 561.

이때, 상기 플레이트 개구(511)의 배면에는 이너 프레임(52)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은 단차 및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5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양단은 상기 모듈 프레임(67) 및 리어 패널(65)의 양단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52)의 프론트 패널 지지부(528)에 접착부재(693)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ner frame 52 is fixedly mounted on the back of the plate opening 511, and the front panel 61 can be supported from the rear by the inner frame 52. Additionally, the front of the outer plate 51 and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61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52 to prevent steps and gaps from occurring.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61 protrude further than both ends of the module frame 67 and the rear panel 65, and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693 on the front panel support portion 528 of the inner frame 52. can be glued by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6)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단과과 접하는 리어 패널 지지부(65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654a)는 상기 리어 패널(65)의 양측단에 돌출된 상기 리어 돌출부(651)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된다.In addition, the door liner 56 may further be formed with a rear panel support portion 654a that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rear panel 65. The rear panel support portion 654a extends to support ends of the rear protrusions 651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rear panel 65.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 양측은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장착되는 도어 라이트(570)에 의해 더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후방에서 상기 리어 패널(65) 배면의 양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Additionally, both rear sides of the rear panel 65 may be further supported by a door light 570 mounted on the door liner 56. The door light 570 supports both ends of the back of the rear panel 65 from the rear.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는 라이너 돌출부(564)에 형성되는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상기 리어 패널(65) 배면을 지지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도어 라이너(56)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리어 패널(65)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door light 570 extends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door liner 56 and can be fixedly mounted inside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formed on the liner protrusion 564. The door light 570 supports the rear panel 65, and is simultaneously restrained by the door liner 56 to support the rear panel 65 more stably.

한편,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는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의 설정된 두께에 따라 설정된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가 과도하게 돌출될 경우 상기 메인 도어(40) 내측의 수납 케이스(43)와 간섭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가 일정 거리 이상 돌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도어 라이트(570)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Meanwhile, the liner protrusion 564 may extend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protrude rearward by a length set according to the set thickness of the sub door 50. At this time, if the liner protrusion 564 protrudes excessively, it may interfere with the storage case 43 inside the main door 40, and if the liner protrusion 564 does not protrude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the door light It becomes impossible to provide space for mounting (570).

따라서, 상기 라이너 돌출부(564)는 상기 도어 라이트(570)가 수용될 수 있는 길이만큼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납 케이스(43)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 도어(50)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전면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두께와 대응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를 수 있게 되어 상기 리어 패널(65)과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후단 사이 즉,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공간이 상기 도어 라이트(570)가 면 발광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liner protrusion 564 may extend rearward to a length that can accommodate the door light 570, but may have a length that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storage case 43. To this end, the sub door 50 can be arranged so that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out plate 51, and therefore the sub door 50 is a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 6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rear panel 65 and the rear end of the door liner 56, that is, the space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is the door light 570. Make sure to provide sufficient space for light emission.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점등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며, 상기 리어 패널(65)의 후방을 밝힐 수 있다.The door light 57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may exte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When turned on, the door lights 570 emit light in opposite directions and can illuminate the rear of the rear panel 65.

상기 도어 라이트(57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라이트 하우징(576)과 라이팅 모듈(578) 그리고 라이트 커버(5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door light 570 in more detail, the door light 570 may include a light housing 576, a lighting module 578, and a light cover 577.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은 상기 라이팅 모듈(578)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은 일측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568)의 개구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housing 576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ighting module 578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The light housing 576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open surface is disposed on the opening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568.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은 상기 라이팅 모듈(578)이 장착되는 장착면(576a)과 상기 장착면(576a)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반사면(57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면(576a)은 상기 라이팅 모듈(578)이 장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면(576a)의 반대측 평면은 상기 리어 패널(65)과 접하여 상기 리어 패널(65)을 지지하게 된다.The light housing 576 may include a mounting surface 576a on which the lighting module 578 is mounted and a reflective surface 576b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mounting surface 576a. The mounting surface 576a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so that the lighting module 578 can be mounted. And, the plane opposite to the mounting surface 576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panel 65 and supports the rear panel 65.

그리고, 상기 반사면(576b)은 상기 장착면(576a)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반사면(576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착면(576a)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경사 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반사면(576b)은 상기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7)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면(576b)의 내측은 빛의 반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색이나 코팅 또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surface 576b extends from one end of the mounting surface 576a,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flective surface 576b extends in an inclined or rounded shape at a position facing the mounting surface 576a. You can. The reflective surface 576b allow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to be reflected, and can be form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is reflected and directed toward the light cover 577. there is. To this end, the inside of the reflective surface 576b may be painted, coated, or surface treated to increase light reflection efficiency.

상기 라이트 커버(577)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반사면(576b)에 반사된 후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커버(577)는 빛의 투과 및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커버(577)에는 투과되는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표면에 요철 또는 패턴이 형성되거나,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라이트 커버(577)의 사출 성형시 빛을 확산시키는 입자 또는 소재가 첨가될 수도 있다.The light cover 577 shields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576 and allow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to be transmitted after being reflec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576b. To this end, the light cover 577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diffusing light. In addition, the light cover 577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irregularities or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 a film attached, or a coating treatment so that the transmitted light can be diffused more effectively. Also, if necessary, particles or materials that diffuse light may be adde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light cover 577.

상기 라이팅 모듈(578)은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578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모듈(578)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패널(65) 상단에서 하단까지 전체 영역에서 발광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엘이디(578a)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ighting module 578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EDs 578a that emit light. The lighting module 578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housing 576, and a plurality of LEDs 578a may b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o emit light in the entire area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65. It can be configured to be placed as .

상기 라이팅 모듈(578)은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장착면(576a)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 커버(577)와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면(576b)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상기 반사면(576b)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라이트 커버(577)를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ing module 578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576a of the light housing 576 an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ight cover 577. In addi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radiates light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576b,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surface 576b passes through the light cover 577 and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can do.

이와 같이 상기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은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7)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라이트 커버(577) 상에 엘이디(578a)의 위치가 국부적으로 밝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라이트 커버(577) 전체가 밝게 빛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면 발광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is reflected and passes through the light cover 577, thereby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LED 578a on the light cover 577 from being locally brightened, and The entire light cover 577 shines brightly so that it appears as if it is surface-emitting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상기 라이트 커버(577) 전체가 면 발광의 형태로 발광되어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light 57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ntire light cover 577 emits surface light to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상세히, 상기 장착면(576a)에 장착되는 라이팅 모듈(578)에서 조사되는 빛은 엘이디(578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각도(α)의 조사 각도로 범위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면(576b)은 적어도 상기 엘이디(578a)의 중심으로 부터 대략 120˚각도의 영역과 대응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578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576a is emitted at an irradiation angle of a set angle α based on the center of the LED 578a. Accordingly, the reflective surface 576b can be formed at least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an angle of approximately 120° from the center of the LED 578a.

그리고, 상기 엘이디(578a)의 중심에서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개구 즉, 상기 라이트 커버(577)까지의 거리는 제 1 설정거리(D1)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팅 모듈(578)이 장착되는 장착면(576a)에서 상기 반사면(576b)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제 2 설정거리(D2)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정거리(D2)는 상기 제 1 설정거리(D1)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ED 578a to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576, that is, the light cover 577, may be the first set distance D1. Additionally,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surface 576a on which the lighting module 578 is mounted to the top of the reflective surface 576b may be the second set distance D2. The second set distance D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set distance D1.

따라서, 상기 엘이디(578a)에서 설정 각도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면(576b)을 통해서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7)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정거리(D1) 및 제 2 설정거리(D2)에 의해 상기 라이트 커버(577) 전체에 상기 엘이디(578a)의 빛이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7)는 면 발광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578a at a set angle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ve surface 576b and passes through the light cover 577. In addition, the light of the LED 578a is reflected throughout the light cover 577 by the first set distance D1 and the second set distance D2, so that the light cover 577 can emit surface light. .

상기 라이트 커버(577)는 상기 수납 케이스(43)의 내측을 밝힐 수 있도록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커버(577)의 길이 증가에 따라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높이 즉 상기 제 1 설정거리(D1) 또한 증가될 수 있다.The light cover 577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3, and as the length of the light cover 577 increases, the light housing The height of 576, that is, the first set distance D1, may also be increased.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높이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전면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51)의 전면과 동일 면에 배치될 정도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최대한 전방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도어 라이너(56)의 라이너 돌출부(564)는 돌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라이트(570)는 충분한 광량을 가지는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50)에 장착시에도 상기 수납 케이스(43)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Despite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the light housing 576,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positioned as far forward as possible so that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61 is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ront of the out plate 51. As a result, the liner protrusion 564 of the door liner 56 can secure a protrusion height,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light housing 576 with a sufficient height. In other words, the door light 570 can be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and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torage case 43 even when mounted on the sub door 50.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도어의 전면 전체를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이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forms the entire front of the door.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구성 중 일부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som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도어의 단면도이다.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70)는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의해 전면 전체 및 후면 일부의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어 라이너(71)에 의해 둘레 및 후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 라이너(71)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oor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ntire front and part of the rear appearance form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the perimeter and rear appearance by the door liner 71.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artial appearance. Accordingl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fixedly mounted on the door liner 71.

상세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 그리고 도광판(64), 디스플레이 패널(62), 터치 센서(612), 간봉(63), 스페이서(66), 모듈 프레임(6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ncludes a front panel 61, a rear panel 65, a light guide plate 64, a display panel 62, a touch sensor 612, an interval member 63, a spacer 66, and a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67.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61)은 상기 도어(70)의 전면 전체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61)의 둘레는 모듈 프레임(67) 및 리어 패널(65)보다 더 돌출되어 프론트 돌출부(6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에는 불투명한 베젤이 인쇄되어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와 접하는 다른 구성이 전면을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61 can form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oor 70,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panel 61 protrudes further than the module frame 67 and the rear panel 65, forming a front protrusion. (613) can be formed. An opaque bezel may be printed on the front protrusion 613 to prevent other components in contact with the front protrusion 613 from being exposed through the front surface.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70)의 둘레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71)는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와 접착되는 전면부(711)와, 상기 도어(70)의 측면 둘레를 형성하는 측면부(712), 상기 도어(70)의 배면 둘레를 형성하는 배면부(713) 그리고 도어 라이트(57)가 장착되는 라이너 돌출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711)와 측면부(712), 배면부(713) 및 라이너 돌출부(714)는 전체가 하나의 구성으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rotrusion 613 may include a door liner 71 that forms the peripheral surface and rear surface of the door 70. The door liner 71 includes a front portion 711 that is adhered to the front protrusion 613, a side portion 712 that forms a side perimeter of the door 70, and a rear perimeter of the door 70. It may include a rear portion 713 and a liner protrusion 714 on which the door light 57 is mounted. The front part 711, the side part 712, the rear part 713, and the liner protrusion 714 may be molded as a whole, or, if necessary, at least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

한편, 상기 전면부(711)는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의 배면과 접하며,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별도 제공되는 결합을 위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전면부(711)가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711)는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의 폭보다 다소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어(70) 내부의 단열재(72)가 상기 전면부(711)의 배면은 물론 상기 프론트 돌출부(613)의 배면과도 접하여 추가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ront part 711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rotrusion 613, and can be coupled to the front protrusion 613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Additionally, if necessary, the front portion 711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rotrusion 613 using a separately provided coupling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front part 71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omewhat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protrusion 613,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72 inside the door 70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rt 711. Of course, it may als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rotrusion 613 to provide additional fixing force.

상기 측면부(712)는 상기 전면부(711)의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면부(713)까지 연장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도어(70)의 실질적인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712)의 폭에 따라서 상기 도어(7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부(71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배면보다 더 후방까지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The side portion 712 extends rear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front portion 711, extends to the rear portion 713, and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ctual side of the door 70 exposed to the outside.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door 70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712. Accordingly, the side portion 712 may extend to protrude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and provide a space wher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can be mounted.

상기 배면부(713)는 상기 측면부(712)의 단부에서 상기 도어(70)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면부(713)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가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부(713)에는 양면테이프 또는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에 접착될 수 있다. The rear portion 713 extends from an end of the side portion 712 to for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70 . The rear portion 713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xtended en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rear panel 65. The rear portion 713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and may be attached to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

따라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프론트 패널(61)이 상기 전면부(711)에 지지되고, 상기 리어 패널(65)이 상기 배면부(713)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7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 라이너(71)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서 삽입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71)에 의해 상기 프론트 패널(61)과 리어 패널(65)이 지지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anel 61 is supported on the front part 711, and the rear panel 65 is supported on the rear part 713 and fixed to the door 70. You can have That is,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door liner 71, and the front panel 61 and the rear panel 65 are supported by the door liner 71 and fixedly mounted.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one.

한편, 상기 배면부(713)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가스켓 장착부(7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장착부(713a)에는 가스켓(73)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가스켓(73)은 도어(70)가 닫혔을 때 고내의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70)의 배면 둘레를 기밀시키게 된다.Meanwhile, a gasket mounting portion 713a recessed inward may be formed on the rear portion 713. A gasket 73 is fixedly mounted on the gasket mounting portion 713a, and the gasket 73 seals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70 to prevent cold air from leaking out when the door 70 is closed.

상기 가스켓 장착부(713a)는 상기 배면부(713)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의 외측단과 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65)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도어 라이너(71) 내측에 주입되는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asket mounting portion 713a is recessed inward from the rear portion 713, and can therefore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rear panel 65, thereby guiding the rear panel 65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aming liquid injected into the door liner 71 from leaking.

상기 도어 라이너(71)에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면이 상기 전면부(711)와 측면부(712) 및 배면부(713) 내측이 형성하는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외측에 도포된 실런트(691)에 의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내측까지 완전히 기밀된 상태가 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71)의 내측에 주입되는 발포액은 누설되지 않고 주입되어 단열재(7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72)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둘레와 직접 접촉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를 한층 더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fixedly mounted on the door liner 71,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formed by the inside of the front portion 711, the side portion 712, and the rear portion 713. The space can be sealed. 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is completely airtight by the sealant 691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so the foaming liquid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door liner 71 is It can be injected without leaking to form the insulation material 72. Additionally, the insulating material 7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to further secure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상기 라이너 돌출부(714)는 상기 배면부(713)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트(57)가 장착되는 공간인 도어 라이트 장착부(7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715)는 상기 도어(70)의 배면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715) 내부에 장착된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어셈블리(6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다. The liner protrusion 714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end of the rear portion 713 and may be bent inward to form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715, which is a space where the door light 57 is mounted.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715 may be formed to be open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70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ccordingly, the door lights 57 mounted inside the door light mounting unit 715 can illuminate the rear of the transparent display assembly 60 by irradiating light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상기 도어 라이트(57)는 전술한 제 3 실시 예와 같이 라이트 하우징(576)과 라이트 커버(577) 그리고 라이팅 모듈(577)로 동일하세 구성된다.The door light 57 is composed of a light housing 576, a light cover 577, and a lighting module 577 as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은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이며,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715)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리어 패널(65)을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하우징(576)과 상기 리어 패널(65)의 배면이 접하는 면적은 상기 배면부(713)와 리어 패널(65)이 접하는 부분보다 훨씬 더 크므로 사실상 상기 리어 패널(65)의 양단은 상기 도어 라이트(57)에 의해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The light housing 576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65 and is restrained by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715, so it may additionally support the rear panel 65. At this tim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ack of the light housing 576 and the rear panel 65 is much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ack part 713 and the rear panel 65, so in fact, both ends of the rear panel 65 are It can be said to be supported by the door light 57.

그리고, 상기 장착면(546a)에 장착된 상기 라이팅 모듈(578)은 상기 반사면(576b)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되며, 상기 반사면(576b)을 향하여 조사된 빛은 상기 반사면(576b)에서 반사되어 상기 라이트 커버(577)의 전체면을 투과하게 되고, 상기 라이트 커버(577)는 면발광의 형태로 발광되어 상기 도어(70)의 후방을 밝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module 578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546a irradiates light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576b, and the light irradiated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576b is directed to the reflective surface 576b. It is reflected and passe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cover 577, and the light cover 577 can emit light in the form of surface light to illuminate the rear of the door 70.

한편, 상기 도어(70)의 둘레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도어(70)가 냉장고의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힌지(74)와 하부 힌지(7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70)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70)의 회전 조작을 위한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n upper hinge 74 and a lower hinge 75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oor 70 so that the door 70 can be rotatably mounted on a refrigerator cabinet. And, although not shown, a handle for rotating the door 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70.

Claims (20)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한 프론트 패널;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투명한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발포 성형된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리어 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 방향으로 개방된 도어 라이트 장착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의 개방된 부위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In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The door is
an out plate forming a side of the door;
a door liner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having a liner opening;
a transparent front panel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a transparent rear panel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engaging the liner opening;
a module fram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form an insulating space;
an insulation material foam-mol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odule frame, the door liner, and the out plate;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door liner and the rear panel and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liner opening;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ligh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an open portion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로 구성되어져,
상기 메인 도어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의 상측이 개폐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consists of a main door and a sub do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spac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의 중앙에 상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iner is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and the liner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oor l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개구의 둘레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라이너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라이너 돌출부의 내측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liner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is formed around the liner opening,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리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door light supports the back of the rear panel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도어 라이너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어 패널의 후방을 밝히며,
상기 리어 패널과 평행한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과 마주보며 적어로 일부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라이트 하우징;
상기 장착면에 장착되어 상기 반사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모듈; 및
상기 라이트 하우징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투과되어 면발광되는 라이트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ight is,
They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oor liner in opposite directions to illuminate the rear of the rear panel,
a light housing having a mounting surface parallel to the rear panel and a reflective surface that faces the mounting surface and is at least partially inclined or rounded;
a lighting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and emitting light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light cover that shields the opening of the light housing and emits surface light through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간 내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고 투명하게 구성되어 투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모듈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리어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외측에서 상기 도광판의 단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디스플레이 라이트;
상기 리어 패널과 도광판의 사이에서 상기 리어 패널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프론트 패널과 도광판 사이에서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insulated space,
A display provid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and made transparent so that it can be seen through;
a light guide plate located in an inner area of the module frame and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and the rear panel;
a display light that irradiates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an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a space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rear panel and the light guide plate;
A refrigerator comprising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light guide plate to support the light guid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둘레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며,
상기 실런트는,
상기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여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단열재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Sealant is applied around the module frame,
The sealan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insulation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단열재와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insulation material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는 상기 리어 패널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라이너 개구는 상기 리어 패널의 상면 및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ight is located at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anel,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liner opening contac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는,
상기 라이너 개구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기 도어의 중앙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light mounting part,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opens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ner opening.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며, 라이너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투명한 프론트 패널;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개구와 결합하는 투명한 리어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과 상기 리어 패널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도어 라이너 및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발포 성형된 단열재;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리어 패널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방향으로 개방된 도어 라이트 장착부;
상기 도어 라이트 장착부의 개방된 부위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도어 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In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The door is
an out plate forming a side of the door;
a door liner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having a liner opening;
a transparent front panel that forms the front of the door and is coupled to the out plate;
a transparent rear panel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engaging the liner opening;
a module fram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rear panel to form an insulating space;
an insulation material foam-mol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module frame, the door liner, and the out plate;
a door light moun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door liner and the rear panel and open in the liner opening directio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ligh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an open portion of the door light mounting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개구; 및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구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2,
The out plate is,
a front portion forming the front exterior of the door;
A side portion forming a side exteri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a plate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ortion;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opening bend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backward from a peripheral surface of the plate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개구의 둘레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이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 접착되는 플레이트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 절곡부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수용홈;
상기 플레이트 수용홈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접착되는 프론트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3,
It further includes an inner fram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out plat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opening and suppor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 opening from the rear,
The inner frame is,
a plate support attached to the back of the out plate;
a plate receiving groove formed along an end of the plate support portion and into which the opening bend portion is insert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ont panel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an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절곡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프론트 패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4,
A refrigerator, wherein the opening bending part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frame to couple the outer plate and the front pane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프론트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 패널의 둘레에는 상기 모듈 프레임 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에 의해 지지되는 리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4,
A front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front panel and extends further outward than the module frame and is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rear protrusion exten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module frame and supported by the door liner is formed around the rear pane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돌출부는 상기 리어 돌출부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6,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front protrusion extends further outward than the rear protrus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에는 상기 리어 돌출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리어 패널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6,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iner is formed with a protruding rear panel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rotrus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패널의 폭은, 상기 이너 프레임의 사이 거리보다는 작고 상기 리어 패널 지지부 사이의 거리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8,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rear panel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frames and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anel support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도어 라이너,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둘레가 형성하는 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발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4,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formed around the outer plate, the door liner, the inner frame, and the front panel is filled with a foaming liquid and foam molded.
KR1020160154736A 2016-11-21 2016-11-21 Refrigerator KR102656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36A KR102656496B1 (en) 2016-11-21 2016-11-21 Refrigerator
KR1020240046308A KR20240053567A (en) 2016-11-21 2024-04-0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36A KR102656496B1 (en) 2016-11-21 2016-11-21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6308A Division KR20240053567A (en) 2016-11-21 2024-04-04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870A KR20180056870A (en) 2018-05-30
KR102656496B1 true KR102656496B1 (en) 2024-04-12

Family

ID=623002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36A KR102656496B1 (en) 2016-11-21 2016-11-21 Refrigerator
KR1020240046308A KR20240053567A (en) 2016-11-21 2024-04-04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6308A KR20240053567A (en) 2016-11-21 2024-04-04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64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927B1 (en) * 2020-09-24 202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220120794A (en) 2021-02-23 2022-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indo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4083A1 (en) * 2011-05-10 2014-05-2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545A (en)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4083A1 (en) * 2011-05-10 2014-05-29 Anthony, Inc. Display case door with transparent lcd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567A (en) 2024-04-24
KR20180056870A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071B1 (en) Refrigerator
KR102273092B1 (en) Refrigerator
US11015864B2 (en) Refrigerator
US11940210B2 (en) Refrigerator
KR102525036B1 (en) Refrigerator
KR20240046698A (en) Refrigerator
EP4085799A1 (en) Refrigerator
KR102602658B1 (en) Refrigerator
KR20240053567A (en) Refrigerator
KR20240032782A (en) Refrigerator
KR20210128685A (en) Refrigerator and door for refigerator
US20230314062A1 (en) Refrigerator
KR20210128689A (en) Refrigerator and door for refigerator
KR2024001226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